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7268A - Receptacle - Google Patents

Recepta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7268A
KR20130017268A KR1020110079603A KR20110079603A KR20130017268A KR 20130017268 A KR20130017268 A KR 20130017268A KR 1020110079603 A KR1020110079603 A KR 1020110079603A KR 20110079603 A KR20110079603 A KR 20110079603A KR 20130017268 A KR20130017268 A KR 20130017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push button
terminal
connecto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96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지일
Original Assignee
안재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재옥 filed Critical 안재옥
Priority to KR1020110079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7268A/en
Publication of KR20130017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26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Abstract

PURPOSE: A socket is provided to easily remove a plug by simultaneously pressurizing a pair of terminal pins of the plug in a case. CONSTITUTION: Connection holes(12) are formed on the top of a case(10). Terminal clips are installed in the case. Push buttons(20) are installed in the case to be elevated. When a plug(PG)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s, an ejector simultaneously elevates a pair of terminal pins(P) upwards by pushing the push buttons.

Description

콘센트{Receptacle}Outlet {Receptacle}

본 발명은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센트의 접속구에 끼워진 플러그의 단자핀을 접속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le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utlet capable of easily separating the terminal pin of the plug fitted into the outlet of the outlet from the outlet.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각종 전기기구의 플러그가 접속되어 전기기구에 전원을 연결하는 연결장치이다. 이러한 콘센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를 꽂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건물의 벽체에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매립형과, 전원과 연결된 상태로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멀티탭형으로 구분된다.In general, the outlet is a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power to the electrical appliance is connected to the plug of various electrical appliances. These outlets can be used by plugging in at least one plug, and are divided into a buried type that is integrally installed on a wall of a building and a multitap type that can be used independently while being connected to a power source.

이러한 콘센트는 일반적으로 콘센트에 형성된 접속구를 통해 플러그의 단자핀이 삽입되고, 삽입된 단자핀은 콘센트에 내장된 단자클립에 끼워져 단자클립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다. 여기서, 플러그의 단자핀은 단자클립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아야만 전원을 안정적으로 인가받을 수 있기 때문에 단자클립에 억지끼워진다.These outlets are generally inserted into the terminal pin of the plug through the connector formed in the outlet, the terminal pin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clip embedded in the outlet to receive power from the terminal clip. Here, the terminal pin of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clip because the power can be stably applied only if it is not separated from the terminal clip.

단자핀이 단자클립에 억지끼워진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분리할 때에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아서 한손으로 콘센트를 지지하고 다른 한손으로 플러그를 많은 힘을 주고 당겨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When the terminal pin is not easily separated when the plug inserted into the terminal clip is unplugged from the outlet, it is inconvenient to support the outlet with one hand and to pull and pull the plug with the other hand.

또한, 플러그를 분리하기 위해 물기가 묻어있는 손으로 플러그를 잡게되면 감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risk of electric shock if you hold the plug with wet hands to remove the plug.

따라서, 근래에는 플러그를 손으로 잡아서 빼지 않고도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분리시킬수 있는 콘센트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콘센트로는 등록실용신안 제419477호의 플러그 분리수단을 구비한 멀티탭이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a receptacle capable of separating a plug from an outlet without developing a plug by hand has been developed. As such an outlet, there is a power strip provided with a plug separating means of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419477.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멀티탭(1)은 케이스에 형성되는 콘센트홀(2)의 바닥면에 몸체부(3b) 및 누름부(3a)가 형성된 분리구(3)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다.Referring to FIG. 1, the conventional multi-tap 1 is rotatably coupled to a separator 3 having a body portion 3b and a pressing portion 3a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an outlet hole 2 formed in a case. Configuration.

분리구(3)의 몸체부(3b)는 관통홀(3c)이 마련되어 플러그(PG)의 단자핀(P)이 통과하여 콘센트홀(2)의 내부에 접속된다. 따라서, 분리구(3)의 몸체부(3b)는 플러그(PG)가 콘센트홀(2)에 접속할 때에 플러그(PG)의 본체에 밀착된다.The body portion 3b of the separator 3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3c and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outlet hole 2 through the terminal pin P of the plug PG. Therefore, the body portion 3b of the separator 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body of the plug PG when the plug PG is connected to the outlet hole 2.

