KR20130029000A - 발광장치 및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발광장치 및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9000A
KR20130029000A KR1020120078359A KR20120078359A KR20130029000A KR 20130029000 A KR20130029000 A KR 20130029000A KR 1020120078359 A KR1020120078359 A KR 1020120078359A KR 20120078359 A KR20120078359 A KR 20120078359A KR 20130029000 A KR20130029000 A KR 20130029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substrate
emitting elemen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야 간
기요테루 고사
나오코 이와이
마코토 고노
다카오 고와다
가즈후미 요시다
주니치로 야마모토
고지 야나기다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9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0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15Fastening arrangements intended to retain light sources
    • F21V19/0025Fastening arrangements intended to retain light sources the fastening means engaging the conductors of the light source, i.e. providing simultaneous fastening of the light sources and their electric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21Y2105/12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light-generating elements, e.g. arranging light-generating elements in differing patterns or dens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21Y2105/14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overall shape of the two-dimensional array
    • F21Y2105/18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overall shape of the two-dimensional array annular; polygonal other than square or rectangular, e.g. for spotlights or for generating an axially symmetrical light b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1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 F21Y2113/13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comprising an assembly of 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발광소자 상호의 접속의 간소화가 가능해지는 동시에, 혼색이 양호하고 균일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발광장치 및 이 발광장치를 구비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
본 발명은, 기판(21)과, 기판(21)에 실장되어, 복수의 발광색으로서, 그 발광색마다 반지름이 다른 대략 동심원 또는 크기가 다른 중심을 대략 같게 한 다각형의 둘레상에 복수의 열을 이루어 나열되며, 이들의 열 상호에 있어서 둘레방향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배치된 각 발광색 동수의 발광소자(22)를 구비하는 발광장치이다.

Description

발광장치 및 조명장치{LIGHT-EMITTING CIRCUIT AND LUMINAIRE}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발광 다이오드(이하, LED라고 칭한다.) 등의 발광소자를 광원으로 하는 발광장치 및 이 발광장치를 구비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LED의 고출력화, 고효율화에 수반하여, 광원으로서 LED를 이용한 옥내 또는 옥외에서 사용되는 장수명화를 기대할 수 있는 조명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 조명장치는, LED를 기판에 복수 실장(實裝)하여 소정의 밝기를 얻도록 한 것으로, 예를 들면, 천정면 등에 부착되는 베이스 조명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한편, 생활양식의 다양화에 수반하여, 이들 조명장치에 요구되는 기능으로서는, 단순히, 주위를 밝게 비출 뿐만이 아니라, 주위의 환경이나 빛이 생체에 주는 영향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쾌적성을 충족하는 등, 각 생활 장면에 맞춘 광(光)공간을 연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기판에 복수의 발광색 LED를 원둘레상에 순차 나열하여, 이러한 광색을 혼색(混色)하여 연출성을 향상시킨다고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LED 실링라이트 'EVERLEDS' 시리즈를 발매|프레스 릴리스|뉴스|파나소닉기업정보|panasonic[평성 23년 9월 5일 인터넷 검색](http:// panasonic.co.jp/corp/news/official.data/data.dir/jn110126-2/jn110126-2.html)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기판에 있어서 복수의 발광색 LED 상호를 접속하기 위한 배선 패턴이 복잡화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발광소자 상호의 접속의 간소화가 가능해지는 동시에, 혼색이 양호하고 균일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발광장치 및 이 발광장치를 구비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발광장치는, 기판과 기판에 실장되어, 복수의 발광색으로서, 그 발광색마다 반지름이 다른 대략 동심원 또는 크기가 다른 중심을 대략 같게 한 다각형의 둘레상에 복수의 열(列)을 이루어 나열되어, 이들의 열 상호에 있어서 둘레방향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배치된 각 발광색 동수(同數)의 발광소자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발광소자 상호의 접속의 간소화가 가능해지는 동시에, 혼색이 양호하고 균일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발광장치 및 이 발광장치를 구비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전면측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배면측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조명장치에 있어서, 셰이드(shade) 및 광원부 커버를 떼어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배면측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조명장치를 천정면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광원부에 있어서의 1매의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상기 기판의 배선 패턴층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발광소자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결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조명장치를 나타내고, 도 7 및 도 8은, 광원부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는, 광원부의 결선(結線)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각 도면에 있어서 리드선 등에 의한 배선 접속 관계는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조명장치는, 장치 부착면에 설치된 배선기구로서의 인괘(引掛) 실링 보디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일반 주택용의 것으로, 기판에 실장된 복수의 발광소자를 가지는 광원부로부터 방사되는 빛에 의해서 실내의 조명을 행하는 것이다.
