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4356A - 분갈이용 화분 거치대 - Google Patents

분갈이용 화분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4356A
KR20130014356A KR1020120074967A KR20120074967A KR20130014356A KR 20130014356 A KR20130014356 A KR 20130014356A KR 1020120074967 A KR1020120074967 A KR 1020120074967A KR 20120074967 A KR20120074967 A KR 20120074967A KR 20130014356 A KR20130014356 A KR 20130014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flowerpot
support
hold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7864B1 (ko
Inventor
이선
Original Assignee
이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 filed Critical 이선
Priority to KR1020120074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864B1/ko
Publication of KR20130014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6Devices for repot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갈이용 화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중심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상단에 결합되되 분갈이 작업이 용이하도록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하판과, 상기 하판의 상단에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핀 및 상기 지지핀과 결합되며 화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되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화분이 걸려 안착될 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는 상판으로 구성되는 화분 거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의 걸림턱에 화분의 외주면이 안착되면서 화분이 거치되고, 상기 화분 거치부를 회전시켜 분갈이 작업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갈이용 화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갈이용 화분 거치대{FLOWERPOT SUPPORTER FOR REPLACING}
본 발명은 분갈이용 화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중심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상단에 결합되되 분갈이 작업이 용이하도록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하판과, 상기 하판의 상단에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핀 및 상기 지지핀과 결합되며 화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되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화분이 걸려 안착될 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는 상판으로 구성되는 화분 거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의 걸림턱에 화분의 외주면이 안착되면서 화분이 거치되고, 상기 화분 거치부를 회전시켜 분갈이 작업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갈이용 화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배수를 위한 배수구를 가지고, 배양토가 수용되어, 그 배양토에 식물이 식재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화분에 식재된 식물은 일정한 기간동안 성장이 있을 때마다 분갈이를 해주어야 한다.
분갈이란 나무나 꽃 등의 식물을 옮겨 심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새로운 화분으로 옮겨 심을 경우도 있고, 혹은 해당 화분의 흙만을 교체하는 경우도 있다.
분갈이를 하는 이유는 작은 화분에서 식물이 성장하는 가운데 배양토의 힘이 떨어지거나 혹은 화분 안에 가득히 자란 뿌리를 잘 파내어 옮겨 심음으로써 신진대사를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
보통, 일반 잡목의 경우에는 1년에 한번씩 봄철에 새로운 산모래로 분갈이를 하고, 송백분재의 경우에는 수년에 한번씩 분갈이를 한다.
그런데, 이처럼 분갈이를 행할 경우, 보통은 기존의 화분 내에 식물이 꽉 찬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기존의 화분에서 식물을 뽑아내기가 실질적으로 용이하지 않다. 특히, 기존의 화분을 보면, 식물의 뿌리와 한데 엉켜진 흙이 하나의 덩어리 상태로 다져져서 고화된 채로 화분과 거의 달라붙어 있기 때문에 화분에서 식물을 쉽게 뽑아낸다는 것을 사실상 곤란하다. 그렇다고 해서 무리한 힘으로 식물을 뽑아낼 경우, 식물의 줄기나 뿌리가 손상될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보통은 식물을 뽑지 못하고 흙을 조금씩 파내는 방법으로 분갈이를 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분갈이를 위한 시간과 노력이 과도하게 소요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91101호에 "분갈이용 조립식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조립식 용기는 식물 및 흙과 함께 소정의 화분 내로 삽입되거나 상기 화분으로부터 취출가능한 분갈이용 조립식 용기(10)로서, 상호 분해조립 가능한 복수의 단위용기부분(12)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단위용기부분(12)은, 각각 4개의 측부를 가지며 상기 용기(10)의 측벽을 형성하도록 서로 2개의 대향하는 측부에서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측벽부분(12a) 및 상기 용기(10)의 하벽을 형성하며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된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하벽부분(12b)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벽부분(12a)이 서로 인접하는 부분과 상기 복수의 측벽부분(12a)과 상기 하벽부분(12b)이 인접하는 부분을 서로 연결시키는 탄성 재질의 복수의 연결부(20a, 20b)를 포함하고, 상호 조립된 상기 복수의 단위용기부분들로 이루어진 조립식 용기(10)의 내부는 식물이 재배되는 흙의 충전공간(10a)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단위용기부분(12)들 중 적어도 2개의 단위용기부분(12)의 측벽들 중 상기 측벽부분(12a)과 하벽부분(12b)이 연결되지 않는 측부에는, 소정의 파지용 공구가 결합되는 공구결합용 고리(14)가 마련되어 있으며, 식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식물을 기존의 화분으로부터 쉽게 분리해 낼 수 있어 분갈이를 위한 시간과 노력을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의 용기는 화분으로부터 식재를 분리함이 용이할 뿐 작업자가 분갈이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화분 높이에 맞추어 낮은 의자에 앉거나 무릎을 꿇고 작업을 진행할 수밖에 없다.
