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6705A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6705A
KR20130016705A KR1020110078803A KR20110078803A KR20130016705A KR 20130016705 A KR20130016705 A KR 20130016705A KR 1020110078803 A KR1020110078803 A KR 1020110078803A KR 20110078803 A KR20110078803 A KR 20110078803A KR 20130016705 A KR20130016705 A KR 20130016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erminal
groove portion
close contact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8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71540B1 (en
Inventor
강경수
김정열
안광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8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540B1/en
Publication of KR20130016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7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5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1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a gasket held between a removable cover and a body, e.g. O-ring, p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PURPOSE: A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to include a more improved structure in a waterproof structure of the sealing of a terminal. CONSTITUTION: A terminal body includes a mounting space for arranging various devices. A plurality of covers forms the outer tube of the terminal body. The covers are combined. Sealing units(210,220) include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The sealing unit is arranged along a side of the terminal body for sealing the mounting space in one or more covers.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0001] MOBILE TERMINAL [0002]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간의 밀폐구조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ling structure between the cases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terminal.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the terminal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a complex function of, for example, taking pictures or moving pictures, playing music or moving picture files, receiving games and receiving broadcasts have.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The terminal can move And may be divided into a mobi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depending on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having one or more functions capable of performing voice and video communication, capable of inputting / outputting information, and storing data, which can be carried while being portable.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In order to support and enhance the functionality of such terminals, it may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tructural and / or software parts of the terminal.

