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5560A - 서비스 대응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서비스 대응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5560A
KR20130015560A KR1020110077608A KR20110077608A KR20130015560A KR 20130015560 A KR20130015560 A KR 20130015560A KR 1020110077608 A KR1020110077608 A KR 1020110077608A KR 20110077608 A KR20110077608 A KR 20110077608A KR 20130015560 A KR20130015560 A KR 20130015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terminal
information
input termi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일
이지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키비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키비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키비언
Priority to KR1020110077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5560A/ko
Publication of KR20130015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5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 폰과 같은 입력 단말을 통해 실행하고자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은, 자신의 프로파일 정보를 전송하는 입력 단말과, 상기 입력 단말로부터 수신된 프로파일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단말이 지원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인터페이스 중 상기 입력 단말에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검색 및 선정하여 선정된 인터페이스 정보를 상기 입력 단말 및 콘텐츠 제공 단말에 전송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인터페이스 정보에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디스플레이하는 콘텐츠 제공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서비스 대응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CORESPONDING SERVICE}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 폰과 같은 입력 단말을 통해 실행하고자 하는 인터페이스를 적응적으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방향 TV 방송이라고 함은, 일반 시청자가 규정된 채널을 통해 일방적으로 송출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시청을 하던 단방향 TV 방송으로부터 벗어나, 시청자도 방송 신호를 송출하는 사업자에게 소정의 시청자 입력 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송 사업자와 시청자 사이에 상호 작용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TV 방송을 지칭한다. 이러한 양방향 TV 방송의 대표적인 예로서,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방송을 들 수 있다.
IPTV 방송은 말 그대로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TV 방송을 실시하는 것으로서, IPTV 방송을 위한 시스템은 방송 프로그램 제공자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각 TV 수신기의 셋톱 박스로 전송하되, 시청자의 핸드 셋(예를 들면, 리모콘)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요청에 응하여 방송되는 콘텐츠가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 방송 시스템이다. 이러한 IPTV 방송 시스템은 각 시청자의 셋톱 박스에 부여되어 있는 IP 주소에 기반하여 양방향 방송이 가능하도록 하므로, 시청자는 TV 수신기 상에서 소정 신호를 발생시켜 이를 방송 사업자에게 송신할 수도 있게 된다.
위와 같은 방송의 양방향성에 착안하면, 시청자는 방송 프로그램이나 광고 콘텐츠를 시청하는 도중에 TV 수신기를 통해 시청자 입력 신호를 송출할 수 있고 이는 방송 사업자에 의해 참조되어 새로운 시청자 친화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IPTV는 시청용 동영상 콘텐츠 외에도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형태의 콘텐츠를 수신하여 입력장치와 연동하여, 교육, 게임, 검색 서비스등을 제공하는 스마트 TV 기술로 발전하고 있는 형국이다.
이와 같이, IPTV와 같은 멀티미디어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휴대형 멀티미디어 장치 및 통신장치 또한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즉, 인터넷 및 무선 인터넷 환경 영역이 보다 넓어지고 활성화되면서, 이러한 환경에서 활용도가 높은 휴대형 장치인 스마트 폰의 사용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 폰이란 운영 체제를 갖추고 있는 휴대 단말로서, 운영 체제상에서 동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터넷 정보검색, 동영상, 그림 정보 등의 데이터 송, 수신 기능을 갖춘 휴대용 컴퓨터의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폰은 실제로 휴대전화와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의 장점을 합친 것으로, 휴대 전화기에 컴퓨터에서 간단하게 처리 가능한 형태의 프로그램 수행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폰의 가장 큰 특징은 운영체제(OS)를 탑재하여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이 가능하며, 무선접속장치(AP)가 설치된 곳의 일정 거리 안에서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무선랜(Wi-Fi; Wireless-Fidelity) 접속이 가능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스마트 폰은 터치 스크린 기능 또는 모션 인식 기능 등 다양한 입력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다양한 입력 기능을 가진 단말이 개발되고 있으나, 해당 단말에서만 그 입력 기능을 이용할 뿐, 스마트 TV와 같이 타 기기에서의 콘텐츠의 이용시에는 그 입력 기능을 이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 폰과 같은 입력 단말을 통해 실행하고자 하는 인터페이스를 적응형으로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에서 단말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적응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은, 자신의 프로파일 정보를 전송하는 입력 단말과, 상기 입력 단말로부터 수신된 프로파일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단말이 