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2296A -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2296A
KR20130022296A KR1020110085403A KR20110085403A KR20130022296A KR 20130022296 A KR20130022296 A KR 20130022296A KR 1020110085403 A KR1020110085403 A KR 1020110085403A KR 20110085403 A KR20110085403 A KR 20110085403A KR 20130022296 A KR20130022296 A KR 20130022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layer
layer
metal layer
solar cell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54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54236B1 (en
Inventor
황철주
이호영
이정현
Original Assignee
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10085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236B1/en
Publication of KR20130022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2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2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16Coatings
    • H01L31/02161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167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01L31/02168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the coatings being antireflective or having enhancing optical properties for the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08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2425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66Electrodes made of transparent conductive layers, e.g. TCO, ITO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3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crystalline planes
    • H01L31/039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crystalline planes including thin films deposited on metallic or insulating substrates ; characterised by specific substrate materials or substrate features or by the presence of intermediate layers, e.g. barrier layers, on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PURPOSE: A solar cel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reduce manufacturing costs by using an electroless plating process and a sputtering process using a mask. CONSTITUTION: A second semiconductor layer(200) is formed on one side of a first semiconductor layer(100). A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30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 first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The first electrode includes a first metal layer(410) and a second metal layer formed on the first metal layer. A third semiconductor layer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The second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Description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태양전지(Solar Cell)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ar cell.

태양전지는 반도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Solar cells are devices that convert light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using the properties of semiconductors.

태양전지는 P(positive)형 반도체와 N(negative)형 반도체를 접합시킨 PN접합 구조를 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의 태양전지에 태양광이 입사되면, 입사된 태양광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에 의해 상기 반도체 내에서 정공(hole) 및 전자(electron)가 발생하고, 이때, PN접합에서 발생한 전기장에 의해서 상기 정공(+)는 P형 반도체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전자(-)는 N형 반도체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전위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전력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The solar cell has a PN junction structure in which a P (positive) semiconductor and a N (negative) semiconductor are bonded to each other. When sunlight is incident on the solar cell having such a structure, Holes and electrons are generated in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At this time, the holes (+) move toward the p-type semiconductor due to the electric field generated at the PN junction and the electrons (- So that power can be produced.

이와 같은 태양전지는 일반적으로 기판형 태양전지와 박막형 태양전지로 구분할 수 있다. Such a solar cell generally can be classified into a substrate type solar cell and a thin film type solar cell.

상기 기판형 태양전지는 실리콘과 같은 반도체물질 자체를 기판으로 이용하여 태양전지를 제조한 것이고, 상기 박막형 태양전지는 유리 등과 같은 기판 상에 박막의 형태로 반도체를 형성하여 태양전지를 제조한 것이다. The substrate type solar cell is a solar cell manufactured using a semiconductor material such as silicon as a substrate, and the thin film type solar cell is a solar cell manufactured by forming a semiconductor in the form of a thin film on a substrate such as glass.

상기 기판형 태양전지는 상기 박막형 태양전지에 비하여 효율이 다소 우수한 장점이 있고, 상기 박막형 태양전지는 상기 기판형 태양전지에 비하여 제조비용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The substrate-type solar cell has an advantage that it is somewhat more efficient than the thin-film solar cell, and the thin-film solar cell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substrate-type solar cell.

이하 도면을 참조로 종래의 태양전지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conventional solar cel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종래의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solar cell.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태양전지는, 제1 반도체층(10), 제2 반도체층(20), 제1 전극(30), 제3 반도체층(40), 및 제2 전극(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can be seen in FIG. 1, a conventional solar cell includes a first semiconductor layer 10,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 a first electrode 30, a third semiconductor layer 40, and a second electrode 50. )

상기 제1 반도체층(10)은 반도체 웨이퍼로 이루어진다.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 is made of a semiconductor wafer.

상기 제2 반도체층(20)은 상기 제1 반도체층(10)의 상면에 박막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3 반도체층(40)은 상기 제1 반도체층(10)의 하면에 박막 형태로 형성되며, 이와 같은 제1 반도체층(10), 제2 반도체층(20), 및 제3 반도체층(40)의 조합에 의해 PN접합구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 in a thin film form, and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4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 in a thin film form. The PN junction structure is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 and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40.

상기 제1 전극(30)은 상기 제2 반도체층(20)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전극(50)은 상기 제3 반도체층(40) 상에 형성되어, 각각 태양전지의 (+)전극 또는 (-)전극을 이루게 된다. The first electrode 30 is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 and the second electrode 50 is formed on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40, respectively,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solar cell. Or (-) electrode.

이와 같은 종래의 태양전지에 태양광이 입사되면 상기 제1 반도체층(10)에서 정공(hole) 또는 전자(electron)와 같은 캐리어(carrier)가 생성되고, 이와 같은 캐리어는 상기 제2 반도체층(20)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전극(30)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상기 제3 반도체층(40)을 경유하여 상기 제2 전극(50)으로 이동하게 된다. When sunlight is incident on the conventional solar cell, a carrier such as a hole or an electron is generated i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 and the carrier is formed i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 The first electrode 30 is moved via 20 and the second electrode 50 is moved via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40.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태양전지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solar cell has the following disadvantages.

종래의 태양전지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30) 및 제2 전극(50)은 주로 스크린 프린팅을 이용하여 형성하는데, 이와 같은 스크린 프린팅을 이용할 수 있는 재료는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태양전지는 그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In the conventional solar cell, the first electrode 30 and the second electrode 50 are mainly formed by screen printing, and the material capable of using such screen printing has a disadvantage of high price. Therefore, the conventional solar cell has a disadvantage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태양전지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극 재료로서 종래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한 대체 재료를 이용함과 더불어 그와 같은 대체 재료를 이용하여 전극을 형성할 수 있는 보다 효율적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solar cell, and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alternative material which is cheaper than the prior art as an electrode material and can form an electrode using such an alternative material.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more efficient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1 반도체층; 상기 제1 반도체층의 일면에 형성된 제2 반도체층; 상기 제2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 상기 제1 반도체층의 타면에 형성된 제3 반도체층; 및 상기 제3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제1 전극은 제1 금속층 및 상기 제1 금속층 상에 형성된 제2 금속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irst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 first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 third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wherein the first electrode comprises a first metal layer and a second metal layer formed on the first metal layer. To provide.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서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metal layer may be formed in the same pattern by the same process as the first metal layer.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과 상이한 공정에 의해서 상이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과 결정 구조가 상이할 수 있고,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의 측면 및 상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metal layer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pattern by a different process from the first metal layer, wherein the second metal layer may have a different crystal structure from the first metal layer, and the second metal layer may be formed in the first metal layer. It may be formed to cover the side and top of the metal layer.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과 동일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상기 제2 금속층과 상기 제1 금속층은 Cu, Al, Mo, 및 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metal layer may be made of the same metal material as the first metal layer, and in this case, the second metal layer and the first metal layer may be made of any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Al, Mo, and W. have.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과 상이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상기 제1 금속층은 Cu, Al, Mo, 및 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금속층은 Cu, Al, Mo, 및 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다른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금속층은 Cu, Al, Mo, 및 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금속층은 Ag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금속층은 Ag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금속층은 Cu, Al, Mo, 및 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metal layer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different from the first metal layer, wherein the first metal layer is made of any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Al, Mo, and W, and the second metal layer Silver may be made of another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Al, Mo, and W. Alternatively, the first metal layer may be made of any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Al, Mo, and W, and the second metal layer may be made of Ag. Alternatively, the first metal layer may be made of Ag, and the second metal layer may be made of any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Al, Mo, and W.

상기 제2 전극은 제3 금속층 및 상기 제3 금속층 상에 형성된 제4 금속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may include a third metal layer and a fourth metal layer formed on the third metal layer.

상기 제2 반도체층과 상기 제1 전극 사이에 제1 투명도전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3 반도체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제2 투명도전층이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기 제2 반도체층 사이 및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기 제3 반도체층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진성 반도체층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반도체층 및 제3 반도체층 중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층은 저농도 도핑된 반도체층 및 상기 저농도 도핑된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고농도 도핑된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may be formed between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wherei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An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at least on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betwee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may be formed of a lightly doped semiconductor layer and a heavily doped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lightly doped semiconductor layer.

상기 제2 반도체층 상에 반사방지층이 형성될 수 있다. An antireflection layer may be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상기 제1 반도체층은 반도체 웨이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반도체층 및 제3 반도체층은 박막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may be formed of a semiconductor waf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may be formed of a thin film layer.

상기 제1 반도체층, 제2 반도체층, 및 제3 반도체층은 반도체 웨이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may be formed of a semiconductor wafer.

