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8572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8572A
KR20130028572A KR1020110092214A KR20110092214A KR20130028572A KR 20130028572 A KR20130028572 A KR 20130028572A KR 1020110092214 A KR1020110092214 A KR 1020110092214A KR 20110092214 A KR20110092214 A KR 20110092214A KR 20130028572 A KR20130028572 A KR 20130028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adio frequency
signals
splitter
frequenc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2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4006B1 (ko
Inventor
박상조
임지훈
김인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2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006B1/ko
Publication of KR20130028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04B1/52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에 연결되고 무선 주파수(RF)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복수 개로 분배하는 스플리터, 상기 스플리터에 의해 분배된 하나의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제 1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제 1 신호의 수신을 제어하는 제 1 트랜시버, 및 상기 스플리터에 의해 분배된 다른 하나의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상기 제 1 신호와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는 제 2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제 2 신호의 수신을 제어하는 제 2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복수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or 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복수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중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일반적으로, 복수의 안테나가 사용된다. 게다가,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또는 다이버시티(Diversity)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는 안테나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안테나의 수의 증가는 이동 단말기의 부피 및 크기의 증가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단말기에서 다중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요구되는 안테나 및 신호 경로의 수를 줄이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에 연결되고 무선 주파수(RF)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복수 개로 분배하는 스플리터, 상기 스플리터에 의해 분배된 하나의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제 1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제 1 신호의 수신을 제어하는 제 1 트랜시버, 및 상기 스플리터에 의해 분배된 다른 하나의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상기 제 1 신호와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는 제 2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제 2 신호의 수신을 제어하는 제 2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스플리터에 전달하는 저잡음 증폭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가 상기 저잡음 증폭기에 의해 증폭되는 양은 상기 스플리터에 의해 감쇄되는 양보다 클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는 상기 공유되는 주파수 대역 내의 서로 다른 구간에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신호는 음성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 2 신호는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제 1 안테나에 연결되고,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의 송신 주파수와 수신 주파수를 상호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에 연결되고 제 1 및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를 각각 수신하는 제 1 및 제 2 안테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는 제 1 및 제 2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는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제 3 및 제 4 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를 복수 개로 분배하는 제 1 스플리터, 상기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를 복수 개로 분배하는 제 2 스플리터, 상기 제 1 스플리터에 의해 분배된 하나의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상기 제 1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 2 스플리터에 의해 분배된 하나의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제 3 신호를 검출하며, 검출된 상기 제 1 및 제 3 신호의 수신을 제어하는 제 1 트랜시버, 및 상기 제 1 스플리터에 의해 분배된 다른 하나의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상기 제 2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 2 스플리터에 의해 분배된 다른 하나의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제 4 신호를 검출하며, 검출된 상기 제 2 및 제 4 신호의 수신을 제어하는 제 2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는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또는 다이버시티에 근거하여 상호 연관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신호는 주파수 대역을 공유할 수 있다. 상기 공유되는 주파수 대역은 제 1 및 제 2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3 신호는 상기 제 1 구간에 존재하고, 상기 제 2 및 제 4 신호는 상기 제 2 구간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3 신호는 음성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 2 및 제 4 신호는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제 1 스플리터에 전달하는 제 1 저잡음 증폭기, 및 상기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제 2 스플리터에 전달하는 제 2 저잡음 증폭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제 1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와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 3 무선 주파수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제 3 무선 주파수 신호를 복수 개로 분배하는 제 3 스플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랜시버는 상기 제 3 트랜시버에 의해 분배된 하나의 제 3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제 5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제 5 신호의 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랜시버는 상기 제 3 트랜시버에 의해 분배된 다른 하나의 제 3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상기 제 5 신호와 상기 다른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는 제 6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제 6 신호의 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제 1 안테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의 송신 주파수와 수신 주파수를 상호 분리하는 제 1 듀플렉서, 상기 제 2 안테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의 송신 주파수와 수신 주파수를 상호 분리하는 제 2 듀플렉서, 및 상기 제 1 안테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 3 무선 주파수 신호의 송신 주파수와 수신 주파수를 상호 분리하는 제 3 듀플렉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제 1 안테나, 상기 제 1 듀플렉서, 및 상기 제 3 듀플렉서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 3 무선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상호 분리하는 다이플렉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의하면, 유사한 특성의 신호들에 대해서는, 이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및 내부 신호 경로의 일부를 스플리터를 이용하여 통합함으로써, 안테나 및 내부 신호 