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2309A -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 - Google Patents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2309A
KR20130022309A KR1020110085552A KR20110085552A KR20130022309A KR 20130022309 A KR20130022309 A KR 20130022309A KR 1020110085552 A KR1020110085552 A KR 1020110085552A KR 20110085552 A KR20110085552 A KR 20110085552A KR 20130022309 A KR20130022309 A KR 20130022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jaw joint
patient
treatment
high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5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0438B1 (ko
Inventor
김용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루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루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루다
Priority to KR1020110085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438B1/ko
Publication of KR20130022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셋 형상의 프레임을 통해 고주파 전극과 저출력 레이저가 턱관절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하고, 치료시 환부의 온도에 따라 고주파와 레이저의 출력이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로서, 헤드셋 프레임; 상기 헤드셋 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환자의 턱관절 환부에 밀착되고, 상기 환자의 턱관절 환부에 치료용 고주파 신호와 치료용 저출력 레이저를 출력하는 치료부; 상기 치료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턱관절 환부와 상기 환부 주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부; 및 상기 치료부로 고주파 신호 및 저출력 레이저 신호의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온도 센서부로부터 검출되는 온도에 따라 상기 고주파 신호 및 저출력 레이저 신호의 출력 세기가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헤드셋 형상의 프레임을 통해 고주파 전극과 저출력 레이저가 턱관절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하여 환자의 치료 효과를 개선할 수 있고, 치료시 환자의 턱관절 환부 온도에 따라 고주파와 레이저의 출력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치료과정에서 고주파 전극의 발열로 인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 {APPARATUS FOR RELIEVING PAIN OF TEMPRORMANDIBULAR JOINT}
본 발명은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셋 형상의 프레임을 통해 고주파 전극과 저출력 레이저가 턱관절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하고, 치료시 환부의 온도에 따라 고주파와 레이저의 출력이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턱관절은 아래턱뼈와 머리뼈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관절로서, 아래턱뼈와 머리뼈 사이에는 관절원판이 존재하며, 이 관절원판은 뼈와 뼈가 직접 만나 움직일 때 생길 수 있는 부작용을 방지하는 완충 역할을 한다.
상기 관절원판이 정상 위치를 벗어나거나 마모되었을 때 턱관절 장애가 발생하고, 이러한 턱관절 장애는 턱관절 통증이나 운동 장애로 대부분 턱관절 주위 근육 이상과 동반하여 나타난다.
또한, 턱관절 장애 중 하나인 측두하악 장애는 턱관절을 움직이거나 음식물을 씹는데 쓰이는 근육의 이상을 말하는데, 이러한 측두하악 장애가 발생할 경우 나타나는 증상은 턱관절에서 소리가 나거나 심한 통증으로 입을 벌리기 어렵고 귀나 뺨, 머리 옆쪽, 목, 어깨 등에서 통증이 나타난다.
또한, 입을 벌릴 때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벌어지는 경로가 일정하지 않은 것도 유사한 증상이다.
한편, 이러한 턱관절 장애를 유발하는 원인으로는 이갈이, 이 악물기, 수면자세 불량, 턱 괴기 등의 나쁜 생활 습관이나, 외상, 스트레스로 인한 심리적 불안과 긴장, 우울 등이 있다.
이러한 턱관절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진통제, 근육 이완제 등을 이용한 약물치료요법과, 찜질, 경피성 신경자극, 적외선, 고주파 전극, 저출력 레이저 등을 이용한 물리치료요법과, 수술적 치료가 있다.