본 발명은 또한, 반도체 웨이퍼로 이루어진 제1 반도체층의 일면에 제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2 반도체층 상에 제1 투명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1 투명도전층 상에 제1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1 반도체층의 타면에 제3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3 반도체층 상에 제2 투명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제2 투명도전층 상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제1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은, 소정의 패턴의 제1 마스크를 이용한 스퍼터링 공정으로 제1 금속층을 패턴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제1 금속층 상에 제2 금속층을 패턴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rocess for forming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on one surface of a first semiconductor layer made of a semiconductor wafer; Forming a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Forming a first electrode on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Forming a third semiconductor layer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Forming a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on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And forming a second electrode on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wherein the forming of the first electrode comprises patterning the first metal layer by a sputtering process using a first mask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solar cell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nd pattern forming a second metal layer on the first metal layer.

상기 제2 금속층을 패턴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제1 마스크를 이용한 스퍼터링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과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process of patterning the second metal layer may be performed by a sputtering process using the first mask, and in this case, the second metal layer may be formed in the same pattern as the first metal layer.

상기 제2 금속층을 패턴 형성하는 공정은 무전해 도금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과 결정 구조가 상이할 수 있고,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의 측면 및 상면을 덮도록 형성할 수 있다. The process of patterning the second metal layer may be performed by an electroless plating process, the second metal layer may have a different crystal structure from the first metal layer, and the second metal layer may have a side surfac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metal layer. It can be formed to cover.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과 동일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2 금속층과 상기 제1 금속층은 Cu, Al, Mo, 및 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metal layer may be made of the same metal material as the first metal layer, and the second metal layer and the first metal layer may be made of any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Al, Mo, and W.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과 상이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상기 제1 금속층은 Cu, Al, Mo, 및 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금속층은 Cu, Al, Mo, 및 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다른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금속층은 Cu, Al, Mo, 및 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금속층은 Ag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금속층은 Ag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금속층은 Cu, Al, Mo, 및 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metal layer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different from the first metal layer, wherein the first metal layer is made of any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Al, Mo, and W, and the second metal layer Silver may be made of another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Al, Mo, and W. In addition, the first metal layer may be made of any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Al, Mo, and W, and the second metal layer may be made of Ag. In addition, the first metal layer may be made of Ag, and the second metal layer may be made of any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Al, Mo, and W.

상기 제2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은, 소정의 패턴의 제2 마스크를 이용한 스퍼터링 공정으로 제3 금속층을 패턴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제3 금속층 상에 제4 금속층을 패턴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orming of the second electrode may include forming a third metal layer by a sputtering process using a second mask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and forming a fourth metal layer on the third metal layer. have.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기 제2 반도체층 사이 및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기 제3 반도체층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진성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forming an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between at least on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betwee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상기 제2 반도체층 및 제3 반도체층 중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저농도 도핑된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저농도 도핑된 반도체층 상에 고농도 도핑된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tep of forming at least one semiconductor layer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includes a step of forming a lightly doped semiconductor layer and a step of forming a high concentration doped semiconductor layer on the lightly doped semiconductor layer. Can be.

또한, 본 발명은, 반도체 웨이퍼의 일면에 도펀트를 도핑하여 제1 반도체층의 상면에 제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2 반도체층 상에 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반사방지층 상에 제1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1 반도체층의 타면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및 열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제1 전극이 상기 반사방지층을 뚫고 상기 제2 반도체층까지 침투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제2 전극이 상기 제1 반도체층의 타면으로 침투하여 제3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제1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은, 소정의 패턴의 제1 마스크를 이용한 스퍼터링 공정으로 제1 금속층을 패턴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제1 금속층 상에 제2 금속층을 패턴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forming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by doping a dopant on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Forming an anti-reflection layer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Forming a first electrode on the anti-reflection layer; Forming a second electrode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performing a heat treatment to allow the first electrode to penetrate the antireflection layer and penetrate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penetrates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to form a third semiconductor layer. In this case, the step of forming the first electrode, the step of forming a pattern of the first metal layer by the sputtering process using a first mask of a predetermined pattern and the pattern of the second metal layer on the first metal layer It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상기 제2 금속층을 패턴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제1 마스크를 이용한 스퍼터링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과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process of patterning the second metal layer may be performed by a sputtering process using the first mask, and in this case, the second metal layer may be formed in the same pattern as the first metal layer.

상기 제2 금속층을 패턴 형성하는 공정은 무전해 도금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과 결정 구조가 상이할 수 있고,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의 측면 및 상면을 덮도록 형성할 수 있다. The process of patterning the second metal layer may be performed by an electroless plating process, wherein the second metal layer may have a crystal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metal layer, and the second metal layer may have a side surface of the first metal layer. And an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를 이용한 스퍼터링 공정 및 무전해 도금 공정을 이용함으로써 고가의 재료 사용을 줄일 수 있어 태양전지의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sputtering process and an electroless plating process using a mask, the use of expensive materials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solar cell.

도 1은 종래의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공정 단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h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공정 단면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f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공정 단면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f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공정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solar cell.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to 10H are schematic process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to 11H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A to 12F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A to 13F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는, 제1 반도체층(100), 제2 반도체층(200), 제1 투명도전층(300), 제1 전극(400), 제3 반도체층(500), 제2 투명도전층(600), 및 제2 전극(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can be seen in Figure 2, the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0, the first electrode 400,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500,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600, and the second electrode 700 may be formed.

상기 제1 반도체층(100)은 반도체 웨이퍼, 예로서 실리콘 웨이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N형 실리콘 웨이퍼 또는 P형 실리콘 웨이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반도체층(100)은 상기 제2 반도체층(200) 및 상기 제3 반도체층(500) 중 어느 하나의 반도체층과 동일한 극성으로 이루어진다.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may be formed of a semiconductor wafer, for example, a silicon wafer. Specifically,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may be formed of an N-type silicon wafer or a P-type silicon wafer.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has the same polarity as any on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and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500.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반도체층(10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는 요철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반도체층(100)의 상면 및 하면에 요철구조가 형성된 경우, 상기 제2 반도체층(200), 제1 투명도전층(300), 제3 반도체층(500), 및 제2 투명도전층(600)의 표면에도 요철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an uneven structure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When the uneven structure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0,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500, and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 Concave-convex structure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600).

상기 제2 반도체층(20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로 이루어진 제1 반도체층(100)의 상면에 박막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 반도체층(200)은 상기 제1 반도체층(100)과 함께 PN접합을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 반도체층(100)이 N형 실리콘 웨이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2 반도체층(200)은 P형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 반도체층(200)은 붕소(B)와 같은 3족 원소로 도핑된 P형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thin fil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ma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may form a PN j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Therefore, whe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is formed of an N-type silicon wafer,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may be formed. 200 may be formed of a P-type semiconductor layer. In particular,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may be made of P-type amorphous silicon doped with a Group III element such as boron (B).

일반적으로, 정공의 드리프트 이동도(drift mobility)가 전자의 드리프트 이동도 보다 낮기 때문에 입사광에 의한 정공의 수집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P형 반도체층을 수광면에 가깝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수광면에 가까운 상기 제2 반도체층(200)이 P형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In general, since the drift mobility of holes is lower than the drift mobility of electrons, it is preferable to form a P-type semiconductor layer close to the light-receiving surface in order to maximize hole collection efficiency due to incident light.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close to the surface is made of a P-type semiconductor layer.

상기 제1 투명도전층(300)은 상기 제2 반도체층(200)의 상면에 박막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 투명도전층(300)은 상기 제1 반도체층(100)에서 생성된 캐리어, 예로서 정공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캐리어를 상기 제1 전극(400)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thin fil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0 collects carriers, for example, holes generated i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and moves the collected carriers to the first electrode 400.

이와 같은 제1 투명도전층(300)은 ITO(Indium Tin Oxide), ZnOH, ZnO:B, ZnO:Al, SnO2, SnO2:F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중에서 ITO가 선택될 수 있다.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ZnOH, ZnO: B, ZnO: Al, SnO 2 , SnO 2 : F, and the like. Can be.

상기 제1 전극(400)은 상기 제1 투명도전층(300) 상에 형성되어 태양전지의 전면(前面)을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태양전지 내부로 태양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전극(400)은 소정 형태로 패턴 형성된다. The first electrode 400 is formed on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0 to form a front surface of the solar cell. Therefore, the first electrode 400 is patterned to have a predetermined shape so that sunlight can penetrate into the solar cell.

상기 제1 전극(400)은 제1 금속층(410) 및 제2 금속층(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400 may include a first metal layer 410 and a second metal layer 420.

