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4507A -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application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appl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4507A
KR20130024507A KR1020110087993A KR20110087993A KR20130024507A KR 20130024507 A KR20130024507 A KR 20130024507A KR 1020110087993 A KR1020110087993 A KR 1020110087993A KR 20110087993 A KR20110087993 A KR 20110087993A KR 20130024507 A KR20130024507 A KR 20130024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sharing
shared
menu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9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유진
이정욱
차재욱
정재훈
강신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087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4507A/en
Publication of KR20130024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50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URPOSE: An application sharing method and a device thereof are provided to easily select a communication unit through a pop-up menu, thereby sharing an application. CONSTITUTION: A user terminal connects a selection menu item with sharable applications(520). When a user selects one or more applications through the selection menu item, the user terminal displays a sharing pop-up menu window through a display unit(525,530).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displayed sharing items,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selected application to other user terminals(535,540). [Reference numerals] (510) Selecting a sharing menu item among control menus displayed on a system menu bar; (515) Classifying applications included in an application list according to an application sharing property type; (520) Connecting each selection menu item to each sharable application and displaying the application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sharing property type; (525) Selecting one or more applications to be shared by a user through the displayed selection menu items; (530) Displaying a sharing pop-up menu window including a preset sharing type; (535) Selecting one selected from the displayed sharing type by the user through the sharing pop-up menu window; (540) Transmitting the selected application to be shared for sharing with the other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selected sharing type; (AA) No; (BB) Yes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application}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application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을 다른 장치와 공유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sharing a specific application with another device.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제10-2005-0051200(2005.06.01)에는 P2P(Peer-to-Peer) 방식을 이용하여 피어(Peer)들끼리 각자가 탑재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라이센스(license)에 저촉됨이 없이 다른 피어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상호간의 유휴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51200 (2005.06.01) using the peer-to-peer (P2P) method without having to violate the license (application) that each of the peers (Peer) is mounted Techniques have been disclosed that can be used by different peers and make efficient use of mutually idle resources.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제10-2005-0051200(2005.06.01)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51200 (2005.06.01)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공유를 위한 메뉴 항목을 시스템 메뉴바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lication sharing method and apparatus that can provide a menu item for application sharing through a system menu bar.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통신 수단을 손쉽게 선택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도록 팝업 메뉴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lication sharing method and apparatus that can be provided through a pop-up menu to share the application by easily selecting the communication means available in the us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을 유형에 따라 구분한 후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별도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별도의 UI를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an application that can provide a separate UI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lect by dividing the applications that can be shared after dividing the applications by typ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sharing an application in a user terminal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메뉴와 함께 표출하는 단계-상기 컨트롤 메뉴는 공유 메뉴 항목을 포함함; 상기 공유 메뉴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연계하여 선택 메뉴 아이콘을 각각 표출하는 단계; 상기 선택 메뉴 아이콘을 통해 상기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공유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받은 공유할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할 공유 대상 단말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공유 대상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유할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of sharing an application in a user terminal, displaying an application list including at least one application together with a control menu for controlling the application, wherein the control menu is a sharing menu. Includes an item; If the sharing menu item is selected, displaying a selection menu icon in association with each of the applications that can be shared among the applications included in the application list; Receiving an application to be shared among the sharable applications through the selection menu icon; And receiving sharing target terminal information to share the selected application to share, and transmitting the shared application using the sharing target terminal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다른 장치와 공유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capable of sharing at least one application with another device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메뉴와 함께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컨트롤 메뉴는 공유 메뉴 항목을 포함함; 상기 공유 메뉴 항목의 선택 여부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연계하여 선택 메뉴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출시키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 상기 선택 메뉴 아이콘을 통해 상기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공유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받거나 공유할 공유 대상 단말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공유 대상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유할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list of applications including at least one application with a control menu for controlling the application, the control menu includes a shared menu item; An application manager to display a selection menu icon on the display unit in association with each of the applications that can be shared among applications included in the application list according to whether the shared menu item is selected;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election of an application to be shared among the sharable applications or to input sharing target terminal information through the selection menu icon; And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the application to be shared using the sharing target terminal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공유를 위한 메뉴 항목을 시스템 메뉴바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nu item for application sharing may be provided through a system menu bar.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통신 수단을 손쉽게 선택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도록 팝업 메뉴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through a pop-up menu to easily select the communication means available in the user terminal to share the application.

또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을 유형에 따라 구분한 후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별도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별도의 UI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separate UI so that a user can easily select the application by dividing the applications that can be shared after dividing the applications according to types.

