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7435A -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7435A
KR20130017435A KR1020110079845A KR20110079845A KR20130017435A KR 20130017435 A KR20130017435 A KR 20130017435A KR 1020110079845 A KR1020110079845 A KR 1020110079845A KR 20110079845 A KR20110079845 A KR 20110079845A KR 20130017435 A KR20130017435 A KR 20130017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load
ble
mobile terminals
serv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9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6039B1 (ko
Inventor
이정석
최현창
우성호
심홍조
최재영
강기원
정옥현
박종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9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039B1/ko
Publication of KR20130017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이로드(payload)를 송신(advertise)하도록 형성되는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듈을 구비하는 서버, 및 상기 페이로드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지는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 각각은 AP(Application Processor)와, 상기 BLE 모듈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형성되는 통신모듈, 및 상기 페이로드를 이용하여 상기 AP를 활성화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 통신으로 이동 단말기의 AP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및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에 의존하게 되었으며, 소프트웨어의 오류를 수정하거나 기능을 추가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는 점점 더 빈번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많은 회사들은 새로운 혹은 업그레이드된 소프트웨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일년에도 몇 번씩 출시하고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들은 포장(Packaging)된 상태로 운송되어 고객에게 팔려나갈 때까지 재고로 보관된다.
하지만, 이동 단말기들이 재고로 유지되는 동안 이동 단말기의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OS)에 버그가 발견되는 등의 이유로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수작업을 통해 이동 단말기를 패키지로부터 꺼내고, 이동 단말기의 AP(Application Processor)를 켠 후, 업데이트된 소프트웨어를 이동 단말기에 다운로드하는 작업을 거치게 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으로 이동 단말기의 AP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신 시스템은 페이로드(payload)를 송신(advertise)하도록 형성되는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듈을 구비하는 서버, 및 상기 페이로드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지는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 각각은 AP(Application Processor)와, 상기 BLE 모듈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형성되는 통신모듈, 및 상기 페이로드를 이용하여 상기 AP를 활성화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BLE 모듈은 특정된 시간 간격을 두고 불특정된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에 상기 페이로드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AP가 활성화되면,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서버에 상기 페이로드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응답신호를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페이로드는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 각각의 BDADDR(Bluetooth Device ADDRess)과, 상기 서버의 Wi-Fi AP(Access Point)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및 상기 서버의 IP(Internet Protocol) Address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BDADDR이 상기 통신모듈의 BDADDR과 대응되면 상기 AP를 활성화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BLE 모듈은 각각 서로 다른 송신 채널(advertising channel)을 구비하는 제1 및 제2 BLE 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BLE 기기는 서로 다른 페이로드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은 제1 및 제2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BLE 기기에서 각각 전송되는 상기 페이로드는 각각 제1 및 제2 그룹의 BDADDR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은 제1 및 제2 그룹으로 구분되고, 상기 서버는 제1 및 제2 Wi-Fi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BLE 기기에서 각각 전송되는 상기 페이로드는 제1 및 제2 그룹과 각각 대응되는 제1 및 제2 Wi-Fi 모듈의 Wi-Fi AP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BLE 기기는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이 상기 제1 BLE 기기와 통신을 마친 후 상기 제2 BLE 기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에 상기 페이로드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기기로부터 송신(advertise)되는 페이로드(payload)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지는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 각각은 AP(Application Processor)와, 상기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형성되는 통신모듈, 및 상기 페이로드를 이용하여 상기 AP를 활성화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페이로드는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 각각의 BDADDR(Bluetooth Device ADDRess)과, 상기 외부기기의 Wi-Fi AP(Access Point)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및 상기 외부기기의 IP(Internet Protocol) Address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BDADDR이 상기 통신모듈의 BDADDR과 대응되면 상기 AP를 활성화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AP가 활성화되면,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외부기기에 상기 페이로드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응답신호를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AP가 활성화되면,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은 상기 페이로드에 실린 상기 외부기기의 Wi-Fi AP BSSID 및 IP Address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컨트롤러는 서버의 BLE 모듈로부터 송신되는 페이로드를 이용하여 AP를 활성화시키도록 이루어지는바, 이동 단말기를 패키지로부터 꺼내지 않고도 무선 통신으로 이동 단말기의 AP를 활성화시키고, 이동 단말기에 특정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BLE 모듈은 불특정된 복수의 이동 단말기에 BDADDR을 포함하는 페이로드를 전송하고, 컨트롤러는 상기 BDADDR이 통신모듈의 BDADDR과 대응되면 AP를 활성화시키도록 이루어지므로, 개별적인 페어링 없이 한 번의 송신으로 복수의 이동 단말기의 AP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송신 채널 및 상기 채널을 통한 서로 다른 작업 수행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통신 시스템으로서, 서버의 BLE 모듈로부터 송신되는 페이로드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AP가 활성화되는 것을 보인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AP를 활성화시키는 AP 시동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 내지 5는 도 1의 컨트롤러가 페이로드를 이용하여 AP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는 예들을 보인 순서도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통신 시스템으로서, 서버(100)의 BLE 모듈(120)로부터 송신되는 페이로드(101)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200)의 AP(210)가 활성화되는 것을 보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200)의 AP(210)를 활성화시키는 AP 시동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서버(100)와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200A-N)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워크 스테이션, 마스터(master)기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스크 탑, 노트북, 태블릿 PC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이동 단말기(200A-N)는 슬레이브(slave) 기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100)는 각각의 이동 단말기(200)에 AP(Application Processor, 210)를 활성화시키고 서버(100)와의 연결을 요청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각각의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요청을 받아 AP(210)를 활성화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서버(100)와 각각의 이동 단말기(200)는 대응되는 AP(210)를 깨우는 프로토콜을 구비한다.
