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4520A - 멀티 전원아답터 - Google Patents

멀티 전원아답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4520A
KR20130024520A KR1020110088010A KR20110088010A KR20130024520A KR 20130024520 A KR20130024520 A KR 20130024520A KR 1020110088010 A KR1020110088010 A KR 1020110088010A KR 20110088010 A KR20110088010 A KR 20110088010A KR 20130024520 A KR20130024520 A KR 20130024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verter
unit
inrush curren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8362B1 (ko
Inventor
이해영
Original Assignee
(주)에스파워
이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파워, 이해영 filed Critical (주)에스파워
Priority to KR1020110088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362B1/ko
Publication of KR20130024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 H02H7/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4Arrangements for preventing response to transient abnormal conditions, e.g. to lightning or to short duration over voltage or oscillations; Damping the influence of dc component by short circuits in ac networks
    • H02H1/043Arrangements for preventing response to transient abnormal conditions, e.g. to lightning or to short duration over voltage or oscillations; Damping the influence of dc component by short circuits in ac networks to inrush curr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02H3/207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also responsive to under-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H02H5/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abnormal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14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02M7/15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155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control circuit
    • H02M7/155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control circuit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전원아답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류전원을 설정된 레벨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1차컨버터; 회로의 돌입전류를 제어하여 회로손상을 방지하는 돌입전류 제어부; 상기 1차컨버터의 직류전원을 설정된 레벨의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력변환부; 상기 전력변환부의 교류전원을 설정된 레벨의 직류전원으로 재변환하여 출력하는 2차컨버터; 상기 회로의 과전압이나 써지전압 또는 과전류에 의해 회로를 오프시키는 차단부; 상기 회로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 필터부; 상기 2차컨버터의 직류전원 전압값을 측정하는 전압센서; 상기 전압센서의 전압값을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2차컨버터의 직류전원을 설정된 레벨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스텝다운 컨버터; 상기 전송부에서 전송되는 전압값에 따라 상기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2차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일정하게 출력시키는 컨트롤부; 및 상기 구성요소들이 내장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전원아답터를 하나로 간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전원아답터 {multipurpose adapter}
본 발명은 멀티 전원아답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여러 종류의 전원아답터를 하나로 간소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 멀티 전원아답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사무실 등과 같이 다양한 전자기기가 구비된 장소에는 다양한 전자기기에 따라 각각의 아답터가 마련된다. 따라서, 다양한 전자기기는 각각의 아답터를 통해 제공되는 정격전압에 의해 작동된다.
예를 들면, 케이블텔레비젼에 가입한 가입자의 댁내에는 여러가지 종류의 전원아답터가 적어도 2~3개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상태이고, 이들 전원아답터의 종류나 형태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므로, 가입자의 댁내에 구비된 콘센트에는 모뎀, AP, 인터넷전화 등등의 여러 개의 아답터가 사용중이고, 대부분 댁내에 구비된 콘센트 구멍보다 설치된 전원아답터가 더 많기 때문에 콘센트구멍이 부족하여 확장콘센트를 구입하여 사용중이다. 케이블 텔레비젼 사업자나 기간망사업자로서도 여러 종류의 아답터를 미리 구입해둔 재고량 확보가 사업운영에 필수적이라고 할 정도로 여러 종류의 아답터가 필요하다.
따라서, 하나의 인터넷회선을 설치하게 되면 케이블모뎀용 아답터, AP(인터넷공유기)용 아답터, 유선 VOIP 전화용(혹은 WIFI용 전화) 아답터 등, 여러 종류의 아답터가 설치되기 때문에 이들 아답터들을 하나로 통합시켜서 간소화할 필요성이 있다. 이렇게, 여러 종류의 아답터를 하나로 통합된 아답터로 제조하게 되면 생산성이 개선되기 때문에 이를 토대로 저가격 아답터의 품질을 고품질의 통합아답터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청에 실용신안 출원되어 공개된 2전자기기 동시구동 아답터(공개 제20-2010-11747호)에는, "직류전원 아답터에 있어서, 같은 용량인 2개의 독립된 전자기기에 충분히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상용교류 입력에 연결하는 아답터몸체와, 이 아답터몸체의 출력에는 이것에 연결되어 전원이 독립된 전자기기에 전원을 각기 연결할 수 있도록 한 1잭 및 2잭으로 이뤄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전자기기 동시구동 아답터"가 개시되었다.
