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5618A -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5618A
KR20130015618A KR1020110077704A KR20110077704A KR20130015618A KR 20130015618 A KR20130015618 A KR 20130015618A KR 1020110077704 A KR1020110077704 A KR 1020110077704A KR 20110077704 A KR20110077704 A KR 20110077704A KR 20130015618 A KR20130015618 A KR 20130015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loop part
loop
wireless charging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6650B1 (ko
Inventor
류병훈
성원모
이윤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to KR1020110077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650B1/ko
Publication of KR20130015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73Antenna details
    • G06K19/07777Antenna details the antenna being of the inductive type
    • G06K19/07779Antenna details the antenna being of the inductive type the inductive antenna being a coil
    • G06K19/07783Antenna details the antenna being of the inductive type the inductive antenna being a coil the coil being plan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03Printed circuit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는, 무선 충전용으로 사용되는 제1 루프부; 무선 충전 및 안테나용으로 사용되고, 제1 루프부의 길이와 합쳐진 길이가 무선 충전용 코일에 요구되는 인덕턴스 값을 만족하도록 형성되는 제2 루프부; 및 무선 기기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제1 루프부와 제2 루프부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하는 동작 모드 변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ANTENNA DEVICE WITH WIRELESS CHARGING}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예를 들어, 모바일 폰, PMP, 스마트 폰 등), MP3,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각종 센서 기기 등의 전자 기기들을 전력선 없이 무선으로 충전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 무선으로 에너지를 전송하는 기술로는 현재 전자기 유도 방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전자기 유도 방식은 송신측 기기에 형성된 제1 루프부과 수신측 기기에 형성된 제2 루프부 간의 유도 결합을 통해 에너지를 송신측 기기에서 수신측 기기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수신측 기기에 형성된 제2 루프부을 무선 충전용으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안테나로도 사용하려는 기술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무선 충전용 코일에 요구되는 인덕턴스 값과 일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에 요구되는 인덕턴스 값이 서로 다른 경우, 무선 충전용 코일을 안테나로 상호 겸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용 코일을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로 상호 겸용하는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이때, 무선 충전용 코일에 요구되는 인덕턴스 값은 11 ~ 12μH이고, NFC 안테나에 요구되는 인덕턴스 값은 1 ~ 1.5μH이다.
이 경우, 무선 충전용 코일은 NFC 안테나에 요구되는 인덕턴스 값보다 큰 인덕턴스 값을 가지기 때문에, 커패시터 매칭을 하지 않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NFC 대역인 13. 56 MHz 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이 형성되어 NFC 안테나로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는
Figure pat00001
의 공식에 의해 주파수가 결정되는데, 여기서, fo는 NFC 대역의 공진주파수 13.56MHz를 의미하고, L은 안테나의 인덕터 값, C는 안테나의 커패시터 값을 나타낸다. 실제로 NFC 안테나 구현시 매칭이 가능한 커패시터 C 값은 0.5pF 정도이나, 인덕터 L이 10μH를 넘어서게 되면 이론적으로 커패시터 C 값은 0.01fF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는 매우 작은 값으로 실제 구현이 불가능한 값이다. 따라서, 무선 충전용 코일을 NFC 안테나로 그대로 이용할 경우 공진 주파수인 13.56MHz 미만에서 공진이 형성되므로, NFC 안테나로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NFC 안테나는 무선 충전용 코일에 요구되는 인덕턴스 값보다 작은 인덕턴스 값을 가지기 때문에, 유도 기전력을 제대로 수용하지 못해 에너지 전송 효율이 현저히 떨어져 무선 충전용 코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그리고, 무선 충전 시에는 예를 들어, 5W의 대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NFC 안테나를 무선 충전용 코일로 사용하는 경우, NFC 안테나의 회로부가 손상될 위험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충전용으로 사용할 때는 무선 충전용 코일에 요구되는 인덕턴스 값을 만족하고, 안테나용으로 사용할 때는 안테나에 요구되는 인덕턴스 값을 만족하여 무선 충전 기능 또는 안테나의 