특히,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가 서로 결합되어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한다. 이동 단말기의 특성상 전기적 소자들이 배치되는 단말기의 내부공간은 외부의 이물질의 유입되지 않아야 하므로, 이를 위한 케이스의 밀폐구조가 고려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is combined with the front case and the rear case to form the appearance of the terminal.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terminal, the internal space of the terminal in which the electrical elements are disposed should not introduce foreign substances, so that a sealed structure of the case may be considered.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단말기의 밀폐 또는 방수 구조에 있어서, 보다 향상된 구조를 갖는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having a more improved structure in a sealed or waterproof structure of the terminal.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내부에 각종 소자들이 배치될 수 있도록 실장 공간을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의 외관을 형성하며 서로 결합되는 복수의 커버들 및 상기 커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커버에, 상기 실장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단말기 바디의 측단을 따라 배치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커버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일면과 상기 제2 바디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갭은 상기 단말기 바디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형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body having a mounting space so that various elements can be disposed therein, and forms the appearance of the terminal body A plurality of covers coupled to each other and at least one of the covers, a sealing portion disposed along a side end of the terminal body to seal the mounting space, wherein the sealing portion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cover.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extending from the first body and spaced apart from the one surface, wherein a gap formed with one surface of the cover and the second bod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ward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It is formed to be open.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들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의 일면에 상기 제1 바디가 결합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2 커버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s include first and second cover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e first body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body is the second body. It may extend towards the cover.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바디는 탄성 변형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단말기 바디 내외측의 압력 차이에 따라, 상기 제2 커버에 상기 제2 바디가 밀착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cond body may be elastically deformable and may be deformed to closely adhere to the second cover according to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커버로부터 일정 간격 돌출되는 실링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커버는 일면으로부터 리세스된 그루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cond cover may further include a groove portion recessed from one surface in response to a seal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cov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바디의 일단은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차 가늘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second body may be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may be formed to taper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바디의 타단에 근접하는 상기 그루브부의 일측면은 상기 제2 커버의 내측을 향하여 만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close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ody may be formed to be curved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 cover.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그루브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상기 그루브부의 일측면에 접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ove portion, the second body may extend from the first body to b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groove portion.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바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단말기 바디 내외측의 압력 차이에 의해 상기 그루브부의 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밀착된 일부는, 상기 단말기 바디 외측의 압력에 의해 밀착이 지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surface of the groove part by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and the close part is in close contact by the pressure outside the terminal body. This can be supported.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커버에 맞닿는 상기 제2 바디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방수층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proof layer may be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body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ver.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의 외관을 형성하며 서로 결합되는 제1 커버와 제2 커버와, 상기 제1 커버 및 제2 커버의 사이의 갭을 덮도록, 상기 제1 커버의 측단을 따라 배치되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커버에 형성되는 그루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제1 및 제2 커버가 결합시, 적어도 일부가 상기 그루브부에 밀착되고, 상기 밀착되는 그루브부의 일면은 상기 단말기 바디 외부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가압에 의해 상기 그루브부에 대한 밀착력이 증대되도록 형성되는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objec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and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which form an appearance of the terminal body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A sealing portion disposed along a side end of the first cover and a groove portion formed on the second cover corresponding to the sealing portion so as to cover a gap of the sealing portion, wherein the seal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overs; At least a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ove portion, and one surface of the contacted groove portion extend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irection pressed by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and is formed to increase adhesion to the groove portion by pressing. Initiate a mobile terminal.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의 실링을 위한 별도의 제조 및 조립 공정을 요구하지 않고, 케이스들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조립과 동시에 단말기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밀폐시켜 단말기를 방수시킬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oes not require a separate manufacturing and assembling process for sealing the terminal, and by combining the cases together, it is possible to seal the internal space of the terminal at the same time as the assembly. In addition, the terminal can be sealed to waterproof th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 간의 틈으로 유입되는 유입물의 가압 방향을 전환시켜, 유입물이 케이스에 밀착되는 실링부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므로, 일정 이상의 외부 압력에도 충분한 방수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let is formed to pressurize the seal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case by switching the inflow direction of the inflow flowing into the gap between the cas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ufficient waterproof effect even at a certain external pressure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모습을 보인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이동 단말기에서 리어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후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b는 도 2의 라인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들로서, 각각 제2 케이스와 배터리 커버간의 결합 이전 및 이후를 도시한 상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FIG.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2 with the rear case removed;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A of FIG. 4.
6A to 6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2, respectively, before and after coupling between the second case and the battery cover.
7A and 7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seal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사상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d navigation. However,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digital TVs and desktop computers.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The disclosed mobile terminal 100 has a bar-shaped terminal bod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lide type, a folder type, a swing type, and a swivel type in which two or more bodies are relatively movably coupled.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 일 예로 배터리 케이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103)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The body includes a case (a casing, a housing, a cover, and the like) which forms an appearance. In this embodiment, the case may be divided into a first case 101 and a second case 10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case 101 and the second case 102.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103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case 101 and the second case 102 (eg, a battery case).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단말기 본체, 주로 제1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the audio output unit 152, the camera 121, the user input units 131 and 132, the microphone 122, and the interface 170 may be disposed in the terminal body, mainly the first case 101. .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제1 케이스(101) 및 제2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occupies most of the main surface of the first case 101. A sound output unit 151 and a camera 121 are disposed in an area adjacent to one end of both ends of the display unit 151 and a user input unit 131 and a microphone 122 are dispos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other end. The user input unit 132 and the interface 170 may be disposed on side surfaces of the first case 101 and the second case 102.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call mode, a UI (User Interface) or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video or UI and GUI are displayed.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1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flexible). and at least one of a 3D display.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본체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본체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Some of these displays may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through. This can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nd a typical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TOLED (Transparent OLED) and the like. The rear structure of the display unit 151 may also be of a light transmission type. By this structure, the user can see the object located behind the terminal body through the area occupied by the display unit 151 of the terminal body.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는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form of the mobile terminal 100,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may exist. For example, in the mobile terminal 100, a plurality of display portions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or may be disposed integrally with one another, and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respectively.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display unit 151 and a sensor for detecting a touch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ensor)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51 may be configured in addition to an output device. Can also be used as an input device. The touch sensor may have the form of,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인터페이스(170)는 이동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interface 170 may be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using a wired / wireless headset, an external charger,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card socket (eg, a memory card, a SIM / UIM card), or the like. It serves as an interface with the device. The interface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and transfer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mobile terminal or transmits data within the mobile terminal to the external device.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or a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can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position and area to be touched but also the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As a result,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is touched.

