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8471A - 이동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제어 평면을 담당하는 서버 및 그 서버에서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제어 평면을 담당하는 서버 및 그 서버에서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8471A
KR20130018471A KR1020117026636A KR20117026636A KR20130018471A KR 20130018471 A KR20130018471 A KR 20130018471A KR 1020117026636 A KR1020117026636 A KR 1020117026636A KR 20117026636 A KR20117026636 A KR 20117026636A KR 20130018471 A KR20130018471 A KR 20130018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lipa
nodeb
home
sipt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6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1398B1 (ko
Inventor
김태현
김래영
사소 스토자노브스키
김현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18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082Mobility data transfer for traffic bypassing of mobility servers, e.g. location registers, home PLMNs or home ag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88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containing mobile subscriber information, e.g. home subscriber server [H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개시에 의하면, 사용자의 데이터를 Home (e)NodeB를 통하여서도 공중 통신망과 같은 유선망으로 우회(Offload)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의 데이터를 Home (e)NodeB를 통하여서도 공중 통신망과 같은 유선망으로 우회(Offload)시킬 때, 사용자 또는 UE에 따라서 LIPA (Local IP Access)서비스는 선택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제어 평면(CONTROL PLANE)을 담당하는 서버 및 그 서버에서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법{SERVER FOR CONTROL PLAN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R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제어 평면(Control Plane)을 담당하는 서버 및 그 서버에서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술 규격을 제정하는 3GPP에서는 4세대 이동통신과 관련된 여러 포럼들 및 새로운 기술에 대응하기 위하여, 2004년 말경부터 3GPP 기술들의 성능을 최적화 시키고 향상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LTE/SAE (Long Term Evolution/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기술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3GPP SA WG2을 중심으로 진행된 SAE는 3GPP TSG RAN의 LTE 작업과 병행하여 네트워크의 구조를 결정하고 이 기종 망간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망 기술에 관한 연구이며, 최근 3GPP의 중요한 표준화 이슈들 중 하나이다. 이는 3GPP 시스템을 IP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발전 시키기 위한 작업으로, 보다 향상된 데이터 전송 능력으로 전송 지연을 최소화 하는, 최적화된 패킷 기반 시스템을 목표로 작업이 진행되어 왔다.
3GPP SA WG2에서 정의한 SAE 상위 수준 참조 모델(reference model)은 비로밍 케이스(non-roaming case) 및 다양한 시나리오의 로밍 케이스(roaming case)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세 내용은 3GPP 표준문서 TS 23.400a과 TS 23.400b에서 참조할 수 있다. 도 1의 네트워크 구조도는 이를 간략하게 재구성 한 것이다.
도 1은 진화된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구조도이다.
도 1의 네트워크 구조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진화(Evolved) UTRAN의 eNodeB와 핵심 네트워크(Core Network)의 게이트웨이(Gateway)의 2 계층 모델(2 Tier Model)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며,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나 eNodeB(20)는 기존 UMTS 시스템의 NodeB와 RNC의 기능을 포함하며, 게이트웨이는 기존 시스템의 SGSN/GGSN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 하나 중요한 특징으로는 접속 네트워크(Access network)과 핵심 네트워크 사이의 제어평면(Control Plane)과 사용자평면(User Plane)이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Interface)로 교환된다는 점이다. 기존의 UMTS 시스템에서는 RNC와 SGSN사이에 Iu 하나의 인터페이스가 존재했었던 반면 제어신호(Control Signal)의 처리를 담당하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51)가 GW(Gateway)와 분리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S1-MME, S1-U 두 개의 인터페이스가 각각 사용되게 되었다. 상기 GW는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Gateway)(이하, 'S-GW')(52)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이하, 'PDN-GW'또는 'P-GW'라 함)(53)가 있다.
도 2는 (e)NodeB와 Home (e)NodeB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3세대 또는 4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스트리밍 등 고용량 서비스와 양방향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셀 용량을 늘리는 시도는 계속되고 있다.
즉, 통신의 발달과 멀티미디어 기술의 보급과 더불어 다양한 대용량 전송기술이 요구됨에 따라 무선 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보다 많은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이 있지만, 한정된 주파수 자원을 다수의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셀 용량을 늘리기 위해서 높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셀 반경을 줄이는 접근이 있어왔다. 피코 셀(pico cell)등 셀 반경이 작은 셀을 적용하면 기존 셀룰라 시스템에서 쓰던 주파수 보다 높은 대역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같은 면적에 더 많은 기지국을 설치해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단점 있다.
이와 같이 작은 셀을 사용하여 셀 용량을 올리는 접근 중에 최근에는 Home (e)NodeB(30)와 같은 펨토 기지국이 제안되었다.
상기 Home (e)Node(30)는 3GPP Home (e)NodeB의 RAN WG3를 중심으로 연구되기 시작하였으며, 최근 SA WG에서도 본격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e)NodeB(20)는 매크로 기지국에 해당하며, 도 2에 도시된 Home (e)NodeB(30)가 펨토 기지국이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3GPP의 용어를 기반으로 설명하고자 하며, (e)NodeB는 NodeB 혹은 eNodeB를 함께 언급할 때 사용한다. 또한, Home (e)NodeB는 Home NodeB와 Home eNodeB를 함께 언급할 때 사용한다.
점선으로 도시된 인터페이스는 (e)NodeB(20)와 Home (e)NodeB(30)와 상기 MME(510) 간의 제어 신호 전송을 위한 것이다. 그리고, 실선으로 도시된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평면의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것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e)NodeB(20)와 상기 S-GW(52)간의 인터페이스에 트래픽이 과부하(overload) 또는 혼잡(congestion)하거나, 상기 Home (e)NodeB(30)와 상기 S-GW(52)간의 인터페이스에 트래픽이 과부하 또는 혼잡할 경우, 상기 UE(10)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혹은 상기 UE(10)로부터의 업로드 데이터는 올바르게 전송되지 못하게 실패되게 된다.
혹은 상기 S-GW(52)와 상기 PDN-GW(53) 간의 인터페이스, 혹은 상기 PDN-GW(53)와 이동통신 사업자의 IP(Internet Protocol) 서비스 네트워크 사이의 인터페이스가 과부하(overload) 또는 혼잡(congestion)할 경우에도, 상기 UE(10)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혹은 상기 UE(10)로부터의 업로드 데이터는 올바르게 전송되지 못하게 실패되게 된다.
또한 UE가 서비스 받고 있는 현재 셀에서 다른 셀로 핸드오버할 때, 상기 다른 셀이 과부하된 상태라면, 상기 UE의 서비스는 drop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상기 S-GW(52) 및 상기 PDN-GW(53)를 고용량으로 바꾸거나, 새로운 장비를 증설하여 왔으나, 이는 매우 고비용을 요구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양은 날이갈수록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이내 곧 과부하가 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증설하지 않고 상기 S-GW(52) 및 상기 PDN-GW(53)를 최적화하는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된 바가 있다. 예를 들어, UE의 특정 IP 트래픽(예컨대, 인터넷 서비스)을 매크로 액세스 네트워크에서는 최적 경로를 선택하여 전송하고, 펨토 액세스 네트워크(Femto access network)(예컨대, Home (e)NB)에서는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경로로 송수신하지 않고,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가 아닌 공중망, 즉 유선 네트워크의 노드들을 통한 경로로 우회(Selected IP traffic offload)시키는 기술, 즉 SIPTO가 제시된 바 있다.
도 4는 SIPTO(Selected IP Traffic Offload)의 개념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EPS(Evolved Packet System)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이 나타나 있다. 상기 EPS 시스템은 (e)NodeB(20), MME(51), S-GW(52), P-GW(53)을 포함한다. 그리고 Home (e)NodeB(30)가 나타나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SIPTO(Selected IP traffic offload) 기술은 UE(10)의 특정 IP 트래픽(예컨대, 인터넷 서비스)을 이동통신 사업자의 IP 서비스 네트워크(60) 내의 노드들을 경유하지 않고, 유선 네트워크(70)의 노드들로 우회시킨다.
예를 들면, UE(10)가 상기 (e)NodeB(20)에 접근을 허가 받으면, 상기 UE(10)는 상기 (e)NodeB(20)를 통해 공중 통신망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70)를 경유하는 세션을 생성하고, 상기 세션을 통해 IP 네트워크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업자 정책 및 가입 정보가 고려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세션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게이트웨이, 즉 UMTS의 경우 GGSN의 기능 중 일부를 담당하는 로컬 게이트웨이 혹은 EPS의 경우 P-GW(PDN Gateway)의 기능 중 일부를 담당하는 로컬 게이트웨이를 (e)NodeB(20)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 것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로컬 게이트웨이를 로컬 GGSN 혹은 로컬 P-GW으로 부른다. 로컬 GGSN 혹은 로컬 P-GW의 기능은 GGSN 또는 P-GW와 유사하다.
