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9668A - A chair - Google Patents

A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9668A
KR20130019668A KR1020110081766A KR20110081766A KR20130019668A KR 20130019668 A KR20130019668 A KR 20130019668A KR 1020110081766 A KR1020110081766 A KR 1020110081766A KR 20110081766 A KR20110081766 A KR 20110081766A KR 20130019668 A KR20130019668 A KR 20130019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member
backrest
seat
storage space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17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89622B1 (en
Inventor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정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훈 filed Critical 정재훈
Priority to KR1020110081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622B1/en
Priority to JP2013525830A priority patent/JP2013536039A/en
Priority to EP11820185.4A priority patent/EP2609835A4/en
Priority to PCT/KR2011/006255 priority patent/WO2012026758A2/en
Priority to CA2807783A priority patent/CA2807783A1/en
Priority to CN201180041044.3A priority patent/CN103096760B/en
Priority to SG2013012885A priority patent/SG187926A1/en
Priority to US13/767,184 priority patent/US20130154316A1/en
Publication of KR20130019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96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6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bstract

PURPOSE: A functional chair is provided to facilitate the accommodation of articles and to adjust an accommodation space. CONSTITUTION: A functional chair comprises a seat plate unit, a seat back unit(16) which is formed to support the back of a user while being installed on the rear of the seat plate unit, a vertical member which is separated from the seat back unit, an accommodation space(17) which is formed between seat back unit and vertical member, and a partition member which is separably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Description

기능성 의자{A CHAIR}Functional chair {A CHAIR}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등받이 부위에 수납 구조를 갖도록 구성한 기능성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nctional chair configured to have a storage structure in the backrest portion.

일반적으로 의자에는 등받이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기댈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한다. In general, the chair is provided with a backrest to provide an area on which the user can lean.

최근에는 상기한 등받이는 단순히 기댐 영역으로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올바르지 못한 착석 자세를 교정하는 역할도 수행함과 더불어 사용자의 요추를 보호하는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backrest is not only provided as a bastard area but also serves to correct an incorrect sitting posture of the user, and also serves to protect the lumbar spine of the user.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의자는 통상 등받이가 사용자의 요추를 보호하는 형상으로만 형성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있으며, 다양한 기능성을 갖도록 구성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가방이나 휴대용 백 같은 물품의 보관은 책상이나 책장 혹은, 별도의 물품 수납 공간에 수납하여야만 하였을 뿐 의자에는 해당 물품의 보관을 위한 공간이 제공되지 못하였던 것이다.However, the chair as described above is mainly focused on forming only the shape of the backrest to protect the user's lumbar spine, the situation is not configured to have a variety of functionality. For example, storage of an item such as a bag or a portable bag had to be stored in a desk, a bookcase, or a separate item storage space, but the chair did not provide a space for storing the item.

이와 같이, 기존의 의자에는 별도의 수납 공간이 제공되지 않아 다음과 같은 불편한 점이 있었다. 예컨대, 착석자가 자신의 가방을 단순히 바닥에 놓게 될 경우에는 가방이 더러워지고, 주변의 통행에 불편을 야기하게 된다. 물론 가방을 다른 의자에 보관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다른 사람의 착석을 위한 좌석이 줄어드는 문제가 생긴다. As such, the conventional chair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storage space has the following inconveniences. For example, if the occupant simply puts his bag on the floor, the bag becomes dirty and causes inconvenience to the surrounding traffic. Of course, the bag can be stored in another chair, but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at for another person is reduced.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의자에 착석하는 과정에서 통상 겉옷(예컨대, 코트와 같은 외투 등)을 벗어 해당 의자의 등받이에 걸치는 등의 방법으로 그 보관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겉옷을 상기 의자의 등받이에 걸쳐 놓을 경우 사용자의 등이 맞닿는 부위에 위치되는 겉옷의 일부는 사용자의 기댐 등으로 인해 구겨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sitting on the chair, the user removes the outer garment (for example, a coat such as a coat) and performs the storage by putting it on the back of the chair. However, when the outer garment is placed over the backrest of the chair as described above, a part of the outer garment located at a portion where the user's back is in contact with the user has a problem of being wrinkled due to the user's obstruction.

물론, 의자의 측면이나 후면에 별도의 고리를 설치하여 해당 고리에 상기 겉옷을 걸어놓을 수도 있지만, 의자의 높이가 통상의 겉옷 높이에 비해 낮다는 것을 고려하면 겉옷의 일부가 지면에 닿을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Of course, it is possible to hang the outer garment on the hook by installing a separate hook on the side or the rear of the chair, but considering that the height of the chair is lower than that of a normal outer garment, a part of the outer garment may touch the ground. Has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의자의 등받이 배면에 수납 공간을 가지도록 구성한 새로운 형태의 기능성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functional chair of a new type configured to have a storage space on the back of the chair back.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납 공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하여 수납 물품의 수납이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at least one or more storage spaces to facilitate storage of stored articl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납 물품의 크기를 고려하여 수납 공간이 조절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storage space to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stored artic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앉음 영역을 제공하는 앉음부; 상기 앉음부의 후방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제공되면서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와 이격된 상태로 제공되는 수직부재; 상기 등받이부와 수직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공간;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을 복수 개로 구획하기 위해 상기 수납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칸막이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능성 의자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sitting unit for providing a sitting area to the user; A backrest supporting the user's back while being provided standing vertically to the rear of the seat; A vertical member provided spaced apart from the backrest portion;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between the backrest portion and the vertical member; And it provides a functional chair comprising at least one partition member detachably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to partition the storage space into a plurality.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앉음 영역이 일부에 구비된 평판형상의 앉음부; 상기 앉음부 하면에 제공되는 복수의 의자 다리; 상기 앉음 영역의 후방에 수직하게 세워진 등받이; 상기 등받이의 배면과 이격 배열되면서 상기 앉음부에 수직되게 세워지는 복수개의 수직부재; 그리고 상기 등받이와 수직부재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기능성 의자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sea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portion of the seat portion; A plurality of chair leg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seat; A backrest erected perpendicularly to the rear of the sitting area; A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arranged vertically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backrest while being perpendicular to the seating portion; And it provides a functional chair including a storage space each formed between the backrest and the vertical member.

여기서, 상기 수직부재들은 상기 앉음부와 힌지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수직부재 중 상기 등받이 배면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수직부재는 회전에 따라 인접한 수직부재와의 사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게 하거나 보조 의자다리로 활용될 수 있다. Here, the vertical members are hingedly coupled to the seating portion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the vertical member is located farthest from the back of the back of the vertical member so that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adjacent vertical membe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r auxiliary It can be used as a chair leg.