이러한 아답터의 구성은 가정용 교류전원을 직류로 정류하는 정류회로와 전기기기에 적합한 접속 인터페이스로 이루어지며, 1잭 및 2잭을 통해 각각의 독립된 전자기기에 각각의 구동 전류를 공급한다. 따라서, 이러한 아답터는 독립된 복수의 전자기기에 제각각의 구동 전류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전자기기별로 별도의 아답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출원되어 공개된 가정용 아답터 통합 장치(공개 제10-2011-62549호)에는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고, 출력되는 직류전원의 전압을 각 전자제품의 전압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아답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아답터는 교류전원에서 변환된 직류전원을 각 전자제품의 전압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직류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아답터는 각 전자기기별로 별도의 아답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출원되어 공개된 멀티 어뎁터형 콘센트 구조(공개 제10-2003-88393호)에는 "콘센트 케이스내에 일정용량의 소형 다단 변압기(multi Transformer)와; 입력측의 교류를 직류로 변환을위한 다이오드, 콘덴서, 저항기로 구성된 정류회로 기판과; 변환된 직류를 간편하게 상용하기위한 각 전원의 소형 출력잭을 내장하여 입력측 코드에서 입력된 220v의 전원을 분배함과 동시에 트렌스 용량내의 여러 단계(0~15v)의 직류 전원을 분배할 수 있도록 여러 어뎁터의 기능을 콘센트에 내장하여 다양한 전원(AC 220v, DC 0~DC 15v)을 공급하는 구조를 특징으로하는 멀티 어뎁터형 콘센트 조립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아답터는 콘센트의 접속구를 통해 AC 220v를 제공하고, 출력잭을 통해 직류전원을 제각기 제공하므로 각 전자기기별로 별도의 아답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아답터들은 복수의 전자기기에 충전전류를 공급할 경우 종종 발생되는 돌입전류를 제어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돌입전류에 의해 부품손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출력되는 직류전원의 전압부하를 감지하지 못하므로 온오프 또는 전원소비에 따른 부하가 발생하여도 모든 구성요소들이 동일한 상태로 계속해서 작동하여 저전력 전송이나 부품손상 등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전력변환시 발생되는 노이즈를 차단하고, 다양한 레벨의 직류전원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으며, 설정된 레벨로 다운된 직류전원을 부하상태와 관계없이 일정하게 출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전류나 과전압 또는 저전압 및 과온도가 발생할 경우 보호기능이 작동되는 멀티 전원아답터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특히, 돌입전류를 제어하는 구성요소가 구비되어 돌입전류의 발생시 이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력되는 직류전원의 전압의 크기를 감지하는 구성요소가 구비되어 감지된 전압값에 따라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멀티 전원아답터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력되는 외부의 교류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리플이 제거된 설정된 레벨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1차컨버터; 상기 1차컨버터의 변환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돌입전류를 제어하여 돌입전류에 의한 회로의 손상을 방지하는 돌입전류 제어부; 상기 1차컨버터에서 변환된 직류전원을 설정된 레벨의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력변환부; 상기 전력변환부에서 변환된 교류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리플이 제거된 설정된 레벨의 직류전원으로 재변환하여 출력하는 2차컨버터; 상기 회로에 발생되는 과전압 또는 써지전압을 완충하여 차단하거나 회로에 발생되는 과전류에 의해 작동되면서 회로를 오프시켜서 회로를 보호하는 차단부; 상기 1차컨버터와 전력변환부 및 2차컨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 필터부; 상기 2차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의 전압값을 측정하는 전압센서; 상기 전압센서에서 측정된 전압값을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2차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설정된 레벨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텝다운 컨버터; 및 상기 전송부에서 전송되는 전압값에 따라 상기 스텝다운 컨버터, 1차컨버터, 돌입전류 제어부, 전력변환부, 2차컨버터, 차단부, 노이즈 필터부, 전압센서 및 전송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2차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일정하게 출력시키면서 과전압, 과전류, 저전압, 과온도가 발생되면 보호기능을 작동하는 컨트롤부; 및 상기 컨트롤부, 1차컨버터, 돌입전류 제어부, 전력변환부, 2차컨버터, 차단부, 노이즈 필터부, 전압센서, 전송부 및 스텝다운 컨버터가 내장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전원아답터는, 1차컨버터와 전력변환부 및 2차컨버터, 그리고 SMPS 컨버터 기능이 내장된 스텝다운 컨버터에 의해 높은 전압의 교류전원을 입력받아서 낮은 레벨의 다양한 직류전원을 출력할 수 있고, 노이즈 필터부를 통해 전력변환시 발생되는 노이즈를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써지전압 차단부를 통해 써지전압으로부터 회로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과전류나 과전압 또는 저전압 및 과온도가 발생할 경우 컨트롤부 및 스텝다운 컨버터에 의해 보호기능이 작동되므로 회로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돌입전류 제어부가 전력변환시 발생되는 돌입전류를 제어하므로 돌입전류에 의한 회로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컨트롤부가 전압센서에서 측정되는 전압값에 따라 구성요소의 작동을 제어하므로 온오프시 또는 전력소비에 따른 부하상태에서도 계속해서 일정하게 직류전원을 출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아답터 1개로 여러개의 아답터를 대체할 수 있어서 사용상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고, 케이블텔레비젼 사업자나 기간망사업자측으로서도 서로 종류가 다른 아답터 재고를 쌓아두고 영업해야 하는 불편 및 재고부담을 해소할 수가 있으며, 이를 통해서 제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아답터를 하나의 아답터로 통합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낮아지면서 종래보다 품질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 전원아답터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 전원아답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 전원아답터의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 전원아답터의 외관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멀티 전원아답터에 LED 램프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멀티 전원아답터가 적층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멀티 전원아답터에 액자장치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멀티 전원아답터에 손전등이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멀티 전원아답터의 측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충전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멀티 전원아답터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멀티 전원아답터의 결합상태 사시도; 및
도 13은 도 12의 A-A'선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 전원아답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동축케이블(coaxial cable; 1)은 댁내로 인입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텔레비젼(a), 노트북PC(b), 데스크탑PC(c), 디지털셋톱박스(d)와 연결된다. 이들 기기들은 동작을 위해 여러 종류의 전압과 접속단자를 가진 아답터가 필요하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 전원아답터(3)는 케이블모뎀(4), AP인터넷공유기(5), WIFI 폰(6), 유선 VOIP 폰(7)에 연결되어 각 기기가 요구하는 전원을 각 기기가 요구하는 접속방식으로 제공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 전원아답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컨버터(13), 돌입전류 제어부(14), 전력변환부(15), 2차컨버터(16), 차단부(11), 노이즈 필터부(12), 전압센서(17), 전송부(18), 스텝다운 컨버터(BUCK CONVERTER: 19) 및 컨트롤부(20)를 포함한다.