상기 제1 금속층(410)은 상기 제1 투명도전층(300) 상에 패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 금속층(410)은 소정 패턴의 제1 마스크를 이용한 스퍼터링(Sputtering) 공정으로 패턴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metal layer 410 is patterned on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0. The first metal layer 410 may be patterned by a sputtering process using a first mask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상기 제2 금속층(420)은 상기 제1 금속층(410) 상에 패턴 형성된다. 상기 제2 금속층(420)은 상기 제1 금속층(410)과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금속층(420)은 상기 제1 금속층(410) 형성 공정과 동일한 공정, 즉, 상기 제1 마스크를 이용한 스퍼터링 공정으로 패턴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금속층(410)과 상기 제2 금속층(420)은 동일한 제1 마스크를 이용하여 연속 공정으로 패턴 형성할 수 있다. The second metal layer 420 is patterned on the first metal layer 410. The second metal layer 420 may be formed in the same pattern as the first metal layer 410. The second metal layer 420 may be patterned by the same process as that of forming the first metal layer 410, that is, by a sputtering process using the first mask. In particular, the first metal layer 4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420 may be patterned in a continuous process using the same first mask.

상기 제1 금속층(410)의 두께는 상기 제2 금속층(420)의 두께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The thickness of the first metal layer 410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thickness of the second metal layer 420.

상기 제1 금속층(410)과 제2 금속층(420)은 서로 동일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경우, 상기 제1 금속층(410)과 제2 금속층(420)은 Cu, Al, Mo, 및 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metal layer 4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420 may be made of the same metal material. In this case, the first metal layer 4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420 may be formed of Cu, Al, Mo, and W. It may be made of any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상기 제1 금속층(410)과 제2 금속층(420)은 서로 상이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경우, 상기 제1 금속층(410)은 Cu, Al, Mo, 및 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금속층(420)은 Cu, Al, Mo, 및 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다른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metal layer 4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420 may be made of different metal materials. In this case, the first metal layer 410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Al, Mo, and W. It is made of a metal and the second metal layer 420 may be made of another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Al, Mo, and W.

또한, 상기 제1 금속층(410)은 Cu, Al, Mo, 및 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금속층(420)은 Ag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금속층(410)은 Ag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금속층(420)은 Cu, Al, Mo, 및 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metal layer 410 may be made of any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Al, Mo, and W, and the second metal layer 420 may be made of Ag. In addition, the first metal layer 410 may be made of Ag, and the second metal layer 420 may be made of any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Al, Mo, and W.

상기 제3 반도체층(50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로 이루어진 제1 반도체층(100)의 하면에 박막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3 반도체층(500)은 상기 제2 반도체층(200)과 극성이 상이하게 형성되는데, 상기 제2 반도체층(200)이 붕소(B)와 같은 3족 원소로 도핑된 P형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3 반도체층(500)은 인(P)과 같은 5족 원소로 도핑된 N형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제3 반도체층(500)은 N형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5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thin film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ma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500 is formed to have a different polarity from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is a P-type semiconductor layer doped with a Group III element such as boron (B). In this case,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500 is formed of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doped with a Group 5 element such as phosphorus (P). In particular,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500 may be made of N-type amorphous silicon.

상기 제2 투명도전층(600)은 상기 제3 반도체층(500)의 하면에 박막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 투명도전층(600)은 상기 제1 반도체층(100)에서 생성된 캐리어, 예로서 전자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캐리어를 상기 제2 전극(700)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6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thin film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500.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600 collects carriers, eg, electrons, generated i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and moves the collected carriers to the second electrode 700.

이와 같은 제2 투명도전층(600)은 ITO(Indium Tin Oxide), ZnOH, ZnO:B, ZnO:Al, SnO2, SnO2:F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60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ZnOH, ZnO: B, ZnO: Al, SnO 2 , SnO 2 : F, or the like.

상기 제2 전극(700)은 상기 제2 투명도전층(600)의 하면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2 전극(700)은 태양전지의 맨 후면(後面)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2 투명도전층(600)의 하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반사되는 태양광이 태양전지의 후면을 통해 입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70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600. Since the second electrode 70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olar cell, the second electrode 700 may be formed on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600, but the reflected sunlight is incident on the rear surface of the solar cell. In order to be able to, the pattern can be formed, as shown.

상기 제2 전극(700)은 제3 금속층(710) 및 제4 금속층(7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700 may include a third metal layer 710 and a fourth metal layer 720.

상기 제3 금속층(710)은 상기 제2 투명도전층(600) 상에 패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3 금속층(710)은 소정 패턴의 제2 마스크를 이용한 스퍼터링(Sputtering) 공정으로 패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마스크는 전술한 제1 마스크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The third metal layer 710 is patterned on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600. The third metal layer 710 may be patterned by a sputtering process using a second mask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The second mask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first mask described above.

상기 제4 금속층(720)은 상기 제3 금속층(710) 상에 패턴 형성된다. 상기 제4 금속층(720)은 상기 제3 금속층(710)과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4 금속층(720)은 상기 제3 금속층(710) 형성 공정과 동일한 공정, 즉, 상기 제2 마스크를 이용한 스퍼터링 공정으로 패턴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3 금속층(710)과 상기 제4 금속층(720)은 동일한 제2 마스크를 이용하여 연속 공정으로 패턴 형성할 수 있다. The fourth metal layer 720 is patterned on the third metal layer 710. The fourth metal layer 720 may be formed in the same pattern as the third metal layer 710. The fourth metal layer 720 may be patterned by the same process as that of forming the third metal layer 710, that is, by a sputtering process using the second mask. In particular, the third metal layer 710 and the fourth metal layer 720 may be patterned in a continuous process by using the same second mask.

상기 제3 금속층(710)의 두께는 상기 제4 금속층(720)의 두께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The thickness of the third metal layer 710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thickness of the fourth metal layer 720.

상기 제3 금속층(710)과 제4 금속층(720)은 서로 동일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경우, 상기 제3 금속층(710)과 제4 금속층(720)은 Cu, Al, Mo, 및 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hird metal layer 710 and the fourth metal layer 720 may be made of the same metal material. In this case, the third metal layer 710 and the fourth metal layer 720 may be formed of Cu, Al, Mo, and W. It may be made of any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상기 제3 금속층(710)과 제4 금속층(720)은 서로 상이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경우, 상기 제3 금속층(710)은 Cu, Al, Mo, 및 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 금속층(720)은 Cu, Al, Mo, 및 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다른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hird metal layer 710 and the fourth metal layer 720 may be formed of different metal materials. In this case, the third metal layer 710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Al, Mo, and W. It is made of a metal and the fourth metal layer 720 may be made of another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Al, Mo, and W.

또한, 상기 제3 금속층(710)은 Cu, Al, Mo, 및 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 금속층(720)은 Ag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금속층(710)은 Ag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 금속층(720)은 Cu, Al, Mo, 및 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rd metal layer 710 may be made of any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Al, Mo, and W, and the fourth metal layer 720 may be made of Ag. In addition, the third metal layer 710 may be made of Ag, and the fourth metal layer 720 may be made of any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Al, Mo, and W.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제1 전극(400) 및 제2 전극(700)의 구조가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2에 도시한 태양전지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the solar cell illustrated in FIG. 2 except that the structures of the first electrode 400 and the second electrode 700 are changed. Is the same as Therefore,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and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same elements will be omitted.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 전극(400)은 제1 금속층(410) 및 제2 금속층(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s can be seen in FIG. 3, the first electrode 400 may include a first metal layer 410 and a second metal layer 420.

상기 제1 금속층(410)은 상기 제1 투명도전층(300) 상에 패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 금속층(410)은 소정 패턴의 제1 마스크를 이용한 스퍼터링(Sputtering) 공정으로 패턴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metal layer 410 is patterned on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0. The first metal layer 410 may be patterned by a sputtering process using a first mask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상기 제2 금속층(420)은 상기 제1 금속층(410) 상에 패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금속층(420)은 상기 제1 금속층(410)과 상이한 패턴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금속층(420)은 상기 제1 금속층(410)의 측면 및 상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2 금속층(420)은 도금공정, 특히, 무전해 도금공정으로 패턴 형성할 수 있다. The second metal layer 420 is patterned on the first metal layer 410. In this case, the second metal layer 420 is formed in a different pattern from the first metal layer 410.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metal layer 420 is formed to cover the side and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metal layer 410. The second metal layer 420 may be patterned by a plating process, in particular, an electroless plating process.

상기 제1 금속층(410)의 두께는 상기 제2 금속층(420)의 두께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The thickness of the first metal layer 410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thickness of the second metal layer 420.