이상과 같이, SIPTO 기술은 UE의 데이터를 상기 (e)NodeB(20), 즉 매크로 지기국을 통해 공중 통신망과 같은 유선망으로의 우회(Offload)시키기 위해 세션을 생성하는 개념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SIPTO 기술은 사용자의 데이터가 매크로 기지국, 즉 (e)NodeB(20)를 통과하도록 하므로, 상기 (e)NodeB(20)가 과부하 상태일 경우에는 여전히 문제로 남게 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Home (e)NodeB를 통하여서도 공중 통신망과 같은 유선망으로 우회(Offload)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Home (e)NodeB를 통하여서도 공중 통신망과 같은 유선망으로 우회(Offload)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시한다.
한편, 상기 Home (e)NodeB는 LIPA(Local IP Access) 서비스를 지원할 수도 있다. 상기 LIPA 서비스는 Home(e)NodeB를 통하여 UE가 로컬 네트워크(가정의 홈 네트워크나 회사의 오피스 네트워크)내의 노드들을 통한 경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비스이다.
그런데, 만약 특정 UE에 대해 현재 접속 상황(CSG, Home (e)NodeB 등)에 따라 LIPA 서비스가 허용되지 않았더라도, 상기 특정 UE에게 SIPTO를 가능하게 하면, 상기 특정 UE가 LIPA 서비스 마저 이용할 수 있게 되는 소지가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Home (e)NodeB를 통한 SIPTO를 지원할 때, 사용자 또는 UE에 따라서 LIPA 서비스는 선택적으로 지원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제어 평면(Control Plane)을 담당하는 서버에서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 제어 방법은 Home (e)NodeB로부터 로컬 게이트웨이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및 SIPTO(Selected IP Traffic offload) 서비스 관련 지시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시지는 단말에 의한 요청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단말에 의한 SIPTO 서비스의 수락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로컬 게이트웨이의 식별자, 그리고 상기 SIPTO 서비스 관련 지시자 중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단말에게 SIPTO 서비스를 제공할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SIPTO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LIPA(Local IP Access) 서비스를 상기 단말에게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에 따라 LIPA 서비스 허가 정보 또는 필터 정보를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에 따라 LIPA 서비스 허가 정보, 필터 정보, 그리고 LIPA 서비스에 대한 통지 중 하나 이상을 상기 Home (e)NodeB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LIPA 서비스 허가 정보 또는 필터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발생된 LIPA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상기 Home (e)NodeB 또는 로컬 게이트웨이가 차단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LIPA 서비스에 대한 통지는 상기 단말에게 LIPA 서비스가 허용되는지를 알리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단말에 의한 요청 메시지는: TAU(Tracking Area Update) 요청 메시지, RAU(Radio Area Update) 요청 메시지,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 어태치 요청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SIPTO 서비스 관련 지시자는 상기 Home (e)NodeB에서 SIPTO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LIPA 서비스 허가 정보는 상기 단말에 대한 LIPA 서비스의 제공이 허여되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단말에 의한 SIPTO 서비스의 수락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되거나, 혹은 가입자 정보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로 전송되는 LIPA 서비스 허가 정보 또는 필터 정보는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Home (e)NodeB로 전송되는 LIPA 서비스 허가 정보, 필터 정보, 그리고 LIPA 서비스에 대한 통지 중 하나 이상은 연결 수락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어 방법은 상기 결정 단계 후, 서빙 게이트웨이로 세션 삭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로부터 세션 삭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로 베어러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Home (e)NodeB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말로 상기 베어러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기존 PDN 연결(connection)을 삭제하고 재연결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보내거나, 기존 PDN 연결(connection)을 삭제하고 기존 LIPA PDN을 이용하라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제어 평면(Control Plane)을 담당하고, 서비스를 제어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상기 서버는 Home (e)NodeB로부터 로컬 게이트웨이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및 SIPTO(Selected IP Traffic offload) 서비스 관련 지시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시지는 단말에 의한 요청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에 의한 SIPTO 서비스의 수락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로컬 게이트웨이의 식별자, 그리고 상기 SIPTO 서비스 관련 지시자 중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단말에게 SIPTO 서비스를 제공할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SIPTO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LIPA(Local IP Access) 서비스를 상기 단말에게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제어부의 결정에 따라, LIPA 서비스 허가 정보 또는 필터 정보를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LIPA 서비스 허가 정보, 필터 정보, 그리고 LIPA 서비스에 대한 통지 중 하나 이상을 상기 Home (e)NodeB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LIPA 서비스 허가 정보 또는 필터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발생된 LIPA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상기 Home (e)NodeB 또는 로컬 게이트웨이가 차단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LIPA 서비스에 대한 통지는 상기 단말에게 LIPA 서비스가 허용되는지를 알리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단말에 의한 요청 메시지는 TAU(Tracking Area Update) 요청 메시지, RAU(Radio Area Update) 요청 메시지,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 어태치 요청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SIPTO 서비스 관련 지시자는 상기 Home (e)NodeB에서 SIPTO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LIPA 서비스 허가 정보는 상기 단말에 대한 LIPA 서비스의 제공이 허여되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단말에 의한 SIPTO 서비스의 수락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되거나, 혹은 가입자 정보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로 전송되는 LIPA 서비스 허가 정보 또는 필터 정보는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Home (e)NodeB로 전송되는 LIPA 서비스 허가 정보, 필터 정보, 그리고 LIPA 서비스에 대한 통지 중 하나 이상은 연결 수락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에 의하면, 사용자의 데이터를 Home (e)NodeB를 통하여서도 공중 통신망과 같은 유선망으로 우회(Offload)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의 데이터를 Home (e)NodeB를 통하여서도 공중 통신망과 같은 유선망으로 우회(Offload)시킬 때, 사용자 또는 UE에 따라서 LIPA 서비스는 선택적으로 지원하도록 한다.
도 1은 진화된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구조도이다.
도 2는 (e)NodeB와 Home (e)NodeB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나타낸다.
도 4는 SIPTO(Selected IP Traffic Offload)의 개념을 나타낸다.
도 5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아키텍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SIPTO 서비스를 위한 제어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메시지의 프로토콜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SIPTO 서비스를 위한 제어 절차를 나타낸 다른 흐름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Home (e)NodeB(300) 및 MME(510)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및 EPC(Evolved Packet Core)를 기준으로 설명되나, 본 발명은 이러한 통신 시스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예시적으로 UE(User Equipment)가 도시되어 있으나, 도시된 상기 UE는 단말(Terminal), ME(Mobile Equipment), 등의 용어로 언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UE는 노트북, 휴대폰,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멀티미디어 기기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기기일 수 있거나, PC, 차량 탑재 장치와 같이 휴대 불가능한 기기일 수 있다.
용어의 정의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 앞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간략하게 정의하기로 한다.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약자로서 3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EPS: Evolved Packet System의 약자로서,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코어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UMTS가 진화된 형태의 네트워크
PDN (Public Data Network) :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위치한 독립적인망
APN (Access Point Name): 네트워크에서 관리하는 접속 포인트의 이름으로서 UE에게 제공된다. 즉, PDN의 이름(문자열)을 가리킴. 상기 접속 포인트의 이름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해당 PDN이 결정된다.
접속 제어(Access control): Home(e)NodeB와 같은 액세스 시스템에 UE의 사용 여부를 허가하거나, 다른 액세스 시스템로 이동시키는 제어 절차.
TEID(Tunnel Endpoint Identifier) : 네트워크 내 노드들 간에 설정된 터널의 End point ID, 각 UE의 bearer 단위로 구간별로 설정된다.
NodeB: UMTS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 옥외에 설치되며, 셀 커버리지 규모는 매크로 셀에 해당한다.
eNodeB: EPS(Evolved Packet System) 의 기지국으로 옥외에 설치되며, 셀 커버리지 규모는 매크로 셀에 해당한다.
(e)NodeB: NodeB와 eNodeB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Home NodeB: UMTS 망의 기지국으로 옥내에 설치하며 셀 커버리지 규모는 펨토 셀에 해당한다.
Home eNodeB : EPS 망의 기지국으로 옥내에 설치하며 셀 커버리지 규모는 펨토 셀에 해당한다.
Home (e)NodeB: Home NodeB와 Home eNodeB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Home (e)NodeB 게이트웨이: 하나 이상의 Home (e)NodeB와 연결되어 코어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싱하는 역할을 하는 게이트웨이이다
Home (e)NodeB Subsystem : Home (e)NodeB 와 Home (e)NodeB Gateway 를 하나의 세트로 묶어 무선망을 관리하는 형태이다. 상기 Home (e)NodeB 서브 시스템과 Home (e)NodeB은 모두 무선망을 관리하며 코어 네트워크와 연동하는 역할 이므로, 하나의 집합체 형태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Home (e)NodeB와 Home (e)NodeB 서브 시스템의 용어를 혼용하여 사용한다.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의 약자로서, UE에 대한 세션과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해 EPS 내에서 각 엔티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폐쇄 가입자 그룹(Closed Subscriber Group: CSG): 하나 이상의 Home (e)NodeB의 그룹을 의미한다. CSG에 속한 Home (e)NodeB들은 동일한 CSG ID를 갖는다. 각 사용자는 CSG 별로 사용 허가를 받는다.
