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4434A - 데이터 중계기와 공유기를 이용한 통신망상에서의 외장형 저장장치 구동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중계기와 공유기를 이용한 통신망상에서의 외장형 저장장치 구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4434A
KR20130024434A KR1020110087886A KR20110087886A KR20130024434A KR 20130024434 A KR20130024434 A KR 20130024434A KR 1020110087886 A KR1020110087886 A KR 1020110087886A KR 20110087886 A KR20110087886 A KR 20110087886A KR 20130024434 A KR20130024434 A KR 20130024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device
external storage
file
rout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식
Original Assignee
양승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식 filed Critical 양승식
Priority to KR1020110087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4434A/ko
Publication of KR20130024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4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4Tools and structures for managing or administering access control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Distributed or networked storage systems, e.g. storage area networks [SAN],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장형 저장장치의 구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퍼스널컴퓨터 등의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형성하는 공유기와 퍼스널컴퓨터와는 독립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외장형 저장장치 간에 연결되어 외장형 저장장치를 활성화시키고 그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공유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중계기를 구비하여 외장 하드나 USB 메모리 스틱 등의 외장형 저장장치를 통신망상에서 구동시스템이 인식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정에 구비된 퍼스널컴퓨터 등을 켜놓지 않고도 외부에서 다른 퍼스널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구동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가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에 접근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전송하고자 하는 특정파일에 공유기를 통하여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에 접근할 수 있는 인증번호를 매치시켜 전송함으로써, 별도의 퍼스널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통신망상에서 구동시스템에 접속한 클라이언트가 해당 특정파일을 용이하게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하여 고용량 파일의 빠른 전송이 가능하게 한 데이터 중계기와 공유기를 이용한 통신망상에서의 외장형 저장장치 구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데이터 중계기와 공유기를 이용한 통신망상에서의 외장형 저장장치 구동시스템{DRIVING SYSTEM OF EXTERNAL STORAGE DEVICE USING DATA REPEATER AND ROUTER}
본 발명은 외장형 저장장치의 구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퍼스널컴퓨터 등의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형성하는 공유기와 퍼스널컴퓨터와는 독립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외장형 저장장치 간에 연결되어 외장형 저장장치를 활성화시키고 그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공유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중계기를 구비하여 외장 하드나 USB 메모리 스틱 등의 외장형 저장장치를 통신망상에서 구동시스템이 인식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정에 구비된 퍼스널컴퓨터 등을 켜놓지 않고도 외부에서 다른 퍼스널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구동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가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에 접근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전송하고자 하는 특정파일에 공유기를 통하여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에 접근할 수 있는 인증번호를 매치시켜 전송함으로써, 별도의 퍼스널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통신망상에서 구동시스템에 접속한 클라이언트가 해당 특정파일을 용이하게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하여 고용량 파일의 빠른 전송이 가능하게 한 데이터 중계기와 공유기를 이용한 통신망상에서의 외장형 저장장치 구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인터넷기술의 발달로 데이터의 이동 및 공유가 용이해지고, 특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가 널리 활성화되면서 사용자들이 개인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파일을 다른 사용자들에게 전송하면서 서로 공유하게 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가정이나 회사 내에 구비된 퍼스널컴퓨터 등에 저장되어 있는 문서나 설계도면, 사진 또는 동영상 등의 파일들을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격지에서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여러 사업자들이 제공하는 웹하드를 이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웹하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원본 파일이 있는 퍼스널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웹하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웹서버에 접속한 후 해당 파일들을 일일이 업로드 하여 저장하여야 하며, 이와 같이 웹하드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격지에서 퍼스널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웹하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웹서버에 다시 접속한 후 해당 파일을 찾아서 그 퍼스널컴퓨터 등에 다운로드하여야 하였다.
