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4319A - 접합 나노 섬유를 포함하는 세퍼레이터, 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접합 나노 섬유를 포함하는 세퍼레이터, 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4319A
KR20130014319A KR1020120008711A KR20120008711A KR20130014319A KR 20130014319 A KR20130014319 A KR 20130014319A KR 1020120008711 A KR1020120008711 A KR 1020120008711A KR 20120008711 A KR20120008711 A KR 20120008711A KR 20130014319 A KR20130014319 A KR 20130014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fiber
layer
separator
bonded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8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익수
김병석
케이 와타나베
나오타카 기무라
김혜림
이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톱텍
신슈 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톱텍, 신슈 다이가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톱텍
Publication of KR20130014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3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Fibrous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ll Separator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퍼레이터,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 및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재층(10)과, 기재층(10)의 접합에 이용되는 접합 나노 섬유(22)를 적어도 포함하는 나노 섬유층(20)을 갖고, 기재층(10)과 나노 섬유층(20)은 접합 나노 섬유(22)에 의해 접합되어 있으며, 세퍼레이터의 통액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종래의 세퍼레이터 보다도 더 높은 전해액 흡수성이나 더 낮은 이온 저항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세퍼레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세퍼레이터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퍼레이터,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 및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A Separator,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세퍼레이터,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 및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재층과 나노 섬유를 포함하는 나노 섬유층을 가진 세퍼레이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종래의 세퍼레이터에 의하면, 각각 다른 성질을 가진 기재층과 나노 섬유층을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성질을 가진 세퍼레이터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종래의 세퍼레이터에 의하면, 기재층이 가진 성질에 나노 섬유층이 가진 성질(넓은 표면적이나 미세한 공극(空隙) 등)을 부가함으로써 더 다양한 성질을 가진 세퍼레이터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종래의 세퍼레이터에 의하면, 일반적인 섬유층을 가진 세퍼레이터와 비교하여 섬유의 평균 직경이나 공극이 미세한 나노 섬유층을 구비하므로, 높은 전해액 흡수성, 낮은 이온 저항성 및 높은 덴드라이트 내성을 갖고, 또한 총 두께가 얇은 세퍼레이터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재층」이란, 나노 섬유층을 형성하기 위한 기재가 되는 층을 말한다. 또한, 「나노 섬유」란,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고, 평균 직경이 수nm~수천nm의 섬유를 말한다. 또한, 「세퍼레이터」란, 전지(1차 전지 및 2차 전지를 포함함)나 콘덴서(캐퍼시터라고도 함) 등에 이용하는 세퍼레이터(칸막이)를 말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0-103050호
그러나, 세퍼레이터의 기술 분야에서는 기재층과 나노 섬유층 사이의 결합 강도가 작은(즉, 박리하기 쉬운) 경우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여러 가지 접합 재료를 이용하여 기재층과 나노 섬유층을 접합하는 것이 실시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0040]단락 참조). 그러나, 본 발명의 발명자들의 연구에 의해,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세퍼레이터의 통액성이 저하하고, 그 결과, 더 높은 전해액 흡수성이나 더 낮은 이온 저항을 실현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가 판명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세퍼레이터의 통액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종래의 세퍼레이터보다 더 높은 전해액 흡수성이나 더 낮은 이온 저항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세퍼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세퍼레이터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세퍼레이터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기재층과 나노 섬유층을 접합함으로써 세퍼레이터의 통액성이 저하하는 것에 대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접합 재료에 의해 나노 섬유들의 틈이 매립되는 것이 원인인 것을 찾아냈다. 이것을 근거로 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연구를 거듭하여, 접합 재료로서 나노 섬유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후술하는 실시형태 참조)을 생각해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이하의 요소에 의해 구성된다.