폐쇄 접속 모드(Closed Access Mode): Home (e)NodeB가 CSG cell로 동작하는 것을 말한다. 해당 셀에 허용된 사용자 단말에 한해서 접근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을 말한다. 즉, Home (e)NodeB가 지원하는 특정 CSG ID들에 대한 권한을 가진 단말만 접근 가능하다.
개방 접속 모드(Open Access Mode): Home (e)NodeB가 CSG의 개념없이 일반 셀(normal cell, non-CSG cell) 과 같은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일반 (e)NodeB와 같이 동작하는 것을 말한다.
혼합 접속 모드(Hybrid access mode): Home (e)NodeB가 CSG cell로 동작하나, non-CSG 가입자에게도 접속을 허용하는 것을 말한다. 해당 셀에 지원 가능한 특정 CSG ID를 가진 사용자 단말에게 접속을 허용하여 Home (e)NodeB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으며, CSG 권한이 없는 단말도 접속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을 말한다.
Selected IP Traffic Offload (SIPTO): UE가 Home(e)NodeB나 (e)NodeB을 통해 특정 IP 트래픽을 전송할 때, (e)NodeB 의 경우는 최적 경로를 선택하여 전송하고, Home(e)NodeB 에서는 이동 통신 사업자의 네트워크(예컨대, 3GPP, 3GPP2)이 아닌, 인터넷 등의 유선 네트워크로 우회시키는 기술
Local IP Access (LIPA): Home(e)NodeB를 로컬 네트워크(즉, 소규모 네트워크, 예컨대 가정의 홈 네트워크나 회사 네트워크)와 연결시키고, 상기 Home(e)NodeB 내에 있는 UE가 상기 Home(e)NodeB를 통하여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로컬 게이트웨이(Local Gateway): 상기 Home(e)NodeB를 통한 LIPA나 SIPTO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즉, 코어 망을 거치지지 않고 홈네트워크나 직접 유선망으로 데이터를 전송가능하게 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이다.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는 상기 Home(e)NodeB와 유선망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Home(e)NodeB와 상기 유선망 사이에 베어러를 생성하거나, 상기 Home(e)NodeB와 로컬 네트워크 사이에 베어러를 생성하게 하고, 상기 생성된 베어러를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세션(Session): 세션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로로써 그 단위는 PDN, Bearer, IP flow 단위 등이 될 수 있다. 각 단위의 차이는 3GPP에서 정의한 것처럼 대상 네트워크 전체 단위(APN 또는 PDN 단위), 그 내에서 QoS로 구분하는 단위(Bearer 단위), 목적지 IP 주소 단위로 구분할 수 있다.
PDN 연결(connection) : 단말에서 PDN으로의 연결, 즉, ip 주소로 표현되는 단말과 APN으로 표현되는 PDN과의 연관(연결)을 나타낸다. 이는 세션이 형성될 수 있도록 코어 네트워크 내의 엔티티간 연결(단말-PDN GW)을 의미한다.
UE Context : 네크워크에서 UE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UE의 상황 정보, 즉, UE id, 이동성(현재 위치 등), 세션의 속성(QoS, 우선순위 등)으로 구성된 상황 정보
한편,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방안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ome (e)NodeB에서 SIPTO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설명
본 명세서에 의하면, 3GPP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EPS(Evolved Packet System)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Home (e)NodeB를 통하여 UE의 특정 IP 트래픽(예컨대, 인터넷 서비스)을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가 아닌 공중망, 즉 유선 네트워크의 노드들을 통한 경로로 우회(Selected IP traffic offload)시키기 위한 아키텍처가 제시된다.
이에 대하여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아키텍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EPS(Evolved Packet System)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이 나타나 있다. 상기 EPS 시스템은 소스 기지국(300a), 타겟 기지국(300b), 소스 로컬 P-GW(400a), 타겟 로컬 P-GW(400b), 소스 MME(510a), 타겟 MME(510b), 소스 S-GW(520a), 타겟 S-GW(520b), 소스 P-GW(531), 타겟 P-GW(532)을 포함한다. 상기 소스 기지국(300a) 및 상기 타겟 기지국(300b)은 (e)NodeB 혹은 Home(e)NodeB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기지국들(300a, 300b: 이하 '300'이라 통칭함), MME들(510a, 510b: '510'이라 통칭함), S-GW들(520a, 520b: '520'이라 통칭함), P-GW들(531, 532: '530'이라 통칭함))은 EPS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400a, 400b: 이하 '400'으로 통칭함)는 상기 기지국(200)과 유선망(70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기지국(300)을 통한 SIPTO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이다.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400)는 상기 기지국(300)와 상기 유선 망(700) 간의 경로를 통해 세션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생성된 베어러를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400)는 EPS 시스템을 위한 PDN-GW의 기능 중 일부 혹은 전부를 포함일 수 있거나, UMTS를 위한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의 기능 중 일부 혹은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400)는 상기 기지국(300)과 상기 유선 망(700)간의 경로를 통해 베어러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므로,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600)로의 경로를 통해 베어러를 생성하는 EPS의 P-GW(520) 혹은 UMTS의 GGSN과 구별되므로, EPS에서는 로컬 P-GW라고 부를 수도 있고, 혹은 UMTS에서는 로컬 GGSN으로 부를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시스템은 EPS를 기반으로 한 것이나, 도 5에 도시된 SIPTO는 3GPP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3GPP UMTS에서는 MME(510)의 제어 평면의 기능과 S-GW(520)의 사용자 평면 기능이 모두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미도시)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UE(100)가 서비스 요청을 하면, 상기 핵심 네트워크 내의 제어 엔티티인 SGSN이나 MME는 상기 UE(100)의 요청되는 서비스의 데이터를 상기 유선망(700)으로 우회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공중망과 같은 유선망(700)을 통하더라도 제공되는 접속 포인트는 이동통신 네트워크(600)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접속 포인트의 이름을 나타내는 APN(Access Point Name)은 동일하게 사용되고 각 APN에 SIPTO 허가를 별도로 지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UE(100)가 접속 시도를 할 때 코어 네트워크 내의 엔티티에 특정한 APN을 제공하며, 상기 UE(100)의 접속을 상기 공중망과 같은 유선망(700)의 노드들로 우회(offload)시킬지의 여부는 코어 네트워크 내의 엔티티, 예컨대 EPS의 MME(510) 혹은 UMTS의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이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핵심 네트워크내의 제어 엔티티, 예컨대 상기 MME(510)는 상기 UE(100)가 접속한 기지국이 상기 (e)NodeB 인지 혹은 Home(e)NodeB인지 여부와, 상기 기지국이 SIPTO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요청되는 서비스에 의한 데이터를 상기 공중망과 같은 유선망(700)으로 우회시킬 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를 우회시키는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서비스의 데이터를 위한 세션을 상기 유선망(700)을 경유하여 우회되도록 설정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UE(100)와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위한 세션은 상기 소스 기지국(300a), 예컨대 Home (e)NodeB와의 무선 구간과, 상기 소스 로컬 게이트웨이(즉, 로컬-GGSN 또는 로컬 P-GW)(400a)와의 상기 유선망 기반의 세션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소스 MME(510a)는 상기 UE 컨텍스트 내에 상기 파라미터, 예컨대 SIPTO_Session_indicator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진행중인 세션을 위해 이동성을 제공하는 경우 기존의 Mobility procedure를 따르게 되는데, 상기 소스 MME(510a)는 적절한 타겟 MME(510b)를 결정하고, 결정된 타겟 MME(510b)로 UE 컨텍스트를 전달하는데 상기 진행중인 세션이 SIPTO 기반의 세션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예컨대 SIPTO_Session_indicator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도 있고 UE 컨텍스트를 기반으로 가입자 정보 서버인 HSS에 문의하여 SIPTO_Session_indicator를 전송받을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타겟 MME(510b)는 상기 타겟 기지국(300b)에서 SIPTO의 지원 여부, 사업자 정책, QoS 등을 고려하여, 상기 SIPTO 기반의 세션을 유지시킬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E가 타겟 기지국(300b)의 커버리지 내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UE(100)의 데이터가 경유하는 로컬 P-GW 혹은 로컬 GGSN이 변경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무선 접속(Radio Access)의 능력, 세션에서 요구되는 QoS, 이동성(Mobility)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만약 로컬 P-GW 혹은 로컬 GGSN을 변경해야 한다면, 상기 소스 MME(510a) 또는 SGSN는 상기 UE(100)에 이와 같은 이유를 전달하여 현재의 세션을 끊고(종료하고), 새로운 세션을 요청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도는 소스 기지국을 위한 소스 MME 또는 SGSN, 혹은 타겟 기지국을 위한 타겟 MME/SGSN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Home (e)NodeB를 통해 SIPTO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아키텍처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Home (e)NodeB를 통한 SIPTO 서비스를 지원할 때, 사용자 또는 UE에 따라서 LIPA(Local IP Access) 서비스는 선택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ome (e)NodeB에서 SIPTO 서비스를 제공할 때, LIPA 서비스는 선택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설명
본 명세서에 의하면, Home (e)NodeB를 통한 SIPTO를 지원할 때, 사용자 또는 UE에 따라서 LIPA(Local IP Access)는 선택적으로 지원하도록 하는 기술이 제시된다.
