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5531A - 단속 방지가 가능한 비행물체와의 음성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속 방지가 가능한 비행물체와의 음성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5531A
KR20130025531A KR1020110088893A KR20110088893A KR20130025531A KR 20130025531 A KR20130025531 A KR 20130025531A KR 1020110088893 A KR1020110088893 A KR 1020110088893A KR 20110088893 A KR20110088893 A KR 20110088893A KR 20130025531 A KR20130025531 A KR 20130025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signal
ptt
microwav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8971B1 (ko
Inventor
원상구
임재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맥스에어로스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맥스에어로스페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맥스에어로스페이스
Priority to KR1020110088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971B1/ko
Publication of KR20130025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8Trunked mobile radi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을 통해 관제소와 원격지의 라디오 사용에 있어 통제관이 편리하게 조작할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통제관과 비행물체의 조종사 사이의 끊김 없는 음성 통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속 방지가 가능한 비행물체와의 음성 통신 시스템은, 비행물체와의 음성 통신에 이용할 주파수를 설정하기 위한 주파수 설정 신호를 생성하는 원격 제어 유닛; 외부 조작에 의해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고, 인터컴으로부터 PTT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원격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주파수 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라디오 선택 모듈; 상기 라디오 선택 모듈로부터 상기 주파수 설정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위칭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PTT 신호 및 상기 주파수 설정 신호를 스위칭하며, 상기 PTT 신호 및 상기 주파수 설정 신호에 기반하여 제1 라디오를 제어하는 라디오 스위칭 유닛; 및 상기 라디오 스위칭 유닛으로부터 상기 PTT 신호 및 상기 주파수 설정 신호를 수신하여 제2 라디오를 제어하는 PTT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단속 방지가 가능한 비행물체와의 음성 통신 시스템 {VOICE COMMUNICATION SYSTEM ABLE TO PREVENT DISCONNETION TO AIRPLANE}
본 발명은 단속(斷續) 방지가 가능한 비행물체와의 음성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평시에는 관제소의 라디오를 통해 비행물체와 통신을 수행하고, 비행물체가 관제소의 통신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통신 시스템을 전환하여 원격지의 중계소를 통해 비행물체와 지속적으로 음성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항공기의 시험 비행을 위해서, 항공기의 비행 위치는 실시간으로 관제소에 업데이트 되어야 하고, 항공기의 조종사는 통제관의 통제 명령을 실시간 수신할 수 있도록 통신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특히 중요한 것은 비행물체의 조종사와 실시간 음성 통신 체계를 유지하는 것인데, 이는 통제관과 조종사간의 지휘통제, 상하 명령 전달 체계 확립을 위해 필수적인 것이다.
시험 비행의 경우 우리나라 영공(領空) 전반에 걸쳐 항공기를 운용하게 되므로, 비행물체를 탐지할 수 있는 시스템과 조종사와의 음성 통신을 위한 통신 시스템이 우리나라 영공 전반에 걸쳐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하나의 관제소에서 우리나라 영공 전 영역을 감시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이고, 관제소에서 멀어질수록 통신의 세기도 약해지므로, 곳곳에 통신을 중계할 수 있는 중계소를 설치 운용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관제소와 중계소 전반에 걸쳐 사용 가능하고, 통신의 끊김 없이 연속적으로 조종사를 통제하에 둘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의 필요성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관제소와 원격지의 라디오 사용에 있어 통제관이 편리하게 조작할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통제관과 비행물체의 조종사 사이의 끊김 없는 음성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속 방지가 가능한 비행물체와의 음성 통신 시스템은, 비행물체와의 