경로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안테나 및 내부 신호 경로의 수가 줄어듦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소형화할 수 있고, 생산 비용도 감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플리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플리터(241)에 의해 분배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해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터(navigato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감지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요소들(110~190)에 대해 차례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기,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문자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것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카메라(121)에 의해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선택 모드 등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통화 모드에서 마이크(122)에 의해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가 입력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 및 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140)는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위치, 방위, 가속, 감속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감지부(140)는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감지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와 디스플레이부(151)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스크린’으로 호칭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것에 대응하는 신호들은 터치 제어기(미도시됨)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터치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처리된 신호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감지 대상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감지 대상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근접 센서(141)로 분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는 감지 대상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감지 대상이 터치 스크린상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터치 스크린 상에 감지 대상이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의 유무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이러한 근접 터치 유무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에 출력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킨다.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3), 알람부(154) 및 햅틱 모듈(15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촬영된 영상, 수신된 영상, UI 또는 GUI 등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또는 디스플레이 소자)는 그것을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할 수 있는데, 이러한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본체에서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본체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위치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위치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선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3)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4)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성 출력 모듈(153)은 알람부(154)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5)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5)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5)이 발생시키는 진동의 세기,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터치 스크린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에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라고 칭함)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상에서의 필기 입력 및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선택하는 패턴 선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들(processors), 제어기들(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들(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촉각을 이용하여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각 정보는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3차원 입체영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시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및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고 호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과 입력창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출력창과 입력창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에는 전화 번호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가 출력될 수 있다. 소프트키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가 출력창에 표시된다. 조작 유닛이 조작되면 출력창에 표시된 전화 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되거나 출력창에 표시된 텍스트가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는 터치 스크롤(scroll)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 및 터치 패드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본체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실행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2세대(2G), 3세대(3G) 및 4세대(4G) 이동통신 서비스를 통합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통신 방식을 위해 사용되는 다중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동시에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동통신 방식의 주파수 대역을 살펴보면, GSM 방식은 850MHz, 900MHz, 1,800MHz, 1,900MHz 등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2세대 CDMA 방식(IS-95) 및 3세대 CDMA 방식(CDMA2000, WCDMA 등)은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DCN(Digital Cellular Network) 방식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DCN 방식은 800MHz, 850MHz 등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PCS 방식은 1,800MHz(IS-95), 1,900MHz(CDMA2000), 2,100MHz(WCDMA) 등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LTE 방식은 700MHz, 800MHz, 1,800MHz, 2,100MHz 등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이하에서, 보다 적은 수의 안테나 및 신호 경로를 이용하여 다중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는 이동 단말기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200)는 무선 통신 모듈(202) 및 복수의 안테나들(ANT1, ANT2)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모듈(202)은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고, 듀플렉서들(duplexers, 211, 212), 저잡음 증폭기들(LNAs: Low Noise Amplifiers, 221, 222), 전력 증폭부들(power amplifying units, 231, 232), 스플리터들(splitters, 241, 242) 및 트랜시버들(tranceivers, 251, 252)을 포함한다.
제 1 듀플렉서(211)는 제 1 안테나(ANT1), 제 1 저잡음 증폭기(221) 및 제 1 전력 증폭부(231)에 연결되고, 제 1 무선 주파수(RF) 신호의 송신 주파수와 수신 주파수를 상호 분리한다. 제 2 듀플렉서(212)는 제 2 안테나(ANT2), 제 2 저잡음 증폭기(222) 및 제 2 전력 증폭부(232)에 연결되고,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의 송신 주파수와 수신 주파수를 상호 분리한다.
