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0145A - Fastening means and brassier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astening means and brassier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0145A
KR20130020145A KR1020110082578A KR20110082578A KR20130020145A KR 20130020145 A KR20130020145 A KR 20130020145A KR 1020110082578 A KR1020110082578 A KR 1020110082578A KR 20110082578 A KR20110082578 A KR 20110082578A KR 20130020145 A KR20130020145 A KR 20130020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fastening means
magnet
fastening
b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5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85687B1 (en
Inventor
문희정
Original Assignee
문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희정 filed Critical 문희정
Priority to KR1020110082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687B1/en
Publication of KR20130020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1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6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2Brassieres with front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PURPOSE: A fastening unit and a brassiere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easily assemble or disassemble brassiere cups. CONSTITUTION: A brassiere comprises left and right cups(10,12), a connection strap(20) which is formed to surround the back of a wearer, a shoulder strap(30)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strap, a first fastening member(C1) which is formed to the breast center side of the wearer from the left cup, a second fastening member(C2) which is formed to the breast center of the wearer from the right cup, and a fastening unit(C).

Description

체결수단 및 이를 이용한 브래지어 {FASTENING MEANS AND BRASSIERE USING THE SAME} Fastening means and bra using the same {FASTENING MEANS AND BRASSIE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체결수단 및 이를 이용한 브래지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stening means and a bra using the same.

본 발명에 의하면, 자석의 자기력에 의한 위치 가이드를 받도록 구성되어 양측 대상물의 체결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체결수단이 개시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disclosed a fastening means configured to receive a position guide by a magnetic force of a magnet so as to easily couple the fastening of both objects.

또한, 상기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겉옷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양 컵 간의 간격이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착용자가 주위 환경에 따라 타이트한 일반 착용 상태로부터 브래지어를 미착용한 것과 같은 편한 착용 상태로의 변환 또는 그 역변환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외부 활동 시의 미적인 착용 효과는 그대로 제공하면서도 가슴 부위의 혈류와 체온 유지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브래지어가 개시된다.
Further, by using the fastening means, the gap between the two cups can be easily adjusted even in the state of wearing the outer garment, so that the wearer changes from a normal wearing state to a comfortable wearing state such as a non-wearing bra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by facilitating the reverse conversion, a bra configured to improve the blood flow and temperature maintenance environment of the chest area while still providing the aesthetic wearing effect during external activities is disclosed.

브래지어는 가슴을 감싸는 여성용 속옷으로서, 유방을 받쳐 주고 보호하며 가슴의 모양을 교정하는 역할을 하며, 일반적으로 신축성이 있는 섬유 재질로 제조된다. Bras are women's underwear that wraps around the chest. They support and protect the breast and correct the shape of the chest. They are usually made of stretchy textiles.

이러한 브래지어는 여성의 가슴을 보호하는 본래의 기능과 더불어 옷맵시를 돋보이게 하기 위한 몸매 보정 기능이 강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근래에 들어 다양한 디자인과 색상을 갖는 브래지어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These bras are in addition to the original function of protecting women's breasts and the body correction function to enhance the appearance of the clothes is being strengthened, in view of this point, in recent years, bras having various designs and colors have been developed.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브래지어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general bra.

브래지어(104)의 일반적인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성의 가슴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두 개의 컵(101)과, 이 컵(101)의 좌우측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등 쪽에서 서로 체결될 수 있도록 된 연결끈(102) 및, 상기 컵(101)의 상단에서 착용자의 어깨에 걸린 상태로 상기 연결끈(102) 상단에 각각 고정된 어깨끈(103)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As shown in FIG. 1,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bra 104 includes two cups 101 hav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a female breast, and ar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up 101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back of the wearer. The connection strap 102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and the shoulder strap 103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strap 102 in the state caught on the shoulder of the wearer at the top of the cup 101.

이러한 브래지어는 착용 후 체결을 위하여, 일측 연결끈(102)의 선단부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걸고리(도면 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걸고리에 체결되어 분리된 연결끈(102)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된 후크(도면 미도시)가 타측 연결끈(102)의 선단에 고정 설치되는 구조를 일반적으로 갖는다.In order to fasten the bra after wearing, a plurality of hooks (not shown)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strap 102 so that the connecting strap 102 is connected to the hook and is separated. The hook (not shown) has a structure that is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other connecting string 102 in general.

따라서, 상기 연결끈(102)은 착용자의 등 쪽에서 상기 걸고리와 후크의 연결 혹은 탈거에 의해 연결되거나 풀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Therefore, the connecting strap 102 is to be connected or released by the connection or detachment of the hook and hook on the back of the wearer.

한편, 예시된 것과 같은 종래의 브래지어는 유방을 받쳐 주고 보호하는 본래의 기능 또는 몸매 보정 기능의 측면이 강조되어, 착용 상태를 기준으로 가슴을 전반적으로 타이트하게 조이는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bra as illustrated is emphasized in terms of the original function or body correction function to support and protect the breast, it was generally used in a tight tight overall chest based on the wearing state.

그런데, 최근 미국의 의학인류학자 Singer와 Griesmaijier 등의 연구에 따르면, 브래지어의 착용 시간이 길어질 수록 유방암 발병률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1995, "Dressed to kill"). However, recent studies by US medical anthropologists Singer and Griesmaijier have shown that the longer the bra wear time, the higher the incidence of breast cancer (1995, "Dressed to kill").