도 2를 참조하면, 멀티탭(1)으로부터 플러그(PG)를 분리할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구(3)의 누름부(3a)를 누르게 되면 누름부(3a)에 의해 몸체부(3b)가 회동되고, 회동되는 몸체부(3b)가 플러그(PG)의 몸체를 분리시킨다.Referring to FIG. 2, when the plug PG is detached from the power strip 1, when the pressing portion 3a of the separator 3 is presse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body portion 3b is pressed by the pressing portion 3a. ) Is rotated, and the rotated body portion 3b separates the body of the plug PG.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멀티탭(1)은 플러그(PG)를 직접 파지하지 않기 때문에 감전의 위험이 해소되는 장점이 있으나, 플러그(PG)를 분리시키기 위해 한 손으로 누름부(3b)를 누를 경우에 멀티탭(1) 전체가 누르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기 때문에 다른 한 손으로 멀티탭(1)을 지지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은 해소되지 않는다.However, the conventional power strip 1 has the advantage that the risk of electric shock is eliminated because the plug PG is not gripped directly, but the pressing portion 3b is pressed with one hand to separate the plug PG. In this case, since the entirety of the multi-tap 1 is inclined in the pushing direction,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upport the multi-tap 1 with the other hand is not eliminated.

또한, 플러그(PG)를 분리시키는 분리구(3)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구조여서 사용시에 쉽게 파손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fear that the splitter 3 separating the plug PG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us can be easily broken during use.

상기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고자 등록특허 제633363호의 주택용 콘센트 원터치 분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3은 이러한 분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In order to overcome the drawbacks described above, there is disclosed a one-way detachment device for a home outlet of Korean Patent No. 633 363.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uch a separating devic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분리장치(5)는 콘센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버튼(6)과, 콘센트의 내측에 설치되어 버튼(6)에 의해 회동하는 레버부재(7)와, 레버부재(7)에 의해 콘센트에 형성되는 관통공(8)으로 돌출되어 플러그의 몸체를 밀어주는 밀대(9)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separating device 5 includes a button 6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outlet, a lever member 7 installed inside the outlet, and rotated by the button 6, and a lever member 7. Protruding into the through hole (8) formed in the outlet by a) consists of a push rod (9) for pushing the body of the plug.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분리장치(5)는 플러그를 분리시킬 때에 밀대(9)가 플러그의 몸체를 밀어서 분리시키기 때문에, 콘센트에 별도로 관통공(8)을 형성하여야만 한다. 즉, 플러그의 단자핀이 삽입되는 구멍외에 별도의 구멍이 형성되기 때문에 콘센트의 내부에 이물질이 쉽게 침투될 우려가 있으며, 콘센트의 외관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eparation device 5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ush rod 9 pushes the body of the plug to separate the plug, the through hole 8 must be formed separately in the outlet. That is, since a separate hole is formed in addition to the hole in which the terminal pin of the plug is inserted, foreign matter may easily penetrate into the inside of the outlet, and the appearance of the outlet may be complicated.

또한, 밀대(9)가 플러그의 몸체의 정중앙을, 즉, 밀대가 한 곳만을 밀어야 하므로 버튼(6)의 가압력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서 플러그가 콘센트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되어 버튼(6)이나 레버부재(7)와 같은 구성품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ush rod 9 pushes the center of the body of the plug, that is, the push rod should push only one place, the pressing force of the button 6 is not properly transmitted, so that the plug is not easily disconnected from the outlet. Therefore, an excessive force is applied, and components such as the button 6 and the lever member 7 may be damaged.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콘센트에 돌출되어 가압력에 의해 승강하는 누름버튼에 의해 플러그의 몸체 일부만을 가압하지 않고, 누름버튼을 통해 콘센트의 내부에서 한 쌍으로 이루어진 플러그의 단자핀을 동시에 가압함으로써 플러그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콘센트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does not press only a part of the body of the plug by a push button that protrudes into the outlet and is pushed up and down by the pressing force, and a pair of the inside of the outlet is pushed through the push butt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utlet capable of easily detaching a plug by simultaneously pressing a terminal pin of a made plug.

또한, 플러그가 삽입되었을 때에만 누름버튼이 돌출되는 콘센트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It is also an object to provide an outlet in which the pushbutton protrudes only when the plug is inserted.

