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0413A - Desliming apparatus of beer - Google Patents

Desliming apparatus of be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0413A
KR20130020413A KR1020110083038A KR20110083038A KR20130020413A KR 20130020413 A KR20130020413 A KR 20130020413A KR 1020110083038 A KR1020110083038 A KR 1020110083038A KR 20110083038 A KR20110083038 A KR 20110083038A KR 20130020413 A KR20130020413 A KR 20130020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ft beer
main body
beer
activating member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0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38263B1 (en
Inventor
조정호
Original Assignee
조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호 filed Critical 조정호
Priority to KR1020110083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263B1/en
Publication of KR20130020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4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2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06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with means for carbonating the beverage, or for maintaining its carbo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for preventing bursting beer gas and generating beer stones is provided to prevent the quality degradation of draft beer by sterilizing the draft beer with supporting material and to remove deposited materials which are the cause of forming the beer stones. CONSTITUTION: An apparatus for preventing bursting beer gas and generating beer stones comprises a main body, an ion activating member, and an antifloating ball(3). The ion activating member is arranged in the main body to block the cross-section of the main body. The antifloating ball is arranged in a space of the main body partitioned by the ion activating member. A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a draft beer barrel is formed on a lower plate for closing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 gas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carbon dioxide gas is connected to an upper plate for closing the upper part of the body. A pipe connection part(101) for discharging the draft beer is formed in the side of the body. A supplying passage(21) is formed on the ion activating member. The draft beer flows into a space between the ion activating member and the upper plate of the body.

Description

맥주의 가스터짐 방지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장치{Desliming Apparatus of Beer}Prevention of gas cast of beer and prevention of beer stone production {Desliming Apparatus of Beer}

본 발명은 생맥주통과 생맥주 인출장치 사이의 도관에 설치되어 생맥주가 생맥주통으로부터 생맥주 인출장치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가스(gas) 터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생맥주의 이온을 활성화시켜 생맥주의 품질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생맥주통으로부터 생맥주 인출장치까지의 도관이나 생맥주 인출장치내에 비어스톤(beer stone)이 침착하게 되는 것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이미 침착되어 있는 비어스톤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생맥주의 가스터짐 방지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편의상 본 명세서 전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생맥주의 가스터짐 방지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장치는 "가스터짐 방지장치"라고 약칭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conduit between the draft beer draft container and the draft beer extraction device to prevent the "gas burst" in the process of the draft beer is discharged from the draft beer to the draft beer extraction device, and activate the ions of the draft beer quality of the draft beer The gas of draft beer not only prevents the deposition of beer stone in the conduit from the draft beer drawer to the draft beer dispensing device or in the draft beer dispensing device, but also effectively removes the already deposited beer sto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burst and preventing beer stone generation. For convenience,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gastight prevention device and beerstone generation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bbreviated as "gastight prevention device".

생맥주는 완전히 밀폐된 생맥주통에 생맥주 인출장치의 도관을 연결하여 생맥주 인출장치의 콕크밸브를 조작하여 맥주잔에 담아서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생맥주 인출장치의 도관에 냉각장치를 더 부착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생맥주통과 생맥주 인출장치를 연결하는 기술이나, 생맥주 인출장치 자체에 대해서는 국내 등록특허 제10-0557418호, 국내 등록특허 제10-0557424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Draft beer is generally provided to the consumer in a beer mug by connecting the conduit of the draft beer withdrawal device to a fully sealed draft beer container to operate the cock valve of the draft beer withdrawal device. If necessary, a cooling device may be further attached to the conduit of the draft beer extract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a technology for connecting a draft beer barrel and a draft beer extracting device and a draft beer extracting device itself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57418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57424.

그런데 생맥주통에서 도관을 통해 생맥주 인출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도관이나 생맥주 인출장치의 내면에 소위 "비어스톤(beer stone)"이 침착되는데, 이러한 비어스톤은 맥주를 변질시켜 맛을 저하시키고 맥주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 종래에는 약제를 주입하거나 또는 세척수를 가압주입하여 이러한 비어스톤을 제거하려는 노력이 있었으나, 비어스톤 제거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비어스톤 제거 약제를 식용으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process of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draft beer withdrawal device through the conduit from the draft beer container, so-called "beer stone" is deposi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duit or the draft beer withdrawal device. It can cause contamination. Conventionally, there have been efforts to remove such viastone by injecting a drug or by pressurizing the washing water,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eerstone removal efficiency is lowered and it is difficult to use the beerstone removal agent for food.

한편, 생맥주통을 생맥주 인출장치와 연결한 후 처음 생맥주 인출장치를 개방하여 첫잔의 맥주를 받을 때, 생맥주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이산화탄소 가스로 인하여 "펑"하는 소음이 발생하면서 맥주가 거품과 함께 터지듯이 분출되어 나오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소위 "가스터짐 현상"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가스터짐 현상은 위와 같이 첫잔의 맥주를 따를 때뿐만 아니라, 생맥주통으로부터 마지막 잔의 맥주를 따를 때도 발생한다. 왜냐하면 생맥주통에 담겨져 있던 잔류 맥주와 함께 이산화탄소 가스가 생맥주 인출장치로 배출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스터짐 현상은 사용자에게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분출되어 터진 생맥주가 사방으로 튀어서 위생에도 좋지 않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raft beer is connected to the draft beer withdrawal device and the first draft beer is opened to receive the first cup of beer, the beer pops with bubbles as the popping noise occurs due to the carbon dioxide gas supplied from the draft beer. Erupted. This phenomenon is called a "gassing phenomenon", which occurs not only when pouring the first glass of beer as above, but also when pouring the last glass of beer from the draft beer. This is because the carbon dioxide gas is discharged into the draft beer extraction device together with the residual beer contained in the draft beer barrel. Such gas explosion is not only inconvenient to the user, but also is not good for hygiene because the sprayed draft beer bounces everywhere.

이러한 가스터짐 현상을 방지하려면, 생맥주통을 교체할 때, 생맥주통과 생맥주 인출장치를 분리한 상태에서, 생맥주 인출장치와 그 도관에 담겨져 있던 잔류 맥주와 이산화탄소 가스를 인위적으로 배출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는 잔류 맥주와 이산화탄소 가스 배출 과정에서 상당한 량의 생맥주 손실이 유발되며, 생맥주통 교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생맥주통 교체 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In order to prevent this phenomenon, when the draft beer container is replaced, the draft beer container and the draft beer extraction device are separated, and the beer and carbon dioxide gas contained in the draft beer extraction device and its conduit must be artificially discharged. However, this method causes a significant amount of draft beer loss in the process of releasing residual beer and carbon dioxide gas, it takes a lot of time to replace the draft beer, it becomes a problem that the draft beer replacement operation is very cumbersom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57418호(2006. 03. 10. 공고) 참조.Se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557418 (March 10. 200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57424호(2006. 03. 06. 공고) 참조.See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557424 (2006. 03. 06. notification).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생맥주통에서 도관을 통해 생맥주 인출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도관이나 생맥주 인출장치의 내면에 침착되어 맥주를 변질시켜 맛을 저하시키고 맥주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는 비어스톤의 발생을 억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the beer is deposi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duit or draft beer withdrawal device in the process of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draft beer withdrawal device through the conduit from the draft beer to alter the tast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beer stone, which causes deterioration and contaminates beer.