이 연구에 따르면, 24시간 브래지어를 착용하는 여성과 전혀 착용하지 않는 여성과의 유방암 발병률 차이는 125배나 된다고 하며, 브래지어를 착용할수록 유방암 발병률이 높은 가장 큰 이유는 브래지어가 임파액의 정상적인 흐름을 막고 가슴 부위의 체온을 상승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발표되었다. The study found that the difference in breast cancer incidence between women who wore 24-hour bras and women who didn't wear them was 125 times the most common. It is reported that it raises the body temperature of the site.

국내에서도 SBS 스페셜(2009.12) 등 방송 프로그램의 참가자 실험에 따르면, 1개월간 브래지어를 미착용한 여성들의 경우, 림프 흐름도가 상당히 활발해지고, 유방 형태면에서도 실험 전보다 좌-우 균형이 이룬 모습을 보이는 등, 타이트하게 착용하는 브래지어에 의해 발생되는 여러가지 부작용이 확인되는 실정이었다. According to a participant experiment of a broadcasting program such as SBS Special (2009.12) in Korea, women who did not wear a bra for one month showed a much more active lymphatic flow, and the breast shape showed a more balanced left-right than before the experiment. Various side effects caused by wearing a tight bra was confirmed.

그러나, 브래지어 착용에 관한 사회적인 선입견으로 인해, 브래지어 자체를 미착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면이 있었다. However, due to social preconceptions about wearing bras, it was practically impossible to wear the bra itself.

또한, 착용자가 주위 환경에 따라 브래지어의 체결 상태를 해제하여 편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필요한 경우에만 타이트한 일반 착용 상태로 만들고자 하여도, 상기 예시된 종래의 브래지어는 착용자의 등 쪽에서 체결되는 구조이므로 겉옷을 착용한 상태에서는 이러한 조작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even if the wearer releases the fastening state of the bra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maintain a comfortable state, but only if necessary to make a tight general wearing state, the illustrated conventional bra is a structure that is fastened on the back of the wearer, so There was a problem that such manipulation is almost impossible in the worn state.

또한, 일부 브래지어 모델의 경우, 브래지어의 컵 쪽에서 체결하는 구조가 개발되었지만, 이러한 모델 역시 착용자가 겉옷을 착용한 상태에서는 체결 조작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여전히 있었다.
In addition, in some bra models, a structure for fastening on the cup side of the bra has been developed, but such a model still has a problem that the fastening operation is almost impossible when the wearer wears an outer garment.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겉옷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양 컵 간의 간격이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착용자가 주위 환경에 따라 타이트한 일반 착용 상태로부터 브래지어를 미착용한 것과 같은 편한 착용 상태로의 변환 또는 그 역변환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외부 활동 시의 미적인 착용 효과는 그대로 제공하면서도 가슴 부위의 혈류와 체온 유지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브래지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particular, even in the state of wearing outerwear to be able to easily adjust the gap between the two cups, the wearer is not wearing a bra from the normal wearing state tight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y facilitating the transition to a comfortable wearing state or the reverse conversion, such as to provide a bra that is configured to improve the blood flow and temperature maintenance environment of the chest area while still providing an aesthetic wearing effect during external activiti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브래지어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각종 의류 또는 배낭, 가방류 등 다양한 대상물에 적용되되, 자석의 자기력에 의한 위치 가이드를 받도록 구성되어 양측 대상물의 체결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bra, in addition to a variety of clothes or backpacks, bags and other objects, it is configured to receive a position guide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can facilitate fastening coupling of both sides of the object. It is to provide a fastening means so tha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좌측 및 우측 컵; 상기 좌측 및 우측 컵의 각 외측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등을 감싸도록 형성된 연결끈; 상기 좌측 및 우측 컵의 각 상단에서 착용자의 어깨에 걸린 상태로 상기 연결끈 상단에 각각 연결되는 어깨끈; 및 상기 좌측 컵으로부터 착용자의 가슴 중심부 측으로 구비된 제1체결부재와, 상기 우측 컵으로부터 착용자의 가슴 중심부 측으로 구비된 제2체결부재가 착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호 분리 또는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뤄지되, 상기 체결 수단은 일측에 자석을 구비하고, 타측에 상기 자석의 자기력을 받을 수 있도록 또 다른 자석 또는 자성체를 구비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left and right cup; Connecting straps formed to surround the wearer's back and extend outward from each of the left and right cups; Shoulder strap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upper ends of the connection straps while being caught on the shoulders of the wearers at each upper end of the left and right cups; And fastening means configured to allow the first fastening member provided from the left cup to the center of the wearer's chest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provided from the right cup toward the wearer's chest to the side of the wearer; It is made, including, the fastening means is provided with a magnet on one side,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nother magnet or magnetic material to receive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좌측 및 우측 컵 사이에는 상기 체결수단이 분리된 상태에서도, 상기 좌측 및 우측 컵이 상호 소정 간격 이내로 유지되도록 한계끈이 더욱 구비될 수 있다. More preferably, a limit strap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cups so that the left and right cups are kep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even when the fastening means is separated.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계끈은 길이 조정 수단을 구비하여,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limit strap is provided with a length adjusting means, it can be formed to enable the length adjustment.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수단은 탄성 재질로 형성된 버클로서, 제1체결수단은 수버클, 제2체결수단은 상기 수버클이 압입되어 걸림 체결될 수 있는 암버클이며, 상기 자석과 그 자기력을 받는 또 다른 자석 또는 자성체는 각각 상기 수버클 또는 암버클의 상호 인접측의 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fastening means is a buckl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e first fastening means is a buckle, and the second fastening means is a female buckle to which the male buckle is press-fitted and locked, and receives the magnet and its magnetic force. Further magnets or magnetic bodies may be provided at each end of the male buckle or the female buckle adjacent to each other.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암버클은 수버클이 압입되어 걸림 체결되는 수용부를 전후 양측으로 복수개 구비하며, 상기 암버클에 구비되는 자석 또는 자성체는 상기 전후 양측 수용부의 중간에 위치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female buckl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portions in which the male buckle is press-fitted and fastened to both front and rear sides, and the magnet or magnetic material provided in the female buckle may be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front and rear accommodating portions.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은,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자유로운 위치 변형이 이뤄질 수 있는 양측 체결 대상물을 체결하되, 일측 체결 대상물에 구비된 제1체결수단과, 타측 체결 대상물에 구비된 제2체결수단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호 분리 또는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체결수단으로서, 상기 체결 수단은 일측에 자석을 구비하고, 타측에 상기 자석의 자기력을 받을 수 있도록 또 다른 자석 또는 자성체를 구비한다. Fasten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means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o fasten the two fastening objects that can be freely deformed by the user's operation, the first fastening means provided on one fastening object And fastening means configured to be separated or coupled to each other by a user's manipulation with a second fastening means provided on the other fastening object, the fastening means having a magnet on one side and receiving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on the other side. So that it is provided with another magnet or magnetic material.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수단은 탄성 재질로 형성된 버클로서, 제1체결수단은 수버클, 제2체결수단은 상기 수버클이 압입되어 걸림 체결될 수 있는 암버클이며, 상기 자석과 그 자기력을 받는 또 다른 자석 또는 자성체는 각각 상기 수버클 또는 암버클의 상호 인접측의 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fastening means is a buckl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e first fastening means is a buckle, and the second fastening means is a female buckle to which the male buckle is press-fitted and locked, and receives the magnet and its magnetic force. Further magnets or magnetic bodies may be provided at each end of the male buckle or the female buckle adjacent to each other.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암버클은 수버클이 압입되어 걸림 체결되는 수용부를 전후 양측으로 복수개 구비하며, 상기 암버클에 구비되는 자석 또는 자성체는 상기 전후 양측 수용부의 중간에 위치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female buckl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portions in which the male buckle is press-fitted and fastened to both front and rear sides, and the magnet or magnetic material provided in the female buckle may be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front and rear accommodating portions.