서버(100)는 프로세서(110)와 BLE 모듈(120)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10)는 이동 단말기들(200A-N)에 전송할 페이로드(payload, 101)를 생성하도록 이루어진다.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듈(120)은 상기 페이로드(101)를 이동 단말기들(200A-N)에 송신(advertise)하도록 이루어진다. BLE 모듈(120)은, 예를 들어, BLE 기능을 갖는 BT(Bluetooth)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쉽게 탈착 가능한 동글(dongle)로 구현될 수 있다.
서버(100)는 서버(100)와 이동 단말기들(200A-N) 각각을 페어링할 수 있는 DB(DataBase, 142) 및 이를 저장하는 메모리(140)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DB(142)는 이동 단말기들(200A-N) 각각의 BDADDR(Bluetooth Device ADDRess), PIN 코드(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와 각각의 이동 단말기(200)의 페어링은 이동 단말기(200)의 식별 코드(예를 들어, BDADDR, PIN 코드 등)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BDADDR은 이동 단말기들(200A-N)과 같이 BT(BlueTooth) 기능을 갖는 기기들의 네트워크 주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DADDR은 연결, 페어링 또는 AP(210) 활성화를 위해 특정기기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유번호(예를 들면, 48 비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PIN 코드는 이동 단말기(200)의 시리얼 번호와 다운로드되는 이동 단말기(200)의 OS의 버전에 기초한 네 자리의 개인 아이디 코드로 구성될 수 있다.
BLE 모듈(120)은 상기 DB(142)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페이로드(101)를 이동 단말기들(200A-N)에 송신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페이로드(101)는 이동 단말기들 각각의 BDADDR, 서버의 Wi-Fi AP(Access Point)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및 서버의 IP(Internet Protocol) Address를 포함할 수 있다.
BLE는 블루투스의 장점인 안정성 및 보안성을 유지하면서, 기존의 블루투스에서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심한 부분을 개선하여 새로운 저전력 블루트스 규격을 제안한다. BLE는 데이터 채널(data channel)과 송신 채널(advertising channel)을 분리하고 있다. 상기 BLE 모듈(120)은 이러한 BLE의 특징을 이용하여 송신 채널인 37, 38 및 39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채널을 통해 상기 페이로드(101)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진다.
BLE 모듈(120)은 송신 채널을 통해 불특정된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200A-N)에 페이로드(101)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진다(Discovery Undirected Event Type). 이동 단말기들(200A-N)은 상기 페이로드(101)를 수신하여 유효하다고 판단되면(자신에게 해당되는 것이라고 판단되면) AP(210)를 활성화시키도록 이루어진다.
각각의 이동 단말기(200)는 AP(210)를 활성화시키는 AP 시동 시스템을 구비한다. AP 시동 시스템은 AP(210), 통신모듈(220), 전위측정센서(240),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250) 및 컨트롤러(260)를 포함한다.