이러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LIPA(Local IP Access) 서비스를 위한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면,
a) UE가 어태치되는 Home (e)NodeB로부터 분리된 단독(stand-alone) 게이트웨이(GW)를 지원할 수 있다.
b) 로컬 네트워크 내에 위치되는 Home (e)Nodeb들 사이에서 UE의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다.
c) Home (e)NodeB에서 LIPA(Local IP Access) 서비스가 가능한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있다.
2. 로컬 네트워크 내에서 SIPTO를 위한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면,
a) LIPA(Local IP Access) 서비스를 위해 정의되는 아키텍처에 추가적인 기능(예컨대, LIPA로 서비스가 활성되었거나 비활성화된 경우, 나아가 허용되거나 금지된 모든 경우에 있어서, 로컬네트워크 상에서 SIPTO 서비스는 제공될 수 있다)
b) 로컬 네트워크 상에서 SIPTO 서비스가 수행될 때, Home (e)NodeB와 (e)nodeB, 즉 매크로 기지국 간에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다.
c) APN 마다 SIPTO를 위한 정책을 정의하거나, 임의의 APN하에서 IP 플로우 마다 SIPTO를 위한 정책을 정의하거나, 혹은 특정 APN 하에서 IP 플로우 마다 SIPTO를 위한 정책을 정의할 수 있다.
d) SIPTO 서비스의 정책를 위한 사업자 설정은 정적으로 혹은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e) 트래픽이 우회되기 전에 사용자는 SIPTO 서비스를 수락하거나 거절할 수있다.
한편, Home (e)NodeB를 통한 SIPTO를 지원할 때, 접속 상황(CSG 가입 여부, Home (e)NodeB, LIPA 허가여부) 등을 고려하여 LIPA 서비스는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개선되어야 하는 정보들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가입자 정보
상기 가입자 정보는 HSS(Home Subscriber Server)나 HLR(Home Location Register)에 기록되는 정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LIPA 서비스가 허용되지 않더라도 SIPTO 서비스는 허용될 수 있다. 따라서 LIPA 서비스와 SIPTO 서비스를 위해 하나의 PDN 연결에 대해 허가(Permission) 여부가 상기 가입자 정보 내에 각각 정의될 수 잇다.
또한, UE의 수락 여부에 대한 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 이 정보는 UE가 접속시에 전달할 수도 있고, 상기 가입자 정보 내에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 가입자 정보에 기록될 경우 UE와의 상호 작용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좀 더 빠른 처리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HSS 또는 HLR은 SIPTO acceptance(수락) 또는 decline(거부) 정보를 MME에 제공한다. 상기 HSS나 HLR에 기록하는 것은 인터넷이나 개별 서버를 통해 가능할 수 있다.
아래 표 1은 LIPA 서비스와 SIPTO 서비스의 허용에 대한 정보가 추가된 가입자 정보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한편, Home (e)NodeB(300)를 통한 SIPTO를 지원할 때, 접속 상황(CSG 가입 여부, Home (e)NodeB, LIPA 허가여부) 등을 고려하여 LIPA 서비스는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Home (e)NodeB, UE, MME 각각은 아래와 같이 수정되거나 변경되어야 한다.
1. Home(e)NodeB
1-1) LIPA 및 SIPTO를 지원하는 Home (e)NodeB(300)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정보를 MME(510)에 제공해야 한다.
a) 로컬-게이트웨이(Local-GW) 기능을 갖는 Home (e)NodeB인 경우(소위Collocated L-GW)
SIPTO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자, 예컨대 SIPTO capability indicator를 MME에 전송한다. 이는 로컬-게이트웨이(Local-GW)의 주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가능하다. 만약 하나의 Home (e)NodeB에서 LIPA 서비스와 SIPTO 서비스를 구분하고자 한다면, SIPTO 기능 지시자(SIPTO capability indicator)나 LIPA 기능 지시자(LIPA capability indicator)를 함께 전달한다. 이는 MME에서 각각의 기능을 구분하여 처리하고자 할 때 필요한 부가 정보이다.
b) 로컬-게이트웨이(Local-GW)가 Home (e)NodeB와 별도로 존재하는 경우
로컬-게이트웨이(Local-GW)가 Home (e)NodeB(300)와 별도로 존재하는 것은Rel-10에서는 포함되어있지 않은 새로운 내용이다. 이와 같이 별도로 존재하는 경우, Home (e)NodeB는 로컬-게이트웨이(Local-GW)의 주소를 알 수 없으므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소 정보를 MME로 전송할 수 없다. 따라서, 사업자나 Home (e)NodeB 소유주의 설정으로, LIPA 서비스 및 SIPTO 서비스가 가능한지에 대한 기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를 MME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 LIPA 서비스 및 SIPTO 서비스가 가능한지에 대한 기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를 제공함으로써, 지원이 안될 경우 추가적인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1-2) UE(100)에 LIPA 서비스에 대한 통지(notification)을 제공할 수 있다.
Home (e)NodeB(300)는 UE(100)가 가정(residential) 네트워크 또는 회사 네트워크(corporate network)에 IP 접속이 가능한지 여부를 상기 UE(100)에 알릴 수 있다. 이는 UE(100)가 네트워크에 어태치(Attach) 하기 전이나 완료 후, 예컨대 MME(510)로 어태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이나 전송한 후에 전달될 수 있다.
어태치(Attach) 전의 경우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메시지를 통해 알려지는 경우이다.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내에 상기 UE(100)는 SIPTO acceptance나 decline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UE(100)는 SIPTO acceptance나 decline 정보를 사전에 저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에게 문의하고 허가를 받으면 그 정보를 전송할 수 도 있다.
Attach 완료 후의 경우는, NAS(Non-Access stratum)나 AS 메시지 내에 포함시켜 전달할 수 있다.
1-3) LIPA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에는, UE에 의한 LIPA 트래픽을 차단할 수 있다.
LIPA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더라도, SIPTO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로컬-게이트웨이(LOCAL-GW)의 이용이 필요하게 된다. 이로 인해, UE(100)는 LIPA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어야 함에도, 상기 Home (e)NodeB(300)와 연결되는 소규모 네트워크, 예컨대 홈 네트워크(Home network)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SIPTO를 위한 세션(SIPTO PDN 연결)을 만드는 과정이 기존 LIPA를 위한 세션(LIPA PDN 연결)을 생성하는 과정과 동일하므로, SIPTO를 위한 세션이 생성되면, 의도한 바와 달리 LIPA 트래픽의 전송도 가능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LIPA 서비스의 트래픽은 폐기(drop)되거나, 차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핵심 네트워크(Core Network) 내의 엔티티, 예컨대 MME(510) 또는 SGSN은 LIPA는 허용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지시자(예컨대, LIPA permission indicator:)를 Home (e)NodeB나 로컬-게이트웨이(LOCAL-GW)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핵심 네트워크(Core Network) 내의 엔티티, 예컨대 MME 또는 SGSN는 소규모 네트워크, 예컨대 홈 네트워크(Home network)를 통하는 트래픽에 대한 필터 규칙(target ip address 등)을 전달하여, 상기 Home (e)NodeB가 상기 홈 네트워크를 통과하려는 트래픽을 차단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2
한편, UE는 아래와 같이 변경되어야 한다.
2. UE
상기 UE(100)는 SIPTO 서비스에 대한 수락(acceptance) 또는 거부(decline)에 대한 정보를 MME(510)에 제공한다. 상기 MME(510)는 상기 정보를 전달받은 후에, 다른 여러 정보들과 비교하여, Home (e)NodeB(300)를 통한 SIPTO 서비스를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UE(100)가 상기 정보를 전달하는 시점은 전술한 내용을 따른다. 또한 상기 정보는 HSS(540) 또는 HLR의 가입자 정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LIPA 서비스의 허용 여부와 상관없이, 현재 Home (e)NodeB에서 UE의 사용자가 SIPTO 서비스를 허용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이러한 정보는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정보는 한번 설정되고 나면, 이후 재 사용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UE(100)는 LIPA 서비스에 대한 통지(notification)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LIPA 서비스가 허용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UE(100)는 LIPA 트래픽을 전송해서는 안된다. 이를 위해 상기 UE(100)는 해당 PDN에 대해 LIPA 서비스 통지가 없으면, 해당 PDN을 통해서는 LIPA 트래픽을 전송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 상기 MME는 PDN별로 LIPA 서비스에 대한 통지를 상기 UE(1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Home (e)NodeB(300)는 무선 액세스 단위로 LIPA 서비스에 대한 통지를 상기 UE(1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UE(100)는 상기 MME(510) 또는 Home (e)NodeB(300)로부터 LIPA가 허용되지 않는다는 지시자나, 해당하는 IP 플로우 기반의 비허용 필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표 3은 위의 UE동작사항을 정리한 것이다.