음성 통신에 이용할 주파수를 설정하기 위한 주파수 설정 신호를 생성하는 원격 제어 유닛; 외부 조작에 의해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고, 인터컴으로부터 PTT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원격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주파수 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라디오 선택 모듈; 상기 라디오 선택 모듈로부터 상기 주파수 설정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위칭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PTT 신호 및 상기 주파수 설정 신호를 스위칭하며, 상기 PTT 신호 및 상기 주파수 설정 신호에 기반하여 제1 라디오를 제어하는 라디오 스위칭 유닛; 및 상기 라디오 스위칭 유닛으로부터 상기 PTT 신호 및 상기 주파수 설정 신호를 수신하여 제2 라디오를 제어하는 PTT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관제소의 통제관은 비행기위 위치에 따라 효율적 통신 경로를 설정하여 끊김이 발생하지 않는 음성 통신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통제관은 비행물체의 조종사를 상시 지휘통제하에 놓여지도록 하여 효율적인 시험 비행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속 방지가 가능한 관제소와 비행물체와의 음성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
도 2a는 라디오 선택 모듈의 정면도, 도 2b는 라디오 선택 모듈의 후면도,
도 3a는 라디오 스위칭 유닛의 정면도, 도 3b는 라디오 스위칭 유닛의 후면도,
도 4는 통신 가능 범위에 따른 라디오 스위칭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a는 PTT 제어 유닛의 정면도, 도 5b는 PTT 제어 유닛의 후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속 방지가 가능한 비행물체와의 음성 통신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속 방지가 가능한 관제소와 비행물체(10)간의 음성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행물체(10)와 연속적인 음성 통신 수행 시스템은 외부 조작에 의해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고, 인터컴으로부터 PTT 신호를 수신하며, 비행물체와의 음성 통신에 이용할 주파수를 설정하기 위한 주파수 설정 신호를 원격 제어 유닛으로부터 전송받고 라디오 스위칭 유닛으로 전달하는 라디오 선택 모듈(RSM : Radio Selecting Module, 100), 스위칭 신호에 기반하여 PTT 신호 및 주파수 설정 신호를 스위칭하며, PTT 신호 및 주파수 설정 신호에 기반하여 제1 라디오를 제어하는 라디오 스위칭 유닛(RSU : Radio Switching Unit, 200), 및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으로부터 PTT 신호 및 주파수 설정 신호를 수신하여 제2 라디오를 제어하는 PTT 제어 유닛(PCU : PTT Control Unit, 300)을 포함한다.
라디오 선택 모듈(100)은 인터컴(110)의 PTT 신호 받고, 주파수를 설정하는 원격 제어 유닛(120)의 신호를 받아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으로 보내주는 통로 역할을 수행하고,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은 제1 초단파 라디오(210) 및 제1 극초단파 라디오(220)(이하 "제1 라디오"라 함)와, PTT 제어 유닛(300)은 제2 초단파 라디오(310) 및 제2 극초단파 라디오(320)(이하 "제2 라디오"라 함)와 연결되어 통제관의 라디오 제어 및 조종사와 관제소 및 원격지에서 음성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역할을 수행한다.
라디오 선택 모듈(100) 및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은 중앙지, 바람직하게는 비행물체(10)를 트랙킹(tracking)하여 비행물체(10)에 통제 명령을 내리는 관제소의 통제관실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제소에서는 트래킹 안테나(Tracking Antenna, 20)를 이용하여 비행물체(10)의 위치를 확인하고, 비행 시험 자료를 수신하며, 통제관은 비행물체(10)와 교신하여 비행물체(10)를 통제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라디오 선택 모듈(100)은 통제관이 라디오의 송신제어, 주파수를 설정하기 위해 관제소의 통제실에 위치하고,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은 외부의 비행물체(1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라디오가 위치해 있는 관제소의 통신 장비실에 위치한다.
라디오 선택 모듈(100)이 관제소내 통제관실에 설치됨으로써, 비행물체(10)로 통제 명령을 하달하는 통제관은 통제관실에서 장비실에 설치된 제1 라디오 및 원격지에 존재하는 제2 라디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비행물체(10)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제관은 통제관실 내부에서 원격으로 통신에 사용하고자 하는 라디오를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지휘계통상의 편의와 신속하게 명령을 하달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게 된다.