AP(210)는 하나 이상의 코어(CPU), 메모리, 디스플레이 시스템/컨트롤러, 멀티미디어 인코딩/디코딩 코덱, 2D/3D 가속기 엔진, ISP(Image Signal Processor), 카메라, 오디오, 모뎀, 복수의 고속/저속 직렬/병렬 접속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는 시스템온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모듈(220)은 BLE 모듈(120)을 통해 서버(100)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통신모듈(220)은 BLE 모듈(120)과 같이 최소한의 전력을 소비하도록 BLE 기능을 갖는 BT 기기(2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BLE 기능을 갖는 BT 기기(221)는 일반 BT 기기가 소비하는 전력의 일부분(예를 들어, 1 내지 5 퍼센트)만을 소비하므로, 최소한의 전력으로 BLE 모듈(120)과 통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의 내부에는 이동 단말기(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70)가 내장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배터리(270)는 이동 단말기(200)에 내장 또는 장착된 채로 포장된다. 배터리(270)에는 일정 수준 이상의 전력이 충전되어 있으며, 배터리(270)는 AP(210)가 활성화되기 전까지 PMIC(250)를 통해 전동작 전류(quiescent current)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AP(210)를 활성화시키는 AP 시동 시스템이 오랜 시간 유지될 수 있는 것은 배터리(270)에서 발생하는 최소한의 전류, 즉 정동작 전류로 연명하는데에 기인한다.
이동 단말기는(200)는 서버(100)로부터 송신되는 페이로드(101)를 처리하고, 페이로드(101)가 유효하면, 이동 단말기(200)의 AP(210)를 활성화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컨트롤러(260)를 포함한다. 컨트롤러(260)는 서버(100)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특정 프로그램을 다운받는 등의 업그레이드와 관련된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260)는 대기모드(standby mode)에서 통신모듈(220)이 서버(100)로부터의 페이로드(101)를 수신하고, 상기 페이로드(101)가 유효하면 AP(210)를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서버(100)로부터의 신호를 모니터링한다.
PMIC(250)는 AP(210)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통신모듈(250)이 서버(100)로부터 페이로드(101)를 받으면, 전위측정센서(240)를 통해 측정된 배터리(270)의 전위를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AP(210)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PMIC(250)는 측정된 전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만 AP(210)에 전원공급을 인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250)는 특정 잔량 이상에서 일정 수준의 전력을 유지한다. 이동 단말기(200)가 오랜 시간 동안 재고로 유지되는 등의 이유로 배터리(270)의 전력이 기준값 미만으로 떨어진 경우, 서버(100)로부터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는 중간에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PMIC(250)는 측정된 전위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배터리(270)의 잔량이 부족한 경우, 전원공급을 인가하지 않고 차단된 상태(또는 정동작 전류를 공급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저전류로 인한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한다.
통신모듈(220)은 측정된 전위를 서버(100)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서버(100)는 전송된 이동 단말기들(200A-N)의 측정된 전위를 바탕으로, 배터리(270)의 잔량이 부족한 이동 단말기들(200A-N)을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
AP 시동 시스템은 전원스위치(290), LDO(Low Drop Out, 282) 및 스위치(2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스위치(290)는 PMIC(250)와 연결되어 AP(210)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동 단말기(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키로 구현될 수 있다. LDO(282)은 통신모듈(220)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스위치(281)는 AP(210)가 활성화되기 전에는 AP(210)와 통신모듈(220) 사이를 열어두고, AP(210)가 활성화된 후에는 닫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통신모듈(220)이 서버(100)의 BLE 모듈(120)로부터 유효한 페이로드(101)를 수신하여 AP(210)가 활성화되게 되면, Wi-Fi 모듈(230)은 서버(100)로부터 업데이트된 OS를 AP(210)로 전송하게 된다.
서버(100)는 Wi-Fi 모듈(130)을 구비하고, 이동 단말기들(200A-N) 각각은 Wi-Fi 모듈(230)을 포함한다. BT 기기(221)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수신하기는 어려운바, AP(210)가 활성화되고, 서버(100)와 이동 단말기(200)가 페어링된 이후에는 Wi-Fi 모듈(120, 230)을 통해 서버(100)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된다. 상기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업데이트된 OS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이상은 하나의 서버(100) 및 이와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200)에 기초하여 설명되었으나, 페어링이나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작업의 수행은 도 1에 예시된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200A-N)에 동시에 혹은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개별적인 페어링 없이 한 번의 송신으로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200A-N)의 AP(210)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5는 도 1의 컨트롤러(260)가 페이로드(101)를 이용하여 AP(210)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는 예들을 보인 순서도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BLE 모듈(120)의 송신 채널을 통해 불특정된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200A-N)에 페이로드(101)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진다. BLE 모듈(120)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을 두고 이동 단말기들(200A-N)에 페이로드(101)를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페이로드(101)의 송신은 AP(210)를 활성화시키고자하는 이동 단말기들(200A-N) 모두가 응답신호(Scan Request, Acknowledge)를 보낼 때까지 지속될 수 있다.