[1]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는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과의 접합에 이용되는(접합 재료로서의) 접합 나노 섬유를 적어도 포함하는 나노 섬유층을 갖고, 상기 기재층과 상기 나노 섬유층은 상기 접합 나노 섬유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에 의하면, 기재층과의 접합에 이용되는 접합 나노 섬유를 적어도 포함하는 나노 섬유층을 갖기 때문에 접합 재료로서의 접합 나노 섬유가 매우 미세하므로, 접합 후에 나노 섬유들의 틈이 매립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세퍼레이터의 통액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며, 종래의 세퍼레이터 보다 더 높은 전해액 흡수성이나 더 낮은 이온 저항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에 의하면, 각각 다른 성질을 가진 기재층과 나노 섬유층을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세퍼레이터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성질을 가진 세퍼레이터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에 의하면, 기재층이 가진 성질에 나노 섬유층이 가진 성질(넓은 표면적이나 미세한 공극 등)을 부가함으로써, 종래의 세퍼레이터와 마찬가지로 더 다양한 성질을 가진 세퍼레이터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에 의하면, 일반적인 섬유층을 가진 세퍼레이터와 비교하여 섬유의 평균 직경이나 틈이 미세한 나노 섬유층을 구비하므로, 종래의 세퍼레이터와 마찬가지로 높은 전해액 흡수성, 낮은 이온 저항성 및 높은 덴드라이트 내성을 갖고, 또한 총 두께가 얇은 세퍼레이터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에서 상기 접합 나노 섬유는 열접합성을 가진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재층과 상기 나노 섬유층은 적어도 일부가 열로 용융한 접합 나노 섬유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기재층과 나노 섬유층을 가열에 의해 용이하게 접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열접합성을 가진 수지란, 이른바 열가소성 수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뿐만 아니라 폴리우레탄과 같이 열에 의한 접합성을 가진 수지도 널리 포함한 것을 말한다.
[3]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에서 상기 접합 나노 섬유를 구성하는 상기 열접합성을 가진 수지의 융점은, 상기 기재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융점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가열에 의해 접합 나노 섬유를 선택적으로 용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에서 상기 접합 나노 섬유를 구성하는 상기 열접합성을 가진 수지의 융점은, 상기 기재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융점보다 10℃ 이상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가열에 의해 접합 나노 섬유를 선택적으로 용융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5]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에서 상기 접합 나노 섬유의 평균 직경은 50 nm~1000n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기재층과 나노 섬유층을 충분한 강도로 접합하고, 또한 세퍼레이터의 통액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접합 나노 섬유의 평균 직경을 50nm~1000nm의 범위내로 한 것은 상기 평균 직경이 50nm 보다 작은 경우에는 충분한 강도로 접합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고, 상기 평균 직경이 1000nm 보다 큰 경우에는 세퍼레이터의 통액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6]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에서 상기 나노 섬유층은 상기 열접합성을 가진 수지의 융점보다 높은 융점을 가진 재료로 이루어진 고융점 나노 섬유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섬유의 평균 직경이나 틈이 미세한 나노 섬유층의 구조가 붕괴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7]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에서 상기 접합 나노 섬유는 소정의 용매에 대해 용융성을 가진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재층과 상기 나노 섬유층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소정의 용매로 용해한 접합 나노 섬유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기재층과 나노 섬유층을 소정의 용매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접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소정의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디클로로메탄,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시드, 메틸에틸케톤, 클로로포름, 아세톤, 물, 포름산, 아세트산, 시클로헥산, THF등 여러 가지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 종류의 용매를 혼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8]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에서 상기 나노 섬유층은 상기 소정의 용매에 대해 용융성을 가진 수지보다 상기 소정의 용매에 대해 낮은 용해성을 가진 재료로 이루어진 저용해성 나노 섬유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섬유의 평균 직경이나 틈이 미세한 나노 섬유층의 구조가 붕괴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9]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에서 상기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1㎛~100㎛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갖고, 또한 충분히 낮은 이온 저항성을 가진 세퍼레이터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세퍼레이터의 두께를 1㎛~100㎛의 범위 내로 한 것은 상기 두께가 1㎛보다 얇은 경우에는 세퍼레이터의 기계적 강도를 충분히 높일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고, 상기 두께가 100㎛ 보다 두꺼운 경우에는 이온 저항성을 충분히 낮게 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관점에서는 세퍼레이터의 두께가 10㎛~40㎛의 범위 내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10]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에서 상기 접합 나노 섬유는 전계 방사법에 의해 얻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원하는 성질(조성, 두께, 밀도, 접합 나노 섬유의 평균 직경, 용융 온도, 용매에 대한 용해성 등)을 가진 나노 