지원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인터페이스 중 상기 입력 단말에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검색 및 선정하여 선정된 인터페이스 정보를 상기 입력 단말 및 콘텐츠 제공 단말에 전송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인터페이스 정보에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디스플레이하는 콘텐츠 제공 단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적응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입력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수신된 프로파일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단말이 지원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검색 및 선정하고, 상기 검색 및 선정된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상기 입력 단말로 전송하는 제2 단계와, 인터페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 단말로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적응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입력 단말로부터 상기 입력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프로파일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입력 단말이 이용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식별하는 프로파일 분석부, 콘텐츠에 대응하여 이용 가능한 인터페이스들이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 상기 프로파일 분석부의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최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검색하여 선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검색부 및 상기 선정된 인터페이스 정보를 상기 입력 단말 송신하고, 상기 선정된 인터페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 단말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스마트 폰과 같은 입력 단말을 통해 실행하고자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음으로써, 스마트 TV에서 게임, 인터넷, 유투브와 같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최적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수의 입력 단말들에서 공통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음으로써 다수의 사용자가 공정한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에서 입력 단말, 서버 및 콘텐츠 제공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별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의 예시를 도시한 구성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통신 기능을 가지며 프로그램 설치 및 변경이 가능한 사용자 입력 단말을 이용하여 입력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와 사용자 프로파일을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는 사용 환경에 최적화된 개별 인터페이스를 적응적으로 판단하여 동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은 프로파일 정보를 콘텐츠 제공 단말로 전송하는 입력 단말(110)과, 상기 입력 단말로부터 수신된 프로파일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콘텐츠 제공 단말(130)과, 상기 입력 단말로부터 수신된 프로파일 정보를 분석하여 최적의 인터페이스 선정하여 상기 입력 단말 및 콘텐츠 제공 단말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제공 서버(12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 단말(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거나 입력된 명령을 송신하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와 같이 통신 모듈이 장착된 단말과, 또는 키보드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으나 통신 모듈이 장착되지 않는 단말을 포함한다.
이러한, 입력 단말은 자체의 프로파일 정보가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단말을 통해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입력 단말들 중 송수신 모듈이 장착된 단말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를 취합하여 콘텐츠 제공 단말 또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사용자가 키보드, 스마트 폰, 태블릿 PC와 같은 입력 단말을 통해서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스마트 폰은 각각의 입력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를 취합하여 서버로 직접 전송하거나, 콘텐츠 제공 단말의 셋탑 박스를 통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한 서버(120)는 수신된 프로파일 정보를 분석하여 각각의 입력 단말에 맞는 최적의 인터페이스를 선정하고, 선정된 인터페이스에 해당되는 인터페이스 정보를 상기 입력 단말 및 콘텐츠 제공 단말로 전송한다. 이러한, 서버(120)는 입력 단말로부터 단말 자신의 프로파일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를 통해서 최적화된 인터페이스를 검색 및 선정하거나, 콘텐츠 이용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최적의 사용자 입력 프로그램을 추천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입력 단말 및 콘텐츠 제공 단말(13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120)는 동일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입력 단말로부터 각각의 프로파일 정보가 수신되면,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최적화된 개별 인터페이스를 선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콘텐츠 제공 단말(130)은 입력 단말로부터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프로파일 정보를 인터넷 망을 통해서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수신된 인터페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130)은 수신된 인터페이스 정보에 해당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츠를 실행할 수 있는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단말(130)는 동영상과 같은 방송 콘텐츠 뿐 아니라, 게임, 검색, 채팅과 같이 응용 프로그램상에서 동작하는 콘텐츠를 포함하여 제공한다. 