특히 물리치료에 많이 사용되는 고주파 전극과 저출력 레이저는 통증을 완화시키고 치료하는 효과가 크지만 시술 시간이 30분에서 1시간 정도 소요되고, 고주파 전극을 이용한 치료의 경우 치료사가 환자의 환부를 계속으로 문질러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고주파 전극을 이용한 치료시 환자의 환부에 고주파 전극이 고정되어 있을 경우 고주파 전극의 특성상 고주파 전극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저온 화상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턱관절의 특성상 치료 부위가 안면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성을 가지는데 종래의 고주파 장치는 활성 전극에서만 열이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좌우를 교대로 시술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헤드셋 형상의 프레임을 통해 고주파 전극과 저출력 레이저가 턱관절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하고, 치료시 환부의 온도에 따라 고주파와 레이저의 출력이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로서,
헤드셋 프레임; 상기 헤드셋 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환자의 턱관절 환부에 밀착되고, 상기 환자의 턱관절 환부에 치료용 고주파 신호와 치료용 저출력 레이저를 출력하는 치료부; 상기 치료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턱관절 환부와 상기 환부 주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부; 및 상기 치료부로 고주파 신호 및 저출력 레이저 신호의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온도 센서부로부터 검출되는 온도에 따라 상기 고주파 신호 및 저출력 레이저 신호의 출력 세기가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헤드셋 프레임은 "U"자 형상의 본체 프레임;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양단부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치료부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는 보조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치료부가 환자의 턱관절 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되어 환자의 턱과 밀착되도록 하는 턱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헤드셋 프레임은 "U"자 형상으로 양단부가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본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절곡된 본체 프레임의 단부에 상기 치료부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치료부가 환자의 턱관절 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되어 환자의 머리 후면과 밀착하는 보조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환자의 머리 크기에 따라 상기 보조 고정부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헤드셋 프레임은 "∩"자 형상의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양단부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치료부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는 보조 프레임; 및 상기 치료부가 환자의 턱관절 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머리 후면과 밀착하는 보조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치료부는 환자의 턱관절 환부와 밀착되는 치료부 본체; 상기 치료부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환자의 턱관절 환부에 치료용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는 고주파 전극부; 및 상기 치료부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환자의 턱관절 환부에 치료용 저출력 레이저를 출력하는 저출력 레이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주파 전극부는 유니폴라 또는 바이폴라 전극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콘트롤러부는 사용자로부터 동작 제어 신호를 검출하는 키 입력부;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검출된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치료부로 고주파 신호 및 저출력 레이저 신호의 동작 제어 신호와, 상기 온도 센서부로부터 검출되는 온도에 따라 상기 고주파 신호 및 저출력 레이저 신호의 출력 세기를 조절하여 출력되도록 조절하는 조절 신호와, 상기 콘트롤러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 신호를 출력하는 치료부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표시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헤드셋 형상의 프레임을 통해 고주파 전극과 저출력 레이저가 턱관절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하여 환자의 치료 효과를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치료시 환자의 턱관절 환부 온도에 따라 고주파와 레이저의 출력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치료과정에서 고주파 전극의 발열로 인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의 제 1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도 1에 따른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의 콘트롤러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 은 도 1에 따른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의 제 2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도 4에 따른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의 위치 고정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도 4에 따른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의 제 3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의 제 1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의 콘트롤러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100)는 본체 프레임(110)과 치료부(120)와 턱 고정부(130)와 보조 프레임(140)과 콘트롤러부(200)와 온도 센서부(220)와 고주파 전극부(250)와 저출력 레이저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 프레임(110)은 "U"자 형상으로 환자의 턱관절 환부에 상기 치료부(120)가 밀착되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110)은 환자의 얼굴 크기에 따라 상기 치료부(120)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양단부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보조 프레임(14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110)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보조 프레임(140)이 삽입/인출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도록 보조 프레임 길이 조절부(11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110)의 중앙에는 상기 치료부(120)가 환자의 턱관절 환부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본체 프레임(110)의 내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턱 고정부(130)가 설치되어 환자가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100)를 착용할 때 상기 턱 고정부(130)가 환자의 턱과 밀착되어 상기 통증 완화 장치(100)를 정확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치료부(120)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한 반구 형상의 부재로써, 본체 프레임(110)에 삽입/인출되는 보조 프레임(140)의 단부에 반구형상의 치료부 본체가 설치되어 환자의 턱관절 환부에 밀착되고, 상기 환자의 턱관절 환부와 그 주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부(220)와, 상기 환자의 턱관절 환부에 치료용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는 고주파 전극부(250)와, 치료용 저출력 레이저를 출력하는 저출력 레이저부(260)를 수납하여 고정되도록 하며, 환자의 턱관절 환부로 상기 치료용 고주파 신호와 저출력 레이저가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콘트롤러부(200)는 연결 케이블(280)을 통해 치료부(120)에 설치된 고주파 전극부(250)와 저출력 레이저부(260)로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상기 연결 케이블(280)을 통해 온도 센서부(220)로부터 검출되는 온도를 입력받으며, 상기 검출된 온도에 따라 상기 고주파 전극부(250)와 저출력 레이저부(260)가 출력하는 고주파 신호 및 저출력 레이저 신호의 출력 세기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사각 형상의 콘트롤러부 케이스와 키 입력부(210)와 제어부(240)와 디스플레이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키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동작 제어 신호를 검출하는 구성으로서, 키패드, 버튼,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240)는 키 입력부(210)로부터 검출된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치료부(120)에 설치된 고주파 전극부(250)와 저출력 레이저부(260)로 고주파 신호 및 저출력 레이저 신호의 출력을 위한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치료부(120)에 설치된 온도 센서부(220)로부터 검출되는 턱관절 환부 및 그 주변의 온도에 따라 상기 고주파 신호 및 저출력 레이저 신호의 출력 세기를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조절한 조절 신호를 출력한다.