도 2a는 라디오 선택 모듈(100)의 정면도, 도 2b는 라디오 선택 모듈(100)의 후면도로서, 도 2b를 참조하면, 라디오 선택 모듈(100)은 인터컴(110),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 및 원격 제어 유닛(RCU : Remote Control Unit, 120)과 연결될 수 있다.
라디오 선택 모듈(100)은 인터컴(110)과 연결되어 인터컴(110)으로부터 푸시 투 토크(PTT : Push to Talk)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컴(110)은 관제소내 통제관과 내부 엔지니어 사이의 내부 통신(Intercommunication)을 수행하기 위한 장비이다. 통제관은 평시 인터컴(110)을 통해 관제소 내부 인력과 통신을 수행한다. 인터컴(110)은 PTT 스위치(도면 미도시)와 연결되고, 통제관은 비행기로 음성 신호를 전달하고자 할 때, PTT 스위치를 눌러 전송 채널을 활성화 할 수 있다. 즉, PTT 스위치를 누르면 내부 통신 채널이 차단되고 통제관의 음성 데이터가 비행물체(10)의 조종사에게 전송될 수 있다. 라디오 선택 모듈(100)은 인터컴(110)으로부터 PTT 스위치가 눌림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인 PTT 신호를 수신하고, PTT 신호를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으로 바이패스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a의 전면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라디오 선택 모듈(100)에 주파수 대역을 선택할 수 있는 키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라디오 선택 모듈(100)은 외부 입력에 기반하여 키입력신호를 생성하고, 키입력신호를 라디오 스위칭 모듈(200)로 전송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라디오 선택 모듈(100) 전면에는 주파수 대역별로 Tx 키와 Rx 키가 구비되어 있고, Tx 키와 Rx 키는 초단파(VHF : Very High Frequency)와 극초단파(UHF : Ultra High Frequency)로 구분되는데, 이는 비행물체(10)와의 음성 통신을 수행할 때, 초단파와 극초단파를 사용하는 제1 라디오 및 제2 라디오에 있어서, 초단파 대역 또는 극초단파 대역 중 어떤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지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초단파의 Tx 키를 활성화 하면 통제관의 음성 데이터는 초단파 대역을 이용하여(구체적으로는 제1 초단파 라디오 또는 제2 초단파 라디오) 비행물체(10)로 전송되는 것이고, 극초단파의 Rx 키를 활성화하면 극초단파 대역에서 수신된(구체적으로는 제1 극초단파 라디오 또는 제2 극초단파 라디오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인터컴(110)에 보낼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라디오 선택 모듈(100)의 전면에는 Remote 와 Local을 설정할 수 있는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비행물체(10)의 위치에 따라 비행물체(10)와의 통신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비행물체(10)의 위치에 따라, 제1 라디오 또는 제2 라디오) 중 어떤 라디오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지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비행물체(10)가 제1 라디오의 통신범위내에 존재하는 경우, 스위치를 Local 로 설정하여 제1 라디오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도록 설정되나, 비행물체(10)가 제1 라디오의 통신범위를 벗어나 원격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스위치를 Remote로 설정하여 제2 라디오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즉, 라디오 선택 모듈(100)의 전면 스위치를 이용함으로써, 통제관은 손쉽게 어떤 라디오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라디오 선택 모듈(100)의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생성된 스위칭 신호는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으로 전송되고,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은 스위칭 신호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PTT 제어 유닛(300)으로 전송할 것인지 결정하게 된다.