두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는, 무선 충전용으로 사용되는 제1 루프부; 무선 충전 및 안테나용으로 사용되고, 상기 제1 루프부의 길이와 합쳐진 길이가 무선 충전용 코일에 요구되는 인덕턴스 값을 만족하도록 형성되는 제2 루프부; 및 무선 기기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루프부와 상기 제2 루프부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하는 동작 모드 변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충전 모드에서는 무선 충전용으로 사용되는 제1 루프부와 무선 충전 및 안테나용으로 사용되는 제2 루프부를 연결함으로써, 무선 충전용 코일에 요구되는 인덕턴스 값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를 통해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안테나 모드에서는 제1 루프부와 제2 루프부를 분리시키고 제2 루프부만 안테나로 사용함으로써, 안테나에 요구되는 인덕턴스 값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를 안테나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하나의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를 통해 무선 충전과 안테나를 겸용할 수 있으므로, 무선 충전 코일과 안테나를 별도로 구현할 필요가 없으며,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를 소형화 할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가 장착되는 무선 기기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가 무선 충전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가 안테나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가 배터리에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루프부가 유전체층 및 페라이트 시트 내에서 헬리컬 형태로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100)는 제1 루프부(102), 제2 루프부(104), 및 동작 모드 변환부(106)를 포함한다. 이때, 동작 모드 변환부(106)는 제1 스위치(111), 제2 스위치(114), 및 제3 스위치(117)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100)를 무선 충전과 NFC 안테나(사용 주파수 13.56 MHz 대역)로 겸용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100)는 그 이외의 다양한 사용 주파수 대역을 갖는 안테나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100)는 무선 충전 모드 및 안테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제1 루프부(102)는 무선 충전 모드 시에 사용되는 코일이다. 제1 루프부(102)는 예를 들어, 10 μH의 인덕턴스 값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충전용 코일에 요구되는 인덕턴스 값은 11 ~ 12μH이나, 제1 루프부(102)는 11 ~ 12μH 보다 낮은 인덕턴스 값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11 ~ 12μH에 모자라는 인덕턴스는 제2 루프부(104)을 통해 보상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루프부(102)를 소형화 할 수 있게 된다. 제1 루프부(102)의 일단은 제3 스위치(117)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1 루프부(102)의 타단은 충전 회로(120)의 제2 충전 단자(124)와 연결된다.
제2 루프부(104)는 무선 충전 모드 및 안테나 모드 시 사용되는 코일이다. 제2 루프부(104)는 예를 들어, 1 ~ 1.5μH의 인덕턴스 값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제2 루프부(104)의 일단은 제1 스위치(111)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2 루프부(104)의 타단은 제2 스위치(114)의 일측 및 제3 스위치(117)의 타측에 각각 연결된다. 제2 루프부(104)는 무선 충전 모드 시 제3 스위치(117)에 의해 제1 루프부(1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루프부(102)의 부족한 인덕턴스를 보상해준다. 그리고, 제2 루프부(104)는 안테나 모드 시 제3 스위치(117)에 의해 제1 루프부(102)과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동작 모드 변환부(106)는 무선 충전 모드 시 제1 루프부(102)와 제2 루프부(104)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제1 루프부(102)와 제2 루프부(104)를 충전 회로(120)에 연결시킨다. 동작 모드 변환부(106)는 안테나 모드 시 제1 루프부(102)와 제2 루프부(104)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고, 제2 루프부(104)를 안테나 회로(130)에 연결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 스위치(111)는 제1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루프부(104)의 일단을 제1 충전 단자(121) 및 제1 안테나 단자(131)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제1 스위치(111)는 예를 들어, SPDT(Single Pole Double Throw)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스위치(111)의 단극(Single Pole)은 제2 루프부(104)의 일단과 연결되고, 제1 스위치(111)의 두 접점은 제1 충전 단자(121) 및 제1 안테나 단자(131)와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제1 스위치(111)는 제1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루프부(104)의 일단을 제1 충전 단자(121) 및 제1 안테나 단자(131)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게 된다.
