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2664A - 활 발시 연습기 - Google Patents

활 발시 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2664A
KR20130022664A KR1020110085429A KR20110085429A KR20130022664A KR 20130022664 A KR20130022664 A KR 20130022664A KR 1020110085429 A KR1020110085429 A KR 1020110085429A KR 20110085429 A KR20110085429 A KR 20110085429A KR 20130022664 A KR20130022664 A KR 20130022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
archery
practice
bowing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5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준
Original Assignee
김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준 filed Critical 김현준
Priority to KR1020110085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2664A/ko
Publication of KR20130022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6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5/00Bows; Crossbows
    • F41B5/14Details of bows; Accessories for arc shooting
    • F41B5/1442Accessories for arc or bow shooting
    • F41B5/1476Devices for archery tra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활 (국궁, 양궁)이 화살을 걸지 않고 쏘면 활이 부러지게 되서 활을 배운지 얼마 안되는 사람들이 활터 아닌곳에서 활쏘기에 어려움을 느끼고 또 그 자세의 틀림을 교정하는데 어려운 현실을 극복하고자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활의 발시 연습을 할수 있게 하는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탄력밴드(1)를 활에 연결함에 있어서 신축방해튜브(2)를 통과하게 한후 절피부위(4)를 연결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활 발시 연습기{instrument of bowing Practice}
본 발명은 활 발시 연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활을 간단하게 만들고 안전 장치를 장착하여 장소에 구애됨이 없고, 다른 사람과 자신에게 위험함이 없이 활 발시하는 연습을 할 수 있게 만드는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국민 소득증가에 따른 스포츠 인구의 확산에 비례하여 활쏘기 (국궁, 양궁, 활을 이용한 기타 스포츠) 인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고, 특히 양궁교실과 국궁교실이 지역별로 점차 확대되고 있는 있다. 하지만 현대인은 선조들과 달리 등쪽 근육을 사용할 일이 별로 없는 관계로 인하여 활을 배울때 활을 당기는 연습만 (화살 없이) 해야하는 지난한 과정을 거치고 있다. 그 과정을 거친 이후라도 다른 스포츠와 달리 명백한 개인 스포츠로 개인의 연습량과 사용 근육의 차이로 말미암아 최종 목적인 화살을 과녁에 적중 시키는 것은 국궁, 양궁 모두 지겨운 연습(활 당기기)을 지나야 겨우 사대에 서서 활을 쏘기 시작 한다.
현재 사용되는 활은 크개 국궁, 양궁용 으로 나뉘어져 있으나 양궁은 경기용인 리커브 보우(올림픽 경기) 와 컴포짓 보우(도르래가 달린 스포츠 및 사냥용) 로 나뉘어져 있다. 활을 당기기 위한 연습 기간은 모두 동일 하다고 생각되나 (개인차가 심하기에) 명중율은 컴포짓 보우 > 리커브 보우> 국궁 순으로 되어 있다. 이런 차이는 화살이 날라갈때 생기는 파라독스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컴포짓 보우가 파라독스가 가장 적게 생기기 때문에 명중율이 비교할 수 없이 좋은 그런 차이가 생긴다. 컴포짓 보우는 발시기 라는 장비(시위를 잡은 모양이 〔〕에서 ┗┛로 변하면서 화살이 날아감 )를 사용하여 파라독스 없이 화살을 발시하나, 양궁(리커브보우)과 국궁은 손가락을 사용하는 관계로 화살의 끝(시위에 걸리는 부분)이 오른손 잡이의 경우 양궁은 왼쪽으로, 국궁은 오른쪽으로 향한후 발시 되면서 생기는 파라독스 때문에 명중율의 차이가 생긴다. 국궁이 양궁보다 명중율이 낮은 이유는 양궁은 자신의 턱 까지 활을 당기고 국궁은 자신의 귀 아래까지 당기는 차이에서 오며 화살이 발시될때 국궁의 파라독스가 훨씬 많이 생기는 현상과, 양궁에서 사용하는 가늠자가 없이 자신의 감 으로 화살을 쏘는 것에 있다고 본다.
양궁(이하 리커브 보우 를 칭한다) 과 국궁의 파라독스 현상은 제거 할 수 없는 현상이며 활의 명중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최대한 파라독스 현상을 줄이거나 일정하게 유지해야 한다고 보면 이는 활을 많이 쏘는 연습의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활은 집에서 연습이 불가능한 상황이며 ( 화살을 걸지 않고 활을 당겼다 놓으면 활이 부러지게 되므로 집에서는 활을 당겼다가 천천히 제자리로 돌려 놓아야 한다) 반복 연습을 통해 파라독스를 줄이거나 일정하게 유지하기란 무척이나 힘들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일 것이다. 활을 쏘는 궁사가 집에서 마음편히 활 쏘는 연습을 할 수 있다면 활을 쏘는 자세를 바르게 바꾸거나, 과녁에 화살을 맞추는 확율이 좀더 빠르게 올릴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탄력있는 여러 재료로 활의 시위를 대채하여 연습기를 만들때 시위를 당겨서 탄력튜브를 신장시킨후 화살의 발시순간을 재현시 탄력튜브가 팔이나 손등을 때려는 현상을 제거하여 장소에 구애됨 없이 활의 발시 연습을 할 수 있게 한다.
활의 여러 부위중 손잡이(사진 3 국궁의 예)는 국궁과 양궁의 기존 모양으로 만들고 활대의 길이는 축소시켜 작게 만든 후 탄력밴드와 신장후 발시 행동후 탄력밴드가 신축될때 제자리로 돌아오면서 팔 또는 손등을 때리는 것을 방해하는 튜브로 활의 시위를 대신하여 만든다. 이는 활 발시 시 빈활을 쏘면 활이 부러지기에 활 발시 연습을 줄에 매달린 화살로 하거나, 거울을 보면서 3~5cm만 당기고 화살 발시하는 손의 모습을 연습하기에 활터에서 활을 낼때 활의 버티는 힘이 크므로 당기는 것에 급급하여 사법에 따른 효과적인 연습이 불가능 하다. 국궁과 양궁활을 화살 없이 발시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대채품으로 탈력밴드를 이용 활대의 부러짐 없이 발시 연습을 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이 역시 탄력밴드가 팔이나 손등을 때리게 되는 현상이 생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탄력밴드가 신축시 팔이나 손등을 때리는 것을 방해하기 위해 탄력밴드를 적정 길이의 신축방지튜브에 끼워 활과 조립하면 탈력밴드가 줄어들때 어느 이상 손과 가까워 지는 것을 방해하여 탄력밴드가 팔이나 손을 치지 않게 하여 화살 없이 활의 시위를 당길시 자신에 맞는 길이를 당기면서도 발시 연습을 할 수 있게 만든 '활 발시 연습기'에 관한것 이다.
파라독스 현상을 줄이거나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활을 당긴후 천천히 제자리로 돌리는 것이 아닌 화살을 발시하는 것과 같이 화살 없이도 활을 당긴후 순간적으로 시위를 놓아버리는 연습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는 모든 활은 화살없이 시위를 놓아버리면 활은 2~3번 연습후 부러지게 된다. 이에 활터에 가서 줄에 건 화살을 쏘거나 사대에 서서 활을 발시하는 것 자체가 연습이 되는 현실이다. 하지만 "활 발시 연습기"를 사용하면 활터에 가지 않아도 집에서 아무 위험 없이 충분한 연습을 할 수 있게 되어 궁사는 좀더 빠른시간 내에 실력 향상을 달성 할수 있게 된다.
사진 1 ("활 발시 연습기" 중요부위)
번호 1- 탄력밴드, 2- 신축 방해 튜브, 3- 손잡이(줌통) 및 연습기 본체
사진 2 ( "활 발시 연습기" 전체 모습)
번호 4- 절피 (활 시위중 화살을 끼우는 부위)
활 발시 연습기를 만들때 탄력튜브(1)를 신축 방해 튜브(2)에 끼운후 활 발시 연습기를 조립한다
파라독스 현상 - 국궁 양궁 화살 발시시 생기는 편차 (손가락에 걸고 시위를 당기기에 발시시 손가락 끝 마디 만큼 화살 출발점이 왼쪽(양궁) 또는 오른쪽(국궁)으로 움직이며 발시되는 현상)로 화살이 날아갈 때 물고기 처럼 좌우로 흔들리면서 날아가는 현상. .