또한, 웹하드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은 해당 파일을 업로드한 사용자뿐만 아니라 제3자도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이와 같이 제3자가 해당 파일을 웹하드로부터 다운로드 받기 위해서는 파일을 업로드한 사용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 등 인증정보를 알려줘야 하였는바, 특정 파일만을 제3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웹하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종래의 웹하드는 제3자가 다운로드받을 수 있게 한 특정 파일을 제외한 다른 파일들의 경우 별도의 비밀번호를 부여하여 보안을 기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나, 새로이 업로드되는 모든 파일들에 별도의 비밀번호를 일일이 부가하는 것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업무를 진행함에 따라 제3자에게 전달해야 하는 파일도 달라지므로 수시로 파일에 부여되는 비밀번호를 변경하여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파일을 이용할 수 있게 하려던 종래의 의도와는 달리 실질적으로 중요하고 보안이 요구되는 자료는 웹하드에 보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웹하드 서비스는 불특정 다수인이 회원 가입하는 것만으로 이용이 가능하였으므로 웹하드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특성과 무관하게 동일한 용량을 할당하여야 하였으며, 다수인이 파일을 업로드하고 다운로드하는 과정에서의 트래픽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업로드하는 파일의 용량을 수십 메가바이트로 제한함이 일반적이었는바, 설계파일이나 고화질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 업로드하고자 하는 파일 자체의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실질적으로 업로드하여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근래에는 각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고, 퍼스널컴퓨터의 포맷 등에 대비하기 위하여 웹하드와는 달리 각 사용자가 직접 소유하는 외장형 하드디스크나 USB 메모리 스틱 등 외장형 저장장치의 이용이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개인이 소장하는 외장형 저장장치의 경우 직접 소지하여 퍼스널컴퓨터 등에 연결하지 않으면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없었으므로 파일의 보안성을 확보하기 용이한 이점이 있었으나, 외장형 저장장치를 항상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분실시에는 습득한 제3자가 쉽게 그 내용을 볼 수 있게 되어 보안의 완전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최근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181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IP공유기에 USB 호스트 포트를 형성하여 USB 메모리 스틱을 삽입한 후 네트워크 디스크나 웹 디스크 형태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인터넷이 가능한 모든 공간에서 개인 자료를 업로드 및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한 IP 공유기를 활용한 저장장치가 제안되었다.
이와 같이 최근에 개시된 IP 공유기를 활용한 저장장치는 IP 공유기와 USB 메모리 스틱의 기능을 통합함으로써, 개인용 저장장치인 USB 메모리 스틱을 웹하드처럼 이용할 수 있게 하여 개인 자료에 대한 보안성을 강화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자유롭게 이동 및 휴대가 가능하게 하였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IP 공유기를 활용한 저장장치는 USB 호스트 포트에 결합된 USB 메모리 스틱의 내용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IP 공유기 내부에 통상적인 인터넷 접속부 뿐만 아니라, 웹서버와, FTP 서버와, P2P파일 공유 어플리케이션과,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를 새로이 부가하여 구성되어야 하였다.
따라서, 단순한 IP 공유기 본연의 기능과 USB 호스트 포트외에 별도의 클라이언트시스템처럼 부가적인 구성요소를 많이 포함하여 이루어져야 하였으므로, 제조비용이 통상적인 IP 공유기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IP 공유기를 활용한 저장장치는 IP 공유기에 연결된 USB 메모리 스틱의 내용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USB 메모리 스틱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제어프로그램 등이 설치되고 활성화된 USB 메모리 스틱의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 툴 등이 구비되어야 하였는바, 단순히 IP의 접속을 위한 구성과 프로그램만이 탑재되어 있는 종래의 일반적인 IP 공유기를 활용할 수 없어 새로운 IP 공유기를 구매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인터넷 사용을 위해 이미 IP 공유기를 구비하고 있는 대부분의 사용자들의 경우 IP 공유기의 교체로 인한 중첩적인 비용을 부담하여야 하므로, IP 공유기를 활용한 저장장치가 활성화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IP 공유기를 활용한 저장장치는 USB 메모리 스틱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을 타인에게 전송하기 위하여 P2P 파일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 되어야 하므로, USB 메모리 스틱의 영역 중 타인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는 특정 디렉토리 영역에 공유하고자 하는 파일을 옮겨 놓으면, 타인이 그러한 특정 디렉토리 영역에 접속하여 해당 디렉토리 영역에 있는 모든 파일을 보면서 자신이 다운로드 받고자 하는 특정 파일을 선택하여 파일을 타인과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IP 공유기를 활용한 저장장치의 경우에도, USB 메모리 스틱의 내부영역을 타인의 접근이 가능한 영역과 해당 사용자만이 접근할 수 있는 영역으로 구분한 후, 타인과 공유하고자 하는 파일의 경우 그 저장영역을 수시로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여전히 존재하였으며, 타인의 접근이 가능한 디렉토리 영역에 접근하는 타인을 개별적으로 제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웹하드에서처럼 접속을 위한 인증정보 자체를 타인에게 알려주지 않음은 물론, USB 메모리 스틱의 특정 영역도 타인에게 모두 공개하지 않고,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파일만이 특정한 제3자에게 전달될 수 있게 하여 개인 정보의 보안성을 최대화함과 아울러, 별도의 비밀번호 설정 등의 번거로움을 제거한 데이터 중계기와 공유기를 이용한 통신망상에서의 외장형 저장장치 구동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가정이나 회사에 구비된 공유기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외장형 저장장치 간에 연결되어 외장형 저장장치를 활성화시키고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공유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중계기를 구비하여 외장 하드나 USB 메모리 스틱 등의 외장형 저장장치를 통신망상에서 구동시스템이 인식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존의 공유기를 이용하면서도 가정이나 회사에 설치되어 있는 퍼스널컴퓨터 등을 켜놓지 않고 외부에서 다른 퍼스널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구동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가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에 접근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전송하고자 하는 특정파일에 외장형 저장장치에 접근할 수 있는 인증번호를 매치시켜 전송한 후 별도의 퍼스널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통신망상에서 구동시스템에 접속한 클라이언트가 해당 특정파일을 용이하게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고용량 파일의 빠른 전송이 가능하게 한 데이터 중계기와 공유기를 이용한 통신망상에서의 외장형 저장장치 구동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데이터 중계기와 공유기를 이용한 통신망상에서의 외장형 저장장치 구동시스템은,