사용자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is manipul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manipulation units 131 and 132. The manipulation units 131 and 132 may also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manipulating portions,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operates the tactile manner with a tactile feeling.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The contents inputted by the first or second operation unit 131 or 132 may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the first operation unit 131 receives commands such as start, end, scroll, and the like,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32 controls the size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152 or the size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51 To the touch recognition mode of the touch scree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100 shown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의 후면, 다시 말해서 제2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camera 121 ′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at is, the second case 102. The camera 121 ′ has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e camera 121, and may be a camera having different pixels from the camera 121.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본체에 설치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camera 121 may have a low pixel so that the face of the user can be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in case of a video call or the like, and the camera 121 ' It is preferable to have a large number of pixels. The cameras 121 and 121 'may be installed in the terminal body so as to be rotatable or pop-up.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9)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flash 129 and a mirror 124 may b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camera 121 ′. The flash illuminates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121 '. The mirror 124 allows the user to illuminate the user's own face or the like when the user intends to shoot himself / herself (self-photographing) using the camera 121 '.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는 음향 출력부(152)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The sound output unit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at the rear of the terminal body. The sound output unit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sound output unit 152 and may be used to implement a speakerphone mode during a call.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본체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An antenna (not shown)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in addition to an antenna for a call or the like. An antenna constituting a part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can be installed to be drawable from the terminal body.

단말기 본체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는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본체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는 배터리 커버(190)에 의해 내장될 수 있다.The terminal body is equipped with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built in the terminal body, or may be configured to be directly removable from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built in by the battery cover 190.

제2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미도시)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제2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The second case 102 may additionally be equipped with a touch pad (not shown) for sensing a touch. Like the display unit 151, the touch pad may also be configured to have a light transmissive type. In this case, if the display unit 151 is configured to output visual information from both sides, the visual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pad. Information output on both surfaces may be controlled by the touch pad. Alternatively, a display may be additionally attached to the touch pad, and the touch screen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case 102.

터치 패드는 제1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The touch pad operates in association with the display unit 151 of the first case 101. The touch pad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rear of the display unit 151. The touch pad may have a size equal to or smaller than that of the display unit 151.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5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5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The terminal body is equipped with a power supply unit 150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ower supply unit 150 may be built in the terminal body or may be directly detachable from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이동 단말기에서 리어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사시도이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rear case in which the rear case is removed from the mobile terminal of FIG. 2,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part A of FIG. 4.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케이스(101)의 일면에 디스플레이 모듈(153)이 장착되고, 회로 기판(160)은 디스플레이 모듈(153)을 덮도록 배치된다.As shown in FIG. 3, i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module 153 is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case 101, and the circuit board 160 is the display module 153. ) Is arranged to cover.

회로 기판(160)의 일면에는 각종 전자소자가 장착되며, 상기 일면에는 전자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쉴드부재(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쉴드부재는 회로 기판(160)의 그라운드를 확장하기 위하여 회로 기판(1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Various electronic devices may be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60, and a shield member (not shown) for protecting the electronic devices may be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60. The shield membe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60 to extend the ground of the circuit board 160.

회로 기판(160)은 이동 단말기(100)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회로 기판(160)은 복수로 구비되어, 서로의 조합에 의하여 제어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회로 기판(160)은 안테나 장치(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안테나 장치(180)에 의하여 송수신되는 무선 신호(또는 무선 전자기파)를 처리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신호의 처리를 위해, 복수의 송수신 회로들이 회로 기판(160)에 형성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The circuit board 160 may be configured as an example of a controller for opera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circuit board 160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may perform a function of the controller by a combination of the circuit boards 160. In addition, the circuit board 16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ntenna device 180, and is configured to process radio signals (or radio electromagnetic waves)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antenna device 180. For the processing of the wireless signal,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circuits may be formed or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160.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의 내부에는 전원공급부의 일 예로서 배터리(191)가 배치되며, 배터리(191)는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금속재질의 안착부재에 수용된다. 안착부재는 회로 기판(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로 기판(160)의 그라운드를 확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안착부재, 쉴드부재 및 회로 기판(160)의 그라운드 레이어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단말기의 그라운드를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battery 191 is disposed as an example of the power supply unit in the terminal, and the battery 191 is accommodated in a metal seating member forming a seating space. The mounting membe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60 to serve to extend the ground of the circuit board 160. In addition, the seating member, the shield member, and the ground layer of the circuit board 16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form a ground of the terminal.