1차컨버터(13)는 입력되는 외부의 교류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리플이 제거된 설정된 레벨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한다. 이러한 1차컨버터(13)는 약 60Hz의 주파수를 갖는 220V의 교류전원이 입력되면 약 220V 내지 330V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한다. 1차컨버터(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정류하여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브릿지다이오드(BD1) 및 변환된 직류전원을 평활하여 리플을 감소시키는 전해콘덴서(CE1)가 구비됨에 따라 220V의 교류전원을 리플이 감소되어 안정화된 약 310V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한다.
돌입전류 제어부(14)는 1차컨버터(13)의 변환작동시 발생되는 돌입전류를 제어하여 돌입전류에 의한 회로손상을 방지한다. 이러한 돌입전류 제어부(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써미스터(TH1)가 구비되어 1차컨버터(13)의 전해콘덴서(CE1)가 충전되면서 발생되는 돌입전류를 써미스터(TH1)가 제어함에 따라 돌입전류에 의한 회로손상을 방지한다. 특히, 돌입전류 제어부(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상용 교류전원이 입력되는 입력부에 위치한 차단부(11)나 노이즈 필터부(12) 및 1차컨버터(13)의 손상을 방지한다.
전력변환부(15)는 1차컨버터(13)에서 변환된 직류전원을 설정된 레벨의 교류전원으로 변환한다. 이러한 전력변환부(15)는 1차컨버터(13)에서 출력되는 약 220V 내지330V의 직류전원을 약 65KHz의 주파수를 갖는 약 3V 내지 24V의 교류전원으로 변환한다. 전력변환부(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포머(T1) 및 FET(Q1)가 구비되어 1차컨버터(13)에서 변환된 약 310V의 직류전원을 전술한 바와 같은 레벨(약 3V 내지 24V)의 교류전원으로 변환시킨다.
2차컨버터(16)는 전력변환부(15)에서 변환된 교류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리플이 제거된 설정된 레벨의 직류전원으로 재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2차컨버터(16)는 전술한 바와 같은 약 65KHz의 주파수를 갖는 약 3V 내지 24V의 교류전원을 약 10V 내지 24V의 직류전원으로 재변환한다. 2차컨버터(1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변환부에서 변환된 약 3V 내지 24V의 교류전원을 정류하여 약 10V 내지 24V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다이오드(D4, D5)와, 이렇게 변환된 직류전원을 평활하는 콘덴서(CE4, CE5, CE6) 및, 평활된 직류전원에서 리플을 제거하는 초크코일(L3)이 구비됨에 따라 리플이 제거되어 안정화된 직류전원을 제공한다.
차단부(11)는 회로에 발생되는 과전압 또는 낙뢰 등에 의한 써지(surge)전압을 완충하여 차단하거나 회로에 발생되는 과전류에 의해 작동되면서 회로를 오프시켜서 회로를 보호한다. 즉, 차단부(11)는 회로에 문제가 생겨서 과전압이 발생하거나 낙뢰 등에 의한 써지전압이 발생할 경우 과전압이나 써지전압을 흡수하여 회로를 보호하거나, 회로에 문제가 생겨 과전류가 발생할 경우 회로를 오프(OFF)시켜서 회로의 전로(電路)를 차단한다. 이러한 차단부(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전류에 의해 작동되는 퓨즈(fuse; F1) 및 과전압이나 써지전압에 의해 작동하는 바리스터(Varistor: Z1)가 구비되어 과전류에 의해 회로를 오프하거나 과전압을 완충하여 차단한다.
여기서, 전술한 퓨즈(F1)는 과전류가 흐를 경우 회로가 보호되도록 회로를 오프시켜서 발연 및 발화를 억제한다. 그리고, 바리스터(Z1)는 과전압 및 써지전압이 유입될 경우 이를 차단하여 회로의 손상을 방지한다.
노이즈 필터부(12)는 1차컨버터(13)와 전력변환부(15) 및 2차컨버터(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를 제거한다. 즉, 노이즈 필터부(12)는 전력변환시 발생되는 노이즈가 후술되는 전원출력케이블(23)이나 USB포트(21, 22)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노이즈 필터부(12)는 전원출력케이블(23)이나 USB포트(21, 22)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외부기기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기기를 보호한다 이러한 노이즈 필터부(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케페시터(C1, C2) 및 적어도 2개 이상의 라인필터(LF1, LF2)가 구비되어 로우밴드패스필터로 작동하면서 노이즈를 차단한다.
전압센서(17)는 2차컨버터(16)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의 전압값을 측정한다. 이러한 전압센서(1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IC칩으로 구성된 션트레귤레이터(SHUNT REGULATOR: IC3)가 구비되어 션트레귤레이터(IC3)의 1번 리드선(1번핀)으로 입력되는 전압값을 감지하여 2차컨버터(16)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의 전압값을 측정한다.
전송부(18)는 전압센서(17)에서 측정된 전압값을 후술되는 컨트롤부(20)로 전송한다. 즉, 전송부(18)는 약 10V 내지 24V의 직류전원이 출력되는 출력측(2차컨버터의 출력부)의 동작상태에 대한 정보를 컨트롤부(20)로 전송한다. 이러한 전송부(1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센서(17)에서 감지된 전압값을 신호로 변환하는 포토커플러(PC1-1, PC1-2)가 구비되어 전압센서(17)에서 감지된 전압값을 후술되는 컨트롤부(20)로 전송한다.
스텝다운 컨버터(19)는 2차컨버터(16)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설정된 레벨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스텝다운 컨버터(19)는 2차컨버터(16)에서 출력되는 약 10V 내지 24V의 직류전원을 약 3V 내지 8V의 직류전원으로 다운시키는 SMPS CONVERTER의 일종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FET 및 컨트롤IC가 내장된 IC칩(IC2)이 구비되어 직류간 전압변환을 수행하면서 전압변환에 의해 과전압, 과전류, 과온도가 발생되면 보호기능을 수행한다.