통신망의 게이트웨이를 형성하는 IP 공유기; USB 통신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저장 및 독출하는 외장형 저장장치; USB 포트에 결합된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IP 공유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중계기; 통신망상에서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를 웹상의 드라이브로 인식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파일에 인증권한을 매치시켜 특정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 인증권한이 매치된 특정 파일을 통신망상에서 접속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파일 관리서버; 상기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된 파일을 검색하고 전송할 파일을 선택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선택에 의해 상기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에서 전송되는 파일전송메시지를 수신하고 통신망상에서 상기 파일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중계기는,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의 USB 단자가 연결되어 데이터가 입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USB 포트; 상기 USB 포트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는 외장형 저장장치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구동전원 공급부;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활성화시키는 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플래시 메모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나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신호에 의해 활성화된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의 저장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고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나 파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램(RAM); 및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IP 공유기로 전송하는 공유기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접속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IP 공유기의 식별번호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공유기 식별부; 상기 공유기 식별부에서 등록된 IP 공유기의 식별번호를 사용자의 인증정보에 매치시켜 저장하는 외장 드라이브 관리부; 통신망상에서 접속한 사용자의 인증정보에 의해 그에 매치되어 있는 식별번호로 등록된 IP 공유기와 데이터 중계기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외장형 저장장치를 외장 드라이브로 인식하여 활성화시킨 후, 활성화된 외장형 저장장치의 데이터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출시키는 드라이브 활성화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선택된 특정 파일에 상기 IP 공유기의 식별번호와 해당 특정 파일에의 접근이 가능한 인증권한을 매치시켜 클라이언트에게 이메일이나 문자메시지의 형태로 전송하는 인증권한 매치발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인증권한 매치발송부는 전송하고자 하는 특정 파일의 외장형 저장장치내 어드레스와,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 중계기와의 데이터 통신로를 이루고 있는 IP 공유기 식별번호와, 상기 IP 공유기에 접근할 수 있는 임시 인증번호를 매치시켜 파일전송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파일전송메시지를 사용자가 지정한 클라이언트의 이메일 계정이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일 관리서버는,
상기 파일전송메시지를 수신한 클라이언트가 통신망상에서 접속한 후 입력하는 파일전송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인증번호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전송하고자 하는 특정 파일에 대한 접근권한을 인증하는 클라이언트 인증부; 및 상기 클라이언트 인증부에서 인증 받은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파일전송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파일의 외장형 저장장치 내 어드레스에 위치하는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정이나 회사에 설치된 통상적인 IP 공유기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외장형 저장장치 간에 연결되어 외장형 저장장치를 활성화시키고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IP 공유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중계기를 구비함으로써,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에서 해당 IP 공유기의 식별번호를 토대로 외장형 저장장치에 연결되어 격지에서도 자유롭게 자신의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타인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특정 파일에만 임시 인증번호를 부여하여 파일전송메시지의 형태로 전송하고, 이러한 파일전송메시지를 수신한 클라이언트는 파일 관리서버로부터 특정 파일에 대한 접근권한만을 인증 받아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하여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장형 저장장치와 IP 공유기 간에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 중계기에 의해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하여 통상적인 IP 공유기로 전송하면, 이를 수신한 IP 공유기가 통신로를 이루고 있는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와 파일 관리서버로 이루어진 구동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통상적인 IP 공유기를 이용하면서도 사용자가 통신망상에서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에 접근할 수 있게 하여 이미 소유하고 있는 IP 공유기의 활용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중계기와 공유기를 이용한 통신망상에서의 외장형 저장장치 구동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중계기와 공유기를 이용한 통신망상에서의 외장형 저장장치 구동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중계기와 공유기를 이용한 통신망상에서의 외장형 저장장치 구동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중계기와 공유기를 이용한 통신망상에서의 외장형 저장장치 구동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중계기와 공유기를 이용한 통신망상에서의 외장형 저장장치 