도 1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다른 장치와 공유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를 위한 컨트롤 메뉴가 표출된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각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에 연계되어 선택 메뉴 아이콘이 표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공유 팝업 메뉴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사용자 단말이 다른 사용자 단말과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capable of sharing at least one application with another devic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in which a control menu for controlling an application is displayed.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in which a selection menu icon is displayed in association with each shareable application.
4 illustrates a sharing pop-up menu scree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a user terminal shares an application with another user terminal.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설명][Description of Fig. 1]

도 1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다른 장치와 공유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를 위한 컨트롤 메뉴가 표출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각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에 연계되어 선택 메뉴 아이콘이 표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공유 팝업 메뉴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capable of sharing at least one application with another device,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n which a control menu for controlling an application is displayed, and FIG. 3. FIG. 4 illustrates a screen in which a selection menu icon is displayed in association with each shareable application, and FIG. 4 illustrates a sharing popup menu screen.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부(110), 입력부(115),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20), 디스플레이부(125), 저장부(130) 및 제어부(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user terminal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15, an application manager 120, a display unit 125, a storage unit 130, and a controller 135.

통신부(110)는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들(예를 들어, 다른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is a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other devices (for example, other user terminal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제어부(135)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공유 요청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하고자 하는 다른 단말(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or 110 may transmit an application requested to be shar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to another terminal (not show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5.

입력부(1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임의의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220)는 복수의 키 버튼(예를 들어, 숫자/문자키, * 또는 # 기호키, 하나 이상의 기능키(예를 들어, 메뉴키, 통화키, 확인키, 어플리케이션 실행키 등)로 구현되거나 터치 스크린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input unit 115 is a means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user terminal 100 or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input unit 2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key buttons (for example, numeric / character keys, * or # symbol keys, one or more function keys (for example, a menu key, a call key, a confirmation key, an application execution key). Etc.) or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예를 들어, 입력부(115)는 사용자로부터 공유할 어플리케이션 선택을 위해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에 연계되어 각각 시각적으로 표출된 선택 메뉴 아이콘에 대한 선택 명령, 공유하고자 하는 다른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이하에서는 공유 대상 단말 정보라 칭하기로 함), 공유 유형 선택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input unit 115 may be connected to a shareable application to select an application to be shared from a user, a command for selecting a visually selected menu icon, and terminal information for another terminal to be shared (hereinafter, to be shared). Terminal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of a sharing type selection command may be received.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20)는 사용자 단말(100)상에 설치되거나 다운로드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어 관리하기 위한 수단이다.The application manager 120 is a means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at least one application installed or downloaded on the user terminal 100.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20)는 도 2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와 각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메뉴바가 표출된 상태에서, 공유 메뉴 항목 선택시,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과 공유 불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디스플레이부(125)를 통해 표출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application manager 120 shares a shared application with a sharable application when a shared menu item is selected while an application list including at least one application and a control menu bar for controlling each application are displayed. The impossible application may be classified and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25.

여기서,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은 당해 사용자 단말(100)이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외부 장치(미도시)를 통해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낸다. 반면, 공유 불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란, 당해 사용자 단말(100)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지칭한다.Here, the sharable application represents an application downloaded by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under the control of the user. On the other hand, the non-sharable application refers to an application embedded in the user terminal 100.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되는 항목을 어플리케이션으로 통칭하여 설명하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는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과 같은 별도의 UI(user interface)의 형태로 포함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description, the items included in the application list will be collectively described as applications, but as shown in FIG. 2, the application list has a separate user interface (UI) such as an icon for each application. It may also be included in the form of).

또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20)는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해서는 해당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연계하여 각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메뉴 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125)를 통해 표출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application manager 120 may display, through the display unit 125, a selection menu icon for selecting each shareable application in association with each shareable application.

도 3에는 각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에 연계되어 선택 메뉴 아이콘이 표출된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는 선택 메뉴 아이콘이 체크 박스인 것을 가정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선택 또는 비선택이 토글 형태로 전환되는 아이콘의 형태로 표출될 수도 있다.3 illustrates a screen in which a selection menu icon is displayed in association with each shareable application. In FIG. 3, it is assumed that the selection menu icon is a check box. In addition, the selection menu icon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n icon in which a selection or non-selection is toggled.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20)는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과 공유 불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분한 후 이를 각 어플리케이션 공유 속성 유형((즉,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유형 또는 공유 불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유형)에 따라 정렬하여 동일한 어플리케이션 공유 속성 유형의 어플리케이션끼리 구분되도록 정렬하여 디스플레이부(125)를 통해 표출시킬 수 있다.The application manager 120 classifies the sharable application and the non-sharable application and sorts them according to each application sharing attribute type (that is, the sharable application type or the non-sharing application type) to distinguish between applications of the same application sharing attribute type. The alignment may be performed so as to be expressed through the display unit 125.