또한 본 발명은 생맥주통 교체시에 가스터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불쾌감 유발 및 생맥주의 분출로 인한 위생불량을 방지함과 동시에 생맥주의 손실이 방지하며, 생맥주통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맥주통 교체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gasping during the replacement of the draft beer, to prevent the discomfort of the user caused by the discomfort and the ejection of the draft beer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loss of draft beer, the time required to replace the draft beer It is not only possible to shorten, but also to make it possible to perform the draft beer replacement operation very easily.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의 단면을 차단하도록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는 이온활성화부재와, 상기 이온활성화부재에 의해 구획된 본체 내의 공간에 구비되는 부유차단볼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하부를 폐쇄하는 하부판에는 생맥주통과 연결되는 접속관이 연결되며, 본체의 상부를 폐쇄하는 상부판에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배출을 위한 가스 배출관이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생맥주의 배출을 위한 도관연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온활성화부재에는, 생맥주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생맥주가 상기 이온활성화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부판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급유로가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온활성화부재에는 상기 이온활성화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부판 사이의 공간에 채워진 생맥주가 도관연결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이온활성화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부판 사이의 공간으로 생맥주가 공급되면 상기 부유차단볼이 부력에 의해 부유되면서 상기 배출유로의 입구가 개방되어 상기 배출유로를 통해 도관연결부로 생맥주가 배출되어 생맥주 인출장치로 생맥주가 공급되고; 상기 공급유로를 통해 이산화탄소 가스가 공급되어 상기 이온활성화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부판 사이의 공간에 이산화탄소 가스가 채워지면 상기 부유차단볼은 상기 배출유로의 입구 위에 놓여 배출유로를 차단함으로써 이산화탄소 가스가 배출유로를 통해 도관연결부를 거쳐 생맥주 인출장치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여 생맥주 인출장치에서의 가스터짐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의 가스터짐 방지장치가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ylindrical body, the ion activation member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block the cross section inside the main body, and the floating provided in the space in the main body partitioned by the ion activation member A blocking ball; The lower plate closing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draft beer, the upper plate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gas discharge pipe for the discharge of carbon dioxide gas, the side of the main body for the discharge of draft beer A conduit connection is formed; The ion activating member has a feed passage through which a draft beer supplied from the draft beer cylinder flows into the space between the ion activating member and the upper plate of the main body; The ion activating member is formed with a discharge passage for discharging draft beer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ion activating member and the upper plate of the main body to the conduit connecting portion; When draft beer is supplied to the space between the ion activating member and the upper plat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supply passage, the floating blocking ball is floated by buoyancy and the inlet of the discharge passage is opened, and the draft beer is connected to the conduit connection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Is discharged and draft beer is supplied to the draft beer withdrawing device; When the carbon dioxide gas is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assage and the carbon dioxide gas is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ion activation member and the upper plate of the main body, the floating blocking ball is placed on the inlet of the discharge passage to block the discharge passage so that the carbon dioxide gas is discharged. There is provided a gastight prevention device for draft be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evented from being fed to the draft beer extraction device via a conduit connection through the flow passage, thereby preventing the phenomenon of gasping in the draft beer extraction device.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생맥주의 가스터짐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온활성화부재에는, 상기 공급유로 및 상기 배출유로를 중앙에 두고 상기 이온활성화부재의 양측면에 각각 자석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공급유로 및 상기 배출유로로 생맥주가 흐를 때 자력이 가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이에 더하여 상기 본체의 측면을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하고 있어 본체의 내부로 진퇴하면서 이온활성화부재의 배출유로 입구에 놓인 부유차단볼을 밀어서 움직이게 하는 관통로드를 포함하는 볼충격부재를 상기 본체의 측면에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체의 상부판에서 상기 가스 배출관이 연결되는 가스 배출구의 전방에는, 금속 양이온 용출기능의 담체가 담겨 있는 담체보관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e gas prevention device of draft be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ion activating member, the supply passage and the discharge passage in the center are provided with magnets on both sides of the ion activating member, respectively, the supply passage and Magnetic draft may be applied when the draft beer flows into the discharge passage, and in additio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penetrate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floating blocking ball placed at the inlet of the discharge passage of the ion activating member is advanced. A ball impact member including a through rod for pushing and moving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In addition, a carrier storage member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gas discharge port to which the gas discharge pipe is connected in the upper plate of the main body, containing a carrier having a metal cation elution func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생맥주가 담체에 접촉하면서 살균이 이루어져 생맥주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더 나아가 생맥주통에서 도관을 통해 생맥주 인출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이온활성화부재를 통과할 때 정전기에 의해 생맥주 내에 함유된 이온을 활성화시키게 되고 이온들에 자기장의 영향의 주게 되어, 맥주를 변질시켜 맛을 저하시키고 맥주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는 비어스톤의 형성 원인이 되는 침착물질(곰팡이, 세균, 칼슘, 기타 금속염 등)을 제거하게 되므로, 비어스톤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비어스톤의 제거를 위한 약제 사용 등의 불편함도 제거되고 비어스톤 제거 과정에서 낭비되는 생맥주량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erilization is performed while the draft beer is in contact with the carrier to prevent the quality of the draft beer, and furthermore, when passing through the ion activating member in the process of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draft beer extraction device through a conduit from the draft beer container By activating the ions contained in the draft beer and the influence of the magnetic field on the ions, causing the beer to deteriorate, deteriorate the taste and cause the formation of beer stones that cause contamination of the beer (fungus, bacteria, Calcium, other metal salts, etc.), thereby effectivel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beerstone, thereby eliminating inconveniences such as the use of drugs to remove beerstone and reducing the amount of draft beer wasted during beer removal. The effect that becomes possible is exhibit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생맥주통 교체시에 가스터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불쾌감 유발 및 생맥주의 분출로 인한 위생불량을 방지함과 동시에 생맥주의 손실이 방지하며, 생맥주통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맥주통 교체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the gas phenomena during the replacement of the draft beer, to prevent the discomfort caused by the user's discomfort and the ejection of draft beer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loss of draft beer,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draft beer Not only can the time be shortened, the draft beer can be replaced very easil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터짐 방지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터짐 방지장치를 바라보는 각도를 달리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스터짐 방지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스터짐 방지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조립 단면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가스터짐 방지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gas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different angles to look at the anti-gas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exploded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gas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gas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the gas preven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ssential structure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thereby.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터짐 방지장치(1)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및 도 3에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터짐 방지장치(1)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바라보는 각도를 달리하여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가스터짐 방지장치(1)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가스터짐 방지장치(1)에 대한 개략적인 조립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에는 각각 본 발명의 가스터짐 방지장치(1)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6은 생맥주 인출장치로 생맥주가 정상 공급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7은 생맥주통을 교체하기 위하여 생맥주 인출장치로의 생맥주 공급을 차단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8은 다시 생맥주 인출장치로의 생맥주 공급을 재개하기 위하여 부유차단볼을 움직이는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gas preven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3 respectively illustrate a gas preven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is shown with different angles of view. 4 shows a schematic exploded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gas prevent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shows a schematic assembled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gas prevent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the gas prevent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FIG. 6 shows a state in which draft beer is normally supplied to a draft beer extraction device, and FIG. 7 shows a draft beer container. It shows a state in which the draft beer supply to the draft beer take-off device is blocked in order to replace it, Figure 8 shows the state of moving the floating block ball to resume the draft beer supply to the draft beer takeout device again.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가스터짐 방지장치(1)는, 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는 이온활성화부재(2)와, 상기 이온활성화부재(2)에 의해 구획된 본체 내의 공간에 구비되어 이온활성화부재(2)의 배출유로를 개폐하는 부유차단볼(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gas preven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ylindrical main body, an ion activating member 2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a main body partitioned by the ion activating member 2. It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and comprises a floating blocking ball (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flow path of the ion activation member (2).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는 통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본체의 하부를 폐쇄하는 하부판에는 생맥주통(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는 접속관(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되며, 본체의 상부를 폐쇄하는 상부판에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배출을 위한 가스 배출관이 연결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판은 분리 조립이 가능한 하부 연결캡(20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판 역시 분리 조립이 가능한 상부 캡(300)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케이싱(100)과, 상기 케이싱(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싱(100)의 하부를 폐쇄하는 하부 연결캡(200)과, 상기 케이싱(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싱(100)의 상부를 폐쇄하는 상부 캡(300)의 조립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상면" 또는 "상부방향"은 하부 연결캡(200)으로부터 상부 캡(300)을 향하는 방향이며, 반대로 "하면" 또는 "하부방향"은 상부 캡(300)에서 하부 연결캡(200)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Specifically, the main body is formed of a cylindrical member, the lower plate closing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ube (not shown) connected to the draft beer cylinder (not shown), the upper portion for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plate is connected with a gas discharge pipe for the discharge of carbon dioxide g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e lower plate is composed of a lower connection cap 200 capable of separate assembly, and the upper plate is also composed of an upper cap 300 capable of separate assembly. That is,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the main body is a casing 100 made of a cylindrical shape, the lower connection cap 20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sing 100 to close the lower portion of the casing 100, It is composed of the assembly of the upper cap 30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ing 100 to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casing 100. For referenc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upper surface" or "upper direction" is a direction from the lower connection cap 200 toward the upper cap 300, and conversely, "lower" or "lower direction" is lower connection cap at the upper cap 300. Means the direction toward 200.