구동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중계기와 공유기를 이용한 통신망상에서의 외장형 저장장치 구동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은 외부의 퍼스널컴퓨터나 노트북 등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망상에서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에 접속한 후 데이터 중계기와 IP 공유기를 통하여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파일만을 격지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나타내고, 도 2는 사용자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통신망상에서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에 접속한 후 데이터 중계기와 IP 공유기를 통하여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파일만을 격지의 클라이언트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중계기와 공유기를 이용한 통신망상에서의 외장형 저장장치 구동시스템은, 인터넷 등 통신망의 게이트웨이를 형성하는 IP 공유기(100)와, USB 통신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저장 및 독출하는 외장형 저장장치(200)와, USB 포트에 결합된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를 활성화시켜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IP 공유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중계기(300)와, 통신망상에서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를 웹상의 드라이브로 인식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파일에 인증권한을 매치시켜 특정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400)와, 인증권한이 매치된 특정 파일을 통신망상에서 접속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파일 관리서버(500)와, 상기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된 파일을 검색하고 전송할 파일을 선택하는 사용자 단말기(60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선택에 의해 상기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에서 전송되는 파일전송메시지를 수신하고 통신망상에서 상기 파일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클라이언트 단말기(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IP 공유기(100)는 가정이나 회사에 구비된 퍼스널컴퓨터 등의 인터넷 접속을 위한 게이트웨이를 형성하기 위해 외부 통신선과 퍼스널컴퓨터에 연결되기 위한 포트가 구비되어 있는 통상적인 공유기로 구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IP 공유기(100)는 모뎀을 경유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접속부(120)와, 퍼스널컴퓨터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LAN포트로 이루어진 유선부(130)와, 노트북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무선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IP 공유기(100)는 개별적인 식별번호가 부여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IP 공유기의 식별번호를 상기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400)에 등록하여 사용자의 개인 인증정보와 함께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격지에서 퍼스널컴퓨터 등 사용자 단말기(600)를 이용하여 상기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400)에 접속할 경우, 상기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400)는 사용자의 인증정보와 함께 저장되어 있는 식별번호를 갖는 IP 공유기(100)와 통신망상에서 연결된 후, 상기 IP 공유기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데이터 중계기(300)에 의해 전송되는 외장형 저장장치의 데이터 목록을 사용자 단말기(600)에 표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200)는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이나 USB 포트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나 노트북 등의 단말기에 연결되며,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에서 공급되는 전원과 운영체제에 의해 활성화시킬 수 있게 한 것으로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외장형 하드디스크나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저장장치로 구성된다.
이러한 외장형 저장장치는 독립적인 운영체제와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 가볍고 소형으로 구현 가능하며, 타인과의 공유 없이 개인적으로 소유할 수 있는 저장장치이므로, 저장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수십 기가바이트는 물론 수 테라바이트까지 자유롭게 용량을 확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데이터 중계기(300)는 외장형 하드디스크나 USB 메모리 스틱 등 외장형 저장장치의 USB 단자가 연결되어 데이터가 입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USB 포트(310)와, 상기 USB 포트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는 외장형 저장장치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구동전원 공급부(320)와,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활성화시키는 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플래시 메모리(330)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나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신호에 의해 활성화된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의 저장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고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나 파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램(RAM)(340)과,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IP 공유기로 전송하는 공유기 통신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IP 공유기(100)와 데이터 중계기(300)는 퍼스널컴퓨터나 노트북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가 부팅되어 있는 것과는 별도로 전원을 공급받아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콘센트 등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부가 각각 구비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USB 포트(310)에는 외장형 하드디스크나 USB 메모리 스틱 등의 외장형 저장장치에 구비된 USB 단자가 직접 결합되어 USB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USB 단자가 구비된 데이터 케이블에 의해 상호 결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공유기 통신부(350)는 외장형 저장장치에서 독출한 데이터를 근거리에 위치하는 IP 공유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수단으로서, 상호 매치되어 있는 장비 