조명장치는, 장치 본체(1)와, 광원부(2)와, 점등장치(3)와, 센터부재(4)와, 부착부(5)를 구비하고 있다. 게다가, 조명장치는, 광센서(6)와, 셰이드(7)와, 커버부재(8)와, 간접광 광원부(9)와, 보조 부품 유닛(1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장치 부착면으로서의 천정면(C)에 설치된 인괘 실링 보디(Cb)에 전기적이고 동시에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어댑터(A)(도 6 참조)와 적외선 리모콘 송신기(Rc)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는, 둥근 형태의 원 형상의 외관으로 형성되고, 전면(前面)측을 빛의 조사면으로 하고, 배면측을 천정면(C)에의 부착면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에 대해 차례차례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1)는, 냉간압연 강판 등의 금속재료의 평판으로부터 원 형상으로 형성된 열전도성을 가지는 섀시이며, 대략 중앙부에, 후술하는 부착부(5)가 배치되는 원형상의 개구(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11)는, 원형상의 일부가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부착부(5)의 외형과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개구(11)의 바깥둘레측에는, 사각형 형상으로 코너부가 R형상을 이루고, 배면측으로 돌출한 돌출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치 본체(1)의 바깥둘레측에는, 배면측으로 돌출 형성, 환언하면, 전면측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원형 고리 형상의 돌출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3)에 의해서 형성되는 오목부에는, 셰이드(7)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셰이드받이 금구(75)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돌출부(12,13)는, 주로 섀시에 부착되는 부재의 부착부로서 기능하고, 또한, 섀시의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이나 방열 면적을 증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한편, 장치 본체(1)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섀시가 해당되지만, 케이스, 반사판이나 베이스로 지칭되는 것이더라도 좋다. 일반적으로는, 광원부(2)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배치되는 부재나 부분을 의미하고 있어, 특별히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광원부(2)는, 도 2,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21)과, 이 기판(21)에 실장된 복수의 발광소자(22)를 구비하여 발광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도 2에 있어서는, 발광소자(22)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기판(21)은, 소정의 폭치수를 가진 대략 원호 형상의 개략 부채꼴 형상으로서, 같은 형상의 복수, 구체적으로는, 4매의 기판(21)이 서로 이어지도록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서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전체적으로 대략 서클 형상으로 형성된 기판(21)은, 4매의 분할된 기판(2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분할된 기판(21)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기판(21)의 분할부에서 열적 수축을 흡수하여 기판(21)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기판 부재의 재료 반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어, 비용적으로 유리한 동시에, 부재가 소형화되므로 취급이 용이해진다. 게다가, 분할된 기판(21)은, 부품으로서 공통화가 가능해진다.
한편, 복수로 분할된 기판(21)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대략 서클 형상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된 한 장의 기판을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기판(21)은, 절연재인 유리 에폭시수지(FR-4)의 평판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측에는 구리박에 의해서 배선 패턴층이 형성되어 있다. 발광소자(22)는, 이 배선 패턴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되어 있다. 또한, 배선 패턴층의 위, 즉, 기판(21)의 표면에는 반사층으로서 작용하는 백색의 레지스트층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기판(21)의 재료는, 절연재로 하는 경우에는, 세라믹스 재료 또는 합성수지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게다가, 금속제로 하는 경우는, 알루미늄 등의 열전도성이 양호하고 방열성이 뛰어난 베이스판의 한 면에 절연층이 적층된 금속제의 베이스 기판을 적용할 수 있다.
발광소자(22)는, LED이며, 표면실장형의 LED 패키지이다. 이 LED 패키지가 복수개 서클 형상의 기판(21)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복수열,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지름이 다른 대략 동심원의 둘레상에 3열에 걸쳐서 실장되어 있다. 즉, 안둘레측의 열, 바깥둘레측의 열 및, 이들 안둘레측의 열과 바깥둘레측의 열과의 중간의 열에 걸쳐서 실장되어 있다.
LED 패키지는, 개략적으로는 세라믹스나 합성수지로 형성된 캐비티에 배치된 LED칩과, 이 LED칩을 밀봉하는 에폭시계 수지나 실리콘 수지 등의 몰드용의 투광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안둘레측의 열 및 바깥둘레측의 열에 실장되어 있는 LED 패키지에는, 발광색이 전구색(L)인 것과 주광색(D)인 것이 이용되고, 이른바 백색의 것이 이용되고 있고, 이들이 대략 동심원의 둘레상에 대략 등간격을 두고 교대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LED칩은, 청색광을 발광하는 LED칩이다. 투광성 수지에는, 형광체가 혼입되어 있고, 전구색(L), 주광색(D)의 백색계의 빛을 출사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주로 청색의 빛과는 보색의 관계에 있는 황색계의 빛을 방사하는 황색 형광체나 붉은 빛을 띠는 성분을 보완하기 위해 적색 형광체가 이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이른바 백색에는, 주광색(D), 주백색(N), 백색(W)이나 전구색(L) 등이 포함된다.