상기 하부 연결캡(200)에는 생맥주통(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는 접속관(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되는 관접속부(201)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캡(300)에는 가스배출관(322)이 연결되며, 후술하는 이온활성화부재(2)와 상부 캡(300) 사이의 공간에 차올라 오는 이산화탄소 가스를 상기 가스배출관(322)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가스배출관으로의 가스 흐름을 제어하기 가스 배출밸브가 구비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캡(300)의 두께를 관통하는 관통공 형태의 가스배출구(3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스배출구(301) 내에 막대형의 승하강부재(311)가 관입되어 있다. 상기 승하강부재(311)의 하단부 측면에는 가스배출공(312)이 형성되어 있고 승하강부재(311) 내에 가스배출공(312)과 연통되는 가스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스유로는 푸쉬버튼(320)에 결합되어 있는 가스연통관(322)과 연통되어 있다. 가스를 배출하지 않게 되는 "폐쇄" 위치에서는, 승하강부재(311)가 가스배출구(301) 내에 위치하면서 가스배출공(312)이 상부 캡(300)의 두께 부분에 막히게 되어 이산화탄소 가스가 가스배출공(312)으로 유입되지 않는다. 푸쉬버튼(320)을 누르게 되면 푸쉬버튼(320) 아래의 스프링부재(321)가 눌리면서 승하강부재(311)가 하부방향으로 하강하면서 가스배출공(312)이 형성된 승하강부재(311)의 하단부가 가스배출구(301)의 외부로 돌출되고, 그에 따라 가스배출공(312)이 이온활성화부재(2)와 상부 캡(300) 사이의 공간으로 노출되면서 "개방" 위치로 되어 이산화탄소 가스가 가스배출공(312)으로 유입된다. 유입된 이산화탄소 가스는 가스배출공(312)과 연통되어 있는 가스유로를 지나 가스배출관(322)으로 배출된다. The lower connection cap 200 has a pipe connection portion 201 through which a connection pipe (not shown) connected to a draft beer cylinder (not shown) is formed. A gas discharge pipe 322 is connected to the upper cap 300, and discharges carbon dioxide gas, which is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ion activating member 2 and the upper cap 300,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outside by the gas discharge pipe 322. Done. At this time, a gas discharge valve is provided to control the gas flow to the gas discharge pipe.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a gas outlet 301 is formed in the through-hole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upper cap 300, the rod-shaped lifting member 311 is formed in the gas outlet 301 Intrusive. A gas discharge hole 312 is formed at a lower end side of the elevating member 311, and a gas channel communicating with the gas discharge hole 312 is formed in the elevating member 311, and the gas channel is push button. I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gas communication tube 322 coupled to (320). In the "closed" position where the gas is not discharged, the elevating member 311 is positioned in the gas discharge port 301, and the gas discharge hole 312 is blocked in the thickness portion of the upper cap 300 so that the carbon dioxide gas is discharged. It does not flow into the ball 312. When the push button 320 is pressed, the spring member 321 under the push button 320 is pressed and the lifting member 311 descends downward while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member 311 in which the gas discharge hole 312 is formed.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gas outlet 301, and thus the gas outlet hole 312 is exposed to the space between the ion activating member 2 and the upper cap 300 to the "open" position, so that the carbon dioxide gas is discharged. Flows into the ball 312. The introduced carbon dioxide gas is discharged to the gas discharge pipe 322 through the gas flow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gas discharge hole 312.

푸쉬버튼(320)을 누르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부재(321)의 팽창력에 의해 푸쉬버튼(320)이 다시 상부방향으로 돌출되고, 그에 따라 승하강부재(311)가 다시 상승하여 가스배출구(301) 내에 관입된 상태로 되고, 가스배출공(312) 역시 가스배출구(301) 내에 위치하여 가스가 유입되지 않는 "폐쇄" 위치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푸쉬버튼을 이용한 가스배출구조는 가스 배출밸브의 일예인데, 본 발명에서 상기 가스배출관으로의 가스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가스 배출밸브는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성될 수 있다. When the push button 320 is removed, the push button 320 is protruded upward by the expansion force of the spring member 321, and the lifting member 311 is raised again to thereby release the gas outlet 301. ), And the gas discharge hole 312 is also located in the gas outlet 301 to be in a "closed" position where no gas is introduced. Such a gas discharge structure using a push button is an example of a gas discharge valve, the gas discharge valve provided to control the gas flow to the gas discharge pip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Can be.

추가적으로 본체의 상부판에서 상기 가스배출관이 연결되는 가스 배출구의 전방에는, 살균작용과 원적외선 방출작용을 하는 담체가 담겨 있는 담체보관부재(40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캡(300)의 하면에서 상기 가스배출구(301)의 전방에는 담체보관부재(400)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담체보관부재(400)는 두께를 가지는 원판형 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원판형 부재의 상면과 하면은 망눈이 형성된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하면 부재 사이의 공간에 담체가 담겨져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담체보관부재(400)는, 망눈을 가지는 하부판부재(401) 및 이와 결합되며 망문을 가지는 상부판부재(402)로 이루어져 상부판부재(402)와 하부판부재(401) 사이에 담체가 담길 수 있는 공간을 가지도록 결합되어 상기 상부 캡(300)의 하면 전방에 설치되는 구성을 가진다. 도면에서는 편의상 담체의 도시를 생략하였는데, 상기 담체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살균기능과 원적외선 방출기능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균작용을 하는 은(Ag) 성분이 함유되고 원적외선재료를 포함하는 공지의 재료로 상기 담체가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온활성화부재(2)와 상부 캡(300) 사이의 공간에 생맥주가 채워질 때, 생맥주와 상기 담체가 서로 접촉하면서 생맥주 속에 함유되어 생맥주의 맛을 변질시키는 각종 균이 살균됨과 동시에 후술하는 것처럼 원적외선이 생맥주에 조사되어 생맥주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비어스톤의 제거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담체는 생맥주가 접촉하였을 때 생맥주에 금속성 양이온을 공급할 수 있는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담체가 금속성 양이온을 공급할 수 있는 재료로 제작되는 경우, 생맥주와 상기 담체가 접촉하면서 담체로부터 금속성 양이온이 용출되어 생맥주내로 공급되고, 후술하는 것처럼 정전기에 의한 금속성 양이온 주변의 음전하 이온층 형성 및 비어스톤 유발물질과의 결합, 그리고 그에 의한 비어스톤 생성 억제 효과가 더욱 증대되는 잇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생맥주와 접촉하여 금속성 양이온을 용출시키는 담체로는 아연과 구리의 합금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아연-구리 합금의 경우, 생맥주와의 접촉을 통해서 아연 이온을 생맥주에 공급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생맥주에 있는 박테리아나 세균을 살균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In addition, a carrier storage member 400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gas discharge port to which the gas discharge pipe is connected in the upper plate of the main body, which contains a carrier for sterilization and far-infrared emission. That is, the carrier storage member 400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gas outlet 301 i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ap 300. The carrier storage member 400 is made of a disk-shaped member having a thickness, bu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disk-shaped member is made of a manganese-shaped member, and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arrier is contained i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embers. have.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the carrier storage member 400, the upper plate member 402 and the lower plate member 401 is composed of a lower plate member 401 having a mesh and an upper plate member 402 having a mesh door. It is coupled so as to have a space to accommodate the carrier between the having a configuration that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ap (300). In the drawings, the carrier is omitted for convenience, and the carrier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terilizing function and a far infrared ray emitting function as mentioned above. For example, the carrier may be made of a known material containing a sterilizing silver (Ag) component and containing a far infrared ray material. Therefore, when the draft beer is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ion activating member 2 and the upper cap 300, while the draft beer and the carri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various bacteria contained in the draft beer to disinfect the taste of the draft beer are sterilized and at the same time as described later The draft beer is irradiated to activate the draft beer to further improve the removal efficiency of beer stone. Furthermore, the carrier may b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supplying a metallic cation to the draft beer when the draft beer is in contact. In this way, when the carrier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supplying a metallic cation, the metallic cation is eluted from the carrier while the draft beer is in contact with the carrier and supplied into the draft beer, and a negatively charged ion layer is formed and formed around the metallic cation by static electricity as described below.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inding to the stone causing agent, and thereby inhibiting the effect of beer stone production is further increased. As such, a carrier for eluting metallic cations in contact with draft beer may be an alloy of zinc and copper. In the case of the zinc-copper alloy, zinc ions are supplied to draft beer through contact with draft beer. At the same time, it acts to sterilize the bacteria and germs in the draft beer.