제2 스위치(114)는 제2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루프부(104)의 타단을 제2 안테나 단자(134)와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시킨다. 제3 스위치(117)는 제3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루프부(104)의 타단을 제1 루프부(102)와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시킨다. 제2 스위치(114) 및 제3 스위치(SW3)(117)로는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이외의 다양한 스위칭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충전 단자(121) 및 제2 충전 단자(124)는 각각 충전 회로(120)의 플러스(+) 단자 및 마이너스(-) 단자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안테나 단자(131) 및 제2 안테나 단자(134)는 각각 안테나 회로(130)의 급전 단자 및 접지 단자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가 무선 충전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동작 모드가 무선 충전 모드로 전환된 경우,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100)는 제1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제1 스위치(111)로 발생하여 제2 루프부(104)의 일단을 제1 충전 단자(121)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2 스위치(114)를 오프(OFF)시키는 제2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제2 스위치(114)로 발생하여 제2 루프부(104)의 타단을 제2 안테나 단자(134)와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며, 제3 스위치(117)를 온(ON) 시키는 제3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제3 스위치(117)로 발생하여 제2 루프부(104)의 타단을 제1 루프부(102)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 경우, 제1 충전 단자(121)는 제2 루프부(104)의 일단에 연결되고, 제2 루프부(104)의 타단은 제1 루프부(102)의 일단에 연결되며, 제1 루프부(102)의 타단은 제2 충전 단자(124)에 연결되게 된다. 여기서, 충전 경로를 살펴보면, 제2 루프부(104)의 일단에서 타단에 이르고 제1 루프부(102)의 일단에서 타단에 이르게 되므로, 제2 루프부(104)와 제1 루프부(102)의 전체 길이를 통해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100)가 무선 충전 모드로 전환된 경우에는 제1 루프부(102)와 제2 루프부(104)가 모두 충전용 코일로 사용되게 된다. 이때, 제1 루프부(102)의 인덕턴스 값이 10 μH이고, 제2 루프부(104)의 인덕턴스 값이 1 ~ 1.5μH이기 때문에, 무선 충전용 코일에 요구되는 인덕턴스 값(11 ~ 12μH)을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가 안테나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동작 모드가 안테나 모드로 전환된 경우,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100)는 제1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제1 스위치(111)로 발생하여 제2 루프부(104)의 일단을 제1 안테나 단자(131)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제2 스위치(114)를 온(ON) 시키는 제2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제2 스위치(114)로 발생하여 제2 루프부(104)의 타단을 제2 안테나 단자(134)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제3 스위치(117)를 오프(OFF) 시키는 제3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제3 스위치(117)로 발생하여 제2 루프부(104)의 타단을 제1 루프부(102)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분리시킨다.
이 경우, 제1 루프부(102)와 제2 루프부(104)가 분리된 상태에서 제2 루프부(104)의 일단이 제1 안테나 단자(131)와 연결되고, 제2 루프부(104)의 타단이 제2 안테나 단자(134)와 연결된다. 즉, 제2 루프부(104) 만이 제1 안테나 단자(131) 및 제2 안테나 단자(134)에 연결되게 된다.
이와 같이,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100)가 안테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제2 루프부(104) 만이 안테나용 코일로 사용되게 된다. 이때, 제2 루프부(104)의 인덕턴스 값이 1 ~ 1.5μH이기 때문에, NFC 안테나에 요구되는 인덕턴스 값(1 ~ 1.5μH)을 만족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충전 모드에서는 제1 루프부(102)와 제2 루프부(104)를 연결함으로써, 무선 충전용 코일에 요구되는 인덕턴스 값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100)를 통해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안테나 모드에서는 제1 루프부(102)와 제2 루프부(104)를 분리시키고 제2 루프부(104)만 안테나로 사용함으로써, 안테나에 요구되는 인덕턴스 값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100)를 안테나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하나의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100)를 통해 무선 충전과 안테나를 겸용할 수 있으므로, 무선 충전 코일과 안테나를 별도로 구현할 필요가 없으며,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100)를 소형화 할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100)가 장착되는 무선 기기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가 배터리에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가 배터리에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리어 케이스 또는 커버 케이스 등 다양한 곳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200)는 유전체층(Dielectric Layer)(202), 제1 루프부(204), 및 제2 루프부(206)를 포함한다.