BLE 모듈(120)은 Discovery Undirected Event Type으로 Advertising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식에 의하면, 페이로드(101)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들(200A-N)은 active scanning을 지원하는 scanner로서 기능한다. advertiser인 서버(100)는 advertising을 통해 가능한 한 짧은 시간 내에 개별적인 페어링없이도(connectless) AP(21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페이로드(10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들(200A-N) 각각의 식별코드, 서버(100)와의 통신을 위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DB(142)에 저장된 이동 단말기들(200A-N)의 식별코드, 예를 들어, BDADDR 중 AP(210)를 활성화시킬 이동 단말기들(200A-N)의 BDADDR만을 담은 페이로드(101)를 생성한다. 또한, 페이로드(101)에는 AP(210)가 활성화되면, 서버(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서버(100)와의 연결을 위한 정보, 예를 들어, Wi-Fi AP BSSID 및 IP Address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페이로드(101)는 BLE 모듈(120)의 송신 채널을 통해 불특정된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200A-N)에 송신되게 되고, 이동 단말기들(200A-N) 각각의 통신모듈(220)은 서버(100)로부터 송신되는 페이로드(101)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컨트롤러(260)는 대기모드에서 통신모듈(220)을 통해 수신되는 페이로드(101)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페이로드(101)가 유효하면 AP(210)를 활성화시키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60)는 페이로드(101)에 포함된 BDADDR이 통신모듈(220)의 BDADDR과 대응되면 AP(210)를 활성화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만일, 페이로드(101)에 포함된 BDADDR 중 통신모듈(220)의 BDADDR과 대응되는 것이 없다면, 서버(100)에 이를 보고하고, 계속 대기모드로 유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처럼 BLE 모듈(120)의 advertising을 통해, 개별적인 페어링 없이 한 번의 송신으로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200A-N)의 AP(210)가 활성화될 수 있다. AP(210)가 활성화되면, 통신모듈(220)은 서버(100)에 페이로드(101)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응답신호를 전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응답신호는 페이로드(101)를 수신 후 advertiser, 즉 서버(100)에 scan request를 보내어 추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상기 scan request에 대한 응답신호, 즉 scan response(예를 들어, 0 또는 null 값)를 전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이동 단말기(200A-N)는 Wi-Fi 모듈(230)이 활성화됨으로써 서버(100)와 통신할 준비를 갖추게 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200)는 페이로드(101)에 포함된 서버(101)의 Wi-Fi AP BSSID 및 IP Address를 통해 서버(101)와 연결된다. 연결방식은 서버(100)의 AP(Access Point)를 통한 Infrastructure mode 또는 Wi-Fi 모듈 (130, 230) 간의 직접적인 연결인 Ad-hoc mod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서버(100)와 이동 단말기(200)가 페어링되면, Wi-Fi 모듈(130, 230)을 통해 서버(100)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된다. 상기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업데이트된 OS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통신모듈(220)은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서버(100)에 다운로드를 완료하였음을 보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4 및 5에서는 상기 제어 방법을 기초로 컨트롤러(260)가 페이로드(101)를 이용하여 AP(210)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는 변형예들을 설명한다. 설명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앞선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4를 참조하면, BLE 모듈(120)은 각각 서로 다른 송신 채널을 구비하는 제1 및 제2 BLE 기기(121, 122)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BLE 기기(121, 122)는 각각 BLE의 송신 채널인 37, 38 및 39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채널을 통해 페이로드(101)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BLE 기기(121, 122)는 서로 같은 페이로드(101)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페이로드(101)의 전송 범위가 확대되어 동일한 시간 동안 보다 많은 AP(21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을 갖는다.