중간의 열에 실장되어 있는 LED 패키지에는, 복수의 발광색, 구체적으로는, 적색(R), 녹색(G), 청색(B)으로 발광하는 것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LED칩은, 각각 적색, 녹색, 청색의 빛에 발광하는 LED칩이고, 이들 LED칩이 몰드용의 투광성 수지에 의해서 밀봉되어 있다.
중간의 열에 실장되어 있는 적색(R), 녹색(G), 청색(B)으로 발광하는 LED 패키지는, 대략 원둘레상에 차례차례, 적색(R), 녹색(G), 청색(B)으로 연속적으로 대략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적색(R), 녹색(G), 청색(B)으로 발광하는 LED 패키지는, 각 발광색이 동수(同數)로 이용되고 있고, 분할된 1매의 기판(21)당, 각 발광색의 LED 패키지가 11개 실장되어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는, 44개씩의 각 발광색의 LED 패키지가 이용되고 있다.
자세하게는, 도 7 및 도 8의 참조를 더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발광색이 다른 적색(R), 녹색(G), 청색(B)으로 발광하는 LED 패키지는, 발광색마다 반지름이 다른 대략 동심원의 둘레상에 복수의 열(3열)을 이루어 나열되어, 이들의 열 상호에 있어서 둘레방향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7은, 분할된 기판(21)의 1매를 나타내고, 도 8은, 상기 기판(21)의 배선 패턴층(12a)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에 있어서는, 배선 패턴층(12a)과 발광소자(22)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설명상, 발광소자(22)의 일부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색(R), 녹색(G), 청색(B)으로 발광하는 LED 패키지는, 발광색마다 반지름이 다른 대략 동심원의 둘레상, 즉, 적색(R)으로 발광하는 LED 패키지는 반지름 r1, 녹색(G)으로 발광하는 LED 패키지는 반지름 r2, 청색(B)으로 발광하는 LED 패키지는 반지름 r3의 대략 동심원의 둘레상에 각각 대략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적색(R)에 발광하는 LED 패키지의 열, 녹색(G)에 발광하는 LED 패키지의 열 및 청색(B)에 발광하는 LED 패키지열의 상호에 있어서의 발광소자(22)는, 둘레방향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도시상, d로 나타낸다.) 배치되어 있다.
한편, LED 패키지는, 외형적으로는, 대략 직방체 형상을 이루고 있고, 한쪽의 단변측에 애노드측의 전극(Ae)이 설치되어 있고, 다른쪽의 단변측에 캐소드측의 전극(Ce)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설명상, 캐소드측의 전극(Ce)측의 단변을 굵은 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21)은, 절연성을 가지는 표면상에 배선 패턴층(21a)이 적층되고, 게다가, 그 위에 반사층(21b)이 적층되어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기판(21)에는, 발광소자(22)인 표면실장형의 LED 패키지가 복수개 실장되어 있다.
배선 패턴층(21a)은, 구리박의 패턴이 에칭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기판(21)의 표면상을 대략 전체면에 걸쳐서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선 패턴층(21a)은, 발광소자(22)의 실장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의 블록에 선 형상의 절연영역(i)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고, 발광소자(22)의 애노드측의 전극(Ae) 및 캐소드측의 전극(Ce)이 블록간의 비교적 좁은 선 형상의 절연영역(i)을 걸쳐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배선 패턴층(21a)은, 발광소자(22)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적 도통로인 동시에, 발광소자(22)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확산하는 히트 스프레더(Heat spreader)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배선 패턴층(21a)을 넓은 면적으로 확보하는 것에 의해 방열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사층(21b)은, 각 발광소자(22)가 실장되어 전극(Ae,Ce)이 접속되는 부분이나 커넥터(Cn)가 접속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대략 전체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즉, 각 발광소자(22)가 실장되어 전극(Ae,Ce)이 접속되는 부분이나 커넥터가 접속되는 부분은, 배선 패턴층(21a)이 표면상에 노출되는 상태가 되어 있고, 발광소자(22)나 커넥터가 접속되게 된다.
반사층(21b)은, 구체적으로는, 백색의 포토솔더 타입의 레지스트 잉크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한 것으로, 빛의 반사율이 양호한 백색의 레지스트층이다.