유전체층(202)은 예를 들어, 양면 접착 시트(208)를 이용하여 배터리(250)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유전체층(202)으로는 예를 들어, 플렉서블 PCB 기판(FPCB) 또는 시트(Sheet) 형태의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루프부(204)는 유전체층(202) 상에 형성된다. 제1 루프부(204)는 무선 충전용 코일로 사용된다. 제1 루프부(204)는 예를 들어, 유전체층(202) 상에 스파이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루프부(204)는 원형의 스파이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루프부(204)는 모난 부분(또는 모서리진 부분)이 없이 형성되기 때문에, 무선 충전 모드 시 수신 전력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 루프부(206)는 유전체층(202)에서 제1 루프부(204)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루프부(206)의 길이는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200)가 안테나로 사용되는 경우, 해당 안테나에 요구되는 인덕턴스 값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루프부(204) 및 제2 루프부(206)의 전체 길이는 무선 충전용 코일에 요구되는 인덕턴스 값을 갖도록 형성된다.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200)는 제1 루프부(204) 및 제2 루프부(206)의 상부에 형성되는 페라이트 시트(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루프부(204) 및 제2 루프부(206)의 크기를 소형화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여기서는 제1 루프부(204)가 유전체층(202) 상에 스파이럴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루프부(20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층(202) 및 페라이트 시트(210) 내에서 헬리컬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루프부(204)의 부피를 최소화 하면서 제1 루프부(204)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여기서는 제1 루프부(204) 및 제2 루프부(206)이 유전체층(202)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전체층(202) 없이 배터리(250)의 표면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제1 루프부(204) 및 제2 루프부(206)가 모두 유전체층(202)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루프부(204)는 유전체층(202) 상에 형성되고, 제2 루프부(206)는 배터리(250) 주변의 리어 케이스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제2 루프부(206)는 와이어(Wire)로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그와는 반대로 제1 루프부(204)를 배터리(250) 주변의 리어 케이스 상에 형성하고, 제2 루프부(206)는 유전체층(202) 상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2 : 제1 루프부 104 : 제2 루프부
106 : 동작 모드 변환부 111 : 제1 스위치
114 : 제2 스위치 117 : 제3 스위치
120 : 충전 회로 121 : 제1 충전 단자
124 : 제2 충전 단자 130 : 안테나 회로
131 : 제1 안테나 단자 134 : 제2 안테나 단자

Claims (8)

  1. 무선 충전용으로 사용되는 제1 루프부;
    무선 충전 및 안테나용으로 사용되고, 상기 제1 루프부의 길이와 합쳐진 길이가 무선 충전용 코일에 요구되는 인덕턴스 값을 만족하도록 형성되는 제2 루프부; 및
    무선 기기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루프부와 상기 제2 루프부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하는 동작 모드 변환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루프부의 길이는,
    상기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가 안테나로 사용될 때, 상기 안테나에 요구되는 인덕턴스 값을 만족하도록 형성되는,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변환부는,
    상기 무선 기기의 동작 모드가 무선 충전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루프부와 상기 제2 루프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1 루프부를 충전 회로에 연결하는,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변환부는,
    상기 무선 기기의 동작 모드가 안테나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루프부와 상기 제2 루프부를 전기적으로 분리하고, 상기 제2 루프부를 안테나 회로에 연결하는,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변환부는,
    제1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루프부의 일단을 제1 충전 단자 및 제1 안테나 단자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 스위치;
    제2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루프부의 타단을 제2 안테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제2 스위치; 및
    제3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루프부의 타단을 상기 제1 루프부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제3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루프부의 타단은 제2 충전 단자와 연결되는,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기의 동작 모드가 무선 충전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제2 루프부의 일단을 제1 충전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2 루프부의 타단을 상기 제2 안테나 단자와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며, 상기 제3 스위치는 상기 제2 루프부의 타단을 상기 제1 루프부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기의 동작 모드가 안테나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제2 루프부의 일단을 제1 안테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2 루프부의 타단을 상기 제2 안테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제3 스위치는 상기 제2 루프부의 타단을 상기 제1 루프부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루프부 및 상기 제2 루프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무선 기기의 배터리 또는 상기 무선 기기의 케이스에 형성되는,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



KR1020110077704A 2011-08-04 2011-08-04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 KR101276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704A KR101276650B1 (ko) 2011-08-04 2011-08-04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704A KR101276650B1 (ko) 2011-08-04 2011-08-04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618A true KR20130015618A (ko) 2013-02-14
KR101276650B1 KR101276650B1 (ko) 2013-06-19

Family