또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 메뉴 아이콘이 선택되면, 적어도 하나의 공유 유형을 포함하는 공유 팝업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5)를 통해 표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lection menu icon for at least one shareable application is selected, the application manager 120 may display a sharing popup menu screen including the at least one sharing type through the display 125.

여기서, 공유 유형은 선택된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할 방법에 대한 유형으로, 통신 유형 및 공유 어플리케이션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haring type is a type for sharing the selected shareable application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mmunication type and a sharing application type.

예를 들어, 통신 유형은 당해 사용자 단말(100)이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 유형을 나타내며, 근거리 통신 유형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Wi-Fi 및 NFC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통신 유형은 별도의 외부 망과의 연동없이 다른 사용자 단말(즉,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 가능한 통신 유형인 경우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type represents at least one short-range communication type available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type may b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Bluetooth, Wi-Fi, and NFC communication. Of course,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type may be equally applicable to a communication type capable of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another user terminal (ie, an external device) without interworking with a separate external network.

또한, 공유 어플리케이션 유형은 예를 들어, 메시지 및 메일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ared application type may b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message and a mail client application.

이때,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20)는 선택된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예를 들어, 파일 사이즈)에 따라 공유 유형을 각각 상이하게 설정(또는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파일 크기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메시지를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없으므로, 공유 유형은 메일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과 통신 유형으로만 설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pplication manager 120 may set (or determine) a sharing type differently according to an attribute (for example, a file size) of the selected shareable application. For example, if the file size of the selected shareable application exceeds the threshold, the sharing type may be set only as the mail client application and the communication type since the message cannot be transmitted to another user terminal through a message.

또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공유 팝업 메뉴 화면을 통해 표출된 공유 유형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선택된 공유 유형을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과 선택된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하기 위해 각 공유 유형에 적합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에 공유 팝업 메뉴 화면의 표출이 예시되어 있다. In addition, when at least one of the sharing types expressed through the sharing pop-up menu screen is selected by the user, the application manager 120 assigns each sharing type to share the selected shareable application with other user terminals through the selected sharing type. You can control to switch to the appropriat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The display of the sharing pop-up menu screen is illustrated in FIG. 4.

디스플레이부(1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입력되거나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시각 정보의 형태로 표출하기 위한 수단이다.The display 125 is a means for expressing an application input or execu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in the form of visu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5)는 액정화면(LCD)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25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저장부(1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을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130 stores various information, at least one application, and the like necessary for operating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1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통신부(110), 입력부(115),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20), 디스플레이부(125), 저장부(130)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The controller 135 may include internal components (eg, the communication unit 110, the input unit 115, the application manager 120, the display unit 125, and the like) of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for controlling the storage unit 130).

[도 5 설명][Description of Fig. 5]

도 5는 사용자 단말이 다른 사용자 단말과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단계는 사용자 단말 각각의 내부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a user terminal shares an application with another user terminal. Each step described below is performed by internal components of each user terminal, but will be collectively described as a user terminal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description.

단계 510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시스템 메뉴바에 표출된 컨트롤 메뉴 중 공유 메뉴 항목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In operation 510, the user terminal 100 determines whether a sharing menu item is selected from the control menu displayed on the system menu bar.

사용자 단말(100)은 메뉴 런처(Menu launcher)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 실행된 메뉴 런처의 일측면(예를 들어, 상단)에는 시스템 메뉴바가 표출되고, 해당 시스템 메뉴바는 각 어플리케이션 제어를 위한 컨트롤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 메뉴는 편집 메뉴 항목, 공유 메뉴 항목, 모아 보기 메뉴 항목, 정렬 메뉴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may select and execute a menu launcher by the user. At this time. One side (eg, the top) of the executed menu launcher may display a system menu bar, and the system menu bar may include a control menu for controlling each application. Here, the control menu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diting menu item, a sharing menu item, a gathering menu item, and a sorting menu item.

또한, 실행된 메뉴 런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함께 표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각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의 형태로 표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ecuted menu launcher may display an application list including at least one application. Here, each application included in the application list may be express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icon.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실행된 메뉴 런처의 시스템 메뉴 바에 포함된 컨트롤 메뉴 중 공유 메뉴 항목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sharing menu item is selected by the user among control menus included in the system menu bar of the executed menu launcher.

만일 공유 메뉴 항목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단계 510에서 대기한다.If the share menu item is not selected, wait at step 510.