간에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게 한 블루투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무선통신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랜선 등 유선통신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400)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접속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IP 공유기의 식별번호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공유기 식별부(410)와, 상기 공유기 식별부에서 등록된 IP 공유기의 식별번호를 사용자의 인증정보에 매치시켜 저장하는 외장 드라이브 관리부(420)와, 통신망상에서 접속한 사용자의 인증정보에 의해 그에 매치되어 있는 식별번호로 등록된 IP 공유기와 데이터 중계기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외장형 저장장치를 외장 드라이브로 인식하여 활성화시킨 후 사용자 단말기에 표출시키는 드라이브 활성화부(43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선택된 특정 파일에 상기 IP 공유기의 식별번호와 해당 특정 파일에의 접근이 가능한 인증권한을 매치시켜 클라이언트에게 이메일이나 문자메시지의 형태로 전송하는 인증권한 매치발송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유기 식별부(410)는 개인용 저장수단인 하드디스크나 USB 메모리스틱 등의 외장형 저장장치를 통신망을 이용하여 격지에서도 개인용 웹하드처럼 이용하려는 사용자들이 가정이나 회사에 설치된 IP 공유기마다 부여되어 있는 개별적인 식별번호를 전송하면 이를 수신하여 저장함으로써 IP 공유기(100)를 상기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400)에 등록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공유기 식별부에 등록된 IP 공유기는 통상적인 IP 공유기처럼 가정이나 회사 내의 퍼스널컴퓨터가 인터넷 등의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게이트웨이로서 기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 공유기와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에서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에 접근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외장 드라이브 관리부(420)는 상기 IP 공유기의 식별번호를 전송하는 사용자의 인증정보에 매치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통신망상에서 상기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IP 공유기를 특정하여 통신선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드라이브 활성화부(430)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망상에서 접속하는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함과 동시에, 인증정보에 매치되어 있는 식별번호를 갖는 사용자의 IP 공유기(100)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중계기(300)에 연결되어 있는 외장형 저장장치(200)를 활성화시킨 후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600)로 전송하여 표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는 통신망상에서 IP 공유기들과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와 같이 통신망상에서 연결되어 있는 IP 공유기에 의해 각 IP 공유기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중계기에 연결되어 있는 외장형 저장장치에도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IP 공유기(100)들은 일정 시간마다 자신의 유동 아이피를 상기 하드 드라이브 관리서버(4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되는 것과 무관하게 상기 하드 드라이브 관리서버와 통신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400)에서 IP 공유기(100)와 통신망상에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인증정보에 의해 사용자가 등록한 식별번호를 갖는 IP 공유기(100)를 추출한 후, 상기 IP 공유기와 통신로를 이루면서 외장형 저장장치(200)가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 중계기(300)를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의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600)로 전송하여 표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외장형 저장장치를 연결하지 않고 격지에서 상기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에 접속하는 것만으로 가정이나 회사에 설치되어 있는 IP 공유기와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형성된 데이터 중계기에 연결되어 있는 외장형 저장장치에 자유롭게 접근하여 웹하드처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200)는 가정이나 회사에 있는 퍼스널컴퓨터가 아닌 별도의 데이터 중계기(300)에 연결되고, 이러한 데이터 중계기와 IP 공유기간에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불필요하게 퍼스널컴퓨터를 켜놓지 않고도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인터넷 등의 통신망 접속이 가능한 곳에서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를 안정적인 외장 드라이브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는 상기 드라이브 활성화부에서 전송되는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저장목록이 하드디스크처럼 표출되므로, 사용자는 표출되는 데이터의 저장목록을 보면서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 다운로드 받거나 업로드 하면서 웹하드처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증권한 매치발송부(44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출되는 외장형 저장장치의 저장목록을 보고 사용자가 다른 사람인 클라이언트(본 명세서에서는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용자와 구분하기 위하여 클라이언트로 지칭함)에게 전송하고자 선택한 특정 파일에 상기 IP 공유기의 식별번호와, 해당 특정 파일에 접근할 수 있는 인증번호를 매치시켜 발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인증권한 매치발송부(440)는 전송하고자 하는 특정 파일의 외장형 저장장치내 어드레스와,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 중계기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IP 공유기 식별번호와, 상기 IP 공유기에 접근할 수 있는 임시 인증번호를 매치시켜 파일전송메시지를 생성한 후, 사용자가 지정한 클라이언트의 이메일 계정이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인증권한 매치발송부(440)는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파일을 전송하는 대신 전송하고자 하는 특정 파일에 접근할 수 있는 인증번호를 부여한 파일전송메시지만을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송하고자 하는 파일을 개인적인 저장 공간인 사용자의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이러한 외장형 저장장치에 접근할 수 있는 인증번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특정 파일마다 개별적으로 생성한 후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이메일로 파일을 직접 전송하는 경우와 같은 용량의 제한 및 전송 속도의 제한을 받지 않게 된다.