ID=47895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704A KR101276650B1 (ko) 2011-08-04 2011-08-04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6650B1 (ko)

Cited B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052B1 (ko) * 2013-08-29 2015-06-29 주식회사 이랜텍 무선충전 및 엔에프씨 통신 겸용 단자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패치
KR20150123889A (ko) * 2013-05-15 2015-11-04 지티이 코포레이션 이동 단말의 코일 장치
KR20160021578A (ko) * 2014-08-18 2016-02-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20160057281A (ko) * 2014-11-13 2016-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전자 기기에 내장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칩 및 웨어러블 전자 기기
WO2017007231A1 (ko) * 2015-07-06 2017-01-12 엘지이노텍(주) 무선 충전과 nfc 통신을 위한 무선 안테나 및 이를 적용한 무선 단말기
US9553476B2 (en) 2012-03-23 2017-01-24 Lg Innotek Co., Ltd. Antenna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17014467A1 (ko) * 2015-07-20 2017-01-26 주식회사 아모텍 콤보 안테나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WO2017014464A1 (ko) * 2015-07-20 2017-01-26 주식회사 아모텍 콤보 안테나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KR20170010600A (ko) * 2015-07-20 2017-02-01 주식회사 아모텍 콤보 안테나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KR20180003499A (ko) * 2017-12-22 2018-01-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안테나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80088352A (ko) * 2018-07-25 2018-08-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안테나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 방법
US10270291B2 (en) 2012-03-23 2019-04-23 Lg Innotek Co., Lt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3474369A4 (en) * 2016-07-20 2019-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POOLING
US10432032B2 (en) 2016-12-09 2019-10-01 Nucurrent, Inc. Wireless system having a substrate configured to facilitate through-metal energy transfer via near field magnetic coupling
US10636563B2 (en) 2015-08-07 2020-04-28 Nucurrent, Inc. Method of fabricating a single structure multi mode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magnetic field coupling
US10658847B2 (en) 2015-08-07 2020-05-19 Nucurrent, Inc. Method of providing a single structure multi mode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magnetic field coupling
KR102128005B1 (ko) 2019-02-22 2020-06-29 (주)파트론 안테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879705B2 (en) 2016-08-26 2020-12-29 Nucurrent, Inc. Wireless connector receiver module with an electrical connector
US10903688B2 (en) 2017-02-13 2021-01-26 Nucurrent, Inc. Wireless electrical energy transmission system with repeater
US10985465B2 (en) 2015-08-19 2021-04-20 Nucurrent, Inc. Multi-mode wireless antenna configurations
KR102239554B1 (ko) * 2020-03-16 2021-04-21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US11056922B1 (en) 2020-01-03 2021-07-06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for simultaneous transfer to multiple devices
US11152151B2 (en) 2017-05-26 2021-10-19 Nucurrent, Inc. Crossover coil structure for wireless transmission
KR20210129525A (ko) * 2020-04-20 2021-10-28 신혜중 와이어 병렬매립형 하이브리드 무선 충전 안테나장치
US11205848B2 (en) 2015-08-07 2021-12-21 Nucurrent, Inc. Method of providing a single structure multi mode antenna having a unitary body construction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magnetic field coupling
WO2021261613A1 (ko) * 2020-06-24 2021-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전자 기기
US11227712B2 (en) 2019-07-19 2022-01-18 Nucurrent, Inc. Preemptive thermal mitigation for wireless power systems
US11271430B2 (en) 2019-07-19 2022-03-08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with extended wireless charging range
US11283303B2 (en) 2020-07-24 2022-03-22 Nucurrent, Inc. Area-apportioned wireless power antenna for maximized charging volume
US11336003B2 (en) 2009-03-09 2022-05-17 Nucurrent, Inc. Multi-layer, multi-turn inductor structure for wireless transfer of power
US20220200342A1 (en) 2020-12-22 2022-06-23 Nucurrent, Inc. Ruggedized communication for wireless power systems in multi-device environments
US11695302B2 (en) 2021-02-01 2023-07-04 Nucurrent, Inc. Segmented shielding for wide area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11831174B2 (en) 2022-03-01 2023-11-28 Nucurrent, Inc. Cross talk and interference mitigation in dual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11876386B2 (en) 2020-12-22 2024-01-16 Nucurrent, Inc. Detection of foreign objects in large charging volume applications
US11955809B2 (en) 2015-08-07 2024-04-09 Nucurrent, Inc. Single structure multi mode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ncorporating a selection circuit
US12003116B2 (en) 2022-03-01 2024-06-04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for simultaneous transfer to multiple devices with cross talk and interference mitig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508B1 (ko) 2016-10-06 2019-04-16 백정엽 싱글 와이어 광대역 충전 코일을 포함한 무선충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2055A (ja) * 2005-03-17 2006-09-28 Sony Corp アンテナ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情報端末
