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5235A - 지도 기반의 앱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지도 기반의 앱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5235A
KR20130015235A KR1020110077116A KR20110077116A KR20130015235A KR 20130015235 A KR20130015235 A KR 20130015235A KR 1020110077116 A KR1020110077116 A KR 1020110077116A KR 20110077116 A KR20110077116 A KR 20110077116A KR 20130015235 A KR20130015235 A KR 20130015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
location
information
smart terminal
gen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3469B1 (ko
Inventor
이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077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469B1/ko
Priority to US13/565,091 priority patent/US20130036429A1/en
Publication of KR20130015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지도 기반의 앱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앱 유통 시스템이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앱(이하 "로케이션 앱"이라 함)을 유통하는 방법에서, 스마트 단말의 접속이 있는 경우, 상기 스마트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앱 유통 시스템은 획득되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일정 반경 이내에 해당되는 위치 정보를 갖는 로케이션 앱을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되는 상기 로케이션 앱을 지도를 통해 위치 기반으로 또는 증강현실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단말에 표시한다.

Description

지도 기반의 앱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circulating application based on map and Methof thereof}
본 발명은 지도 기반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하 "앱"이라고도 함)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활발하게 개발되어 출시되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단말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또한, 앱스토어나 안드로이드 마켓과 같은 온라인 마켓을 통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 앱을 무료 유료로 구매하여 다운로드한 후 스마트 단말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앱의 유통이 온라인 마켓 등에서 단순 검색이나 시멘틱 기법을 활용한 추천에 의한 유통 방식으로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 단말에서 사용되는 앱에 대해 보다 다양한 방식을 통한 유통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 단말에서 사용되는 앱을 앱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지도나 증강현실 기반으로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단순한 검색에 의한 유통 방식을 벗어나 사용자들이 쉽게 자신의 생활환경에서 필요한 실질적인 앱들을 제공받을 수 있는 지도 기반의 앱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앱 유통 시스템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앱(이하 "로케이션 앱"이라 함)을 유통하는 시스템으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로케이션 앱을 등록하거나 로케이션 앱이 아닌 일반 앱을 로케이션 앱으로 변환하여 등록하는 로케이션 앱 등록부; 및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이 접속되는 경우, 상기 로케이션 앱 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로케이션 앱들 중에서 상기 스마트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검색된 로케이션 앱들을 상기 스마트 단말상에서 지도를 통한 위치 기반으로 표시하거나 증강현실 기반으로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로케이션 앱을 상기 스마트 단말로 제공하는 로케이션 앱 다운로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로케이션 앱 다운로드부는 상기 스마트 단말로 로케이션 앱을 유통하는데 사용되는 유통 앱을 제공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유통 앱을 통해 접속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로케이션 앱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앱 유통 시스템은 로케이션 앱 개발에 필요한 로직과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하는 로케이션 앱 컴포넌트를 포함하며, 외부의 개발자들의 요청에 따라 상기 로케이션 앱 컴포넌트를 제공하는 로케이션 앱 개발 지원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앱 유통 시스템은 로케이션 앱들을 지도상에 표시하기 위한 지도 자료를 저장하는 지도 DB(Database); 상기 로케이션 앱 등록부를 통해 등록되는 로케이션 앱을 저장하는 로케이션 앱 DB; 상기 로케이션 앱 등록부를 통해 등록되는 일반 앱을 저장하는 일반 앱 DB; 및 상기 로케이션 앱 DB에 저장되어 있는 로케이션 앱에 대응되는 정보와 상기 일반 앱 DB에 저장되어 있는 일반 앱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로케이션 앱 정보 DB를 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로케이션 앱 등록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로케이션 앱을 상기 로케이션 앱 다운로드부로 전달하여 시험을 요청하고, 시험 결과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로케이션 앱에 대한 등록 처리를 수행하는 앱 등록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일반 앱을 상기 일반 앱에 대응되어 함께 입력되는 정보-여기서 정보에는 위치 정보 및 부가설명 이미지가 포함됨-에 기초하여 로케이션 앱으로 변환하여 등록 처리를 수행하는 앱 변환부; 및 상기 앱 등록부로부터 전달되는 로케이션 앱을 상기 로케이션 앱 DB에 저장하고, 해당 로케이션 앱에 포함되어 있는 위치 정보 및 부가설명 이미지를 추출하여 상기 로케이션 앱 정보 DB에 저장하며, 상기 앱 변환부로부터 전달되는 일반 앱을 상기 일반 앱 DB에 저장하고, 해당 일반 앱과 함께 입력되는 정보를 상기 로케이션 앱 정보 DB에 저장하는 앱 정보 분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앱 변환부는 상기 일반 앱을 상기 로케이션 앱 다운로드부로 전달하여 시험을 요청하고, 시험 결과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일반 앱에 대한 등록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케이션 앱 다운로드부는, 스마트 단말의 접속이 있는 경우, 상기 스마트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앱 다운로드부; 상기 앱 다운도르부에 의해 획득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일정 반경 이내에 해당되는 위치 정보를 갖는 로케이션 앱을 상기 로케이션 앱 정보 DB를 통해 검색하여 상기 앱 다운로드부로 전달하는 앱 검색부; 및 상기 지도 DB 내에 저장되어 있는 지도 정보를 통해 표시될 로케이션 앱의 부가설명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는 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앱 다운로드부는 상기 앱 검색부로부터 전달되는 로케이션 앱을 상기 지도 DB에 저장되어 있는 지도 자료를 통해 위치 기반으로 표시하거나 증강현실에 기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앱 다운로드부는 상기 로케이션 앱 등록부로부터 전달되는 로케이션 앱을 해당되는 위치 정보에 따라 지도상에 표시되는지와 해당 로케이션 앱이 다운로드 제공이 가능한지를 시험하고, 그 시험 결과를 상기 로케이션 앱 등록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케이션 앱 정보 DB는, 로케이션 앱이나 일반 앱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나타내며, 위치 정보인 경도 및 위도를 연결하여 생성되는 식별자를 나타내는 식별자 필드; 로케이션 앱이나 일반 앱의 이름을 나타내는 앱 이름 필드; 로케이션 앱이나 일반 앱이 저장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앱 저장위치 정보 필드; 로케이션 앱이나 일반 앱의 부가설명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부가설명 이미지 저장위치 정보 필드; 및 로케이션 앱이나 일반 앱을 설명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앱 상세정보 필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앱 유통 방법은,