그리고, 안테나 장치(180)는 그 일부가 단말기 본체의 케이스(즉, 중간 케이스)나 배터리 커버(즉, 제2 케이스) 또는 캐리어(181)에 열융착 또는 압착(적절한 형상을 갖는 플라스틱 캐리어(181)에 방사체가 될 도전성 금속 플레이트를 프레스 장착시킨 것을 말한다)되거나, 프린팅 또는 필름타입으로 형성되어 어느 일면에 부착되어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ntenna device 180 may be partially fused or compressed to a case (ie, an intermediate case), a battery cover (ie, a second case), or the carrier 181 of the terminal body (the plastic carrier 181 having an appropriate shape). It refers to the press-mounted conductive metal plate to be a radiator), or may be formed by printing or film type attached to any one surfac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케이스(103, 이하 제1 커버라 한다.)에는 단말기 바디의 측단을 따라 측단에 근접하게 실링부들(210, 220, 230)이 형성된다. 즉, 케이스들간의 결합시 케이스 간의 틈을 덮어, 단말기 바디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실링부들(210, 220, 230)은 단말기 바디 측단을 따라 형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sealing parts 210, 220, and 230 are formed in the intermediate case 103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cover) to be close to the side ends of the terminal body. That is, the sealing parts 210, 220, and 230 are formed along the terminal body side end to cover the gap between the cases and seal the inside of the terminal body when the cases are combined.

제1 커버는 제2 케이스(102, 이하 제2 커버라고 한다.)에 의해 덮이도록 형성된다. The first cover is formed to be covered by the second case 10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cover).

제2 커버(102)는 제1 케이스(101)나 제1 커버(103)에 형성된 홈에 후크가 끼워져 결합된다.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한 사용상의 부주의로 물이나 습기 등이 제1 커버(103)와 제2 커버(102) 사이의 틈으로 침투할 수 있다. 단말기 바디 내에 실장되는 각종 전기 소자들은 습기가 노출되거나 물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으므로, 이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단말기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실링부들(210, 220, 230)은 단말기 방수 구조의 한 예가 될 수 있다.The second cover 102 is coupled to a hook into a groove formed in the first case 101 or the first cover 103. In this case, water or moisture may penetrate into the gap between the first cover 103 and the second cover 102 due to careless use by the user. Various electrical elements mounted in the terminal body do not operate normally when moisture is exposed or in direct contact with water, and thus a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this is required. That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seal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terminal. As such, the sealing parts 210, 220, and 230 may be an example of the waterproof structure of the terminal.

실링부들(210, 220, 230)은 제2 커버(102)를 마주보는 제1 커버(103)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실링부(210)와 제1 케이스를 마주보는 제1 커버(103)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 실링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21'), 플래쉬(129) 및 거울(124)의 주변 영역을 밀폐시키도록 형성되는 제3 실링부(23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실링부(230)는 제1 실링부(210)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제1 실링부(210)와 관련된다.
The sealing parts 210, 220, and 230 may include the first cover 103 facing the first case and the first sealing part 210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cover 103 facing the second cover 102. It may include a second sealing portion 220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In addition, the third sealing part 230 may be formed to seal the peripheral area of the camera 121 ′, the flash 129, and the mirror 124. The third sealing part 230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first sealing part 210.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ed to the first sealing portion 210.

이하, 제1 실링부(210)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a 내지 도 6b는 도 2의 라인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들로서, 각각 제2 케이스와 배터리 커버간의 결합 이전 및 이후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이다.Hereinafter, the first sealing unit 2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6A to 6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2, respectively, before and after coupling between the second case and the battery cover, respectively, and FIGS. 7A and 7B illustrat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ceptual diagram for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aling unit according to.

도 6a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제1 실링부(210, 이하 실링부라고 한다.)는 제1 바디(211)와 제2 바디(212)를 포함한다.6A to 7B, the first sealing part 2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aling part) includes a first body 211 and a second body 212.