KR101283386B1 (ko) * 2007-12-14 2013-07-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팩 케이스 상에 패터닝된 루프 안테나를 포함하고 있는외장형 전지팩
KR101118471B1 (ko) * 2009-09-30 2012-03-12 한국전기연구원 스파이럴 안테나 및 스파이럴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전력전송장치

Cited By (9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6003B2 (en) 2009-03-09 2022-05-17 Nucurrent, Inc. Multi-layer, multi-turn inductor structure for wireless transfer of power
US11476566B2 (en) 2009-03-09 2022-10-18 Nucurrent, Inc. Multi-layer-multi-turn structure for high efficiency wireless communication
US11335999B2 (en) 2009-03-09 2022-05-17 Nucurrent, Inc. Device having a multi-layer-multi-turn antenna with frequency
US11916400B2 (en) 2009-03-09 2024-02-27 Nucurrent, Inc. Multi-layer-multi-turn structure for high efficiency wireless communication
US10256540B2 (en) 2012-03-23 2019-04-09 Lg Innotek Co., Ltd. Antenna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0673141B2 (en) 2012-03-23 2020-06-02 Lg Innotek Co., Ltd. Antenna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0277071B2 (en) 2012-03-23 2019-04-30 Lg Innotek Co., Lt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553476B2 (en) 2012-03-23 2017-01-24 Lg Innotek Co., Ltd. Antenna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0804740B2 (en) 2012-03-23 2020-10-13 Lg Innotek Co., Lt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270291B2 (en) 2012-03-23 2019-04-23 Lg Innotek Co., Lt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947990B2 (en) 2013-05-15 2018-04-17 Zte Corporation Coil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KR20150123889A (ko) * 2013-05-15 2015-11-04 지티이 코포레이션 이동 단말의 코일 장치
KR101532052B1 (ko) * 2013-08-29 2015-06-29 주식회사 이랜텍 무선충전 및 엔에프씨 통신 겸용 단자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패치
KR20160021578A (ko) * 2014-08-18 2016-02-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20160057281A (ko) * 2014-11-13 2016-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전자 기기에 내장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칩 및 웨어러블 전자 기기
WO2017007231A1 (ko) * 2015-07-06 2017-01-12 엘지이노텍(주) 무선 충전과 nfc 통신을 위한 무선 안테나 및 이를 적용한 무선 단말기
US10727592B2 (en) 2015-07-06 2020-07-28 Lg Innotek Co., Ltd. Wireless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terminal to which same is applied
US10461426B2 (en) 2015-07-06 2019-10-29 Lg Innotek Co., Ltd. Wireless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terminal to which same is applied
US10476160B2 (en) 2015-07-06 2019-11-12 Lg Innotek Co., Ltd. Wireless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terminal to which same is applied
CN108140476B (zh) * 2015-07-20 2020-05-05 阿莫技术有限公司 组合天线模块和包括其的便携式电子装置
US10707703B2 (en) 2015-07-20 2020-07-07 Amotech Co., Ltd. Combination antenn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WO2017014467A1 (ko) * 2015-07-20 2017-01-26 주식회사 아모텍 콤보 안테나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WO2017014464A1 (ko) * 2015-07-20 2017-01-26 주식회사 아모텍 콤보 안테나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KR20170010600A (ko) * 2015-07-20 2017-02-01 주식회사 아모텍 콤보 안테나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US10931151B2 (en) 2015-07-20 2021-02-23 Amotech Co., Ltd. Combination antenn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CN108028125A (zh) * 2015-07-20 2018-05-11 阿莫技术有限公司 组合天线模块和包括其的便携式电子装置
CN108140476A (zh) * 2015-07-20 2018-06-08 阿莫技术有限公司 组合天线模块和包括其的便携式电子装置
US11469598B2 (en) 2015-08-07 2022-10-11 Nucurrent, Inc. Device having a multimode antenna with variable width of conductive wire
US11205849B2 (en) 2015-08-07 2021-12-21 Nucurrent, Inc. Multi-coil antenna structure with tunable inductance
US11955809B2 (en) 2015-08-07 2024-04-09 Nucurrent, Inc. Single structure multi mode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ncorporating a selection circuit
US11769629B2 (en) 2015-08-07 2023-09-26 Nucurrent, Inc. Device having a multimode antenna with variable width of conductive wire
US10658847B2 (en) 2015-08-07 2020-05-19 Nucurrent, Inc. Method of providing a single structure multi mode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magnetic field coupling
US11025070B2 (en) 2015-08-07 2021-06-01 Nucurrent, Inc. Device having a multimode antenna with at least one conductive wire with a plurality of turns
US11196266B2 (en) 2015-08-07 2021-12-07 Nucurrent, Inc. Device having a multimode antenna with conductive wire width
US11205848B2 (en) 2015-08-07 2021-12-21 Nucurrent, Inc. Method of providing a single structure multi mode antenna having a unitary body construction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magnetic field coupling