Figure pct00003
한편, Home (e)NodeB(300)를 통해 SIPTO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 후에, 여러 정보, 예컨대 정책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UE(100)는 자신의 데이터를 공중망으로 우회(offload)시키게 된다. 상기 정책 정보는 사전에 상기 UE(100)로 전달(static, dynamic)되어, 저장되게 된다.
한편, MME(510)는 아래와 같이 변경되어야 한다.
3. MME
3-1) Home (e)NodeB를 통한 SIPTO 서비스의 제공 적용 여부 결정
상기 MME(610)는 전술한 가입자 정보, Home (e)NodeB(300)으로부터의 전술한 정보, 상기 UE(100)로부터의 전술한 정보를 기반으로, Home (e)NodeB를 통한 SIPTO 서비스의 제공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MME는 아래와 같은 정보들을 고려할 수 있다.
a) 상기 UE(100)에 SIPTO 서비스를 제공받을지 여부에 대한 문의
- 상기 UE(100)가 어태치(Attach) 프로시저를 수행할 때(즉, 상기 UE(100)가 상기 MME(510)로 어태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때), 상기 UE(100)가 SIPTO 서비스에 대한 수락 여부 정보를 전달하면, 상기 MME(510)는 상기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한다.
- 상기 UE(100)에 의한 어태치(Attach) 프로시저가 완료될 때(즉, Attach Accept 메시지를 상기 UE로 전송될 때), 혹은 LIPA 서비스가 완료되는 시점(예컨대, PDN connectivity Accept 메시지가 UE로 전송될 때)에 상기 UE로 송신되는 메시지에 SIPTO 서비스를 제공받을지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지시자를 포함한다.
3-2) LIPA PDN과의 운영
LIPA를 위한 PDN 연결(connection)이 이미 존재한다면, SIPTO를 위한 PDN 연결(connection)은 상기 LIPA를 위한 PDN 연결(connection)과 결합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매크로 액세스 네트워크(Macro access network)로 SIPTO을 위한 PDN 연결이 설정된게 있다면, 상기 연결은 삭제되고 상기 LIPA을 위한 PDN 연결에 통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합된 컨텍스트(Context)가 생성될 수 있다. 즉, 상기 SIPTO를 위한 컨텍스트는 LIPA PDN으로 업데이트된다.
3-3) UE에 Home (e)NodeB를 통한 SIPTO 서비스가 가능함을 알림
MME(510)는 Home (e)NodeB를 통한 SIPTO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결정하면, 상기 UE(100)에 기존 생성했던 SIPTO를 위한 PDN이 있다면, 삭제하도록 지시한다.
a) 또한, LIPA 서비스를 위한 PDN 연결이 설정된 게 없고, SIPTO를 위한 PDN 연결(connection)을 생성하기로 결정하면, 상기 MME(510)는 핵심 네트워크(core network)의 PDN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UE(100)에 재활성화를 위한 비활성화(deactivation with reactivation) 를 요청하기 위해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예컨대 Deactivate Bearer Request)를 전달한다. 상기 UE(100)는 일반적인 서비스를 위한 PDN(APN)과 동일한 PDN(APN)을 이용하여 상기 MME(510)에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MME(510)는 SIPTO를 위한 PDN 연결(connection)을 생성하기 위해, 로컬-게이트웨이(LOCAL-GW)쪽으로 PDN 연결을 생성한다. 이때 추가 고려사항으로, 해당 PDN(APN)이 LIPA 서비스 허가권(permission)도 가지고 있으면, PDN 연결(Connection)생성 후 수락(Accept) 메시지에 LIPA 서비스에 대한 통지(notification)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생성된 PDN 연결(Connection)은 SIPTO 서비스와 LIPA 서비스 모두를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UE(100)의 사용자는 현재 생성된 PDN 연결(Connection)을 상기 (e)NodeB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과 동일한 것처럼 인식할 수 있으며, 더불어 LIPA 서비스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상기 APN이 LIPA 서비스에 대한 허가권(permission)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LIPA 서비스에 대한 통지(notification)를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이경우, 상기 UE(100)은 상기 허가권(permission)을 전달받는지 혹은 못받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LIPA 서비스를 위한 트래픽을 전송해야 할지 말지를 결정할 수 있다.
b) 한편, 기존에 생성된 LIPA 서비스를 위한 PDN 이 있다면, 상기 MME(510)은 상기 UE(100)에 상기 SIPTO 서비스를 위해 생성되어 있던 PDN 연결을 대체하기 위한 비활성화(Deactivation with substitution)를 요청하기 위해 비활성화 요청 지시자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는 기존 SIPTO 서비스를 위한 PDN을 삭제하고, 새로이 생성될 LIPA 서비스를 위한 PDN로 대체하라는 의미이다. 추가적으로, 삭제할 SIPTO 서비스를 위한 PDN 연결(Connection)과 LIPA 서비스를 위한 PDN 연결(Connection)을 연관하기 위해, 상기 MME(510)는 APN, 베어러 id, LIPA PDN 통지(notification) 등 이를 구분하는 정보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존에 생성된 LIPA 서비스를 위한 PDN 이 있더라도, 상기 MME(510)는 APN을 이용하여 별개의 SIPTO 서비스를 위한 PDN 연결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MME(510)는 핵심 네트워크(core network)의 PDN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UE(100)에 재활성화를 위한 비활성화(deactivation with reactivation)를 요청하기 위해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 상기 UE(100)는 일반적인 서비스를 위한 PDN(APN)과 동일한 PDN(APN)을 이용하여 상기 MME(510)에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MME(510)는 SIPTO를 위한 PDN 연결(connection)을 생성하기 위해, 로컬-게이트웨이(LOCAL-GW)쪽으로 PDN 연결을 생성한다
표 4은 설명한 MME의 동작사항을 정리한 것이다.
Figure pct00004
3-4) LIPA 서비스를 위한 PDN이 생성되지 않은 경우, 상기 MME(510)는 Home(e)NodeB 또는 로컬-게이트웨이를 통하여 LIPA 서비스의 트래픽이 송수신되지 않도록 함.
일반적으로, 상기 MME(510)가 SIPTO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결정하고, LIPA 서비스는 제공하지 않기로 결정하더라도, 상기 SIPTO 서비스를 위해 로컬-게이트웨이(LOCAL-GW)를 할당하게 된다. 이와 같이 로컬-게이트웨이가 할당되게 되면, 상기 UE(100)가 Home (e)NodeB를 통해 소규모 네트워크, 예컨대 홈 네트워크 또는 회사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나, LIPA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아야 하므로, 상기 Home (e)NodeB를 통해 소규모 네트워크, 예컨대 홈 네트워크 또는 회사 네트워크로 항하는 데이터는 폐기되거나, 차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MME(510) 또는 SGSN는 Home (e)NodeB나 로컬-게이트웨이(LOCAL-GW)에 LIPA 서비스는 허용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LIPA의 허용 여부 지시자(예컨대, LIPA permission indicator)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MME(510) 또는 SGSN는 소규모 네트워크, 예컨대 홈 네트워크(Home network)를 통하는 트래픽에 대한 필터 규칙(target ip address 등)을 Home (e)NodeB나 로컬-게이트웨이(LOCAL-GW)에 전달하여, Home (e)NodeB나 로컬-게이트웨이(LOCAL-GW)가 상기 소규모 네트워크, 예컨대 홈 네트워크 또는 회사 네트워크를 통과하려는 트래픽을 차단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MME(510)는 UE(100)에 PDN별로 LIPA 서비스에대한통지를 전달하거나, LIPA가 허용되지 않는다는 지시자를 전달하거나, 혹은 IP 플로우 기반의 비허용 필터 등을 제공하여, 상기 UE(100)가 상기 필터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SIPTO 서비스를 위한 제어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메시지의 프로토콜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여 각 절차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도 6에 도시된 메시지들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UE(100)와 상기 기지국, 예컨대 (e)NodeB(200) 또는 Home (e)NodeB (300)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들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프로토콜에 기반한 메시지이다. 상기 기지국, 예컨대 (e)NodeB(200) 또는 Home (e)NodeB(300)와 상기 MME(510) 또는 SGSN(미도시) 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들은 S1-AP(S1 Application Protocol)에 기반한 메시지이다.
상기 UE(100)와 상기 MME(510) 또는 SGSN(미도시) 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들은 NAS(Non-Access stratum) 프로토콜에 의한 메시지이다. 상기 NAS 프로토콜에 의한 메시지들은 상기 RRC 프로토콜에 의한 메시지와 상기 S1-AP 메시지로 각기 캡슐화되어 전송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제어 절차를 설명하기에 앞서, 도시된 메시지 내의 파라미터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SIPTO acceptance: SIPTO 서비스의 수락 또는 거절 여부를 나타낸다.