상기 제1 금속층(410)과 제2 금속층(420)은 서로 동일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경우, 상기 제1 금속층(410)과 제2 금속층(420)은 Cu, Al, Mo, 및 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metal layer 4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420 may be made of the same metal material. In this case, the first metal layer 4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420 may be formed of Cu, Al, Mo, and W. It may be made of any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이와 같이, 상기 제1 금속층(410)과 제2 금속층(420)이 서로 동일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상기 제1 금속층(410)은 스퍼터링 공정으로 패턴형성된 것이고 상기 제2 금속층(420)은 도금공정으로 패턴형성된 것이므로, 상기 제1 금속층(410)과 제2 금속층(420)의 결정구조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first metal layer 4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420 are made of the same metal material, the first metal layer 410 is patterned by a sputtering process and the second metal layer 420 is plated. Since the pattern is formed, the crystal structures of the first metal layer 4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42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제1 금속층(410)과 제2 금속층(420)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서로 상이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first metal layer 4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420 may be made of different metal material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일반적으로 스퍼터링 공정의 경우 적층시간이 오래 걸리는 점을 고려할 때, 스퍼터링 공정만으로 제1 금속층(410)과 제2 금속층(420)을 형성하는 것에 비하여 스퍼터링 공정과 도금공정을 조합하는 것이 공정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that the sputtering process takes a long time in lamination, it is a process time to combine the sputtering process and the plating process as compared to forming the first metal layer 4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420 only by the sputtering process. This can be shortened.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2 전극(700)은 제3 금속층(710) 및 제4 금속층(7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electrode 700 may include a third metal layer 710 and a fourth metal layer 720.

상기 제3 금속층(710)은 상기 제2 투명도전층(600) 상에 패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3 금속층(710)은 소정 패턴의 제2 마스크를 이용한 스퍼터링(Sputtering) 공정으로 패턴 형성할 수 있다. The third metal layer 710 is patterned on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600. The third metal layer 710 may be patterned by a sputtering process using a second mask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상기 제4 금속층(720)은 상기 제3 금속층(710) 상에 패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4 금속층(720)은 상기 제3 금속층(710)과 상이한 패턴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4 금속층(720)은 상기 제3 금속층(710)의 측면 및 하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4 금속층(720)은 도금공정, 특히, 무전해 도금공정으로 패턴 형성할 수 있다. The fourth metal layer 720 is patterned on the third metal layer 710. In this case, the fourth metal layer 720 is formed in a different pattern from the third metal layer 710. More specifically, the fourth metal layer 720 is formed to cover side and bottom surfaces of the third metal layer 710. The fourth metal layer 720 may be patterned by a plating process, in particular, an electroless plating process.

상기 제3 금속층(710)의 두께는 상기 제4 금속층(720)의 두께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The thickness of the third metal layer 710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thickness of the fourth metal layer 720.

상기 제3 금속층(710)과 제4 금속층(720)은 서로 동일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경우, 상기 제3 금속층(710)과 제4 금속층(720)은 Cu, Al, Mo, 및 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hird metal layer 710 and the fourth metal layer 720 may be made of the same metal material. In this case, the third metal layer 710 and the fourth metal layer 720 may be formed of Cu, Al, Mo, and W. It may be made of any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상기 제3 금속층(710)과 제4 금속층(720)이 서로 동일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상기 제3 금속층(710)은 스퍼터링 공정으로 패턴형성된 것이고 상기 제4 금속층(720)은 도금공정으로 패턴형성된 것이므로, 상기 제3 금속층(710)과 제4 금속층(720)의 결정구조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Although the third metal layer 710 and the fourth metal layer 720 are made of the same metal material, the third metal layer 710 is patterned by a sputtering process and the fourth metal layer 720 is patterned by a plating process. As such, the crystal structures of the third metal layer 710 and the fourth metal layer 72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제3 금속층(710)과 제4 금속층(720)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서로 상이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third metal layer 710 and the fourth metal layer 720 may be made of different metal material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도 3에 따른 태양전지에서, 상기 제1 전극(400) 및 제2 전극(700)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이 도 2에 따른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solar cell according to FIG. 3, any one of the first electrode 400 and the second electrode 700 may be formed in the structure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제1 반도체층(100)과 제2 반도체층(200) 사이에 제1 진성 반도체층(150)이 추가로 형성됨과 더불어 제1 반도체층(100)와 제3 반도체층(500) 사이에 제2 진성 반도체층(450)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2에 도시한 태양전지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In addition, the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is additionally formed betwee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and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500, and is the same as the solar cell illustrated in FIG. 2.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nd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상기 제1 반도체층(100)의 표면에 고농도의 도펀트 가스를 이용하여 제2 반도체층(200) 또는 제3 반도체층(500)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고농도의 도펀트 가스에 의해서 상기 제1 반도체층(100)의 표면에 결함(Defect)이 발생할 수 있다. Whe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or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50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using a high concentration of dopant gas,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 Defect may occur on the surface of the 100).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반도체층(100)의 상면에 제1 진성 반도체층(150)을 형성하고 그 후 상기 제1 진성 반도체층(150) 상에 제2 반도체층(20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반도체층(100)의 상면에 결함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반도체층(100)의 하면에 제2 진성 반도체층(450)을 형성하고 그 후 상기 제2 진성 반도체층(450) 상에 제3 반도체층(50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반도체층(100)의 하면에 결함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Therefor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4,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and then on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to prevent defects from occurr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In addition, by forming a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and then forming a third semiconductor layer 500 on the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the first The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layer 100 i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efects.

한편, 도 4에는 제1 진성 반도체층(150)과 제2 진성 반도체층(450)이 모두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제1 진성 반도체층(150)과 제2 진성 반도체층(45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진성 반도체층 만을 형성할 수도 있다. Meanwhile, although FIG. 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both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and the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are formed, any one of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and the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is shown. It is also possible to form only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s.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제2 반도체층(200) 및 제3 반도체층(500)의 구조가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2에 도시한 태양전지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llustrated in FIG. 2 except that the structures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and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500 are changed. Same as solar cell.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nd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반도체층(200)은 상기 제1 반도체층(100)의 상면에 형성된 저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210) 및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210) 상에 형성된 고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220)으로 이루어진다. As can be seen in Figure 5,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is a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21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and the A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220 is formed on the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210.

또한, 상기 제3 반도체층(500)은, 상기 제1 반도체층(100)의 하면에 형성된 저농도 도핑된 제3 반도체층(510) 및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3 반도체층(510) 상에 형성된 고농도 도핑된 제3 반도체층(5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500 may be formed on the lightly doped third semiconductor layer 510 and the lightly doped third semiconductor layer 51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It may be formed of the doped third semiconductor layer 520.

본 명세서에서, 저농도 및 고농도는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210)은 상기 고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2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도펀트의 농도가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low concentration and high concentration are relative concepts, which means that the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210 has a relatively smaller concentration of dopant than the high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220.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210) 및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3 반도체층(510)은 각각 전술한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의 제1 진성 반도체층(150) 및 제2 진성 반도체층(450)과 동일한 역할을 한다. The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210 and the lightly doped third semiconductor layer 510 are respectively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and the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Play the same role as).

즉, 상기 제1 반도체층(100)의 상면에 저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210)을 먼저 형성하고 그 후에 상기 고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22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반도체층(100)의 상면에 결함(Defect) 발생이 방지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제1 반도체층(100)의 하면에 저농도 도핑된 제3 반도체층(510)을 먼저 형성하고 그 후에 상기 고농도 도핑된 제3 반도체층(52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반도체층(100)의 하면에 결함(Defect)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1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by first forming the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210 and then the second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220. Defects may be prevented from occurring on the top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and a lightly doped third semiconductor layer 510 is first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and then the heavily doped agent is formed. By forming the three semiconductor layers 520, defects may be prevented from occurring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따라서,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210) 및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3 반도체층(510)의 도펀트 농도는 상기 제1 반도체층(100)의 표면에 결함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the dopant concentrations of the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210 and the lightly doped third semiconductor layer 510 may be adjusted to prevent defects on the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Do.

도 5에 도시한 태양전지는 전술한 도 4에 도시한 태양전지에 비하여 생산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즉, 전술한 도 4에 도시한 태양전지는 제1 진성 반도체층(150) 및 제2 진성 반도체층(450)을 형성하기 위해서 증착 장비가 추가되고 공정이 복잡해져서 생산성이 떨어질 수 있지만, 도 5에 도시한 태양전지는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210)과 고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220)을 하나의 챔버 내에서 연속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3 반도체층(510)과 고농도 도핑된 제3 반도체층(520)을 하나의 챔버 내에서 연속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증착 장비나 공정이 추가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The solar cell shown in FIG. 5 has an advantage of superior productivity compared to the solar cell shown in FIG. 4 described above. That is, in the above-described solar cell shown in FIG. 4, although deposition equipment is added and the process is complicated to form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and the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productivity may be reduced, but FIG. 5. In the solar cell shown in FIG. 1, the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210 and the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220 may be performed in one chamber in a continuous process, and the lightly doped third semiconductor may be used. Since the layer 510 and the highly doped third semiconductor layer 520 may be performed in one chamber in a continuous process, an additional deposition apparatus or process may not be added.