US10636563B2 (en) 2015-08-07 2020-04-28 Nucurrent, Inc. Method of fabricating a single structure multi mode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magnetic field coupling
US11316271B2 (en) 2015-08-19 2022-04-26 Nucurrent, Inc. Multi-mode wireless antenna configurations
US11670856B2 (en) 2015-08-19 2023-06-06 Nucurrent, Inc. Multi-mode wireless antenna configurations
US10985465B2 (en) 2015-08-19 2021-04-20 Nucurrent, Inc. Multi-mode wireless antenna configurations
EP3474369A4 (en) * 2016-07-20 2019-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POOLING
US10680322B2 (en) 2016-07-20 2020-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il sharing method and device
US20190214719A1 (en) * 2016-07-20 2019-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il sharing method and device
US10998620B2 (en) 2016-07-20 2021-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il sharing method and device
US10886751B2 (en) 2016-08-26 2021-01-05 Nucurrent, Inc. Wireless connector transmitter module
US10879704B2 (en) 2016-08-26 2020-12-29 Nucurrent, Inc. Wireless connector receiver module
US10879705B2 (en) 2016-08-26 2020-12-29 Nucurrent, Inc. Wireless connector receiver module with an electrical connector
US10931118B2 (en) 2016-08-26 2021-02-23 Nucurrent, Inc. Wireless connector transmitter module with an electrical connector
US10897140B2 (en) 2016-08-26 2021-01-19 Nucurrent, Inc.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connector system
US10916950B2 (en) 2016-08-26 2021-02-09 Nucurrent, Inc. Method of making a wireless connector receiver module
US11011915B2 (en) 2016-08-26 2021-05-18 Nucurrent, Inc. Method of making a wireless connector transmitter module
US10938220B2 (en) 2016-08-26 2021-03-02 Nucurrent, Inc. Wireless connector system
US10903660B2 (en) 2016-08-26 2021-01-26 Nucurrent, Inc. Wireless connector system circuit
US11418063B2 (en) 2016-12-09 2022-08-16 Nucurrent, Inc. Method of fabricating an antenna having a substrate configured to facilitate through-metal energy transfer via near field magnetic coupling
US10432031B2 (en) 2016-12-09 2019-10-01 Nucurrent, Inc. Antenna having a substrate configured to facilitate through-metal energy transfer via near field magnetic coupling
US10432032B2 (en) 2016-12-09 2019-10-01 Nucurrent, Inc. Wireless system having a substrate configured to facilitate through-metal energy transfer via near field magnetic coupling
US10432033B2 (en) 2016-12-09 2019-10-01 Nucurrent,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a sidewall configured to facilitate through-metal energy transfer via near field magnetic coupling
US11764614B2 (en) 2016-12-09 2023-09-19 Nucurrent, Inc. Method of fabricating an antenna having a substrate configured to facilitate through-metal energy transfer via near field magnetic coupling
US10868444B2 (en) 2016-12-09 2020-12-15 Nucurrent, Inc. Method of operating a system having a substrate configured to facilitate through-metal energy transfer via near field magnetic coupling
US10892646B2 (en) 2016-12-09 2021-01-12 Nucurrent, Inc. Method of fabricating an antenna having a substrate configured to facilitate through-metal energy transfer via near field magnetic coupling
US10903688B2 (en) 2017-02-13 2021-01-26 Nucurrent, Inc. Wireless electrical energy transmission system with repeater
US11223235B2 (en) 2017-02-13 2022-01-11 Nucurrent, Inc. Wireless electrical energy transmission system
US11177695B2 (en) 2017-02-13 2021-11-16 Nucurrent, Inc. Transmitting base with magnetic shielding and flexible transmitting antenna
US11264837B2 (en) 2017-02-13 2022-03-01 Nucurrent, Inc. Transmitting base with antenna having magnetic shielding panes
US11502547B2 (en) 2017-02-13 2022-11-15 Nucurrent, Inc. Wireless electrical energy transmission system with transmitting antenna having magnetic field shielding panes
US11431200B2 (en) 2017-02-13 2022-08-30 Nucurrent, Inc.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electrical energy transmission system
US11705760B2 (en) 2017-02-13 2023-07-18 Nucurrent, Inc.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electrical energy transmission system
US11223234B2 (en) 2017-02-13 2022-01-11 Nucurrent, Inc.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electrical energy transmission base
US10958105B2 (en) 2017-02-13 2021-03-23 Nucurrent, Inc. Transmitting base with repeater
US11282638B2 (en) 2017-05-26 2022-03-22 Nucurrent, Inc. Inductor coil structures to influence wireless transmission performance
US11152151B2 (en) 2017-05-26 2021-10-19 Nucurrent, Inc. Crossover coil structure for wireless transmission
US11283295B2 (en) 2017-05-26 2022-03-22 Nucurrent, Inc. Device orientation independent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US11283296B2 (en) 2017-05-26 2022-03-22 Nucurrent, Inc. Crossover inductor coil and assembly for wireless transmission