제1 바디(211)와 제2 바디(212)를 포함하는 실링부(210)는 이중 사출에 의하여 제1 커버(103)와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103)는 일정 강성을 갖는 합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고, 실링부(210)는 그루브부(24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러버(Rubber)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211)와 제2 바디(212)가 서로 다른 탄성 계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sealing unit 210 including the first body 211 and the second body 212 may be integrally formed together with the first cover 103 by double injection. The first cover 103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having a certain rigidity, and the sealing part 210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ed with respect to the groove part 240. In addition, the first body 211 and the second body 212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elastic modulus.

제1 바디(211)는 일정 이상의 폭을 가지고 연장되어 제1 커버(103)에 결합된다. 제1 바디(211)의 일단에는 제2 바디(212)가 제2 커버(102)를 향하여 연장된다. 제2 바디(212)는 제1 바디(211)가 결합되는 제1 커버(103)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The first body 211 extends with a predetermined width or more and is coupled to the first cover 103. At one end of the first body 211, a second body 212 extends toward the second cover 102. The second body 212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ver 103 to which the first body 211 is coupled.

이로 인해, 제2 바디(212)와 제1 커버(103) 사이에는 갭(10)이 형성된다. 이러한 갭은 단말기 바디의 외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즉 갭의 개구되는 부분은 단말기 바디의 내측을 향하지 않는다. As a result, a gap 10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body 212 and the first cover 103. This gap is formed to open out of the terminal body. That is, the opening portion of the gap does not face the inside of the terminal body.

이렇게 형성되는 갭으로 인하여, 단말기 바디의 외측으로부터 일정 압력으로 유입되는 유입물은 제2 바디(212)를 지지하면서, 제2 커버(102)를 향하여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되므로, 제2 바디(212)와 제2 커버(102)간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 도면(도 7b)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ue to the gap formed in this way, the inflow flowing at a predetermined pressure from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is able to apply a pressure toward the second cover 102 while supporting the second body 212, the second body 212 ) And the adhesion between the second cover 102 can be improved.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7B).

제1 바디(211)는 제1 커버(103)에 고정되고, 제2 바디(212)는 자유롭게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제1 바디(211)는 고정단이 되고 제2 바디(212)는 자유단이 될 수 있다. Since the first body 211 is fixed to the first cover 103 and the second body 212 can move freely up and down, the first body 211 becomes a fixed end and the second body 212 is free. It can be a stage.

제1 커버(103)와 제2 커버(102)가 서로 결합할 때, 자유단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바디(212)는 제2 커버(102)에 밀착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커버(103)와 제2 커버(102) 사이에 형성되는 갭이 밀폐될 수 있다. 탄성 변형이 용이해지도록, 제2 바디(212)는 끝으로 갈수록 점차 가늘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first cover 103 and the second cover 102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second body 212 form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at a free end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cover 102. As a result, a gap formed between the first cover 103 and the second cover 102 may be sealed. In order to facilitate elastic deformation, the second body 212 may be formed to taper toward the end.

용이한 탄성 변형을 위해, 제2 바디(212)는 복수의 부재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부재들은 서로 다른 탄성 계수 또는 강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부재(212a)가 제2 부재(212b)에 비해 보다 잘 휘어지게 되면, 제2 바디(212)의 휘어짐의 방향 즉, 탄성 변형이 되는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For easy elastic deformation, the second body 212 may be formed by coupling a plurality of members to each other. These members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elastic modulus or rigidity. For example, when the first member 212a is bent better than the second member 212b, the direction of bending of the second body 212, that is, the direction of elastic deformation may be determined.

제1 커버(103)와 마주보는 제2 커버(102)에는 실링부(210)에 상응하여 그루브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부(240)는 제2 커버(102)의 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리세스된 홈이다. 그루브부(240)는 바닥면에 해당하는 주면(241)과 양 측면(242, 243)을 구비할 수 있다.A groove portion 240 may be formed on the second cover 102 facing the first cover 103 to correspond to the sealing portion 210. The groove portion 240 is a groove recessed to a certain depth from one surface of the second cover 102. The groove part 240 may include a main surface 241 and both side surfaces 242 and 243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제1 및 제2 커버(103, 102)가 결합되는 경우, 제2 바디(212)의 일부분이 그루브부(240)의 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When the first and second covers 103 and 102 are coupled, a part of the second body 212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240.