본 발명에서 상기 담체는 알갱이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필라멘트 형상으로 꼬여서 뭉쳐져 있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필라멘트 형태로 담체가 만들어지는 경우, 담체가 분쇄되어 생맥주 속으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rier may have a granular form, but may also have a form in which the carrier is twisted into a filament shape. As such, when the carrier is made in the form of filament, the carri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rushed and introduced into the draft beer.

특히, 이산화탄소 가스를 상기 가스배출구(301)를 통해서 배출할 때, 이산화탄소 가스는 담체보관부재(400)를 통과하여 가스배출구(301)로 흘러가게 되는데, 담체보관부재(400)에는 망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산화탄소 가스는 망눈을 통과하면서 안정적인 흐름을 이루게 되고, 그에 따라 가스배출관(322)으로 용이하게 유입되어 안정적으로 외부로 배출된다. In particular, when the carbon dioxide gas is discharged through the gas outlet 301, the carbon dioxide gas passes through the carrier storage member 400 and flows to the gas outlet 301, and a man-eye is formed in the carrier storage member 400. Therefore, the carbon dioxide gas forms a stable flow while passing through the mesh, and thus is easily introduced into the gas discharge pipe 322 to be stably discharged to the outside.

한편, 본체의 측면 즉, 상기 케이싱(100)의 측면에는 생맥주 인출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는 공급도관(도시되지 않음)이 결합되는 도관연결부(101)가 구비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도관연결부(101)가 관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져 케이싱(100)의 측면에 조립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관연결부(101)는 조립 분해되는 구조가 아니라 케이싱(100)과 일체를 이루어 구비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ide of the main body, that is, the side of the casing 100 is provided with a conduit connecting portion 101 is coupled to the supply conduit (not shown) connected to the draft beer extraction device (not shown). In the drawing, although the conduit connection part 101 is formed as a tubular member and assembled to the side of the casing 100, the conduit connection part 101 is not provided to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but is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casing 100. It may be.

상기 이온활성화부재(2)는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 단면을 차단하도록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상기 이온활성화부재(2)에는 케이싱(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온활성화부재(2)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공급유로(21)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공급유로(21)의 입구는 이온활성화부재(2)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이고 공급유로(21)의 출구는 이온활성화부재(2)의 상면에 형성되도록 공급유로(21)가 상기 이온활성화부재(2)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The ion activating member 2 is a member installed inside the casing 100 so as to block the inner end of the casing 100, the ion activating member 2 is ion activ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ing 100. The supply passage 21 is formed to penetrat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ember 2. That is, the inlet of the supply passage 21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on activating member 2 and the outlet of the supply passage 2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on activating member 2 so that the supply passage 21 is formed in the ion. It is formed through the activation member (2).

상기 이온활성화부재(2)에는 상기 공급유로(21)와 나란하게 배출유로(22)도 형성되는데, 상기 배출유로(22)는 이온활성화부재(2)의 상면에서부터 시작하여 이온활성화부재(2)의 내부로 연통되지만 중간에 구부러져서 이온활성화부재(2)의 측면으로 이어진다. 즉, 배출유로(22)의 입구는 이온활성화부재(2)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지만, 배출유로(22)의 출구는 이온활성화부재(2)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어 있도록 상기 배출유로(22)가 이온활성화부재(2) 내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배출유로(22)의 출구는 케이싱(100)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도관연결부(101)와 연통된다. 상기 배출유로(22)의 입구에는 후술하는 것처럼 부유차단볼(3)이 놓여서 배출유로(22)의 입구를 폐쇄하게 되는데, 부유차단볼(3)이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도록 배출유로(22)의 입구는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The ion activating member 2 is also formed with a discharge passage 22 in parallel with the supply passage 21, the discharge passage 22 start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on activating member 2 ion activation member (2) It communicates with the interior of the but is bent in the middle leading to the side of the ion activation member (2). That is, although the inlet of the discharge passage 2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on activating member 2, the outlet of the discharge passage 22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ion activating member 2 so that the discharge passage 22 Is formed in the ion activation member (2). The outlet of the discharge passage 22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duit connecting portion 101 formed on the side of the casing (100). The floating blocking ball 3 is placed at the inlet of the discharge passage 22 to close the inlet of the discharge passage 22, as described below, so that the floating blocking ball 3 can be stably placed. The inlet may be formed concave.

후술하는 것처럼, 공급유로(21)를 통해서 생맥주통으로부터 새로운 생맥주가 유입되는 상황에서도 압력차이 때문에 부유차단볼(3)이 배출유로(22)의 입구를 계속 폐쇄한 상태를 지속할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 이때는 부유차단볼(3)이 생맥주에 의해 부유할 수 있도록 부유차단볼(3)을 조금 움직여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본체의 측면 즉, 케이싱(100)의 측면에는 볼충격부재(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볼충격부재(120)는 케이싱(100)의 측면을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하는 관통로드(1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통로드(121)는 작동버튼(122)에 의해 케이싱(100)의 측면 방향으로 진퇴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작동버튼(122)을 케이싱(100)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관통로드(121)가 케이싱(100)의 측면 내부 즉, 이온활성화부재(2)와 상부 캡(300) 사이의 공간으로 진출하게 되고, 관통로드(121)의 단부가 이온활성화부재(2)의 상면에 놓인 부유차단볼(3)을 밀어서 움직이게 된다. 작동버튼(122)에는 스프링부재(123)가 구비되어 있어, 작동버튼(122)을 누를 때 스프링부재(123)가 눌리게 되므로, 스프링부재(123)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작동버튼(122)은 케이싱(100)으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관통로드(121)는 다시 케이싱(100)의 외측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물론 관통로드(121)를 움직이는 구성은 이와 같은 작동버튼(122)과 스프링부재(123)를 이용한 구성 이외에 또다른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As will be described later, even when a new draft beer is introduced from the draft beer through the supply flow passage 21,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floating blocking ball 3 continues to close the inlet of the discharge flow passage 22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move the floating blocking ball (3) a little so that the floating blocking ball (3) to be floated by the draft beer. To this end, the ball impact member 12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that is, the side of the casing (100). The ball impact member 120 includes a through rod 121 penetrating the side of the casing 100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he through rod 121 may be advanc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asing 100 by the operation button 122. When the user presses the operation button 122 in the casing 100 direction, the through rod 121 is casing. Inside the side of the (100), that is, the advanc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ion activating member 2 and the upper cap 300, the end of the through rod 121 is suspended floating ball (top)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on activating member ( 3) push to move. The operation button 122 is provided with a spring member 123, the spring member 123 is pressed when the operation button 122 is pressed, the operation button 122 agai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member 123 Far from the casing 100, the through rod 121 again moves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casing 100. Of course, the configuration of moving the through rod 121 may use another method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using the operation button 122 and the spring member 123 as described above.

한편, 상기 이온활성화부재(2)에서 상기 공급유로(21) 및 상기 배출유로(22)를 중앙에 두고 상기 이온활성화부재(2)의 양측면에는 각각 오목부(23)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23) 내에는 각각 자석(25)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이온활성화부재(2)의 횡방향 양측에 자석(25)이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상기 양측 자석(25) 사이에 공급유로(21) 및 배출유로(22)가 위치하는 것이다. Meanwhile, concave portions 23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on activating member 2 with the supply passage 21 and the discharge passage 22 at the center of the ion activating member 2, respectively, and the concave portion ( Each of the magnets 25 may be provided in the 23. That is, the magnets 25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ion activating member 2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supply passage 21 and the discharge passage 22 are positioned between the magnets 25 on both sides.