본 발명에 따르면, 좌측 및 우측 컵의 체결수단이 가슴 측 중앙부에 위치하고, 체결 시 체결수단에 구비된 자석의 자기력에 의한 위치 가이드를 받도록 구성되어, 겉옷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양 컵 간의 체결을 용이하게 결합 또는 해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means of the left and right cups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hest side,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a position guide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provided in the fastening means at the time of fastening, so that fastening between the two cups is easy even when the outer garment is wor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combined or released.

또한, 체결수단 및 한계끈에 의해 좌측 및 우측 컵 간의 간격이 타이트한 상태와 느슨한 상태 간에 용이하게 조절 가능한 구조이므로, 착용자가 주위 환경에 따라 타이트한 일반 착용 상태로부터 브래지어를 미착용한 것과 같은 편한 착용 상태로의 변환 또는 그 역변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gap between the left and right cups can be easily adjusted between the tight and the loose state by the fastening means and the limit straps, the wearer can wear the bra without wearing the bra from the normal wearing state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an be easily converted or its inverse transform.

이를 통해, 착용자는 외부 활동 시의 미적인 착용 효과는 그대로 제공받으면서도 가슴 부위의 혈류를 개선하고, 과도한 체온 상승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rough this, the wearer can improve the blood flow in the chest area and prevent excessive body temperature increase while being provided with the aesthetic wearing effect during external activities.

또한, 이러한 혈류 개선 및 체온 상승 방지 효과는, 공지된 다수 자료를 통해 확인된 바와 같이, 유방암 발병률과의 유의성이 인정되므로, 본 발명의 브래지어는 장기 사용 시에 착용자의 유방암 예방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In addition, the blood flow improvement and body temperature preventing effect, as confirmed through a number of known data, since the significance of breast cancer incidence is recognized, the br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ffective in preventing breast cancer of the wearer in the long-term use It is expected.

한편, 상기 한계끈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므로, 착용자의 사용 환경 또는 체형 조건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length of the limit strap is adjustable, there is an advantage to increase the ease of use according to the wearer's use environment or body condition.

다른 한편, 상기 체결수단의 구조에 있어서도 전후 양측에 수용부를 구비한 구조를 채용하는 경우, 자석에 의한 가이드 효과를 더욱 편리하게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also in the structure of the fastening means when employing a structure having a receiving portion on both front and rear sid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guide effect by the magnet can be obtained more conveniently.