예를 들어, IPTV 또는 스마트 TV가 콘텐츠 제공 단말(13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입력 단말(110)은 콘텐츠 제공 단말(130)과 유, 무선 통신을 통해 콘텐츠 제공 단말(130)의 입력 장치로서 동작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유, 무선 통신은 USB 커넥션, IEEE 1394, 블루투스, UWB, 지그비, Wifi, 적외선 통신, RF 통신 등 다양한 기술이 채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에서 입력 단말, 인터페이스 제공 서버 및 콘텐츠 제공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은 자신의 프로파일 정보와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말(210)과,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단말 프로파일 정보와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 환경에 최적화된 개별 인터페이스를 선정하여 상기 단말 및 상기 단말로 제어되는 콘텐츠 제공 단말(230)로 전송하는 서버(220)와, 상기 서버로부터 선정된 개별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정보에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해당 모듈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콘텐츠 제공 단말(230)를 포함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에서 입력 단말, 서버 및 콘텐츠 제공 단말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력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게임, 인터넷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부(111)와, 상기 입력된 명령을 분석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이면, 단말 자신의 프로파일 정보와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송수신부(114)를 통해 서버 또는 셋탑 박스로 송신 제어하는 제어부(112)와, 상기 서버가 전송하고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113)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 단말(110)은 스마트 폰, 키보드, 리모콘, 태블릿, 조이스틱 등과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을 입력 받고 실행하기 위한 입력부를 구비된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부는 데이터 송신과 수신이 가능한 장치이며, 편의상 송수신부로 칭하였으나 송신부 및 수신부가 별도로 구현되어 있어도 가능하다.
만일, 입력 단말(110)이 데이터 입출력이 가능한 장치(예: 스마트 폰)라 할 경우, 상기 단말(110)의 제어부(112)는 각각의 장치들, 즉, 키보드, 리모콘, 태블릿의 프로파일 정보와 입력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취합하여 서버(120)로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입력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와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프로파일 정보라 통칭한다.
또한, 서버(120)는 단말로부터 단말 자신의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124)와, 상기 수신된 프로파일 정보를 분석하는 프로파일 분석부(122)와, 상기 분석된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를 통해서 최적화된 인터페이스를 검색 및 선정하거나, 어플리케이션 이용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최적의 사용자 입력 프로그램을 추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검색부(123)와, 상기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에 해당되는 다양한 인터페이스 정보,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츠를 저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저장부(121)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파일 분석부(122)는 수신된 프로파일 정보를 분석하여, 입력 단말이 이용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분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수신된 프로파일 정보를 분석하여 입력 단말(110)이 터치 스크린과 모션 센싱 기능을 가진 스마트폰 인 것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파일 분석부(122)는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자 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말로부터 각각의 프로파일 정보가 수신되면,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식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각각의 입력 단말은 키보드, 리모콘, 스마트 폰, 태블릿등과 같이 다양하기 때문에, 프로파일 분석부(122)는 각 사용자 별로 입력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를 분석하고,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후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2명 이상의 사용자가 각각 서로 다른 입력 단말(예: 리모콘, 스마트 폰)을 통해서 한자(漢字) 맞추기 교육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자 한다면, 각 단말로부터 수신된 프로파일 정보를 통해서 각 단말이 쓰기 기능이 지원되는지 분석한다. 그런데, 리모콘에는 이러한 기능은 제공될 수 없고, 다만 번호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은 제공되기 때문에, 한자 맞추기 교육 어플리케이션은 객관식으로 답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또는 콘텐츠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예에서는 리모콘은 쓰기 기능이 지원되지 않기 때문에, 서버로 전송되는 프로파일 정보에는 이러한 쓰기 기능을 할 수 없다는 정보가 포함되지만, 반면에 번호키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번호키 입력이 가능하다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스마트 폰에는 쓰기 기능뿐만 아니라 번호키 입력 기능이 지원되기 때문에, 이를 포함한 모든 이용 가능한 기능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프로파일 분석부(122)는 각 단말별로 가능한 기능을 분석하여 모든 단말이 공통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어떤 것이 있는지 식별할 수 있다.
이렇게 식별된 인터페이스 중 가장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UI 검색부(123)이 저장된 UI DB(121)로부터 검색한다.