섬유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1]본 발명의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는 전계 방사법에 의해, 기재층의 한쪽 면에 접합 나노 섬유를 포함하는 나노 섬유층을 형성하여 나노 섬유 적층체로 하는 전계 방사 장치와, 상기 나노 섬유 적층체의 상기 접합 나노 섬유를 이용하여 상기 기재층과 상기 나노 섬유층을 접합하는 접합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2]본 발명의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에서 상기 접합 장치는, 상기 기재층과 상기 나노 섬유층을 적층한 상태로 열압착하는 열접합 장치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접합 나노 섬유로서 열접합성을 가진 수지로 이루어진 접합 나노 섬유를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 기재층과 나노 섬유층을 가열에 의해 접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3]본 발명의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은 기재층을 준비하는 기재층 준비 공정과, 전계 방사법에 의해 상기 기재층의 한쪽 면에 접합 나노 섬유를 포함하는 나노 섬유층을 형성하여 나노 섬유 적층체로 하는 전계 방사 공정과, 상기 나노 섬유 적층체의 상기 접합 나노 섬유를 이용하여 상기 기재층과 상기 나노 섬유층을 접합하는 접합 공정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4]본 발명의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에서 상기 접합 공정은, 상기 기재층과 상기 나노 섬유층을 적층한 상태로 열압착하는 열접합 공정으로서, 상기 열접합 공정에 의해 상기 접합 나노 섬유의 적어도 일부를 용융시켜 상기 기재층과 상기 나노 섬유층을 상기 접합 나노 섬유로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함으로써, 접합 나노 섬유로서 열접합성을 가진 수지로 이루어진 접합 나노 섬유를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 기재층과 나노 섬유층을 가열에 의해 접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세퍼레이터의 통액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종래의 세퍼레이터보다 더 높은 전해액 흡수성이나 더 낮은 이온 저항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세퍼레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세퍼레이터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와 같은 세퍼레이터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100)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의 접합 공정(S3)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세퍼레이터(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변형예의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 및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에 대해 도면에 도시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1.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의 구성
우선,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의 (a)은 심재(芯材)(부호를 도시하지 않음)에 감은 상태의 세퍼레이터(1)의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세퍼레이터(1)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1의 (c)는 도 1의 (b)의 "A"로 나타내는 범위를 더 확대하여 도시한 모식도(이하, 확대 모식도라고 함)이다.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재층(10)과 나노 섬유층(20)을 갖는다. 세퍼레이터(1)에 있어서는 도 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재층(10)과 나노 섬유층(20)은 접합 나노 섬유(22)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재층(10)과 나노 섬유층(20)은 적어도 일부가 열로 용융한 접합 나노 섬유(24)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세퍼레이터(1)의 두께는 1㎛~100㎛의 범위 내이고, 예를 들면, 20㎛이다.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100)를 이용하여,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기재층(10)은 장척 시트의 형태를 취하고, 기재층(10)으로서는 각종 재료로 이루어진 부직포, 직물, 편물, 종이 등 통기성이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1에서는 기재층(10)으로서 섬유질의 기재층을 이용하고, 도 1의 (c) 중, 도면부호 "12"로 나타내는 것은 기재층(10) 중의 기재 섬유이다. 또한, 기재층(10)으로서는 섬유질 이외의 것(예를 들면, 다공성 필름)도 이용할 수 있다.
기재층(10)의 두께는 예를 들면 1㎛~90㎛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기재층(10)의 길이는 예를 들면 10m~10km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나노 섬유층(20)은 기재층(10)과의 접합에 이용되는 접합 나노 섬유(22)로 이루어진다. 또한, 나노 섬유층은 접합 나노 섬유를 적어도 포함하고 있으면 좋고, 그 위이면 접합 나노 섬유 이외의 물질을 포함해도 좋다. 접합 나노 섬유(22)는 열접합성을 가진 수지로 이루어진다. 접합 나노 섬유(22)의 평균 직경은 50nm~1000nm의 범위 내이고, 예를 들면, 100nm이다. 접합 나노 섬유(2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계 방사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세퍼레이터(1)에서는 접합 나노 섬유(22)를 구성하는 열접합성을 가진 수지의 융점은, 기재층(10)을 구성하는 재료(기재층 섬유(12))의 융점보다 낮고, 즉, 10℃ 이상 낮다.
2.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100)의 구성
계속해서,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100)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2에서는 일부의 부재(하우징체(200)나 원료 탱크(232) 등)는 단면도로서 나타내고 있다.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100)는 반송 장치(110), 전계 방사 장치(120), 및 접합 장치(130)를 구비한다.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100)는 전계 방사 장치(120)를 1대 구비한다.
반송 장치(110)는 기재층(10)을 소정의 반송 속도로 반송한다. 반송 장치(110)는 기재층(10)을 투입하는 투입 롤러(111), 기재층(10)을 감는 감기 롤러(112), 기재층(10)의 당김을 조정하는 텐션 롤러(113, 118) 및 투입 롤러(111)와 감기 롤러(112)의 사이에 위치하는 보조 롤러(114)를 구비한다. 투입 롤러(111) 및 감기 롤러(112)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전계 방사 장치(120)는 전계 방사법에 의해 기재층(10)의 한쪽 면(실시형태 1에서는 아래쪽 면)에, 접합 나노 섬유(22)를 포함하는 나노 섬유층(20')을 형성하여 나노 섬유 적층체(30)로 한다(후술하는 도 4의 (b) 참조).