또한, 상기 수직 부재 중 상기 등받이 배면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수직부재가 상기 앉음부와 수평되게 셋팅된 경우, 상기 수직 부재의 배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수용홈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수용홈의 일단에서 회동하여 상기 수직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바가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vertical member located farthest from the back of the back of the vertical member is set horizontally with the seating portion, respectively installed in one or more receiving grooves formed on the back of the vertical member and rotated at one end of the receiving groove A support bar for supporting the vertical member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앉음 영역을 제공하는 앉음부; 상기 앉음부 하면에 제공되는 복수의 의자 다리; 상기 앉음부 후방에 수직하게 세워진 등받이; 상기 앉음부의 저면부에 서로 대칭되게 장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 상기 가이드 내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수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부재는, 평판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면서 상기 몸체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상면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수직부재가 상기 가이드에서 상기 등받이의 배면 방향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상면 브라켓에 의하여 상기 등받이와 상기 상면 브라켓 사이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기능성 의자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seating portion providing a seating area; A plurality of chair leg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seat; A backrest erected perpendicularly to the rear of the seat; A pair of guides symmetrically mounted to the bottom of the seat; And a vertical member mounted in the guide and slidably moving, wherein the vertical member includes a flat body and an upper surface bracket pivoting about one end of the body while forming an upper appearance of the body. It provides a functional chair to form a storage space between the backrest and the upper bracket by the upper bracket in a state that the vertical member is drawn out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backrest in the guide.

아울러, 상기 가이드에 형성된 가이드 홈; 그리고 상기 수직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가이드의 전후방으로 상기 수직부재가 이탈되지 않게 상기 수직부재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에 수용되는 걸이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uide groove formed in the guide;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hook protrusion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vertical member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front and rear of the guide dur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vertical member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일정 두께를 가지면서 앉음 영역을 제공하는 앉음부; 상기 앉음부 하면에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의자 다리; 상기 앉음부 후방에 수직하게 세워진 등받이; 상기 앉음부 내부에 소정 크기의 공간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등받이의 배면측 방향에만 출입구가 형성된 수용부; 상기 출입구를 통해 출입하면서 상기 수용부에서 인출될 경우 상기 등받이의 배면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수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부재는,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몸체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몸체 각각은 일단부에 형성된 힌지 축을 중심으로 서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몸체 중 하나 이상의 몸체가 상방을 향하여 수직되게 세워져서 상기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기능성 의자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seating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while providing a seating area; A plurality of chair leg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seat; A backrest erected perpendicularly to the rear of the seat; A receiving part having an entrance and exit in only a rear side direction of the backrest while forming a space part of a predetermined size inside the sitting part; And a vertical member that forms an accommodation space on the back of the backrest when being withdrawn from the receiving portion while entering and exiting through the doorway, wherein the vertical member is composed of at least two or more bodies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and each of the bodies is It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 each other around a hinge axis formed at one end, one or more of the body is provided vertically upright to provide a functional chair to form the storage space.

아울러,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공간부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몸체의 측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 내에 위치한 상기 수직부재의 몸체 일부는 상기 수용부 내에서 고정되게 하는 것이 좋다. In addition, at least one locking groove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space forming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body to be fitted into the locking groove, and a part of the body of the vertical member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It is good to be fixed in the depart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앉음 영역을 제공하는 앉음부; 상기 앉음부의 후방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제공되면서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 그리고 몸체의 일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배면 표면을 형성하고 몸체의 다른 일부는 상기 앉음부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게 장착되는 대략 'ㄴ'자 형상의 수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재가 상기 등받이부에서 이격되면 상기 등받이부의 배면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기능성 의자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sitting unit for providing a sitting area to the user; A backrest supporting the user's back while being provided standing vertically to the rear of the seat; And a portion of the body forms a rear surface of the backrest portion and the other portion of the body includes a substantially 'b' shaped vertical member mounted to be slidably moved within the seat portion, wherein the vertical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backrest portion. When the back of the back portion provides a functional chair in which a storage space is formed.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기능성 의자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functional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such a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즉, 의자를 구성하는 등받이 배면에 다양한 방법으로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의자에 착석한 사람이 소지하고 있던 책, 가방, 의류 등을 수납공간에 보관할 수 있어, 소지품을 바닥에 놓았을 때 소지품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지품을 바닥에 놓거나 다른 의자에 보관하여 발생할 수 있는 통행 방해를 방지할 수도 있다. That is, the storage space is formed in various ways on the back of the back constituting the chair. Therefore, books, bags, clothes, etc., carried by the person seated on the chair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thereby preventing the belongings from being soiled when the belongings are placed on the floor. It can also prevent traffic jams that can occur by placing your belongings on the floor or in another chair.

그리고, 수납 공간을 복수 개로 제공할 수 있어, 수납물품을 구분하여 수납할수 도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may be provided, and the storage items may be stored separately.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를 도시하고 있는 배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칸막이 부재가 분리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를 도시하고 있는 배면 사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의 사용 예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를 도시하고 있는 분리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기능성 의자의 사용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의 분리 사시도
도 9a 내지 도 9c는 도 8의 기능성 의자의 사용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의 배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기능성 의자의 사용 예시도
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nctional chai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artition member of Figure 1 separated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nctional chai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functional chai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unctional chai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illustrations of the use of the functional chair of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chai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to 9C are illustrations of the use of the functional chair of FIG.
10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functional chai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illustration of the use of the functional chair of FIG.

이하, 본 발명의 기능성 의자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실시 예들을 각각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functional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제 1 실시 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를 도시하고 있는 배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칸막이 부재가 분리된 분리 사시도이다. 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nctional chai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artition member of Figure 1 separated.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능성 의자(10)는 앉음부(12)가 구성된다. 상기 앉음부(12)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영역이다. 상기 앉음부(12)의 저면에는 복수의 의자 다리(14)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의자 다리(14)는 반드시 구성되지 않아도 되며, 구성될 경우에는 앉음부가 바닥에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functional chair 10 is composed of a seating portion (12). The sitting part 12 is an area where a user can sit. A plurality of chair legs 14 a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eat 12. Of course, the chair leg 14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configured, and if configured, it can be configured in any shape that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floor by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앉음부(12)의 후방에는 수직하게 세워진 등받이부(16)가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부(16)는 서로 이격된 상태의 제 1 등받이(18)와 제 2 등받이(19)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등받이(18)와 제 2 등받이(19) 간의 이격 거리는 기능성 의자(10)의 사용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 1 등받이(18)는 상기 앉음부(12)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앉음부(12)에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역할이고, 상기 제 2 등받이(19)는 상기 제 1 등받이(18)의 후방에 위치되면서 상기 제 1 등받이(18)로부터는 이격된 상태로 구성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2 등받이(19)를 '수직부재'라 하여 설명한다.At the rear of the seat 12, a vertical back portion 16 is constructed. The backrest part 16 is composed of a first backrest 18 and a second backrest 19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backrest 18 and the second backrest 19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of the functional chair 10. The first backrest 18 serves to support the back of the user seated in the seating portion 12 in a state provided in the seating portion 12, and the second backrest 19 serves as the first backrest ( While being located at the rear of the 18, it is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ackrest 18 to form a storage space. Hereinafter, the second backrest 19 will be described as a 'vertical member'.

상기 앉음부(12)에 상술한 의자다리(14), 제 1 등받이(18)와 제 2 등받이(19)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분리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at 14, the first back 18 and the second back 19 described above in the seating part 12 may be integrally formed or may be formed in a detachable structure.