컨트롤부(20)는 전송부(18)에서 전송되는 전압값에 따라 스텝다운 컨버터(19), 1차컨버터(13), 돌입전류 제어부(14), 전력변환부(15), 2차컨버터(16), 차단부(11), 노이즈 필터부(12), 전압센서(17) 및 전송부(18)의 작동을 제어하여 2차컨버터(16)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일정하게 출력시키면서 과전압, 과전류, 저전압, 과온도가 발생되면 보호기능을 작동한다. 이러한 컨트롤부(20)는 전송부(18)에서 전송되는 전압센서(17)에서 측정된 전압값에 의해 2차컨버터(16)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의 전압값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며, 감지된 전압값을 통해 2차컨버터(16)의 부하를 확인한다. 그리고, 컨트롤부(20)는 확인되는 부하에 따라 회로의 모든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컨트롤부(20)는 온오프시 또는 전력소비에 따른 부하상태에서도 2차컨버터(16)를 통해 계속해서 일정하게 직류전원을 출력시킬 수 있다. 즉, 컨트롤부(20)는 2차컨버터(16)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에 부하가 발생하여도 발생된 부하에 적합하게 회로를 구동시키므로 2차컨버터(16)를 통해 일정한 직류전원을 계속해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컨트롤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WM(Pulse width modulation)제어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IC칩(IC1)으로 구성되어 전송부(18)에서 전송되는 전압값에 따라 스텝다운 컨버터(19), 1차컨버터(13), 돌입전류 제어부(14), 전력변환부(15), 2차컨버터(16), 차단부(11), 노이즈 필터부(12), 전압센서(17) 및 전송부(18)의 작동을 제어하여 2차컨버터(16)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일정하게 출력시키면서 과전압, 과전류, 저전압, 과온도가 발생되면 보호기능이 구동되도록 작동한다. 따라서, 컨트롤부(20)는 직류전원을 부하상태와 관계없이 일정하게 출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그 밖의 콘덴서들은 리플제거용으로 구비되고, 그밖의 저항들은 전압분배용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LED1은 회로의 작동을 표시해주는 램프이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 전원아답터(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정용전원이 들어가는 전원입력케이블(1), DC 5V가 출력되는 USB포트(21, 22), DC 12V가 출력되는 전원출력케이블(23)이 마련되고, 전술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내장되는 블럭형태의 케이스(CS)가 마련된다. 이러한 케이스(CS)는 예시된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며, 이보다 더 많은 단자와 더 많은 종류의 전원이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술한 전원출력케이블(23)은 전술한 2차컨버터(16)에서 변환된 직류전원을 출력하고, 전술한 USB포트(21, 22)는 전술한 스텝다운 컨버터(19)에서 변환된 직류전원을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 전원아답터의 작동을 첨부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원아답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CS)에 마련된 전원입력케이블(1)을 통해 약 60Hz의 주파수를 갖는 220V의 교류전원이 공급된다. 이때, 전원입력케이블(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11)로 교류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차단부(11)는 공급된 교류전원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 필터부(12)를 통해 1차컨버터(13)로 인가한다. 따라서, 1차컨버터(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다이오드(BD1) 및 전해콘덴서(CE1)를 통해 교류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약 220V 내지 330V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한다.
이어서, 전력변환부(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포머(T1) 및 FET(Q1)를 통해 약 220V 내지 330V의 직류전원을 약 65KHz의 주파수를 갖는 약 3V 내지 24V의 교류전원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2차컨버터(1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오드(D4, D5) 및 콘덴서(CE4, CE5, CE6) 및 초크코일(L3)을 통해 전력변환부(15)에서 변환된 교류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면서 리플을 제거하여 약 10V 내지 24V의 직류전원으로 재변환한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CS)에 마련된 전원출력케이블(23)을 통해 출력한다. 따라서, 2차컨버터(16)는 약 10V 내지 24V로 작동하는 외부기기에 구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계속해서, 스텝다운 컨버터(19)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FET 및 컨트롤IC가 내장된 IC칩(IC2)를 통해 2차컨버터(16)에서 변환된 일부의 직류전원을 약 3V 내지 8V의 직류전원으로 다운시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CS)에 마련된 USB포트(21, 22)를 통해 출력한다. 따라서, 스텝다운 컨버터(19)는 약 3V 내지 8V로 작동하는 외부기기에 구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돌입전류 제어부(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써미스터(TH1)을 통해 1차컨버터(13)의 전해콘덴서(CE1)가 충전되면서 발생되는 돌입전류를 제어한다. 따라서, 돌입전류 제어부(14)는 돌입전류의 제어에 의해 회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차단부(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에서 과전류가 발생할 경우 퓨즈(F1)을 오픈(Open)시켜서 회로를 오프시키거나, 회로에서 과전압 또는 써지전압이 발생할 경우 바리스터(Z1)를 통해 과전압 또는 써지전압을 완충하여 회로를 보호한다.