전계 방사 장치(1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체(200), 노즐 유닛(210), 폴리머 용액 공급부(230), 컬렉터(250), 전원 장치(260), 및 보조 벨트 장치(270)를 구비한다. 전계 방사 장치(120)는 후술하는 복수의 상부방향 노즐 (220)의 토출구로부터 폴리머 용액을 오버플로우시키면서 토출하여, 나노 섬유층(20')을 형성한다.
하우징체(200)는 도전체로 이루어진다.
노즐 유닛(210)은 복수의 상부방향 노즐(220)을 갖는다.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에는 여러 가지 크기 및 여러 가지 형상을 가진 노즐 유닛을 이용할 수 있지만, 노즐 유닛(210)은 상면에서 봤을 때 한 변이 0.5m~3m의 장방형(정방형을 포함)으로 보이는 크기로 블록 형상을 가진다.
상부방향 노즐(220)은 폴리머 용액 공급부(230)로부터 공급되는 「접합 나노 섬유(22)의 원료인 폴리머 용액(열접합성을 가진 수지의 폴리머 용액)」을 토출구로부터 토출하는 노즐이다. 상부방향 노즐(220)은 폴리머 용액을 토출구로부터 상부방향으로 토출한다. 상부방향 노즐(220)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도전체를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구리, 스텐레스강, 알루미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부방향 노즐(220)은 예를 들면, 1.5cm~6.0cm의 피치로 배열되어 있다. 상부방향 노즐(220)의 수는 예를 들면, 36개(종횡 동수로 배열한 경우, 6개×6개)~ 21904개(종횡 동수로 배열한 경우, 148개×148개)로 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서는 노즐로서 상부방향 노즐(220)을 이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노즐로서 횡방향 노즐을 이용해도 좋고, 하부방향 노즐을 이용해도 좋다.
폴리머 용액 공급부(230)는 폴리머 용액을 노즐 유닛(210)에 공급한다. 폴리머 용액 공급부(230)는 원료 탱크(232), 교반 장치(233), 및 공급 장치(234)를 구비한다. 전계 방사 장치(120)의 원료 탱크(232)에는 접합 나노 섬유(22)의 원료가 들어간다.
컬렉터(250)는 노즐 유닛(210)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컬렉터(250)는 도전체로 이루어지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부재(252)를 통해 하우징체(200)에 장착되어 있다.
전원 장치(260)는 상부방향 노즐(220)과 컬렉터(250)의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한다. 전원 장치(260)의 양극은 컬렉터(250)에 접속되고, 전원 장치(260)의 음극은 하우징체(200)를 통해 노즐 유닛(210)에 접속되어 있다.
보조 벨트 장치(270)는 장척 시트(W)의 반송 속도에 동기하여 회전하는 보조 벨트(272)와, 보조 벨트(272)의 회전을 돕는 5개의 보조 벨트용 롤러(274)를 구비한다. 5개의 보조 벨트용 롤러(274) 중 1개 또는 2개 이상의 보조 벨트용 롤러가 구동 롤러이고, 나머지 보조 벨트용 롤러가 종동롤러이다. 컬렉터(250)와 기재층(10)의 사이에 보조 벨트(27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기재층(10)은 양의 고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컬렉터(250)에 당겨지지 않고 원활하게 반송되게 된다.
접합 장치(130)는 나노 섬유 적층체(30)의 접합 나노 섬유(22)를 이용하여 기재층(10)과 나노 섬유층(20)을 접합하는 장치이다. 접합 장치(130)는 기재층(10)과, 나노 섬유층(20')을 적층한 상태로 열압착하는 열접합 장치로 이루어진다. 접합 장치(130)로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캘린더롤을 구비한 열접합 장치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가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캘린더롤내에 히터 기능(도시하지 않음)을 넣은 것을 이용할 수 있지만, 그 외에도 예를 들면, 저항 가열기, 적외선 가열기, 건조기, 열풍 발생기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2에서는 캘린더롤은 상하 1 개씩의 롤러에 의해 나노 섬유 적층체(30)를 끼우는 구성의 것을 예시했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상하 2 개씩의 롤러가 존재하는 것 등 여러 가지 구성을 가진 캘린더 롤을 사용할 수 있다.