상기 파일 관리서버(500)는 파일전송메시지를 수신한 클라이언트가 통신망상에서 접속한 후 입력하는 파일전송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인증번호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전송하고자 하는 특정 파일에 대한 접근권한을 인증하는 클라이언트 인증부(510)와, 상기 클라이언트 인증부에서 인증 받은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파일전송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파일의 외장형 저장장치 내 어드레스에 위치하는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전송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라이언트 인증부(510)는 클라이언트가 통신망상에서 상기 파일 관리서버에 접속한 후 전송하는 파일전송메시지를 수신하여 특정 파일에 대한 인증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파일전송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IP 공유기의 식별번호와 외장형 저장장치의 어드레스에 의해 해당 파일에 대한 접근권한을 클라이언트에게 부여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퍼스널컴퓨터 등 클라이언트 단말기(700)를 이용하여 통신망상에서 상기 파일 관리서버(500)에 접속한 후, 상기 파일전송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파일전송메시지를 수신한 이메일 또는 문자메시지를 클릭함과 동시에 해당 퍼스널컴퓨터나 스마트폰 등 클라이언트 단말기(700)에서 상기 파일 관리서버(500)에 바로 접속하여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인증부(510)는 상기 파일전송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인증번호에 의해 클라이언트를 인증한 후 상기 파일전송메시지를 통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파일을 독출하여 파일명칭 등을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여 퍼스널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에 표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파일전송부(520)는 파일명칭을 확인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가 접속하고 있는 퍼스널컴퓨터나 스마트폰 등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파일전송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특정파일을 상기 파일 관리서버에 접속하고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기(7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클라이언트에게 특정 파일을 전송하고자 할 경우, 종래의 웹하드와 같이 저장장치 전체에 대한 접근권한을 부여하지 않고 특정 파일에 대한 접근권한만을 부여함으로써, 동일한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파일들의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이메일과 같이 사용자가 특정 파일 자체를 통신망상에서 전송하지 않고 개별적인 인증번호가 부여된 파일전송메시지를 전송한 후, 이러한 파일전송메시지를 수신한 클라이언트가 사용자의 외장형 저장장치에 직접 접속하여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받게 함으로써, 업로드 및 다운로드의 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600)는 통신망상에서 상기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400)에 접속하여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된 파일목록을 검색하고, 파일을 업로드 및 다운로드하며,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할 파일을 특정파일을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수단과 입력수단이 구비된 퍼스널컴퓨터나 노트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모바일 통신망상에서 상기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통신로를 형성할 수 있는 태블릿 피씨나 스마트폰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격지에서도 상기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에 접속하는 것만으로도 가정이나 회사에 설치되어 있는 외장형 저장장치의 데이터 목록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700)는 사용자가 전송하고자 하는 특정 파일을 다운로드 받기 위해 상기 파일전송메시지를 수신하고, 통신망상에서 상기 파일 관리서버(5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클라이언트가 소유하고 있는 퍼스널컴퓨터나 노트북은 물론, 모바일 통신망상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태블릿 피씨나 스마트폰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이용하는 클라이언트도 상기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외장형 저장장치를 관리할 수 있으나, 타인으로부터 파일을 수신할 경우에는 타인의 외장형 저장장치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권한 없이 사용자가 전송하는 파일전송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파일만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되어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중계기와 공유기를 이용한 통신망상에서의 외장형 저장장치 구동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와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모두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가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질 경우, 사용자 스마트폰(650)에서 3G망이나 와이파이(WI-FI) 또는 4G와 같은 모바일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에 구비된 드라이브 활성화부(430)에 접속함으로써, 퍼스널컴퓨터 등을 이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를 외장 드라이브처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모두 스마트폰으로 구성되므로, 모바일 통신망상에서 외장형 저장장치의 파일목록이나 파일전송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 모바일 통신망과 기지국(630)을 이용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퍼스널컴퓨터로 구성되는 것과 동일하게 외장형 저장장치를 통신망상의 개인적인 드라이브로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특정 파일만을 전송할 수도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드라이브 활성화부에 접속한 사용자가 사용자 스마트폰(650)을 조작하여 인증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드라이브 활성화부(430)는 인증정보에 매치되어 있는 식별번호를 갖는 IP 공유기(100)를 추출하고, 이와 같이 추출된 IP 공유기와 근거리 통신로를 형성하는 데이터 중계기(300)에 연결되어 있는 외장형 저장장치(200)의 데이터 목록을 활성화 시킨 후, 상기 데이터 목록을 상기 사용자 스마트폰(650)으로 전송하여 표출시키게 되어 사용자는 통상적인 웹하드와 같이 저장된 데이터를 확인하고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특정 파일을 클라이언트에 전송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스마트폰(650)에 표출되는 외장형 저장장치의 파일목록 중 특정 파일을 선택하고, 선택된 파일을 전송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의 스마트폰 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에 구비된 인증권한 매치발송부(440)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파일에 IP 공유기의 식별번호와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임시 인증번호와 외장형 저장장치내 