L-GW address: 로컬 게이트웨이의 주소로서, Home (e)NodeB가 SIPTO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SIPTO capability)도 나타낸다. 즉, Home (e)NodeB가 전송하는 메시지 내에 로컬 게이트웨이의 주소가 포함되어 있으면, Home (e)NodeB가 SIPTO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SIPTO capability indicator: SIPTO 기능 지시자로서, SIPTO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SIPTO permission: SIPTO 서비스의 허가권으로서, SIPTO 서비스가 허여되는지를 나타낸다.
LIPA permission: LIPA 서비스의 허가권으로서, LIPA 서비스가 허여되는지를 나타낸다.
Packet filter: MME(500)에서 Home(e)NodeB나 로컬 게이트웨이로 전달되는 정보로서, Home (e)NodeB나 로컬-게이트웨이(LOCAL-GW)가 UE(100)의 트래픽이 소규모 네트워크, 예컨대 홈 네트워크 또는 회사 네트워크로 향할 때, 차단하거나 통과시키는 필터이다.
LIPA notification: LIPA 서비스에 대한 통지(notification)로서, LIPA 서비스가 허용되는지 안되는지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면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0) 먼저, MME(510)는 도시된 HSS(540)로부터 UE(100)의 가입자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UE(100)의 가입자 정보는 각 PDN 별로 다르게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각 PDN 단위로 설정된 가입자 정보는 전술한 SIPTO 허가권에 대한 정보, LIPA 허가권에 대한 정보, 상기 UE(100)의 사용자가 SIPTO 서비스를 수락했는지에 대한 SIPTO 수락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1) 한편, 상기 UE(100)는 IDLE 모드이고, TAU(Tracking Area Update)를 요요청하기 위해, 영역 갱신 요청 메시지(예컨대 TAU Request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메시지는 UE(100)가 제공받기 위한 접속 포인트의 이름을 나타내는 APN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E(100)는 상기 영역 갱신 요청 메시지, 즉 TAU Request 메시지를 RRC 프로토콜에 기반한 메시지에 인캡슐레이션하고, 상기 캡슐된 메시지를 상기 (e)NodeB(200) 또는 Home(e)NodeB(300)로 전송한다. 상기 어태치 요청 메시지는 상기 UE(100)의 사용자가 SIPTO 서비스를 수락했는지에 대한 SIPTO 수락 정보(예컨대 도시된 SIPTO acceptance)를 포함할 수 있다.
2) 상기 (e)NodeB(200) 또는 Home(e)NodeB(300)는 상기 UE(100)로부터 상기 RRC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RRC 메시지 내에 포함된 상기 영역 갱신 요청 메시지, 즉 TAU Request 메시지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추출된 메시지와 함께 로컬-게이트웨이의 주소 및 SIPTO 기능 지시자 중 하나 이상을 추가하여, 커넥션 요청 메시지, 즉 초기 메시지(예컨대 initial UE message)를 생성하여, 상기 MME(510)로 전송한다. 상기 커넥션 요청 메시지, 즉 초기 메시지는 S1-AP에 기반한다. 상기 초기 메시지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Initial UE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커넥션 요청 메시지, 즉 초기 메시지는 상기 Home (e)NodeB의 정보, 예컨대 CSG id, Home (e)NodeB의 기능에 대한 정보, LIPA 서비스 기능 지시자(LIPA capability indicator) 또는 SIPTO 서비스 기능 지시자(예컨대, SIPTO capability indicator)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Home(e)NodeB(300)의 경우 LIPA 및 SIPTO를 모두 지원 할 수도 있고 또는 어느 하나만을 지원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 2개의 지시자가 모두 포함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만 포함될 수도 있다. 즉, LIPA 및 SIPTO가 모두 지원되는 경우, 상기 두 파라미터가 모두 포함된다.
3) 상기 MME(510)(또는 UMTS인 경우 SGSN)가 상기 커넥션 요청 메시지, 즉 초기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커넥션 요청 메시지, 즉 초기 메시지(Initial UE message) 내의 상기 영역 갱신 요청 메시지, 즉 TAU Request 메시지(Attach Request)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커넥션 요청 메시지, 즉 초기 메시지 내에 포함된 지시자 또는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MME(510)는 상기 추출한 지시자 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MME(510)(또는 UMTS인 경우 SGSN)는 상기 (e)NodeB(200) 또는 Home(e)NodeB(300)를 통하여 영역 갱신 수락 메시지, 예컨대 TAU Accept 메시지를 상기 UE(100)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MME(510)(또는 UMTS인 경우 SGSN)는 상기 영역 갱신 수락 메시지, 예컨대 TAU Accept 메시지는 S1-AP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인캡슐레이션하여, 상기 (e)NodeB(200) 또는 Home(e)NodeB(300)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e)NodeB(200) 또는 Home(e)NodeB(300)는 상기 인캡슐레이션된 메시지에서 상기 영역 갱신 수락 메시지, 예컨대 TAU Accept 메시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메시지를 RRC 프로토콜에 따라 인켑슐레이션하여, 상기 UE(100)로 전달한다.
이상의 1) 내지 3) 과정은 예시적으로 TAU 절차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1) 내지 3)의 과정은 RAU(Radio Area Update) 절차, 핸드오버 절차, 또는 어태치 절차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RAU 절차로 변형되는 경우, 상기 UE(100)가 전송하는 메시지는 RAU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절차로 변형되는 경우, 상기 UE(100)가 전송하는 메시지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어태치 절차로 변형되는 경우, 상기 UE(100)가 전송하는 메시지는 어태치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 이와 같이 RAU, 핸드오버 또는 어태치 절차들은 본 명세서를 이해한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4) 이어서 상기 MME(510)(또는 UMTS인 경우 SGSN)는 상기 가입자 정보, 상기 저장한 정보 또는 지시자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상기 UE(100)에게 SIPTO 서비스를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MME(510)는 상기 가입자 정보, 상기 저장한 정보 또는 지시자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상기 UE(100)의 PDN 연결(connection)을 상기 Home (e)NodeB(300) 및 상기 유선망(700) 내의 노드를 통한 경로를 경유하도록 설정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MME(510)는 상기 TAU 요청 메시지 내에 상기 로컬-게이트웨이의 주소 정보와 SIPTO 기능 지시자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Home (e)NodeB가 SIPTO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상 상기 TAU 요청 메시지 내에 SIPTO 수락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SIPTO 수락 정보를 확인한 결과 상기 UE(100)가 SIPTO 서비스를 제공받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MME(510)는 상기 UE(100)에게 SIPTO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TAU 요청 메시지 내에 SIPTO 수락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더라도, 상기 획득한 가입자 정보에 의해 상기 UE(100)가 SIPTO 서비스를 제공받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MME(510)는 상기 UE(100)에게 SIPTO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사업자 정책이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MME(510)는 상기 UE에 요구되는 베어러의 QoS를 고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중망과 같은 유선망(700)내의 노드들을 통한 경로를 경유하도록 설정되는 베어러의 QoS가 상기 요구되는 QoS를 만족시킬 경우, 상기 MME(510)는 상기 UE(100)에게 SIPTO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MME(510)는 상기 가입자 정보, 상기 저장한 정보 또는 지시자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상기 UE(100)에게 LIPA 서비스를 제공할 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E(100)가 상기 Home (e)NodeB의 CSG 멤버인지 여부가 고려될 수 있다. 상기 CSG 멤버쉽에 대한 정보는 상기 HSS(540)로부터 획득되는 가입자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5~6) 이와 같이 상기 UE의 베어러가 SIPTO 서비스로 처리되는 것으로 결정되면(다시 말해서 상기 UE의 베어러가 상기 공중망과 같은 유선망(700)내의 노드들을 통한 경로를 경유하도록 결정되면), 상기 MME(510)는 핵심 네트워크, 예컨대 서빙 게이트웨이(S-GW)(520) 또는 SGSN와 PDN 게이트웨이(P-GW)(530) 사이에 기존에 설정되어 있던 세션을 삭제하기 위해, 세션 삭제 요청 메시지, 예컨대 Delete Session Request 메시지를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S-GW)(520) 또는 SGSN로 전송한다.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S-GW)(520) 또는 SGSN는 상기 세션 삭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세션 삭제 요청 메시지를 상기 PDN 게이트웨이(P-GW)(530)으로 전달한다.
7~8) 상기 PDN 게이트웨이(P-GW)(530)는 응답 메시지, 예컨대 Delete Session Response 메시지를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S-GW)(520) 또는 SGSN로 전달하고,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S-GW)(520) 또는 SGSN는 이를 상기 MME(510) 또는 SGSN으로 전달한다.
9) 상기 MME(510)는 상기 UE(100)가 생성했던 기존의 베어러를 비활성화한후 상기 SIPTO를 위해 재활성화(deactivation with reactivation)하도록, 베어러 비활성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 상기 베어러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는 cause value, 예컨대 SIPTO를 위해 재활성화하라는 지시자, 예컨대 Reactivation for SIPTO를 포함할 수 있다.