앱 유통 시스템이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앱(이하 "로케이션 앱"이라 함)을 유통하는 방법으로서, 외부로부터 로케이션 앱이나 로케이션 앱이 아닌 일반 앱에 대한 등록 요청을 받는 단계; 등록 요청된 로케이션 앱이나 일반 앱에 대해 대응되는 위치 정보에 따라 지도상에 표시되는지와 다운로드 제공이 가능한지를 시험하는 단계; 및 상기 시험의 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 등록 요청된 로케이션 앱이나 일반 앱을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등록 요청을 받는 단계에서, 등록 요청된 앱이 일반 앱인 경우, 해당 일반 앱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 및 부가설명 이미지를 함께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등록하는 단계에서, 등록 요청된 앱이 일반 앱인 경우, 해당 일반 앱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 및 부가설명 이미지를 해당 앱에 대응되도록 하는 로케이션 앱으로의 변환을 통해 해당 일방 앱을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등록 요청을 받는 단계 전에, 외부의 개발자들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로케이션 앱 개발에 필요한 로직과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하는 로케이션 앱 컴포넌트를 상기 외부의 개발자들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앱 유통 방법은,
앱 유통 시스템이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앱(이하 "로케이션 앱"이라 함)을 유통하는 방법으로서, 스마트 단말의 접속이 있는 경우, 상기 스마트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되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일정 반경 이내에 해당되는 위치 정보를 갖는 로케이션 앱을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되는 상기 로케이션 앱을 지도를 통해 위치 기반으로 또는 증강현실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로케이션 앱을 유통하는데 사용되는 유통 앱을 통해 상기 앱 유통 시스템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로케이션 앱에 해당되는 부가설명 이미지를 지도상에 또는 증강현실 기반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단말에 표시되는 지도의 배율에 따라 표시되는 로케이션 앱의 부가설명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승인을 받아서 상기 스마트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들이 기존의 단순한 검색에 의한 유통 방식을 벗어나 앱에 해당되는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앱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이 쉽게 자신의 생활환경에서 필요한 실질적인 앱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 기반의 앱 유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케이션 앱 정보 DB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 기반의 앱 유통 시스템에서 로케이션 앱 개발자가 로케이션 앱을 개발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 기반의 앱 유통 시스템에서 로케이션 앱을 등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 기반의 앱 유통 시스템에서 일반 앱을 로케이션 앱으로 변환하여 등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 기반의 앱 유통 시스템에서 tm마트 단말에 대해 로케이션 앱의 다운로드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로케이션 앱 정보 DB에 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에 대한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케이션 앱 유통 시스템에서 지도 기반의 로케이션 앱 표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케이션 앱 유통 시스템에서 증강현실 기반의 로케이션 앱 표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케이션 앱 유통 시스템에서의 다운로드형 로케이션 앱 검색 및 설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케이션 앱 유통 방법에 따라 스마트 단말에서 다운로드형 로케이션 앱이 설치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케이션 앱 유통 시스템에서의 인-앱(In-App)형 로케이션 앱 검색 및 설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케이션 앱 유통 방법에 따라 스마트 단말에서 인-앱형 로케이션 앱이 설치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은 휴대 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 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로서, 기존 이동 단말에 비해 대용량의 메모리와 고성능 CPU(Central Processing Unit)가 탑재되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음성/데이터 통신 및 PC(Personal Computer) 연동 등을 지원하기 위한 운영체제(OS)가 탑재된 단말을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게 되면, 기존 이동 단말과 달리 인터넷 이용이 매우 자유롭다. 특히, 스마트 단말은 사용자가 원하는 앱을 외부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 기반의 앱 유통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 전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단말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앱에 현실 세계의 위치 정보(주소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포함시킨 위치 정보 기반의 앱을 "로케이션 앱"(Location App)이라고 설정하여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 기반의 앱 유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 유통 시스템(100)은 로케이션 앱 개발 지원부(110), 로케이션 앱 등록부(120), 로케이션 앱 다운로드부(130) 및 데이터베이스(Database, 이하 "DB"라고 함)(140)를 포함한다.
로케이션 앱 개발 지원부(110)는 로케이션 앱 개발에 필요한 로직과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하는 로케이션 앱 컴포넌트(111)를 저장하고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한 로케이션 앱 개발자들의 접속 후 요청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로케이션 앱 컴포넌트(111)를 개발자들에게 제공하고, 로케이션 앱 개발자들은 이러한 로케이션 앱 컴포넌트(111)를 다운받아서 로케이션 앱을 개발한다. 여기서, 로케이션 앱 개발 지원부(110)가 로케이션 앱 컴포넌트(111)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만 설명하였으나, 로케이션 앱 개발 지원부(110)가 외부 개발자들로부터 로케이션 앱 컴포넌트 제공 요청을 받아서 로케이션 앱 컴포넌트(111)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로케이션 앱 등록부(120)는 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해 외부의 개발자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로케이션 앱을 입력받아서 등록하거나 또는 일반 앱을 로케이션 앱으로 변환하여 등록한다. 여기서, 로케이션 앱 등록부(120)가 일반 앱을 로케이션 앱으로 변환하여 등록하는 것은, 외부로부터 일반 앱을 제공받으면서, 동시에 일반 앱을 지도 위에 표시할 수 있는 위치 정보와 부가설명(annotation) 이미지를 제공받아서 이들을 링크시켜서 로케이션 앱으로 등록하는 것이 해당된다.