Claims (1)

  1. 활 발시 연습기의 절피 부위를 화살이 걸린것 처럼 신장 시킨후 그 자리에서 놓았을때 생기는 탄력밴드(1)의 과신축으로 팔과 손등을 탄력밴드(1)가 때리는 현상을 신축방해튜브(2)가 해소하는 장치를 만들때 탄력밴드(1)를 신축 방해 튜브(2)에 통과시킨후 절피(4) 부위와 연결한 활 연습기의 구조.
KR1020110085429A 2011-08-26 2011-08-26 활 발시 연습기 KR201300226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429A KR20130022664A (ko) 2011-08-26 2011-08-26 활 발시 연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429A KR20130022664A (ko) 2011-08-26 2011-08-26 활 발시 연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664A true KR20130022664A (ko) 2013-03-07

Family

ID=48175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429A KR20130022664A (ko) 2011-08-26 2011-08-26 활 발시 연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26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36545B2 (en) 2015-07-20 2019-10-08 AccuBow LLC Adjustable archery training bow
US11073356B2 (en) 2015-07-20 2021-07-27 AccuBow LLC Virtual reality archery train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36545B2 (en) 2015-07-20 2019-10-08 AccuBow LLC Adjustable archery training bow
US11073356B2 (en) 2015-07-20 2021-07-27 AccuBow LLC Virtual reality archery train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10054C (en) Throwing device
US8079942B2 (en) Archery training device
US5592928A (en) Archery practice device
KR20130022664A (ko) 활 발시 연습기
JPH04502809A (ja) アーチェリー練習装置
Applegate Kill or get killed: riot control techniques, manhandling, and close combat, for police and the military
US8668602B1 (en) Athletic swinging train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Shillingford The elite forces handbook of unarmed combat
Shishida A Judo that incorporates Kendo: Jigoro Kano’s ideas and their theoretical development
Karlsson et al. Experimental blowgun injuries, ballistic aspects of modern blowguns
Abraldes et al. Throwing velocity in elite water polo from different areas of the swimming pool
CN102865773B (zh) 激光瞄准弹弓
US8366572B1 (en) Throwing arrow
Murray et al. Throwing the Ancient Greek Dory: How Effective is the Attached Ankyle at Increasing the Distance of the Throw?
CN203857868U (zh) 滑道弓
Nešić et al. Self-defence techniques as an instrument of competitor's development in karate sport
US3965882A (en) Self-projecting elastic type projecting device
CN200965450Y (zh) 杀蝇枪
Daud Shooting Techniques in Archery Sport Based on Biomechanics Engineering: Arm Vibration Analysis
WO2024085621A1 (ko) 안전 활 및 화살장치
Martin Complete Martial Arts Training Manual: An Integrated Approach (Downloadable Media Included)
McKissick et al. The Liu Seong Kuntao Broken Mirror System
Karim et al. The effect of exercises using a training device in developing the angles of starting and entering the ball for shooting from jumping for basketball players under 18 years
Demura Karate
Fury Vortex Control Self-Defense: Hand to Hand Street Fighting Tac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