상기 제 1 등받이(18)와 제 2 등받이(19) 사이에 형성된 상기 수납 공간(17)에는 칸막이 부재(20)가 구성된다. 상기 칸막이 부재(20)는 상기 수납 공간을 몇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A partition member 20 is formed in the storage space 17 formed between the first backrest 18 and the second backrest 19. The partition member 20 serves to divide the storage space into several spaces.

상기 칸막이 부재(20)는 수납 공간(17)을 구획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예컨대 테두리 부분만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평판형의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다른 모양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즉 수납 공간(17)을 구획할 수 있으면, 어떠한 모양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그 높이는 상기 제 1 등받이(18) 및 제 2 등받이(19)와 동일하거나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제 1 등받이(18)와 제 2 등받이(19)의 높이도 다를 수 있다. The partition member 20 may be any shape that can partition the storage space 17. For example, only the edge portion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or may be formed as a flat plate. Of course, other shapes are possible. That is, as long as the storage space 17 can be partitioned, what kind of shape may be sufficient. In addition, the height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first backrest 18 and the second backrest 19. Of course, the height of the first backrest 18 and the second backrest 19 may also be different.

상기 칸막이 부재(20)는 상기 수납 공간(17)을 형성하는 바닥면(15)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즉, 상기 칸막이 부재(20)는 상기 수납 공간(17) 내에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수납 공간(17)을 이루는 상기 바닥면(15)에 결합 홈(22)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 홈(22)과 대응하는 상기 칸막이 부재(200의 저면에 결합 돌기(24)를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칸막이 부재(20)를 결합 또는 분리함으로써, 하나의 수납 공간(17)을 복수의 공간으로 나누어 제공할 수 있게 한다. The partition member 20 need not be integral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5 that forms the storage space 17. That is, the partition member 20 is preferably a structure that can be coupled or separated in the storage space 17. For example, the coupling groove 22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5 forming the storage space 17,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4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artition member 200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 22. By combining or separating the partition member 20 according to, it is possible to divide and provide one storage space 17 into a plurality of spaces.

이와 같은 구성의 기능성 의자(10)는 등받이부(16)에 형성된 수납공간(17)에 각종 수납 물품을 수납할 수 있음은 물론, 수납공간(17)의 구획으로 인하여 서로 다른 수납 물품을 구분하여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납 공간(17)에 의류 등을 걸어놓을 수도 있을 것이다. The functional chair 1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accommodate various storage items in the storage space 17 formed in the backrest part 16, and also distinguish the different storage items due to the partition of the storage space 17. I can receive it. In addition, clothes or the like may be hung on the storage space 17.

제 2 실시 예Second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를 도시하고 있는 배면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의 사용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unctional chai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to 5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n example of using the functional chai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3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평판형 부재(31)가 구비된다. 상기 평판형 부재(31)를 이하에서는 앉음부라고 칭하기로 한다. 상기 앉음부(31) 중 일부가 앉음 영역으로 할당되며, 도면에서는 도면 부호 '32' 가 앉음 영역이 된다. As shown in FIG. 3, the functional chair 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flat member 31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lat member 31 will hereinafter be referred to as a sitting part. A part of the sitting part 31 is allocated to a sitting area, and 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32 is a sitting area.

상기 앉음부(31)의 저면에는 복수의 의자 다리(33)가 형성된다.A plurality of chair legs 33 a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itting part 31.

상기 앉음부(31)의 대략 중간 부분에서 상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지고 상기 앉음 영역(32)에 착석한 착석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34)가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34)는 상기 앉음부(31)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볼트, 접착제 등과 같은 매체에 의해 상기 앉음부(31)의 상면과 결합 고정된다. The backrest 34 which is erected vertically upward in the substantially middle portion of the seating part 31 and supports the back of the seated occupant of the seating area 32 is configured. The backrest 34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itting part 31 or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itting part 31 by a medium such as a bolt or an adhesive.

상기 등받이(34)의 배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서 상방향을 향해 세워지는 복수 개의 수직 부재(36)(38)가 구성된다. 상기 수직 부재(36)(38)는 상기 앉음부(31)에서 수납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실시 예에서는 상기 수직 부재는 2개가 구성됨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 부호 '36'는 제 1 수직부재라 하고, '38'는 제 2 수직부재라 하기로 한다. 물론, 상기 앉음부(31)의 길이, 앉음 영역(32)의 크기 및 수납 공간의 너비 등을 고려하면 그 이하 또는 그 이상의 개수를 가지는 수직 부재가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렇게 2 개의 수직부재(36)(38)로 인해 형성되는 수납 공간 중 도면 부호 '37'는 제 1 수납공간이라 하고 '39'는 제 2 수납공간이라고 하기로 한다. A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36 and 38 are erected upwards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backrest 34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vertical members 36 and 38 serve to provide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stored article in the seat 31. In the embodiment, two vertical members are shown. Reference numeral '36' is referred to as a first vertical member, and '38' is referred to as a second vertical member. Of course, considering the length of the seating portion 31, the size of the seating area 32 and the width of the storage space, it will be apparent that a vertical member having a number less than or more may be configured. Of the storage spaces formed by the two vertical members 36 and 38, reference numeral '37' is referred to as a first storage space and '39' is referred to as a second storage space.

상기 제 1 수직부재(36) 및 제 2 수직 부재(38)는 상기 앉음부(31)에 형성된 절개영역에 힌지 방식으로 끼움 장착되어 소정 각도만큼 회동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즉 상기 수직 부재(36)(38)와 상기 앉음부(31)의 서로 간의 대응 부위에 대한 일부가 중첩되도록 구성하고, 그 부분을 힌지(40) 결합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힌지 이외의 구조도 채용 가능하다. The first vertical member 36 and the second vertical member 38 are hinged to the cutout region formed in the seating part 31 in a hinged manner to provide a structure capable of rotating by a predetermined angle. In other words, a part of the vertical members 36 and 38 and the seating portion 31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verlap each other, and the parts are hinged 40. Of course, structures other than the hinge can also be employed.

상기 수직 부재(36)(38)는 상기 등받이(34) 및 이웃하는 다른 수직 부재의 위치와 수납 공간에 수납되는 수납 물품의 크기 등에 따라 회전각도가 정해질 것이다. 예컨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수납 공간(37)에 수납 물품이 없는 경우, 제 1 수직부재(36)는 등받이(34)의 배면과 접촉할 수 있을 때까지 회전 가능하다. 반면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 1 수납 공간(37)에 수납 물품이 있는 경우 수납 물품의 크기 등에 따라 상기 제 1 수직부재(36)의 일단이 상기 등받이(34)의 배면에 접촉하지 못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수직부재(36)도 제 2 수납공간(39)의 수납물품 유무에 따라 인접한 제 1 수직부재(36)의 배면측과 접촉하거나 접촉하지 않게 된다.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vertical members 36 and 38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backrest 34 and other neighboring vertical members and the size of the stored articl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when there is no stored article in the first storage space 37, the first vertical member 36 is rotatable until it can contact the rear surface of the backrest 34.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f there is an article stor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37, one end of the first vertical member 36 may not be in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backrest 34,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tored article. Similarly, the second vertical member 36 may or may not be in contact with the back side of the adjacent first vertical member 36 depending on whether the second storage space 39 is stored.