제2 바디(212)가 끝부분이 향하는 그루브부(240)의 측면(242)은 케이스의 내측을 향하여 만곡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바디(212)가 만곡된 형상을 따라 미끄러져 그루브부(240)에 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측면이 만곡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제2 바디(212)와 커버간의 서로 이격된 간격을 줄여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side surface 242 of the groove portion 240 facing the end of the second body 212 may be curved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As a result, the second body 212 may slide along the curved shap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ove portion 240. In this case,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side is not curved, the adhesion between the second body 212 and the cover may be reduced by reducing th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여기서, 실링부(210)와 그루브부(240)가 각각 제1 커버(103)와 제2 커버(102)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와 달리 실링부(210)와 그루브부(240)가 각각 제2 커버(102)와 제1 커버(103)에 형성될 수도 있다.
Herein, although the sealing part 210 and the groove part 240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formed in the first cover 103 and the second cover 102, the sealing part 210 and the groove part 24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may be formed on the second cover 102 and the first cover 103.

도 7a는 도 6a에서 실링부(210) 및 그 주변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7b에서 도 6a에서 실링부(210) 및 그 주변을 확대한 도면에 해당한다. FIG. 7A is an enlarged view of the sealing unit 210 and its periphery in FIG. 6A, and corresponds to an enlarged view of the sealing unit 210 and its periphery in FIG. 7B.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커버(103)와 제2 커버(102)가 서로 결합되기 이전에, 실링부(210)의 제2 바디(212)는 일정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커버(103)와 제2 커버(102)가 서로 결합하면, 제2 바디(212)는 탄성 변형되어 그루브부(240)에 밀착된다. 이로 인해,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은 이물질 특히,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여 방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A, before the first cover 103 and the second cover 102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second body 212 of the sealing portion 21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lope. As shown in FIG. 7B, when the first cover 103 and the second cover 102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second body 212 is elastically de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ove portion 240. As a result, foreign matters that may b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low of water to exhibit a waterproof function.

제2 바디(212)가 제2 커버(102)에 밀착되는 일면에는 방수층(2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수층(213)에 의해 단말기 내부를 밀폐시키는 효과가 증진될 수 있다. 방수층(213)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제2 바디(212)의 공극을 충진하거나, 불용성 물질을 제2 바디(212)의 일면에 도포하는 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 The waterproof layer 213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body 212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cover 102. The effect of sealing the inside of the terminal may be enhanced by the waterproof layer 213. For example, the waterproof layer 213 may be formed by filling voids in the second body 212 or applying an insoluble substance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body 212.

보다 자세하게는, 밀랍이나 파라핀을 제2 커버(102)에 접촉하는 제2 바디(212)의 일면에 도포하는 방법을 들 수 있으며, 방수성 수지를 이용하여 제2 바디(212)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실리콘계 규소수지를 이용한 제2 바디(212)의 가공이나 고무를 제2 바디(212)의 일면에 도포하는 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 In detail, a method of applying beeswax or paraffin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body 212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ver 102 may be used, and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body 212 may be formed using a waterproof resin. How to do this. In addition, a method of processing the second body 212 using a silicon-based silicon resin or applying a rubber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body 212 may be mentioned.

도 7b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단말기 바디의 내부 및 외부의 압력 차이에 의해, 실링부(210)의 밀폐력을 증진됨을 알 수 있다. 단말기 바디 외측으로부터 단말기 바디 내측까지 갭(10)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커버(103)와 제2 커버(102) 사이의 갭은, 제2 바디(212)와 제1 커버(103) 사이까지 연장된다. 제1 커버(103)와 제2 커버(102) 간의 결합으로 인해, 갭은 단말기 바디의 외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즉 갭의 개구되는 부분은 단말기 바디의 내측을 향하지 않는다. Looking at Figure 7b in more detail, it can be seen that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the sealing force of the sealing unit 210 is enhanced. A gap 10 is formed from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to the inside of the terminal body. The gap between the first cover 103 and the second cover 102 extends between the second body 212 and the first cover 103. Due to the engagement between the first cover 103 and the second cover 102, the gap is formed to open out of the terminal body. That is, the opening portion of the gap does not face the inside of the terminal body.