이에 더하여, 승강하는 버튼을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콘센트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In addition,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outlet for stably guiding a lifting butt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센트는 한 쌍의 단자핀을 가지는 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접속구가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구를 통해 삽입된 상기 단자핀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단자클립이 내부에 설치된 케이스; 상기 접속구와 인접하여 상기 케이스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누름버튼; 및 상기 플러그가 상기 접속구에 끼워졌을 때, 상기 누름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누름버튼의 가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1쌍의 단자핀을 동시에 상측으로 들어올려서 상기 플러그를 상기 접속구로부터 탈거시키도록 하는 이젝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a connector for inserting a plug having a pair of terminal pins on the upper surface, the terminal clip for applying power to the terminal pin inserted through the connector A case installed inside; A push button mounted to the case so as to be lifted and adjacent to the connection port; And an ejector which, when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presses the push button to receive the pressing force of the push button to simultaneously lift the pair of terminal pins upwards to remove the plug from th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s of.

본 발명에 의한 콘센트는, 이젝터가 케이스의 내부에서 플러그의 단자핀 한 쌍을 동시에 가압하여 플러그를 탈거하므로, 탈거에 필요한 가압력이 플러그의 양측에 안정적으로 전달되어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jector presses a pair of terminal pins of the plug at the same time to remove the plug, the pressing force required for removal can be stably transmitted to both sides of the plug, so that the plug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outlet. It has an effect.

또한, 플러그가 접속구에 삽입될 때에만 누름버튼이 상승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작동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ush button is raised only when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or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failure due to unnecessary operation.

이에 더하여, 누름버튼이 승강시 가이더에 의해 안내되므로 가압력이 플러그의 단자핀에 안정적으로 전달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ush button is guided by the guide when lifting, the pressing force can be stably transmitted to the terminal pin of the plug.

도 1은 종래의 콘센트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센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콘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외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요부를 나타낸 조립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이젝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에서 플러그가 삽입되었을 때의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에서 플러그가 분리될 때의 작동 상태도.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outlet.
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outlet shown in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conventional outlet.
4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assembly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jector of the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tate diagram when the plug is inserted in the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operational state when the plug is disconnected from the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outl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와, 누름버튼(20)과, 이젝터(30)로 이루어진다.The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case 10, a push button 20, and an ejector 30, as shown in Figs.

상기 케이스(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 공간부를 갖는 함체형으로 형성되며, 상부의 커버(10a)와 하부의 베이스판(10b)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case 10 is formed in an enclosure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nd includes an upper cover 10a and a lower base plate 10b.

상기 커버(10a)는 상면에 플러그(PG)의 몸체가 인입되는 플러그홀(11)과, 누름버튼(20)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공(21)이 서로 이격져서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케이블(40)이 연결된다.The cover 10a is formed by a plug hole 11 into which the body of the plug PG is inserted into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button hole 21 in which the push button 20 is liftabl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ower cable 40 to which power is applied is connected.

상기 플러그홀(11)과 버튼공(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다수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러그홀(11)은 플러그(PG)의 단자핀(P)이 삽입되는 접속구(12)가 마련되며, 플러그(PG)의 단자핀(P)은 상기 접속구(12)를 통해 후술하는 단자클립(13)에 끼워진다.As shown in FIG. 4, the plug hole 11 and the button hole 21 may be formed in plural, and the plug hole 11 is a connection hole into which the terminal pin P of the plug PG is inserted. 12 is provided, and the terminal pin P of the plug PG is fitted to the terminal clip 13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connector 12.

상기 베이스판(10b)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클립(13), 누름버튼(20) 및 이젝터(30)가 설치된다.The base plate 10b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ase, and as shown in FIGS. 5 and 6, a terminal clip 13, a push button 20, and an ejector 30 are installed.

상기 단자클립(13)은 상기 커버의 접속구(12)와 대응되는 위치의 베이스판(10b)에 고정 설치되며, 접속구(12)에 삽입되는 플러그(PG)의 단자핀(P)은 단자클립(13)에 끼워지게 된다.The terminal clip 13 is fixed to the base plate 10b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or 12 of the cover, and the terminal pin P of the plug PG inserted into the connector 12 is a terminal clip ( 13).