UI DB(121)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이나 콘텐츠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저장되어 있다. UI 검색부(123)는 프로파일 분석부(222)에서 식별된 이용 가능한 인터페이스의 속성을 가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UI DB(121)로부터 검색하여 최적의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여 송수신부(124f를 통해 콘텐츠 제공 단말(13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입력 단말 (110)가 요청하는 콘텐츠가 아케이드 게임이고, 터치 스크린이 지원되는 스마트 폰인 경우, 프로파일 분석부(122)는 프로파일 정보를 분석하여 입력 단말(110)이 지원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식별한다. 이것이 식별되면 UI 검색부(122)는 UI DB(121)로부터 상기 아케이드 게임에 가장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검색한다. 상기 가장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4 방향 이동 키와 액션 버튼을 가진 화면 터치 방식의 가상의 게임 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UI 검색부(123)는 해당 인터페이스의 프로그램을 입력 단말(110)로 전송한다.
상기 가장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우선 순위는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사전에 부여될 수 있으며, 또는 콘텐츠 제작자와 무관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편리함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이에 미리 순위가 부여될 수도 있다.여기서, 콘텐츠 제공 단말(130)는 서버로부터 콘텐츠 및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131)와, 수신된 인터페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132)와, 수신된 인터페이스 정보에 해당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츠를 실행할 수 있는 모듈이 구비된 콘텐츠 구동부(134)와, 서버로부터 수신된 인터페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 제어하는 제어부(133)를 포함한다.
콘텐츠 제공 단말(130)에 전송된 인터페이스 정보는 입력단말(110)에 전송된 인터페이스와 상호 연동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구동 프로그램(driver)이 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단말(130)은 입력 단말(110)의 성능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된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수신하고, 입력 단말(110)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전술한 예시와 같이, 4 방향 이동 키와 액션 버튼을 가진 화면을 인터페이스로 입력 단말(110)에 제공하였다면, 콘텐츠 제공 단말(130)는 상기 이동키와 액션 버튼을 터치함에 의해 발생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아케이드 게임의 캐릭터를 제어하게 될 것이다.
이 때 콘텐츠 제공 단말(130)은 유선 또는 무선 근거리 통신을 통해 입력 단말(110)으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입력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와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한다(S310). 상기 입력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는 스마트 폰과 같은 입력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 뿐만 아니라, 입력 단말의 고유 식별자, 입력 단말의 시스템 정보, 입력 단말이 구동 가능한 인터페이스 정보, 입력 단말을 통해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스템 정보는 상기 입력 단말이 지원할 수 있는 입력 기능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입력 단말의 제조 회사 및 모델명을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수신된 입력 단말 프로파일 정보와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분석한다(S312). 즉, 상기 서버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프로파일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단말 즉, 입력 단말이 지원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식별한다.
그리고, 상기 과정(S312)에서 분석된 정보를 통해 지원 가능한 인터페이스가 식별되면, 서버는 UI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인터페이스 중 입력 단말이 이용 가능한 최적의 인터페이스를 검색하고 선정한다(S314).
여기서 만일, 적어도 2개 이상의 입력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프로파일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입력 단말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선정한다. 상기 선정된 인터페이스 정보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입력 단말에서 공통으로 동작될 수 있다. 만일, 단말로부터 오직 하나의 입력 단말에 대한 프로파일 정보가 수신되더라도, 상기 과정(S312)에서 수행했던 것처럼, 수신된 프로파일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입력 단말에 적용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선정한다.