이렇게 형성되는 갭으로 인하여, 단말기 외측으로부터 일정 압력(P2)으로 유입되는 유입물은 제2 바디(212)를 지지하면서, 제2 커버(102)를 향하여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되므로, 제2 바디(212)와 제2 커버(102)간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단말기 내부에도 일정 압력(P1)이 형성된다. 즉, 제1 커버(103)와 제2 커버(102) 사이의 갭을 통해 일정 압력이 가해지면, 압력이 제2 바디(212)에서 제2 커버(102)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어 실링부(210)의 밀폐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Due to the gap formed in this way, the inflow flowing from the outside of the terminal to a predetermined pressure (P2) can be applied to the second cover 102 while supporting the second body 212, the second body ( The adhesion between the 212 and the second cover 102 can be improved. In this case, a predetermined pressure P1 is also formed inside the terminal. That is, 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through the gap between the first cover 103 and the second cover 102, the pressure acts in the direction from the second body 212 to the second cover 102, so that the sealing portion ( It can be seen that the sealing force of 210 is improved.

또한, 제2 바디(212)는 그루브부(240)의 주면과 측면이 만나는 지점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길이를 갖으면, 외부의 압력의 대부분은 제2 바디(212)가 제2 커버(102)에 밀착되는 밀착면의 반대면(가압면)에 가해진다. 즉, 제2 바디(212)와 밀착면 사이의 틈으로 가해지는 압력보다, 제2 바디(212)에서 제2 커버(102) 방향으로 가압면에 가해지는 압력이 커지게 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body 212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extending to the point where the main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240 meet. With this length, most of the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opposite surface (pressing surface) of the contact surface on which the second body 21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cover 102. That i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ressing surface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cover 102 from the second body 212 is greater tha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gap between the second body 212 and the contact surface.

이상에서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lso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have.

Claims (15)