제1 및 제2 BLE 기기(121, 122)는 서로 다른 제1 및 제2 페이로드(101a, 101b)를 각각 전송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페이로드(101b)는 앞서 설명한 이동 단말기들(200A-N)의 식별 코드 또는 서버(100)와의 연결을 위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1 페이로드(101a)와 달리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BLE 기기(121, 122)는 앞서 도 3에서 설명한 제어 방법으로 제어된다. 다만, 제2 BLE 기기(122)는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200A-N)이 제1 BLE 기기(121)와 통신을 마친 후 제2 BLE 기기(122)와 통신할 수 있도록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200A-N)에 페이로드(101)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들(200A-N)에 복수의 프로그램들을 다운로드가 예정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프로그램들이 일정 순서에 따라 다운로드가 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제어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BLE 기기(121)는 불특정된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200A-N)에 제1 페이로드(101a)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진다. 컨트롤러(260)는 상기 제1 페이로드(101a)의 BDADDR이 통신모듈(220)의 BDADDR과 대응되면 AP(210)를 활성화시키고, 통신모듈(220)은 서버(100)에 응답신호를 전달하도록 설정된다. 이동 단말기(200A-N)는 서버(100)의 제1 Wi-Fi 모듈(131)을 통해 제1 프로그램을 내려받도록 이루어진다.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통신모듈(220)은 서버(100)에 제1 프로그램 다운로드 완료신호를 전달하며, AP(210)는 비활성화 상태, 즉 대기모드로 회귀한다.
서버(100)는 상기 완료신호를 감지하여 제2 BLE 기기(122)가 제2 페이로드(101b)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 페이로드(101b)는 제2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필요한 이동 단말기들(200A-N)의 BDADDR을 포함한다. 컨트롤러(260)는 제2 페이로드(101b)가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AP(210)를 활성화시키고, 통신모듈(220)은 서버(100)에 응답신호를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동 단말기(200A-N)는 서버(100)의 제2 Wi-Fi 모듈(132)을 통해 제2 프로그램을 내려받도록 설정된다.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통신모듈(220)은 서버(100)에 제2 프로그램 다운로드 완료신호를 전달하며, AP(210)는 대기모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BLE 기기(121, 122)가 복수의 송신 채널을 통해 advertising 함으로써, 처리 가능한 이동 단말기들(200A-N)의 개수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물리적으로 독립된 송신 채널들을 통해 서로 다른 작업을 수행하므로, 간섭이 최소화되고, 처리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200A-N)은 제1 및 제2 그룹(200a, 200b)으로 구분된다. 제1 및 제2 BLE 기기(121, 122)에서 각각 전송되는 페이로드(101a, 101b)는 각각 제1 및 제2 그룹(200a, 200b)의 BDADDR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BLE 기기(121, 122)는 불특정된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200A-N)에 제1 및 제2 페이로드(101a, 101b)를 각각 송신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동 단말기들(200A-N)의 컨트롤러(260)는 수신된 제1 및 제2 페이로드(101a, 101b)를 이용하여 통신모듈(220)의 BDADDR과 대응되는 경우, AP(210)를 활성화시킨다. 예를 들어, 제1 페이로드(101a)의 BDADDR이 통신모듈(220)의 BDADDR과 대응되면, 제1 그룹(200a)에 해당되며, 서버(100)로부터 제1 프로그램을 내려받도록 이루어진다. 제1 그룹(200a)에 해당되지 않으나, 제2 페이로드(101b)의 BDADDR이 통신모듈(220)의 BDADDR과 대응되는 경우, 제2 그룹(200b)에 해당되고, 서버(100)로부터 제2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도록 설정된다. 어느 그룹에도 해당되지 않는 이동 단말기(200)는 서버(100)에 이를 보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서버(100)는 각각의 이동 단말기(200)의 상태를 메모리(140)에 저장하고,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5)

  1. 페이로드(payload)를 송신(advertise)하도록 형성되는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듈을 구비하는 서버; 및
    상기 페이로드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지는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 각각은,
    AP(Application Processor);
    상기 BLE 모듈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형성되는 통신모듈; 및
    상기 페이로드를 이용하여 상기 AP를 활성화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LE 모듈은 특정된 시간 간격을 두고 불특정된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에 상기 페이로드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P가 활성화되면,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서버에 상기 페이로드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응답신호를 전달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로드는,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 각각의 BDADDR(Bluetooth Device ADDRess);
    상기 서버의 Wi-Fi AP(Access Point)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및
    상기 서버의 IP(Internet Protocol) Addres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BDADDR이 상기 통신모듈의 BDADDR과 대응되면 상기 AP를 활성화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LE 모듈은 각각 서로 다른 송신 채널(advertising channel)을 구비하는 제1 및 제2 BLE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BLE 기기는 서로 다른 페이로드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은 제1 및 제2 그룹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 및 제2 BLE 기기에서 각각 전송되는 상기 페이로드는 각각 제1 및 제2 그룹의 BDADD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은 제1 및 제2 그룹으로 구분되고,
    상기 서버는 제1 및 제2 Wi-Fi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BLE 기기에서 각각 전송되는 상기 페이로드는 제1 및 제2 그룹과 각각 대응되는 제1 및 제2 Wi-Fi 모듈의 Wi-Fi AP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BLE 기기는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이 상기 제1 BLE 기기와 통신을 마친 후 상기 제2 BLE 기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에 상기 페이로드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1. 외부기기로부터 송신(advertise)되는 페이로드(payload)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지는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 각각은,
    AP(Application Processor);