3.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의 설명
계속해서,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도 4의 (a)는 기재 준비 공정(S1)시의 기재(10)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접합 전계 방사 공정(S2) 이후의 나노 섬유 적층체(30)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의 접합 공정(S3)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접합 공정(S3) 이전의 확대 모식도이고, 도 5의 (b)는 접합 공정(S3) 이후의 확대 모식도이다.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재층 준비 공정(S1)과, 전계 방사 공정(S2)과, 접합 공정(S3)을 이 순서로 포함한다.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100)를 이용하여 실시한다.
1. 기재층 준비 공정( S1 )
기재 준비 공정(S1)은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재층(10)을 준비하는 공정이다. 실시형태 1에서는 기재층(10)은 장척 시트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에서는 장척 시트 이외의 형태를 취하는 여러 가지 형상의 기재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2. 전계 방사 공정( S2 )
전계 방사 공정(S2)은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계 방사법에 의해 기재층(10)의 한쪽 면에 접합 나노 섬유(22)를 포함하는 나노 섬유층(20')을 형성하여 나노 섬유 적층체(30)로 하는 공정이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접합 나노 섬유(22)의 원료인 폴리머 용액을 전계 방사 장치(120)의 폴리머 용액 공급부(230)을 통해 노즐 유닛(210)으로 공급한다. 계속해서, 장척 시트인 기재층(10)을 반송 장치(110)에 설정하고, 기재층(10)을 투입 롤러(111)로부터 소정의 반송 속도로 반송시키면서 전계 방사 장치(120)에 있어서 기재층(10)에 나노 섬유층(20')을 형성하여, 나노 섬유 적층체(30)로 한다.
3.접합 공정( S3 )
접합 공정(S3)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노 섬유 적층체(30)의 접합 나노 섬유(22)를 이용하여 기재층(10)과 나노 섬유층(20)을 접합하는 공정이다. 접합 공정(S3)은 기재층(10)과 나노 섬유층(20')을 적층한 상태로 열압착하는 열접합 공정으로서, 상기 열접합 공정에 의해 접합 나노 섬유(22)의 적어도 일부를 용융 시켜 기재층(10)과 나노 섬유층(20)을 접합 나노 섬유(22)로 접합한다. 상기 공정은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100)의 접합 장치(130)에 의해 실시되어 세퍼레이터(1)가 제조된다. 제조된 세퍼레이터(1)는 감기 롤러(112)에 감긴다.
이하, 실시형태 1의 방사 조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접합 나노 섬유(22)의 재료로서는 열접합성을 가진 수지, 예를 들면, 폴리 불화비닐리덴(PVDF), 폴리락트산(PLA),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 아세트산비닐(PVA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아미드(PA), 폴리우레탄(PUR), 폴리비닐알콜(PVA),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이미드(PI),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락트산글리콜산(PLGA)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접합 나노 섬유(22)의 재료로서는 기재층(10)을 구성하는 재료의 융점보다 낮은 융점을 갖고, 즉, 10℃ 이상 낮은 융점을 갖는 것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각종 폴리머 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디클로로메탄,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시시드, 메틸에틸케톤, 클로로포름, 아세톤, 물, 포름산, 아세트산, 시클로헥산, THF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용매로서 복수 종류의 용매를 혼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폴리머 용액에는 도전성 향상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시켜도 좋다.