한편, 상기 제 2 수직부재(38)는 상기 제 1 수직부재(36) 방향으로는 그 회전되는 각도가 제한적이다. 즉, 상술한 제 2 수직부재(38)가 제 1 수직부재(36)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는 상기 제 2 수납공간(39)의 수납물품 유무 및 상기 제 1 수직부재(36)의 위치에 따라 다르나, 이 경우에도 거의 90° 이상으로 회전하지는 못한다. 반면, 상기 제 2 수직부재(38)는 다른 방향, 즉 제 1 수직부재(36)가 위치한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는 더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vertical member 38 has a limited angle of rot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vertical member 36. That is, when the above-described second vertical member 38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vertical member 36, depending on whether the second storage space 39 contains the storage items 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vertical member 36. In this case, however, rotation is hardly made by more than 90 degrees.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vertical member 38 is more freely rotatable in another direction, that i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vertical member 36 is located.

이러한 상기 제 2 수직부재(38)의 다양한 회전에 따른 예를 도 5에 도시하고 있다. An example of various rotations of the second vertical member 38 is illustrated in FIG. 5.

도 5a는 상기 제 2 수직부재(38)가 상기 앉음부(31)와 수평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제 2 수납공간(39)을 제공할 필요가 없거나 제 2 수납공간(39)의 위치에 수납할 수납물품의 길이가 긴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 제 2 수직부재(38)의 배면에 하나 이상의 수용홈을 형성하고, 그 수용홈의 일단에서 회동하는 지지바를 제공함으로써, 도 5a와 같이 상기 제 2 수직부재(38)가 완전히 펼쳐졌을 때 제 2 수직부재(38)를 지지하게 할 수 있다.5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vertical member 38 is horizontal with the sitting part 31. This may be used when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the second storage space 39 or the length of the storage item to be stored in the position of the second storage space 39 is long.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by forming one or more receiving grooves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vertical member 38, and providing a support bar that rotates at one end of the receiving groove, as shown in Figure 5a the second vertical member 38 Can support the second vertical member 38 when fully unfolded.

도 5b는 상기 제 2 수직부재(38)가 보조 다리로 활용된 상태를 보인다. 즉, 기능성 의자(30)에 사람이 착석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수납공간(37)이나 제 2수납공간(39)의 자리에 수납 물품을 수납할 경우도 있다. 이때 상기 수납 물품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 무게중심이 상기 등받이(34)의 배면 쪽으로 향하게 되어 기능성 의자(30)가 넘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 2 수직부재(38)를 180°회전시켜 바닥면과 접촉되게 한다. 물론 이 경우 상기 제 2 수직부재(38)는 의자 다리(33)와 그 길이가 일치해야 할 것이다. 5B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vertical member 38 is used as an auxiliary leg. That is,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stored article is stor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37 or the second storage space 39 in a state where no person is seated in the functional chair 30. At this time, if the weight of the stored article is heavy, the center of gravity is directed toward the back of the backrest 34, the functional chair 30 can fall. To this end, the second vertical member 38 is rotated 180 ° to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course, in this case, the second vertical member 38 should have the same length as the chair leg 33.

여기서, 상술한 보조 다리의 기능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즉, 도 5b에서 기능성 의자(30)의 앉음부(31)에 사람이 착석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수납공간(37) 또는 수납공간(39)에 수납물품이 수납된 경우라도, 상기 기능성 의자(30)는 자체적으로 수납물품의 무게를 충분히 지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보조 다리의 기능은 기능성 의자(30)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용되는 역할을 제공한다. Here, the function of the above-described assisted leg is not necessarily necessary. That is, even when the article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37 or the storage space 39 in a state where no person is seated in the seat 31 of the functional chair 30 in FIG. ) Is enough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package itself. Therefore, the function of the auxiliary leg provides a role that the functional chair 30 is used more stably.

도 5c는 상기 제 2 수직부재(38)가 상기 앉음부(31)의 하면으로 위치한 구성을 보인다. 이 경우는 상기 제 2 수직부재(38)에 의해 제 2 수납공간(39)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아도 되거나 상기한 보조 다리로 활용하지 않을 경우에 적합하다. FIG. 5C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econd vertical member 38 is positioned as a lower surface of the sitting part 31. This case is suitable when the second vertical member 38 does not need to separately form the second storage space 39 or is not used as the auxiliary leg.

이와 같이 제 2 실시 예는 앉음부(31)에 형성된 수직부재(36)(38)에 의해 다수의 수납공간(37)(39)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등받이(34)의 배면에서 가장 멀리 형성된 수직부재는 그 자체로 수납 공간을 제공하거나 보조 의자 다리로 활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embodiment may provide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37 and 39 by the vertical members 36 and 38 formed in the sitting part 31. In addition, the vertical member formed farthest from the back of the backrest 34 may itself provide a storage space or may be utilized as an auxiliary chair leg.

제 3 실시 예Third Embodiment

제 3 실시 예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수직부재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앉음부의 아래쪽에 장착된 예를 보인다. 이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를 도시하고 있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기능성 의자의 사용 예시도이다. The third embodiment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vertical member for forming the storage space is mounted to the bottom of the seat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unctional chai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A and 7B are exemplary views of using the functional chair of FIG. 6.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60)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영역인 앉음부(61)가 구성된다. As shown, the functional chair 6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composed of a sitting portion 61 which is an area where the user can sit.

상기 앉음부(61)의 저면 모서리 부분에는 의자 다리(62)가 형성되어, 앉음부(61)가 바닥에서 이격되게 한다. A chair leg 62 is formed at the bottom edge portion of the seat 61 to allow the seat 61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loor.

상기 앉음부(61)의 후방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제공되면서 앉음부(61)에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63)가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63)는 상기 앉음부(61)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The backrest 63 is provided to support the user's back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61 while being provided in a vertical position at the rear of the seating portion 61. The backrest 63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formed integrally with or separated from the rear of the seat 61.

상기 앉음부(61)의 저면에는 후술하는 수직부재(7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가이드(65)가 장착된다. 여기서, 미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앉음부(61) 내에 소정 크기의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의 양측면에 상기의 가이드(65)를 형성하여, 상기 수직부재(70)가 슬라이딩 이동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65)의 형상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가이드(65)가 상기 앉음부(61)의 저면과 결합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재(70)가 하방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상기 수직 부재(70)의 측면 일부를 감싸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도면에서는 대략 'ㄷ' 자 형상을 취한다.A pair of guides 65 are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seating part 6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vertical member 7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slidably moved. Here, although not shown, the vertical member 70 may be slidably moved by forming the guides 65 on both sides of the space portion and the space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size in the seat portion 61. The guide 65 may have various shapes. However, the guide 65 should be a structure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bottom of the seat 61. In addition, the vertical member 70 adopts a structure that surrounds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member 70 so as not to fall downward. In the figure, the shape of approximately 'c' is taken.

상기 가이드(65)에는 가이드 홈(66)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66)은 상기 수직부재(70)가 상기 가이드(66)를 따라 이동시 상기 앉음부(61)의 전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하기로 한다. The guide groove 66 is formed long in the guide 65. The guide groove 66 serves to prevent the vertical member 70 from moving forward and backward of the sitting portion 61 when the vertical member 70 moves along the guide 66. Description of this will be given below.