상기 단자클립(1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측면에 개방구(13a)가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으로 형성되어 전술한 전원케이블(40)에 연결되어 단자클립(13) 내에 끼워진 플러그(PG)의 단자핀(P)에 전원을 인가한다. 미설명 부호 14a, 14b는 단자클립(13)을 베이스판(10b)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고정편이고, 18은 커버(10a)와 베이스판(10b)을 고정하기 위한 기둥으로서, 상기 기둥에는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terminal clip 13 has an opening 13a formed on at least one side thereof, and is formed in a pair and connected to the power cable 40 described above to be inserted into the terminal clip 13. Apply power to the terminal pin P of the plug PG. Reference numerals 14a and 14b are fixed pieces for fixing the terminal clip 13 to the base plate 10b, and 18 is a column for fixing the cover 10a and the base plate 10b, and bolt holes in the column. Is formed.

상기 누름버튼(20)은 접속구에 끼워진 플러그를 상기 접속구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벽체에는 한 쌍의 홈(22)이 형성되어 있다. The push button 20 is for separating the plug inserted into the connector from the connector, a pair of grooves 22 are formed in the inner wall as shown in FIG.

상기 한 쌍의 홈(22)은 상기 베이스판(10b)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한 쌍의 가이더(15)에 끼워지게 되며, 상기 누름버튼(20)은 상기 가이더(15)를 따라 상기 가이더(15)의 길이방향으로만 승강하게 된다.The pair of grooves 22 are fitted into a pair of guiders 15 formed to protrude perpendicularly to the base plate 10b, and the push button 20 is guided along the guider 15. It will only lif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15).

상기 이젝터(30)는 상기 플러그(PG)가 상기 접속구(12)에 끼워졌을 때, 상기 누름버튼(20)을 누르게 되면, 상기 누름버튼(20)의 가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1쌍의 단자핀(P)을 동시에 상측으로 들어올려서 상기 플러그(PG)를 상기 접속구(12)로부터 탈거시키도록 하는 부재로서, 전달부재(31)와 탈거부재(40)로 이루어진다.When the plug PG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12 when the plug PG is pressed, the ejector 30 receives the pressing force of the push button 20 to receive the pair of terminal pins ( A member for lifting the plug PG upwards at the same time so as to remove the plug PG from the connector 12, the transfer member 31 and the stripping member 40.

상기 전달부재(31)는 누름버튼(20)의 가압력을 후술하는 탈거부재(40)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누름버튼(20)을 누를 때, 상기 누름버튼(20)의 가압력을 상기 탈거부재(40)에 전달하도록 하며, 받침대(32)와, 레버(33)로 이루어진다.The transmission member 31 is to transmit the pressing force of the push button 20 to the stripping member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pressing the push button 20, the pressing member 20 presses the pressing force of the stripping member ( 40, and is made up of a pedestal 32 and a lever 33.

상기 받침대(32)는 베이스판(10b)에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중앙에는 후술하는 레버(33)를 끼우기 위한 오목한 홈(32a)이 형성된다.The pedestal 32 is formed to protrude integrally with the base plate 10b, and a concave groove 32a for fitting the lever 33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상기 레버(33)는 상기 받침대(32)의 오목한 홈(32a)에 얹혀져서 상기 받침대(32)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며, 그 일단(33a)은 상기 누름버튼(20)의 하단에 끼워져서 결합되고, 타단(33b)은 후술하는 탈거부재(40)에 연결되며, 상기 누름버튼(20)이 승강할 때, 상기 누름버튼(20)과 연동하여 상기 받침대(32)를 중심으로 시이소오 운동하게 된다.The lever 33 is mounted on the concave groove 32a of the pedestal 32 and extends to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32, respectively, one end 33a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push button 20. It is coupled to the other end 33b is connected to the removal member 40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push button 20 is lifted, in conjunction with the push button 20, the center around the pedestal 32 You exercise.

여기서, 상기 레버(33)가 누름버튼(20)의 하단에 연결되는 세부적인 구성은 다양한 형태의 구성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어떠한 구성이던지 레버(33)가 누름버튼(20)의 하단에 끼워져서 레버(33)가 승강을 하게 될 때, 함께 연동하는 구성이면 이용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 33c는 중앙에 오목부가 형성된 돌출부로서, 상기 오목부는 받침대(32)의 상부에 형성한 오목한 홈(32a)과 대응되게 된다.Here, the detailed configuration in which the lever 33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push button 20 can be used in a variety of configurations, any configuration lever 33 is f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push button 20 When the lever 33 is to be raised and lowered, it can be used if it is a configuration that interlocks together. Reference numeral 33c denotes a protrusion having a recessed portion at the center thereof, and the recessed portion corresponds to the recessed groove 32a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edestal 32.