라디오 선택 모듈(100)은 원격 제어 유닛(120)과 연결될 수 있다. 원격 제어 유닛(120)은 제1 라디오 및 제2 라디오의 통신 주파수를 설정하기 위한 장비이다. 제1 라디오 및 제2 라디오는 초단파 대역과 극초단파 대역을 통해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데, 이때, 각 대역에 있어서 통신에 사용할 구체적인 주파수 수치를 설정해 주어야 한다. 원격 제어 유닛(120)은 초단파 및 극초단파 대역에 있어 통신에 사용할 구체적인 주파수 수치를 입력하기 위한 장비이고, 원격 제어 유닛(120)은 외부 통제관의 입력을 수신하여 주파수 설정 신호를 생성하여, 라디오 선택 모듈(100)로 전송하게 된다. 라디오 선택 모듈(100)에서 수신된 주파수 설정 신호는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으로 전송되고, 라디오 선택 모듈(100)의 전면에 구비된 스위치의 위치에 따라, PTT 제어 유닛(300)으로의 전송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즉, 라디오 선택 모듈(100) 전면 스위치가 Local로 선택된 경우,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은 제1 라디오를 주파수 설정 신호에 맞게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라디오 선택 모듈(100)의 전면 스위치가 Remote로 선택된 경우,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은 주파수 설정 신호를 PTT 제어 유닛(300)으로 스위칭 하여 PTT 제어 유닛(300)이 제2 라디오를 주파수 설정 신호에 맞게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라디오 선택 모듈(100)과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간에는 RS 232, RS 422, RS 485 등의 시리얼 통신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a는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의 정면도, 도 3b는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의 후면도로서, 도 3b를 참조하면,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은 라디오 선택 모듈(100), 인터컴(110), 비행 데이터 수신기(230), 제1 초단파 라디오/제1 극초단파 라디오와 연결된다.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은 라디오 선택 모듈(100)과 연결되어, 라디오 선택 모듈(100)로부터 PTT 신호와 함께 키입력 신호, 스위칭 신호 및 주파수 설정 신호 등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은 인터컴(110)과 연결되어, 통제관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컴(110)으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는 라디오 선택 모듈(100)로부터 수신한 PTT 신호에 따라, PTT 신호가 인가된 상태하에서 제1 라디오 또는 제2 라디오를 통해 비행물체(10)로 전송된다.
제1 라디오는 비행물체(10)와 아날로그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송수신기로써, 인터컴(110)으로 입력된 통제관의 음성 데이터를 변조하고, 비행물체(10)로부터 수신된 조종사의 음성 데이터를 복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은 라디오 선택 모듈(100)로부터 수신한 키입력신호에 기반하여 제1 초단파 라디오 또는 제1 극초단파 라디오 중 어떤 라디오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것인지 결정하고, 나아가, 라디오 선택 모듈(100)로부터 수신한 주파수 설정 신호에 기반하여 제1 라디오의 통신 주파수를 설정하고, 제1 라디오가 선택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비행물체(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은 라디오 선택 모듈(100)로부터 수신한 스위칭 신호에 기반하여, 라디오 선택 모듈(100)로부터 수신한 PTT 신호, 키입력 신호, 주파수 설정 신호 등의 데이터를 PTT 제어 유닛(300)으로 스위칭 할 것인지 결정하게 된다. 즉, 도 2a 도시된 라디오 선택 모듈(100)의 스위치가 Local 로 설정된 경우에는 제1 라디오를 통해 음성 통신을 수행하게 되므로, 라디오 선택 모듈(100)로부터 수신한 PTT 신호, 키입력 신호, 주파수 설정 신호는 제1 라디오를 제어하는데 사용하게 된다. 반면에, 라디오 선택 모듈(100)의 스위치가 Remote 로 설정된 경우에는 제2 라디오를 통해 음성 통신을 수행하게 되므로, 라디소 스위칭 유닛(200)은 음성 데이터와 함께 라디오 선택 모듈(100)로부터 수신한 PTT 신호, 키입력 신호, 주파수 설정 신호 등의 데이터를 PTT 제어 유닛(300)으로 전송하게 된다. 