로케이션 앱 등록부(120)는 등록되는 로케이션 앱들을 로케이션 앱의 정보에 따라 분류하여 DB(140)에 저장한다.
또한, 로케이션 앱 등록부(120)는 로케이션 앱의 저장 전에, 등록 요청되는 로케이션 앱을 로케이션 앱 다운로드부(130)로 전달하여 로케이션 앱이 지도상에서 해당 위치에 정확히 잘 표시되고 다운로드에 이상이 없는지를 시험하여 이상이 없다고 결과가 전달되는 경우에만 해당 로케이션 앱을 저장하여 등록 완료 처리한다.
이러한 로케이션 앱 등록부(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1), 앱 등록부(123), 앱 변환부(125) 및 앱 정보 분류부(127)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1)는 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한 외부의 개발자들에 대해 로케이션 앱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앱 등록부(12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외부의 앱 개발자로부터 등록하고자 하는 로케이션 앱을 입력받아서 해당 로케이션 앱의 등록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등록 처리는 입력된 로케이션 앱을 로케이션 앱 다운로드부(130)로 전달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시험을 요청하고, 해당 로케이션 앱에 대해 로케이션 앱 다운로드부(130)로부터 시험 결과 이상이 없는 것으로 응답되는 경우 해당 로케이션 앱을 앱 정보 분류부(127)로 전달하는 것이다.
앱 변환부(125)는 일반 앱을 로케이션 앱으로 등록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외부의 앱 개발자로부터 등록하고자 하는 일반 앱과, 일반 앱에 해당되는 위치 정보 및 부가설명 이미지를 입력받아서 해당 일반 앱에 대한 등록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등록 처리는 입력된 일반 앱과, 일반 앱에 해당되는 위치 정보 및 부가 설명 이미지를 로케이션 앱 다운로드부(130)로 전달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시험을 요청하고, 해당 일반 앱에 대해 로케이션 앱 다운로드부(130)로부터 시험 결과 이상이 없는 것으로 응답되는 경우 해당 일반 앱과, 일반 앱에 해당되는 위치 정보 및 부가 설명 이미지를 앱 정보 분류부(127)로 전달하는 것이다.
앱 정보 분류부(127)는 앱 등록부(123)로부터 전달되는 로케이션 앱을 전달받아서 DB(140)에 저장하고, 로케이션 앱에 포함되어 있는 위치 정보(위도 및 경도), 부가설명 이미지 등과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여 분류하여 DB(140)에 저장한다.
또한, 앱 정보 분류부(127)는 앱 변환부(125)로부터 전달되는 일반 앱을 전달받아서 DB(140)에 저장하고, 일반 앱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위도 및 경도), 부가설명 이미지 등과 관련된 정보를 분류하여 DB(140)에 저장한다.
로케이션 앱 다운로드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 기반의 앱 유통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로케이션 앱 유통 앱을 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300)로 제공하고, 이러한 로케이션 앱 유통 앱의 실행을 통해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300)을 사용하여 접속하는 경우, 해당 스마트 단말(300)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스마트 단말(300)을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속하는 위치 정보를 갖는 로케이션 앱들을 지도상에 표시하고, 지도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로케이션 앱을 DB(140)로부터 추출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300)로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300) 상에서의 선택은 예를 들어, 스마트 단말상에서의 지도 스위핑(sweeping)과 태핑(tapping)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일 수 있다.
로케이션 앱 다운로드부(130)는 로케이션 앱 등록부(120)로부터 로케이션 앱 등록을 위해 전달되는 로케이션 앱이 해당되는 위치 정보에 따라 지도 상에 정확하게 표시되는지 그리고, 해당 로케이션 앱이 다운로드 제공이 가능한지를 시험하고, 그 시험 결과를 로케이션 앱 등록부(120)로 전달한다. 여기서, 로케이션 앱을 위치 정보에 따라 지도 상에 표시하고, 해당 로케이션 앱의 다운로드 제공이 가능한지를 시험하는 것에 대해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는 일반적인 구성을 사용하여 시험 가능하므로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로케이션 앱 다운로드부(130)는 사용자 스마트 단말(300)의 접속에 따라 사용자 스마트 단말(300)에 지도를 통해 로케이션 앱을 표시할 때 지도 배율에 따라 로케이션 앱의 부가설명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여 표시한다.
또한, 로케이션 앱 다운로드부(130)는 사용자 스마트 단말(300)의 접속에 따라 증강현실 기반으로 로케이션 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증강현실 기반의 표시에 대해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증강현실 기반으로 로케이션 앱을 표시할 때, 사용자 스마트 단말(300)과 로케이션 앱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에 따라 부가설명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여 표시한다.
이러한 로케이션 앱 다운로드부(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1), 앱 다운로드부(133), 앱 검색부(135) 및 조정부(137)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1)는 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한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300)에 대해 로케이션 앱 다운로드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앱 다운로드부(133)는 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해 스마트 단말(300)의 접속이 있는 경우, 스마트 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되는 위치 정보를 앱 검색부(135)로 전달하고, 앱 검색부(135)에 의해 검색된 로케이션 앱들을 지도상에 표시하고, 스마트 단말(300)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로케이션 앱을 DB(140)로부터 추출하여 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300)로 제공한다. 여기서, 앱 다운로드부(133)가 스마트 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기술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앱 검색부(135)는 앱 다운로드부(133)로부터 전달되는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속하는 위치 정보를 갖는 로케이션 앱을 검색하여 앱 다운로드부(133)로 전달한다.