상기 수직 부재(70)는 그 골격을 평판형 플레이트와 같은 몸체(71)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71)의 측면 일단에는 걸이돌기(7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이돌기(73)는 상기 가이드 홈(66)과 협력하여, 상기 수직부재(70)의 이동시에 상기 걸이돌기(73)가 가이드 홈(66)의 내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접촉되게 하여 상기 수직부재(70)가 상기 가이드(65)에서 빠지지 않도록 한다. The vertical member 70 is formed by a body 71 such as a flat plate. At one end of the body 71, a hook protrusion 73 is formed to protrude. The hook protrusion 73 cooperates with the guide groove 66 so that the hook protrusion 73 contacts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groove 66 when the vertical member 70 moves. The member 70 is not removed from the guide 65.

상기 몸체(71)의 상면 타단에는 몸체(71)의 상면 일부를 형성하는 상면 브라켓(75)이 힌지(76) 결합된다. 상기 상면 브라켓(75)이 위치한 몸체(71) 내부는 수납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The othe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71, the upper bracket 75 to form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71, the hinge 76 is coupled. Inside the body 71 in which the upper bracket 75 is located,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tored article is formed.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제 3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의 사용 예를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An example of using the functional chai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having such a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 and 7B.

먼저, 도 7a와 같이 사용자는 앉음부(61)의 저면에 장착된 수직부재(70)를 등받이(63)의 배면 방향을 향해 당긴다. 당김 동작에 의하여 상기 수직부재(7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걸이돌기(73)가 가이드 홈(66)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상기 수직부재(70)가 인출된다. 상기 수직부재(70)의 인출 범위는 상기 걸이돌기(73)가 상기 가이드 홈(66)의 내면 일단에 접촉할 때까지 당길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7A, the user pulls the vertical member 70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seat 61 toward the back of the backrest 63. The hook protrusion 73 protruding on the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member 70 is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66 by the pulling operation so that the vertical member 70 is drawn out. The withdrawal range of the vertical member 70 may be pulled until the hook protrusion 73 contacts one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groove 66.

상기 수직부재(70)가 당겨진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상면 브라켓(75)을 힌지(76)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회전 각도는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나, 실시 예에서는 앉음부(61)에 대해 직각이 되게 한다. 이 상태는 도 7b에 도시하고 있다. 도 7b와 같이 상기 상면 브라켓(75)이 상기 등받이(63)의 배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세워지면, 그 상면 브라켓(75)과 상기 등받이(63) 사이에는 수납 공간(78)이 형성되게 된다. In the state where the vertical member 70 is pulled, the user rotates the upper bracket 75 about the hinge 76. Rotation angle can be adjusted in various ways, in an embodiment to be perpendicular to the seating portion (61). This state is shown in Fig. 7B. As shown in FIG. 7B, when the top bracket 75 is erect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backrest 63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 accommodation space 78 is formed between the top bracket 75 and the backrest 63.

이에, 상기 수납 공간(78)에 수납 물품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Thus, it is possible to store the stored article in the storage space 78.

물론, 상기 상면 브라켓(75)을 회전시키기 않고 상기 상면 브라켓(75)이 몸체(71)의 상면 일부를 형성할 경우에도, 상기 몸체(71)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나 상기 상면 브라켓(75)의 상면에 수납 물품을 보관할 수 있을 것이다. Of course, even when the upper bracket 75 forms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71 without rotating the upper bracket 75, a space formed inside the body 71 or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racket 75 You will be able to store your storage items.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78)이 필요하지 않거나, 상기 몸체(71)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수납 물품을 보관 완료한 경우에는 상기 수직부재(70)를 상기 앉음부(61)의 저면에 위치하도록 밀어 넣으면 된다. In addition, when the storage space 78 is not required, or when the storage item is stored in the space formed inside the body 71, the vertical member 70 is pushed to be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seat 61. Put it in.

한편, 상기 제 3 실시 예는 상기 수직부재(70)가 상기 등받이(63)의 배면 방향을 향하여 인출되는 구조를 설명하고 있지만 다른 예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수직부재(70)가 상기 앉음부(61)의 저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앉음부(61)의 측면을 향해 인출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수직부재(70)의 상면에 수납물품을 수납하거나, 상면 브라켓(75)이 회전되어 형성된 수납공간에 수납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70)가 상기 앉음부(61)의 전방으로 인출되게 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는 상기 앉음부(61)에 사용자가 착석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상면 브라켓(75)을 세워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은 경우라면, 이 역시 상기 수직부재(70)의 상면에 수납물품을 수납하거나, 상면 브라켓(75)이 회전되어 형성된 수납공간에 수납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Meanwhile, the third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vertical member 70 is drawn out toward the back direction of the backrest 63. However, other examples are possible. For example, the vertical member 70 may be configured to be drawn out toward the side of the sitting part 61 in a state where it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itting part 61. In this case, the storage items may be sto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member 70, or the storage items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formed by rotating the upper bracket 75. In addition, the vertical member 70 may be led out to the front of the seat 61. Of course, in this case, since the user should be seated in the seat 61, the upper bracket 75 may not be formed to form a storage space. However, if the user is not seated, the storage item may also be stor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member 70, or the storage item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formed by rotating the upper bracket 75.

이와 같이 제 3 실시 예는 의자를 형성하는 앉음부(61)의 저면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수직부재(70)가 장착되고, 필요에 따라 이를 인출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그 인출 방향도 등받이(63)의 배면에 국한되지 않고 측면이나 전방으로 인출하여 수납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공간을 여유있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수납공간이 필요하지 않거나 공간이 협소할 경우에는 상기 수직부재(70)는 앉음부(61)의 저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수직부재(70)로 인한 불편한 점은 발생하지 않는다.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third embodiment is equipped with a vertical member 70 for forming the storage space on the bottom of the seat 61 forming the chair, and draws it out as needed to form the storage space. In addition, the withdrawal direction is also not limited to the back of the backrest 63 can be withdrawn to the side or forward to provide a storage function will be able to utilize the space with a margin. Of course, when the storage space is not necessary or the space is narrow, since the vertical member 70 i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61,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vertical member 70 does not occur.

한편, 제 3 실시 예에서 상기 수직부재(70)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구조는 상술한 구조 이외에도 다른 다양한 구조가 얼마든지 채택될 수 있다. 예컨대, 일반적인 책상의 서랍 구조에 적용된 것으로, 레일 및 레일을 따라 회전하는 바퀴로 이루어지는 구조 등이 채택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third embodiment, the structure in which the vertical member 70 is slidably moved may be variously adopte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For example, as applied to a drawer structure of a general desk, a structure consisting of a rail and wheels rotating along the rail may be adopted.