각 발광소자(22)는, 선 형상의 절연영역(i)에 의해서 구획된 복수의 블록 사이에 있어서, 비교적 좁은 선 형상의 절연영역(i)을 걸쳐 발광소자(22)의 애노드측의 전극(Ae) 및 캐소드측의 전극(Ce)이 배선 패턴층(21a)에 납땜되어 접속되고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발광소자(22)의 애노드측의 전극(Ae)이 접속되는 배선 패턴층(21a)측의 영역(Sa)보다 캐소드측의 전극(Ce)이 접속되는 배선 패턴층(21a)측의 영역(Sc) 쪽의 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Sa<Sc의 관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종류의, 발광소자(22)는, 발광시, 주로 캐소드측에 열이 발생하고, 캐소드측의 전극(Ce)의 온도가 높아진다. 이 때문에, 캐소드측의 전극(Ce)이 접속되는 배선 패턴층(21a)측의 영역(Sc)을 넓게 하는 것에 의해, 발생한 열을 넓은 면적에서 효과적으로 확산하고, 방열시켜 발광소자(22)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안둘레측의 열에 실장된 발광색이 전구색(L)과 주광색(D)인 LED 패키지에 있어서는, 교대로 전극의 방향을 바꾸어 캐소드측의 전극(Ce)이 접속되는 배선 패턴층(21a)측의 영역(Sc)을 넓게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바깥둘레측의 열에 실장된 발광색이 전구색(L)과 주광색(D)인 LED 패키지에 있어서는, 캐소드측의 전극(Ce)이 외측으로 향하여져 배치되어 있다. 내측과 비교하여 외측의 쪽이 방열 효과가 높은 경향이 있고, 이 때문에 캐소드측의 전극(Ce)을 외측으로 향하는 것에 의해 방열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중간의 열에 실장되어 있는 적색(R), 녹색(G), 청색(B)으로 발광하는 LED 패키지는, 상기와 같이 반지름이 다른 대략 동심원의 둘레상에 배치되어, 이러한 열 상호에 있어서 둘레방향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와 같이 발광색이 동색(同色)인 LED 패키지를 직렬로 접속하는 경우에는, 그 접속, 구체적으로는, 전극간을 접속하는 배선 패턴층(21a)의 간소화가 가능해진다.
가령, 적색(R), 녹색(G), 청색(B)으로 발광하는 LED 패키지를 동일 원둘레상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인접하는 LED 패키지를 피하도록 굴곡시켜 배선하는 것이 필수가 되어, 복잡하게 얽힌 배선 패턴층의 형성이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와 같이 각 발광색의 LED 패키지를 반지름이 다른 대략 동심원의 둘레상에서, 둘레방향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배치하는 것에 의해, 기본적으로는, 동색인 LED 패키지간을 원둘레상을 따라서, 즉, 원호 형상(대략 직선 형상)으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이 때문에, 그 접속의 간소화가 가능하고, 스페이스적으로 제약이 있는 영역에 소정의 여유를 가지고, 예를 들면, 히트 스프레더로서 기능하는 배선 패턴층(21a)의 면적을 넓게 확보하면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덧붙여, 전체적으로는, 각 발광색의 LED 패키지는, 반지름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고 나열되며, 둘레방향으로 연속하도록 나열되므로, 혼색이 양호하고 균일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반지름 방향에 관해서는, 안둘레측의 열 및 바깥둘레측의 열에 실장되어 있는 백색으로 발광하는 LED 패키지에 근접하는 배치가 되므로, 이들과의 혼광(混光)이 양호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게다가, 각 발광색 LED 패키지와 안둘레측의 열 및 바깥둘레측의 열에 실장되어 있는 LED 패키지와의 사이에는, 반지름 방향으로 스페이스가 확보되는 영역이 생기게 되어, 이 영역 부분에 커넥터(Cn) 등의 부품을 배치하여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발광소자(22)의 애노드측의 전극(Ae)이 접속되는 배선 패턴층(21a)측의 영역(Sa)과, 캐소드측의 전극(Ce)이 접속되는 배선 패턴층(21a)측의 영역(Sc)은, 영역(Sc)이 넓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으면, 그 형상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1매의 기판(21)에 있어서의 각 발광소자(22)의 결선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안둘레측의 열 및 바깥둘레측의 열에 실장되어 있는 발광소자(22)는, 6개의 발광소자(22)가 직렬로 접속된 직렬 회로가 4개 접속된 2개의 라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1개의 라인에는 합계 24개의 발광소자(22)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직렬 회로는, 발광색이 전구색(L)의 발광소자군과 주광색(D)의 발광소자로 나뉘어져 접속되어 있다. 즉, 하나의 직렬 회로에 전구색(L)과 주광색(D)의 발광소자(22)가 혼재하는 일은 없다.
