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2840A - 플렉서블 인쇄회로보드를 포함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인쇄회로보드를 포함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2840A
KR20130022840A KR1020110085798A KR20110085798A KR20130022840A KR 20130022840 A KR20130022840 A KR 20130022840A KR 1020110085798 A KR1020110085798 A KR 1020110085798A KR 20110085798 A KR20110085798 A KR 20110085798A KR 20130022840 A KR20130022840 A KR 20130022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s
circuits
ground voltage
circuit board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5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9967B1 (ko
Inventor
송민섭
석정엽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5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967B1/ko
Publication of KR20130022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서블 인쇄회로보드를 포함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데이터 라인들과 게이트 라인들의 교차에 의해 정의된 셀 영역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화소들을 포함하는 화소 어레이를 구비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회로들을 포함하는 모듈 블록; 상기 모듈 블록의 다수의 회로들에 소정의 전압을 공급하는 파워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시스템 블록; 및 상기 표시패널에 부착되고, 상기 파워 회로기판이 실장되며, 제1 및 제2 그라운드 전압원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그라운드 전압원은 상기 파워 회로기판에 접속되고, 상기 제2 그라운드 전압원은 상기 모듈 블록의 다수의 회로들에 접속되며, 상기 제1 및 제2 그라운드 전압원은 제1 저항을 사이에 두고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인쇄회로보드를 포함한 표시장치{DISPLAY DEVICE INCLUD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플렉서블 인쇄회로보드를 포함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여러가지 평판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파워 IC(Power Integrated Circuit),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 및 소스 드라이브 IC(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등의 다수의 회로들이 필요하다. 표시장치의 회로 블록은 표시패널 구동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타이밍 컨트롤러, 및 소스 드라이브 IC 등을 포함하는 모듈 블록(Module Block)과, 모듈 블록의 회로들에 소정의 전압을 공급하는 파워 IC 등의 회로를 포함하는 시스템 블록(System Block)을 포함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시스템 블록의 파워 IC는 표시장치의 전원부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압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직류 전압과 다른 레벨의 직류 전압을 모듈 블록의 회로들에 공급한다. 이때, 시스템 블록의 파워 IC 등은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cuit Board, 이하 "FPCB"라 칭함)에 실장될 수 있다. 모듈 블록의 타이밍 컨트롤러, 및 소스 드라이브 IC 등의 회로는 표시패널 상에 COG(Chip On Glass) 방식으로 직접 형성되어 파워 IC의 출력 전압을 이용하여 구동 신호의 파형을 생성한다.
모듈 블록의 회로들과 시스템 블록의 회로들은 FPCB의 하나의 그라운드 전압(Ground Voltage)에 접속된다. 따라서, 표시장치의 전원부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압에 포함된 리플(Ripple), 또는 파워 IC의 고속 스위칭으로 인해 파워 IC의 출력에 노이즈(Noise)가 포함되는 경우, 파워 IC의 출력에 포함된 노이즈가 그라운드 전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를 들어, 파워 IC의 출력 단자가 캐패시터를 통해 그라운드 전압과 접속되는 경우, 파워 IC의 출력 전압의 노이즈가 그라운드 전압에 그대로 반영된다. 그라운드 전압은 시스템 블록의 회로들뿐만 아니라 모듈 블록의 회로들에도 접속되므로, 노이즈가 반영된 그라운드 전압은 모듈 블록의 타이밍 컨트롤러, 및 소스 드라이브 IC 등의 회로에 영향을 미친다. 즉, 모듈 블록의 타이밍 컨트롤러, 및 소스 드라이브 IC 등의 회로가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해 출력하는 구동 신호에도 노이즈가 포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은 노이즈가 포함된 구동 신호로 인해 비정상적인 출력을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파워 IC의 출력 전압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노이즈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노이즈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 부품 비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FPCB의 면적을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노이즈 필터 없이 그라운드 전압의 노이즈를 줄일 수 있는 플렉서블 인쇄회로보드를 포함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데이터 라인들과 게이트 라인들의 교차에 의해 정의된 셀 영역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화소들을 포함하는 화소 어레이를 구비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회로들을 포함하는 모듈 블록; 상기 모듈 블록의 다수의 회로들에 소정의 전압을 공급하는 파워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시스템 블록; 및 상기 표시패널에 부착되고, 상기 파워 회로기판이 실장되며, 제1 및 제2 그라운드 전압원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그라운드 전압원은 상기 파워 회로기판에 접속되고, 상기 제2 그라운드 전압원은 상기 모듈 블록의 다수의 회로들에 접속되며, 상기 제1 및 제2 그라운드 전압원은 제1 저항을 사이에 두고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스템 블록의 회로들과 모듈 블록의 회로들에 그라운드 전압을 따로 접속시키고, 시스템 블록의 회로들에 접속된 제1 그라운드 전압과 모듈 블록의 회로들에 접속된 제2 그라운드 