제 4 실시 예Fourth Embodiment

제 4 실시 예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의 분리 사시도, 도 9a 내지 도 9c는 도 8의 기능성 의자의 사용 예시도이다. A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chai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A to 9C are exemplary views of using the functional chair of FIG. 8.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4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80)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영역인 앉음부(81)가 구성된다. 상기 앉음부(81)의 저면 모서리 부분에는 의자 다리(82)가 바닥면을 향해 형성되어, 앉음부가 바닥에서 소정 간격 떨어지게 한다. As shown in FIG. 8, the functional chair 8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a sitting part 81, which is an area in which a user can sit. A chair leg 82 is formed at the bottom edge of the seat portion 81 toward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seat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floo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앉음부(81)의 후방에는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제공되면서 앉음부(81)에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83)가 구비된다. 상기 등받이(83)는 상기 앉음부(8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되는 구조일 수 있다. The back portion of the seat portion 81 is provided in a vertical position while supporting the back of the user seated on the seat portion 81 is provided. The backrest 83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integrally form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seat portion 81.

상기 앉음부(81)에는 수용부(85)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85)는 소정 두께의 상기 앉음부(81)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83)가 위치한 일면에 후술하는 수직부재(90)가 출입할 수 있도록 입구부(86)가 형성된다.The seating portion 81 has a receiving portion 85 is formed. The receiving portion 85 is formed inside the seating portion 81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inlet portion 86 is formed to allow the vertical member 90 to be described later to enter and exit on one surface where the backrest 83 is located.

상기 수용부(85)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걸림홈(87)이 배열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87)은 수직부재(90)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92)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홈(87)과 돌기(92)의 구성에 따라 상기 수직부재(90)는 상기 수용부(85) 내에서 유동되지 않음과 더불어 상기 수직부재(90)의 일부가 수용부(85)에서 인출되더라도 어느 정도 고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The accommodating part 85 has an engaging groove 87 formed on at least one side thereof. The locking groove 87 is a portion into which the protrusion 92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member 90 is inserted.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engaging groove 87 and the projection 92, the vertical member 90 does not flow in the receiving portion 85 and a portion of the vertical member 90 is in the receiving portion 85 You can maintain a fixed posture even if it is withdrawn.

상기 수용부(85)에 장착되는 수직부재(90)가 구성된다. 상기 수직부재(90)는 일정 두께의 판 형상의 몸체(91)가 그 골격을 형성된다. 상기 몸체(91)는 복수의 몸체(91a, 91b, 91c, 91d)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각각의 몸체(91a, 91b, 91c, 91d)는 각각 이웃하는 몸체에 대항하여 절곡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는 각 몸체(91a, 91b, 91c, 91d) 끼리 힌지 방식으로 결합되게 함으로써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수직부재(90)의 골격을 형성하는 몸체(91)가 반드시 4개의 몸체(91a, 91b, 91c, 91d)로 구성되지는 않는다. 즉 앉음부(81)의 길이에 따라서 몸체(91)를 이루는 몸체의 개수는 달라진다. The vertical member 90 is mounted to the receiving portion 85 is configured. The vertical member 90 has a plate-shaped body 91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a skeleton thereof. The body 9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odies 91a, 91b, 91c, 91d. In addition, each of the bodies 91a, 91b, 91c, 91d has a structure that can be bent against a neighboring body, respectively. This is possible by allowing the bodies 91a, 91b, 91c, 91d to be coupled together in a hinged manner. Here, the body 91 forming the skeleton of the vertical member 90 is not necessarily composed of four bodies 91a, 91b, 91c, 91d. That is, the number of bodies forming the body 91 varies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sitting portion 81.

상기 몸체(91)의 측면에는 돌기(92)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92)는 몸체(91)의 측면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 구조이며, 돌기(92)의 배면에는 스프링(93)과 같은 탄성부재가 제공된다. 이에 상기 수직부재(90)가 이동하면, 상기 돌기(92)는 상기 걸림홈(87)에 삽입되거나, 상기 몸체(91) 내에 수용된 상태를 갖는다. Protrusion 92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body 91. The protrusion 92 is a structure that does not escape to the outside from the side of the body 91, the back surface of the protrusion 92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such as a spring (93). Accordingly, when the vertical member 90 moves, the protrusion 92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87 or has a state accommodated in the body 91.

한편, 제 4 실시 예에서 상기 앉음부(81)에 수용부(85)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즉, 제 3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앉음부(81)의 저면에 별도의 브라켓을 장착하여 상기 수직부재(90)가 이동되게 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fourth embodiment it is not necessary to form the receiving portion 85 in the seating portion (81). That is, the vertical member 90 may be moved by attaching a separate bracket to the bottom of the seating portion 81 as in the third embodiment.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제 4 실시 예에 대한 작용을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An oper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having such a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A to 9C.

평상시 수직부재(90)는 상기 수용부(85) 내에 위치한다. 이 경우 상기 돌기(92)는 상기 걸림홈(87)에 각각 수용되기 때문에, 외부의 인위적인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수직부재(90)는 외부로 빠지지 않는다.Normally, the vertical member 90 is loc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85. In this case, the protrusions 92 are accommodated in the locking grooves 87, respectively, so that the vertical member 90 does not fall outside unless an external artificial force is applied.

이 상태로부터, 기능성 의자(80)에 착석하는 사용자가 가방, 서류, 의류 등의 수납 물품이 있는 경우, 수납공간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수용부(85)에 수용된 수직부재(90)의 일단을 잡고 상기 등받이(83)의 배면 방향을 향하도록 잡아당긴다. 이러한 당김 동작에 따라 상기 수직부재(90)는 상기 수용부(85)에서 빠지게 된다. From this state, when the user seated on the functional chair 80 has storage items such as a bag, documents, and clothing, it is necessary to form a storage space. To this end, as shown in FIG. 9A, the user grasps one end of the vertical member 90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part 85 and pulls it toward the back direction of the backrest 83. According to the pulling operation, the vertical member 90 is removed from the receiving portion 85.

그 상태로부터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부재(90)의 몸체(91a, 91b, 91c, 91d) 중 몸체(91a)만이 완전히 빠진 상태가 되면, 그 몸체(91a)만을 회전시킨다. 그렇게 되면, 상기 몸체(91a)와 상기 등받이(83) 사이에 수납공간(95)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수납공간(95)에 수납 물품을 보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수납공간(95)는 몸체(91a)만이 빠진 상태에서 회전되었기 때문에, 상기 등받이(83)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다. 이에 상기 수납공간(95)에는 그에 맞는 수납물품만을 수납하는 것이 좋다. From the state, as shown in FIG. 9B, when only the body 91a of the bodies 91a, 91b, 91c, 91d of the vertical member 90 is completely removed, only the body 91a is rotated. If so, an accommodation space 95 is formed between the body 91a and the backrest 83. Accordingly, the storage item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95. Of course, since the storage space 95 is rotated in the state in which only the body 91a is removed, the storage space 95 is formed to be relatively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backrest 83.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o store only the storage items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space 95.