특히, 난초의 경우 비용이 매우 고가이므로 분갈이를 하거나 평상시 관리에 매우 심혈을 기울일 수밖에 없으므로, 바닥에 주저앉거나 무릎을 꿇은 상태로 작업을 진행할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화분의 분갈이 작업이 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화분 지지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작업자가 장시간 무릎을 꿇거나 허리를 굽힌 상태에서 화분의 분갈이 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의 신체에 피로가 가중되고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중심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상단에 결합되되 분갈이 작업이 용이하도록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하판과, 상기 하판의 상단에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핀 및 상기 지지핀과 결합되며 화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되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화분이 걸려 안착될 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는 상판으로 구성되는 화분 거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의 걸림턱에 화분의 외주면이 안착되면서 화분이 거치되고, 상기 화분 거치부를 회전시켜 분갈이 작업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분 거치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판의 내부에는 베어링이 삽입되고 상기 베어링과 지지축이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의 걸림턱에 안착될 수 있도록 걸림턱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되 화분을 지지하면서 화분을 거치할 수 있도록 화분과 대응되는 형상의 화분 지지홈이 형성된 화분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분 지지홈은 화분 하부에 형성된 받침대는 통과하고 화분 몸체는 거치될 수 있도록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분 지지판은 다단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하되 서로 다른 형상의 화분 지지홈을 형성하여 화분 몸체의 형상에 따라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 로 한다.
또한, 상기 화분 지지홈은 난초용 화분과 대응되도록 모서리가 라운드된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핀은 분갈이 작업이 용이하도록 간격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화분을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 거치부를 회전해 가면서 분갈이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도 작업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분갈이용 조립식 용기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분갈이용 화분 거치대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화분 거치부가 회전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 지지판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갈이용 화분 거치대의 예시도.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 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 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분갈이용 화분 작업대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분갈이용 화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중심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는 지지축(20)과; 상기 지지축(20)의 상단에 결합되되 분갈이 작업이 용이하도록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하판(31)과, 상기 하판(31)의 상단에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핀(35) 및 상기 지지핀(35)과 결합되며 화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되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화분이 걸려 안착될 수 있도록 걸림턱(38)이 형성되는 상판(37)으로 구성되는 화분 거치부(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의 걸림턱(38)에 화분의 외주면이 안착되면서 화분이 거치되고, 상기 화분 거치부(30)를 회전시켜 분갈이 작업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갈이용 화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10)는 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 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며, 원형 또는 사각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축(20)은 상기 베이스(10)의 중심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며, 원형 바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화분 거치부(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화분 거치부(30)는 크게 하판(31)과, 상판(37) 및 상기 하판과 상판을 연결하는 지지핀(35)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판(31)의 내부에는 베어링(32)이 삽입되고, 상기 베어링(32)의 중심에 지지축(20)을 삽입하여, 상기 하판(31)이 지지축(20)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핀(35)은 상기 상판의 걸림턱(38)에 걸려 거치되는 화분(50)이 하판(31)과 접촉되지 않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하판(31)의 상단 외주면에 복수개로 결합되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난초를 분갈이 작업을 할 때 작업자는 난초용 화분의 외주면에 형성된 통공에 바늘이나 핀셋을 삽입하여 분갈이 작업을 하거나, 화분의 외주면을 고무망치로 타격하면서 분갈이 작업을 한다.
상기 난초용 화분의 통공에 바늘이나 핀셋을 삽입하여 분갈이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지지핀(35)과 지지핀(35) 사이의 간격에 큰 영향을 받지 않으나, 고무망치를 사용하여 분갈이 작업이 진행되는 경우 지지핀 사이의 간격이 좁으면 작업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도 6과 같이 상기 지지핀(35)의 간격을 넓게 형성하여 작업자가 분갈이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판(37)은 상기 지지핀(35)과 결합되며 화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되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화분(50)이 걸려 안착될 수 있도록 내측 방향으로 걸림턱(38)이 형성된다.
상기 화분(50)은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둘레가 확장되어 입구가 나팔꽃처럼 바깥쪽으로 벌어지게끔 형성되며, 상기 상판 내부를 관통하도록 삽입하여 상기 걸림턱(38)에 걸리도록 하여 거치되도록 하고, 상기 화분 거치부(30)를 회전시키면서 화분의 분갈이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난초용 화분과 같이 화분 몸체의 크기가 작아 상기 걸림턱(38)에 걸리지 못하는 화분을 거치하기 위한 화분 지지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화분 지지판(40)은 상기 상판(37)의 걸림턱(38)에 안착될 수 있도록 걸림턱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되 화분(50)을 거치할 수 있도록 화분 몸체와 대응되는 형상의 화분 지지홈(41)이 형성된다.
난초용 화분과 같이 크기(둘레)가 작아 상기 걸림턱(38)에 지지되지 못하는 화분을 분갈이 작업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걸림턱(38)에 화분 지지판(40)을 안착시켜 화분이 거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화분 지지판(40)은 서로 다른 형상의 화분 지지홈(41,41')이 형성된 화분 지지판을 다단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두 개 이상의 화분 지지판을 결합하면 크기가 다른 복수의 화분을 분갈이 작업할 때 화분의 형상과 대응되는 화분 지지홈이 형성된 화분 지지판을 선택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분갈이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50)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받침대(51)가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화분을 거치할 때 상기 받침대(51)는 통과하고 화분(50)은 상기 화분 지지판(40)에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화분 지지홈(41)을 형성함에 있어서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 베이스 20 : 지지축
30 : 화분 거치부 31 : 하판
32 : 베어링 35 : 지지핀
37 : 상판 38 : 걸림턱
40 : 화분 지지판 41 : 화분 지지홈
50 : 화분 51 : 받침대