전압이 접속되는 면적을 최소화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은 제1 그라운드 전압과 제2 그라운드 전압 사이의 접속 저항으로 인해 시스템 블록의 파워 IC로부터 반영된 제1 그라운드 전압의 노이즈가 제2 그라운드 전압에 반영되는 비율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모듈 블록의 회로들이 출력하는 구동 신호의 노이즈도 줄일 수 있고, 표시패널의 비정상적인 출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터치 패널의 비정상적인 터치 감지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포함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일 수 있는 것으로서, 실제 제품의 부품 명칭과는 상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 및 디스플레이 구동부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방출 표시소자(Field Emission Display :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전기영동 표시소자(Electrophoresis, EPD) 등의 평판 표시소자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평판 표시소자의 일 예로서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표시패널(10)은 데이터라인(D)들과 스캔라인(G)들이 교차되고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는 화소 어레이(PIXEL ARRAY)를 포함한다. 표시패널(10)의 화소 어레이(PIXEL ARRAY)는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라 함)를 이용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 OLED)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화소들 각각은 구동 TFT,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위치 TFT, 스토리지 커패시터(Storage Capacitor) 등을 포함한다. 화소는 공지의 어떠한 구조로도 구현 가능하다. 화소들 각각은 스위치 TFT를 통해 데이터 라인(D) 및 게이트 라인(G)에 접속된다. 화소들 각각은 게이트 라인(G)의 게이트 펄스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데이터 구동부(120)로부터 데이터 라인(D)에 공급된 데이터 전압을 공급받아 공급된 데이터 전압에 따라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발광시킨다.
디스플레이 구동부는 게이트 구동부(110)와, 디스플레이 컨트롤러(Display Controller)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40)는 데이터 구동부(120)와 타이밍 컨트롤러(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구동부는 입력 영상의 비디오 데이터전압을 픽셀들에 기입한다. 데이터 구동부(120)는 다수의 소스 드라이브 회로기판(Integrated Circuit, 이하 "IC"라 칭함)을 포함한다. 다수의 소스 드라이브 IC들 각각은 타이밍 컨트롤러(13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아날로그 정극성/부극성 감마보상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 전압을 데이터 라인(D)들에 출력한다. 게이트 구동부(110)는 데이터 전압에 동기되는 게이트 펄스(또는 스캔 펄스)를 게이트 라인(G)들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30)는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DE), 메인 클럭(MCLK) 등의 타이밍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 구동부(120)와 게이트 구동부(11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와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게이트 구동부(11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GSP), 게이트 쉬프트 클럭(Gate Shift Clock), 및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ate Output Enable, GOE) 등을 포함한다.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는 첫 번째 게이트 펄스의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은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를 쉬프트시키기 위한 클럭신호이다.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OE)는 게이트 구동부(110)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한다.
데이터 구동부(12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는 소스 스타트 펄스(Source Start Pulse), 소스 샘플링 클럭(Source Sampling Clock, SSC), 극성제어신호(Polarity, POL), 및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urce Output Enable, SOE) 등을 포함한다. 소스 스타트 펄스는 데이터 구동부(120)의 데이터 샘플링 시작 시점을 제어한다. 소스 샘플링 클럭(SSC)은 라이징 또는 폴링 에지에 기준하여 데이터 구동부(120)의 샘플링 동작을 제어하는 클럭신호이다. 데이터 구동부(120)에 입력될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가 mini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 규격으로 전송된다면, 소스 스타트 펄스와 소스 샘플링 클럭(SSC)은 생략될 수 있다. 극성제어신호(POL)는 데이터 구동부(12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전압의 극성을 L(L은 자연수) 수평기간 주기로 반전시킨다.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E)는 데이터 구동부(120)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 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장치는 게이트 구동부(110),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40), 화소 어레이(PIXEL ARRAY)를 포함하는 표시패널(10), 파워 회로기판(Integrated Circuit, 이하 "IC"라 칭함)(150)와 제1 및 제2 그라운드 전압원(GND1, GND2)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인쇄회로보드(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이하 "FPCB"라 칭함)(FP), 전원부(160)와 스케일러(scaler)가 내장된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이하 "SoC"라 함)(170)을 포함하는 시스템 PCB(SP)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40)는 도 1의 데이터 구동부(120)와 타이밍 컨트롤러(130)를 하나로 구성한 회로이다.