반송 속도는 예를 들면 0.2m/분~100m/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부방향 노즐(220)과 컬렉터(250)와 노즐 유닛(210)에 인가하는 전압은, 10kV~80kV로 설정할 수 있고, 50kV 부근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사 구역의 온도는 예를 들면 25℃로 설정할 수 있다. 방사 구역의 습도는 예를 들면 30%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100) 및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의 효과를 기재한다.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에 의하면, 기재층(10)과의 접합에 이용되는 접합 나노 섬유(22)를 적어도 포함하는 나노 섬유층(20)을 구비하므로, 접합 재료로서의 접합 나노 섬유가 매우 미세하므로, 접합 후에 나노 섬유들의 틈이 매립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세퍼레이터의 통액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며, 종래의 세퍼레이터보다 더 높은 전해액 흡수성이나 더 낮은 이온 저항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에 의하면, 각각 다른 성질을 가진 기재층(10)과 나노 섬유층(20)을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세퍼레이터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성질을 가진 세퍼레이터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에 의하면, 기재층(10)이 가진 성질에 나노 섬유층(20)이 가진 성질(넓은 표면적이나 미세한 틈 등)을 부가함으로써, 종래의 세퍼레이터와 마찬가지로 더 다양한 성질을 가진 세퍼레이터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에 의하면, 일반적인 섬유층을 가진 세퍼레이터와 비교하여 섬유의 평균 직경이나 틈이 미세한 나노 섬유층(20)을 구비하므로, 종래의 세퍼레이터와 마찬가지로 높은 전해액 흡수성, 낮은 이온 저항성 및 높은 덴드라이트 내성을 갖고, 또한 총 두께가 얇은 세퍼레이터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에 의하면, 접합 나노 섬유(22)는 열접합성을 가진 수지로 이루어지고, 기재층(10)과 나노 섬유층(20)은 적어도 일부가 열로 용융한 접합 나노 섬유(24)에 의해 접합되어 있으므로, 기재층과 나노 섬유층을 가열에 의해 용이하게 접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에 의하면, 접합 나노 섬유(22)를 구성하는 열접합성을 가진 수지의 융점은, 기재층(10)을 구성하는 재료의 융점보다 낮기 때문에, 가열에 의해 접합 나노 섬유를 선택적으로 용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에 의하면, 접합 나노 섬유(22)를 구성하는 열접합성을 가진 수지의 융점은, 기재층(10)을 구성하는 재료의 융점보다 10℃ 이상 낮기 때문에, 가열에 의해 접합 나노 섬유를 선택적으로 용융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에 의하면, 접합 나노 섬유(22)의 평균 직경은 50nm~1000nm의 범위 내이므로, 기재층과 나노 섬유층을 충분한 강도로 접합하고, 또한 세퍼레이터의 통액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에 의하면, 세퍼레이터(1)의 두께가 1㎛~100㎛의 범위 내이므로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갖고, 또한 충분히 낮은 이온 저항성을 가진 세퍼레이터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에 의하면, 접합 나노 섬유(22)는 전계 방사법에 의해 얻어진 것이므로, 원하는 성질(조성, 두께, 밀도, 접합 나노 섬유의 평균 직경, 용융 온도, 용매에 대한 용해성 등)을 가진 나노 섬유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100)에 의하면, 전계 방사 장치(120)와 접합 나노 섬유(22)를 이용하여 기재층(10)과 나노 섬유층(20)을 접합하는 접합 장치(130)를 구비하므로,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세퍼레이터(1)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에 의하면, 접합 장치(130)는 기재층(10)과 나노 섬유층(20')을 적층한 상태로 열압착하는 열접합 장치로 이루어지므로, 접합 나노 섬유로서 열접합성을 가진 수지로 이루어진 접합 나노 섬유를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 기재층과 나노 섬유층을 가열에 의해 접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에 의하면, 기재층 준비 공정(S1), 전계 방사 공정(S2), 접합 나노 섬유(22)를 이용하여 기재층(10)과 나노 섬유층(20)을 접합하는 접합 공정(S3)를 이 순서로 포함하므로, 상기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접합 공정(S3)은 기재층(10)과 나노 섬유층(20)을 적층한 상태로 열압착하는 열접합 공정으로서, 상기 열접합 공정에 의해 접합 나노 섬유(22)의 적어도 일부를 용융시켜 기재층(10)과 나노 섬유층(20)을 접합 나노 섬유(22)로 접합하므로, 접합 나노 섬유로서 열접합성을 가진 수지로 이루어진 접합 나노 섬유를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 기재층과 나노 섬유층을 가열에 의해 접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2]
도 6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세퍼레이터(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심재(부호를 도시하지 않음)에 감은 상태의 세퍼레이터(2)의 사시도이고, 도 6의 (b)는 세퍼레이터(2)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6의 (c)는 도 6의 (b)의 "B"로 나타내는 범위를 더 확대하여 도시한 모식도이다.