다음에서는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터짐 방지장치(1)의 작동 및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Next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gas preven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도 6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것처럼, 생맥주 인출장치로 생맥주가 정상 공급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 연결캡(200)에 형성된 관접속부(201)에 생맥주통과 연통되는 접속관이 연결된 상태에서 생맥주통으로부터 생맥주가 접속관을 통해서 하부 연결캡(200)을 지나 이온활성화부재(2)의 하면에 형성된 공급유로(21)의 입구로 들어와서, 공급유로(21)를 통해 이온활성화부재(2)를 관통하여 이온활성화부재(2)의 상면 위쪽의 공간으로 유입된다. 유입된 생맥주는 이온활성화부재(2)와 상부 캡(300) 사이의 공간을 채우게 되는데, 부유차단볼(3)은 이온활성화부재(2)와 상부 캡(300) 사이의 공간을 채운 생맥주에 부유되어 있는 상태가 되며, 그에 따라 이온활성화부재(2)의 상면에 형성된 배출유로(22)의 입구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온활성화부재(2)와 상부 캡(300) 사이의 공간을 채운 생맥주는 배출유로(22)의 입구로 들어가서 이온활성화부재(2)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유로(22)의 출구로 배출되어 케이싱(100)의 측면에 형성된 도관연결부(101)로 배출되고, 도관연결부(101)에 접속된 도관(미도시)을 거쳐 생맥주 인출장치로 공급된다. In the state in which the draft beer is normally supplied to the draft beer extracting device, as shown by the arrow in FIG. 6, the draft beer is drawn from the draft beer in a state in which a connection tube communicating with the draft beer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201 formed in the lower connection cap 200. Enters the inlet of the supply passage 21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on activating member 2 through the connection pipe 200 through the connecting pipe, and passes through the ion activating member 2 through the supply passage 21. It flows into the space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ion activation member (2). The introduced draft beer fills the space between the ion activating member 2 and the upper cap 300. The floating blocking ball 3 floats in the draft beer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ion activating member 2 and the upper cap 300. In this case, the inlet of the discharge passage 2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on activating member 2 is kept open. The draft beer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ion activating member 2 and the upper cap 300 enters the inlet of the discharge passage 22 and is discharged to the outlet of the discharge passage 22 formed on the side of the ion activating member 2 so that the casing ( It is discharged to the conduit connecting portion 101 formed on the side of 100, and is supplied to the draft beer extraction device via a conduit (not shown) connected to the conduit connecting portion 101.

이와 같은 정상 공급 상태에서, 생맥주통으로부터 공급된 생맥주는 이온활성화부재(2)를 관통하는 공급유로(21)와 배출유로(22)를 지나가게 되는데, 생맥주통으로부터 공급된 생맥주가 공급유로(21)와 배출유로(22)의 좁은 직경을 고압으로 통과하면서 이온활성화부재(2)와의 마찰에 의해 마찰대전, 박리대전, 유동대전 등의 현상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된다. 생맥주에는 미네랄 등의 금속성 양이온들이 녹아 있는데, 위와 같이 생맥주가 좁은 직경의 공급유로(21)와 배출유로(22)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정전기의 음전하가 금속성 양이온의 주변으로 끌어당겨지게 되면서 금속성 양이온 주변에는 음전하의 이온층이 만들어진다. 이렇게 음전하의 이온층이 외부에 형성된 금속성 양이온들은, 비어스톤을 유발하게 되는 칼슘 이온이나 마그네슘 이온 등과 결합하면서 응집형태의 이온 담체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온 담체는 도관에 잘 들러붙지 않는다. 즉, 도관에 칼슘 이온 등이 들러붙어 만들어지는 비어스톤의 생성이 억제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비어스톤의 침착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온활성화부재(2)를 합성수지재로 제작하는 경우, 생맥주가 공급유로(21)와 배출유로(22)를 통과할 때, 정전기의 발생이 더 잘 일어나게 되며, 그에 따라 위와 같은 비어스톤 침착 예방 효과를 더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생맥주가 공급유로(21)뿐만 아니라 배출유로(22)도 추가로 통과하게 되므로, 마찰이 일어나는 길이가 길며, 따라서 정전기 발생효과가 커져서 위와 같은 비어스톤 침착 예방 효과 및 후술하는 비어스톤의 제거 효율 향상 효과가 더욱 극대화된다. In the normal supply state, the draft beer supplied from the draft beer passes through the supply passage 21 and the discharge passage 22 passing through the ion activating member 2, the draft beer supplied from the draft beer is supplied to the supply passage 21 Static electricity is generated by frictional charging, peeling charging, flow charging, and the like by friction with the ion activating member 2 while passing through the narrow diameter of the exhaust path 22 and the high pressure. In the draft beer, metallic cations such as minerals are melted. As described above, the negative charge of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when the draft beer passes through the narrow diameter supply passage 21 and the discharge passage 22 is attracted to the vicinity of the metallic cation. A negatively charged ion layer is created around it. The metallic cation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negatively charged ion layer combine with calcium ions and magnesium ions, which cause viastone, to form an aggregated ion carrier, which does not adhere well to the conduit. That is, generation of beer stones formed by attaching calcium ions to the conduit is suppress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occurrence of deposition of viastone. In particular, when the ion activating member 2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when the draft beer passes through the supply flow passage 21 and the discharge flow passage 22, the generation of static electricity is more likely to occur, accordingly the beer stone deposi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vention effect can be further maximized. 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aft beer additionally passes not only the supply passage 21 but also the discharge passage 22, the length of the friction is long, and thus the static electricity generation effect is increased, so that the beerstone deposition prevention effect and the beer to be described later are increase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stone is further maximized.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본체의 가스 배출구의 전방에 구비된 담체보관부재(400)에, 금속성 이온을 공급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담체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생맥주와 상기 담체가 접촉하면서 담체로부터 금속성 양이온이 용출되어 생맥주내로 공급되어 위와 같은 정전기에 의한 금속성 양이온 주변의 음전하 이온층 형성 및 비어스톤 유발물질과의 결합, 그리고 그에 의한 비어스톤 생성 억제 효과가 더욱 증대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rrier storage member 400 provided in front of the gas outlet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carrier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supplying metallic ions, the metallic cations are eluted from the carrier while the draft beer is in contact with the carrier. It is then supplied into the draft beer to form a negative ion layer around the metallic cation by the static electricity, the binding to the via stone inducing material, thereby suppressing the effect of the generation of beer stone.

한편, 위와 같이 이온활성화부재(2)에 자석(25)을 배치하는 경우, 생맥주가 공급유로(21)와 배출유로(22)를 통과하면서 공급유로(21)와 배출유로(22)의 횡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자석(25)으로 인한 자기장의 영향을 받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생맥주통에서 나오는 생맥주가 이온활성화부재(2)를 관통하는 공급유로(21)와 배출유로(22)를 지나갈 때, 자석(25)에 의해 강한 자기장이 생맥주에 가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자기장이 생맥주에 가해지게 되면, 물분자들 사이에 진동과 공극이 생기게 되는 자기공진공명 현상이 야기되며, 그에 따라 생맥주의 물 분자들 사이에 활발한 운동과 많은 충돌로 인하여 에너지가 생성된다. 이러한 에너지를 통해 생맥주에 포함된 물은 수소이온(H+)과 수산화이온(OH-)이 풍부한 전기분해수가 된다. 따라서 생맥주에 포함된 수산화이온은 도관의 벽면 등의 계면에서 비어스톤의 성분이 되는 칼슘 이온 등의 전하를 잃어버리게 함으로써, 칼슘 등이 도관의 벽면에 부착되는 대신에 고체미립자 형태로 변하게 만든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도 비어스톤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magnet 25 is disposed in the ion activation member 2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draft beer passes through the supply passage 21 and the discharge passage 22,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supply passage 21 and the discharge passage 22 The magnetic field is affected by the magnets 25 located on both sides.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aft beer from the draft beer passes through the supply passage 21 and the discharge passage 22 passing through the ion activating member 2, a strong magnetic field is applied to the draft beer by the magnet 25. . As such, when the magnetic field is applied to the draft beer, a magnetic resonance phenomenon occurs, in which vibrations and voids are generated between water molecules, and thus energy is generated due to active motion and many collisions between the water molecules of the draft beer. Water contained in the draft through this energy is a hydrogen ion (H +) and hydroxide ions (OH -) is not rich electrolysis. Accordingly, the hydroxide ions contained in the draft beer lose the charge of calcium ions, which are components of beer stone, at the interface such as the wall surface of the conduit, thereby making calcium, etc., into solid particles instead of being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conduit. Therefore, this process can effectively suppress the generation of beer stones.

