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1736A - 풍력 발전기 - Google Patents

풍력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1736A
KR20130021736A KR1020110084183A KR20110084183A KR20130021736A KR 20130021736 A KR20130021736 A KR 20130021736A KR 1020110084183 A KR1020110084183 A KR 1020110084183A KR 20110084183 A KR20110084183 A KR 20110084183A KR 20130021736 A KR20130021736 A KR 20130021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lade
generator
wind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4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3212B1 (ko
Inventor
서종무
김종주
배준홍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4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212B1/ko
Publication of KR20130021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6Rotors
    • F03D1/065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 F03D1/0675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of the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풍력 발전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내부공간을 구비한 블레이드(blade)와; 풍속의 세기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공간을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복수의 무게추(weight); 및 상기 무게추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풍력 발전기{WIND TURBINE}
본 발명은 풍력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풍력 발전은 바람을 이용하여 발전기를 구동시킴으로써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방식이다.
이러한 풍력 발전은 태양광 발전과 달리 주간이나 일광이 없는 야간에도 풍력이 존재하기만 하면 발전을 할 수 있는 반면, 바람의 풍량, 풍속, 풍향 등 발전효율을 결정하는 풍질이 시간과 장소에 따라 일정하지 않으며, 무풍, 미풍, 발전최적풍(정격풍속), 과풍 등 각각의 바람의 발생주기도 일정하지 않고 불규칙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고출력 고효율의 풍력 에너지를 얻기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바람의 변화에 따라 각운동량 보존법칙(law of conservation of angular momentum)을 이용하여 정격풍속 이상으로 부는 바람의 잉여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능동형 풍력 발전기가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미국등록특허 제5,456,579호 특허문헌 2 : 미국공개특허 제2003/0011197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발전기를 돌리는 풍속의 변화에 따라 블레이드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발전기의 발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풍력 발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내부공간을 구비한 블레이드(blade)와; 풍속의 세기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공간을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복수의 무게추(weight); 및 상기 무게추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가 제공된다.
상기 내부공간은 서로 다른 크기의 횡단면을 가진 적어도 두 개의 내부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무게추는 상기 내부공간의 크기에 따른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의 횡단면 형상은 익형, 원형, 타원형, 사각형, 다각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게추는 상기 무게추의 횡단면 형상에 상응하는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무게추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래크 기어(rack gear)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무게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래크 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와; 상기 무게추에 결합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무게추를 관통하는 가이딩 로드(guiding rod)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이딩 로드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딩 로드를 축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가이딩 로드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무게추는 상기 가이딩 로드가 관통되는 관통홀의 내면에 상기 나사선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풍력 발전기는 상기 풍속의 세기에 따라 상기 무게추가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게추에는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무게추의 상대적인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자기위치확인센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하기 시작하는 초기에는, 상기 무게추를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축에 최대한 인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풍력 발전기의 발전기가 정격 회전수에 도달하면, 상기 무게추를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축으로부터 점차 멀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풍력 발전기의 발전기가 정격 회전수를 초과하면, 상기 무게추를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축으로부터 최대한 멀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전기를 돌리는 블레이드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발전기의 발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 회전 시 각운동량(angular momentum)을 최대한으로 확보함으로써 정격풍속 이상으로 부는 바람의 잉여 에너지(즉, 기존의 버려지던 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내에서 무게추가 작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내에서 이동하는 무게추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풍력 발전기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100)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100)의 블레이드(110)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100)의 블레이드(110) 내에서 무게추(120)가 작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100)의 블레이드(110) 내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무게추(120)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100)는 풍속의 변화에 상관없이 발전기를 돌리는 블레이드의 회전속도(RPM)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발전기의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풍력발전기(100)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100)는, 