한편, 도 5에는 제2 반도체층(200)이 저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210)과 고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220)으로 이루어지고, 제3 반도체층(500)이 저농도 도핑된 제3 반도체층(510)과 고농도 도핑된 제3 반도체층(520)으로 이루어진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어느 하나의 반도체층 만이 저농도 도핑된 반도체층과 고농도 도핑된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Meanwhile, in FIG. 5,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includes a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210 and a heavi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220, and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500 is lightly doped. Although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510 and the heavily doped third semiconductor layer 520 are illustrated, only one of the semiconductor layers may be formed of a lightly doped semiconductor layer and a heavily doped semiconductor layer.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제1 반도체층(100)과 제2 반도체층(200) 사이에 제1 진성 반도체층(150)이 추가로 형성됨과 더불어 제1 반도체층(100)와 제3 반도체층(500) 사이에 제2 진성 반도체층(450)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3에 도시한 태양전지와 동일하다.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In addition, except that the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and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500, the same as the solar cell illustrated in FIG. 3.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제2 반도체층(200)이 제1 반도체층(100)의 상면에 형성된 저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210) 및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210) 상에 형성된 고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220)으로 이루어지고, 제3 반도체층(500)이 제1 반도체층(100)의 하면에 형성된 저농도 도핑된 제3 반도체층(510) 및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3 반도체층(510) 상에 형성된 고농도 도핑된 제3 반도체층(520)으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3에 도시한 태양전지와 동일하다. FIG.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210 having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And a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220 formed on the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210, and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50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3 is the same as the solar cell illustrated in FIG. 3 except that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510 and the highly doped third semiconductor layer 520 formed on the lightly doped third semiconductor layer 510 are formed. .

이상과 같은 도 2 내지 도 7에 따른 태양전지는 기판형 태양전지와 박막형 태양전지가 조합된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고, 후술하는 도 8 및 도 9에 따른 태양전지는 기판형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2 to 7 as described above relates to a solar cell in which a substrate type solar cell and a thin film type solar cell are combined, and the solar cell according to FIGS. 8 and 9 to be described later relates to a substrate type solar cell.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는, 제1 반도체층(100), 제2 반도체층(200), 반사방지층(800), 제1 전극(400), 제3 반도체층(500), 및 제2 전극(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FIG.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an be seen in FIG. 8, the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and a second layer. The semiconductor layer 200 includes an antireflection layer 800, a first electrode 400, a third semiconductor layer 500, and a second electrode 700.

상기 제1 반도체층(100)은 반도체 웨이퍼, 예로서 실리콘 웨이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P형 실리콘 웨이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may be formed of a semiconductor wafer, for example, a silicon wafer. Specifically,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may be formed of a P-type silicon wafer.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반도체층(10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는 요철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an uneven structure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상기 제2 반도체층(200)은 상기 제1 반도체층(100)의 상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2 반도체층(200)은 반도체 웨이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P형 실리콘 웨이퍼에 N형 도펀트를 도핑함으로써, 상기 N형 도펀트가 도핑된 N층이 제2 반도체층(20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반도체층(200)의 표면에도 요철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may be formed of a semiconductor wafer. In particular, by doping an N-type dopant to a P-type silicon wafer, the N-layer doped with the N-type dopant constitutes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can do. An uneven structure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상기 반사방지층(800)은 상기 제2 반도체층(200) 상에 형성된다. 상기 반사방지층(800)은 SiNx 등의 박막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ntireflection layer 800 is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The anti-reflection layer 800 may be formed of a thin film layer such as SiNx.

상기 제1 전극(400)은 상기 제2 반도체층(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반사방지층(800)의 위쪽에서부터 상기 반사방지층(800)을 뚫고 상기 제2 반도체층(200)까지 연장되어 있다. The first electrode 400 is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Specifically, the first electrode 400 penetrates the anti-reflection layer 800 from the upper side of the anti-reflection layer 800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It extends to 200.

이와 같은 제1 전극(4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도 2에 도시한 태양전지에서와 동일하므로 반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first electrode 400 is the same as in the solar cell illustrated in FIG. 2 described above, repe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제3 반도체층(500)은 상기 제1 반도체층(100)의 하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3 반도체층(500)은 반도체 웨이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P형 실리콘 웨이퍼에 P형 도펀트를 도핑함으로써, 상기 P형 도펀트가 도핑된 P+층이 제3 반도체층(50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3 반도체층(500)의 표면에도 요철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50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500 may be formed of a semiconductor wafer. In particular, by doping a P-type dopant to a P-type silicon wafer, the P + layer doped with the P-type dopant constitutes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500. can do. An uneven structure may also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500.

상기 제2 전극(700)은 상기 제3 반도체층(500)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다. The second electrode 70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500.

상기 제2 전극(700)은 태양전지의 맨 후면(後面)에 형성되기 때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반도체층(500)의 하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전술한 도 2에서와 같이 제3 금속층(710) 및 제4 금속층(720)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Since the second electrode 70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olar cell, the second electrode 700 may be formed on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500 as shown, but the third electrode as shown in FIG. The metal layer 710 and the fourth metal layer 720 may be formed in a combination.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제1 전극(400)의 구조가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8에 따른 태양전지와 동일하다.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the same as the solar cell according to FIG. 8 except that the structure of the first electrode 400 is changed.

도 9에 따른 태양전지에 따르면, 제1 전극(400)의 구조가 도 3에 도시한 태양전지에서와 동일하다. According to the solar cell of FIG. 9, the structure of the first electrode 400 is the same as that of the solar cell of FIG. 3.

도 10a 내지 도 10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공정 단면도로서, 이는 전술한 도 2에 도시한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10A to 10H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lates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lar cell shown in FIG.

우선, 도 10a에서 알 수 있듯이, 반도체 웨이퍼로 이루어진 제1 반도체층(100)의 상면에 제2 반도체층(200)을 형성한다. First, as shown in FIG. 10A,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made of a semiconductor wafer.

상기 제1 반도체층(100)은 N형 실리콘 웨이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may be formed of an N-type silicon wafer.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반도체층(10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요철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제2 반도체층(200)을 형성하는 공정 이전에 텍스쳐 가공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텍스쳐 가공공정은 반응성 이온 에칭법(Reactive Ion etching: RIE)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습식 에칭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order to form a concave-convex structure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a texture process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efore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have. The texture processing process may be made by reactive ion etching (RIE), or may be made by wet etching.

상기 제2 반도체층(200)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제1 반도체층(100) 상에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법을 이용하여 P형 반도체층, 예로서 P형 비정질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a P-type semiconductor layer, for example, a P-type amorphous silicon layer, is form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by using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It can be made to the process.

한편, 상기 제2 반도체층(200)을 형성하는 공정 이전에 상기 제1 반도체층(100) 상에 제1 진성 반도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진성 반도체층은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법을 이용하여 I(Intrinsic)형 비정질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a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may be form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before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may be formed by forming an intrinsic (I) -type amorphous silicon layer using 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method.

또한, 상기 제2 반도체층(200)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제1 반도체층(100) 상에 저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210)을 형성하고,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210) 상에 고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220)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a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210 is form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and the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210 is formed. It may be a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20 doped with high concentration on the.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210)과 고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220)은 하나의 챔버 내에서 연속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하나의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챔버 내에서 붕소(B)와 같은 3족 원소의 도펀트 가스의 투입량을 조절하면서 상기 저농도 도핑된 P형의 제2 반도체층(210)과 고농도 도핑된 P형의 제2 반도체층(220)을 연속하여 형성할 수 있다. The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210 and the heavi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220 may be performed in a continuous process in one chamber. That is, the doped P-type semiconductor layer 210 and the highly doped P-type semiconductor layer 210 may be controlled while controlling the dopant gas of Group III elements such as boron (B) in one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chamber. The second P-type semiconductor layer 220 may be formed continuously.

다음, 도 10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2 반도체층(200) 상에 제1 투명도전층(300)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10B, a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0 is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상기 제1 투명도전층(300)을 형성하는 공정은 스퍼터링 또는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법을 이용하여 ITO(Indium Tin Oxide), ZnOH, ZnO:B, ZnO:Al, SnO2, SnO2:F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물질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rocess of forming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0 may be performed by sputtering or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indium tin oxide (ITO), ZnOH, ZnO: B, ZnO: Al, SnO 2 , SnO 2 : It may be a process of forming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yer such as F.