또, 노이즈 필터부(12)는 케페시터(C1, C2) 및 라인필터(LF1, LF2)에 의해 로우밴드필터로 작동하면서 회로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제거한다. 따라서, 노이즈 필터부(12)는 노이즈가 외부기기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외부기기가 노이즈에 의해 오작동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전압센서(1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컨버터(16)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의 전압값을 측정하여 전송부(18)를 통해 컨트롤부(20)로 전송한다. 이때, 전송부(1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커플러(PC1-1, PC1-2)를 통해 전압값을 신호로 변환하여 컨트롤부(20)에 전송한다. 따라서, 컨트롤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IC칩(IC1)을 통해 전술한 스텝다운 컨버터(19), 1차컨버터(13), 돌입전류 제어부(14), 전력변환부(15), 2차컨버터(16), 차단부(11), 노이즈 필터부(12), 전압센서(17) 및 전송부(18)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로 인하여, 컨트롤부(20)는 2차컨버터(16)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의 부하와 관계없이 2차컨버터(16)를 통해 직류전원을 일정하게 출력시킨다. 이러한 컨트롤부(20)는 과전압, 과전류, 저전압, 과온도가 발생되면 보호기능을 작동하여 회로를 보호한다. 즉, 컨트롤부(20)는 2차컨버터(16)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에 부하가 발생하여도 발생된 부하에 적합하게 회로를 구동시키므로 2차컨버터(16)를 통해 일정한 직류전원을 계속해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부(31)가 마련될 수 있다. 스위칭부(31)는 예컨대, 통상의 릴레이로 구성되어 전원출력케이블(23)에 미도시된 외부기기가 접속되거나 접속이 해제되는 것을 감지한다. 스위칭부(31)는 외부기기가 접속될 경우 스위칭되면서 2차컨버터(16)의 직류전원을 전원출력케이블(23)에 인가한다. 그리고, 스위칭부(31)는 외부기기의 접속이 해제될 경우 오프(OFF)되면서 2차컨버터(16)의 직류전원이 전원출력케이블(23)로 인가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 전원아답터는 외부기기가 전원출력케이블(23)에 접속이 안될 경우 전원출력케이블(23)로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자동으로 차단하므로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스위칭부(31)는 외부기기의 접속이나 해제에 의해 발생되는 전원출력케이블(23)의 전원공급부측 전류값 변화를 통해 외부기기의 접속이나 해제를 감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칭부(31)는 외부기기의 접속에 따라 저항값이 변경되는 통상의 저항이 마련되어 저항의 저항값 변화를 통해 전원공급부측의 전류값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스위칭부(32)가 마련될 수도 있다. 추가스위칭부(32)는 예컨대, 통상의 릴레이로 구성되어 USB포트(21, 22)에 외부기기가 접속될 경우의 전류값 변화를 통해 USB포트(21, 22)에 외부기기가 접속되거나 접속이 해제되는 것을 감지한다. 물론, 추가스위칭부(32)는 전술한 저항이 마련되어 저항을 통해 전류값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스위칭부(32)는 외부기기가 접속될 경우 스위칭되면서 스텝다운 컨버터(19)의 직류전원을 USB포트(21, 22)에 인가한다. 그리고, 추가스위칭부(32)는 외부기기의 접속이 해제될 경우 오프(OFF)되면서 스텝다운 컨버터(19)의 직류전원이 USB포트(21, 22)로 인가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 전원아답터는 외부기기가 USB포트(21, 22)에 접속이 안될 경우 USB포트(21, 22)로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자동으로 차단하므로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추가스위칭부(32)는 외부기기의 접속상태를 접속신호로 변환하여 컨트롤부(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부(20)는 접속되었음을 확인하는 접속신호가 추가스위칭부(32)에서 인가될 경우 스텝다운 컨버터(19)를 작동시키고, 접속이 해제되었음을 확인하는 접속신호가 추가스위칭부(32)에서 인가될 경우 스텝다운 컨버터(19)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부(20)는 외부기기의 접속시에만 스텝다운 컨버터(19)를 자동으로 작동시키므로 스텝다운 컨버터(19)의 불필요한 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 전원아답터(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컨버터(16)나 스텝다운 컨버터(19)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으며, 전술한 USB포트(21, 22a)나 전원출력케이블(23)과 별개로 직류전원을 출력하여 출력을 확장시키는 출력확장부(2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확장부(22a)는 전술한 회로가 패턴되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CS)에 내장되는 회로기판(CP)에 회로로 구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2차컨버터(16)나 스텝다운 컨버터(19)에 점프회로로 연결되어 2차컨버터(16)나 스텝다운 컨버터(19)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출력확장부(22a)는 도 11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CP)에 설치되는 USB포트용 커넥터(22b)에 스텝다운 컨버터(19)의 직류전원을 공급하고, 회로기판(CP)에 미도시된 추가 전원출력케이블이 설치될 경우 추가 전원출력케이블에 2차컨버터(16)의 직류전원을 공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출력확장부(22a)를 통해 전술한 전원출력케이블(23) 및 USB포트(21, 22)와 별개로 직류전원을 추가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필요시 직류전원의 출력부를 확장시킬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 전술한 USB포트(21, 22a)나 전원출력케이블(23)은 수량이 실질적으로 증가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모듈(41)이 마련될 수 있다. 시계모듈(41)은 미도시된 액정디스플레이 및 시간을 카운팅하는 소자가 마련된 회로기판(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회로기판은 전술한 2차컨버터(16)나 스텝다운 컨버터(19)의 직류전원에 의해 작동하면서 시간을 카운팅한다. 그리고, 액정디스플레이는 회로기판에서 카운팅되는 시간을 현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시계모듈(41)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전원공급부(80)가 마련될 수 있다. 충전전원공급부(80)는 2차컨버터나 스텝다운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충전하여 충전전원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지(81)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충전지(8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2차컨버터(16)나 스텝다운 컨버터(19)로부터 직류전원을 인가받아서 충전한다. 이러한 충전지(81)는 정전과 같은 비상상황에 의해 외부전원이 미공급될 경우 충전된 직류전원을 전술한 전원출력케이블(23)이나 USB포트(21, 22)에 공급한다. 따라서, 전원출력케이블(23)이나 USB포트(21, 22)는 정전시에도 일정시간 동안 외부기기로 직류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충전지(81)는 전술한 컨트롤부(20)에도 비상시 전원을 공급하여 컨트롤부(20)에 의해 충전되거나 방전(전원공급)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구동회로(82)에 의해 충전되거나 방전될 수 있다. 충전구동회로(82)는 통상의 핸드폰과 같이 충전지(81)에 내장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충전지(81)와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충전구동회로(82)는 통상의 핸드폰에 적용되는 충전지의 구동회로와 대동소이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전원공급부(80)에 의해 정전시에도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비상시에도 외부기기를 안정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특히, 방송신호를 중계하거나 송출하는 업체는 발전소나 변전소 또는 변압기 등의 문제로 외부전원이 일시적으로 차단되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사용할 경우 계속해서 방송신호를 중계하거나 송출할 수 있다. 물론,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사용하면, 일시적인 단전상황에도 지속적으로 외부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모듈(51)이 마련될 수 있다. 조명모듈(51)은 전술한 케이스(CS)에 노출되는 미도시된 LED 램프가 마련되어, 이러한 LED 램프를 점등시켜서 조명광을 제공한다. 이때, 조명모듈(51)은 전술한 2차컨버터(16)나 스텝다운 컨버터(19)의 직류전원에 의해 작동하면서 LED 램프를 점등한다. 