한편, 상기 체결수단은, 예시된 것과 같이 브래지어에 적용되는 것 이외에도 각종 의류 또는 배낭, 가방류 등 다양한 대상물에 적용될 수 있으며, 자석의 자기력에 의한 위치 가이드를 받도록 구성되어 양측 대상물의 체결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한 손으로 버클 등의 체결수단을 결합 조작할 수 있는 등 버클형 체결수단을 구비한 다양한 제품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astening means, in addition to being applied to a bra as illustrated, can be applied to various objects such as various clothes or backpacks, bags,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a position guide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to easily couple the fastening of both objects There is an advantage to doing this. Through this, the user can obtain the effect of improving the ease of use of various products having a buckle-type fastening means, such as to operate the coupling means such as a buckle with one hand.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브래지어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브래지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브래지어의 체결 수단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브래지어의 체결 수단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브래지어의 체결 수단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브래지어의 체결 수단의 확대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버클 체결 및 체결 해제 시의 각각의 사용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general bra,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astening means of the b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astening means of the br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fastening means of a br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fastening means of a br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state of use of each of the buckle fastening and unfasten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main features thereof.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merely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having",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브래지어의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브래지어는, 좌측 및 우측 컵(10,12)과, 상기 좌측 및 우측 컵의 각 외측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등을 감싸도록 형성된 연결끈(20)과, 상기 좌측 및 우측 컵의 각 상단에서 착용자의 어깨에 걸린 상태로 상기 연결끈(20) 상단에 각각 연결되는 어깨끈(30)을 구비한다. The bra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left and right cups 10 and 12, a connection strap 20 formed to extend to each outside of the left and right cups to surround the wearer's back, and each top of the left and right cups. In the state caught on the shoulder of the wearer has a shoulder strap 3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top of the connection strap 20.

브래지어의 결합 또는 해제를 위한 체결수단(C)이 좌측 및 우측 컵(10,12)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양 컵 간의 결합 또는 해제 조작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Fastening means (C) for the engagement or release of the bra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cups (10, 12), it is configured to facilitate the engagement or release operation between the two cups.

이를 위하여, 상기 좌측 컵(10)으로부터 착용자의 가슴 중심부 측으로 구비된 제1체결부재(C1)와, 상기 우측 컵(12)으로부터 착용자의 가슴 중심부 측으로 구비된 제2체결부재(C2)가 착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호 분리 또는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체결수단(C)이 구비된다. To this end,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provided from the left cup 10 toward the center of the wearer's chest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C2 provided from the right cup 12 toward the center of the wearer's chest are provided by the wearer. Fastening means (C) configured to be separat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by operation is provided.

특히, 본 실시예의 브래지어는, 착용자가 겉옷을 착용한 상태에서 양 컵 간의 결합 조작을 하는 경우에, 좌측 및 우측 컵(10,12)의 각 체결부재(C1,C2)가 자석의 자기력에 의하여 용이하게 상호 간의 결합 위치로 안내되어, 착용자가 결합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Particularly, in the bra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wearer wears the outer garment to perform the coupling operation between the two cups, the respective fastening members C1 and C2 of the left and right cups 10 and 12 are driven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It is easily guided to a mutually engaged position, so that the wearer can facilitate the engagement opera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 수단(C)은 일측에 자석(60)을 구비하고, 타측에 상기 자석의 자기력을 받을 수 있도록 또 다른 자석 또는 자성체(7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ure 3, the fastening means (C) is provided with a magnet 60 on one side, and another magnet or magnetic material 70 to receive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on the other side.

보다 상세하게, 상기 체결수단(C)은 탄성 재질로 형성된 버클로서, 예를 들어, 상기 제1체결수단(C1)은 수버클(40), 제2체결수단(C2)은 상기 수버클(40)이 압입되어 걸림 체결될 수 있는 암버클(50)로 구성되며, 상기 자석(60)과 그 자기력을 받는 또 다른 자석 또는 자성체(70)가 각각 상기 수버클(40) 또는 암버클(50)의 상호 인접측의 단부에 각각 구비된다. More specifically, the fastening means (C) is a buckl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for example, the first fastening means (C1) is a buckle 40, the second fastening means (C2) is the male buckle 40 ) Is composed of an arm buckle 50 that can be press-fitted and locked, and the magnet 60 and another magnet or magnetic material 70 receiving the magnetic force are respectively the buckle 40 or the arm buckle 50. Are provided at the ends of the mutually adjacent sides of each other.

예를 들어, 상기 수버클(40)과 암버클(50)은 사출성형으로 제조되는 합성수지재의 제품이 될 수 있으며, 수버클(40) 및 암버클(50)의 일측에는 자석(60)이 일체로 내설되며, 다른 일측 버클의 대응면에는 또 다른 자석 또는 자성체(70)가 일체로 내설된다. For example, the male buckle 40 and the female buckle 50 may be a product of a synthetic resin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and the magnet 60 is integrated on one side of the male buckle 40 and the female buckle 50. The inner side of the buckle, the other side of the other magnet or magnetic body 70 is integrally built.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석 또는 자성체의 상호 노출면은 양측 버클이 결합을 위한 가이드 위치로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암버클(50)의 수용부(52)의 입구 전면부 방향(A 방향)측에 자석 또는 자성체의 노출면이 위치하도록 하고, 이에 대응하도록 수버클(40)의 대략 중앙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42)의 후면부 방향(B 방향)에 자석 또는 자성체가 내설되어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mutually exposed surfaces of the magnets or magnetic bodies are, for example,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front part of the receiving portion 52 of the arm buckle 50 so that both sides of the buckle can be smoothly guided to the guide position for engagement. A side of the magnet or magnetic body is located on the side, and corresponding to the magnet or the magnetic body to be exposed in the back direction (B direction) of the projection 42 formed at the substantially center end of the buckle 40 Can be configured.