다음, 도 10c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 투명도전층(300) 상에 제1 금속층(410)을 패턴 형성한다. Next, as can be seen in Figure 10c, to form a pattern on the first metal layer 410 on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0).

상기 제1 금속층(410)은 소정 패턴의 제1 마스크(910)를 이용한 스퍼터링 공정으로 패턴 형성한다. The first metal layer 410 is patterned by a sputtering process using the first mask 910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다음, 도 10d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 금속층(410) 상에 제2 금속층(420)을 패턴 형성하여, 제1 금속층(410)과 제2 금속층(420)으로 이루어진 제1 전극(400)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10D, the second metal layer 420 is patterned on the first metal layer 410 to form a first electrode 400 including the first metal layer 4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420. To form.

상기 제2 금속층(420)은 상기 제1 금속층(410)의 패턴 형성 공정과 동일한 공정, 즉, 상기 제1 마스크(910)를 이용한 스퍼터링 공정으로 패턴 형성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1 금속층(410)과 제2 금속층(420)은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금속층(410)과 상기 제2 금속층(420)은 동일한 제1 마스크를 이용하여 연속 공정으로 패턴 형성할 수 있다. The second metal layer 420 may be patterned by the same process as the pattern forming process of the first metal layer 410, that is, by a sputtering process using the first mask 910, and thus, the first metal layer The 4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420 may be formed in the same pattern. In particular, the first metal layer 4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420 may be patterned in a continuous process using the same first mask.

상기 제1 금속층(410)과 제2 금속층(420)의 두께 및 재료 등은 전술한 도 2와 동일하므로 반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thickness, material, and the like of the first metal layer 4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420 are the same as those of FIG. 2, the repe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다음, 도 10e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 반도체층(100)의 하면에 제3 반도체층(500)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10E, a third semiconductor layer 50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상기 제3 반도체층(500)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제1 반도체층(100) 상에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법을 이용하여 N형 반도체층, 예로서 N형 비정질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500,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for example, an N-type amorphous silicon layer is form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by using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It can be made to the process.

다음, 도 10f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3 반도체층(500) 상에 제2 투명도전층(600)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10F, a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600 is formed on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500.

상기 제2 투명도전층(600)을 형성하는 공정은 스퍼터링 또는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법을 이용하여 ITO(Indium Tin Oxide), ZnOH, ZnO:B, ZnO:Al, SnO2, SnO2:F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물질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600 may be performed by sputtering or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indium tin oxide (ITO), ZnOH, ZnO: B, ZnO: Al, SnO 2 , SnO 2 : It may be a process of forming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yer such as F.

다음, 도 10g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2 투명도전층(600) 상에 제3 금속층(710)을 패턴 형성한다. Next, as can be seen in FIG. 10G, a third metal layer 710 is patterned on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600.

상기 제3 금속층(710)은 소정 패턴의 제2 마스크(920)를 이용한 스퍼터링 공정으로 패턴 형성한다. The third metal layer 710 is patterned by a sputtering process using the second mask 920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다음, 도 10h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3 금속층(710) 상에 제4 금속층(720)을 패턴 형성하여, 제3 금속층(710)과 제4 금속층(720)으로 이루어진 제2 전극(700)을 형성한다. Next, as can be seen in Figure 10h, by forming a fourth metal layer 720 on the third metal layer 710, the second electrode 700 consisting of a third metal layer 710 and the fourth metal layer 720. To form.

상기 제4 금속층(720)은 상기 제3 금속층(710)의 패턴 형성 공정과 동일한 공정, 즉, 상기 제2 마스크(920)를 이용한 스퍼터링 공정으로 패턴 형성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3 금속층(710)과 제4 금속층(720)은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3 금속층(710)과 상기 제4 금속층(720)은 동일한 제2 마스크를 이용하여 연속 공정으로 패턴 형성할 수 있다. The fourth metal layer 720 may be patterned by the same process as the pattern forming process of the third metal layer 710, that is, by the sputtering process using the second mask 920, and thus, the third metal layer 710 and the fourth metal layer 720 may be formed in the same pattern. In particular, the third metal layer 710 and the fourth metal layer 720 may be patterned in a continuous process by using the same second mask.

상기 제3 금속층(710)과 제4 금속층(720)의 두께 및 재료 등은 전술한 도 2와 동일하므로 반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thickness and the material of the third metal layer 710 and the fourth metal layer 720 are the same as those of FIG. 2 described above, repeat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1a 내지 도 11h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공정 단면도로서, 이는 전술한 도 3에 도시한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반복되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11A to 11H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lates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lar cell illustrated in FIG. 3.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peated configuration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우선, 도 11a에서 알 수 있듯이, 반도체 웨이퍼로 이루어진 제1 반도체층(100)의 상면에 제2 반도체층(200)을 형성한다. First, as shown in FIG. 11A,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made of a semiconductor wafer.

상기 제2 반도체층(200)을 형성하는 공정 이전에 상기 제1 반도체층(100) 상에 제1 진성 반도체층을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may be form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before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또한, 상기 제2 반도체층(200)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제1 반도체층(100) 상에 저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210)을 형성하고,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210) 상에 고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220)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a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210 is form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and the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210 is formed. It may be a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20 doped with high concentration on the.

다음, 도 11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2 반도체층(200) 상에 제1 투명도전층(300)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11B, a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0 is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다음, 도 11c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 투명도전층(300) 상에 제1 금속층(410)을 패턴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11C, the first metal layer 410 is patterned on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0.

상기 제1 금속층(410)은 소정 패턴의 제1 마스크(910)를 이용한 스퍼터링 공정으로 패턴 형성한다. The first metal layer 410 is patterned by a sputtering process using the first mask 910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다음, 도 11d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 금속층(410) 상에 제2 금속층(420)을 패턴 형성하여, 제1 금속층(410)과 제2 금속층(420)으로 이루어진 제1 전극(400)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11D, the second metal layer 420 is patterned on the first metal layer 410 to form a first electrode 400 including the first metal layer 4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420. To form.

상기 제2 금속층(420)은 상기 제1 금속층(410)의 패턴 형성 공정과 상이한 공정, 구체적으로는, 도금공정, 특히, 무전해 도금공정으로 패턴 형성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1 금속층(410)의 상면 및 측면을 덮도록 상기 제2 금속층(420)이 패턴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metal layer 420 may be patterned by a process different from the pattern forming process of the first metal layer 410, specifically, a plating process, in particular, an electroless plating process, and thus, the first metal layer The second metal layer 420 may be patterned to cover the top and side surfaces of the 410.

다음, 도 11e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 반도체층(100)의 하면에 제3 반도체층(500)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11E, a third semiconductor layer 50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다음, 도 11f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3 반도체층(500) 상에 제2 투명도전층(600)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11F, a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600 is formed on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500.

다음, 도 11g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2 투명도전층(600) 상에 제3 금속층(710)을 패턴 형성한다. Next, as can be seen in FIG. 11G, a third metal layer 710 is patterned on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600.

상기 제3 금속층(710)은 소정 패턴의 제2 마스크(920)를 이용한 스퍼터링 공정으로 패턴 형성한다. The third metal layer 710 is patterned by a sputtering process using the second mask 920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다음, 도 11h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3 금속층(710) 상에 제4 금속층(720)을 패턴 형성하여, 제3 금속층(710)과 제4 금속층(720)으로 이루어진 제2 전극(700)을 형성한다. Next, as can be seen in FIG. 11H, the fourth metal layer 720 is patterned on the third metal layer 710 to form a second electrode 700 including the third metal layer 710 and the fourth metal layer 720. To form.

상기 제4 금속층(720)은 상기 제3 금속층(710)의 패턴 형성 공정과 상이한 공정, 구체적으로는, 도금공정, 특히, 무전해 도금공정으로 패턴 형성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3 금속층(710)의 하면 및 측면을 덮도록 상기 제4 금속층(720)이 패턴 형성될 수 있다. The fourth metal layer 720 may be patterned by a process different from the pattern forming process of the third metal layer 710, specifically, a plating process, in particular, an electroless plating process, and thus, the third metal layer The fourth metal layer 720 may be patterned to cover the bottom and side surfaces of the 710.

이상은 제1 반도체층(100)의 상면에 제2 반도체층(200), 제1 투명도전층(300) 및 제1 전극(400)을 차례로 형성하고, 그 후에 상기 제1 반도체층(100)의 하면에 제3 반도체층(500), 제2 투명도전층(600) 및 제2 전극(7000)을 차례로 형성한 공정의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상기 공정을 다양하게 변경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0, and the first electrode 400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and the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is formed. An example of a process of sequentially forming a third semiconductor layer 500, a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600, and a second electrode 7000 on a lower surface thereof has been described, but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the above processes. It also includes the case of changing.