전원부(160)는 파워 IC(150)에 소정의 직류 전압을 공급한다. 파워 IC(150)는 시스템 PCB(SP)의 전원부(160)로부터 소정의 직류 전압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직류 전압과 다른 레벨의 직류 전압을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40)에 공급한다. 예를 들어, 파워 IC(150)는 시스템 PCB(SP)의 전원부(160)로부터 제1 직류 전압을 입력받고, 제1 직류 전압보다 높은 레벨의 제2 직류 전압을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40)에 공급한다. 이 경우, 제1 직류 전압은 3.7V로, 제2 직류 전압은 9.8V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SoC(170)는 외부 비디오 소스 기기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RGB)를 표시패널(10)에 표시하기에 적합한 해상도의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SoC(170)는 표시패널(10)에 적합한 해상도로 변환된 영상 데이터(RGB)와 타이밍 신호들(Vsync, Hsync, DE, MCLK)을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40)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40)는 도 2와 같이 COG(Chip On Glass) 방식으로 표시패널(10)의 하부기판상에 실장된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40)는 SoC(170)로부터 영상 데이터(RGB)와 타이밍 신호들(Vsync, Hsync, DE, MCLK)을 입력받고, 파워 IC(150)의 출력 전압을 입력받는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40)는 영상 데이터(RGB)와 타이밍 신호들(Vsync, Hsync, DE, MCLK)에 따라 게이트 구동부(110)에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40)는 파워 IC(150)의 출력 전압을 이용한다.
게이트 구동부(110)는 도 2와 같이 GIP(Gate Drive IC In Panel) 방식으로 표시패널(10)의 하부기판상에 직접 형성된다. 또는, 게이트 구동부(110)는 다수의 게이트 드라이브 IC들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게이트 드라이브 IC들은 TAB(Tape Automated Bonding) 방식으로 표시패널(10)의 하부기판에 부착된다. 게이트 구동부(110)는 게이트 펄스를 게이트 라인들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한편, FPCB(FP)의 제1 그라운드 전압원(GND1)은 파워 IC(150)에 접속되고, 제2 그라운드 전압원(GND2)은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40)에 접속된다. 제1 및 제2 그라운드 전압원(GND1, GND2)은 제1 저항(R1)을 사이에 두고 접속된다. 제1 및 제2 그라운드 전압원(GND1, GND2)이 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경우, 제1 저항(R1)은 라인 저항을 의미한다. 제1 및 제2 그라운드 전압원(GND1, GND2)은 제1 저항(R1)을 사이에 두고 물리적으로 접속되므로, 하나의 그라운드 레벨로 공유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1 저항(R1)은 제1 및 제2 그라운드 전압원(GND1, GND2)보다 큰 값을 가지며, 1옴(Ω)보다 작은 값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저항(R1)은 수십 내지 수백 밀리옴(mΩ)으로 설계될 수 있다. 제1 저항(R1)이 제1 및 제2 그라운드 전압원(GND1, GND2)보다 크게 설계될수록 제1 그라운드 전압원(GND1)의 노이즈가 제2 그라운드 전압원(GND2)에 반영되는 비율이 낮아진다. 하지만, 제1 저항(R1)이 1옴(Ω)보다 크게 설계될 경우, 제1 저항(R1)으로 인해 제1 및 제2 그라운드 전압원(GND1, GND2)의 접속이 차단될 수 있으므로, 제1 저항(R1)은 1옴(Ω)보다 작게 설계된다.