여기서,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는 제 1 안테나(ANT1)를 통해 송신 및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말하고,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는 제 2 안테나(ANT2)를 통해 송신 및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는 제 1 및 제 2 신호를 포함하고,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는 제 1 및 제 2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제 3 및 제 4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는 서로 같은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제 1 내지 제 4 신호가 주파수 대역을 공유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는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또는 다이버시티(diversity)를 구현하기 위한 신호로서 사용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는 다중입력 다중출력 또는 다이버시티에 근거하여 상호 연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3 신호가 상호 연관되고, 제 2 및 제 4 신호가 상호 연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제 1 및 제 3 신호는 DCN 1x 방식에 따른 신호이고, 제 2 및 제 4 신호는 DCN 1x 방식과 같은 주파수 대역(예: 800MHz)을 사용하는 LTE 방식에 따른 신호일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3 신호는 음성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 2 및 제 4 신호는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 1 저잡음 증폭기(221)는 제 1 듀플렉서(211) 및 제 1 스플리터(241) 사이에 연결되고, 제 1 듀플렉서(211)로부터 전달되는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를 증폭한다. 이때,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가 증폭되는 양은 제 1 스플리터(241)에 의해 감쇄되는 양보다 클 수 있다. 이는, 제 1 스플리터(241)에서의 신호 분배로 인한 감쇄뿐만 아니라 제 1 트랜시버(251)에서의 신호 처리로 인한 손실까지 보상하기 위함이다. 제 1 저잡음 증폭기(221)는 증폭된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제 1 스플리터(241)에 전달한다.
제 2 저잡음 증폭기(222)는 제 2 듀플렉서(212) 및 제 2 스플리터(242) 사이에 연결되고, 제 2 듀플렉서(212)로부터 전달되는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를 증폭한다. 제 2 저잡음 증폭기(222)는 증폭된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제 2 스플리터(242)에 전달한다.
제 1 전력 증폭부(231)는 제 1 듀플렉서(211)와 제 1 트랜시버(251) 사이에 연결되고, 제 1 트랜시버(251)로부터 전달되는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의 전력을 증폭한다. 이를 위해,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1 전력 증폭부(231)는 송신 필터,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격리기(isola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필터는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의 송신 주파수를 통과시키고,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에 섞인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송신 필터는 표면 탄성파(SAW: Surface Acoustic Wave) 필터로 구현될 수 있다. 전력 증폭기는 표면 탄성파 필터로부터 전달되는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의 전력을 증폭한다. 격리기는 역방향으로 유입되는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의 반사파를 차단하여 전력 증폭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전력 증폭부(231)는 전력이 증폭된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제 1 듀플렉서(211)로 전달한다.
제 2 전력 증폭부(232)는 제 2 듀플렉서(212)와 제 2 트랜시버(252) 사이에 연결되고, 제 2 트랜시버(252)로부터 전달되는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의 전력을 증폭한다. 제 2 전력 증폭부(232)는 제 1 전력 증폭부(231)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스플리터(241)는 제 1 저잡음 증폭기(221), 제 1 트랜시버(251) 및 제 2 트랜시버(252)에 연결되고, 제 1 저잡음 증폭기(221)로부터 전달되는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를 복수 개로 분배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가 두 개의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로 분배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는 신호 분배로 인해 감쇄될 수 있다.
제 2 스플리터(242)는 제 2 저잡음 증폭기(222), 제 1 트랜시버(251) 및 제 2 트랜시버(252)에 연결되고, 제 2 저잡음 증폭기(222)로부터 전달되는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를 복수 개로 분배한다.