그러나 만일 공유 메뉴 항목이 선택된 경우, 단계 515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들을 어플리케이션 공유 속성 유형에 따라 구분한다.However, if the sharing menu item is selected, the user terminal 100 classifies the applications included in the application list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sharing attribute type in step 515.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공유 속성 유형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및 공유 불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Here, the application sharing attribute type may be at least one of a sharable application and a non-sharable application as described above.

즉, 사용자 단말(100)은 당해 사용자 단말(100)이 출고되는 시점에 해당 사용자 단말(100)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추후 업데이트를 통해 갱신된 어플리케이션 중 시스템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은 공유 불가능한 어플리케이션으로 인식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terminal 100 recognizes an application for system control among the applications embedded in the user terminal 100 or an application updated through a later update at the time when the user terminal 100 is released, as an application that cannot be shared. can do.

반면, 사용자 단말(100)은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특정 서버(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은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으로 인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terminal 100 may recognize the application downloaded by the user through a specific server (not shown) that provides the application as a shareable application.

단계 520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어플리케이션 공유 속성 유형에 따라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은 각각 선택 메뉴 항목을 각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과 연계시킨 후 디스플레이부(125)를 통해 표출시킨다.In operation 520, the user terminal 100 displays the applications that can be shar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sharing attribute type through the display unit 125 after associating the selected menu item with each of the applications that can be shared.

단계 525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표출된 선택 메뉴 항목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공유할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받는다. In operation 525,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at least one application to be shared from the user through the displayed selection menu item.

이로 인해, 사용자 단말(100)은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즉,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 중 공유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Thus, the user terminal 100 may receive at least one application from the user for sharing among the sharable applications (ie, downloaded applications).

단계 530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미리 설정된 공유 유형을 포함하는 공유 팝업 메뉴 창을 디스플레이부(125)를 통해 표출시킨다.In operation 530, the user terminal 100 displays the sharing pop-up menu window including the preset sharing type through the display 125.

도 1에서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공유 유형은 선택된 공유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적어도 하나의 수단을 포함하며, 특정 어플리케이션 유형 및 근거리 무선 통신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이미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already described above in FIG. 1, the sharing type includes at least one means for sharing an application for the selected sharing,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pecific application type and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ype. Since this is the same as already described above,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단계 535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공유 팝업 메뉴 창을 통해 표출된 공유 유형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다.In operation 535,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one of the sharing types expressed through the sharing pop-up menu window from the user.

이에 따라, 단계 540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해당 선택된 공유 유형에 따라 선택된 공유할 어플리케이션을 다른 사용자 단말(미도시)과 공유를 위해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ly, in operation 540, the user terminal 100 may transmit the selected application to be shared with another user terminal (not shown) according to the selected sharing type.

이때, 어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된 특정 웹 페이지 링크를 해당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application sharing method may directly transmit the selected application to another user terminal, or may transmit a specific web page link including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to the other user terminal.

또 다른 예를 들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링크 정보를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공유를 요청받은 다른 사용자 단말은 해당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공유 대상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 있다.
For another example, the link information for downloading the application may be transmitted to another user terminal to share the application. In this case, the other user terminal requested to share may download and install the application to be shared using the link informa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다른 사용자 단말과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방법은 다양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저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In the meantime, the method in which a user terminal shares an application with another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program command form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electronic means for processing information and recorded in a storage medium. The storag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저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the storag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software. Examples of storag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medium may be a transmission medium such as an optical or metal wire, a waveguide, or the like including a carrier wave for transmitting a signal specifying a program command, a data structure,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devices for processing information electronically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for example, a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var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110: 통신부
115: 입력부
120: 어플리케이션 관리부
125: 디스플레이부
130: 저장부
135: 제어부
110: communication unit
115: input unit
120: application management unit
125: display unit
130:
135: control unit

Claims (13)