이때, 예를 들어, 양측 버클에 모두 자석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암버클(50)의 수용부(52)의 입구 전면부 방향(A 방향)측으로는 N극이 노출되도록 하고, 이에 대응하는 수버클(40)의 돌출부(42)의 후면부 방향(B 방향)에는 S극이 노출되도록 하여, 양측 버클의 가이드 위치에서 자석의 상호 노출면이 반대 극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for example, when both magnets are provided in the buckle on both sides, the N pole is exposed to the inlet front portion direction (A direction) side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52 of the arm buckle 50, and the number corresponding thereto. It is preferable that the S pole is exposed in the rear direction (B direction) of the protrusion 42 of the buckle 40 so that the mutually exposed surfaces of the magnets have opposite polarities at the guide positions of both buckle.

한편, 상기 예에서는, 수버클(40) 및 암버클(50)의 일측에 자석 또는 자성체가 노출된 상태를 예시하였지만, 자기력이 적절하게 미칠 수 있다면, 수버클(40) 및 암버클(50)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기저부의 내부에 자석 또는 자성체가 노출이 안 되도록 내설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자석 또는 자성체의 노출이 이뤄지는 경우에는 자기력이 보다 강하게 미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노출이 이뤄지지 않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금속제로 제조될 수 있는 자석 또는 자성체가 세탁 조건에서 부식될 가능성을 방지한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Meanwhile, in the above example, the magnet or magnetic body is exposed to one side of the male buckle 40 and the female buckle 50, but if the magnetic force can be properly applied, the male buckle 40 and the female buckle 50 Of course, the magnet or magnetic material may be impregnated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synthetic resin base to form a. When exposed to a magnet or magnetic material has the advantage that the magnetic force can be stronger, if not exposed, it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possibility of corrosion of the magnet or magnetic material, which can be usually made of metal in the laundry conditions do.

상기 예에서는, 암버클(50)의 수용부(52) 상하 양측에 형성된 결합공(53a,53b)에, 수버클(40)의 단부 상하 양측에 형성된 결합돌출편(43a,43b)이 압입 결합되는 구조로 버클을 예시하였지만, 동일한 결합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버클이라면, 다양한 공지의 버클 구조가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착용 후의 미적인 효과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유선형 내지 인체공학적인 외관 형상이나 색상을 갖도록 변형 구성될 수 있다. In the above example, the engagement protrusions 43a and 43b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end portion of the male buckle 40 are press-fitted to the coupling holes 53a and 53b formed at both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ceiving portion 52 of the arm buckle 50. Although the buckle is illustrated as a structure to be used, various well-known buckle structures can be applied as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long as the buckle can exhibit the same coupling function.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aesthetic effect after wearing, it may be appropriately modified to have a streamlined or ergonomic appearance shape or color.

또한, 상기 자석 또는 자성체도 상호 자기력에 의한 가이드 작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위치라면, 다양한 버클의 형상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다양하게 변형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if the magnet or the magnetic body is also a position that can facilitate the guide action by the mutual magnetic force, can be variously installed in various positions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various buckle.

한편, 상기 암수버클(50,40)은 외측 단부에 형성된 밴드 고정부(50a, 40a)를 통해 좌측 및 우측 컵(10,12)에 연결 부착된 밴드(10a,12a)와 결합된다. Meanwhile, the male and female buckle 50 and 40 are coupled to the bands 10a and 12a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cups 10 and 12 through the band fixing parts 50a and 40a formed at the outer ends.

상기 구성에 의해, 브래지어의 착용자는 겉옷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양측 버클의 자기력에 의한 가이드 작용에 의해 양 컵 간의 체결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wearer of the bra can easily operate the fastening between the two cups by the guide action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two buckle even in the state of wearing the outer garment.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브래지어의 체결 수단의 확대 사시도이다. 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astening means of the b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좌측 및 우측 컵(10,12) 사이에 상기 체결수단(C)이 분리된 상태에서도, 상기 좌측 및 우측 컵(10,12)이 상호 소정 간격 이내로 유지되도록 한계끈(80)이 더욱 구비된다. 한계끈(80)은 예를 들어, 상기 어깨끈(30)과 같은 섬유재의 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폭이나 길이는 사용 편의성과 미적인 효과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even when the fastening means (C) is separat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cups (10, 12), the limit strap 80 so that the left and right cups (10, 12) are maintain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 Is further provided. The limit strap 8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strap of a fiber material such as the shoulder strap 30, and its width or length may be appropriately modifi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use and aesthetic effect.