내부에 각종 소자들이 배치될 수 있도록 실장 공간을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
상기 단말기 바디의 외관을 형성하며 서로 결합되는 복수의 커버들; 및
상기 커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커버에, 상기 실장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단말기 바디의 측단을 따라 배치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커버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일면과 상기 제2 바디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갭은 상기 단말기 바디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A terminal body having a mounting space for placing various elements therein;
A plurality of covers which form an appearance of the terminal body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t least one cover of the cover, including a sealing portion disposed along the side end of the terminal body to seal the mounting space,
The sealing portion
A first body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cover; And
A second body extending from the first body and spaced apart from the one surface;
And a gap in which one surface of the cover and the second bod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s formed to be opened toward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들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의 일면에 상기 제1 바디가 결합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2 커버를 향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vers include first and second cover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e first body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cover, wherein the second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toward the second cov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탄성 변형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단말기 바디 내외측의 압력 차이에 따라, 상기 제2 커버에 상기 제2 바디가 밀착되도록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body is elastically deformable,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cov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difference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로부터 일정 간격 돌출되는 실링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커버는 일면으로부터 리세스된 그루브부를 더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cover further includes a groove portion recessed from one surface in response to a seal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cov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일단은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차 가늘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The method of claim 4,
One end of the second body is coupled to the first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terminal is formed to gradually become thinner toward the other en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타단에 근접하는 상기 그루브부의 일측면은 상기 제2 커버의 내측을 향하여 만곡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5,
One side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ody is formed to be curved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 cov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그루브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상기 그루브부의 일측면에 접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second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ove portion, and the second body extends from the first body to b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groove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단말기 바디 내외측의 압력 차이에 의해 상기 그루브부의 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밀착된 일부는, 상기 단말기 바디 외측의 압력에 의해 밀착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The method of claim 4,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surface of the groove part by a pressure difference inside and outside the terminal body,
The close contact portion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lose contact is supported by the pressure outside the terminal bod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에 맞닿는 상기 제2 바디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방수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proof layer is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body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ver.
단말기 바디;
상기 단말기 바디의 외관을 형성하며 서로 결합되는 제1 커버와 제2 커버;
상기 제1 커버 및 제2 커버의 사이의 갭을 덮도록, 상기 제1 커버의 측단을 따라 배치되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커버에 형성되는 그루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제1 및 제2 커버가 결합시, 적어도 일부가 상기 그루브부에 밀착되고,
상기 밀착되는 그루브부의 일면은,
상기 단말기 바디 외부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가압에 의해 상기 실링부의 상기 그루브부에 대한 밀착력이 증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erminal body;
A first cover and a second cover which form an exterior of the terminal body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A sealing part disposed along a side end of the first cover to cover a gap between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And
A groove portion formed in the second cover corresponding to the sealing portion;
The sealing portion
When the first and the second cover is coupled, at least a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ove portion,
One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to be in close contact,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a direction pressed by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to increase adhesion to the groove of the sealing part by press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제1 커버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상기 제2 커버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그루브부에 밀착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aling portion
A first body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cover; And
And a second body extending from the first body toward the second cover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ove por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탄성 변형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단말기 바디 내외측의 압력 차이에 따라, 상기 제2 커버에 상기 제2 바디가 밀착되도록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cond body is elastically deformable,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cov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difference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일단이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차 가늘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cond body, one end is coupled to the first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terminal is formed to gradually become thinner toward the other en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타단에 근접하는 상기 그루브부의 일측면은 상기 제2 커버의 내측을 향하여 만곡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3,
One side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ody is formed to be curved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 cov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그루브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상기 그루브부의 일측면에 접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3,
And the second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ove portion, and the second body extends from the first body to b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groove portion.
KR1020110078803A 2011-08-08 2011-08-08 Mobile terminal KR1012715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803A KR101271540B1 (en) 2011-08-08 2011-08-08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803A KR101271540B1 (en) 2011-08-08 2011-08-08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705A true KR20130016705A (en) 2013-02-18
KR101271540B1 KR101271540B1 (en) 2013-06-05

Family

ID=47896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803A KR101271540B1 (en) 2011-08-08 2011-08-08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54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16292A4 (en) * 2013-06-26 2016-07-13 Bluebird Inc Waterproof packing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US9930799B2 (en) 2014-03-27 2018-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function of water proof and cover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524B1 (en) * 2014-03-15 2014-08-21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Back packing for potable electronic appliance
KR101432526B1 (en) * 2014-03-15 2014-08-21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Back packing for potable electronic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965A (en) * 1991-07-16 1993-0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Waterproof housing for device
JP4062973B2 (en) 2002-05-28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Waterproof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waterproof struc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16292A4 (en) * 2013-06-26 2016-07-13 Bluebird Inc Waterproof packing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US9565281B2 (en) 2013-06-26 2017-02-07 Bluebird Inc. Waterproof packing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9930799B2 (en) 2014-03-27 2018-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function of water proof and cover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1540B1 (en)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919B1 (en) Mobile terminal
KR101831402B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mobile terminal using it
US8654084B2 (en) Portable terminal
CN108881539B (en) Display screen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EP2720443A1 (en) Mobile terminal with light diffuser for a key
KR101978211B1 (en) Mobile terminal
KR101929812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271540B1 (en) Mobile terminal
US9137906B2 (en) Mobile terminal
KR101822938B1 (en) Mobile terminal
KR101659024B1 (en) Mobile terminal
KR20140005453A (en) Liquid cristal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it
KR101257092B1 (en) Mobile terminal
KR20130049090A (en) Mobile terminal
KR101919774B1 (en) Mobile Terminal
KR101772078B1 (en) Mobile terminal
KR101771453B1 (en) Mobile terminal
KR101804915B1 (en) Mobile terminal
KR101437972B1 (en) Portable terminal
KR101969899B1 (en) Mobile terminal
CN217933045U (en) Electronic device
KR20140025065A (en) Mobile terminal
KR20130092891A (en) Mobile terminal
CN108024449B (en) FPC subassembly and terminal equipment
KR101750341B1 (en) Camera unit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