US11277029B2 (en) 2017-05-26 2022-03-15 Nucurrent, Inc. Multi coil array for wireless energy transfer with flexible device orientation
US11652511B2 (en) 2017-05-26 2023-05-16 Nucurrent, Inc. Inductor coil structures to influence wireless transmission performance
US11277028B2 (en) 2017-05-26 2022-03-15 Nucurrent, Inc. Wireless electrical energy transmission system for flexible device orientation
KR20180003499A (ko) * 2017-12-22 2018-01-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안테나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80088352A (ko) * 2018-07-25 2018-08-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안테나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128005B1 (ko) 2019-02-22 2020-06-29 (주)파트론 안테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271430B2 (en) 2019-07-19 2022-03-08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with extended wireless charging range
US11227712B2 (en) 2019-07-19 2022-01-18 Nucurrent, Inc. Preemptive thermal mitigation for wireless power systems
US11756728B2 (en) 2019-07-19 2023-09-12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with extended wireless charging range
US11811223B2 (en) 2020-01-03 2023-11-07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for simultaneous transfer to multiple devices
US11056922B1 (en) 2020-01-03 2021-07-06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for simultaneous transfer to multiple devices
KR102239554B1 (ko) * 2020-03-16 2021-04-21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WO2021187812A1 (ko) * 2020-03-16 2021-09-23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KR20210129525A (ko) * 2020-04-20 2021-10-28 신혜중 와이어 병렬매립형 하이브리드 무선 충전 안테나장치
WO2021261613A1 (ko) * 2020-06-24 2021-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전자 기기
US11658517B2 (en) 2020-07-24 2023-05-23 Nucurrent, Inc. Area-apportioned wireless power antenna for maximized charging volume
US11283303B2 (en) 2020-07-24 2022-03-22 Nucurrent, Inc. Area-apportioned wireless power antenna for maximized charging volume
US11876386B2 (en) 2020-12-22 2024-01-16 Nucurrent, Inc. Detection of foreign objects in large charging volume applications
US11881716B2 (en) 2020-12-22 2024-01-23 Nucurrent, Inc. Ruggedized communication for wireless power systems in multi-device environments
US20220200342A1 (en) 2020-12-22 2022-06-23 Nucurrent, Inc. Ruggedized communication for wireless power systems in multi-device environments
US11695302B2 (en) 2021-02-01 2023-07-04 Nucurrent, Inc. Segmented shielding for wide area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11996706B2 (en) 2021-02-01 2024-05-28 Nucurrent, Inc. Segmented shielding for wide area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11831174B2 (en) 2022-03-01 2023-11-28 Nucurrent, Inc. Cross talk and interference mitigation in dual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12003116B2 (en) 2022-03-01 2024-06-04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for simultaneous transfer to multiple devices with cross talk and interference mitig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6650B1 (ko)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6650B1 (ko)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
CN108140476B (zh) 组合天线模块和包括其的便携式电子装置
US9558884B2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CA2764118C (en) Near field communication
US9496082B2 (en) Coil substrate for wireless charging and electric device using the same
US9013141B2 (en) Parasitic device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JP6100903B2 (ja) 電気エネルギーハーベスティングおよび/または無線通信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CN107408823B (zh) 金属背板上的多匝线圈
CN108028125B (zh) 组合天线模块和包括其的便携式电子装置
EP2741366A1 (en) Antenna device, an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GB2510509A (en) Power reception device,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WO2014183352A1 (zh) 一种移动终端的线圈装置
US20150076919A1 (en) Coil type uni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il type uni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20180062432A1 (en) Power receiving antenna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US11245286B2 (en) Power receiving antenna configured in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101926615B1 (ko) 콤보 안테나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Aboualalaa et al. WPT recent techniques for improving system efficiency
KR101856564B1 (ko) 콤보 안테나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JP5529697B2 (ja) 非接触充電装置および非接触充電システム
KR101888353B1 (ko) 콤보 안테나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KR101926613B1 (ko) 콤보 안테나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JP6443608B1 (ja) アンテナ装置、非接触伝送装置および非接触伝送システム
KR101969508B1 (ko) 싱글 와이어 광대역 충전 코일을 포함한 무선충전장치
KR101883684B1 (ko) 공진 결합을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