만약, 도 9b에 도시된 수납공간(95)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수납공간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수직부재(90)를 더 많이 빼서 해당 몸체를 회전시키면 된다. 즉, 도 9c에서는 수직부재(90)의 몸체(91a, 91b, 91c, 91d) 중 몸체(91a, 91b) 까지 완전히 빠진 상태를 보이고 있다. 그래서 몸체(91a, 91b)의 회전이 가능하다. 이는 도 9b의 수납공간(95)에 비해 더 많거나 높이가 있는 수납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96)을 형성할 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If a larger storage space is required than the storage space 95 shown in FIG. 9B, the vertical member 90 may be removed to rotate the body. That is, in FIG. 9C, the body 91a, 91b of the bodies 91a, 91b, 91c, and 91d of the vertical member 90 is completely missing. So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body (91a, 91b). This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form a storage space 96 that can accommodate more or a higher storage item than the storage space 95 of FIG. 9B.

이처럼, 제 4 실시 예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직부재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는 것이다. As such,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heights of the vertical members forming the storage space may be different.

한편, 도 9b 및 도 9c에 도시된 수납공간(95,96)을 없애고자 할 때에는 수직되게 세워진 몸체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앉음부(81)와 수평되게 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85) 내에 강제로 밀어넣으면 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eliminate the storage space (95, 96) shown in Figure 9b and 9c to rotate the vertically vertical body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be horizontal to the seating portion 81, in that state the receiving portion ( 85) is forcibly pushed in.

제 5 실시 예Fifth Embodiment

제 5 실시 예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의 배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기능성 의자의 사용 예시도이다. The fifth embodiment refers to FIGS. 10 and 11. 10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functional chai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n exemplary view of using the functional chair of FIG. 10.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성 의자(100)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영역인 앉음부(101)가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0, the functional chair 100 includes a sitting part 101, which is an area in which a user can sit.

상기 앉음부(101)의 저면 모서리 부분에는 의자 다리(103)가 형성되어, 앉음부(101)가 바닥에서 이격되게 한다. A chair leg 103 is formed at the bottom edge portion of the seat portion 101, so that the seat portion 101 is spaced apart from the floor.

상기 앉음부(101)의 후방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제공되면서 앉음부(101)에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105)가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105)는 상기 앉음부(101)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되는 구조이다.The backrest 105 is provided to support the user's back seated on the seat 101 while being provided in a vertical position at the rear of the seat 101. The backrest 105 is a structure that is integrally formed or separated in the rear of the seat portion (101).

상기 등받이(105)의 배면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수직부재(107)가 구비된다. 상기 수직부재(107)는 대략 'ㄴ'자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의 일부는 상기 등받이(105)의 배면을 형성하며, 몸체의 다른 일부는 상기 앉음부(101) 내에 형성된 공간부(부호 미도시)로 수납되는 형상이다. A vertical member 107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backrest 105 to form a storage space. The vertical member 107 is composed of a substantially 'b' shaped body. A portion of the body forms a rear surface of the backrest 105, and the other portion of the body is shaped to be accommodated in a space portion (not shown) formed in the seat portion 101.

이와 같은 구조의 제 5 실시 예에 대한 기능성 의자는 다음과 같이 이용된다. The functional chair for the fifth embodiment of such a structure is used as follows.

일반적인 상태는 도 10과 같다. 이 경우 기능성 의자는 의자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The general state i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functional chair functions as a chair.

그러다가 수납 물품을 수납할 경우가 있으면, 사용자는 상기 등받이(105)의 배면에 형성된 수직부재(107)를 기능성 의자(100)의 후방을 향해 잡아당긴다.Then, if there is a case to store the stored article, the user pulls the vertical member 107 formed on the back of the backrest 105 toward the rear of the functional chair 100.

이 상태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직부재(107)를 잡아당기면, 상기 수직부재(107)는 상기 등받이(105)의 배면과 이격된다. This state is shown in FIG. Pulling the vertical member 107 in this way, the vertical member 107 is spaced apart from the back of the backrest 105.

따라서 상기 등받이(105)와 'ㄴ'자 형상의 수직부재(107)에 의해 수납공간(109)이 형성된다. 그 수납공간(109)에 수납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receiving space 109 is formed by the backrest 105 and the vertical member 107 having a 'b' shape. The stored article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09.

여기서, 상기 수직부재(107)는 몸체의 일부가 상기 앉음부(101) 내에 수용된 상태이다. 그래서 상기 수직부재(107)는 상기 앉음부(101)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수납공간(109)을 형성할 수가 있다. Here, the vertical member 107 is a part of the body is accommodated in the sitting portion 101. Thus, the vertical member 107 may be supported by the seat 101 to form the storage space 109.

한편, 상기 수직부재(107)가 상기 앉음부(101)에서 완전하게 빠지지 않도록 상기 앉음부(101) 내에서는 걸림턱 등의 구조 등이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vertical member 107 may have a structure such as a locking jaw in the sitting portion 101 so as not to fall completely from the sitting portion 101.

또한, 상기 앉음부(101)에서 수직부재(107)가 이동되는 구조는 상술한 제 3실시 예 및 제 4 실시 예에서 언급하고 있는 다양한 구조 등이 채택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In addition, it is apparent that the structure in which the vertical member 107 is moved in the seat portion 101 may be used by adopting the various structures mentioned in the above-described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의자를 구성하는 등받이의 배면에 각종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en that at least one storage space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back constituting the chair to accommodate a variety of article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is is merely exemplar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other embodiments may be modified and equivalent.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30, 60, 80, 100 : 기능성 의자 16 : 등받이부
17, 37, 39, 78, 95, 96, 109 : 수납공간
34, 63, 83, 105 : 등받이
36, 38, 70, 90, 107 : 수직부재
10, 30, 60, 80, 100: functional chair 16: backrest
17, 37, 39, 78, 95, 96, 109: storage space
34, 63, 83, 105: backrest
36, 38, 70, 90, 107: vertical member

Claims (9)