조정부(137)는 앱 다운로드부(133)에서 검색된 로케이션 앱을 지도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300)로 표시할 때 스마트 단말(300) 상에 표시되는 지도 배율에 따라 로케이션 앱의 부가설명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여 앱 다운로드부(133)로 제공한다.
앱 다운로드부(133)는 로케이션 앱 등록부(120)로부터 로케이션 앱 등록을 위해 전달되는 로케이션 앱이 전달되는 경우, 해당 로케이션 앱에 해당되는 위치 정보에 따라 지도 상에 정확하게 표시되는지 그리고, 해당 로케이션 앱이 다운로드 제공이 가능한지를 시험하고, 그 시험 결과를 로케이션 앱 등록부(120)로 전달한다.
한편, DB(140)는 지도 DB(141), 로케이션 앱 DB(143), 일반 앱 DB(145) 및 로케이션 앱 정보 DB(147)를 포함한다.
지도 DB(141)는 로케이션 앱들을 지도 기반으로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도 자료를 저장한다. 이러한 지도 자료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는 지도 자료들을 사용하여도 좋으므로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로케이션 앱 DB(14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지도 기반으로 앱을 표시할 수 있도록 로케이션 앱 컴포넌트(111)를 사용하여 제작된 로케이션 앱을 저장한다.
일반 앱 DB(14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로케이션 앱 컴포넌트(111)를 사용하여 제작된 로케이션 앱이 아니라, 종래 방식에 따라 제작된 일반적인 앱을 저장한다.
로케이션 앱 정보 DB(147)는 로케이션 앱 다운로드부(130)가 지도 상에 로케이션 앱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로케이션 앱의 정보를 저장한다. 로케이션 앱 정보 DB(147)는 로케이션 앱 등록부(120)의 앱 정보 분류부(127)에 의해 로케이션 앱에 포함된 위치 정보(위도 및 경도), 부가설명 이미지 등의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일반 앱의 경우에는 일반 앱 등록시 함께 입력되는 위치 정보, 부가설명 이미지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로케이션 앱 정보 DB(147)의 예는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케이션 앱 정보 DB(147)는 식별자 필드, 앱 이름 필드, 앱 저장위치 정보 필드, 부가설명 이미지 저장위치 정보 필드, 앱 상세정보 필드 등을 포함한다.
식별자 필드는 로케이션 앱이나 일반 앱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나타내며, 위치 정보인 경도 및 위도를 연결하여 생성된다.
앱 이름 필드는 해당되는 로케이션 앱이나 일반 앱의 이름을 나타낸다.
앱 저장위치 정보 필드는 해당 로케이션 앱이나 일반 앱이 저장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낸다.
부가설명 이미지 저장위치 정보는 해당 로케이션 앱이나 일반 앱의 부가설명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낸다.
앱 상세정보 필드는 로케이션 앱이나 일반 앱을 설명하는 정보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 기반의 앱 유통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로케이션 앱 개발자가 로케이션 앱을 개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지도 기반으로 앱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300)로 제공하고자 하는 앱 개발자들이 로케이션 앱 개발을 위해 앱 유통 시스템(100)의 로케이션 앱 개발 지원부(110)로 접속하면(S310), 로케이션 앱 개발 지원부(110)는 내부에 저장하고 있는 로케이션 앱 컴포넌트(111)를 접속한 앱 개발자에게 제공한다(S320). 이 때, 앱 개발자들은 로케이션 앱 개발을 위해 앱 유통 시스템(100)의 회원으로서 가입되어 있어 로케이션 앱 개발 지원부(110) 접속시 로그인한 후 로케이션 앱 컴포넌트(111)를 제공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앱 개발자들은 로케이션 앱 유통 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되는 로케이션 앱 컴포넌트를 자신들의 통합 개발 환경(Integrated Ddevelopment Environment:IDE)에 임포트한 후(S330), 로케이션 앱 컴포넌트(111)의 라이브러리를 통해 개발 앱에 위치 정보를 입력하여 로케이션 앱을 완성한다(S340).
다음, 도 4를 참조하여 로케이션 앱을 로케이션 앱 유통 시스템(100)에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로케이션 앱 개발 방법에 따라 로케이션 앱을 개발한 개발자가 개발한 로케이션 앱을 로케이션 앱 유통 시스템(100)에 등록하기 위해 로케이션 앱 등록부(120)에 접속하여 로케이션 앱의 등록을 요청한다(S410).
따라서, 로케이션 앱 등록부(120)의 앱 등록부(123)는 등록할 로케이션 앱과 관련된 정보(이하 "로케이션 앱 정보"라고 함), 예를 들어 앱 이름, 앱 상세정보 등을 입력받고, 또한 등록할 로케이션 앱을 업로드받아서 로케이션 앱 등록 요청을 접수한다(S420).
그 후, 앱 등록부(123)는 업로드된 로케이션 앱과 입력된 로케이션 앱 정보들을 검토한 후(S430), 이상이 없으면(S440), 로케이션 앱과 로케이션 앱 정보들을 로케이션 앱 다운로드부(130)로 전달하여 시험을 요청한 후 시험 결과를 받는다(S450).
만약 로케이션 앱 다운로드부(130)로부터의 시험 결과, 이상이 없으면(S460) 앱 등록부(123)는 등록 요청된 로케이션 앱에 대한 등록 처리를 수행한다(S470). 여기서, 등록 처리는 앱 등록부(123)가 등록할 로케이션 앱과 로케이션 앱 정보를 앱 정보 분류부(127)로 전달하고, 앱 정보 분류부(127)가 로케이션 앱을 전달받아서 DB(140)의 로케이션 앱 DB(143)에 저장하고, 로케이션 앱에서 추출된 위치 정보와 로케이션 앱 정보를 사용하여 로케이션 앱 정보 DB(147)에 해당 로케이션 앱에 대응되는 정보로써 저장하는 처리가 해당된다.
한편, 상기 단계(S440, S460)에서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로케이션 앱의 등록을 종료한다.