블레이드(110), 무게추(120), 구동부(130)(도 4 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블레이드(110)가 결합되는 허브(3), 블레이드(110)의 회전력에 의해 돌아가는 발전기(미도시)를 수용한 너셀(nacelle, 2)과 이러한 너셀(2)을 지지하는 타워(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발전기가 고정자와 회전자의 상대적 회전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얻는 구조는 잘 알려진 내용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무게추(120)를 블레이드(110)의 내부공간(112)에 배열하고 풍속의 변화에 따라 이들 무게추(120)를 각각 개별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발전기를 돌리는 블레이드(110)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발전기의 발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즉, 블레이드(110)의 내부 구조나 형상에 맞게끔 복수의 무게추(120)를 블레이드(110)의 내부공간(112)에 다단으로 구비하고 이들 다단의 무게추(120)를 각각 구동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블레이드(110) 회전 시 각운동량(angular momentum)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격풍속 이상으로 부는 바람의 잉여 에너지(즉, 기존의 버려지던 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블레이드(110)의 형상은 특정되지 않으나, 대체적으로 허브(3)에서부터 끝단으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따라서, 내부공간(112)을 허브(3)에서부터 끝단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작아지도록 여러 개로 분할하고, 다수 개의 무게추(120)를 내부공간(112)의 크기에 맞춰 배치시킨다. 블레이드(110)의 내부공간(112)을 다단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최대한의 무게추(120)를 내부공간(112)에 배치시키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블레이드(110)는 바람에 의해 회전하여 회전력을 얻는 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10)는 타워(1)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너셀(2)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즉, 블레이드(110)는 너셀(2)의 단부에 형성된 허브(3)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블레이드(110)가 대략 120도의 간격으로 허브에 결합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예 이외에도, 블레이드(110)의 개수와 그 배치는 설계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10)는 그 내부에 복수의 무게추(120)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의 내부공간(112)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내부공간(112)은 서로 다른 크기의 횡단면을 가진 제1 내부공간(112a)과 제2 내부공간(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부공간(112a)과 제2 내부공간(112b) 각각에는 후술할 무게추(120)의 제1 무게추(120a)와 제2 무게추(120b)가 수용될 수 있다. 제1 무게추(120a)와 제2 무게추(120b)는 각각 제1 내부공간(112a)과 제2 내부공간(112b)의 크기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2개로 구성된 내부공간(112)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내부공간(112)의 개수와 형태는 설계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동될 수 있다. 이 경우, 무게추(120)의 개수도 내부공간(112)의 개수에 상응하여 변동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내부공간(112)에 여러 개의 무게추(120)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추(120)는 풍속의 세기에 따라 블레이드(110)의 내부공간(112)을 그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왕복운동하는 부재로서, 풍속의 세기에 따라 블레이드(110)가 회전할 때 블레이드(110)의 각운동량을 최대한 확보하도록 돕는 장치이다.
참고로, 각운동량 보존법칙(law of conservation of angular momentum)이란, 계의 외부로부터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계 내부의 전체 각운동량은 항상 일정한 값으로 보존된다는 법칙으로서, 반지름과 회전속도가 반비례하며, 예를 들어 회전하는 피겨스케이팅 선수의 회전동작과 같이, 반지름이 작아지면 회전속도가 빨라지고 반지름이 커지면 회전속도가 느려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풍력 발전기(100)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속이 약해서 블레이드(110)가 약하게 회전할 경우, 또는 블레이드(110)가 회전하기 시작하는 작동 초기에 약하게 회전하는 경우, 복수의 무게추(120)를 회전축에 최대한 가깝게, 즉 허브(3)에 최대한 인접하게 위치시킴으로써, 허브(3)(회전축)로부터 블레이드의 무게중심까지의 거리(R1)를 최소화하여 작은 에너지로도 블레이드(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발전기의 정격 회전수에 도달하였을 때는 복수의 무게추(120)를 허브(3)(회전축)로부터 점차 멀리 위치시킴으로써, 블레이드(110)가 정지하지 않으려는 관성(inertia)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의 풍속이 강하여 발전기의 정격 회전수를 초과할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무게추(120)를 허브(3)(회전축)로부터 최대한 멀리 위치시킴으로써, 허브(3)(회전축)로부터 블레이드(110)의 무게중심까지의 거리(R2)를 최대한 크게 하여 블레이드(110)의 회전속도를 지연시킴으로써, 기존에 버려지던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다. 종래에는 정격풍속 이상의 과풍속에서는 풍력발전기의 보호를 위해 블레이드(110)의 회전을 정지시켜야 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정격풍속 이상의 과풍속에서도 블레이드(110)의 회전속도를 지연시켜서 발전을 지속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무게추(120)는 제1 무게추(120a)와 제2 무게추(120b)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무게추(120a)는 제1 내부공간(112a)에 수용되어 제1 내부공간(112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제2 무게추(120b)는 제2 내부공간(112b)에 수용되어 제1 내부공간(112a)과 제2 내부공간(112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 무게추(120a)는 제2 내부공간(112b)에 비해 크기가 크기 때문에 제1 내부공간(112a) 내에서만 이동하고, 제2 무게추(120b)는 제1 내부공간(112a)과 제2 내부공간(112b) 내에서 모두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공간(112)은 크기가 다른 여러 개로 분할 할 수 있고, 무게추(120)는 각각 분할된 내부공간(112)의 크기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횡단면 형상이 사각형인 무게추(120)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무게추(120)의 횡단면 형상은 예를 들어 블레이드(110)의 단면에 따라 익형(날개모양),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이 경우, 내부공간(112)은 무게추(120)의 횡단면 형상에 상응하는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무게추(120)는 바람의 세기에 따라 블레이드(110)의 각운동량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비중이 큰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게추(120)로는 스테인리스스틸이 사용될 수 있다.