    상기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형성되는 통신모듈; 및
    상기 페이로드를 이용하여 상기 AP를 활성화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로드는,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 각각의 BDADDR(Bluetooth Device ADDRess);
    상기 외부기기의 Wi-Fi AP(Access Point)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및
    상기 외부기기의 IP(Internet Protocol) Addres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BDADDR이 상기 통신모듈의 BDADDR과 대응되면 상기 AP를 활성화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AP가 활성화되면,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외부기기에 상기 페이로드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응답신호를 전달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AP가 활성화되면,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은 상기 페이로드에 실린 상기 외부기기의 Wi-Fi AP BSSID 및 IP Address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10079845A 2011-08-10 2011-08-10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KR101266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845A KR101266039B1 (ko) 2011-08-10 2011-08-10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845A KR101266039B1 (ko) 2011-08-10 2011-08-10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435A true KR20130017435A (ko) 2013-02-20
KR101266039B1 KR101266039B1 (ko) 2013-05-21

Family

ID=47896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9845A KR101266039B1 (ko) 2011-08-10 2011-08-10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60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17708A (zh) * 2014-12-05 2016-08-31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在切换工作模式时启用无线信号的广播的装置和方法
KR20170078967A (ko) * 2015-12-29 2017-07-10 주식회사 케이티 다중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통신 수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00573D0 (en) 2000-01-12 2000-03-01 Nokia Mobile Phones Ltd Receiver based isochronous transmissions
KR100555664B1 (ko) 2001-01-08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기기 및 이를 적용한 무선 통신시스템 및 그통신방법
KR100481529B1 (ko) 2002-10-18 200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연결 지향의 브로드캐스트가 가능한 무선통신기기 및 그방법
US8737917B2 (en) 2009-07-24 2014-05-27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dual-mode bluetooth low energy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17708A (zh) * 2014-12-05 2016-08-31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在切换工作模式时启用无线信号的广播的装置和方法
KR20170091708A (ko) * 2014-12-05 2017-08-09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작동 모드를 전환하는 경우 무선 신호의 브로드캐스트를 활성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5917708B (zh) * 2014-12-05 2019-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在切换工作模式时启用无线信号的广播的装置和方法
US10506517B2 (en) 2014-12-05 2019-12-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broadcast of a wireless signal when switching operation mode
KR20170078967A (ko) * 2015-12-29 2017-07-10 주식회사 케이티 다중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통신 수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6039B1 (ko) 2013-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953B1 (ko)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원격 시동
KR101729106B1 (ko) 모바일 기기
KR101843782B1 (ko) 모바일 기기
KR101840287B1 (ko) 모바일 기기
US10044215B2 (en) Method, apparatus, and server for updating software
CN106792023B (zh) 一种移动终端控制智能电视应用的方法及系统
TR201802287T4 (tr) Birden fazla istemci için bir dinamik çevrede kablosuz yerleştirme için ana sistem cihazı, istemci cihazı ve yöntem.
US1027135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869772B1 (ko) 통신 시스템
KR20200140555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듀얼 스탠바이 모드 및 싱글 스탠바이 모드의 전환 방법
CN106598678A (zh) 向终端设备提供应用程序安装包的方法及装置
EP3758435B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wi-fi communication and mobile hotspot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US20200092380A1 (en) Packet data unit (pdu) sess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N104335136A (zh) 信息处理装置
US20240007953A1 (en) Electronic devic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network on basis of wi-fi direct protocol, and method related thereto
KR101134081B1 (ko)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를 이용한 usb 분실 방지 시스템
US1150313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cheduling of communication data link thereof
US11425668B2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for
KR10126603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US2021021216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in nan protocol-based network environment
US20200404477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in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US117292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cation relocation in edge computing environment
KR10185385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KR20210050398A (ko) 전자 장치와 연결되지 않은 외부 전자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EP375838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video sharing through rich communication suite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