상기 탈거부재(4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누름버튼(20)의 가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플러그(PG)의 단자핀(P) 한 쌍을 동시에 상측으로 밀어올려서 상기 플러그(PG)를 상기 접속구(12)로부터 탈거시키도록 하는 부재로서, 회동축 지지구(41)와 탈거편(44)로 이루어진다.The stripping member 40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10, and receives a pressing force of the push button 20 to simultaneously push up a pair of terminal pins P of the plug PG upwards. As a member for removing PG from the connection port 12, the pivot shaft support 41 and the stripping piece 44 are formed.

상기 회동축 지지구(41)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형성되며, 회동축 받침대(42)와 회동축 덮개(43)로 이루어진다.The pivot shaft support 41 is formed inside the case 10, and includes a pivot shaft support 42 and a pivot shaft cover 43.

상기 회동축 받침대(42)는 상기 베이스판(10b)과 일체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회동축(45)이 회동가능하게 얹혀질 수 있도록 만곡진 요홈부(42a)가 형성되어 있다.The pivot shaft support 42 is formed to protrude vertically integrally with the base plate 10b, and the curved groove 42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pivot shaft 45 can be pivotably mounted thereon. have.

상기 회동축 덮개(43)는 상기 회동축 받침대(42)에 회동축(45)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회동축(45)을 회동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회동축 받침대(42)의 요홈부(42a)와 대응되는 각각의 부분에 만곡진 요홈부(43a)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상기 회동축 덮개(43)를 베이스판(10b)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 구멍(43b)들이 형성되어 있다.The pivot shaft cover 43 is for rotatably fixing the pivot shaft 45 in a state where the pivot shaft 45 is fitted to the pivot shaft support 42, and a recess of the pivot shaft support 42 is provided. Curved grooves 43a are formed in respective portions corresponding to 42a, and bolt holes 43b are formed in the center to fix the pivot shaft 43 to the base plate 10b. have.

상기 탈거편(44)은 상기 회동축 지지구(41)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레버(33)가 시이소오 운동할 때, 상기 회동축 지지구(41)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회동축 지지구(41)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동할 때, 상기 플러그(PG)를 상기 접속구(12)로부터 탈거시키도록 하는 부재로서, 회동축(45)과, 회동판(46)과, 연동부(47)와, 한쌍의 포크(48)로 이루어진다.The stripping piece 44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pivot shaft support 41 to rotate about the pivot shaft support 41 when the lever 33 moves on the seesaw. As a member for removing the plug PG from the connector 12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er 41 is rotated upward, the pivot shaft 45, the rotation plate 46, and the linkage portion ( 47) and a pair of forks 48.

상기 회동축(45)은 상기 회동축 지지구(41)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부분으로서, 상기 회동축 받침대(42)의 요홈부(42a)와 상기 회동축 덮개(43)의 요홈부(43a)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The pivot shaft 45 is a portion that is rotatably fitted to the pivot shaft support 41, and the recess 42a of the pivot shaft support 42 and the recess 43a of the pivot shaft 43 are rotated. ) Is sandwiched between

상기 회동판(46)은 상기 회동축(45)의 외주 일지점에서 상기 단자클립(13) 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판재로서, 상기 판재는 상기 레버(33)가 시이소오 운동할 때, 상기 레버(33)와 연동하여 상기 회동축(45)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The rotating plate 46 is a plate exten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point of the rotating shaft 45 toward the terminal clip 13, and the plate 33 is the lever 33 when the lever 33 moves on the sheet. ) Rotates about the rotational shaft 45 in conjunction with.

상기 연동부(47)는 상기 회동판(46)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레버(33)와 상기 회동판(46)이 서로 연동하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는 상기 레버(33)의 일단부를 끼우기 위한 끼움부(47a)가 형성되어 있다.The interlocking portion 47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plate 46 to allow the lever 33 and the rotating plate 46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A fitting portion 47a for fitting one end of the lever 33 is formed.

상기 연동부(47)는 위의 끼움부(47a) 이외에 다양한 형태의 구성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어떠한 구성이던지 레버(33)와 회동판(46)이 서로 연동하도록 하는 구성이면 이용될 수 있고, 그 예로서는 레버(33)와 회동판(46)을 결합시키는 핀(미도시)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The interlocking portion 47 may be us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to the fitting portion 47a above, any configuration may be used if the lever 33 and the rotating plate 46 is configured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As an example, a pin (not shown) or the like for coupling the lever 33 and the pivoting plate 46 may be used.