다음, 도 5를 참조하여 일반 앱을 로케이션 앱으로 변환하여 로케이션 유통 시스템(100)에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일반 앱을 로케이션 앱으로 등록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일반 앱을 로케이션 앱 유통 시스템(100)에 등록하기 위해 로케이션 앱 등록부(120)에 접속하여 일반 앱의 로케이션 앱으로의 등록을 요청한다(S510).
따라서, 로케이션 앱 등록부(120)의 앱 변환부(125)는 등록할 일반 앱(바이너리)을 지도 위에 표시하기 위한 위치 정보, 지도 위에 표시할 부가설명 이미지, 예를 들어 10×10 크기의 부가설명 이미지, 그리고 일반 앱과 관련된 정보(이하 "일반 앱 정보"라고 함), 예를 들어 앱 이름, 앱 상세정보 등을 입력받고, 또한 등록할 일반 앱을 업로드받아서 일반 앱의 로케이션 앱으로의 등록 요청을 접수한다(S520). 여기서, 앱 변환부(125)는 사용자가 위치 정보를 GPS 정보로 알지 못하여 입력하지 않는 경우, 주소로 입력하도록 하고, 주소가 입력되는 경우 주소를 해당되는 GPS 정보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앱 변환부(125)는 일반 앱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그 후, 앱 변환부(125)는 업로드된 일반 앱, 위치 정보, 부가설명 이미지와 입력된 일반 앱 정보들을 검토한 후(S530), 이상이 없으면(S540), 일반 앱, 위치 정보, 부가설명 이미지와 일반 앱 정보들을 로케이션 앱 다운로드부(130)로 전달하여 시험을 요청한 후 시험 결과를 받는다(S550).
만약 로케이션 앱 다운로드부(130)로부터의 시험 결과, 이상이 없으면(S560) 앱 변환부(125)는 등록 요청된 일반 앱에 대한 로케이션 앱으로의 등록 처리를 수행한다(S570). 여기서, 등록 처리는 앱 변환부(125)가 등록할 일반 앱, 위치 정보, 부가설명 이미지와 일반 앱 정보를 앱 정보 분류부(127)로 전달하고, 앱 정보 분류부(127)가 일반 앱을 전달받아서 DB(140)의 일반 앱 DB(145)에 저장하고, 일반 앱의 위치 정보, 부가설명 이미지와 일반 앱 정보를 사용하여 로케이션 앱 정보 DB(147)에 해당 일반 앱에 대응되는 정보로써 저장하는 처리가 해당된다.
한편, 상기 단계(S540, S560)에서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일반 앱의 로케이션 앱으로의 등록을 종료한다.
다음, 도 6을 참조하여 스마트 단말(300)에 대해 로케이션 앱의 다운로드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설명 전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 기반의 로케이션 앱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스마트 단말(3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 기반의 로케이션 앱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로케이션 앱 유통 앱을 마켓 등에서 다운로드받아서 설치한 상태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스마트 단말(300)의 사용자에 의해 로케이션 앱 유통 앱이 실행되어 스마트 단말(300)이 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해 로케이션 앱 유통 시스템(100)에 접속되면(S610), 로케이션 앱 다운로드부(130)의 앱 다운로드부(133)는 스마트 단말(3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한 후(S620), 파악된 위치 정보를 앱 검색부(135)로 전달하여 로케이션 앱이 검색되도록 한다. 여기서, 스마트 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기 전에 스마트 단말(300)의 사용자로부터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한 승인을 요청하여 허가받아서 파악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앱 검색부(135)는 앱 다운로드부(133)로부터 전달되는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예를 들어 1Km 반경 내에 있는 위치 정보를 갖는 로케이션 앱(일반 앱도 포함됨)을 로케이션 앱 정보 DB(147)를 통해서 검색하고(S630), 검색된 로케이션 앱의 정보를 앱 다운로드부(133)로 전달하면, 앱 다운로드부(133)가 검색된 로케이션 앱의 정보와 지도 DB(141) 내에 저장되어 있는 지도 자료를 사용하여 스마트 단말(300)에 지도와 함께 현재 위치에서 반경 1Km 이내에 속하는 로케이션 앱들을 표시한다(S640).