물론, 조명모듈(51)은 미도시된 스위치가 마련되어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LED 램프를 점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술한 LED 램프가 다양한 색상의 조명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경우 무드등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LED 램프는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플러그가 마련된 통상의 LED 램프(51a)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명모듈(51)은 LED 램프(51a)의 단자플러그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케이스(CS)에 단자소켓(51b)을 제공하여야 한다. 따라서, LED 램프(51a)는 단자소켓(51b)에 단자플러그가 삽입되어 단자소켓(51b)을 통해 공급되는 조명모듈(51)의 전원에 의해 점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LED 램프(51a)의 고장시 사용자가 LED 램프(51a)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조명모듈(51)은 앞서 설명된 충전지(81)에 의해 전술한 LED 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전시와 같은 비상시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CS)가 또 다른 케이스(CS)에 착탈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CS)는 착탈수단에 의해 다른 케이스(CS)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착탈수단은 다양한 구조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CS)의 일측에 걸림돌기(3b)를 마련하고, 케이스(CS)의 타측에 돌기홈(3a)을 마련하여 걸림돌기(3b) 및 돌기홈(3a)의 결합에 의해 케이스(CS)가 다른 케이스(CS)에 일부분이 구속되면서 일체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멀티 전원아답터(3)가 복수로 구성될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3b) 및 돌기홈(3a)의 결합에 의해 멀티 전원아답터(3)가 적층되거나 중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멀티 전원아답터(3)가 적층되거나 중첩되므로 멀티 전원아답터(3)들의 배치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멀티 전원아답터(3)들이 분산되어 미관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멀티 전원아답터(3)들이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멀티 전원아답터(3)들을 한꺼번에 용이하게 보관 및 관리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액자장치(60)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액자장치(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전원아답터(3)의 케이스(CS)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되고, 투명창(61a)이 마련된 액자틀(61) 및 액자틀(61)에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조명기는 예컨대, 도 7에 확대 도시(일부 종단면도)된 바와 같이 멀티 전원아답터(3)에 매립되어 액자틀(61)의 후방으로 조명광을 제공하는 LED(62a), LED(62a)의 조명광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62b) 및 액자틀(61)의 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리플렉터(62b)에서 반사되는 조명광을 확산시키는 도광판(64)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LED(62a)는 전술한 2차컨버터(16)나 스텝다운 컨버터(19)의 직류전원에 의해 점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자틀(61)의 후방에 사진(P)이 설치될 경우,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64)이 사진(P)의 후방에서 LED(62a)의 조명광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진(P)은 야간에서 선명하게 현시된다.
여기서, 전술한 도광판(64)은 도 7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통상의 광필름(64)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광필름(64)은 도광판(64)에서 확산되는 조명광을 더욱 확산시킨다. 따라서, 액자장치(60)는 더욱 선명하게 사진(P)을 현시한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는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아답터와 달리 액자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전등(71)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손전등(71)의 일부분이 안착되는 안착홈(3g)이 멀티 전원아답터(3)의 일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상시 손전등(71)을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술한 손전등(71)은 비상용으로 사용되므로 소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건전지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하지만, 손전등(71)은 충전지에 의해 충전될 수도 있다. 이때, 충전지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전원아답터(3)에 내장되는 1차코일(72a), 손전등(71)에 내장되는 2차코일(72b)로 이루어진 충전부(72)에 의해 자기유도방식으로 충전될 수도 있다. 즉, 충전지는 무선충전될 수 있다. 이러한 충전부(72)의 1차코일(72a)은 전술한 2차컨버터(16)나 스텝다운 컨버터(19)의 직류전원을 전자기 유도방식으로 2차코일(72b)에 제공한다. 그리고, 2차코일(72b)은 공급되는 전류를 미도시된 브릿지 다이오드나 콘덴서로 구성된 정류부(미도시)에 공급하여 정류 및 평활된 전류를 미도시된 충전기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지는 무선으로 충전된다. 이러한 충전부(72)는 일명 파워매트로 불리는 통상의 무선매트와 동일한 원리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충전부(72)는 도 8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전원아답터(3)에 마련되는 안착단자(72c) 및 손전등(71)에 마련되어 안착단자(72c)에 안착되면서 접속되는 접속단자(72d)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충전부(72)는 전술한 2차컨버터(16)나 스텝다운 컨버터(19)의 직류전원을 접속단자(72d)에 제공하여 손전등(71)의 미도시된 충전지를 충전한다. 따라서, 손전등(71)은 무선으로 충전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손전등(71)을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으므로 충전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유사시에도 항상 손전등(71)을 점등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1차코일(72a)은 손전등(71)이 마련되지 않은 전술한 도 2 내지 도 7의 멀티 전원아답터(3)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멀티 전원아답터(3)는 자기유도방식으로 무선충전되도록 설계된 미도시된 외부기기(예: 휴대형 단말기)에 1차코일(72a)을 통해 전원을 공급한다. 따라서, 멀티 전원아답터(3)는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기유도방식 무선충전기로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CS)가 상부케이스(CS1) 및 하부케이스(CS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CS)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CS2)에 회로기판(CP)이 내장된 후 상부케이스(CS1)가 하부케이스(CS2)에 적층된다. 그리고, 케이스(CS)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CS1)나 하부케이스(CS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형성되어 초음파나 열융착에 의해 용융되는 용융돌기(MP)에 의해 상부케이스(CS1) 및 하부케이스(CS2)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체로 결합된다. 즉, 상부케이스(CS1) 및 하부케이스(CS2)는 영구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케이스(CS)는 상부케이스(CS1) 및 하부케이스(CS2)가 견고하게 일체로 고정된다. 특히, 케이스(CS)는 용융돌기(MP)의 용융에 의해 상부케이스(CS1) 및 하부케이스(CS2)의 파팅라인이 은폐될 수 있으므로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회로기판(CP)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판(HP)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열판(HP)은 열전도가 우수한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금속재로 구성되어 회로기판(CP)의 열기를 방열한다. 따라서, 회로기판(CP)은 실장된 전자소자들이 안정적으로 작동된다.