한편, 표시장치의 회로 블록은 표시패널 구동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40) 등을 포함하는 모듈 블록(Module Block)과, 모듈 블록의 회로들에 소정의 전압을 공급하는 파워 IC(150) 등의 회로를 포함하는 시스템 블록(System Block)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시스템 블록의 회로들에 접속된 제1 그라운드 전압원(GND1)과 모듈 블록의 회로들에 접속된 제2 그라운드 전압원(GND2)을 최소한의 면적으로 접속시킨다. 즉, 본 발명은 제1 및 제2 그라운드 전압원(GND1, GND2) 사이의 접속 저항인 제1 저항(R1)을 제1 및 제2 그라운드 전압원(GND1, GND2)보다 큰 값을 가지며, 1옴(Ω)보다 작은 값을 갖도록 설계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은 파워 IC(150)로부터 반영된 제1 그라운드 전압원(GND1)의 노이즈가 제2 그라운드 전압원(GND2)에 반영되는 비율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모듈 블록의 회로들은 노이즈가 거의 반영되지 않은 제2 그라운드 전압원(GND2)에 접속되므로, 모듈 블록의 회로들이 출력하는 구동 신호의 노이즈도 줄일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의 비정상적인 출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포함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 터치 패널(20), 디스플레이 구동부, 및 터치 패널 구동부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표시패널(10)과 디스플레이 구동부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터치 패널(20)은 표시패널(10)의 상부기판상에 접합되는 온셀(On-cell) 타입으로 형성되거나, 표시패널(10)의 하부기판에서 픽셀 어레이와 함께 인셀(In-cell)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 패널(20)은 터치된 부분을 감지하는 방식에 따라, 상판 또는 하판에 금속 전극을 형성하여 직류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터치된 위치를 저항에 따른 전압 구배(voltage gradient)로 판단하는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도전막에 등전위를 형성하고 터치에 따른 상하판의 전압 변화가 일어난 위치를 감지하여 터치된 부분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전자펜이 도전막을 터치함에 따라 유도되는 LC값을 읽어들여 터치된 부분을 감지하는 전자 유도 방식(electro magnetic type) 등으로 구별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광학 방식, 초음파 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터치 패널(20)은 정전 용량 방식으로 구현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터치 패널(20)은 Tx(Transmitter) 라인들(Tx), Tx 라인들(Tx)과 교차하는 Rx(Receiver) 라인들(Rx), 및 Tx 라인들(Tx)과 Rx 라인들(Rx)의 교차부들에 형성된 센서 노드들을 포함한다. 터치 패널 구동부는 Tx 구동부(210), Rx 구동부(220), 및 터치 컨트롤러(230) 등을 포함한다. 터치 패널 구동부는 Tx 라인들(Tx)에 구동펄스를 공급하고 Rx 라인들(Rx)을 통해 센서 노드의 전압을 센싱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Tx 구동부(210)와 Rx 구동부(220)는 하나의 ROIC(Read-out IC) 내에 집적될 수 있다.
Tx 구동부(210)는 터치 컨트롤러(230)로부터 입력된 셋업신호에 응답하여 구동펄스를 출력할 Tx 채널을 설정한다. Tx 구동부(210)는 센싱 시간마다 Tx 라인들(Tx)에 구동펄스를 공급한다.
Rx 구동부(220)는 터치 컨트롤러(230)로부터 입력된 셋업신호에 응답하여 센서 노드 전압을 수신할 Rx 채널을 설정한다. Rx 구동부(230)는 터치 컨트롤러(230)의 제어 하에 센서 노드의 전압을 샘플링한다. Rx 구동부(230)는 샘플링된 센서 노드 전압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시간 동안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터치 컨트롤러(230)로 전송한다.
터치 컨트롤러(230)는 I2C 버스,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System bus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Tx 구동부(210)와 Rx 구동회로(220)에 연결된다. 터치 컨트롤러(230)는 셋업 신호를 Tx 구동부(210)와 Rx 구동회로(220)에 공급하여 Tx 구동부(210)로부터 출력될 Tx 채널을 설정하고 센서 노드의 전압이 읽혀지는 Rx 채널을 선택한다. 터치 컨트롤러(230)는 Rx 구동부(220)에 내장된 샘플링 회로의 샘플링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제어신호를 Rx 구동부(220)에 공급하여 센서 노드 전압의 샘플링을 제어한다. 터치 컨트롤러(230)는 Rx 구동부(220)에 내장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ADC 클럭을 공급하여 센서 노드 전압의 디지털 변환을 제어한다.