사용자에게 앉음 영역을 제공하는 앉음부;
상기 앉음부의 후방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제공되면서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와 이격된 상태로 제공되는 수직부재;
상기 등받이부와 수직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공간;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을 복수 개로 구획하기 위해 상기 수납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칸막이 부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자.
A sitting unit providing a sitting area to a user;
A backrest supporting the user's back while being provided standing vertically to the rear of the seat;
A vertical member provided spaced apart from the backrest portion;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between the backrest portion and the vertical member; And
And at least one partition member detachably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to divide the storage space into a plurality.
앉음 영역이 일부에 구비된 평판형상의 앉음부;
상기 앉음부 하면에 제공되는 복수의 의자 다리;
상기 앉음 영역의 후방에 수직하게 세워진 등받이;
상기 등받이의 배면과 이격 배열되면서 상기 앉음부에 수직되게 세워지는 복수개의 수직부재; 그리고
상기 등받이와 수직부재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기능성 의자.
A flat seat portion provided with a portion of the seat region;
A plurality of chair leg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seat;
A backrest erected perpendicularly to the rear of the sitting area;
A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arranged vertically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backrest while being perpendicular to the seating portion; And
Functional chair comprising a receiving space each formed between the back and the vertical memb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들은 상기 앉음부와 힌지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수직부재 중 상기 등받이 배면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수직부재는 회전에 따라 인접한 수직부재와의 사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게 하거나 보조 의자다리로 활용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자.
The method of claim 2,
The vertical members are hingedly coupled to the sitting part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The functional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member located farthest from the back of the backrest of the vertical member can be used as an auxiliary chair leg or a storage space formed between the adjacent vertical member according to the rota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부재 중 상기 등받이 배면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수직부재가 상기 앉음부와 수평되게 셋팅된 경우, 상기 수직 부재의 배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수용홈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수용홈의 일단에서 회동하여 상기 수직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바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자.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When the vertical member located farthest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vertical member among the vertical members is set horizontally with the seating portion, the vertical member is installed in one or more accommodation groove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member and rotates at one end of the accommodation groove. Functional chair characterized in that a support bar is provided for supporting.
앉음 영역을 제공하는 앉음부;
상기 앉음부 하면에 제공되는 복수의 의자 다리;
상기 앉음부 후방에 수직하게 세워진 등받이;
상기 앉음부의 저면부에 서로 대칭되게 장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
상기 가이드 내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수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부재는, 평판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면서 상기 몸체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상면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수직부재가 상기 가이드에서 상기 등받이의 배면 방향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상면 브라켓에 의하여 상기 등받이와 상기 상면 브라켓 사이에 수납공간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자.
A sitting portion providing a sitting area;
A plurality of chair leg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seat;
A backrest erected perpendicularly to the rear of the seat;
A pair of guides symmetrically mounted to the bottom of the seat;
A vertical member mounted in the guide and slidingly moving;
The vertical member includes a flat body and an upper surface bracket pivoting about one end of the body while forming an upper appearance of the body, wherein the vertical member is drawn out from the guide toward the back of the backrest. The functional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ackrest and the upper bracket by the upper bracket in the stat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에 형성된 가이드 홈; 그리고
상기 수직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가이드의 전후방으로 상기 수직부재가 이탈되지 않게 상기 수직부재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에 수용되는 걸이 돌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자.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guide; And
Functional 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ook projection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vertical member is received in the guide groove so that the vertical member is not separate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guide when sliding the vertical member.
일정 두께를 가지면서 앉음 영역을 제공하는 앉음부;
상기 앉음부 하면에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의자 다리;
상기 앉음부 후방에 수직하게 세워진 등받이;
상기 앉음부 내부에 소정 크기의 공간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등받이의 배면측 방향에만 출입구가 형성된 수용부;
상기 출입구를 통해 출입하면서 상기 수용부에서 인출될 경우 상기 등받이의 배면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수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부재는,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몸체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몸체 각각은 일단부에 형성된 힌지 축을 중심으로 서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몸체 중 하나 이상의 몸체가 상방을 향하여 수직되게 세워져서 상기 수납 공간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자.
A sitting part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providing a sitting area;
A plurality of chair leg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seat;
A backrest erected perpendicularly to the rear of the seat;
A receiving part having an entrance and exit in only a rear side direction of the backrest while forming a space part of a predetermined size inside the sitting part;
It includes a vertical member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on the back of the backrest when drawn out from the receiving portion while entering and exiting through the entrance,
The vertical member is composed of at least two bodies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while each of the bodies are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a hinge axis formed at one end, one or more of the bodies are erected vertically upwards Functional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the storage spa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공간부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몸체의 측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 내에 위치한 상기 수직부재의 몸체 일부는 상기 수용부 내에서 고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자.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t least one locking groove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pace forming the accommodation portion,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body to be fitted into the locking groove,
Part of the body of the vertical member loc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unctional chair is fixed in the receiving portion.
사용자에게 앉음 영역을 제공하는 앉음부;
상기 앉음부의 후방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제공되면서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
몸체의 일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배면 표면을 형성하고 몸체의 다른 일부는 상기 앉음부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게 장착되는 대략 'ㄴ'자 형상의 수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재가 상기 등받이부에서 이격되면 상기 등받이부의 배면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기능성 의자.
A sitting unit providing a sitting area to a user;
A backrest supporting the user's back while being provided standing vertically to the rear of the seat;
A portion of the body forms a back surface of the backrest portion and the other portion of the body comprises a substantially 'b' shaped vertical member mounted to be slidably moved within the seat portion,
When the vertical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back portion, the functional chair is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on the back of the back portion.
KR1020110081766A 2010-08-25 2011-08-17 A chair KR1013896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766A KR101389622B1 (en) 2011-08-17 2011-08-17 A chair
JP2013525830A JP2013536039A (en) 2010-08-25 2011-08-24 Functional chair
EP11820185.4A EP2609835A4 (en) 2010-08-25 2011-08-24 Functional chair
PCT/KR2011/006255 WO2012026758A2 (en) 2010-08-25 2011-08-24 Functional chair
CA2807783A CA2807783A1 (en) 2010-08-25 2011-08-24 Functional chair
CN201180041044.3A CN103096760B (en) 2010-08-25 2011-08-24 Functional chair
SG2013012885A SG187926A1 (en) 2010-08-25 2011-08-24 Functional chair
US13/767,184 US20130154316A1 (en) 2010-08-25 2013-02-14 Functional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766A KR101389622B1 (en) 2011-08-17 2011-08-17 A ch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668A true KR20130019668A (en) 2013-02-27
KR101389622B1 KR101389622B1 (en) 2014-04-29

Family

ID=47897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766A KR101389622B1 (en) 2010-08-25 2011-08-17 A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62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600B1 (en) * 2013-11-11 2014-12-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Chair and its supporting apparatus with partition under a chair
WO2018021673A1 (en) * 2016-07-25 2018-02-01 김민재 Multifunctional beauty salon chai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4580U (en) * 2000-07-03 2001-01-19 史郎 富田 Variable partition spacing, folding bookstand
JP4045933B2 (en) * 2002-11-22 2008-02-13 株式会社イトーキ Chair
JP3128739U (en) * 2006-10-16 2007-01-25 隆 伊邉 Chair with draw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600B1 (en) * 2013-11-11 2014-12-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Chair and its supporting apparatus with partition under a chair
WO2018021673A1 (en) * 2016-07-25 2018-02-01 김민재 Multifunctional beauty salon 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622B1 (en) 201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58330B (en) Extensible center cantilever shalving shelf
US20060163847A1 (en) Standing foldable stroller
US7284290B1 (en) Dual-modal-shape bed lounge
KR20100000637A (en) Complex furniture type bed
CN101426405A (en) Folding seat
KR101389622B1 (en) A chair
JP2013536039A (en) Functional chair
KR20120002419U (en) Shelf having folding structure
KR102399695B1 (en) Seating plate for fishing
KR101365153B1 (en) Table ransformed into chair
KR200425352Y1 (en) Collasible chair
EP1561667A2 (en) Stroller
KR101045319B1 (en) Receiving box to chair
KR200438402Y1 (en) Chair
KR101251145B1 (en) a chair
CA3152523A1 (en) Stackable chair
TWI589252B (en) A recliner device
JP2005103022A (en) Chair
JP6460784B2 (en) Chair
JP2008259768A (en) Long chaise sofa
CN219813608U (en) Improved structure of folding chair
JP5681752B2 (en) Chair with storage and entrance structure
CN206866962U (en) A kind of foldable chair
JP6863801B2 (en) Portable toilet
KR101388208B1 (en) Folding swivel chair for fis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