구동부(130)는, 이러한 무게추(120)가 블레이드(110)의 내부공간(112)을 따라 직선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무게추(120)를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132)와 모터(1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블레이드(110)의 내부공간(112)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114)이 형성될 수 있다.
바퀴(1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추(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레일(114)을 따라 무게추(120)가 이동하도록 레일(114) 표면에 치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바퀴(132)가 레일(114) 상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바퀴(132)와 레일(114) 표면에는 각각 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바퀴(132)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가 사용될 수 있으며, 레일(114)은 피니언 기어에 기어결합되는 래크 기어(rack gear)가 사용될 수 있다.
모터(13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추(120) 내부에 탑재될 수 있으며, 바퀴(132)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130)에 공급되는 전원(미도시)은 종래 공지된 여러가지 기술을 차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100)는 풍속에 따라 무게추(120)가 이동하도록 구동부(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구동부(130)에 동작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풍속에 따라 모터(13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구동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추(120)에는 무게추(120)의 현재위치에 관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자기위치확인센서(122)가 설치될 수 있다.
자기위치확인센서(122)는, 복수의 무게추(120) 각각에 설치되며, 내부공간(112)에서 각각의 무게추(120)의 현재위치를 감지하여 상대적인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제어부에 제공하게 된다.
제어부는 자기위치확인센서(122)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여 풍속의 세기에 따라 각각의 무게추(120)의 이동을 명령하게 된다. 이 경우,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풍속의 세기를 감지하여 그 정보를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는 풍속감지센서(미도시)가 풍력 발전기(10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102)의 블레이드(1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101)는 블레이드(110), 무게추(120), 구동부(130), 가이딩 로드(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100)와 차이점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레일(114)을 대신하여 가이딩 로드(140)가 제공되며, 가이딩 로드(140)를 축회전시키는 구동부(130)에 차이가 있다.
가이딩 로드(140)는 내부공간(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내부공간(112)에 설치되는 막대 형상의 부재로서, 무게추(120)가 내부공간(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무게추(120)는 가이딩 로드(14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가이딩 로드(140)는 그 외주면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되고, 무게추(120)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가이딩 로드(140)는 예를 들어 잭스크류(jack screw)일 수 있다. 무게추(120)는 가이딩 로드(140)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고, 관통홀의 내면은 상기 나사선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130)는 가이딩 로드(140)의 단부에 결합되어 가이딩 로드(140)를 축회전시킨다. 구동부(130)는 예를 들어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딩 로드(1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30)의 모터로부터 제공된 회전력에 의해 축회전(도 7의 화살표 참조)될 수 있으며, 무게추(120)는 가이딩 로드(140)의 회전에 의해 나사선을 따라 내부공간(112)을 직선왕복운동할 수 있다.
제1무게추(120a)는 제1내부공간(112a) 내에서 직선왕복운동하고, 제2무게추(120b)는 제1내부공간(112a)과 제2내부공간(112b) 내에서 직선왕복운동하기 때문에, 하나의 가이딩 로드(140)에 제1무게추(120a)와 제2무게추(120b)가 함께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1무게추(120a)가 이동을 정지한 후에도 제2무게추(120b)는 계속 이동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무게추(120)에 하나의 가이딩 로드(140)가 설치되도록 복수의 가이딩 로드(140)가 설치되거나, 각각의 무게추(120)에 따라 가이딩 로드(140)의 나사선을 다르게 형성하는 등의 종래 공지된 여러 기술을 차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발전기를 돌리는 풍속의 변화에 따라 블레이드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발전기의 발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 회전 시 각운동량(angular momentum)을 최대한으로 확보함으로써 정격풍속 이상으로 부는 바람의 잉여 에너지(즉, 기존의 버려지던 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타워 2: 너셀(nacelle)
3: 허브 100: 풍력 발전기
110: 블레이드 112: 내부공간
112a: 제1 내부공간 112b: 제2 내부공간
114: 레일 120: 무게추
120a: 제1 무게추 120b: 제2 무게추
122: 자기위치확인센서 130: 구동부
132: 바퀴 134: 모터
140: 가이딩 로드(guiding rod)

Claims (12)

  1.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내부공간을 구비한 블레이드(blade)와;
    풍속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공간을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복수의 무게추(weight); 및
    상기 무게추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은 서로 다른 크기의 횡단면을 가진 적어도 두 개의 내부공간으로 분할되는 풍력 발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는, 상기 내부공간의 크기에 따른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복수 개로 구비되는 풍력 발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의 횡단면 형상은 익형, 원형, 타원형, 사각형, 다각형을 포함하며,
    상기 무게추는 상기 내부공간의 횡단면 형상에 상응하는 횡단면 형상을 가지는 풍력 발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풍력 발전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래크 기어(rack gear)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무게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래크 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와;
    상기 무게추에 결합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무게추를 관통하는 가이딩 로드(guiding rod)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이딩 로드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딩 로드를 축회전시키고,
    상기 가이딩 로드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무게추는 상기 가이딩 로드가 관통되는 관통홀의 내면에 상기 나사선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풍력 발전기.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풍속의 세기에 따라 상기 무게추가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에는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무게추의 상대적인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자기위치확인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풍력 발전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하기 시작하는 초기에는, 상기 무게추를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축에 최대한 인접하게 위치시키는 풍력 발전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 발전기의 발전기가 정격 회전수에 도달하면, 상기 무게추를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축으로부터 점차 멀어지도록 제어하는 풍력 발전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 발전기의 발전기가 정격 회전수를 초과하면, 상기 무게추를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축으로부터 최대한 멀어지도록 제어하는 풍력 발전기.