상기 한 쌍의 포크(48)는 상기 회동판(46)의 일단부에 한 쌍으로 서로 이격지게 형성되어 각각 대응되는 단자클립(13) 속에 끼워지며, 상기 회동판(46)이 상측으로 회동하게 될 때, 상기 단자핀(P)이 상기 단자클립(13) 위쪽으로 밀어 올려지도록 플러그(PG)를 접속구(12)로부터 이탈되게 한다.The pair of forks 48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pair at one end of the rotating plate 46 are fitted in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clip 13, so that the rotating plate 46 is rotated upwards. When the terminal pin (P) is pushed upwards to the terminal clip 13, the plug (PG)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12).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작동을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도 8은 플러그(PG)가 접속구(12)에 삽입된 상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설명의 편의상 케이스(10) 부분은 도시를 생략하고 플러그(PG)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FIG.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state in which the plug PG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12.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ase 10 part is not shown and the plug PG is shown in dashed lines.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PG)의 단자핀(P)들은 각각 상응하는 단자클립(13)에 삽입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한 쌍의 포크(48)가 상기 단자핀(P)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가압되어 단자핀(P)과 한쌍의 포크(48)가 단자클립(13)의 하부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서로 접촉되어 있다. 이때, 회동판(46)은 힌지축(37a)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하강되어 있고, 상기 회동판(46)이 하강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동판(46)의 상부에 돌출 형성한 연동부(47)도 함께 하강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동부(47)가 아래쪽으로 이동된 상태이므로 상기 연동부(47)에 결합된 레버(33)의 일단부도 하강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레버(33)의 타단부는 받침대(32)를 중심으로 하여 위쪽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레버(33)의 타단부와 결합된 누름버튼(20)을 위쪽으로 들어 올린 상태로 되어 있다. 위와 같이 플러그(PG)가 접속구(12)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누름버튼(20)이 위로 돌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terminal pins P of the plug PG are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clips 13, and in this state, a pair of forks 48 are connected by the terminal pins P. As shown in FIG. It is pressed downward and the terminal pin (P) and a pair of forks 48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stat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terminal clip (13). At this time, the pivoting plate 46 is lower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hinge shaft 37a, and since the pivoting plate 46 is lowered, an interlocking portion 47 protru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pivoting plate 46 is also formed. Will be placed in a descending state together. Therefore, since the linking portion 47 is moved downward, one end of the lever 33 coupled to the linking portion 47 is also lowered. Thus, the other end of the lever 33 moves the pedestal 32. It rotates upwards as a center and raises the push button 20 coupled with the other end of the lever 33 upwards.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push button 20 protrudes upward when the plug PG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12.

위와 같은 상태에서 플러그(PG)를 접속구(12)로부터 탈거하기 위해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버튼(20)을 아래쪽으로 누르게 되면, 누름버튼(20)의 하단에 결합된 레버(33)의 일단부도 아래쪽으로 하강하게 되고, 따라서 레버(33)의 타단부는 받침대(32)를 중심으로 하여 위쪽으로 회동하게 되며, 상기 레버(33)의 타단부가 위쪽으로 회동하게 되면 회동판(46)의 상부에 형성한 연동부(47)를 위쪽으로 들어 올리면서 이와 동시에 회동판(46)도 받침대(32)를 중심으로 하여 위쪽으로 회동하게 된다.In order to remove the plug PG from the connector 12 in the above state, as shown in FIG. 9, when the push button 20 is pressed downward, the lever 33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ush button 20 is removed. One end is also lowered, so the other end of the lever 33 is rotat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32, the other end of the lever 33 is rotated upward when the rotating plate 46 At the same time lifting the interlocking portion 47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plate 46 is also rotat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32).