스마트 단말(300)의 사용자로부터 지도상에 표시된 로케이션 앱들 중에서 하나의 로케이션 앱이 선택되면(S650), 앱 다운로드부(133)는 선택된 로케이션 앱을 로케이션 앱 DB(143)나 일반 앱 DB(145)에서 추출하여 스마트 단말(300)로 제공한다(S660). 여기서, 스마트 단말(300)의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300) 상에 표시된 지도를 스위핑(sweeping)하여 주변 지역의 로케이션 앱을 검색할 수 있다. 이 경우, 앱 다운로드부(133)는 사용자의 스위핑에 따라 변경된 지도상의 영역 내에 포함되는 로케이션 앱들을 앱 검색부(135)를 통해 재검색하여 스마트 단말(300)의 지도상에 표시하고, 또한 스위핑에 따라 반경 거리 또는 지도 배율이 변경되는 경우 조정부(137)를 통해 지도상에 표시될 로케이션 앱들의 부가설명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여 지도상에 표시한다. 또한, 증강현실 기반으로 로케이션 앱을 스마트 단말(300)에 표시하는 경우에도 스마트 단말(300)의 방향 이동에 따라 스마트 단말(300)에 표시되는 가상현실 UI(User Interface)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변경된 환경에 따라 재검색되거나 조정된 로케이션 앱들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단말(300)의 사용자는 상기한 방법에 따라 스마트 단말(300)에 다운로드된 로케이션 앱을 설치한 후 해당 로케이션 앱의 기능을 통해 식당 예약이나 쿠폰 다운로드 기능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로케이션 앱 정보 DB(147)에 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에 대한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에서 로케이션 앱 등록시 앱 정보 분류부(147)가 등록되는 로케이션 앱(410)에서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또한 스마트 단말(300)로부터 입력되는 로케이션 앱 정보(420)를 사용하여 로케이션 앱 정보 DB(147)의 각 필드에 해당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에서 일반 앱을 로케이션 앱으로 등록시 앱 정보 분류부(127)가 일반 앱과 함께 입력되는 위치 정보(주소의 경우에는 위치 정보로 변환됨)(430), 부가설명 이미지(440)와 일반 앱 정보(450)를 사용하여 로케이션 앱 정보 DB(147)의 각 필드에 해당 정보를 저장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케이션 앱 유통 시스템(100)에서 지도 기반의 로케이션 앱 표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케이션 앱 다운로드를 위해 스마트 단말(300)이 로케이션 앱 유통 시스템(100)에 접속하는 경우, 스마트 단말(300)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여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이내에 속하는 로케이션 앱을 해당 지역의 지도상에 표시하거나 또는 표시된 지도를 사용자가 스위핑하여 특정 지역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지역에 속하는 로케이션 앱을 지도상에 표시하는 경우이다. 지도상에 로케이션 앱을 표시하는 것은 로케이션 앱의 부가설명 이미지를 로케이션 앱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지도상의 지역에 표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지도 상에 로케이션 앱의 부가설명 이미지가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가 자신에게 필요한 로케이션 앱의 부가설명 이미지를 터치하면 해당 로케이션 앱의 상세정보와 설치 버튼이 보여지고, 사용자가 설치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로케이션 앱이 로케이션 앱 유통 시스템(100)으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스마트 단말(300)에 설치되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케이션 앱 유통 시스템(100)에서 증강현실 기반의 로케이션 앱 표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케이션 앱 다운로드를 위해 스마트 단말(300)이 로케이션 앱 유통 시스템(100)에 접속하는 경우, 스마트 단말(300)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여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이내에 속하는 로케이션 앱을 해당 지역에 해당되는 증강현실 UI를 통해 표시하는 경우이다. 증강현실 UI를 통해 로케이션 앱을 표시하는 것은 로케이션 앱의 부가설명 이미지를 로케이션 앱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UI상의 위치에 표시하는 것이다. 증강현실 UI를 통해 로케이션 앱을 표시하는 것은 로케이션 앱의 부가설명 이미지를 로케이션 앱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UI상의 위치에 표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증강현실 UI를 통해 로케이션 앱의 부가설명 이미지가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가 자신에게 필요한 로케이션 앱의 증강현실 UI상의 부가설명 이미지를 터치하면 해당 로케이션 앱의 상세정보와 설치 버튼이 보여지고, 사용자가 설치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로케이션 앱이 로케이션 앱 유통 시스템(100)으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스마트 단말(300)에 설치되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케이션 앱 유통 시스템(100)에서의 다운로드형 로케이션 앱 검색 및 설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11은 스마트 단말(300)에서 다운로드형 로케이션 앱이 설치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300)의 사용자에 의해 다운로드형 로케이션 앱 유통 앱이 다운로드되어 스마트 단말(300)에 설치되면, 스마트 단말(300)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앱의 아이콘(510)이 표시된다(S1010).
사용자에 의해 해당 앱의 아이콘(510)이 터치되어 실행되면(S1020) 유통 앱(510)은 스마트 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로케이션 앱 유통 시스템(100)의 앱 검색부(135)로 제공한다(S1030).
앱 검색부(135)는 제공받은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로케이션 앱 정보 DB(147)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의 로케이션 앱을 검색하고(S1040, S1050), 검색된 로케이션 앱들을 지도상에 표시하기 위해 검색된 로케이션 앱 정보를 조정부(137)로 제공한다(S1060).
조정부(137)는 스마트 단말(300)에서 사용해야 하는 지도(맵), 예를 들어 자체 보유 지도, 제3자 지도(3rd party 지도)지도를 지도 DB(141) 또는 제3자 지도 DB(141-1)로 요청하여 전달받고(S1070, S1080), 전달받은 지도상에 검색된 로케이션 앱들을 표시하기 위한 위치를 조정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300) 상에 로케이션 앱 유통 앱(510)의 UI를 통해 검색된 로케이션 앱들을 부가설명 이미지(520)로써 표시한다(S1090).
따라서,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300)에 표시된 로케이션 앱들을 보고 자신에게 필요한 로케이션 앱의 부가설명 이미지를 터치하면(S1091), 로케이션 앱 유통 시스템(100)의 앱 다운로드부(133)가 로케이션 앱 DB(143)나 일반 앱 DB(145)로부터 해당되는 로케이션 앱을 추출하여(S1092, S1093), 스마트 단말(300)로 제공하고(S1094), 스마트 단말(300)은 제공되는 로케이션 앱을 설치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로케이션 앱의 아이콘(530)이 스마트 단말(300)에 표시된다(S1095).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케이션 앱 유통 시스템(100)에서의 인-앱(In-App)형 로케이션 앱 검색 및 설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13은 스마트 단말(300)에서 인-앱형 로케이션 앱이 설치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인-앱이라 함은 불특정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에 컴포넌트가 삽입된 형태로 공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즉 앱을 의미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300)의 사용자에 의해 인-앱형 로케이션 앱 유통 앱이 다운로드되어 스마트 단말(300)에 설치되면, 스마트 단말(300)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앱의 아이콘(610)이 표시된다(S1110).