이렇게 상기 예시된 체결수단(C)과 한계끈(80)이 함께 구비되면, 체결수단(C)이 해제된 상태가 되더라도 좌측 및 우측 컵(10,12)의 간격이 소정 위치 이내로 제한을 받게 되므로, 좌측 및 우측 컵 간의 간격이 타이트한 상태와 느슨한 상태 간에 용이하게 조절 가능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fastening means (C) and the limit strap 80 are provided together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fastening means (C) is released,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cups 10 and 12 is limited within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gap between the left and right cups can be easily adjusted between tight and loose conditions.

이를 통해, 착용자는 겉옷을 입은 상태에서도, 주위 환경에 따라 타이트한 일반 착용 상태로부터 브래지어를 미착용한 것과 같은 편한 착용 상태로의 변환 또는 그 역변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wearer can easily convert from a tight general wearing state to a comfortable wearing state such as a non-wearing bra or the reverse conversion even in a state of wearing outer clothing.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브래지어의 체결 수단의 확대 사시도이다.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astening means of the br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한계끈(80)은 길이 조정 수단(82)을 구비하여,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mit strap 80 is provided with a length adjusting means 82, it is formed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이렇게 한계끈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므로, 본 실시예의 브래지어는 착용자의 사용 환경 또는 체형 조건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높이는 장점을 더욱 제공한다. Since the length of the limit strap is adjustable in this way, the bra of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provides an advantage of increasing the ease of use according to the wearer's use environment or body condition.

길이 조정 수단(82)은 좌측 및 우측 컵(10,12)에 연결 부착된 밴드 형태의 좌우측 한계끈(80a,80b)의 대략 중앙부에 합성수지재의 공지의 밴드 결합 수단이 구비되어, 일측 한계끈(80b)은 봉재 결합되고, 다른 일측 한계끈(80a)은 삽입 및 접힘 고정되는 방식으로 양측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삽입 및 접힘 고정된 일측 한계끈(80a)의 접힘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한계끈(80)의 전체 길이 조정이 가능하다. The length adjusting means 82 is provided with a known band coupling means of synthetic resin material at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limit straps 80a and 80b in the form of bands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cups 10 and 12, and the one side limit strap ( 80b) is coupled to the bar, the other side of the limit strap (80a) can be connected to both sides in a manner that is inserted and folded fixed. At this time, by changing the folding position of the one side limit strap (80a) is inserted and folded is possible to adjust the overall length of the limit strap (80).

상기 예에서는, 합성수지재의 공지의 밴드 결합 수단을 예시하였지만,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밴드 결합 수단이라면, 다양한 공지의 밴드 결합 수단이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above example, although the known band coupling means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is exemplified, various known band coupling means can be applied as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long as the band coupling means can exhibit the same function.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브래지어의 체결 수단의 확대 사시도이다.Figure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astening means of the br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암버클(50)은 수버클(40)이 압입되어 걸림 체결되는 수용부(52a,52b)를 전후 양측으로 복수개 구비하며, 상기 암버클(50)에 구비되는 자석 또는 자성체(70)는 상기 전후 양측 수용부(52a,52b)의 중간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emale buckle 5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parts 52a, 52b to which the male buckle 40 is press-fitted and engaged, both front and rear sides, and a magnet or magnetic body provided in the female buckle 50. 70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front and back both accommodation parts 52a and 52b.

이러한 구조를 채용하는 경우, 착용자는 암버클과 수버클 상호 간의 위치 설정이 더욱 자유롭게 가이드 되는 효과를 얻게 되어, 특히 겉옷을 착용한 상태에서 좌우측 결합 조작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the case of employing such a structure, the wearer has an effect of guiding the position setting between the arm buckles and the male buckle more freely, and in particula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eft and right coupling operations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while the outer garment is worn.

한편, 상기 자석 또는 자성체의 상호 노출면은 양측 버클의 전후방 측으로 모두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mutually exposed surface of the magnet or magnetic body is preferably made of both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uckle on both sides.

또한, 예를 들어, 양측 버클에 모두 자석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암버클(50)의 전방측 수용부(52a)의 입구 전면부 방향(A' 방향)측으로는 N극이 노출되도록 하고, 이에 대응하는 수버클(40)의 돌출부(42)의 후면부 방향(B 방향)에는 S극이 노출되도록 하여, 양측 버클의 가이드 위치에서 자석의 상호 노출면이 반대 극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when both magnets are provided in the buckle on both sides, the N pole is exposed to the inlet front part direction (A 'direction) side of the front accommodating part 52a of the arm buckle 50, It is preferable that the S pole is exposed in the rear direction (B direction) of the protrusion 42 of the corresponding male buckle 40, so that the mutually exposed surfaces of the magnets have opposite polarities at the guide positions of both buckle.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브래지어의 체결 수단의 확대 사시도이다.Figure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astening means of the br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한계끈(80)이 암버클(50) 및 수버클(40)의 외측에 구비된 밴드 결합부에 봉재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한계끈(80)은 도 6에 예시된 것과 같이 좌측 및 우측 컵(10,12)에 직접 봉재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limit strap 80 is illustrated as being bar-coupled to the band coupling portion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female buckle 50 and the male buckle 40, the limit strap 80 is illustrated in FIG. It is also possible to be direct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cup (10, 12).