Claims (6)

  1.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의 중심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는 지지축(20)과;
    상기 지지축의 상단에 결합되되 분갈이 작업이 용이하도록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하판(31)과, 상기 하판의 상단에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핀(35) 및 상기 지지핀과 결합되며 화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되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화분이 걸려 안착될 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는 상판(37)으로 구성되는 화분 거치부(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의 걸림턱(38)에 화분(50)의 외주면이 안착되면서 화분이 거치되고, 상기 화분 거치부(30)를 회전시켜 분갈이 작업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갈이용 화분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거치부(30)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판(31)의 내부에는 베어링(32)이 삽입되고 상기 베어링(32)과 지지축(20)이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갈이용 화분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걸림턱(38)에 안착될 수 있도록 걸림턱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되 화분(50)을 지지하면서 화분을 거치할 수 있도록 화분과 대응되는 형상의 화분 지지홈(41)이 형성된 화분 지지판(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갈이용 화분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지지판(40)은 다단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하되 서로 다른 형상의 화분 지지홈(41,41')을 형성하여 화분 몸체의 형상에 따라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갈이용 화분 거치대.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지지홈(41)은 화분 하부에 형성된 받침대는 통과하고 화분 몸체는 거치될 수 있도록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갈이용 화분 거치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핀(35)은 분갈이 작업이 용이하도록 간격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갈이용 화분 거치대.
KR1020120074967A 2012-07-10 2012-07-10 분갈이용 화분 거치대 KR101367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967A KR101367864B1 (ko) 2012-07-10 2012-07-10 분갈이용 화분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967A KR101367864B1 (ko) 2012-07-10 2012-07-10 분갈이용 화분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356A true KR20130014356A (ko) 2013-02-07
KR101367864B1 KR101367864B1 (ko) 2014-02-27

Family

ID=47894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967A KR101367864B1 (ko) 2012-07-10 2012-07-10 분갈이용 화분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8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56777A (zh) * 2014-01-06 2015-07-08 刘红霞 柱状多层花盆
US11547059B2 (en) * 2017-07-17 2023-01-10 Havatec B.V. Method and device for twisting a bundle of plant stems in a bouque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106Y1 (ko) * 1986-07-14 1989-03-30 김정균 회전식 화분 받침대
KR200144483Y1 (ko) 1997-03-22 1999-06-15 이용 소형화분 합식용 재치대
KR20110002377U (ko) * 2009-09-01 2011-03-09 김양칠 장식용 화분과 물받이가 화분 받침대에 일체로 구비된 화분 세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56777A (zh) * 2014-01-06 2015-07-08 刘红霞 柱状多层花盆
US11547059B2 (en) * 2017-07-17 2023-01-10 Havatec B.V. Method and device for twisting a bundle of plant stems in a bouqu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7864B1 (ko) 201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1783B1 (en) Potted plant holder assembly
US20160135386A1 (en) Plant growth support pot
US7143543B1 (en) Self-supporting plant holder
CN202222238U (zh) 一种外径可调节的定植器
WO2016070196A1 (en) Nested plant grow tray
JP2018509179A (ja) 水耕栽培器
KR20160027725A (ko) 수경재배용 조립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화분
US6442895B1 (en) Plant container assembly
KR20130028211A (ko) 다단조립식 화분
KR101367864B1 (ko) 분갈이용 화분 거치대
KR20120056185A (ko) 다단 화분
KR20070119940A (ko) 화분 받침대
CN208029644U (zh) 装配式育苗盆
US20110289837A1 (en) Inverted Planter With Support
JP6802452B2 (ja) 保形フレーム
KR20110105899A (ko) 콩나물 재배기
RU11443U1 (ru) Емкость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KR101914112B1 (ko) 화분
KR200416035Y1 (ko) 관상용 식물재배 화분
KR20160035902A (ko) 분갈이용 화분 거치대
CN220693890U (zh) 一种苗圃移栽容器
CN216164160U (zh) 一种具有调节功能的水培陶瓷花盆
CN110678065A (zh) 用于园艺的盆
CN203219747U (zh) 一种栽培容器及栽培装置
KR200359219Y1 (ko) 활엽수용 양묘 포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