즉,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은 라디오 선택 모듈(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PTT 제어 유닛(300)으로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일종의 릴레이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은 A/D 블럭(도면 미도시)과 연결되어,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과 PTT 제어 유닛(300) 사이에는 디지털 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실시간 음성 통신이 가능하도록,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과 PTT 제어 유닛(300)간에는 44.736Mbps를 지원하는 고속의 T3 회선을 이용한 DS3(Digital Signal Level 3)급 통신회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 통제관의 음성 데이터와 PTT 신호, 키입력 신호 및 주파수 설정 신호 등의 데이터가 서로 구별되도록 서로 다른 채널을 통해 전송하거나, 서로 다른 네트워크 카드를 통해 변복조되어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행물체(10)가 제1 라디오 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경우(a 위치) 통제관은 라디오 선택 모듈(100)의 전면에서 스위치를 Local로 선택하여 관제소내에 있는 제1 라디오를 통해 비행물체(10)와 음성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나, 비행물체(10)가 관제소내 제1 초단파 라디오의 통신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b 위치) 통제관과 조종사간의 음성 통신은 중계소의 제2 라디오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통제관은 라디오 선택 모듈(100)의 전면에서 스위치를 Remote로 선택함으로써, 라디오 선택 모듈(100)로부터 발생한 PTT 신호, 키입력 신호, 주파수 설정 신호 등의 데이터가 PTT 제어 유닛(300)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은 CVSD IN 포트를 통해 예비적으로 비행 데이터 수신기(230)와 연결될 수 있다. 비행물체(10)는 비행중 유압, 연료량 등의 상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트래킹 안테나(20)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전송된다. 이때, 조종사의 음성 데이터 역시 디지털 변조되어 트래킹 안테나(20)로 전송될 수 있다. 비행물체(10)에서 생성된 데이터는 S 밴드를 이용해 트래킹 안테나(20)와 통신하며, PCM 변조를 통한 디지털 통신 방식으로 통신한다.
비행 데이터 수신기(230)는 내부 프로세서를 이용해 비행물체(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조종사의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게 된다. 추출한 조종사의 음성 데이터는 PCM 에서 CVSD 데이터로 변환하여 외부 출력 장치를 통해 조종사의 음성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비행 데이터 수신기(230)은 제1 초단파 라디오/제1 극초단파 라디오를 통해 음성 데이터의 아날로그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예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도 3b의 CVSD OUT 포트에는 인터컴(110), 스피커 등 음성 출력이 가능한 장치를 연결하여 조종사의 음성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비행 데이터 수신기(230)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제1 라디오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과 비행 데이터 수신기(230)로부터 수신된 음성이 중복되어 하울링이 발생할 수 있다. 하울링은 조종사의 음성 데이터가 중복되어 수신됨으로써, 조종사의 음성이 중복 출력되는 문제점을 의미한다.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의 내부에는 하울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울링 제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울링 제어 회로는 비행 데이터 수신기(23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지연(Delay) 출력함으로써, 라디오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과 비행 데이터 수신기(230)로부터 수신된 음성이 동기화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의 전면에서는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며, 라디오 선택 모듈(100)의 Local 또는 Remote의 설정값, 음성 데이터의 송신(PTT) 또는 수신(Rx), 초단파(VHF) 또는 극초단파(UHF)의 사용 여부 등의 상태 정보를 표시 장치를 이용해 표시하게 된다.