즉, 특정 위치에 밀착되어 고주파 신호 및 저출력 레이저가 일정 시간 집중되는 경우 환자의 피부에 발열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환자에 따라 반응하는 정도의 차이나 발열 느낌의 주관적 차이로 인해 출력 세기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 상기 온도 센서부(220)로부터 검출되는 온도 정보에 따라 출력 세기를 가감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40)는 키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설정 정보와 고주파 전극부(250) 및 저출력 레이저부(26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디스플레이부(270)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온도 센서부(220)는 치료부(120)에 설치되어 환자의 턱관절 환부와 상기 환부 주변의 온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온도를 제어부(240)로 출력한다.
상기 고주파 전극부(250)는 상기 치료부 본체에 설치되어 제어부(240)로부터 출력되는 동작 제어 신호와 출력 세기 조절 신호에 따라 상기 환자의 턱관절 환부에 치료용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고, 유니폴라 또는 바이폴라 전극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출력 레이저부(260)는 상기 치료부 본체에 설치되어 제어부(240)로부터 출력되는 동작 제어 신호와 출력 세기 조절 신호에 따라 상기 환자의 턱관절 환부에 치료용 저출력 레이저를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70)는 제어부(240)로부터 출력되는 표시 신호에 따라 키 입력부(21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설정 정보와 고주파 전극부(250) 및 저출력 레이저부(260)의 동작 상태가 표시되도록 하고, LED, LCD, 세븐세그먼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230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이다.
(제 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의 제 2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따른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의 위치 고정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따른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300)는 본체 프레임(310)과 치료부(320)와 보조 고정부(330)와 위치 조절부(340)과 콘트롤러부(200)와 온도 센서부(220)와 고주파 전극부(250)와 저출력 레이저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콘트롤러부(200)와 온도 센서부(220)와 고주파 전극부(250)와 저출력 레이저부(260)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이 있는 헤드셋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본체 프레임(310)은 "U"자 형상으로 상기 본체 프레임(310)의 양단부는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환자가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300)를 착용할 경우 상기 절곡된 부분이 환자의 귀에 걸처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310)의 절곡된 양쪽 단부에는 치료부(320)가 결합되어 귀 아래에 위치된 턱관절과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치료부(320)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한 반구 형상의 부재로써, 본체 프레임(310)의 단부에 반구형상의 치료부 본체가 고정 설치되어 환자의 턱관절 환부와 밀착되고, 상기 환자의 턱관절 환부와 그 주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부(220)와, 상기 환자의 턱관절 환부에 치료용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는 고주파 전극부(250)와, 치료용 저출력 레이저를 출력하는 저출력 레이저부(260)를 수납하여 고정되도록 하며, 환자의 턱관절 환부로 상기 치료용 고주파 신호와 저출력 레이저가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보조 고정부(330)는 치료부(320)가 환자의 턱관절 환부에 더욱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하고, 본체 프레임(310)이 환자의 머리 상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본체 프레임(310)의 중앙에 설치되어 환자의 머리 후면과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위치 조절부(340)는 본체 프레임(310)을 관통하여 보조 고정부(330)와 연결되어 환자의 머리 크기에 따라 상기 보조 고정부(330)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고, 상기 가변된 위치에서 본체 프레임(3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의 걸림턱(341)이 형성된다.