실시형태 2에 따른 세퍼레이터(2)는 기본적으로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와 동일한 구성을 갖지만, 나노 섬유층의 구성이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와는 다르다. 즉, 실시형태 2에 따른 세퍼레이터(2)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노 섬유층(40)은 열접합성을 가진 수지의 융점보다 높은 융점을 가진 재료로 이루어진 고융점 나노 섬유(46)를 더 포함한다. 또한, 도 6의 (c)에 있어서, 도면 부호 "42"로 나타내는 것은 접합 나노 섬유이고, 실시형태 1에서의 접합 나노 섬유(22)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고융점 나노 섬유(46)의 재료로서는 열접합성을 가진 수지의 융점보다 높은 융점을 가진 재료이면 여러 가지 재료를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폴리락트산(PLA),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아세트산비닐(PVAc),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T), 폴리아미드(PA), 폴리우레탄(PUR), 폴리비닐알콜(PVA),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이미드(PI),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락트산글리콜산(PLGA), 실크, 셀룰로스, 키토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실시형태 2에 따른 세퍼레이터(2)에서는 나노 섬유층의 구성이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와는 다르지만,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재층(10)의 접합에 이용되는 접합 나노 섬유(42)를 적어도 포함하는 나노 섬유층(40)을 가지므로, 세퍼레이터의 통액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종래의 세퍼레이터보다 더 높은 전해액 흡수성이나 더 낮은 이온 저항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형태 2에 따른 세퍼레이터(2)에 의하면, 나노 섬유층(40)은 열접합성을 가진 수지의 융점보다 높은 융점을 가진 재료로 이루어진 고융점 나노 섬유 (46)를 더 포함하므로, 섬유의 평균 직경이나 틈이 미세한 나노 섬유층의 구조가 붕괴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형태 2에 따른 세퍼레이터(2)는 나노 섬유층의 구성 이외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가 가지는 효과 중 해당하는 효과를 그대로 가진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취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1) 상기 각 실시형태의 각 구성 요소의 수, 위치 관계, 크기는 예시이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2)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기재층(10) 및 나노 섬유층으로 이루어진 세퍼레이터를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기재층 및 나노 섬유층 이외의 구성요소(보강부재 등)를 더 구비한 세퍼레이터로 해도 좋다.
(3) 상기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는 실시형태에 따른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100)를 이용하여 제조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는 전계 방사 장치 및 접합 장치가 각각 별체로 되어 있는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는 여러 가지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4) 상기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는 실시형태에 따른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는 기재층을 제조하는 공정과 전계 방사 공정을 동시에 실시하는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는 여러 가지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5) 상기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은 상기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100)을 이용하여 실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은 전계 방사 장치 및 접합 장치가 각각 별체로 되어 있는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은 여러 가지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6)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열접합성을 가진 수지로 이루어진 접합 나노 섬유를 이용하여 기재층(10)과 나노 섬유층은 적어도 일부가 열로 용융한 접합 나노 섬유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세퍼레이터를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은 변형예의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예를 들면, 소정의 용매에 대해 용해성을 가진 수지로 이루어진 접합 나노 섬유를 이용하여, 기재층과 나노 섬유층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용매로 용해한 접합 나노 섬유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세퍼레이터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은 세퍼레이터는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합 나노 섬유에 대해 적절한 용해성을 가진 용매에 나노 섬유 적층체를 담그고, 또는 상기 용매의 증기에 나노 섬유 적층체를 통해 기재층과 나노 섬유층을 접합하는 접합 공정(용해 접합 공정)(S3')을 실시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기재층과 나노 섬유층을 소정의 용매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접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7) 또한, 상기 (6)의 경우에는 나노 섬유층은 소정의 용매에 대해 용해성을 가진 수지 보다 소정의 용매에 대해 낮은 용해성을 가진 재료로 이루어진 저용해성 나노 섬유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섬유의 평균 직경이나 틈이 미세한 나노 섬유층의 구조가 붕괴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8) 상기 실시형태 1에서는 전계 방사 장치(120)를 1대 구비하는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100)를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계 방사 장치를 2대 이상 구비한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를 본 발명에 적용할 수도 있다.
1, 2 : 세퍼레이터
10 : 기재층
12 : 기재 섬유
20, 40 : (접합 공정 후의) 나노 섬유층
20' : (접합 공정 전의) 나노 섬유층
22, 42 : 접합 나노 섬유
24, 44 : 용융한 접합 나노 섬유
30 : 나노 섬유 적층체
46 : 고융점 나노 섬유
100 :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
110 : 반송 장치
111 : 투입 롤러
112 : 감기 롤러
113, 118 : 텐션 롤러
114 : 보조 롤러
120 : 전계 방사 장치
130 : 접합 장치
200 : 하우징체
210 : 노즐 유닛
220 : 상부방향 노즐
250 : 컬렉터
252 : 절연체
260 : 전원 장치
270 : 보조 벨트 장치
272 : 보조 벨트
274 : 보조 벨트용 롤러

Claims (14)

  1. 기재층,
    상기 기재층과의 접합에 이용되는 접합 나노 섬유를 적어도 포함하는 나노 섬유층을 갖고,
    상기 기재층과 상기 나노 섬유층은 상기 접합 나노 섬유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퍼레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나노 섬유는 열접합성을 가진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재층과 상기 나노 섬유층은 적어도 일부가 열로 용융한 접합 나노 섬유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퍼레이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나노 섬유를 구성하는 상기 열접합성을 가진 수지의 융점은 상기 기재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융점 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퍼레이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나노 섬유를 구성하는 상기 열접합성을 가진 수지의 융점은, 상기 기재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융점보다 10℃ 이상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퍼레이터.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나노 섬유의 평균 직경은 50nm~1000nm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퍼레이터.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섬유층은, 상기 열접합성을 가진 수지의 융점보다 높은 융점을 가진 재료로 이루어진 고융점 나노 섬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퍼레이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나노 섬유는 소정의 용매에 대해 용해성을 가진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재층과 상기 나노 섬유층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소정의 용매로 용해된 접합 나노 섬유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퍼레이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섬유층은 상기 소정의 용매에 대해 용해성을 가진 수지보다 상기 소정의 용매에 대해 낮은 용해성을 가진 재료로 이루어진 저용해성 나노 섬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퍼레이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1㎛~100㎛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퍼레이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나노 섬유는 전계 방사법에 의해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퍼레이터.