한편, 중간의 열에 실장되어 있는 적색(R), 녹색(G), 청색(B)으로 발광하는 발광소자(22)는, 각각 11개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이들의 직렬 회로에 적색(R), 녹색(G), 청색(B)의 발광소자(22)가 혼재하는 일은 없다.
이러한 접속 회로의 단부는, 커넥터(Cn)에 접속되어 있어, 인접하는 기판(21)의 커넥터 또는 전원측의 커넥터에 접속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광원부(2)에는, 발광색이 다른 복수의 발광소자(22), 즉, 전구색(L), 주광색(D), 적색(R), 녹색(G), 청색(B)으로 발광하는 발광소자(22)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들이 혼광되는 것에 의해 표현 가능한 광색 범위가 넓고, 발광소자(22)의 광출력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광색을 조색(調色)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LED는, LED칩을 직접 기판(21)에 실장하도록 해도 좋고, 또한, 포탄형의 LED를 실장하도록 해도 좋고, 실장 방식이나 형식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원부(2)는, 도 4 및 도 6에 대표해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1)이 장치 본체(1)의 전면측으로서 개구(11)의 주위에 위치하고, 발광소자(22)의 실장면이 전면측, 즉, 하방의 조사 방향으로 향해져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판(21)의 이면측이 장치 본체(1)의 내면측에 밀착되도록 예를 들면, 나사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서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기판(21)은, 장치 본체(1)와 열적으로 결합되어, 기판(21)으로부터의 열이 이면측으로부터 장치 본체(1)에 전도되어 방열되도록 되어 있다.
도 2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원부(2)의 전면측에는, 광원부 커버(25)가 배치되어 있다. 광원부 커버(25)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나 아크릴수지 등의 절연성을 가지는 투명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소자(22)의 배치를 따라서 대략 서클 형상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발광소자(22)를 포함하여 기판(21)의 전체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발광소자(22)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광원부 커버(25)를 투과하게 된다. 또한, 기판(21)의 전체면을 덮게 되어 있으므로, 충전부가 광원부 커버(25)에 의해서 덮여져 절연성이 확보된다.
점등장치(3)는, 도 3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과, 이 회로기판에 실장된 제어용 IC, 트랜스, 콘덴서 등의 회로 부품을 구비하고 있다. 회로기판은, 중앙부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표면 측에 회로 부품이 실장되어 있다.
회로기판에는, 어댑터(A)측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어댑터(A)를 사이에 두고 상용 교류 전원에 접속된다. 따라서, 점등장치(3)는, 이 교류 전원을 받아 직류 출력을 생성하고, 리드선을 사이에 두고 그 직류 출력을 발광소자(22)에 공급하고, 발광소자(22)를 점등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점등장치(3)는, 도 5의 참조를 더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등장치 커버(35)에 부착되어 덮여져, 장치 본체(1)의 배면측에 배치되게 된다. 이 경우, 회로기판은, 회로부품이 전면측(도시상, 하방측)으로 향해져서 부착된다.
점등장치 커버(35)는, 냉간압연 강판 등의 금속재료에 의해서 대략 사각형의 짧은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벽(35a)은, 전면측으로 향하여 확대되도록 경사 형상을 이루고 있고, 배면벽(35b)의 중앙부에는, 개구(35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점등장치 커버(35)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측의 플랜지가 섀시의 돌출부(12)에 얹어놓여져, 나사 멈춤되어 부착된다.
또한, 점등장치 커버(35)의 배면측에는, 탄성부재(36)가 부착되어 있다. 탄성부재(36)는, 상기 복수의 각 간접광 광원부(9)의 부착 위치에 대응하여, 그 근방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탄성부재(36)는, 선단측이 중앙부 방향으로 향해져서 부착되어 있다.
탄성부재(36)는, 조명장치가 장치 부착면으로서의 천정면(C)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천정면(C)과의 사이에 탄성변형을 수반하여 개재되도록 배치되는 부재이며, 조명장치를 천정면(C)에 확실히 유지하는 작용을 이루고 있다.