이렇게, 방열판(HP)이 구성될 경우, 상부케이스(CS1)나 하부케이스(CS2)는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에 지지돌기(SP)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돌기(SP)는 상부케이스(CS1) 및 하부케이스(CS2)의 결합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CS)에 내장되는 회로기판(CP)의 하부면 및 방열판(HP)의 상부를 지지하여 회로기판(CP)을 케이스(CS)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회로기판(CP)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 및 볼트를 체결하는 볼팅공정의 생략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회로기판(CP)을 케이스(CS)의 내부에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지지돌기(SP)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CP)이나 방열판(HP)을 케이스(CS)의 내측면에서 이격시켜서 방열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회로기판(CP)은 열기를 더욱 용이하게 발산할 수 있다.
한편, 상부케이스(CS1)나 하부케이스(CS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공(HL)이 형성될 수 있다. 방열공(HL)은 케이스(CS)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외기와 순환시켜서 케이스(CS)의 내부를 냉각시킨다.
1 ; 동축케이블 a ; 디지털TV
b ; 데스크탑PC c ; 노트북
d ; 디지털셋톱박스 3 ; 멀티 전원아답터
4 ; 케이블모뎀 5 ; AP인터넷공유기
6 ; WIFI 폰 7 ; 유선 VOIP 폰
11 ; 차단부 12 ; 노이즈 필터부
13 ; 1차컨버터 14 ; 돌입전류 제어부
15 ; 전력변환부 16 ; 2차컨버터
17 ; 전압센서 18 ; 전송부
19 ; 스텝다운 컨버터 21, 22 ; USB 포트
23 ; 전원출력케이블

Claims (6)

  1. 입력되는 외부의 교류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리플이 제거된 설정된 레벨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1차컨버터;
    상기 1차컨버터의 변환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돌입전류를 제어하여 돌입전류에 의한 회로의 손상을 방지하는 돌입전류 제어부;
    상기 1차컨버터에서 변환된 직류전원을 설정된 레벨의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력변환부;
    상기 전력변환부에서 변환된 교류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리플이 제거된 설정된 레벨의 직류전원으로 재변환하여 출력하는 2차컨버터;
    상기 회로에 발생되는 과전압 또는 써지전압을 완충하여 차단하거나 회로에 발생되는 과전류에 의해 작동되면서 회로를 오프시켜서 회로를 보호하는 차단부;
    상기 1차컨버터와 전력변환부 및 2차컨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 필터부;
    상기 2차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의 전압값을 측정하는 전압센서;
    상기 전압센서에서 측정된 전압값을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2차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설정된 레벨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텝다운 컨버터;
    상기 전송부에서 전송되는 전압값에 따라 상기 스텝다운 컨버터, 1차컨버터, 돌입전류 제어부, 전력변환부, 2차컨버터, 차단부, 노이즈 필터부, 전압센서 및 전송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2차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일정하게 출력시키면서 과전압, 과전류, 저전압, 과온도가 발생되면 보호기능을 작동하는 컨트롤부; 및
    상기 컨트롤부, 1차컨버터, 돌입전류 제어부, 전력변환부, 2차컨버터, 차단부, 노이즈 필터부, 전압센서, 전송부 및 스텝다운 컨버터가 내장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멀티 전원아답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컨버터는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정류하여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브릿지다이오드(BD1) 및 변환된 직류전원을 평활하여 리플을 감소시키는 전해콘덴서(CE1)가 구비되어 교류전원을 리플이 감소된 안정된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돌입전류 제어부는 상기 1차컨버터의 전해콘덴서(CE1)가 충전되면서 발생되는 상기 돌입전류를 제어하는 써미스터(TH1)가 구비되어 상기 돌입전류의 제어에 의해 회로의 손상을 방지하며,
    상기 전력변환부는 트랜스포머(T1) 및 FET(Q1)가 구비되어 상기 1차컨버터에서 변환된 직류전원을 설정된 레벨의 교류전원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2차컨버터는 상기 전력변환부에서 변환된 교류전원을 정류하여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다이오드(D4, D5)와 변환된 직류전원을 평활하는 콘덴서(CE4, CE5, CE6) 및 평활된 직류전원에서 리플을 제거하는 초크코일(L3)이 구비되어 리플이 제거된 직류전원을 제공하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과전류에 의해 작동되는 퓨즈(F1) 및 상기 과전압이나 써지전압에 의해 작동하는 바리스터(Z1)가 구비되어 과전류에 의해 회로를 오프하거나 과전압을 완충하여 차단하고,
    상기 노이즈 필터부는 복수의 케페시터(C1, C2) 및 적어도 2개 이상의 라인필터(LF1, LF2)가 구비되어 로우밴드패스필터로 작동하면서 상기 노이즈를 차단하며,
    상기 전압센서는 IC칩으로 구성된 션트레귤레이터(IC3)가 구비되어 션트레귤레이터(IC3)의 1번 리드선으로 입력되는 전압값을 감지하여 상기 2차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의 전압값을 측정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전압센서에서 감지된 전압값을 신호로 변환하는 포토커플러(PC1, PC2)가 구비되어 상기 감지된 전압값을 상기 컨트롤부로 전송하며,