제 1 및 제 2 트랜시버(251, 252)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 단자 및 수신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트랜시버(251)는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단자와 제 1 및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를 각각 수신하기 위한 두 개의 수신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트랜시버(252)는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단자와 제 1 및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를 각각 수신하기 위한 두 개의 수신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트랜시버(251)는 제 1 스플리터(241)에 의해 분배된 하나의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제 1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 2 스플리터(242)에 의해 분배된 하나의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제 3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제 2 트랜시버(252)는 제 1 스플리터(241)에 의해 분배된 다른 하나의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제 2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 2 스플리터(252)에 의해 분배된 다른 하나의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제 4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제 1 트랜시버(251)에 의해 검출되지 않은 제 2 및 제 4 신호는 제 1 트랜시버(251) 내부에서 필터링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트랜시버(252)에 의해 검출되지 않은 제 1 및 제 3 신호는 제 2 트랜시버(252) 내부에서 필터링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제 1 트랜시버(251)는 검출된 제 1 및 제 3 신호의 수신을 제어하고, 제 2 트랜시버(252)는 검출된 제 2 및 제 4 신호의 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트랜시버(251)는 검출된 제 1 및 제 3 신호를 복조하고, 제 2 트랜시버(252)는 검출된 제 2 및 제 4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의하면,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나 서로 다른 이동통신 방식에 따른 신호들을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스플리터에 의해 분배되어 복수의 트랜시버들로 전달될 수 있다. 각각의 트랜시버는 스플리터로부터 전달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에서 유용한 신호를 검출하여 처리할 수 있다. 요약건대, 유사한 특성의 신호들에 대해서는, 이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및 내부 신호 경로의 일부를 스플리터를 이용하여 통합할 수 있다. 이로써, 안테나 및 내부 신호 경로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이하, 제 1 및 제 2 스플리터(241)는 서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제 1 스플리터(241)에 대해서만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스플리터’를 ‘스플리터’라고 칭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플리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플리터에 의해 분배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에는 스플리터(241)의 일 실시 예가 도시되고, 도 4에는 스플리터(241)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플리터(241)는 저항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스플리터(241)는 하나의 입력 단자(IN), 두 개의 출력 단자(OUT1, OUT2) 및 저항들(R1~R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저항(R1)은 입력 단자(IN)와 제 1 출력 단자(OUT1) 사이에 연결되고, 제 2 저항(R2)은 입력 단자(IN)와 제 2 출력 단자(OUT2) 사이에 연결되며, 제 3 저항(R3)은 제 1 및 제 2 출력 단자(OUT1, OUT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저항(R1~R3)은 서로 같은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입력 단자(IN)를 통해 입력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두 개로 균등하게 분배될 수 있다. 분배된 하나의 무선 주파수 신호는 제 1 출력 단자(OUT1)를 통해 출력되고, 분배된 다른 하나의 무선 주파수 신호는 제 2 출력 단자(OUT2)를 통해 출력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플리터(241)는 LC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스플리터(241)는 하나의 입력 단자(IN), 두 개의 출력 단자(OUT1, OUT2), 커패시터들(C1, C2) 및 인덕터들(L1, 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커패시터(C1)는 입력 단자(IN)와 제 1 출력 단자(OUT1) 사이에 연결되고, 제 2 커패시터(C2)는 입력 단자(IN)와 제 2 출력 단자(OUT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인덕터(L1)는 제 1 출력 단자(OUT1)와 접지(GND) 사이에 연결되고, 제 2 인덕터(L2)는 제 2 출력 단자(OUT2)와 접지(GND)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커패시터(C1, C2)는 서로 같은 전기용량을 갖고, 제 1 및 제 2 인덕터(L1, L2)는 서로 같은 유도계수를 가질 수 있다. 이런 경우, 도 3의 경우처럼, 입력 단자(IN)를 통해 입력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두 개로 균등하게 분배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플리터(241)로 입력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RFS)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는 제 1 및 제 2 신호(S1, S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신호(S1, S2)는 무선 주파수 신호(RFS)의 주파수 대역을 공유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신호(RFS)의 주파수 대역은 복수의 구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 신호(RFS)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주파수 대역의 구간들은 이동통신 표준에 근거하여 정해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신호(S1, S2)는 공유되는 주파수 대역의 제 1 및 제 2 구간에 각각 존재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1 및 제 2 신호(S1, S2)에 대응하는 제 3 및 제 4 신호도 같은 주파수 대역의 제 1 및 제 2 구간에 각각 존재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주파수 신호(RFS)가 스플리터(241)에 의해 두 개로 분배되는 경우, 분배된 두 개의 무선 주파수 신호(RFS´, RFS″)는 감쇄될 수 있다. 하지만, 주파수 특성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분배된 하나의 무선 주파수 신호(RFS´)는 제 1 트랜시버(251, 도 2 참조)로 전달되고, 분배된 다른 하나의 무선 주파수 신호(RFS″)는 제 2 트랜시버(252, 도 2 참조)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 1 트랜시버(251)는 전달된 무선 주파수 신호(RFS´)로부터 제 1 신호(S1)를 검출하여 복조하고, 제 2 신호(S2)는 무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트랜시버(252)는 전달된 무선 주파수 신호(RFS″)로부터 제 2 신호(S2)를 검출하여 복조하고, 제 1 신호(S1)는 무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2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 1 및 제 3 무선 주파수 신호가 제 1 안테나(ANT1)를 통해 수신되고,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 2 및 제 4 무선 주파수 신호가 제 2 안테나(ANT2)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서로 같고, 제 3 및 제 4 무선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서로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800MHz이고, 제 3 및 제 4 무선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1,900MHZ일 수 있다.