  11. 전계 방사법에 의해, 기재층의 한쪽 면에 접합 나노 섬유를 포함하는 나노 섬유층을 형성하여 나노 섬유 적층체로 하는 전계 방사 장치,
    상기 나노 섬유 적층체의 상기 접합 나노 섬유를 이용하여, 상기 기재층과 상기 나노 섬유층을 접합하는 접합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장치는 상기 기재층과 상기 나노 섬유층을 적층한 상태로 열압착하는 열접합 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
  13. 기재층을 준비하는 기재층 준비 공정,
    전계 방사법에 의해 상기 기재층의 한쪽 면에 접합 나노 섬유를 포함하는 나노 섬유층을 형성하여 나노 섬유 적층체로 하는 전계 방사 공정, 및
    상기 나노 섬유 적층체의 상기 접합 나노 섬유를 이용하여 상기 기재층과 상기 나노 섬유층을 접합하는 접합 공정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공정은 상기 기재층과 상기 나노 섬유층을 적층한 상태로 열압착하는 열접합 공정으로서, 상기 열접합 공정에 의해 상기 접합 나노 섬유의 적어도 일부를 용융시켜 상기 기재층과 상기 나노 섬유층을 상기 접합 나노 섬유로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
KR1020120008711A 2011-07-28 2012-01-30 접합 나노 섬유를 포함하는 세퍼레이터, 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1300143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65884 2011-07-28
JP2011165884A JP2013030363A (ja) 2011-07-28 2011-07-28 セパレーター、セパレーター製造装置及びセパレーター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319A true KR20130014319A (ko) 2013-02-07

Family

ID=47787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8711A KR20130014319A (ko) 2011-07-28 2012-01-30 접합 나노 섬유를 포함하는 세퍼레이터, 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3030363A (ko)
KR (1) KR20130014319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30363A (ja) 201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3567B1 (ko) 접합용 나노섬유층과 무기입자를 포함하는 세퍼레이터, 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200717B1 (ko) 나노 섬유 복합체 제조 방법, 나노 섬유 복합체 및 세퍼레이터
KR20120109289A (ko)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및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
KR101154212B1 (ko)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
JP5778938B2 (ja) セパレーター製造装置
KR101195132B1 (ko) 백 필터용 여과재
KR101460303B1 (ko) 방수 통음 시트 및 그 제조방법과, 방수 통음 시트를 구비한 전자기기
JP6182553B2 (ja) 粘着テ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30136240A (ko) 전도성 점착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2109727B1 (ko) 투습방수 원단의 제조방법
KR101392416B1 (ko)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 및 이 방법을 이용해 제조된세퍼레이터
JP2013037853A (ja) セパレーター、セパレーター製造装置及びセパレーター製造方法
KR101154213B1 (ko)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
KR101337341B1 (ko) 세퍼레이터,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 및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
KR20130014319A (ko) 접합 나노 섬유를 포함하는 세퍼레이터, 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JP2007197891A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
KR101406264B1 (ko) 하이브리드 복합 나노 부직포
KR101235078B1 (ko) 고강도 복합 나노 섬유 집합체의 제조 방법
JP2013030364A (ja) セパレーター、セパレーター製造装置及びセパレーター製造方法
KR101811660B1 (ko) 나노섬유 제조장치 및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721994B1 (ko) 어쿠스틱 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1993B1 (ko) 어쿠스틱 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35077B1 (ko) 고강도 복합 나노 섬유 집합체의 제조 방법
KR101573808B1 (ko) 하이브리드 복합 나노 부직포
JP2023059731A (ja) 不織布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527

Effective date: 2013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