센터부재(4)는, 도 2,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BT 수지 등의 합성수지 재료로 만들어져, 대략 짧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에 인괘 실링 보디(Cb)에 대향하는 개구(41)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개구(41)의 주위에는, 고리 형상의 공간부(42)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공간부(42)에는, 후술하는 광센서(6)가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센터부재(4)의 전면벽에는, 광센서(6)의 수광부(受光部)와 대향하는 수광창(4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센터부재(4)는, 주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측의 플랜지가 광원부 커버(25)를 사이에 두고 섀시에 나사 멈춤되어 부착되고 있다. 한편, 센터부재(4)는, 섀시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할 수 있고, 그 구체적인 부착 구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착부(5)는, 어댑터 가이드이며, 어댑터(A)가 삽입통과하여 걸어맞춤하는 부재이며, 조명장치를 천정면(C)에 부착하기 위한 부재이다. 어댑터 가이드는, 도 3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 되고, 중앙부에는, 어댑터(A)가 삽입통과하여,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구(5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어댑터 가이드는, 본체(1)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11)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한편, 부착부(5)는, 반드시 어댑터 가이드 등으로 지칭되는 부재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장치 본체(1) 등에 형성되는 개구이더라도 좋고, 요컨대 배선기구로서의 인괘 실링 보디(Cb)에 대향하여, 어댑터(A)가 걸어맞춤 되는 부재나 부분을 의미하고 있다.
광센서(6)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61)에 실장되어, 그 수광부가 수광창(43)에 대향하도록 센터부재(4)의 공간부(42)내에 배치되어 부착되고 있다. 광센서(6)는, 조도(照度) 센서이며, 포토다이오드 등의 센서 소자로 이루어져 있고, 주위의 밝기를 검지하여 검출신호를 출력하도록 동작한다. 이것에 따라, 주위가 밝은 경우에는, 광원부(2), 즉, 발광소자(22)를 조광(감광(減光))하여 점등하도록 제어한다.
셰이드(7)는, 아크릴수지 등의 투광성을 가지고, 유백색(乳白色)을 나타내는 확산성을 구비한 재료로 대략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원형상의 개구(7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셰이드(7)의 외주부에는, 셰이드 화장틀(7a)이 부착되어 있고, 이 셰이드 화장틀(7a)은, 아크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셰이드(7)는, 광원부(2)를 포함한 본체(1)의 전면측을 덮도록 본체(1)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셰이드(7)를 회동하는 것에 의해서, 셰이드(7)에 설치된 셰이드 부착 금구(74)를, 장치 본체(1)의 돌출부(13)에 의해서 형성된 오목부에 마련된 셰이드받이 금구(75)에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부착된다.
또한, 셰이드(7)를 떼어내는 경우에는, 셰이드(7)를 부착시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고, 셰이드 부착 금구(74)와 셰이드받이 금구(75)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떼어낼 수 있다.
커버부재(8)는, 투명의 아크릴수지 등의 재료로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커버부재(8)는, 셰이드(7)의 개구(71)에 대응하여, 센터부재(4)의 전면벽에 부착되어, 센터부재(4)의 개구(41)를 덮어 폐색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커버부재(8)에는, 광센서(6)의 수광창(43)과 대향하는 투과부(81)가 형성되어 있다.
간접광 광원부(9)는, 장치 본체(1)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주로 천정면을 밝게 비추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간접광 광원부(9)는, 부착부(5)의 주위에 위치하여 복수개 배치되어 있고, 기판(91)과, 이 기판(91)에 실장된 복수의 발광소자(92)를 구비하고 있다.
기판(91)은, 대략 장방형 형상의 평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발광소자(92)는, 이 기판(9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직선 형상으로 나열되어 실장되고 있다.
이 발광소자(92)가 실장된 기판(91)이 상기 점등장치 커버(35)의 측벽(35a)에 있어서의 4개소에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점등장치 커버(35)는,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기판(91)은, 그 측벽(35a)에 있어서의 직선 형상의 평탄면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부착이 안정적으로 행하여지게 된다.
또한, 기판(91)의 부착부를 이루는 측벽(35a)은, 전면측을 향하여 확대되는 경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91)은, 경사지게 상방, 즉, 천정면 방향으로 향해지게 되고, 발광소자(92)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천정면 방향을 향하여 효과적으로 조사되게 된다.
게다가, 주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간접광 광원부(9)는, 단면(斷面)이 배면측으로 향하여 확대되는 경사 형상으로 형성된 투광성의 커버(93)에 덮이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명장치가 천정면(C)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하방으로부터 조명장치의 측부를 본 경우, 점등장치 커버(35)의 배면측에 부착된 탄성부재(36)를 눈으로 보고 확인하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커버(93)는, 기판(21)의 이면측이 대응하는 장치 본체(1)의 부분을 외측으로부터 덮는 일이 없도록 경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치되고 있다. 따라서, 장치 본체(1)로부터의 방열 작용을 저해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발광소자(92)는, 상기 광원부(2)와 같이, LED이며, 표면실장형의 LED 패키지로서, 발광색이 전구색(L)인 것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발광소자(92)는, 상기 광원부(2)의 전구색(L)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22)와 같은 사양의 것이 이용되고 있다. 이 발광소자(92)는, 점등장치(3)에 접속되어 점등 제어되게 되어 있다.