사용자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메뉴와 함께 표출하는 단계-상기 컨트롤 메뉴는 공유 메뉴 항목을 포함함;
상기 공유 메뉴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연계하여 선택 메뉴 아이콘을 각각 표출하는 단계;
상기 선택 메뉴 아이콘을 통해 상기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공유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받은 공유할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할 공유 대상 단말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공유 대상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유할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In the method of sharing an application in a user terminal,
Displaying an application list including at least one application with a control menu for controlling the application, the control menu including a shared menu item;
If the sharing menu item is selected, displaying a selection menu icon in association with each of the applications that can be shared among the applications included in the application list;
Receiving an application to be shared among the sharable applications through the selection menu icon; And
And receiving sharing target terminal information to share the selected application to share, and transmitting the shared application using the sharing target terminal inform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은 외부 장치를 통해 다운로드받은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areable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sha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application downloaded from the external device is the shareable applic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할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공유 유형을 포함하는 팝업 메뉴 창을 표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efore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application to share,
Displaying a pop-up menu window that includes at least one sharing typ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유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근거리 무선 통신 유형 및 상기 공유할 어플리케이션을 첨부할 어플리케이션을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sharing typ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ype available in the user terminal and an application type to which the application to be shared is attached.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유형은 블루투스, NFC 및 Wi-Fi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유형은 메시지 및 메일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ype is at least one of Bluetooth, NFC, and Wi-Fi, and the application type is at least one of a message and a mail client application.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유형은 상기 공유할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에 따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sharing typ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attribute of the application to be shared.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은 상기 공유할 어플리케이션의 파일 사이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And the property is a file size of the application to be shared.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메뉴와 함께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컨트롤 메뉴는 공유 메뉴 항목을 포함함;
상기 공유 메뉴 항목의 선택 여부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연계하여 선택 메뉴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출시키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
상기 선택 메뉴 아이콘을 통해 상기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공유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받거나 공유할 공유 대상 단말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공유 대상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유할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application list including at least one application together with a control menu for controlling the application, the control menu including a shared menu item;
An application manager to display a selection menu icon on the display unit in association with each of the applications that can be shared among applications included in the application list according to whether the shared menu item is selected;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election of an application to be shared among the sharable applications or to input sharing target terminal information through the selection menu icon; And
And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the application to be shared using the sharing target terminal information.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은 외부 장치를 통해 다운로드받은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공유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8,
The shareable application is a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reable application to the application downloaded through the external devic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공유할 어플리케이션에 연계된 상기 선택 메뉴 아이콘이 선택시, 적어도 하나의 공유 유형을 포함하는 팝업 메뉴 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8,
The application manager, when the selection menu icon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to be shared through the input unit is selected, the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display a pop-up menu window including at least one type of sharing through the display unit.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유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근거리 무선 통신 유형 및 상기 공유할 어플리케이션을 첨부할 어플리케이션을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10,
The sharing typ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ype available in the user terminal and an application type to which the application to be shared is attached.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유형은 상기 공유할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에 따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10,
The sharing typ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attribute of the application to be shared.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은 상기 공유할 어플리케이션의 파일 사이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12,
The attribute is a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e size of the application to be shared.
KR1020110087993A 2011-08-31 2011-08-31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application KR2013002450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993A KR20130024507A (en) 2011-08-31 2011-08-31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appl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993A KR20130024507A (en) 2011-08-31 2011-08-31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appl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507A true KR20130024507A (en) 2013-03-08

Family

ID=48176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993A KR20130024507A (en) 2011-08-31 2011-08-31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appl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4507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8574A1 (en) * 2014-05-22 2015-11-26 Lg Electronics In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11328057A (en) * 2020-01-22 2020-06-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Application sharing method and first electronic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8574A1 (en) * 2014-05-22 2015-11-26 Lg Electronics In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9917895B2 (en) 2014-05-22 2018-03-13 Lg Electronics In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11328057A (en) * 2020-01-22 2020-06-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Application sharing method and first electronic device
CN111328057B (en) * 2020-01-22 2023-02-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Application sharing method and first electron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4760B1 (en) Automatic application updates
CN107172685B (en) Method and equipment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wireless access point on mobile terminal
US10437418B2 (en) Overloading app icon touchscreen interaction to provide action accessibility
CN107656768B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page jump
US7779363B2 (en) Enabling user control over selectable functions of a running existing application
US20170063611A1 (en) User Configuration Mechanism for Internet-of-Things (IOT)
KR10098068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o generate menu list of potable terminal
US8973014B2 (en) Inter-devi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9195367B2 (en) Managing active GUI elements remotely
WO2020226813A1 (en) Automated application updates during operating system upgrades
EP23787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 application to a device
US9652255B2 (en) Web-based operating system framework
KR20230070067A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multiple applications
CN103034399A (en) Adjusting user interface element
JP6338453B2 (en) Inform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11140534B2 (en) Non-intrusive proximity based advertising and message delivery
CN10329433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a shortcut menu
CN103477322A (en) Transferring web data between operating system environments
KR201300736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on controlling of application
KR101542467B1 (en) System for blocking harmful information based on multi platforms
KR2013002450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application
KR20150018709A (en) Method of sharing information of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KR20130104278A (en) Method and system for loading additional content on table view controller environment
KR101200662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ush alarm
CN112905355B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storage medium for information proc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