위와 같이 회동판(46)이 위쪽으로 회동하게 되면, 상기 회동판(46)의 일단부에 형성한 한 쌍의 포크(48)도 위로 들어 올려지게 되므로 플러그(PG)의 단자핀(P)을 위쪽으로 밀어올리게 되며, 따라서, 플러그(PG)의 단자핀(P)이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단자클립(13) 내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플러그(PG)는 접속구(12)로부터 탈거되게 된다.When the rotary plate 46 is rotated upward as described above, the pair of forks 48 formed at one end of the rotary plate 46 is also lifted up, so that the terminal pin P of the plug PG is lifted. As the terminal pin P of the plug PG is deviated from the terminal clip 13 as indicated by the arrow, the plug PG is detached from the connector 12 at the same tim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100)는 플러그(PG)를 파지하지 않고도 누름버튼(20)의 가압력에 의해 플러그(PG)의 단자핀(P) 한 쌍을 동시에 가압하게 되므로, 플러그(PG)를 콘센트에서 간편하고도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outl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multaneously presses a pair of terminal pins P of the plug PG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push button 20 without holding the plug PG. PG) can be easily and reliably removed from the outlet.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these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PG : 플러그 P : 단자핀
10 : 케이스 10a : 커버
10b : 베이스판 11 : 플러그홀
12 : 접속구 13 : 단자클립
15 : 가이더 20 : 누름버튼
30 : 이젝터 31 : 전달부재
32 : 받침대 33 : 레버
40 : 탈거부재 41 : 회동축 지지구
44 : 상기 탈거편 45 : 회동축
46 : 회동판 47 : 연동부
48 : 포크
PG: Plug P: Terminal Pin
10: case 10a: cover
10b: base plate 11: plug hole
12: Port 13: Terminal Clip
15: guider 20: push button
30: ejector 31: transfer member
32: base 33: lever
40: removal member 41: rotating shaft support
44: the stripping piece 45: the rotating shaft
46: rotating plate 47: linkage
48: fork

Claims (5)

한 쌍의 단자핀(P)을 가지는 플러그(PG)를 삽입하기 위한 접속구(12)가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구(12)를 통해 삽입된 상기 단자핀(P)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단자클립(13)이 내부에 설치된 케이스(10);
상기 접속구(12)와 인접하여 상기 케이스(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누름버튼(20); 및
상기 플러그(PG)가 상기 접속구(12)에 끼워졌을 때, 상기 누름버튼(20)을 누르게 되면, 상기 누름버튼(20)의 가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1쌍의 단자핀(P)을 동시에 상측으로 들어올려서 상기 플러그(PG)를 상기 접속구(12)로부터 탈거시키도록 하는 이젝터(30);로 이루어지는 콘센트.
A connector 12 for inserting a plug PG having a pair of terminal pins P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terminal for applying power to the terminal pins P inserted through the connector 12. A case 10 having a clip 13 installed therein;
A push button 20 which is installed in the case 10 so as to be lifted and adjacent to the connector 12; And
When the plug PG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12, when the push button 20 is pressed, the pair of terminal pins P are simultaneously received by receiving the pressing force of the push button 20. And an ejector (30) for lifting and removing the plug (PG) from the connector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3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누름버튼(20)의 가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플러그(PG)의 단자핀(P) 한 쌍을 동시에 상측으로 밀어올려서 상기 플러그(PG)를 상기 접속구(12)로부터 탈거시키도록 하는 탈거부재(40); 및
상기 누름버튼(20)과 상기 탈거부재(4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누름버튼(20)을 누를 때, 상기 누름버튼(20)의 가압력을 상기 탈거부재(40)에 전달하도록 하는 전달부재(31);로 이루어지는 콘센트.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jector 30,
It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10, and receives a pressing force of the push button 20 to simultaneously push a pair of terminal pins (P) of the plug (PG) upwards to push the plug (PG) to the connector ( A stripping member 40 for removing from the base 12; And
The transmission member 31 is installed between the push button 20 and the stripping member 40 to transfer the pressing force of the push button 20 to the stripping member 40 when the push button 20 is pressed. Outlet; consisting of;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31)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받침대(32); 및
상기 받침대(32)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일단은 상기 누름버튼(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탈거부재(40)에 연결되며, 상기 누름버튼(20)이 승강할 때, 상기 누름버튼(20)과 연동하여 상기 받침대(32)를 중심으로 시이소오 운동하는 레버(33);로 이루어지는 콘센트.
The method of claim 2,
The transfer member 31,
Pedestal 32 is formed in the case 10; And
Each end is extended to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32, one end is connected to the push button 20,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tripping member 40, when the push button 20 is elevated, the push Outlet consisting of a lever (33) in conjunction with the button (20) to move the seesaw around the pedestal (32).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탈거부재(4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형성되는 회동축 지지구(41); 및
상기 회동축 지지구(41)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레버(33)가 시이소오 운동할 때, 상기 회동축 지지구(41)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회동축 지지구(41)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동할 때, 상기 플러그(PG)를 상기 접속구(12)로부터 탈거시키도록 하는 탈거편(44);으로 이루어지는 콘센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stripping member 40,
A pivot shaft support member 41 formed inside the case 10; And
It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pivot shaft support 41, and when the lever 33 moves in a seesaw movement, it pivots around the pivot shaft support 41 and centers the pivot shaft support 41. And a stripping piece (44) for removing the plug (PG) from the connection port (12) when rotating upwar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탈거편(44)은,
상기 회동축 지지구(41)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는 회동축(45);
상기 회동축(45)에서 상기 단자클립(13) 쪽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레버(33)가 시이소오 운동할 때, 상기 회동축(45)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판(46);
상기 회동판(46)에 설치되어 상기 레버(33)와 상기 회동판(46)이 서로 연동하도록 하는 연동부(47); 및
상기 회동판(46)의 일단부에 한 쌍으로 서로 이격지게 형성되어 각각 대응되는 단자클립(13) 속에 끼워지며, 상기 회동판(46)이 상측으로 회동하게 될 때, 상기 단자핀(P)이 상기 단자클립(13) 위쪽으로 밀어올려지도록 하는 한쌍의 포크(48);로 이루어지는 콘센트.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ripping piece 44,
A rotation shaft 45 rotatably fitted to the rotation shaft support 41;
A rotation plate 46 extending from the rotation shaft 45 toward the terminal clip 13 so as to pivot about the rotation shaft 45 when the lever 33 moves on the seesaw;
An interlocking portion 47 installed on the rotatable plate 46 to allow the lever 33 and the rotatable plate 46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And
One end of the pivoting plate 46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pair to be fitted in the corresponding terminal clip 13, when the pivoting plate 46 is rotated upwards, the terminal pin (P) A pair of forks (48) to be pushed upwards of the terminal clip (13).
KR1020110079603A 2011-08-10 2011-08-10 Receptacle KR2013001726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603A KR20130017268A (en) 2011-08-10 2011-08-10 Recepta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603A KR20130017268A (en) 2011-08-10 2011-08-10 Recepta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268A true KR20130017268A (en) 2013-02-20