또한, 한계끈(80)은 체결수단(C)을 기준으로 착용자의 전방 측에 구비된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착용자의 착용감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적절한 소재 및 크기, 형상 등으로 이루어져 체결수단(C)의 후방 측(착용자의 가슴 측)에 구비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limit strap 80 is illustrated a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wearer based on the fastening means (C), but made of a suitable material and size, shape, etc. that does not cause a problem of the wearer of the fastening means (C) It is also possible, of course, to be provided on the rear side (the chest side of the wearer).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버클 체결 및 체결 해제 시의 각각의 사용상태도로서, 착용자가 주위 환경에 따라 타이트한 일반 착용 상태(도 7a)로부터 브래지어를 미착용한 것과 같은 편한 착용 상태(도 7b)로의 변환 또는 그 역의 상태로 조작하여 사용 상태를 변환하는 과정을 예시하고 있다.
7A and 7B are diagrams illustrating states of use of each of the buckle fastenings and decouplings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wearer wears a bra from a normal wearing state (FIG. 7A) that is tight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IG. 7B illustrates a process of converting the state of use by operating in the state of conversion to the state of wear (FIG. 7B) or vice versa.

한편, 상기 체결수단은, 예시된 것과 같이 브래지어에 적용되는 것 이외에도 각종 의류 또는 배낭, 가방류 등 다양한 대상물에 적용될 수 있으며, 자석의 자기력에 의한 위치 가이드를 받도록 구성되어 양측 대상물의 체결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fastening means, in addition to being applied to a bra as illustrated, can be applied to various objects such as various clothes or backpacks, bags,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position guide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to facilitate fastening coupling of both sides of the object. Do it.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한 손만을 이용하여 버클 등의 체결수단을 용이하게 결합 조작할 수 있는 등, 버클형 체결수단을 구비한 다양한 제품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rough this, the user can easily engage and fasten the fastening means such as the buckle using only one hand, and thus, the convenience of use of various products having the buckle-type fastening means can be improved.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different and obv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from this descrip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described to include many such variations.

10: 좌측 컵 12: 우측 컵
20: 연결끈 30: 어깨끈
60: 자석 70: 자석(또는 자성체)
80: 한계끈 82: 길이 조정 수단
C: 체결 수단
10: left cup 12: right cup
20: strap 30: shoulder strap
60: magnet 70: magnet (or magnetic material)
80: limit strap 82: length adjusting means
C: fastening means

Claims (8)

좌측 및 우측 컵(10,12);
상기 좌측 및 우측 컵의 각 외측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등을 감싸도록 형성된 연결끈(20);
상기 좌측 및 우측 컵의 각 상단에서 착용자의 어깨에 걸린 상태로 상기 연결끈(20) 상단에 각각 연결되는 어깨끈(30); 및
상기 좌측 컵(10)으로부터 착용자의 가슴 중심부 측으로 구비된 제1체결부재(C1)와, 상기 우측 컵(12)으로부터 착용자의 가슴 중심부 측으로 구비된 제2체결부재(C2)가 착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호 분리 또는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체결수단(C);을 포함하여 이뤄지되,
상기 체결 수단(C)은 일측에 자석(60)을 구비하고, 타측에 상기 자석의 자기력을 받을 수 있도록 또 다른 자석 또는 자성체(7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브래지어.
Left and right cups 10, 12;
Connecting straps 20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left and right cups to surround the wearer's back;
Shoulder straps 30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upper ends of the connection straps 20 in the state of being caught on the shoulders of the wearers at the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cups; And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provided from the left cup 10 toward the center of the wearer's chest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C2 provided from the right cup 12 toward the center of the wearer's chest are operated by the wearer. It comprises a fastening means (C) configured to be separat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fastening means (C) is provided with a magnet (60) on one side, the bra on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nother magnet or magnetic material (70) to receive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컵(10,12) 사이에는 상기 체결수단(C)이 분리된 상태에서도, 상기 좌측 및 우측 컵(10,12)이 상호 소정 간격 이내로 유지되도록 한계끈(80)이 더욱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
The method of claim 1,
Between the left and right cups 10 and 12, even when the fastening means C is separated, the left and right cups 10 and 12 are further provided with limit straps 80 so as to be maintain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Bra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계끈(80)은 길이 조정 수단(82)을 구비하여,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
The method of claim 2,
The limit strap (80) is provided with a length adjusting means (82),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 is formed to enable the length adjust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C)은 탄성 재질로 형성된 버클로서, 제1체결수단(C1)은 수버클(40), 제2체결수단(C2)은 상기 수버클(40)이 압입되어 걸림 체결될 수 있는 암버클(50)이며,
상기 자석(60)과 그 자기력을 받는 또 다른 자석 또는 자성체(70)는 각각 상기 수버클(40) 또는 암버클(50)의 상호 인접측의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fastening means (C) is a buckl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e first fastening means (C1) can be buckle 40, the second fastening means (C2) can be fastened by the male buckle 40 is pressed Arm buckle 50,
The magnet (60) and another magnet or magnetic body (70) subjected to the magnetic force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ends of the adjacent side of the male buckle (40) or female buckle (50), respectivel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버클(50)은 수버클(40)이 압입되어 걸림 체결되는 수용부(52a,52b)를 전후 양측으로 복수개 구비하며,
상기 암버클(50)에 구비되는 자석 또는 자성체(70)는 상기 전후 양측 수용부(52a,52b)의 중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emale buckle 5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parts (52a, 52b) to the front and rear both sides by which the male buckle 40 is pressed and fastened,
Bra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t or magnetic body (70) provided in the arm buckle (50)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front and rear both receiving portions (52a, 52b).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자유로운 위치 변형이 이뤄질 수 있는 양측 체결 대상물을 체결하되, 일측 체결 대상물에 구비된 제1체결수단(C1)과, 타측 체결 대상물에 구비된 제2체결수단(C2)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호 분리 또는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체결수단(C)으로서,
상기 체결 수단(C)은 일측에 자석(60)을 구비하고, 타측에 상기 자석(60)의 자기력을 받을 수 있도록 또 다른 자석 또는 자성체(7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체결수단.
It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o fasten the two fastening targets that can be freely deformed position by the user's operation, the first fastening means (C1) provided on one fastening target and the second fastening provided on the other fastening target As the fastening means (C) is configured so that the means (C2) can be separat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by the user's operation,
The fastening means (C) is provided with a magnet (60) on one side, the fasten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nother magnet or magnetic material (70) to receive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60) on the other sid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C)은 탄성 재질로 형성된 버클로서, 제1체결수단(C1)은 수버클(40), 제2체결수단(C2)은 상기 수버클(40)이 압입되어 걸림 체결될 수 있는 암버클(50)이며,
상기 자석(60)과 그 자기력을 받는 또 다른 자석 또는 자성체(70)는 각각 상기 수버클(40) 또는 암버클(50)의 상호 인접측의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수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astening means (C) is a buckl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e first fastening means (C1) can be buckle 40, the second fastening means (C2) can be fastened by the male buckle 40 is pressed Arm buckle 50,
Fasten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t (60) and another magnet or magnetic body (70) subjected to the magnetic force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ends of the male buckle (40) or the female buckle (50) adjacent to each oth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암버클(50)은 수버클(40)이 압입되어 걸림 체결되는 수용부(52a,52b)를 전후 양측으로 복수개 구비하며,
상기 암버클(50)에 구비되는 자석 또는 자성체(70)는 상기 전후 양측 수용부(52a,52b)의 중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수단.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emale buckle 5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parts (52a, 52b) to the front and rear both sides by which the male buckle 40 is pressed and fastened,
The fasten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t or magnetic body (70) provided in the arm buckle (50)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front and rear receiving portions (52a, 52b).
KR1020110082578A 2011-08-19 2011-08-19 Fastening means and brassiere using the same KR1012856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578A KR101285687B1 (en) 2011-08-19 2011-08-19 Fastening means and brassier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578A KR101285687B1 (en) 2011-08-19 2011-08-19 Fastening means and brassier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145A true KR20130020145A (en) 2013-02-27
KR101285687B1 KR101285687B1 (en) 2013-07-12