터치 컨트롤러(30)는 Rx 구동부(23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들을 미리 설정된 터치 인식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여 소정의 기준값 이상의 터치 데이터들에 대한 좌표값을 추정하여 좌표 정보를 포함한 터치 데이터(HIDxy)를 출력한다. 터치 컨트롤러(230)로부터 출력된 터치 데이터(HIDxy)는 외부의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된다. 호스트 시스템은 터치 좌표값과 연계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터치 컨트롤러(230)는 MCU(Micro Controller Unit, MICOM)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장치는 게이트 구동부(110),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40), 화소 어레이(PIXEL ARRAY)를 포함하는 표시패널(10)과, 파워 IC(150), 터치 컨트롤러(180), 제1 및 제2 그라운드 전압원(GND1, GND2)을 포함하는 FPCB(FP)와, 전원부(160)와 SoC(170)를 포함하는 시스템 PCB(SP)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40)는 도 1의 데이터 구동부(120)와 타이밍 컨트롤러(130)를 하나로 구성한 회로이다.
도 4에서 터치 패널(20), Tx 구동부(210), 및 Rx 구동부(22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생략되었다. 터치 컨트롤러(180)는 FPCB(FP)가 아닌 터치 패널(20) 또는 시스템 PCB(SP)에 실장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 게이트 구동부(110),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40), 파워 IC(150), 전원부(160), SoC(170) 등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결부하여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터치 컨트롤러(180)는 파워 IC(150)의 출력 전압을 입력받고, 파워 IC(150)의 출력 전압을 이용하여 Tx 구동부(210)와 Rx 구동부(220)를 구동하기 위한 셋업신호, 및 스위치 제어신호 등을 생성한다.
한편, FPCB(FP)의 제1 그라운드 전압원(GND1)은 파워 IC(150)에 접속되고, 제2 그라운드 전압원(GND2)은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40)와 터치 컨트롤러(180)에 접속된다. 제1 및 제2 그라운드 전압원(GND1, GND2)은 제1 저항(R1)을 사이에 두고 접속된다. 제1 및 제2 그라운드 전압원(GND1, GND2)이 제1 저항(R1)을 사이에 두고 접속되는 경우, 제1 및 제2 그라운드 전압원(GND1, GND2)은 물리적으로 접속되므로, 하나의 그라운드 레벨로 공유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제1 저항(R1)은 제1 및 제2 그라운드 전압원(GND1, GND2)보다 큰 값을 가지며, 1옴(Ω)보다 작은 값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저항(R1)은 수십 내지 수백 밀리옴(mΩ)으로 설계될 수 있다. 제1 저항(R1)이 제1 및 제2 그라운드 전압원(GND1, GND2)이 1옴(Ω)보다 크게 설계될 경우, 제1 및 제2 그라운드 전압원(GND1, GND2)이 물리적으로 거의 접속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1 저항(R1)은 1옴(Ω)보다 작게 설계된다.