그 후, 사용자에 의해 해당 앱의 아이콘(610)이 터치되어 실행되는 단계(S1120)부터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300)에 표시된 로케이션 앱들을 보고 자신에게 필요한 로케이션 앱의 부가설명 이미지를 터치하는 단계(S1191)까지의 과정은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과정(S1020 내지 S1091)까지의 과정과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그 후, 상기 단계(S1191)에서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300)에 표시된 로케이션 앱들을 보고 자신에게 필요한 로케이션 앱의 부가설명 이미지를 터치하면, 로케이션 앱 유통 시스템(100)의 앱 다운로드부(133)가 로케이션 앱 정보 DB(147)로부터 해당되는 로케이션 앱과 관련된 정보와 컴포넌트들을 추출하여(S1192, S1193), 스마트 단말(300)로 제공하고(S1194), 인-앱형 로케이션 유통 앱은 스마트 단말(300)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되는 정보와 컴포넌트들을 참조하여 인-앱형 유통 앱에 포함되어 있는 인-앱형 로케이션 앱을 실행한다(S1195).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한 과정을 통해 설치과정 없이 유통 앱 내에서 로케이션 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8)

  1.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앱(이하 "로케이션 앱"이라 함)을 유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로케이션 앱을 등록하거나 로케이션 앱이 아닌 일반 앱을 로케이션 앱으로 변환하여 등록하는 로케이션 앱 등록부; 및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이 접속되는 경우, 상기 로케이션 앱 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로케이션 앱들 중에서 상기 스마트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검색된 로케이션 앱들을 상기 스마트 단말상에서 지도를 통한 위치 기반으로 표시하거나 증강현실 기반으로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로케이션 앱을 상기 스마트 단말로 제공하는 로케이션 앱 다운로드부
    를 포함하는 앱 유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션 앱 다운로드부는 상기 스마트 단말로 로케이션 앱을 유통하는데 사용되는 유통 앱을 제공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유통 앱을 통해 접속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로케이션 앱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유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로케이션 앱 개발에 필요한 로직과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하는 로케이션 앱 컴포넌트를 포함하며, 외부의 개발자들의 요청에 따라 상기 로케이션 앱 컴포넌트를 제공하는 로케이션 앱 개발 지원부를 더 포함하는 앱 유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로케이션 앱들을 지도상에 표시하기 위한 지도 자료를 저장하는 지도 DB(Database);
    상기 로케이션 앱 등록부를 통해 등록되는 로케이션 앱을 저장하는 로케이션 앱 DB;
    상기 로케이션 앱 등록부를 통해 등록되는 일반 앱을 저장하는 일반 앱 DB; 및
    상기 로케이션 앱 DB에 저장되어 있는 로케이션 앱에 대응되는 정보와 상기 일반 앱 DB에 저장되어 있는 일반 앱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로케이션 앱 정보 DB
    를 더 포함하는 앱 유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션 앱 등록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로케이션 앱을 상기 로케이션 앱 다운로드부로 전달하여 시험을 요청하고, 시험 결과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로케이션 앱에 대한 등록 처리를 수행하는 앱 등록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일반 앱을 상기 일반 앱에 대응되어 함께 입력되는 정보-여기서 정보에는 위치 정보 및 부가설명 이미지가 포함됨-에 기초하여 로케이션 앱으로 변환하여 등록 처리를 수행하는 앱 변환부; 및
    상기 앱 등록부로부터 전달되는 로케이션 앱을 상기 로케이션 앱 DB에 저장하고, 해당 로케이션 앱에 포함되어 있는 위치 정보 및 부가설명 이미지를 추출하여 상기 로케이션 앱 정보 DB에 저장하며, 상기 앱 변환부로부터 전달되는 일반 앱을 상기 일반 앱 DB에 저장하고, 해당 일반 앱과 함께 입력되는 정보를 상기 로케이션 앱 정보 DB에 저장하는 앱 정보 분류부
    를 포함하는 앱 유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앱 변환부는 상기 일반 앱을 상기 로케이션 앱 다운로드부로 전달하여 시험을 요청하고, 시험 결과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일반 앱에 대한 등록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유통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션 앱 다운로드부는,
    스마트 단말의 접속이 있는 경우, 상기 스마트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앱 다운로드부;
    상기 앱 다운도르부에 의해 획득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일정 반경 이내에 해당되는 위치 정보를 갖는 로케이션 앱을 상기 로케이션 앱 정보 DB를 통해 검색하여 상기 앱 다운로드부로 전달하는 앱 검색부; 및
    상기 지도 DB 내에 저장되어 있는 지도 정보를 통해 표시될 로케이션 앱의 부가설명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는 조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앱 다운로드부는 상기 앱 검색부로부터 전달되는 로케이션 앱을 상기 지도 DB에 저장되어 있는 지도 자료를 통해 위치 기반으로 표시하거나 증강현실에 기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유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앱 다운로드부는 상기 로케이션 앱 등록부로부터 전달되는 로케이션 앱을 해당되는 위치 정보에 따라 지도상에 표시되는지와 해당 로케이션 앱이 다운로드 제공이 가능한지를 시험하고, 그 시험 결과를 상기 로케이션 앱 등록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유통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션 앱 정보 DB는,
    로케이션 앱이나 일반 앱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나타내며, 위치 정보인 경도 및 위도를 연결하여 생성되는 식별자를 나타내는 식별자 필드;
    로케이션 앱이나 일반 앱의 이름을 나타내는 앱 이름 필드;
    로케이션 앱이나 일반 앱이 저장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앱 저장위치 정보 필드;
    로케이션 앱이나 일반 앱의 부가설명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부가설명 이미지 저장위치 정보 필드; 및
    로케이션 앱이나 일반 앱을 설명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앱 상세정보 필드
    를 포함하는 앱 유통 시스템.