Family

ID=47898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578A KR101285687B1 (en) 2011-08-19 2011-08-19 Fastening means and brassier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68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4605A (en) * 2013-05-31 2016-02-11 클로버 미스틱 컴퍼니. 리미티드 Garment part with fastening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999261B2 (en) 2013-07-19 2018-06-19 Hanes Operations Europe Sas Bra with a reversible effect of bringing the breasts closer togeth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467Y1 (en) 2001-04-09 2001-10-11 이호형 A brassiere band connector
US20030229974A1 (en) 2002-06-15 2003-12-18 Zemer Jack D. Concealed secure magnetic clasp
US6857169B2 (en) 2002-12-10 2005-02-22 Taiwan Industrial Fastener Corporation Structure of magnetic buckle
KR200397202Y1 (en) 2005-06-24 2005-09-29 윤봉석 A brassiere for reformed shap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4605A (en) * 2013-05-31 2016-02-11 클로버 미스틱 컴퍼니. 리미티드 Garment part with fastening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999261B2 (en) 2013-07-19 2018-06-19 Hanes Operations Europe Sas Bra with a reversible effect of bringing the breasts closer toget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5687B1 (en) 201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0680B2 (en) Leotard including built-in supportive bra
US20150007374A1 (en) Transferable garment addition to swimwear
US20110269376A1 (en) Bra Essentials
US20180035725A1 (en) Wrap-style breast-supportive tops
US9700083B2 (en) All of me strapless bra
US9730475B1 (en) Brassiere accessory for improving posture
US10342269B1 (en) Supportive transparent bra
KR101285687B1 (en) Fastening means and brassiere using the same
JP3144771U (en) Panty courselet without buckle structure
US2613365A (en) Detachable wire frame for brassieres
US10342275B2 (en) Releasable, secure clothing connectors
JP5413207B2 (en) Clothing with cup
US20170354860A1 (en) Chest protector and removable and adjustable straps
JP6364935B2 (en) Clothing with cup
US10433592B2 (en) Half corset
US2390142A (en) Brassiere
JP2012233287A (en) Clothing having cup part
US20140148080A1 (en) Maternity garment
TWM517534U (en) Construct of functional clothing integrated physiological signal sensors
US20140206257A1 (en) Bellament or Article of Clothing Used for Creating the Appearance of a One-Piece Garment When Worn in Combination With a Bra
US8216022B2 (en) Connectable wrap bra
JP2020044318A (en) Pelvic orthosis
JP2007154344A (en) Ladies' garment
JP3213186U (en) Apparel with front cup
CN212088175U (en) One-piece swimsuit with adjust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