한편, 표시장치의 회로 블록은 표시패널 구동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40)와, 터치 패널을 제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터치 컨트롤러(180) 등을 포함하는 모듈 블록(Module Block)과, 모듈 블록의 회로들에 소정의 전압을 공급하는 파워 IC(150) 등의 회로를 포함하는 시스템 블록(System Block)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시스템 블록의 회로들에 접속된 제1 그라운드 전압원(GND1)과 모듈 블록의 회로들에 접속된 제2 그라운드 전압원(GND2)을 최소한의 면적으로 접속시킨다. 즉, 본 발명은 제1 및 제2 그라운드 전압원(GND1, GND2) 사이의 접속 저항인 제1 저항(R1)을 제1 및 제2 그라운드 전압원(GND1, GND2)보다 큰 값을 가지며, 1옴(Ω)보다 작은 값을 갖도록 설계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은 파워 IC(150)로부터 반영된 제1 그라운드 전압원(GND1)의 노이즈가 제2 그라운드 전압원(GND2)에 반영되는 비율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모듈 블록의 회로들은 노이즈가 거의 반영되지 않은 제2 그라운드 전압원(GND2)에 접속되므로, 모듈 블록의 회로들이 출력하는 구동 신호의 노이즈도 줄일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10)의 비정상적인 출력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치 패널(20)의 비정상적인 터치 감지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 표시패널 20: 터치 패널
110: 게이트 구동부 120: 데이터 구동부
130: 타이밍 컨트롤러 140: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150: 파워 IC 160: 전원부
170: SoC 210: Tx 구동부
220: Rx 구동부 230: 터치 컨트롤러

Claims (8)

  1. 데이터 라인들과 게이트 라인들의 교차에 의해 정의된 셀 영역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화소들을 포함하는 화소 어레이를 구비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회로들을 포함하는 모듈 블록;
    상기 모듈 블록의 다수의 회로들에 소정의 전압을 공급하는 파워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시스템 블록; 및
    상기 표시패널에 부착되고, 상기 파워 회로기판이 실장되며, 제1 및 제2 그라운드 전압원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그라운드 전압원은 상기 파워 회로기판에 접속되고,
    상기 제2 그라운드 전압원은 상기 모듈 블록의 다수의 회로들에 접속되며,
    상기 제1 및 제2 그라운드 전압원은 제1 저항을 사이에 두고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항은,
    상기 제1 및 제2 그라운드 전압원의 저항보다 큰 값을 가지며, 1옴(Ω)보다 작은 값을 갖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항은 수십 내지 수백 밀리옴(mΩ)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블록의 다수의 회로들은,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게이트 라인들에 상기 데이터 전압과 동기되는 게이트 펄스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해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를 상기 게이트 구동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는,
    상기 표시패널의 하부기판상에 COG 방식으로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회로기판은,
    시스템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전원부로부터 제1 직류 전압을 입력받고, 제1 직류 전압보다 높은 레벨의 제2 직류 전압을 상기 모듈 블록의 다수의 회로들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Tx 라인들과, 상기 Tx 라인들에 교차하는 Rx 라인들과, 상기 Tx 라인들 및 Rx 라인들의 교차부마다 형성된 센서 노드들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을 더 구비하는 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블록의 다수의 회로들은,
    상기 Tx 라인들에 구동펄스를 공급하는 Tx 구동부와, 상기 Rx 라인들을 통해 상기 센서 노드들의 전압을 센싱하는 Rx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들을 출력하는 터치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110085798A 2011-08-26 2011-08-26 플렉서블 인쇄회로보드를 포함한 표시장치 KR101859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798A KR101859967B1 (ko) 2011-08-26 2011-08-26 플렉서블 인쇄회로보드를 포함한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798A KR101859967B1 (ko) 2011-08-26 2011-08-26 플렉서블 인쇄회로보드를 포함한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840A true KR20130022840A (ko) 2013-03-07
KR101859967B1 KR101859967B1 (ko) 2018-05-23

Family

ID=48175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798A KR101859967B1 (ko) 2011-08-26 2011-08-26 플렉서블 인쇄회로보드를 포함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9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3593A (ko) * 2013-06-07 2014-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3593A (ko) * 2013-06-07 2014-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967B1 (ko) 2018-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5279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CN103513814B (zh) 具有集成式触摸屏的显示装置
KR102038883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03513813B (zh) 具有集成式触摸屏的显示装置
US9575581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9372583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986521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an integrated touch panel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9727163B2 (en) Touch detection device, display device with touch detection func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3424909B (zh) 内嵌式触摸型液晶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101424331B1 (ko) 터치 센싱 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1778731B1 (ko) 터치센서를 가지는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EP2605112B1 (en)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747263B1 (ko) 드라이버ic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2052750B1 (ko) 터치 스크린 구동 장치
KR20120034500A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KR20150025778A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11307698B2 (en) Touch display device,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808339B1 (ko) 터치 스크린과 그 구동방법, 및 그 터치 스크린 패널을 포함한 표시장치
KR20150000586A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90045766A (ko) 터치 표시 장치,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
KR102189480B1 (ko) 터치패널 표시장치
KR101859967B1 (ko) 플렉서블 인쇄회로보드를 포함한 표시장치
KR102520692B1 (ko) 터치 센싱 시스템
KR20190054693A (ko) 터치표시장치, 표시패널, 공통전극 구동회로 및 구동방법
KR20180002395A (ko) 터치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