KR1020110084183A 2011-08-23 2011-08-23 풍력 발전기 KR101313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183A KR101313212B1 (ko) 2011-08-23 2011-08-23 풍력 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183A KR101313212B1 (ko) 2011-08-23 2011-08-23 풍력 발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736A true KR20130021736A (ko) 2013-03-06
KR101313212B1 KR101313212B1 (ko) 2013-09-30

Family

ID=48174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183A KR101313212B1 (ko) 2011-08-23 2011-08-23 풍력 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2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960B1 (ko) * 2015-08-03 2016-07-2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 하중부를 구비한 풍력발전기
CN108561269A (zh) * 2018-03-16 2018-09-21 沈阳创新华夏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平衡调整装置的碳纤维叶片
KR20210022943A (ko) * 2019-08-21 2021-03-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풍력 발전기
GB2589307A (en) * 2019-10-31 2021-06-02 Nova Innovation Ltd Tidal turbine blad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871B2 (ja) * 1980-08-04 1984-05-16 工業技術院長 風車
HUP0202549A2 (hu) * 2002-07-31 2004-01-28 Attila Bánkuti Eljárás és berendezés áramtermelő szélkerekek hatásfokának javítására
KR20100128200A (ko) * 2009-05-27 2010-12-07 이경호 질량 가변부를 포함하는 회전 날개를 가진 회전체
KR101057910B1 (ko) * 2011-02-16 2011-08-19 이승근 풍력발전장치의 회전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960B1 (ko) * 2015-08-03 2016-07-2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 하중부를 구비한 풍력발전기
CN108561269A (zh) * 2018-03-16 2018-09-21 沈阳创新华夏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平衡调整装置的碳纤维叶片
CN108561269B (zh) * 2018-03-16 2024-06-07 沈阳创新华夏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平衡调整装置的碳纤维叶片
KR20210022943A (ko) * 2019-08-21 2021-03-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풍력 발전기
GB2589307A (en) * 2019-10-31 2021-06-02 Nova Innovation Ltd Tidal turbine blades
GB2589307B (en) * 2019-10-31 2023-04-26 Nova Innovation Ltd Tidal turbine bla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3212B1 (ko) 2013-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8413B2 (en) Vertical axis wind turbine
EP2108822A2 (en) Wind deflector for wind turbine and wind turbine incorporating same
KR101313212B1 (ko) 풍력 발전기
US20080150294A1 (en) Centrifugally active variable magnetic flux alternator
US20160186719A1 (en) Psp wind-powered generator comprising blades at dihedral angles
CN104153940A (zh) 垂直轴风力发电机叶片变攻角装置
JP2010121518A (ja) 縦軸式マグナス型風力発電装置
GB2480848A (en) Tangential electromechanical generator for wind turbine blade
WO2012007934A1 (en) Dual vertical wind turbine
CN106762391B (zh) 叶片、风力发电机组及风力发电机组的控制方法
EP3012450A1 (en) Vertical axis and horizontal axis wind turbine power transmission system
KR101379455B1 (ko) 풍력발전기의 로터
AU2011333460B2 (en) A wind turbine
RU104252U1 (ru) Ве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CN203362390U (zh) 离心变桨风力发电机
CN103352801B (zh) 离心变桨风力发电机
US20100196157A1 (en) Turbine Apparatus
RU2361111C1 (ru) Ве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RU2653641C2 (ru) Вертикально-осевая ветротурбина
KR20080083606A (ko) 풍력 발전 장치용 로터 블레이드
KR101418675B1 (ko) 루버유도형 풍력발전기
KR20170129031A (ko) 에어와 기어를 이용한 풍력발전장치
KR20130057521A (ko) 회전익 가변형 풍력 발전장치
KR101505435B1 (ko) 풍력발전기
KR102647729B1 (ko) 블레이드를 조정할 수 있는 드래그 겸 리프트 기반 풍력 터빈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