(제 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의 제 3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400)는 본체 프레임(410)과 치료부(420)와 보조 프레임(430)와 보조 고정부(440)과 콘트롤러부(200)와 온도 센서부(220)와 고주파 전극부(250)와 저출력 레이저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콘트롤러부(200)와 온도 센서부(220)와 고주파 전극부(250)와 저출력 레이저부(260)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이 있는 헤드셋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본체 프레임(410)은 "∩"자 형상으로 환자의 턱관절 환부에 상기 치료부(320)가 밀착되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410)은 환자의 얼굴 크기에 따라 상기 치료부(320)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양단부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보조 프레임(43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410)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보조 프레임(430)이 삽입/인출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도록 보조 프레임 길이 조절부(411)가 설치된다.
상기 치료부(420)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한 반구 형상의 부재로써, 본체 프레임(410)의 단부에 반구형상의 치료부 본체가 고정 설치되어 환자의 턱관절 환부와 밀착되고, 상기 환자의 턱관절 환부와 그 주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부(220)와, 상기 환자의 턱관절 환부에 치료용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는 고주파 전극부(250)와, 치료용 저출력 레이저를 출력하는 저출력 레이저부(260)를 수납하여 고정되도록 하며, 환자의 턱관절 환부로 상기 치료용 고주파 신호와 저출력 레이저가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보조 프레임(430)은 환자 등에 의해 본체 프레임(410)으로 삽입 또는 인출되며 이동하여 상기 치료부(420)가 환자의 턱관절 환부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프레임 길이를 조절하며, 상기 보조 프레임 길이 조절부(411)를 통해 본체 프레임(410)에 고정된다.
상기 보조 고정부(440)는 띠 형상으로 치료부(420)가 환자의 턱관절 환부에 더욱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하고, 본체 프레임(410)이 환자의 머리 상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보조 고정부(440)의 양단부는 상기 본체 프레임(410)과 연결되어 환자가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400)를 머리에 착용한 경우 본체 프레임(410)이 움직이지 않도록 환자의 머리 후면과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따라서 헤드셋 형상의 프레임을 통해 고주파 전극과 저출력 레이저가 턱관절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하여 환자의 치료 효과를 개선할 수 있고, 치료시 환자의 턱관절 환부 온도에 따라 고주파와 레이저의 출력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치료과정에서 고주파 전극의 발열로 인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
110 : 본체 프레임 111 : 보조 프레임 길이 조절부
120 : 치료부 130 : 턱 고정부
140 : 보조 프레임 200 : 콘트롤러부
210 : 키 입력부 220 : 온도 센서부
230 : 전원부 240 : 제어부
250 : 고주파 전극부 260 : 저출력 레이저부
270 : 디스플레이부 280 : 연결 케이블
300 :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 310 : 본체 프레임
311 : 보조 프레임 길이 조절부 320 : 치료부
330 : 보조 고정부 340 : 위치 조절부
341 : 걸림턱 400 :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
410 : 본체 프레임 411 : 보조 프레임 길이 조절부
420 : 치료부 430 : 보조 프레임
440 : 보조 고정부

Claims (10)

  1.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로서,
    헤드셋 프레임;
    상기 헤드셋 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환자의 턱관절 환부에 밀착되고, 상기 환자의 턱관절 환부에 치료용 고주파 신호와 치료용 저출력 레이저를 출력하는 치료부;
    상기 치료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턱관절 환부와 상기 환부 주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부; 및
    상기 치료부로 고주파 신호 및 저출력 레이저 신호의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온도 센서부로부터 검출되는 온도에 따라 상기 고주파 신호 및 저출력 레이저 신호의 출력 세기가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부를 포함하는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셋 프레임은 "U"자 형상의 본체 프레임;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양단부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치료부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는 보조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부가 환자의 턱관절 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되어 환자의 턱과 밀착되도록 하는 턱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셋 프레임은 "U"자 형상으로 양단부가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본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절곡된 본체 프레임의 단부에 상기 치료부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부가 환자의 턱관절 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되어 환자의 머리 후면과 밀착하는 보조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환자의 머리 크기에 따라 상기 보조 고정부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통증 환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셋 프레임은 "∩"자 형상의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양단부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치료부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는 보조 프레임; 및
    상기 치료부가 환자의 턱관절 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머리 후면과 밀착하는 보조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부는 환자의 턱관절 환부와 밀착되는 치료부 본체;