보조 부품 유닛(10)은, 도 2 내지 도 4,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닛 기판(101) 및 이 기판(101)에 실장된 복수의 전기적 보조 부품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기적 보조 부품은, 적외선 리모콘 신호 수신부(102), 상야등(常夜燈)의 발광소자(103)나 채널 설정 스위치(104) 등이다. 이 보조 부품 유닛(10)은, 장치 본체(1)의 전면측으로서 광원부(2)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보조 부품 유닛(10)의 유닛 기판(101)은, 상술의 광센서(6)가 실장된 기판(61)과는 별도 기판으로서, 광센서(6)가 실장된 기판(61)에는, 적외선 리모콘 신호 수신부(102), 상야등의 발광소자(103) 등은 실장되어 있지 않다. 그 이유는, 광센서(6)는, 주위의 밝기를 검지하여 발광소자(22)의 발광 상태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이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조명장치와, 이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조명장치와의 2개의 타입의 조명장치의 제공을 실현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즉, 발광 상태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조명장치를 전개하는 경우에는, 광센서(6)나 센터부재(4)를 용이하게 생략하여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어댑터(A)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정면(C)에 설치된 인괘 실링 보디(Cb)에, 상면측에 설치된 인괘날에 의해서 전기적이고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고, 둘레벽의 양측에는 한 쌍의 걸어멈춤부(A1)가, 내장된 스프링에 의해서 상시 바깥둘레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걸어멈춤부(A1)는 하면측에 설치된 레버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몰입(沒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어댑터(A)로부터는, 상기 점등장치(3)에 접속하는 도시하지 않는 전원코드가 도출되어 있고, 점등장치(3)와 커넥터를 사이에 두고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적외선 리모콘 송신기(Rc)는, 예를 들면, 주파수 38kHz의 펄스상의 특정의 코드화된 적외선 리모콘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모드 전환 버튼, 전광(全光) 점등 버튼, 조광 점등 버튼, 상야등 버튼이나 소등 버튼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 리모콘 송신기(Rc)를 보조 부품 유닛(10), 즉, 적외선 리모콘 신호 수신부(102)를 향해서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광원부(2) 및 간접광 광원부(9)의 조명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에, 조명장치의 천정면(C)에의 부착 상태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미리 천정면(C)에 설치되어 있는 인괘 실링 보디(Cb)에 어댑터(A)를 전기적이고 기계적으로 접속한다. 조명장치의 커버부재(8)를 떼어낸 상태에 있어서, 어댑터 가이드의 걸어맞춤구(51)를 어댑터(A)에 맞추면서, 어댑터(A)의 걸어멈춤부(A1)가 어댑터 가이드의 걸어맞춤구(51)에 확실히 걸어맞춤할 때까지 장치 본체(1)를 탄성부재(36)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하방으로부터 손으로 밀어 올려 부착 조작을 행한다.
이어서, 커버부재(8)를 부착하고, 인괘 실링 보디(Cb)에 대향하는 센터부재(4)의 중앙부의 개구(41)를 덮어 폐색한다.
또한, 조명장치를 떼어내는 경우에는, 커버부재(8)를 떼어내고, 센터부재(4)의 개구(41)를 통해서 어댑터(A)에 설치되어 있는 레버를 조작하여 어댑터(A)의 걸어멈춤부(A1)의 걸어맞춤을 푸는 것에 의해 떼어낼 수 있다
조명장치의 천정면(C)에의 부착 상태에 있어서, 점등장치(3)에 전력이 공급되면, 광원부(2)에 있어서의 기판(21)을 사이에 두고 발광소자(22)에 통전되어, 각 발광소자(22)가 점등된다. 발광소자(22)로부터 전면측으로 출사된 빛은, 광원부 커버(25)를 투과하고, 셰이드(7)에 의해서 확산되어 투과하여 바깥쪽으로 조사된다. 따라서, 소정의 배광(配光) 범위에서 하방이 조명되게 된다.