제 3 및 제 4 무선 주파수 신호는 제 1 및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3 무선 주파수 신호는 제 5 및 제 6 신호를 포함하고, 제 4 무선 주파수 신호는 제 5 및 제 6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제 7 및 제 8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는 다중입력 다중출력 또는 다이버시티에 근거하여 상호 연관될 수 있다.
제 5 및 제 7 신호는 PCS 1x 방식에 따른 신호로서 음성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고, 제 6 및 제 8 신호는 PCS EVDO 방식에 따른 신호로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무선 통신 모듈(302)은 제 3 및 제 4 듀플렉서(313, 314), 제 3 및 제 4 저잡음 증폭기(323, 324), 제 3 및 제 4 전력 증폭부(333, 334), 제 3 및 제 4 스플리터(343, 344), 제 1 및 제 2 다이플렉서(diplexer, 361, 362)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3 듀플렉서(313)는 제 1 안테나(ANT1), 제 3 저잡음 증폭기(323) 및 제 1 전력 증폭부(333)에 연결되고, 제 3 무선 주파수 신호의 송신 주파수와 수신 주파수를 상호 분리한다. 제 4 듀플렉서(314)는 제 2 안테나(ANT2), 제 4 저잡음 증폭기(324) 및 제 4 전력 증폭부(334)에 연결되고, 제 4 무선 주파수 신호의 송신 주파수와 수신 주파수를 상호 분리한다.
제 3 저잡음 증폭기(323)는 제 3 듀플렉서(313) 및 제 3 스플리터(343) 사이에 연결되고, 제 3 듀플렉서(313)로부터 전달되는 제 3 무선 주파수 신호를 증폭한다. 제 4 저잡음 증폭기(324)는 제 4 듀플렉서(314) 및 제 4 스플리터(344) 사이에 연결되고, 제 4 듀플렉서(314)로부터 전달되는 제 4 무선 주파수 신호를 증폭한다.
제 3 전력 증폭부(333)는 제 3 듀플렉서(313)와 제 1 트랜시버(351) 사이에 연결되고, 제 1 트랜시버(351)로부터 전달되는 제 3 무선 주파수 신호의 전력을 증폭한다. 제 4 전력 증폭부(334)는 제 4 듀플렉서(314)와 제 2 트랜시버(352) 사이에 연결되고, 제 2 트랜시버(352)로부터 전달되는 제 4 무선 주파수 신호의 전력을 증폭한다.
제 3 스플리터(343)는 제 3 저잡음 증폭기(323), 제 1 트랜시버(351) 및 제 2 트랜시버(352)에 연결되고, 제 3 저잡음 증폭기(323)로부터 전달되는 제 3 무선 주파수 신호를 복수 개로 분배한다. 제 4 스플리터(344)는 제 4 저잡음 증폭기(324), 제 1 트랜시버(351) 및 제 2 트랜시버(352)에 연결되고, 제 4 저잡음 증폭기(324)로부터 전달되는 제 4 무선 주파수 신호를 복수 개로 분배한다.