그리고, 선정된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전송한다(S316). 즉, 상기 서버는 오직 하나의 입력 단말 또는 적어도 2개의 입력 단말들에서 공통적으로 동작되는 인터페이스가 선정되면, 선정된 인터페이스의 정보와 상기 선정된 인터페이스에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입력 단말 또는 콘텐츠 제공 단말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의 예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할 때, 하나의 콘텐츠를 복수의 입력 단말의 사용자가 사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그 외에 기능 및 동작은 동일하다. 따라서, 시스템의 기능 및 동작에 대해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예시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3명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가 스마트 폰(410a)을 사용하고, 제2 사용자가 키보드(410b)를 사용하고, 제3 사용자가 태블릿 PC(410c)를 사용하여 한자 맞추기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츠를 이용한다고 가정하자. 이런 경우, 3명의 사용자는 공통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츠가 정해지면, 3개의 입력 단말들 중에서 유무선 통신 기능이 제공되는 단말 즉, 스마트 폰(410a)은 각각의 입력 단말들의 프로파일 정보를 취합한다(S400). 다시 말하면, 상기 스마트 폰(410a)는 키보드(410b)와 태블릿 PC(410c)의 제조 회사, 모델명 및 각각의 입력 단말들이 지원 가능한 입력 모듈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취합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410a)는 숫자, 한글, 영문, 기호와 같은 문자를 입력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성 인식도 가능하고, 터치 기능도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입력 가능 모듈 정보와, 자신의 모델명, 제조 회사 등 자신만의 고유 정보를 저장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스마트 폰(410a)은 입력 단말이 키보드(410b)일 경우, 입력 모듈이 숫자, 한글, 영문, 기호와 같은 문자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입력 가능 모듈 정보 역시 저장한다. 마찬가지로, 태블릿 PC(410c)의 경우도 스마트 폰(410a)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입력 가능 모듈이 구비되어 있으며, 스마트 폰(410a)은 태블릿 PC(410c)의 이러한 입력 가능 모듈 정보를 저장한다.
이와 같이, 스마트 폰(410a)은 이러한 입력 단말들 각각의 입력 가능 모듈 정보와, 모델명, 제조 회사와 같은 고유 정보가 저장되면, 저장된 정보를 서버(420)로 직접 전송하거나 또는 콘텐츠 제공 단말의 셋탑 박스를 통해 서버(420)로 전송한다. 상기 프로파일 정보에는 이러한 입력 가능 모듈 정보 뿐만 아니라, 3개의 입력 단말을 통해 실행하고자 하는 한자 맞추기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스마트 폰(410a)이 프로파일 정보를 취합하여 서버(420)로 전송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는 단지 실시 예일 뿐, 태블릿 PC가 이러한 각각의 입력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를 취합하여 서버(4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420)는 스마트 폰(410a) 또는 태블릿 PC(410c)와 같은 입력 단말로부터 취합된 프로파일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프로파일 정보를 분석하여 모든 입력 단말이 공통으로 지원 가능한 입력 모듈, 즉 인터페이스를 검색한다(S410). 즉, 스마트 폰(410a)의 프로파일 정보에는 입력 모듈이 숫자, 한글, 영문, 기호와 같은 문자 입력, 음성 인식, 및 터치 기능이 지원됨을 확인하고, 키보드(410b)의 프로파일 정보에는 입력 모듈이 숫자, 한글, 영문, 기호와 같은 문자 입력이 지원됨을 확인하고, 태블릿 PC(410c)의 프로파일 정보에는 스마트 폰(410a)와 같이 숫자, 한글, 영문, 기호와 같은 문자 입력, 음성 인식, 및 터치 기능의 입력 모듈이 지원됨을 확인한다. 이러한 각 입력 단말 별로 입력 모듈이 확인되면, 3개의 입력 단말이 공통으로 지원 가능한 입력 모듈에 해당되는 인터페이스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인터페이스 정보와 상기 검색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동되는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 단말(430) 및 스마트 폰(410a)으로 전송한다(S420).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430)는 상기 서버(420)로부터 수신된 인터페이스 및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이, 3개의 입력 단말이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한자 맞추기와 같은 콘텐츠가 콘텐츠 제공 단말(430)에서 디스플레이되면, 각각의 입력 단말들을 통해 디스플레이된 한자 맞추기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사용자가 콘텐츠를 이용하여 상호 경합을 벌이거나, 성적이 산출되는 테스트용 콘텐츠를 이용하는 경우, 입력 단말의 성능에 무관하게 공평한 콘텐츠 이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 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 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 휘발성, 분리형 및 비 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입력 단말
120: 인터페이스 제공 서버
130: 콘텐츠 제공 단말

Claims (11)

  1. 적응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자신의 프로파일 정보를 전송하는 입력 단말과,
    상기 입력 단말로부터 수신된 프로파일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단말이 지원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인터페이스 중 상기 입력 단말에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검색 및 선정하여 선정된 인터페이스 정보를 상기 입력 단말 및 콘텐츠 제공 단말에 전송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인터페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실행 및 디스플레이하는 콘텐츠 제공 단말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정보는
    상기 단말의 고유 식별자, 상기 단말의 시스템 정보, 상기 단말이 구동 가능한 인터페이스 정보 및 상기 단말을 통해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정보는
    상기 단말이 지원할 수 있는 입력 기능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단말의 제조 회사 및 모델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프로파일 정보에 포함된 단말의 시스템 정보 및 상기 단말이 구동 가능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통해서 상기 단말에서 동작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정보를 식별하는 것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인터페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6. 적응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입력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수신된 프로파일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단말이 지원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검색 및 선정하고, 상기 검색 및 선정된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상기 입력 단말로 전송하는 제2 단계와,