이것과 동시에, 간접광 광원부(9)에 통전되면, 각 발광소자(92)가 점등하고, 발광소자(92)로부터 경사지게 상방으로 출사된 빛은, 투광성의 커버(93)를 투과하여, 어댑터 가이드(5)의 주위로부터 방사되도록, 주로 천정면에 조사된다. 따라서, 천정면이 밝아져, 공간의 밝은 느낌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광소자(22)로부터 발생하는 열은, 기판(21)의 이면측이 장치 본체(1)와 열적으로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장치 본체(1)에 효과적으로 전도되어, 넓은 면적에서 방열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적색(R), 녹색(G), 청색(B)으로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색의 LED 패키지는, 반지름이 다른 대략 동심원의 둘레상에 배치되어, 이들 열 상호에 있어서 둘레방향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발광소자(22) 상호의 접속의 간소화가 가능해지는 동시에, 혼색이 양호하고 균일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반지름이 다른 대략 동심원의 둘레상에 복수의 열을 이루어 적색(R), 녹색(G), 청색(B)으로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소자(22)를 배치한 것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크기가 다른 다각형, 예를 들면, 육각형의 둘레상에 복수의 열을 이루어 나열되어, 이들의 열 상호에 있어서 둘레방향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는 것이더라도 좋다.
게다가, 백색으로 발광하는 발광소자(22)를 상기 복수의 발광색 발광소자(22)에 있어서의 열의 외측 및 내측으로서, 상기 다각형과 대략 중심을 같게 한 다각형의 둘레상에 열을 이루어 나열하여 실장하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형태의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효과를 이루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일 없이,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일례로서 제시한 것으로,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는다.
1 : 장치 본체(섀시)
2 : 광원부
3 : 점등장치
4 : 센터부재
5 : 부착부(어댑터 가이드)
6 : 광센서
7 : 셰이드
8 : 커버부재
9 : 간접광 광원부
10 : 보조부품 유닛
21 : 기판
22 : 발광소자(LED)
25 : 광원부 커버
A : 어댑터
C : 장치 부착면(천정면)
Cb : 배선기구(인괘 실링 보디)
Rc : 적외선 리모콘 송신기

Claims (3)

  1. 기판과;
    기판에 실장되어, 복수의 발광색으로서, 그 발광색마다 반지름이 다른 대략 동심원 또는 크기가 다른 중심을 대략 같게 한 다각형의 둘레상에 복수의 열을 이루어 나열되며, 이들의 열 상호에 있어서 둘레방향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배치된 각 발광색 동수(同數)의 발광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색의 발광소자에 있어서의 열의 외측 및 내측으로서, 상기 원 또는 다각형과 대략 중심을 같게 한 원 또는 다각형의 둘레상에 열을 이루어 나열되어 실장된 백색으로 발광하는 발광소자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3. 상기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발광장치와;
    이 발광장치에 있어서의 발광소자를 점등 제어하는 점등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120078359A 2011-09-13 2012-07-18 발광장치 및 조명장치 KR201300290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99147 2011-09-13
JP2011199147A JP2013062108A (ja) 2011-09-13 2011-09-13 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000A true KR20130029000A (ko) 2013-03-21

Family

ID=47776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359A KR20130029000A (ko) 2011-09-13 2012-07-18 발광장치 및 조명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3062108A (ko)
KR (1) KR20130029000A (ko)
CN (1) CN202769565U (ko)
TW (1) TW20131204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22478A (zh) * 2013-07-01 2013-09-25 深圳市聚作照明股份有限公司 Led吸顶灯
JP6270242B2 (ja) * 2014-02-19 2018-01-31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照明器具
JP6243301B2 (ja) * 2014-07-08 2017-12-0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照明装置
JP2018146546A (ja) * 2017-03-09 2018-09-20 エアロセンス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7137190B2 (ja) * 2018-06-30 2022-09-14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JP7262077B2 (ja) * 2019-04-25 2023-04-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照明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2769565U (zh) 2013-03-06
JP2013062108A (ja) 2013-04-04
TW201312041A (zh) 201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5458B2 (ja) 照明器具
JP2012084316A (ja) 照明器具
KR20130014348A (ko) 발광장치 및 조명기구
KR20130029000A (ko) 발광장치 및 조명장치
JP5594600B2 (ja) 照明器具
TW201433212A (zh) 照明裝置與照明器具
JP5557063B2 (ja) 照明器具
JP5557162B2 (ja) 発光装置及び照明器具
KR101384955B1 (ko) 조명기구
JP5818008B2 (ja) 照明器具
JP5320563B2 (ja) 照明器具
JP2012059573A (ja) 照明器具
JP6601745B2 (ja) 照明器具
JP2013229171A (ja) 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KR20120081561A (ko) 조명기구
JP5126637B2 (ja) 照明器具
JP6164437B2 (ja) 発光装置及び照明器具
JP6369606B2 (ja) 照明器具
JP5737599B2 (ja) 照明器具
JP5126638B2 (ja) 発光装置及び照明器具
JP2018170289A (ja) 照明器具
JP2014199820A (ja) 発光装置及び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