도 5a는 PTT 제어 유닛(300)의 정면도, 도 5b는 PTT 제어 유닛(300)의 후면도로서, 도 5b를 참조하면 PTT 제어 유닛(300)은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 및 제2 라디오와 연결된다. PTT 제어 유닛(300)은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으로부터 PTT 신호, 주파수 설정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통제관의 음성 데이터를 제2 라디오를 통해 비행물체(10)로 전송한다. 또한 비행물체(10)로부터 수신한 조종사의 음성 데이터를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으로 전송하여 통제관과 조종사 사이에 음성 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PTT 제어 유닛(300)의 전면에서 PTT 제어 유닛(300)의 동작 상태를 표시 장치를 이용해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속 방지가 가능한 비행물체(10)와의 음성 통신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과 PTT 제어 유닛(300)은 각각 제1 초단파 라디오(210)/제1 극초단파 라디오(220) 및 제2 초단파 라디오(310)/제2 극초단파 라디오(320)를 통해 비행물체(10)와 통신을 수행하고, 라디오 선택 모듈(100)은 통제관이 원격에 위치한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 또는 PTT 제어 유닛(300)을 통해 음성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이 적합되게 사용될 수 있는 분야는 항공기의 시험 운행 및 군사훈련 분야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설명 전반에 걸쳐 통제실, 통제관 등 해당 분야에 적합한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반드시 항공기의 시험 운행 및 군사 항공 훈련 분야에 제한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명시된 분야를 넘어, 항공물체와 끊김없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분야에 걸쳐 적용될 수 있음을 인지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초단파 라디오와 극초단파 라디오를 별개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초단파 라디오와 극초단파 라디오가 반드시 구분되어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초단파와 극초단파 대역을 모두 지원할 수 있는 라디오의 사용 역시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초단파 라디오와 극초단파 라디오를 라디오 스위칭 유닛(200)과 연결되는 제1 초단파 라디오(210) 및 제1 극초단파 라디오(220), PTT 제어 유닛(300)과 연결되는 제2 초단파 라디오(310) 및 제2 극초단파 라디오(320)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제1 초단파 라디오 및 제2 초단파 라디오, 제1 극초단파 라디오 및 제2 극초단파 라디오는 기능적으로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동일한 장비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 비행물체
20 : 트래킹 안테나
100 : 라디오 선택 모듈(RSM)
110 : 인터컴
120 : 원격 제어 유닛(RCU)
200 : 라디오 스위칭 유닛(RSU)
210 : 제1 초단파 라디오
220 : 제1 극초단파 라디오
230 : 비행 데이터 수신기
300 : PTT 제어 유닛(PCU)
310 : 제2 초단파 라디오
320 : 제2 극초단파 라디오

Claims (9)

  1. 비행물체와의 음성 통신에 이용할 주파수를 설정하기 위한 주파수 설정 신호를 생성하는 원격 제어 유닛;
    외부 조작에 의해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고, 인터컴으로부터 PTT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원격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주파수 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라디오 선택 모듈;
    상기 라디오 선택 모듈로부터 상기 주파수 설정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위칭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PTT 신호 및 상기 주파수 설정 신호를 스위칭하며, 상기 PTT 신호 및 상기 주파수 설정 신호에 기반하여 제1 라디오를 제어하는 라디오 스위칭 유닛; 및
    상기 라디오 스위칭 유닛으로부터 상기 PTT 신호 및 상기 주파수 설정 신호를 수신하여 제2 라디오를 제어하는 PTT 제어 유닛
    을 포함하는 단속 방지가 가능한 비행물체와의 음성 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디오 및 상기 제2 라디오는,
    초단파 라디오 또는 극초단파 라디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 방지가 가능한 비행물체와의 음성 통신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유닛은 상기 초단파 라디오의 주파수를 설정하기 위한 초단파용 원격 제어 유닛; 및 상기 극초단파 라디오의 주파수를 설정하기 위한 극초단파용 원격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단속 방지가 가능한 비행물체와의 음성 통신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선택 모듈은 스위치 조작에 기반하여 Local 및 Remote 를 가리키는 상기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 방지가 가능한 비행물체와의 음성 통신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스위칭 유닛은, 상기 스위칭 신호가 Local을 가리키는 경우, 상기 PTT 신호 및 상기 주파수 설정 신호에 기반하여 제 1 라디오를 제어하고,
    상기 스위칭 신호가 Remote 로 설정된 경우, 상기 PTT 신호 및 상기 주파수 설정 신호를 상기 PTT 제어 유닛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 방지가 가능한 비행물체와의 음성 통신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선택 모듈은 트래킹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비행물체의 데이터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는 비행 데이터 수신기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 방지가 가능한 비행물체와의 음성 통신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데이터 수신기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CVSD 로 변조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 방지가 가능한 비행물체와의 음성 통신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스위칭 유닛은 상기 비행 데이터 수신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성과 상기 제1 라디오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사이의 하울링을 방지하기 위한 하울링 제거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 방지가 가능한 비행물체와의 통신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울링 제거 회로는 지연(Delay)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지연회로는 상기 비행 데이터 수신기가 추출한 음성 데이터를, 상기 라디오 스위칭 유닛이 수신한 음성 신호와 동기화 되도록, 지연 출력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 방지가 가능한 비행물체와의 음성 통신 시스템.