제 1 트랜시버(351)는 제 3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단자와 제 3 및 제 4 무선 주파수 신호를 각각 수신하기 위한 두 개의 수신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트랜시버(352)는 제 4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단자와 제 3 및 제 4 무선 주파수 신호를 각각 수신하기 위한 두 개의 수신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트랜시버(351)는 제 3 스플리터(343)에 의해 분배된 하나의 제 3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제 5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 4 스플리터(344)에 의해 분배된 하나의 제 4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제 7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제 2 트랜시버(352)는 제 3 스플리터(343)에 의해 분배된 다른 하나의 제 3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제 6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 4 스플리터(344)에 의해 분배된 다른 하나의 제 4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제 8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제 1 트랜시버(351)는 검출된 제 5 및 제 7 신호의 수신을 제어하고, 제 2 트랜시버(352)는 검출된 제 6 및 제 8 신호의 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트랜시버(351)는 검출된 제 5 및 제 7 신호를 복조하고, 제 2 트랜시버(352)는 검출된 제 6 및 제 8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제 1 다이플렉서(361)는 제 1 안테나(ANT1), 제 1 듀플렉서(311) 및 제 3 듀플렉서(313)에 연결되고,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제 3 무선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상호 분리할 수 있다. 제 2 다이플렉서(362)는 제 2 안테나(ANT2), 제 2 듀플렉서(312) 및 제 4 듀플렉서(314)에 연결되고,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제 4 무선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상호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이플렉서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주파수 신호들이 안테나를 공유하도록 신호 경로가 확장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2 트랜시버(452)는 GPS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트랜시버(452)는 GPS 신호의 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GPS 신호의 수신 경로가 제 2 안테나(ANT2)와 제 2 트랜시버(452)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신호의 수신 경로는 제 1 안테나(ANT1)와 제 1 트랜시버(451) 또는 제 2 트랜시버(452)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400)는 다이플렉서(462) 및 수신 필터부(4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이플렉서(462)는 제 2 안테나(ANT2), 제 2 듀플렉서(412) 및 수신 필터부(472)에 연결되고,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GPS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상호 분리할 수 있다.
수신 필터부(472)는 다이플렉서(462)와 제 2 트랜시버(452) 사이에 연결되고, GPS 신호의 수신 주파수를 통과시킨다. 이를 위해,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수신 필터부(472)는 저잡음 증폭기 및 적어도 하나의 수신 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잡음 증폭기는 다이플렉서(462)로부터 전달되는 GPS 신호를 증폭한다. 수신 필터는 GPS 신호의 수신 주파수를 통과시킨다. 수신 필터는 표면 탄성파 필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7에서와 같이 제 2 안테나(ANT2)와 제 2 트랜시버(552) 사이에 형성되는 GPS 신호의 수신 경로가 도시되고 있다. 그리고, 수신 필터부(572)도 도 7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 2 다이플렉서(562)와 제 2 트랜시버(552) 사이에 연결되고, GPS 신호의 수신 주파수를 통과시킨다.
이와 같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변형 예에 따르면, GPS 신호의 수신 경로를 추가하더라도 안테나의 증설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6)

  1.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에 연결되고 무선 주파수(RF)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복수 개로 분배하는 스플리터;
    상기 스플리터에 의해 분배된 하나의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제 1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제 1 신호의 수신을 제어하는 제 1 트랜시버; 및
    상기 스플리터에 의해 분배된 다른 하나의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상기 제 1 신호와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는 제 2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제 2 신호의 수신을 제어하는 제 2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스플리터에 전달하는 저잡음 증폭기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가 상기 저잡음 증폭기에 의해 증폭되는 양은 상기 스플리터에 의해 감쇄되는 양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는 상기 공유되는 주파수 대역 내의 서로 다른 구간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음성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 2 신호는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제 1 안테나에 연결되고,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의 송신 주파수와 수신 주파수를 상호 분리하는 듀플렉서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7.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에 연결되고 제 1 및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를 각각 수신하는 제 1 및 제 2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는 제 1 및 제 2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는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제 3 및 제 4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를 복수 개로 분배하는 제 1 스플리터;
    상기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를 복수 개로 분배하는 제 2 스플리터;
    상기 제 1 스플리터에 의해 분배된 하나의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상기 제 1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 2 스플리터에 의해 분배된 하나의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제 3 신호를 검출하며, 검출된 상기 제 1 및 제 3 신호의 수신을 제어하는 제 1 트랜시버; 및
    상기 제 1 스플리터에 의해 분배된 다른 하나의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상기 제 2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 2 스플리터에 의해 분배된 다른 하나의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제 4 신호를 검출하며, 검출된 상기 제 2 및 제 4 신호의 수신을 제어하는 제 2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는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또는 다이버시티에 근거하여 상호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신호는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되는 주파수 대역은 제 1 및 제 2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3 신호는 상기 제 1 구간에 존재하고, 상기 제 2 및 제 4 신호는 상기 제 2 구간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3 신호는 음성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 2 및 제 4 신호는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제 1 스플리터에 전달하는 제 1 저잡음 증폭기; 및