예로서, 본 발명은 제1 반도체층(100)의 상면에 제2 반도체층(200)을 형성하고 제1 반도체층(100)의 하면에 제3 반도체층(500)을 형성한 후, 그 후, 제2 반도체층(200) 상에 제1 투명도전층(300)을 형성하고 상기 제3 반도체층(500) 상에 제2 투명도전층(600)을 형성한 후, 그 후, 상기 제1 투명도전층(300) 상에 제1 전극(400)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투명도전층(600) 상에 제2 전극(700)을 형성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o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and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500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and then After forming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00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and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600 on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500, thereafter,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It also includes a case where the first electrode 400 is formed on the 300 and the second electrode 700 is formed on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600.

도 12a 내지 도 12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공정 단면도로서, 이는 전술한 도 8에 도시한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12A to 12F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lates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lar cell shown in FIG. 8 described above.

우선, 도 12a에서 알 수 있듯이, 제1 반도체층(100)의 상면에 제2 반도체층(200)을 형성한다. First, as shown in FIG. 12A,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상기 제1 반도체층(100)의 상면에 제2 반도체층(200)을 형성하는 공정은, 반도체 웨이퍼, 예로서 P형 실리콘 웨이퍼의 상면에 도펀트, 예로서 N형 도펀트를 도핑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도펀트가 도핑되지 않은 영역이 제1 반도체층(100)을 구성하고 도펀트가 도핑된 영역이 제2 반도체층(200)을 구성한다.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may include a process of doping a dopant, for example, an N-type dopant, on an upper surface of a semiconductor wafer, for example, a P-type silicon wafer. have. In this case, a region in which the dopant is not doped constitutes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and a region in which the dopant is doped constitutes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한편, 상기 도펀트를 도핑하는 공정 이전에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일면에 대한 텍스처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텍스처 공정은 반응성 이온 에칭법(Reactive Ion Etching:RIE)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a texture process on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may be performed before the dopant doping process. The texture process may be performed by using reactive ion etching (RIE).

다음, 도 12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2 반도체층(200) 상에 반사방지층(800)을 형성한다. Next, as can be seen in FIG. 12B, an antireflection layer 800 is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상기 반사방지층(800)은 SiNx 등의 박막층을 PECVD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antireflection layer 800 may form a thin film layer such as SiNx by PECVD.

다음, 도 12c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반사방지층(800) 상에 제1 금속층(410)을 패턴 형성한다. Next, as can be seen in Figure 12c, to form a pattern on the first metal layer 410 on the anti-reflection layer (800).

상기 제1 금속층(410)은 소정 패턴의 제1 마스크(910)를 이용한 스퍼터링 공정으로 패턴 형성한다. The first metal layer 410 is patterned by a sputtering process using the first mask 910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다음, 도 12d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 금속층(410) 상에 제2 금속층(420)을 패턴 형성하여, 제1 금속층(410)과 제2 금속층(420)으로 이루어진 제1 전극(400)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12D, the second metal layer 420 is patterned on the first metal layer 410 to form a first electrode 400 including the first metal layer 4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420. To form.

상기 제2 금속층(420)은 상기 제1 금속층(410)의 패턴 형성 공정과 동일한 공정, 즉, 상기 제1 마스크(910)를 이용한 스퍼터링 공정으로 패턴 형성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1 금속층(410)과 제2 금속층(420)은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금속층(410)과 상기 제2 금속층(420)은 동일한 제1 마스크를 이용하여 연속 공정으로 패턴 형성할 수 있다. The second metal layer 420 may be patterned by the same process as the pattern forming process of the first metal layer 410, that is, by a sputtering process using the first mask 910, and thus, the first metal layer The 4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420 may be formed in the same pattern. In particular, the first metal layer 4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420 may be patterned in a continuous process using the same first mask.

상기 제1 금속층(410)과 제2 금속층(420)의 두께 및 재료 등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The thickness, material, and the like of the first metal layer 4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420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다음, 도 12e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 반도체층(100)의 하면에 제2 전극(700)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12E, a second electrode 70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상기 제2 전극(700)은 Al과 같은 도펀트로 기능할 수 있는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The second electrode 700 is formed using a metal that can function as a dopant such as Al.

다음, 도 12f에서 알 수 있듯이, 고온에서 열처리(firing)를 수행한다. Next, as can be seen in Figure 12f, firing is performed at a high temperature.

상기와 같이 고온에서 열처리를 수행하면, 상기 제1 전극(400)이 상기 반사방지층(800)을 뚫고 상기 제2 반도체층(200)까지 침투하고, 또한, 상기 제2 전극(700)은 상기 제1 반도체층(100)의 하면으로 침투하여 제3 반도체층(500), 예로서 P+층이 형성된다. When the heat treatment is performed at a high temperatur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electrode 400 penetrates the anti-reflection layer 800 and penetrates to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and the second electrode 700 is formed of the first electrode.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500, for example, a P + layer, is formed by penetrating in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도 13a 내지 도 13f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공정 단면도로서, 이는 전술한 도 9에 도시한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13A to 13F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lates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lar cell illustrated in FIG. 9.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우선, 도 13a에서 알 수 있듯이, 제1 반도체층(100)의 상면에 제2 반도체층(200)을 형성한다. First, as shown in FIG. 13A,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다음, 도 13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2 반도체층(200) 상에 반사방지층(800)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13B, an anti-reflection layer 800 is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다음, 도 13c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반사방지층(800) 상에 제1 금속층(410)을 패턴 형성한다. Next, as can be seen in Figure 13c, to form a pattern on the first metal layer 410 on the anti-reflection layer (800).

상기 제1 금속층(410)은 소정 패턴의 제1 마스크(910)를 이용한 스퍼터링 공정으로 패턴 형성한다. The first metal layer 410 is patterned by a sputtering process using the first mask 910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다음, 도 13d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 금속층(410) 상에 제2 금속층(420)을 패턴 형성하여, 제1 금속층(410)과 제2 금속층(420)으로 이루어진 제1 전극(400)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13D, the second metal layer 420 is patterned on the first metal layer 410 to form the first electrode 400 including the first metal layer 4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420. To form.

상기 제2 금속층(420)은 상기 제1 금속층(410)의 패턴 형성 공정과 상이한 공정, 구체적으로는, 도금공정, 특히, 무전해 도금공정으로 패턴 형성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2 금속층(420)의 상면 및 측면을 덮도록 상기 제2 금속층(420)이 패턴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metal layer 420 may be patterned by a process different from the pattern forming process of the first metal layer 410, specifically, a plating process, in particular, an electroless plating process, and thus, the second metal layer The second metal layer 420 may be patterned to cover the top and side surfaces of the 420.

다음, 도 13e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 반도체층(100)의 하면에 제2 전극(700)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13E, a second electrode 70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다음, 도 13f에서 알 수 있듯이, 고온에서 열처리(firing)를 수행한다. 그리하면, 상기 제1 전극(400)이 상기 반사방지층(800)을 뚫고 상기 제2 반도체층(200)까지 침투하고, 또한, 상기 제2 전극(700)은 상기 제1 반도체층(100)의 하면으로 침투하여 제3 반도체층(500), 예로서 P+층이 형성된다. Next, as can be seen in Figure 13f, the firing is performed at a high temperature. Then, the first electrode 400 penetrates the anti-reflection layer 800 and penetrates to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200, and the second electrode 700 is formed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100. It penetrates into the lower surface to form a third semiconductor layer 500, for example, a P + layer.