    인터페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 단말로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수신된 프로파일 정보에 포함된 단말의 시스템 정보 및 상기 단말이 지원 가능한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에서 동작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식별된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저장된 인터페이스 중 최적의 인터페이스를 검색 및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프로파일 정보를 전송한 입력 단말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의 입력 단말이 공통적으로 지원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최적의 인터페이스를 검색 및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0. 적응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입력 단말로부터 상기 입력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프로파일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입력 단말이 이용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식별하는 프로파일 분석부,
    콘텐츠에 대응하여 이용 가능한 인터페이스들이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
    상기 프로파일 분석부의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최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검색하여 선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검색부 및
    상기 선정된 인터페이스 정보를 상기 입력 단말 송신하고, 상기 선정된 인터페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 단말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적응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서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정보를 전송한 입력 단말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프로파일 분석부는 상기 복수의 입력 단말이 공통적으로 지원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검색부는, 상기 식별된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최적의 인터페이스를 검색하는 것인 적응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서버.
KR1020110077608A 2011-08-04 2011-08-04 서비스 대응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155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608A KR20130015560A (ko) 2011-08-04 2011-08-04 서비스 대응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608A KR20130015560A (ko) 2011-08-04 2011-08-04 서비스 대응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560A true KR20130015560A (ko) 2013-02-14

Family

ID=47895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608A KR20130015560A (ko) 2011-08-04 2011-08-04 서비스 대응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55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940B1 (ko) * 2018-10-31 2020-02-0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ar hmd의 통합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는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940B1 (ko) * 2018-10-31 2020-02-0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ar hmd의 통합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37840A (zh) 语音控制方法及显示设备
AU2013360531A1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KR20100066932A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284494B2 (ja) 携帯端末とテレビジョン装置による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テレビジョン装置、携帯端末の通信方法、携帯端末の動作プログラム
US201403378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ing media content consumption status in a group of users
JP5524246B2 (ja) 携帯端末、携帯端末のアドレス送信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4236391A (ja) 表示制御装置、文書管理サーバ、及び放送送出装置
KR101184754B1 (ko) 적응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729407B1 (ko) 통합 채널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5296229B2 (ja) 携帯端末とテレビジョン装置による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テレビジョン装置、携帯端末の通信方法、携帯端末の動作プログラム
US20130254808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EP3076678A1 (en) Display apparatus for search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212404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KR20100050067A (ko) Iptv에서 리모콘을 이용한 검색 방법 및 문자 입력 방법
US9398324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13542899A (zh) 信息展示方法、显示设备、服务器
US2014033125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etworking media content consumption status in a group of users
CA280005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roadcast service
KR10251152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30015560A (ko) 서비스 대응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000901B1 (ko)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는 터치패널을 구비한 리모콘이 적용된 iptv 및 이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US9554192B2 (en) Information terminal system
KR20130015561A (ko) 서비스 환경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2802058A (zh) 信息共享系统、信息共享方法及其电视装置
KR20130015559A (ko) 적응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