한편, 생맥주가 좁은 직경의 공급유로(21)와 배출유로(2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생맥주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가스의 기포들이 미세한 크기의 기포로 바뀌게 되고, 이러한 미세한 이산화탄소 가스 기포 등의 영향으로, 이미 도관 등에 침착되어 있던 비어스톤은 탈락하기 쉬운 상태가 되는데, 생맥주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도관 내부를 흐르면서 생기는 수류가 비어스톤을 타격하게 되고, 그에 따라 이미 침착 형성되어 있던 비어스톤도 점차로 탈락하여 제거된다. 특히,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담체를 담고 있는 담체보관부재(400)가 가스 배출구의 전방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생맥주가 담체와 지속적으로 접촉하면서 원적외선 파장이 생맥주에 가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생맥주가 활성화되면서 비어스톤의 제거 효율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ile the draft beer passes through the narrow diameter supply passage 21 and the discharge passage 22, the bubbles of carbon dioxide gas contained in the draft beer is changed to a bubble of a fine size, due to the influence of such fine carbon dioxide gas bubbles, Beerstone already deposited in the conduit is easy to fall off, and the draft beer is continuously supplied, and the water flow flowing through the conduit hits the beerstone, and as a result, the beerstone that has already been formed is gradually eliminated and removed. do. In particular, when the carrier storage member 400 containing the carrier that emits far infrared rays is provided in front of the gas outlet, while the draft beer is in continuous contact with the carrier, the far-infrared wavelength is applied to the draft beer, and thus the draft beer is activated.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via stone becomes higher.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터짐 방지장치(1)를 지나 도관연결부(101)에 접속된 도관(미도시)을 거쳐 생맥주 인출장치로 생맥주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비어스톤이 생성되지도 않고 생성되던 비어스톤도 제거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그러므로 비어스톤으로 인한 생맥주의 변질을 방지하여 깨끗한 위생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생맥주 맛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a the gas prevention device (1) through a conduit (not shown) connected to the conduit connecting portion 101, beer draft was no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supplying draft beer to the draft beer extraction device. Beerstone is also remov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draft beer caused by beer stone to maintain a clean hygiene state, and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draft beer taste.

또한 공급유로(21)를 통해서 이온활성화부재(2)의 상면과 상부 캡(300) 사이의 케이싱(100) 내부 공간에 채워진 생맥주는 상부 캡(300)의 하면 전방에 설치된 상기 담체보관부재(400) 내의 담체와 지속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그에 따라 담체로부터의 천연 은(銀) 및 기타 살균 성분을 통해서 생맥주의 살균 작용이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생맥주의 맛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draft beer fi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ing 100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ion activating member 2 and the upper cap 300 through the supply passage 21, the carrier storage member 400 installed in fron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ap 300 Constant contact with the carrier in the shell), and thus, the sterilization action of the draft beer is achieved through natural silver and other sterilizing components from the carrier, thereby preventing the deterioration of the taste of the draft beer.

생맥주통에 담겨있던 생맥주가 소진되면, 생맥주통으로부터는 거품과 이산화탄소 가스만이 공급되고, 그에 따라 생맥주통을 교체해야 한다. 종래에는 생맥주통의 생맥주가 소진되어 최종적으로 거품과 이산화탄소 가스가 생맥주 인출장치로 공급되면서 가스터짐 현상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가스터짐 방지장치(1)에서는, 생맥주통으로부터 거품과 이산화탄소 가스만이 공급될 경우, 이러한 거품과 이산화탄소 가스는 상기 하부 연결캡(200)의 공급유로(21)를 거쳐 이온활성화부재(2)의 상면과 상부 캡(300) 사이의 케이싱(10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데, 이산화탄소 가스는 내부 공간의 상부부터 채워지게 되고, 이온활성화부재(2)의 상면과 상부 캡(300) 사이에 남아 있던 생맥주가 배출유로(22)로 모두 배출되면서,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생맥주에 부유하고 있던 부유차단볼(3)은 이산화탄소 가스 압력에 의해 이온활성화부재(2)의 상면에서 배출유로(22)의 입구에 놓여 배출유로(22)의 입구를 폐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생맥주 인출장치를 개방하게 되면 생맥주 인출장치 방향으로 배출유로(22) 내부에는 부(-)압이 형성되면서 부유차단볼(3)이 배출유로(22)의 입구에 밀착하게 되고 그에 따라 배출유로(22)가 완전히 차단된다. When the draft beer in the draft beer is exhausted, only the foam and carbon dioxide gas is supplied from the draft beer, and the draft beer must be replaced accordingly. Conventionally, the draft beer of the draft beer is exhausted, and finally, bubbles and carbon dioxide gas is supplied to the draft beer withdrawal device, a gasping phenomenon occurs. However, in the gas preven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only foam and carbon dioxide gas are supplied from the draft beer, the foam and carbon dioxide gas are ion-activated via the supply passage 21 of the lower connection cap 200. The upper surface of the member 2 and the upper cap 300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asing 100, the carbon dioxide gas is fill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space, the upper surface of the ion activating member 2 and the upper cap 300 As all the draft beer remaining in between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assage 22, as shown in FIG. 7, the floating blocking ball 3 floating in the draft beer is discharg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on activating member 2 by the carbon dioxide gas pressure. The inlet of the flow passage 22 is closed to close the inlet of the discharge passage 22. In this state, when the draft beer extraction device is opened, a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discharge flow passage 22 toward the draft beer extraction device, and the floating blocking ball 3 closely adheres to the inlet of the discharge flow passage 22. The discharge passage 22 is completely block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가스터짐 방지장치(1)에서는 생맥주통의 생맥주가 소진되어 생맥주통으로부터 단지 거품과 이산화탄소 가스만이 공급되는 상태가 되면, 생맥주를 생맥주 인출장치로 공급하는 배출유로(22)의 입구를 부유차단볼(3)이 케이싱 내부에 채워지는 이산화탄소 가스압력에 의해 움직여서 자동적으로 차단하게 되어, 이산화탄소 가스가 생맥주 인출장치로 공급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생맥주 인출장치를 개방하더라도 이산화탄소 가스의 배출로 인한 "펑"하는 소음의 발생 즉, 가스터짐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가스터짐 현상이 방지되므로 거품 등이 분출하여 사방으로 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깨끗한 위생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하지도 않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불쾌한 가스터짐 현상을 경험하지 않고서도 생맥주 인출장치를 개방하여 생맥주가 더 이상 나오지 않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생맥주통의 교체시기를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gas prevent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aft beer of the draft beer is exhausted and only the foam and carbon dioxide gas are supplied from the draft beer container, the discharge passage 22 for supplying the draft beer to the draft beer extraction device 22. The inlet of the floating blocking ball (3) is moved by the pressure of the carbon dioxide gas filled in the casing is automatically shut off, the carbon dioxide gas will not be supplied to the draft beer takeout device. Therefore, even if the draft beer extraction device is open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pop" noise, that is, a gasping phenomenon, due to the discharge of carbon dioxide gas. In this way, since the phenomenon of gasping is prevented, bubbles and the lik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plashed in all directions, thereby maintaining a clean hygiene state and not causing discomfort to the user. In addition, the user can easily know when to replace the draft beer by opening the draft beer withdrawal device to confirm that the draft beer no longer comes out without experiencing an unpleasant gasification phenomenon.