  10. 앱 유통 시스템이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앱(이하 "로케이션 앱"이라 함)을 유통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로케이션 앱이나 로케이션 앱이 아닌 일반 앱에 대한 등록 요청을 받는 단계;
    등록 요청된 로케이션 앱이나 일반 앱에 대해 대응되는 위치 정보에 따라 지도상에 표시되는지와 다운로드 제공이 가능한지를 시험하는 단계; 및
    상기 시험의 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 등록 요청된 로케이션 앱이나 일반 앱을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앱 유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요청을 받는 단계에서,
    등록 요청된 앱이 일반 앱인 경우, 해당 일반 앱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 및 부가설명 이미지를 함께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유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는 단계에서,
    등록 요청된 앱이 일반 앱인 경우, 해당 일반 앱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 및 부가설명 이미지를 해당 앱에 대응되도록 하는 로케이션 앱으로의 변환을 통해 해당 일방 앱을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유통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요청을 받는 단계 전에,
    외부의 개발자들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로케이션 앱 개발에 필요한 로직과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하는 로케이션 앱 컴포넌트를 상기 외부의 개발자들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앱 유통 방법.
  14. 앱 유통 시스템이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앱(이하 "로케이션 앱"이라 함)을 유통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의 접속이 있는 경우, 상기 스마트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되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일정 반경 이내에 해당되는 위치 정보를 갖는 로케이션 앱을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되는 상기 로케이션 앱을 지도를 통해 위치 기반으로 또는 증강현실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앱 유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로케이션 앱을 유통하는데 사용되는 유통 앱을 통해 상기 앱 유통 시스템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유통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로케이션 앱에 해당되는 부가설명 이미지를 지도상에 또는 증강현실 기반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유통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단말에 표시되는 지도의 배율에 따라 표시되는 로케이션 앱의 부가설명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유통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승인을 받아서 상기 스마트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유통 방법.
KR1020110077116A 2011-08-02 2011-08-02 지도 기반의 앱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73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116A KR101573469B1 (ko) 2011-08-02 2011-08-02 지도 기반의 앱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US13/565,091 US20130036429A1 (en) 2011-08-02 2012-08-02 System and method for circulating map-based appl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116A KR101573469B1 (ko) 2011-08-02 2011-08-02 지도 기반의 앱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235A true KR20130015235A (ko) 2013-02-13
KR101573469B1 KR101573469B1 (ko) 2015-12-03

Family

ID=47627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116A KR101573469B1 (ko) 2011-08-02 2011-08-02 지도 기반의 앱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036429A1 (ko)
KR (1) KR1015734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63053B1 (en) 2008-08-08 2013-06-11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Enhanced max margin learning on multimodal data mining in a multimedia database
US9323514B2 (en) 2013-05-30 2016-04-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source package indexing
US20140357357A1 (en) * 2013-05-30 2014-12-04 Microsoft Corporation Game bundle package
CN103546988A (zh) * 2013-10-10 2014-01-29 彭源 智能终端与设备端的信息同步方法及设备端
KR20160001266A (ko) * 2014-06-27 2016-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4571522A (zh) * 2015-01-22 2015-04-29 重庆甲虫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增强现实移动app应用系统
US20170171292A1 (en) * 2015-12-11 2017-06-15 Quixey, Inc. Generating Software Application Search Results Using Shared Application Connections
CN107391218A (zh) * 2017-07-07 2017-11-2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编译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855348B2 (ja) * 2017-07-31 2021-04-07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ダウンロード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38496A1 (en) * 2010-02-23 2011-09-29 Vishal Gurbuxani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Data from Mobile Applications and Dynamically Delivering Advertising Based on Generated Data
US8396759B2 (en) * 2010-06-18 2013-03-12 Google Inc. Context-influenced application recommendations
US8315791B2 (en) * 2010-06-18 2012-11-20 Nokia Co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mart zooming of a geographic representation
KR101735606B1 (ko) * 2010-07-21 2017-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8265866B2 (en) * 2010-12-15 2012-09-11 The Boeing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augmented navigation
US20120252497A1 (en) * 2011-03-28 2012-10-04 Aaron Altscher Location-based mobile application
KR101747303B1 (ko) * 2011-04-11 2017-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추천 방법, 그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에 따른 통신 시스템
US9781540B2 (en) * 2011-07-07 2017-10-03 Qualcomm Incorporated Application relevance determination based on social context
KR101943986B1 (ko) * 2012-03-21 2019-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또는 컨텐트를 추천하는 이동 통신 단말 및 추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36429A1 (en) 2013-02-07
KR101573469B1 (ko) 2015-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3469B1 (ko) 지도 기반의 앱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740950B2 (e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nalyzer for a universal interaction platform
US11159573B1 (en) Selective regulation of information transmission from mobile applications to third-party privacy compliant target systems
US9635129B2 (en) Automatic application discovery, download, integration and launch
US20150242421A1 (en) Location-Based Searching
US2014009419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services
KR101995260B1 (ko) 앱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20181590A (ja) デバイスが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をディスプレイする方法及びそのデバイス
CN105389325A (zh) 内容搜索方法和实施内容搜索方法的电子装置
US20150142980A1 (en) Context-Based Selection of Instruction Sets for Connecting Through Captive Portals
CN109981785A (zh) 用于推送信息的方法和装置
US20200037106A1 (en) Service activity support method and service activity support system
KR20090066259A (ko) 이동통신단말수단과의 연동을 이용한 내비게이션 콘텐츠 제공서비스 시스템
CN108805658B (zh) 租借服务点的提供方法及装置
KR20150120608A (ko) 스마트 단말수단의 응용프로그램 추천 시스템과 추천 방법
TW201404219A (zh) 基於位置的應用程式提供模組及其方法
WO2012043899A1 (ko) 자동차용 앱스토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20593A (ko) 전화번호와 연관된 url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20170084964A (ko) 그룹화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 및 방법
US101211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lication/content based on purchase information
JP2014110438A (ja) 測位方法決定装置及び測位方法決定方法
KR20160127351A (ko)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US201301374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erting location data into messages at a communication gateway
KR102426292B1 (ko) 스마트폰에 설치된 인공지능 모듈과 연계된 보이는 ars(vars)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418038B1 (ko) 웹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