10) 그러면, 상기 UE(100)는 PDN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상기 MME(510)로 전송한다. 상기 PDN 연결 요청 메시지는 UE(100)가 제공받기 위한 접속 포인트의 이름을 나타내는 APN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UE(100)는 일반적인 서비스를 위한 PDN(APN)과 동일한 PDN(APN)을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시킬 수 있다.
11) 그러면, 상기 MME(510)는 SIPTO를 위한 PDN 연결(connection)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APN과, 상기 로컬-게이트웨이(L-GW)의 주소(L-GW Address)를 포함하는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 예컨대 Create Session Request를 서빙 게이트웨이(S-GW)(520)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MME(510)는 전술한 4) 과정에서 상기 가입자 정보, 상기 저장한 정보 또는 지시자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상기 UE(100)에게 LIPA 서비스를 제공할 지 여부를 결정한 경우, 상기 결정에 따라 LIPA 허가권(LIPA permission) 또는 패킷 필터 정보를 상기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즉, 상기 UE(100)에게 LIPA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MME(510)는 LIPA 허가권을 상기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만약, 상기 UE(100)에게 LIPA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MME(510)는 LIPA 허가권을 포함시키지 않고, 상기 필터 정보만을 상기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술한 4) 과정에서 상기 UE(100)에게 LIPA 서비스를 제공할 지 여부가 결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UE(100)로부터의 PDN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결정할 수도 있다.
12) 상기 서빙-게이트웨이(S-GW)(520)는 상기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 내의 파라미터, 예컨대 로컬-게이트웨이의 주소를 확인한다. 상기 파라미터, 예컨대 로컬-게이트웨이의 주소가 있으면, 상기 로컬-게이트웨이(L-GW)(400)로 상기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때, 상기 로컬-게이트웨이(L-GW)(400)는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 내에 LIPA 허가권 또는 상기 필터 정보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LIPA 허가권이 포함되어 있으면, 추후 상기 UE(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가 상기 로컬-게이트웨이(L-GW)(400)와 연결된 소규모 네트워크 예컨대 홈 네트워크 또는 회사 네트워크로 향하는 경우, 이를 허용한다. 그러나, 상기 LIPA 허가권이 포함되어 있지 않거나, 상기 필터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추후 상기 UE(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가 상기 로컬-게이트웨이(L-GW)(400)와 연결된 소규모 네트워크, 예컨대 홈 네트워크 또는 회사 네트워크로 향하는 경우, 이러한 데이터를 차단할 수 있다.
13~14) 상기 로컬-게이트웨이(L-GW)(400)는 세션 생성 응답 메시지, 에컨대 Create Session Response 메시지를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520)로 전달하고,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는 MME(510)로 전달한다
15) 상기 MME(510)가 상기 세션 생성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연결 수락 메시지(예컨대 Connectivity Accept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메시지는 NAS 프로토콜에 기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MME(510)는 상기 UE(100)에게 LIPA 서비스를 허여할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 따라 LIPA 서비스에 대한 통지를 상기 생성된 메시지 내에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MME(510)는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S1 AP 기반의 초기 컨텍스트 설정 응답 메시지(Initial Context Setup Response 메시지)에 인캡슐한다. 이때, 상기 MME(510)는 상기 UE(100)에게 LIPA 서비스를 허여할지에 대한 결정에 따라 LIPA 허가권, 패킷 필터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초기 컨텍스트 설정 응답 메시지 내에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MME(510)는 상기 초기 컨텍스트 설정 응답 메시지를 상기 Home (e)NodeB(300)로 전송한다).
16) 상기 Home (e)NodeB(300)는 초기 컨텍스트 설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연결 수락 메시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연결 수락 메시지를 RRC 커넥션 재구성 메시지 내에 인캡슐한다.
또한, 상기 Home (e)NodeB(300)는 상기 초기 컨텍스트 설정 응답 메시지 내에 있는 파라미터들 중 일부만을 상기 RRC 커넥션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도 있고, 혹은 파라미터 전부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신한 연결 수락 메시지 내에 있던 파라미터들 중 하나 이상을 제외시킬 수고, 혹은 하나 이상의 정보 또는 파라미터를 추가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도 6에는 상기 연결 수락 메시지 내에 LIPA 서비스에 대한 통지 파라미터(예컨대 LIPA notification) 외에 E-RAB id 파라미터가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상기 Home (e)NodeB(300)는 상기 RRC 커넥션 재구성 메시지를 상기 UE(100)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Home (e)NodeB(300)는 상기 연결 수락 메시지 내에 있던, LIPA 통지 파라미터, LIPA 허가권 또는 필터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추출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Home (e)NodeB(300)는 상기 LIPA 통지 파라미터 및 LIPA 허가권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UE(100)에 대해 LIPA 서비스가 허여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LIPA 서비스가 허여되지 않는다면, 상기 Home (e)NodeB(300)는 상기 UE(100)로부터 소규모 네트워크, 예컨대 홈 네트워크 또는 회사 네트워크로의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더라도, 이를 폐기하거나, 차단한다. 또는, 상기 Home (e)NodeB(300)는 상기 UE(100)로부터 소규모 네트워크, 예컨대 홈 네트워크 또는 회사 네트워크로 향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필터 규칙에 따라서 차단하거나, 폐기한다.
한편, 상기 RRC 커넥션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UE(100)는 RRC 커넥션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상기 Home (e)NodeB(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E(100)는 상기 RRC 커넥션 재구성 메시지 내에 상기 LIPA 서비스에 대한 통지 파라미터(예컨대 LIPA notification)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존재하는 경우, 상기 LIPA 서비스에 대한 통지 파라미터를 확인한다. 상기 LIPA 서비스에 대한 통지 파라미터에 의해 LIPA 서비스가 허여되지 않는 경우, 상기 UE(100)는 상기 Home(e)NodeB(300)를 통해서 소규모 네트워크, 예컨대 홈 네트워크 또는 회사 네트워크로의 데이터를 발생시키지 않거나, 혹은 발생하였더라도 전송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도 6에서는 EPC를 기준으로 MME(510), S-GW(520)을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개념은 UMTS에도 적용될 수 있다. UMTS의 경우, 상기 MME(510)과 상기 S-GW(520)는 모두 SGSN으로 통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상기 MME(510)과 상기 S-GW(520) 사이의 신호 송수신을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SGSN 내부에서 모두 처리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SIPTO 서비스를 위한 제어 절차를 나타낸 다른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일부 과정들은 도 6에 도시된 일부 과정들과 유사하다.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하고, 동일한 내용은 도 6의 내용을 준용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6과 달리 상기 UE(100)가 이미 LIPA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었던 것으로 가정하여 나타낸다. 즉, LIPA 서비스를 위해 이미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S-GW)와 상기 로컬-게이트웨이(400) 간에 생성된 세션이 있는 것을 가정하여 나타낸다. 또한, LIPA 서비스를 위해 상기 UE(100)가 생성한 베어러가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나타낸다.
1)~8) 과정은 도 6에 도시된 1~8 과정과 유사하다.
9) 상기 MME(510)가 기존에 LIPA 서비스를 위해 생성했던 베어러를 상기 SIPTO를 위한 베어러로 대체하기 위해 비활성화(deactivation with substitution)하도록 요청하기 위해 베어러 비활성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 상기 베어러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는 use of LIPA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10) 그러면, 상기 UE(100)는 PDN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상기 MME(510)로 전송한다. 상기 PDN 연결 요청 메시지는 UE(100)가 제공받기 위한 접속 포인트의 이름을 나타내는 APN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UE(100)는 일반적인 서비스를 위한 PDN(APN)과 동일한 PDN(APN)을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시킬 수 있다.
그 밖에 도 6에 도시된 11~16) 과정이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여기까지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저장 매체(예를 들어, 내부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하드 디스크, 기타 등등)에 저장될 수 있고,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과 같은 프로세서 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내에 코드들 또는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Home (e)NodeB(300) 및 MME(51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Home (e)NodeB(300)은 저장 수단(301)와 컨트롤러(302)와 송수신부(30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MME(510)는 저장 수단(511)와 컨트롤러(512)와 송수신부(513)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 수단들(301, 511)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방법을 저장한다.
상기 컨트롤러들(302, 512)은 상기 저장 수단들(301, 511) 및 상기 송수신부들(303, 513)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러들(302, 512)은 상기 저장 수단들(301, 511)에 저장된 상기 방법들을 각기 실행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들(302, 512)은 상기 송수신부들(303, 513)을 통해 상기 전술한 신호들을 전송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다.