KR1020110088893A 2011-09-02 2011-09-02 단속 방지가 가능한 비행물체와의 음성 통신 시스템 KR101888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893A KR101888971B1 (ko) 2011-09-02 2011-09-02 단속 방지가 가능한 비행물체와의 음성 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893A KR101888971B1 (ko) 2011-09-02 2011-09-02 단속 방지가 가능한 비행물체와의 음성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531A true KR20130025531A (ko) 2013-03-12
KR101888971B1 KR101888971B1 (ko) 2018-08-16

Family

ID=48177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893A KR101888971B1 (ko) 2011-09-02 2011-09-02 단속 방지가 가능한 비행물체와의 음성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9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11234A (zh) * 2015-03-27 2015-07-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无线信号转发、接收方法及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751A (ko) * 1999-06-08 2001-01-05 윤종용 핸즈프리 셋과 연결된 무선 단말기에서 하울링을 제거하기 위한장치
KR100408159B1 (ko) * 1994-02-04 2004-03-30 스탠포드 텔레코뮤니케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항공교통감시및통신시스템
JP4506610B2 (ja) * 2005-08-16 2010-07-21 日本電気株式会社 運行体管制通信システムおよび運行体管制通信における周波数変換指示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159B1 (ko) * 1994-02-04 2004-03-30 스탠포드 텔레코뮤니케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항공교통감시및통신시스템
KR20010001751A (ko) * 1999-06-08 2001-01-05 윤종용 핸즈프리 셋과 연결된 무선 단말기에서 하울링을 제거하기 위한장치
JP4506610B2 (ja) * 2005-08-16 2010-07-21 日本電気株式会社 運行体管制通信システムおよび運行体管制通信における周波数変換指示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11234A (zh) * 2015-03-27 2015-07-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无线信号转发、接收方法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8971B1 (ko)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3298A (en) System for providing encryption and decryption of voice and data transmissions to and from an aircraft
CN101548482B (zh) 用于检测通信信道的装置和方法
EP3879712B1 (en) Reduced aircraft vhf communication antennas using multi-channel vhf radios
CN101057419B (zh) 飞行器用射频通信系统
US5903227A (en) Remote channel swap for aviation communications
EP2532100B1 (en) Antenna diversity apparatus
CN107612577B (zh) 一种信道选择系统、方法及电子设备
CN104301823A (zh) 一种无线耳机及一种机舱内外通话系统
CN108012039B (zh) 一种便携式集成语音通信设备
US107286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signaling over an optical distributed antenna system
CN202535359U (zh) 带自适应功能的td-lte室分mimo变频系统
CN108307372B (zh) 一种多路综合处理的短波应急通信系统及方法
KR101888971B1 (ko) 단속 방지가 가능한 비행물체와의 음성 통신 시스템
CN202535360U (zh) 一种新型td-lte室分mimo变频系统
CN202565269U (zh) 一种td-lte室分mimo变频系统
CN203632672U (zh) 机载卫星通信系统
CN203996910U (zh) 一种双收单发的双电台系统构型
US9407356B2 (en) Digital audio system of an aircraft
KR101770860B1 (ko) 항공기용 통신 시스템
CN105882975B (zh) 一种分时发射同时接收全方位覆盖的电台构型
US9197468B2 (en) Communication methods between a tanker aircraft and a receiver aircraft in an in-flight refueling operation
KR101943040B1 (ko) 타워 크레인 현장 안전관리용 다자간 무선 통신 시스템
JP5387003B2 (ja) 地上無線装置
KR101033240B1 (ko) 음성 통신 중계 시스템 및, 음성 통신 중계 시스템이 구비된 비행체
CN205754322U (zh) 一种甚高频发信机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