파일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파일전송메시지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스마트폰(75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파일전송메시지를 수신한 클라이언트 스마트폰(750)에서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받기위하여 모바일 통신망상에서 접속하면, 상기 파일 관리서버(500)는 파일전송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인증번호에 의해 클라이언트를 인증한 후 상기 파일전송메시지를 통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파일을 독출하여 클라이언트 스마트폰(750)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파일 관리서버에 구비된 클라이언트 인증부(510)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파일 명칭을 먼저 전송하고, 클라이언트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되는 파일전송요청신호를 파일 전송부에서 수신한 후 해당 파일을 클라이언트 스마트폰으로 전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기 사용자 스마트폰(650)과 상기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400) 간의 데이터 송수신 및 상기 클라이언트 스마트폰(750)과 파일 관리서버(5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은 3G나 와이파이(WI-FI) 및 4G 등 모바일 통신망상에서 이루어지므로, 통신사의 기지국(630)을 통하여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IP 공유기 120 - 네트워크 프로세서
130 - 유선부 140 - 무선부
200 - 외장형 저장장치 300 - 데이터 중계기
310 - USB 포트 320 - 구동전원 공급부
330 - 플래시 메모리 340 - 램
350 - 공유기 통신부 300 -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
410 - 공유기 식별부 420 - 외장 드라이브 관리부
430 - 드라이브 활성화부 440 - 인증권한 매치발송부
500 - 파일 관리서버 510 - 클라이언트 인증부
520 - 파일전송부 600 - 사용자 단말기
700 - 클라이언트 단말기

Claims (7)

  1. 통신망의 게이트웨이를 형성하는 IP 공유기;
    USB 통신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저장 및 독출하는 외장형 저장장치;
    USB 포트에 결합된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IP 공유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중계기;
    통신망상에서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를 웹상의 드라이브로 인식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파일에 인증권한을 매치시켜 특정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
    인증권한이 매치된 특정 파일을 통신망상에서 접속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파일 관리서버;
    상기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된 파일을 검색하고 전송할 파일을 선택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선택에 의해 상기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에서 전송되는 파일전송메시지를 수신하고 통신망상에서 상기 파일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중계기와 공유기를 이용한 통신망상에서의 외장형 저장장치 구동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중계기는,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의 USB 단자가 연결되어 데이터가 입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USB 포트;
    상기 USB 포트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는 외장형 저장장치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구동전원 공급부;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활성화시키는 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플래시 메모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나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신호에 의해 활성화된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의 저장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고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나 파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램(RAM); 및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IP 공유기로 전송하는 공유기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중계기와 공유기를 이용한 통신망상에서의 외장형 저장장치 구동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기 통신부는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중계기와 공유기를 이용한 통신망상에서의 외장형 저장장치 구동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접속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IP 공유기의 식별번호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공유기 식별부;
    상기 공유기 식별부에서 등록된 IP 공유기의 식별번호를 사용자의 인증정보에 매치시켜 저장하는 외장 드라이브 관리부;
    통신망상에서 접속한 사용자의 인증정보에 의해 그에 매치되어 있는 식별번호로 등록된 IP 공유기와 데이터 중계기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외장형 저장장치를 외장 드라이브로 인식하여 활성화시킨 후, 활성화된 외장형 저장장치의 데이터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출시키는 드라이브 활성화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선택된 특정 파일에 상기 IP 공유기의 식별번호와 해당 특정 파일에의 접근이 가능한 인증권한을 매치시켜 클라이언트에게 이메일이나 문자메시지의 형태로 전송하는 인증권한 매치발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중계기와 공유기를 이용한 통신망상에서의 외장형 저장장치 구동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권한 매치발송부는 전송하고자 하는 특정 파일의 외장형 저장장치내 어드레스와, 상기 외장형 저장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 중계기와의 데이터 통신로를 이루고 있는 IP 공유기 식별번호와, 상기 IP 공유기에 접근할 수 있는 임시 인증번호를 매치시켜 파일전송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파일전송메시지를 사용자가 지정한 클라이언트의 이메일 계정이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중계기와 공유기를 이용한 통신망상에서의 외장형 저장장치 구동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관리서버는,
    상기 파일전송메시지를 수신한 클라이언트가 통신망상에서 접속한 후 입력하는 파일전송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인증번호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전송하고자 하는 특정 파일에 대한 접근권한을 인증하는 클라이언트 인증부; 및
    상기 클라이언트 인증부에서 인증 받은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파일전송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파일의 외장형 저장장치 내 어드레스에 위치하는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중계기와 공유기를 이용한 통신망상에서의 외장형 저장장치 구동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3G망이나 와이파이(WI-FI) 또는 4G와 같은 모바일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외장 드라이브 관리서버나 파일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중계기와 공유기를 이용한 통신망상에서의 외장형 저장장치 구동시스템.