Claims (15)

  1. 이동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제어 평면(Control Plane)을 담당하는 서버에서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Home (e)NodeB로부터 로컬 게이트웨이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및 SIPTO(Selected IP Traffic offload) 서비스 관련 지시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메시지는 단말에 의한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단말에 의한 SIPTO 서비스의 수락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로컬 게이트웨이의 식별자, 그리고 상기 SIPTO 서비스 관련 지시자 중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단말에게 SIPTO 서비스를 제공할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SIPTO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LIPA(Local IP Access) 서비스를 상기 단말에게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에 따라 LIPA 서비스 허가 정보 또는 필터 정보를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에 따라 LIPA 서비스 허가 정보, 필터 정보, 그리고 LIPA 서비스에 대한 통지 중 하나 이상을 상기 Home (e)NodeB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LIPA 서비스 허가 정보 또는 필터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발생된 LIPA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상기 Home (e)NodeB 또는 로컬 게이트웨이가 차단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데 이용되고;
    상기 LIPA 서비스에 대한 통지는 상기 단말에게 LIPA 서비스가 허용되는지를 알리기 위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에서 서비스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의한 요청 메시지는
    TAU(Tracking Area Update) 요청 메시지, RAU(Radio Area Update) 요청 메시지,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 어태치 요청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에서 서비스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IPTO 서비스 관련 지시자는 상기 Home (e)NodeB에서 SIPTO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고,
    상기 LIPA 서비스 허가 정보는 상기 단말에 대한 LIPA 서비스의 제공이 허여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에서 서비스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의한 SIPTO 서비스의 수락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되거나, 혹은 가입자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에서 서비스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로 전송되는 LIPA 서비스 허가 정보 또는 필터 정보는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에서 서비스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ome (e)NodeB로 전송되는 LIPA 서비스 허가 정보, 필터 정보, 그리고 LIPA 서비스에 대한 통지 중 하나 이상은 연결 수락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에서 서비스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 후,
    서빙 게이트웨이로 세션 삭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로부터 세션 삭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로 베어러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Home (e)NodeB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에서 서비스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 상기 베어러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기존 PDN 연결(connection)을 삭제하고 재연결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보내거나, 기존 PDN 연결(connection)을 삭제하고 기존 LIPA PDN을 이용하라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에서 서비스 제어 방법.
  9. 이동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제어 평면(Control Plane)을 담당하고, 서비스를 제어하는 서버로서,
    Home (e)NodeB로부터 로컬 게이트웨이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및 SIPTO(Selected IP Traffic offload) 서비스 관련 지시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제1 메시지는 단말에 의한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에 의한 SIPTO 서비스의 수락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로컬 게이트웨이의 식별자, 그리고 상기 SIPTO 서비스 관련 지시자 중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단말에게 SIPTO 서비스를 제공할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SIPTO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LIPA(Local IP Access) 서비스를 상기 단말에게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제어부의 결정에 따라, LIPA 서비스 허가 정보 또는 필터 정보를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LIPA 서비스 허가 정보, 필터 정보, 그리고 LIPA 서비스에 대한 통지 중 하나 이상을 상기 Home (e)NodeB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LIPA 서비스 허가 정보 또는 필터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해 발생된 LIPA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상기 Home (e)NodeB 또는 로컬 게이트웨이가 차단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데 이용되고;
    상기 LIPA 서비스에 대한 통지는 상기 단말에게 LIPA 서비스가 허용되는지를 알리기 위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의한 요청 메시지는
    TAU(Tracking Area Update) 요청 메시지, RAU(Radio Area Update) 요청 메시지,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 어태치 요청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SIPTO 서비스 관련 지시자는 상기 Home (e)NodeB에서 SIPTO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고,
    상기 LIPA 서비스 허가 정보는 상기 단말에 대한 LIPA 서비스의 제공이 허여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의한 SIPTO 서비스의 수락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단말에 의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되거나, 혹은 가입자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로 전송되는 LIPA 서비스 허가 정보 또는 필터 정보는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Home (e)NodeB로 전송되는 LIPA 서비스 허가 정보, 필터 정보, 그리고 LIPA 서비스에 대한 통지 중 하나 이상은 연결 수락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KR1020117026636A 2010-04-29 2011-04-29 이동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제어 평면을 담당하는 서버 및 그 서버에서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법 KR1018013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2953110P 2010-04-29 2010-04-29
US61/329,531 2010-04-29
US38926910P 2010-10-03 2010-10-03
US61/389,269 2010-10-03
PCT/KR2011/003226 WO2011136617A2 (ko) 2010-04-29 2011-04-29 이동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제어 평면(control plane)을 담당하는 서버 및 그 서버에서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471A true KR20130018471A (ko) 2013-02-25
KR101801398B1 KR101801398B1 (ko) 2017-11-27

Family

ID=44862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6636A KR101801398B1 (ko) 2010-04-29 2011-04-29 이동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제어 평면을 담당하는 서버 및 그 서버에서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79288B2 (ko)
KR (1) KR101801398B1 (ko)
WO (1) WO201113661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25064A (zh) * 2010-06-12 2010-12-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H(e)NB系统的SIPTO决策方法和装置
WO2012032782A1 (ja) * 2010-09-09 2012-03-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並びに移動端末及び基地局装置
KR101752707B1 (ko) * 2011-01-03 2017-07-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혼잡 제어 방법
US9185621B2 (en) * 2011-04-03 2015-11-10 Lg Electronics Inc. Server for undertaking control plan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supporting traffic detour service mobility in same server
US9693275B2 (en) * 2011-06-18 2017-06-27 Lg Electronics Inc. Traffic offload via local network
CN102843679A (zh) * 2011-06-24 2012-12-26 中怡(苏州)科技有限公司 无线数据流的传输方法与系统
US9781761B2 (en) * 2011-07-12 2017-10-0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RAT access mode operation
CN105163398B (zh) * 2011-11-22 2019-01-18 华为技术有限公司 连接建立方法和用户设备
US20150208281A1 (en) * 2012-06-24 2015-07-2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sipto for each ip flow in local network
US20150223196A1 (en) * 2012-10-10 2015-08-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paging and method for relaying downlink data
KR20140075826A (ko) * 2012-11-23 2014-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패킷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트래픽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WO2014130554A1 (en) 2013-02-19 2014-08-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Frame structure for filter bank multi-carrier (fbmc) waveforms
US9413641B2 (en) * 2013-11-22 2016-08-09 General Dynamics C4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accessing a data network
CN105656861B (zh) * 2014-11-21 2019-09-03 南京中兴软件有限责任公司 数据传送方法及装置
EP3326397A1 (en) * 2015-07-21 2018-05-30 Nokia Technologies Oy Localized routing in mobile networks
US11382175B2 (en) 2018-02-15 2022-07-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providing a breakout PDU session for local IP acces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31019A1 (en) 2004-08-12 2006-03-23 Lg Electronics Inc. Reception in dedicated service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837704B1 (ko) 2006-09-29 2008-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진화된 umts 망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417028B1 (ko) * 2007-11-29 2014-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벤트 발생에 관한 측정보고 메시지의 전송방법
MX2011010539A (es) 2009-04-23 2011-10-24 Ericsson Telefon Ab L M Acceso de ip local a traves de una estacion base femto.
US20110116469A1 (en) * 2009-11-16 2011-05-19 Motorola, Inc. Local internet protocol access/selected internet protocol traffic offload packet encapsulation to support seamless mobility
EP2522166A1 (en) * 2010-01-08 2012-11-1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ing support of selected internet protocol traffic offload
US8477724B2 (en) * 2010-01-11 2013-07-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session context continuity of local service availability in local cellular cover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36617A2 (ko) 2011-11-03
WO2011136617A3 (ko) 2012-03-01
US20130051327A1 (en) 2013-02-28
KR101801398B1 (ko) 2017-11-27
US9179288B2 (en) 201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1398B1 (ko) 이동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제어 평면을 담당하는 서버 및 그 서버에서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법
JP6158983B2 (ja) 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内で制御プレーンを担当するサーバー及び該サーバーでサービスを制御する方法
KR101652442B1 (ko) 이동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제어 평면(Control Plane)을 담당하는 서버 및 커넥션 설정을 제어하는 방법
KR101660744B1 (ko) 이동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제어 평면(Control Plane)을 담당하는 서버 및 SIPTO 기반의 세션을 제어하는 방법
US9813865B2 (en) Network-initiated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ximity service
KR101091300B1 (ko) 이동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제어 평면(Control Plane) 을 담당하는 서버 및 LIPA(Local IP Access)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법
US9648520B2 (en) Method for processing data associated with handover in a wireless network
US9756561B2 (en) Method for providing connection type inform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radio resource of home (e)NodeB
US9648653B2 (en) User equipment-initiated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ximity service
KR101564855B1 (ko) Apn에 따라 구체화되는 정보 또는 apn에 따라 구체화되지 않는 정보를 기초로 수행되는 로컬 네트워크를 통한 트래픽 오프로드
KR101502716B1 (ko) 이동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제어 평면을 담당하는 서버 및 그 서버에서 트래픽 우회 서비스 이동성 지원 방법
US94739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QoS group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60042027A (ko) 작은 셀 아키텍처에서 로컬 브레이크아웃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