    상기 치료부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환자의 턱관절 환부에 치료용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는 고주파 전극부; 및
    상기 치료부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환자의 턱관절 환부에 치료용 저출력 레이저를 출력하는 저출력 레이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전극부는 유니폴라 또는 바이폴라 전극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부는 사용자로부터 동작 제어 신호를 검출하는 키 입력부;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검출된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치료부로 고주파 신호 및 저출력 레이저 신호의 동작 제어 신호와, 상기 온도 센서부로부터 검출되는 온도에 따라 상기 고주파 신호 및 저출력 레이저 신호의 출력 세기를 조절하여 출력되도록 조절하는 조절 신호와, 상기 콘트롤러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 신호를 출력하는 치료부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표시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
KR1020110085552A 2011-08-26 2011-08-26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 KR101280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552A KR101280438B1 (ko) 2011-08-26 2011-08-26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552A KR101280438B1 (ko) 2011-08-26 2011-08-26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309A true KR20130022309A (ko) 2013-03-06
KR101280438B1 KR101280438B1 (ko) 2013-06-28

Family

ID=48175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552A KR101280438B1 (ko) 2011-08-26 2011-08-26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4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723A (ko) * 2015-07-09 2017-01-18 주식회사 루트로닉 치료장치 및 치료장치의 제어 방법
CN109529199A (zh) * 2019-01-22 2019-03-29 宋吉杰 一种普外科微波消炎镇痛机
KR102501041B1 (ko) * 2022-08-25 2023-02-17 양원석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1325A1 (en) * 2021-05-14 2022-11-17 Tivic Health Systems Inc. Tmj treatment device with adaptive circuit
WO2022246001A1 (en) * 2021-05-18 2022-11-24 Tivic Health Systems Inc. Microcurrent tmj treatment device with an adaptive trigg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266Y1 (ko) * 2002-01-29 2002-05-06 김병철 광화학적 치료용 레이저/엘이디 포단
KR100952944B1 (ko) * 2008-04-16 2010-04-16 (주)클래시스 개인용 피부미용 관리장치
BRPI0914310A2 (pt) * 2008-06-20 2015-10-13 Medrelife Inc sistemas, aparelhos, e métodos para prover eletroterapia não transcraniana
CA2749264A1 (en) * 2008-12-11 2010-06-17 Bmr Research & Development Limited Facial stimulation apparatu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723A (ko) * 2015-07-09 2017-01-18 주식회사 루트로닉 치료장치 및 치료장치의 제어 방법
US11318324B2 (en) 2015-07-09 2022-05-03 Lutronic Corporation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reatment apparatus
CN109529199A (zh) * 2019-01-22 2019-03-29 宋吉杰 一种普外科微波消炎镇痛机
KR102501041B1 (ko) * 2022-08-25 2023-02-17 양원석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0438B1 (ko) 201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2681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dulating stimuli to the brain with biosensors
US7844340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ural stimulation
US20200345970A1 (en) Multimodal, modular, magnetically coupled transcutaneous auricular stimulation system includ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optimization of stimulation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US20210085974A1 (en) Auricular stimul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s of use
KR101280438B1 (ko)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
US20200338348A1 (en) Multimodal Transcutaneous Auricular Stimulation System Includ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f Treatment, Feedback Collection and Remote Therapist Control
US2017036829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dermal electrical stimulation to improve sleep
KR102462616B1 (ko) 목 어깨 재활치료 장치
KR200409904Y1 (ko) 고주파 전기전극치료기
KR101530772B1 (ko) 턱관절 통증 완화장치
JP2015231511A (ja) 電気治療器
WO2019226656A1 (en) A non-pharmaceutical method of managing pain
KR101263581B1 (ko) 실시간 피드백 제어를 이용하는 신체 자극장치
KR20190100655A (ko) 광선을 포함한 자가 프로그래밍 저주파 자극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310484A (zh) 一种用于缓解情绪及压力的促进健康装置
EP3983059A1 (en) Ear device and paired treatments involving nerve stimulation
CN207768390U (zh) 一种具有大脑检测及头部按摩的一体化装置
KR20140148075A (ko) 바이오 피드백을 이용한 저주파 마스크 장치
WO2014129690A1 (ko) 턱관절 통증 완화장치
CN212282157U (zh) 一种便携式电子遥控自动伸缩穴位按摩颈部牵引器
KR101524976B1 (ko) 온열 저주파 베개
US20180028297A1 (en) Unbalanced tongue-pressing occluder
JP2023509244A (ja) 経穴刺激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経穴刺激方法
CN207266731U (zh) 一种腰椎治疗腰带
KR102501041B1 (ko) 턱관절 통증 완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