    상기 스텝다운 컨버터는 FET 및 컨트롤IC가 내장된 IC칩(IC2)이 구비되어 직류간 전압변환을 수행하면서 전압변환에 의해 과전압, 과전류, 과온도가 발생되면 보호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컨트롤부는 PWM제어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IC칩(IC1)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송부에서 전송되는 전압값에 따라 상기 스텝다운 컨버터, 1차컨버터, 돌입전류 제어부, 전력변환부, 2차컨버터, 차단부, 노이즈 필터부, 전압센서 및 전송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2차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일정하게 출력시키면서 과전압, 과전류, 저전압, 과온도가 발생되면 보호기능이 구동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전원아답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컨버터는 변환된 직류전원을 전원출력케이블로 출력하고, 상기 스텝다운 컨버터는 변환된 직류전원을 적어도 하나의 USB포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전원아답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출력케이블 및 외부기기의 접속상태에 따라 스위칭되면서 상기 2차컨버터에서 상기 전원출력케이블로 인가되는 직류전원을 제어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 전원아답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컨버터나 스텝다운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충전하여 충전전원을 제공하는 충전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 전원아답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를 또 다른 케이스에 착탈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전원아답터.
KR1020110088010A 2011-08-31 2011-08-31 멀티 전원아답터 KR101248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010A KR101248362B1 (ko) 2011-08-31 2011-08-31 멀티 전원아답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010A KR101248362B1 (ko) 2011-08-31 2011-08-31 멀티 전원아답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520A true KR20130024520A (ko) 2013-03-08
KR101248362B1 KR101248362B1 (ko) 2013-04-15

Family

ID=48176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010A KR101248362B1 (ko) 2011-08-31 2011-08-31 멀티 전원아답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3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468B1 (ko) * 2013-12-09 2014-07-23 주식회사 디에스이 엘이디 조명용 안정화장치
KR101439807B1 (ko) * 2014-04-02 2014-09-12 장호 돌입전류 방지용 직류전원 공급장치
KR101530672B1 (ko) * 2014-06-18 2015-06-22 주식회사 디엔씨아이 조명 램프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조명 램프 시스템용 전원 분배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3088A (en) * 1991-06-14 1996-04-30 Williamson; Floyd Uninterruptable off-line, isolated flyback topology switch-mode power supply
US6246592B1 (en) * 1999-08-10 2001-06-1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Unique power supply architecture with cascaded converters for large input-to-output step-down ratio
JP4251128B2 (ja) * 2004-09-30 2009-04-08 ヤマハ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468B1 (ko) * 2013-12-09 2014-07-23 주식회사 디에스이 엘이디 조명용 안정화장치
KR101439807B1 (ko) * 2014-04-02 2014-09-12 장호 돌입전류 방지용 직류전원 공급장치
KR101530672B1 (ko) * 2014-06-18 2015-06-22 주식회사 디엔씨아이 조명 램프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조명 램프 시스템용 전원 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8362B1 (ko) 2013-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46045A1 (zh) 电能提供装置
US8758031B2 (en) Electrical wiring device with high current USB charging capabilities
JP4221437B2 (ja) 自動電力検知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60356469A1 (en) Supplemental, backup or emergency lighting systems and methods
KR102127710B1 (ko) 무선전력 led 램프용 안정기 및 무선전력 led 조명부가 구비된 무선 led 등기구 장치
EP2432297A2 (en) A current limiting circuit, an LED module and an LED illuminating device
CN103259325A (zh) 一种供电装置及供电方法
US9462643B2 (en) Alternating current (AC)-direct current (DC) power booster and AC-DC power control module for AC and DC illuminations
CN201471468U (zh) 可充电的多功能电剪及配套设施
KR101248362B1 (ko) 멀티 전원아답터
JP2012009350A (ja) Led点灯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CN201466747U (zh) 一种便携式多功能充电器
KR100721960B1 (ko) 상용교류전원 및 퍼스널 컴퓨터의 직류전원을 이용한단말기에 내장된 2차전지의 충전장치
CN202564732U (zh) 一种带通讯接口的led 夜灯照明多功能插板
KR101216570B1 (ko) Ups수단을 구비한 엘이디 형광등
JP2003299355A (ja) Acアダプタ及び充電器
CN201450637U (zh) 单线制遥控墙壁开关
KR200435310Y1 (ko) 비상 유도등
KR200441723Y1 (ko) 무정전 전원장치를 내장한 터널등
CN201466479U (zh) 三相联动开关箱
CN210861016U (zh) 智能调光面板开关
TWI608691B (zh) 供電裝置與其控制方法
CN216564516U (zh) 一种分离式单线控制的智能开关
CN214255804U (zh) 取电电路及其电子设备
CN107103977A (zh) 一种电源变压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