    상기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제 2 스플리터에 전달하는 제 2 저잡음 증폭기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와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 3 무선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제 3 무선 주파수 신호를 복수 개로 분배하는 제 3 스플리터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랜시버는 상기 제 3 트랜시버에 의해 분배된 하나의 제 3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제 5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제 5 신호의 수신을 제어하며,
    상기 제 2 트랜시버는 상기 제 3 트랜시버에 의해 분배된 다른 하나의 제 3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상기 제 5 신호와 상기 다른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는 제 6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제 6 신호의 수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제 1 안테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의 송신 주파수와 수신 주파수를 상호 분리하는 제 1 듀플렉서;
    상기 제 2 안테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의 송신 주파수와 수신 주파수를 상호 분리하는 제 2 듀플렉서; 및
    상기 제 1 안테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 3 무선 주파수 신호의 송신 주파수와 수신 주파수를 상호 분리하는 제 3 듀플렉서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제 1 안테나, 상기 제 1 듀플렉서, 및 상기 제 3 듀플렉서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무선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 3 무선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상호 분리하는 다이플렉서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10092214A 2011-09-09 2011-09-09 이동 단말기 KR101824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214A KR101824006B1 (ko) 2011-09-09 2011-09-09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214A KR101824006B1 (ko) 2011-09-09 2011-09-09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572A true KR20130028572A (ko) 2013-03-19
KR101824006B1 KR101824006B1 (ko) 2018-01-31

Family

ID=48179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214A KR101824006B1 (ko) 2011-09-09 2011-09-09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00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316B1 (ko) * 2012-07-27 2014-06-27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멀티 송수신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무선망 접속 장치
KR20150065482A (ko) * 2013-12-05 2015-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WO2016052787A1 (ko) * 2014-10-02 2016-04-0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
KR20170040512A (ko) * 2015-10-05 201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9103532A1 (ko) * 2017-11-24 2019-05-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안테나 제어 방법
CN112532268A (zh) * 2019-09-19 2021-03-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通信电路及通信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48295B2 (en) * 2018-03-19 2020-11-2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performing system damage avodiance in multi-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31680B2 (en) * 2009-03-03 2016-01-05 Rfaxis, Inc. Multi-channel radio frequency front end circuit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316B1 (ko) * 2012-07-27 2014-06-27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멀티 송수신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무선망 접속 장치
KR20150065482A (ko) * 2013-12-05 2015-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WO2016052787A1 (ko) * 2014-10-02 2016-04-0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
US9917626B2 (en) 2014-10-02 2018-03-13 Kmw Inc. Base station de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irculator arrangement to increase isolation between co-located antennas
KR20170040512A (ko) * 2015-10-05 201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7061756A3 (ko) * 2015-10-05 2017-06-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133571B2 (en) 2015-10-05 2021-09-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9103532A1 (ko) * 2017-11-24 2019-05-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안테나 제어 방법
EP3696984A4 (en) * 2017-11-24 2020-1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NTENNA CONTROL METHOD
US11223375B2 (en) 2017-11-24 2022-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antenna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CN112532268A (zh) * 2019-09-19 2021-03-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通信电路及通信设备
CN112532268B (zh) * 2019-09-19 2023-10-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通信电路及通信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4006B1 (ko)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046B1 (ko) 이동 단말기
KR101824006B1 (ko) 이동 단말기
KR102513290B1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919885B1 (ko) 이동 단말기
JP2017513423A (ja) アンテナモジュール及び移動端末
CN105721002B (zh) 一种终端滤波方法、系统、装置和可滤波终端
CN105760057A (zh) 截屏装置和方法
KR20170136292A (ko) 이동 단말기
KR20140095370A (ko) 복수개의 색상을 이용한 qr 코드 생성 및 판독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CN104731499A (zh) 启动后台应用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4850344A (zh) 触控输入方法和装置
KR101658088B1 (ko) 이동통신 단말기
CN107026671B (zh) 隔离度控制电路、方法和移动终端
KR20190110006A (ko) 다중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손상 방지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CN105070294A (zh) 一种音频处理方法及音频处理终端
CN105763745A (zh) 一种数据保护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101984096B1 (ko) 이동 단말기
KR10186461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29215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N219068195U (zh) 射频电路和智能终端
KR10147445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파워 앰프 모듈 제어 방법
KR10197895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1769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30087869A (ko) 이동 단말기
KR101859103B1 (ko) 전자 기기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