부유차단볼(3)에 의해 배출유로(22)의 입구가 차단되면, 빈 생맥주통을 새로운 생맥주통으로 교체하기에 앞서, 상부 캡(300)과 이온활성화부재(2)의 상부 사이의 공간에 채워진 이산화탄소 가스를 외부로 배출한다. 즉, 상부 캡(300)과 연결되는 가스배출관을 통해 이산화탄소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푸쉬버튼(320)을 누르게 되는데, 푸쉬버튼(320) 아래의 스프링부재(321)가 눌리면서 승하강부재(311)가 하부방향으로 눌려서 하강하면서 가스배출공(312)이 형성된 승하강부재(311)의 하단부가 가스배출구(301)의 외부로 돌출되고, 그에 따라 가스배출공(312)이 이온활성화부재(2)와 상부 캡(300) 사이의 공간으로 노출되면서 "개방" 위치로 되어 이산화탄소 가스가 가스배출공(312)으로 유입된다. 유입된 이산화탄소 가스는 가스배출공(312)과 연통되어 있는 가스배출관(322)으로 흘러가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산화탄소 가스의 배출이 완료되면, 푸쉬버튼(320)을 누르고 있던 힘을 제거하게 되고, 그에 따라 스프링부재(321)의 팽창력에 의해 푸쉬버튼(320)이 다시 상부방향으로 돌출되고, 승하강부재(311)가 다시 상승하여 가스배출구(301) 내에 관입된 상태로 되면서 가스배출공(312) 역시 가스배출구(301) 내에 위치하여 폐쇄된다. When the inlet of the discharge passage 22 is blocked by the floating blocking ball 3, the space between the upper cap 30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ion activating member 2 is filled before replacing the empty draft beer with a new draft beer. Emit carbon dioxide gas to the outside. That is, the carbon dioxide ga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gas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upper cap 300.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e user is pushing the push button 320, while the spring member 321 under the push button 320 is pressed while the lifting member 311 is pushed downward to lower the gas discharge hole ( A lower end of the elevating member 311 having the 312 formed thereon protrudes out of the gas outlet 301, and thus the gas outlet hole 312 is exposed to the space between the ion activating member 2 and the upper cap 300. While being in the "open" position, carbon dioxide gas is introduced into the gas discharge hole 312. The introduced carbon dioxide gas flows to the gas discharge pipe 322 in communication with the gas discharge hole 312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n the discharge of the carbon dioxide gas is completed, the force holding the push button 320 is removed. Accordingly, the push button 320 protrudes upward again by the expansion force of the spring member 321, and the lifting member ( As the 311 is raised again to be infiltrated into the gas outlet 301, the gas outlet hole 312 is also located in the gas outlet 301 and closed.

특히, 앞서 설명한 것처럼, 상기 상부 캡(300)의 하면 전방에는 담체보관부재(400)가 구비되는 경우, 가스배출공(312)으로 이산화탄소 가스가 유입되기 전에 상기 담체보관부재(400)의 망눈을 통과하면서 이산화탄소 가스는 와류 등의 흐름이 아닌 안정적인 흐름을 이루게 되며, 따라서 원활하게 이산화탄소 가스가 가스배출공(312)으로 배출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In particula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rrier storage member 40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ap 300, the mesh of the carrier storage member 400 before the carbon dioxide gas is introduced into the gas discharge hole 312 While passing, the carbon dioxide gas forms a stable flow rather than a vortex flow, and thus the carbon dioxide gas is smoothly discharged to the gas discharge hole 312.

이와 같이 이산화탄소 가스의 외부배출이 완료된 후에는, 빈 생맥주통을 새로운 생맥주통으로 교체한 후, 교체된 생맥주통에 접속관을 연결하고 상기 접속관을 하부 연결캡(200)의 관접속부(201)에 결합하게 되면, 새로운 생맥주통으로부터 생맥주가 다시 본 발명의 가스터짐 방지장치(1)로 유입된다. 즉, 새로운 생맥주통으로부터의 생맥주가 상기 하부 연결캡(200)의 공급유로(21)를 거쳐 이온활성화부재(2)의 상면과 상부 캡(300) 사이의 케이싱(100) 내부 공간을 상부방향으로 점차 채워지는 것이다. 배출유로(22)의 입구를 차단하고 있던 부유차단볼(3)은, 새로운 생맥주가 채워짐에 따라 다시 부유하게 되고 그에 따라 배출유로(22)의 입구가 개방되면서 다시 생맥주가 배출유로(22)를 통해 생맥주 인출장치로 공급된다. 즉, 부유차단볼(3)은 생맥주가 채워져 부력을 받아 이동하게 되고, 부유차단볼(3)이 이동하면서 배출유로(22)의 입구가 개방되므로, 배출유로(22)의 입구의 위쪽으로 이산화탄소 가스가 아닌 생맥주가 채워진 상태에서 배출유로(22)가 개방되는 것이다. After the external discharge of carbon dioxide gas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empty draft beer container is replaced with a new draft beer container, and then a connec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replaced draft beer container and the connec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201 of the lower connection cap 200. When combined, the draft beer is introduced from the new draft beer back into the gas prevent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draft beer from the new draft beer through the supply passage 21 of the lower connection cap 200 through th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100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ion activating member 2 and the upper cap 300 in an upward direction. It is gradually filled. Floating blocking ball (3) was blocking the inlet of the discharge passage 22, the new draft beer is re-floating as the new draft beer is filled, thereby opening the inlet of the discharge passage 22, the draft beer is again the discharge passage 22 It is fed to the draft beer withdrawal device. That is, the floating blocking ball (3) is filled with the draft beer is moved buoyancy, because the inlet of the discharge passage 22 is opened while the floating blocking ball (3) moves, carbon dioxide toward the top of the inlet of the discharge passage 22 The discharge passage 22 is opened while the draft beer is filled instead of the gas.

그런데 경우에 따라서는 생맥주 인출장치로부터의 부압으로 인하여 부유차단볼(3)이 배출유로(22)의 입구에 가압된 상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생맥주가 이온활성화부재(2)의 상면과 상부 캡(300) 사이의 케이싱(100) 내부 공간에 다시 채워져도 부유차단볼(3)이 부유하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싱(100)의 측면을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하는 관통로드(121)를 케이싱(100)의 외측면에서 가압하여 관통로드(121)가 이온활성화부재(2)와 상부 캡(300) 사이의 공간으로 진출하도록 함으로써 관통로드(121)의 단부가 이온활성화부재(2)의 상면에 놓인 부유차단볼(3)을 밀어서 움직이게 만든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스프링부재(123)가 구비된 작동버튼(122)을 누르게 되면 그에 따라 관통로드(121)가 움직여서 부유차단볼(3)을 밀게 된다. 부유차단볼(3)이 움직여서 배출유로(22)의 입구를 조금이라도 개방하게 되면 생맥주가 배출유로(22)로 배출되면서 부압이 사라지게 되고 그에 따라 부유차단볼(3)은 당기는 힘을 받지 않고 오히려 생맥주에 의한 부력을 받아 부유하게 되며, 그에 따라 앞서 설명한 것처럼 생맥주는 원활하게 배출유로(22)를 통해서 배출된다. However, in some cases, the floating blocking ball 3 is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inlet of the discharge passage 22 due to the negative pressure from the draft beer extracting device, so that the draft beer i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on activating member 2. Even if it is refi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ing 100 between the upper cap 300, a situation in which the floating blocking ball 3 may not float may occur.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8, the through rod 121 presses the through rod 121 penetrating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casing 10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ing 100 so that the through rod 121 is ion-activated member 2. By advanc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top cap 300 and the end of the through-rod 121 to push the floating blocking ball (3)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on activation member (2) to move.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operation button 122 is provided with the spring member 123 is pushed through the rod 121 is moved accordingly to push the floating blocking ball (3). If the floating blocking ball (3) is moved to open the inlet of the outlet flow passage (22) even a little, the draft beer is discharged into the discharge flow passage (22) and the negative pressure disappears accordingly, the floating block ball (3) is not subjected to the pulling force rather It is buoyant by the draft beer to be floating, according to the draft beer is discharged smoothly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22 as described abov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가스터짐 방지장치(1)에서는, 배출유로(22)의 입구의 위쪽으로 이산화탄소 가스가 아닌 생맥주가 채워진 상태에서 부유차단볼(3)이 움직이면서 배출유로(22)가 개방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배출유로(22)에는 이산화탄소 가스가 유입되지 않고 오로지 생맥주만이 유입되는 상태가 되며, 따라서 생맥주통을 새로 교체한 후 생맥주 인출장치에서 첫잔의 생맥주를 받을 때, 이산화탄소 가스가 급격하게 배출되는 "가스터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곧바로 생맥주가 배출된다. 즉, 가스터짐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gas prevention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passage 22 is opened while the floating blocking ball 3 moves in the state where the draft beer is filled, not carbon dioxide gas, above the inlet of the discharge passage 22. . Accordingly, only the draft beer is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passage 22 without the carbon dioxide gas being introduced. Therefore, when the draft beer container is newly replaced after receiving the first draft beer from the draft beer dispensing device, the carbon dioxide gas is rapidly discharged. Draft beer is discharged immediately without "gasting phenomenon".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gas phenomenon.