KR1020110087886A 2011-08-31 2011-08-31 데이터 중계기와 공유기를 이용한 통신망상에서의 외장형 저장장치 구동시스템 KR201300244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886A KR20130024434A (ko) 2011-08-31 2011-08-31 데이터 중계기와 공유기를 이용한 통신망상에서의 외장형 저장장치 구동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886A KR20130024434A (ko) 2011-08-31 2011-08-31 데이터 중계기와 공유기를 이용한 통신망상에서의 외장형 저장장치 구동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434A true KR20130024434A (ko) 2013-03-08

Family

ID=48176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886A KR20130024434A (ko) 2011-08-31 2011-08-31 데이터 중계기와 공유기를 이용한 통신망상에서의 외장형 저장장치 구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443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7431A1 (ko) * 2012-07-06 2014-01-09 Chang Whie 휴대 단말과 외부 장치 간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972349B1 (ko) * 2018-10-05 2019-04-25 주식회사 해시블록 모바일 스토리지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034296B1 (ko) * 2019-04-19 2019-10-18 주식회사 해시블록 모바일 스토리지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WO2020204477A1 (ko) * 2019-04-05 2020-10-08 데이터 로커 인코어퍼레이션 외장형 데이터 저장 장치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7431A1 (ko) * 2012-07-06 2014-01-09 Chang Whie 휴대 단말과 외부 장치 간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972349B1 (ko) * 2018-10-05 2019-04-25 주식회사 해시블록 모바일 스토리지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WO2020204477A1 (ko) * 2019-04-05 2020-10-08 데이터 로커 인코어퍼레이션 외장형 데이터 저장 장치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7647A (ko) * 2019-04-05 2020-10-14 데이터 로커 인코어퍼레이션 외장형 데이터 저장 장치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034296B1 (ko) * 2019-04-19 2019-10-18 주식회사 해시블록 모바일 스토리지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1331B1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 및 방법
KR101971225B1 (ko) 클라우드 서버의 데이터 전송 보안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100635627B1 (ko) 휴대폰에 저장된 데이터 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3873454A (zh) 一种认证方法及设备
MX2012004910A (es) Acceso concurrente a un grupo de memoria compartida entre un dispositivo de acceso de bloque y un dispositivo de acceso de grafico.
KR102000244B1 (ko) 형태보존 암호화가 적용된 영지식증명 기반의 블록체인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9508236A (zh) 一种大数据云计算运行系统
CN104253853A (zh) 嵌入式设备加载应用程序组件以在朋友与家人间的移动设备间共享数字信息的系统和方法
KR20130024434A (ko) 데이터 중계기와 공유기를 이용한 통신망상에서의 외장형 저장장치 구동시스템
CN104253852A (zh) 使用嵌入式设备在朋友与家人之间的移动设备之间共享数字信息的系统和方法
CN102571841B (zh) 一种远程文件管理系统
US2013033272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A2551592C (en) Portable personal server device with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CN102427477A (zh) 一种无线云存储装置
CN106878453B (zh) 共享云存储方法及系统
CN105814925B (zh) 用于无线接入的接入点信息
CN107800807A (zh) 一种无线云存储系统及其存储设备
CN103916404A (zh) 一种数据管理方法和系统
KR20110127565A (ko) 모바일 오피스에 적용 가능한 정보의 요약을 통한 생성, 관리 및 그를 이용한 인증 제어 방법
KR20130063399A (ko) 모바일 클라우드 환경에 적용되는 모바일 단말과 클라우드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 방법
WO2015111785A1 (ko)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상호 파일 공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파일 공유 방법
CN105740920A (zh) 一种无线环境下数据读取方法
KR20190066887A (ko) 가상 업무 환경을 제공하는 서버, 단말 및 방법
KR20110127566A (ko) 정보인식 전달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에서의 결제 방법
KR20130024425A (ko) 공유기를 이용한 통신망상에서의 외장형 저장장치 구동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