100: 제1 반도체층 150: 제1 진성 반도체층
200: 제2 반도체층 210: 저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
220: 고농도 도핑된 제2 반도체층 300: 제1 투명도전층
400: 제1 전극 410: 제1 금속층
420: 제2 금속층 450: 제2 진성 반도체층
500: 제3 반도체층 510: 저농도 도핑된 제3 반도체층
520: 고농도 도핑된 제3 반도체층 600: 제2 투명도전층
700: 제2 전극 710: 제3 금속층
720: 제4 금속층 800: 반사방지층
910: 제1 마스크 920: 제2 마스크
100: first semiconductor layer 150: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200: second semiconductor layer 210: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220: heavi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300: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400: first electrode 410: first metal layer
420: second metal layer 450: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500: third semiconductor layer 510: lightly doped third semiconductor layer
520: highly doped third semiconductor layer 600: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700: second electrode 710: third metal layer
720: fourth metal layer 800: antireflection layer
910: first mask 920: second mask

Claims (39)

제1 반도체층;
상기 제1 반도체층의 일면에 형성된 제2 반도체층;
상기 제2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
상기 제1 반도체층의 타면에 형성된 제3 반도체층; 및
상기 제3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제1 전극은 제1 금속층 및 상기 제1 금속층 상에 형성된 제2 금속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A first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 first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 third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And a second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In this case, the first electrode comprises a first metal layer and a second metal layer formed on the first metal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서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metal layer is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ame pattern by the same process as the first metal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과 상이한 공정에 의해서 상이한 패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metal layer is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different pattern by a different process than the first metal lay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과 결정 구조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metal layer is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crystal structure is different from the first metal lay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의 측면 및 상면을 덮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metal layer is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cover the side and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metal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과 동일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metal layer is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the same metal material as the first metal lay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층과 상기 제1 금속층은 Cu, Al, Mo, 및 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cond metal layer and the first metal layer is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y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Al, Mo, and 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과 상이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metal layer is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different metal material than the first metal lay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층은 Cu, Al, Mo, 및 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금속층은 Cu, Al, Mo, 및 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다른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metal layer is made of any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Al, Mo, and W, the second metal layer is made of another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Al, Mo, and W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층은 Cu, Al, Mo, 및 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금속층은 Ag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metal layer is made of any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Al, Mo, and W, the second metal layer is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층은 Ag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금속층은 Cu, Al, Mo, 및 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metal layer is made of Ag, the second metal layer is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y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Al, Mo, and 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제3 금속층 및 상기 제3 금속층 상에 형성된 제4 금속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electrode comprises a third metal layer and a fourth metal layer formed on the third metal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도체층과 상기 제1 전극 사이에 제1 투명도전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3 반도체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제2 투명도전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The method of claim 1,
And a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formed betwee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formed between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기 제2 반도체층 사이 및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기 제3 반도체층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진성 반도체층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The method of claim 13,
An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is further formed between at least on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betwee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도체층 및 제3 반도체층 중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층은 저농도 도핑된 반도체층 및 상기 저농도 도핑된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고농도 도핑된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The method of claim 13,
At least one semiconductor layer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is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lightly doped semiconductor layer and a high concentration doped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lightly doped semiconductor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도체층 상에 반사방지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reflection layer is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층은 반도체 웨이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반도체층 및 제3 반도체층은 박막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is made of a semiconductor wafer,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is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thin film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층, 제2 반도체층, 및 제3 반도체층은 반도체 웨이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is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emiconductor wafer.
반도체 웨이퍼로 이루어진 제1 반도체층의 일면에 제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2 반도체층 상에 제1 투명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1 투명도전층 상에 제1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1 반도체층의 타면에 제3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3 반도체층 상에 제2 투명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제2 투명도전층 상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제1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은, 소정의 패턴의 제1 마스크를 이용한 스퍼터링 공정으로 제1 금속층을 패턴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제1 금속층 상에 제2 금속층을 패턴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Forming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made of a semiconductor wafer;
Forming a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Forming a first electrode on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Forming a third semiconductor layer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Forming a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on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And
It comprises a step of forming a second electrode on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In this case, the step of forming the first electrode includes a step of pattern-forming a first metal layer by a sputtering process using a first mask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and a step of pattern-forming a second metal layer on the first metal layer. Method for producing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mad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층을 패턴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제1 마스크를 이용한 스퍼터링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step of patterning the second metal layer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sputtering process using the first mask.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과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second metal layer is a solar cell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ame pattern as the first metal layer.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층을 패턴 형성하는 공정은 무전해 도금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process of forming the pattern of the second metal layer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 electroless plating process.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과 결정 구조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22,
The second metal layer is a solar cell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rystal structure is different from the first metal layer.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의 측면 및 상면을 덮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22,
The second metal layer is a solar cell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cover the side and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metal layer.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과 동일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second metal layer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the same metal material as the first metal layer.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층과 상기 제1 금속층은 Cu, Al, Mo, 및 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26. The method of claim 25,
The second metal layer and the first metal layer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y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Al, Mo, and W.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과 상이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second metal layer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different metal material than the first metal layer.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층은 Cu, Al, Mo, 및 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금속층은 Cu, Al, Mo, 및 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다른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28. The method of claim 27,
The first metal layer is made of any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Al, Mo, and W, the second metal layer is made of another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Al, Mo, and W Method for manufacturing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층은 Cu, Al, Mo, 및 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금속층은 Ag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28. The method of claim 27,
The first metal layer is made of any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Al, Mo, and W, the second metal layer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g.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층은 Ag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금속층은 Cu, Al, Mo, 및 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28. The method of claim 27,
The first metal layer is made of Ag, the second metal layer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y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Al, Mo, and W.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은, 소정의 패턴의 제2 마스크를 이용한 스퍼터링 공정으로 제3 금속층을 패턴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제3 금속층 상에 제4 금속층을 패턴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step of forming the second electrode includes a step of pattern forming a third metal layer by a sputtering process using a second mask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and a step of pattern forming a fourth metal layer on the third metal layer. Method for manufacturing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기 제2 반도체층 사이 및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기 제3 반도체층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진성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And forming an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between at least on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betwee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도체층 및 제3 반도체층 중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저농도 도핑된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저농도 도핑된 반도체층 상에 고농도 도핑된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step of forming at least one semiconductor layer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the third semiconductor layer includes a step of forming a lightly doped semiconductor layer and a step of forming a high concentration doped semiconductor layer on the lightly doped semiconductor layer. Method for manufacturing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반도체 웨이퍼의 일면에 도펀트를 도핑하여 제1 반도체층의 상면에 제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2 반도체층 상에 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반사방지층 상에 제1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1 반도체층의 타면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및
열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제1 전극이 상기 반사방지층을 뚫고 상기 제2 반도체층까지 침투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제2 전극이 상기 제1 반도체층의 타면으로 침투하여 제3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제1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은, 소정의 패턴의 제1 마스크를 이용한 스퍼터링 공정으로 제1 금속층을 패턴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제1 금속층 상에 제2 금속층을 패턴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Forming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by doping a dopant on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Forming an anti-reflection layer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Forming a first electrode on the anti-reflection layer;
Forming a second electrode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Performing a heat treatment to allow the first electrode to penetrate the antireflection layer and penetrate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penetrates into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to form a third semiconductor layer. Made, including
In this case, the step of forming the first electrode includes a step of pattern-forming a first metal layer by a sputtering process using a first mask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and a step of pattern-forming a second metal layer on the first metal layer. Method for producing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made.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층을 패턴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제1 마스크를 이용한 스퍼터링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35. The method of claim 34,
The step of patterning the second metal layer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sputtering process using the first mask.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과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36. The method of claim 35,
The second metal layer is a solar cell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ame pattern as the first metal layer.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층을 패턴 형성하는 공정은 무전해 도금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35. The method of claim 34,
The process of forming the pattern of the second metal layer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 electroless plating process.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과 결정 구조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39. The method of claim 37,
The second metal layer is a solar cell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rystal structure is different from the first metal layer.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의 측면 및 상면을 덮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39. The method of claim 37,
The second metal layer is a solar cell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cover the side and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metal layer.
KR1020110085403A 2011-08-26 2011-08-26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542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403A KR101854236B1 (en) 2011-08-26 2011-08-26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403A KR101854236B1 (en) 2011-08-26 2011-08-26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296A true KR20130022296A (en) 2013-03-06
KR101854236B1 KR101854236B1 (en) 2018-05-03

Family

ID=48174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403A KR101854236B1 (en) 2011-08-26 2011-08-26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23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0456A1 (en) * 2021-04-12 2022-10-20 주성엔지니어링(주) Solar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2388A (en) * 2003-08-26 2005-03-17 Kyocera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solar battery ele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0456A1 (en) * 2021-04-12 2022-10-20 주성엔지니어링(주) Solar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4236B1 (en) 2018-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664B1 (e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in film type Solar Cell, and Thin film type Solar Cell made by the method
KR20130107115A (en) Solar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00021045A (en) Thin film type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30109786A (en) Solar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363327B1 (en) Thin film type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20264253A1 (en) Method of fabricating solar cell
KR20090028883A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90108B1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90030362A (en) Thin film type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20104846A (en)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59067B1 (en) Solar cell module
KR20120064495A (en) Solar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410392B1 (en) Hetero juction type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00090015A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863068B1 (en)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143279A (en) Solar cell
KR20130006904A (en) Thin flim solar cell
KR101338610B1 (en) Solar cell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5645734B2 (en) Solar cell element
KR20110003787A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54236B1 (en)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10034B1 (en) Sola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30022097A (en)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86242B1 (en) Optoelectronic component having three-dimentional pattern and fablication method thereof
KR101275583B1 (en) Solar c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