이와 같이 가스터짐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불쾌감 유발, 위생 불량 유발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며, 더 나아가 생맥주통 교체시에 상당한 량의 생맥주 손실이 생기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생맥주통 교체 작업을 간편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As such,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gasping phenomenon, so that problems such as causing unpleasant feelings and poor hygiene can be solved. Furthermore, when a draft beer container is replaced, a significant amount of draft beer can be prevented. The effect is that the pail replacement can be done easily and quickly.

2: 이온활성화부재
3: 부유차단볼
100: 케이싱
200: 하부 연결캡
300: 상부 캡
2: ion activation member
3: floating blocking ball
100: casing
200: lower connection cap
300: upper cap

Claims (4)

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의 단면을 차단하도록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는 이온활성화부재(2)와, 상기 이온활성화부재(2)에 의해 구획된 본체 내의 공간에 구비되는 부유차단볼(3)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하부를 폐쇄하는 하부판에는 생맥주통과 연결되는 접속관이 연결되며, 본체의 상부를 폐쇄하는 상부판에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배출을 위한 가스배출관이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생맥주의 배출을 위한 도관연결부(10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온활성화부재(2)에는, 생맥주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생맥주가 상기 이온활성화부재(2)와 상기 본체의 상부판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급유로(21)가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온활성화부재(2)에는 상기 이온활성화부재(2)와 상기 본체의 상부판 사이의 공간에 채워진 생맥주가 도관연결부(101)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유로(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유로(21)를 통해 상기 이온활성화부재(2)와 상기 본체의 상부판 사이의 공간으로 생맥주가 공급되면 상기 부유차단볼(3)은 부력에 의해 부유되면서 상기 배출유로(22)의 입구가 개방되어 상기 배출유로(22)를 통해 도관연결부(101)로 생맥주가 배출되어 생맥주 인출장치로 생맥주가 공급되고;
상기 공급유로(21)를 통해 이산화탄소 가스가 공급되어 상기 이온활성화부재(2)와 상기 본체의 상부판 사이의 공간에 이산화탄소 가스가 채워지면 상기 부유차단볼(3)은 상기 배출유로(22)의 입구 위에 놓여 배출유로(22)를 차단함으로써 이산화탄소 가스가 배출유로(22)를 통해 도관연결부(101)를 거쳐 생맥주 인출장치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여 생맥주 인출장치에서의 가스터짐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의 가스터짐 방지장치.
The cylindrical main body, the ion activating member 2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block the end surface inside the main body, and the floating blocking ball 3 provided in the space in the main body partitioned by the ion activating member 2. It includes;
The lower plate closing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draft beer, the upper plate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gas discharge pipe for the discharge of carbon dioxide gas, the side of the main body for the discharge of draft beer A conduit connection 101 is formed;
The ion activating member (2) has a feed passage (21) through which the draft beer supplied from the draft beer cylinder flows into the space between the ion activating member (2) and the upper plate of the main body;
The ion activating member (2) is formed with a discharge passage 22 for discharging draft beer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ion activating member (2) and the upper plate of the main body to the conduit connection (101);
When draft beer is supplied to the space between the ion activating member 2 and the upper plat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supply passage 21, the floating blocking ball 3 is floated by buoyancy and the inlet of the discharge passage 22 Is opened and the draft beer is discharged to the conduit connecting portion 101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22 is supplied to the draft beer withdrawal device;
When the carbon dioxide gas is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assage 21 and the carbon dioxide gas is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ion activating member 2 and the upper plate of the main body, the floating blocking ball 3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assage 22. Blocking the discharge passage 22 placed on the inlet to prevent carbon dioxide gas from being supplied to the draft beer taking device through the conduit connecting portion 101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22 to prevent the gas phenomenon in the draft beer taking device. Prevention device for draft be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활성화부재(2)에는, 상기 공급유로(21) 및 상기 배출유로(22)를 중앙에 두고 상기 이온활성화부재(2)의 양측면에 각각 자석(25)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공급유로(21) 및 상기 배출유로(22)로 생맥주가 흐를 때 자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의 가스터짐 방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on activating member 2 is provided with magnets 25 on both sides of the ion activating member 2 with the supply passage 21 and the discharge passage 22 at the center, respectively. 21) and the draft beer preve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tic force is applied when the draft beer flows into the discharge passage (2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을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하고 있어 본체의 내부로 진퇴하면서 이온활성화부재(2)의 배출유로(22) 입구에 놓인 부유차단볼(3)을 밀어서 움직이게 하는 관통로드(121)를 포함하는 볼충격부재(120)가 상기 본체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의 가스터짐 방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through-rod 121 penetrates the side of the main body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pushes the floating blocking ball 3 placed at the inlet of the discharge passage 22 of the ion activating member 2 to move inside the main body. Ball impact member 12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ft beer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본체의 상부판에서 상기 가스배출관이 연결되는 가스 배출구의 전방에는, 금속 양이온을 용출시키는 담체가 담겨 있는 담체보관부재(40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의 가스터짐 방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front of the gas discharge port to which the gas discharge pipe is connected in the upper plate of the main body, the carrier storage member 400 containing a carrier for eluting the metal cation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ft beer prevention device.
KR1020110083038A 2011-08-19 2011-08-19 Desliming Apparatus of Beer KR1012382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038A KR101238263B1 (en) 2011-08-19 2011-08-19 Desliming Apparatus of Be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038A KR101238263B1 (en) 2011-08-19 2011-08-19 Desliming Apparatus of Be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413A true KR20130020413A (en) 2013-02-27
KR101238263B1 KR101238263B1 (en) 2013-03-04

Family

ID=47898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038A KR101238263B1 (en) 2011-08-19 2011-08-19 Desliming Apparatus of Be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826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615B1 (en) * 2014-08-18 2016-02-25 박종하 Draft Beer Supplying Device Equipped with Cleaning Function
WO2017091015A1 (en) * 2015-11-25 2017-06-01 조정호 Cleaning module gas opening/closing device for beverage dispensing head
WO2018066770A1 (en) * 2016-10-06 2018-04-12 (주)구츠 Cold/warm hydrogen water machine capable of air introduction and hydrogen gas automatic discharge contro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890B1 (en) * 2014-04-30 2016-02-11 박종하 Mixed Fluid Supplying Apparatus, and Draft Beer Supplying Device Equipped Therewith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6591A (en) 1997-02-25 1998-09-08 Kirin Brewery Co Ltd Passage cutting-off structure of liquid pouring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615B1 (en) * 2014-08-18 2016-02-25 박종하 Draft Beer Supplying Device Equipped with Cleaning Function
WO2017091015A1 (en) * 2015-11-25 2017-06-01 조정호 Cleaning module gas opening/closing device for beverage dispensing head
WO2018066770A1 (en) * 2016-10-06 2018-04-12 (주)구츠 Cold/warm hydrogen water machine capable of air introduction and hydrogen gas automatic discharge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8263B1 (en) 2013-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8263B1 (en) Desliming Apparatus of Beer
JP4022251B1 (en) Reduced water generator
US20090142225A1 (en) Ice Bins, Ice Makers, and Methods for Cleaning Ice Bins and Ice Makers
EP2154114A1 (en) Water treatment unit for beverage production machine
US20080301866A1 (en) Cleaning Agent Dispenser for a Flushing Tank
JP6295014B2 (en) Hydrogen water production system
JP5980959B2 (en) Beer foam ejection and beer stone formation prevention device
JP2013022567A (en) Hydrogen water manufacturing device and hydrogen water manufacturing method
US10947712B2 (en) Device for delaying introduction of agents to a cistern
JP2015175131A (en) toilet detergent feeder
CN101803994A (en) Mist generating device and cosmetic apparatus
JP2011031214A (en) Salt water supply device of water softening apparatus
KR20180128832A (en) Solution feeder
JP2013034976A (en) Microbubbling apparatus
WO2009057943A3 (en) A toilet stool for odor removal which applies the reserving energy as power source
KR20190112169A (en) Beverage feeder
JP2006345723A (en) Method and device for washing rice
KR101910632B1 (en)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Hydrogen Water
JP5754060B2 (en) Liquid supply device
CN201199899Y (en) Box for producing hydrogenous beverage water
KR20130037593A (en) Apparatus for alkalifying water
JP7054500B2 (en) Hydrogen gas generator
KR101641098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hydrogen storage ice
KR20140134036A (en) Supply undiluted liquid type coffee making apparatus
CN202238284U (en) High-intensity magnetic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