Family

ID=47896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9603A KR20130017268A (en) 2011-08-10 2011-08-10 Recepta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7268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2024A (en) * 2017-08-16 2017-11-07 吕栋 Anti-electric-shock power socket
WO2022153135A1 (en) * 2021-01-12 2022-07-21 Cochlear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torsion resistan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2024A (en) * 2017-08-16 2017-11-07 吕栋 Anti-electric-shock power socket
WO2022153135A1 (en) * 2021-01-12 2022-07-21 Cochlear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torsion resist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85588B1 (en) Safe electrical outlet
US8113858B1 (en) Cable connector having switching function
US9887493B2 (en) Electric plug
JP6175133B2 (en) Outlet unit for easy plug removal and multi-tap outlet device using the same
KR20130017268A (en) Receptacle
KR100633363B1 (en) Seperating equipment by one touch of concentic plug for house
WO2011065622A1 (en) Electrical outlet enabling easy plug extraction
KR20160133663A (en) Automatic draw type receptacle of plug
KR200341326Y1 (en) plug socket
KR101247009B1 (en) Receptacle
KR101132892B1 (en) Consent to be capable of separating easily a plug from it and adapter thereof
KR20130029295A (en) Receptacle
KR101366844B1 (en) Concent unit for easily separating plug from concent unit having one body ground member
KR101850145B1 (en) Module Apparatus to Connect Wires easily and Switch Apparatus using thereof
KR101402352B1 (en) Multi concent unit easy to connecting electrode
KR101402351B1 (en) Multi concent unit easy to connecting electrode
KR101366846B1 (en) Concent unit for easily separating plug from concent unit having separating preventive structure for detaching plate
CN213934028U (en) 5G antenna high frequency test socket
KR20050106726A (en) Plug socket
CN112448211B (en) Adsorption type intelligent socket
KR20000002217U (en) Multi-code Consent with Function of Pulling Plug Out
CN202363612U (en) Electric connector
KR200376343Y1 (en) Seperating equipment by one touch of concentic plug for house
KR20170124912A (en) Charging device
KR20090005741U (en) Provided with a plug separating butt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