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4129A - Autom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 quality improving to mobile devic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of the same in computer - Google Patents

Autom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 quality improving to mobile devic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of the same in compu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4129A
KR20130014129A KR1020110076069A KR20110076069A KR20130014129A KR 20130014129 A KR20130014129 A KR 20130014129A KR 1020110076069 A KR1020110076069 A KR 1020110076069A KR 20110076069 A KR20110076069 A KR 20110076069A KR 20130014129 A KR20130014129 A KR 20130014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quality
standard
frequency response
nois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0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34586B1 (en
Inventor
주연재
김병근
하동경
정성일
신상우
임형근
박원석
오영진
Original Assignee
(주)트란소노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트란소노,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트란소노
Priority to KR1020110076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586B1/en
Publication of KR20130014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1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5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02Manually-operated control
    • H03G3/14Manually-operated control in frequency-selective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02Manually-operated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automating the sound quality improvement of a portable terminal, a device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in a computer are provided to automatically optimize a parameter value to satisfy standards for frequency response, volume level, and idle channel noise in a receiving unit and frequency response, volume level, and idle channel noise in a transmitting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CONSTITUTION: A voice quality standard selecting unit(400) selects one or more of frequency response standards, a loudness rating standard, and an idle channel noise standard. A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confirming unit(410) loads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data of a portable terminal to be improved in voice quality. A voice quality standard determining unit(420) determines whether the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data of the portable terminal satisfies one or more of the standards. If the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data does not satisfy the standards, a correcting unit(430) corrects a parameter corresponding to the standards. [Reference numerals] (400) Voice quality standard selecting unit; (410)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confirming unit; (420) Voice quality standard determining unit; (430) Frequency response correcting part; (450) Loudness rating correcting part; (460) Idle channel noise correcting part; (AA) Correcting unit

Description

휴대 단말의 음질 향상 자동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Autom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 quality improving to mobile devic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of the same in computer} Autom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 quality improving to mobile devic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of the same in computer}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의 음질 향상 자동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의 음성품질 측정장비를 통해 얻은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음성특성 관련 파라미터 값들을 자동 튜닝하는 휴대 단말의 음질 향상 자동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improving sound quality of a mobile terminal,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n a compu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utomatically improving sound quality of a portable terminal for automatically tuning parameter values related to voice characteristics and a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n a computer.

최근 휴대 단말은 음성, 영상통화, 무선 인터넷, DMB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만, 여전히 의사소통의 주된 수단인 음성 서비스의 품질은 휴대 단말의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의 음성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와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Recently, mobile terminals have provided various services such as voice, video call, wireless Internet, and DMB service. Although these various services are provided, the quality of voice service, which is still the main means of communi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ly, research and efforts to improve the voice quality of portable terminals have been continued.

휴대 단말의 중요한 성능평가 지표인 음성품질은 기구적 특성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비슷한 휴대 단말이라 할지라도 기구적 특성에 따라 상이한 통화 품질이 나타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휴대 단말의 음성품질 관련 파라미터 값들을 오디오 엔지니어의 수작업 튜닝을 통해 도출하는 점도 음성품질의 균일성을 보장하지 못하는 요인 중의 하나이다. 기존 음성품질 튜닝 방법의 또 다른 문제점은 오디오 엔지니어가 다양한 튜닝 파라미터들의 조합을 고려해야 하므로, 음성품질을 최적화하기 위해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이다. 또한, 개인의 숙련도에 따라 튜닝에 소요되는 시간도 차이가 많아, 전체 개발 일정에 지장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Voice quality, which is an important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of a mobile terminal, is affected by mechanical characteristics. Therefore, even similar mobile terminals may exhibit different call qualities according to mechanic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deriving the voice quality related parameter values of the mobile terminal through manual tuning by an audio engineer is one of the factors that does not guarantee the uniformity of the voice quality. Another problem with the conventional voice quality tuning method is that it takes a lot of time to optimize the voice quality since the audio engineer must consider the combination of various tuning parameters. In addition, the time required for tuning also varies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skill level, which may cause problems in the entire development schedule.

휴대 단말은 이동통신기술 표준화기구(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 3GPP),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 표준화 부문(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 ITU-T), 유럽 전기 통신 표준 협회(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 ETSI), 미국 통신 산업 협회(Telecommunications Industry Association : TIA) 등에서 제공하는 통화 품질 규격에 만족하도록 사용자에게 서비스된다.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ITU-T), the 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ETSI). ), The user is serviced to satisfy call quality standards provided by the Telecommunications Industry Association (TIA).

종래 휴대 단말에 대한 음질상태를 측정하고, 측정된 음질을 보정하는 발명은 있어 왔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한국공개공보 10-2006-0097259호(적응 등화기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의 음질 보정 방법)에는 적응 등화기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의 음질 보정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모델별 휴대 단말에 고유한 적응 등화기를 적용하여 왜곡된 음질 신호를 보정하여 음질을 개선하고자 하는 발명이다. Conventionally, there has been an invention for measuring a sound quality state of a portable terminal and correcting the measured sound quality. Specifically,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97259 (sound quality correction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using an adaptive equalizer) discloses a sound quality correction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using an adaptive equalizer. This is an invention to improve the sound quality by correcting the distorted sound quality signal by applying a unique adaptive equalizer to the model-specific portable terminal.

또한, 한국공개공보 10-2005-0092177호(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음질측정 장치 및 방법)에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보코더 음질 시험 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보코더 보드 후면에 음질 시험 장치를 실장하여 보코더 보드의 음질 측정 및 기지국과 단말까지 구간별 통화를 통해 음질을 측정한다.Also,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92177 (sound quality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iscloses a vocoder sound quality testing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sound quality tester is mounted on the back of the vocoder board to measure the sound quality of the vocoder board and to measure the sound quality through the section-by-sector call to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휴대 단말의 송신부에서의 주파수 응답(Frequency Response), 음량 세기(Loudness Rating), 무통화 시 잡음(Idle channel noise), 수신부에서의 주파수 응답(Frequency Response), 음량 세기(Loudness Rating), 무통화 시 잡음(Idle channel noise) 규격을 만족하도록 파라미터 값을 최적화할 수 있는 휴대 단말의 음질 향상 자동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frequency response (Frequency Response), the loudness rating, the idle channel noise, the frequency response (Frequency Response), the volume at the receiver SUMMARY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improving sound quality of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optimizing parameter values to satisfy a loudness rating and idle channel noise specificatio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각각 상이한 음성품질 특성을 지닌 다양한 휴대 단말 모델들을 개발함에 있어, 빠른 시간 내에 요구되는 규격을 만족하는 음성품질을 제공함은 물론, 개발 모델에 따른 음성품질의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 단말의 음질 향상 자동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velop a variety of mobile terminal models each having a different voice quality characteristics, to provide a voice quality that satisfies the required specifications in a short time, as well as the deviation of the voice qualit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mode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improving sound quality of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minimizing the number.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음질 향상 자동화 방법은 휴대 단말의 통화 음질을 향상시키는 자동화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음질 향상 자동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휴대 단말의 음성품질 규격을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휴대 단말의 음성품질 측정 결과를 음성품질 측정 장치로부터 전송받는 단계; (c) 상기 전송받은 음성품질 측정 결과가 상기 (a) 단계에서 선택한 음성품질 규격에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음성품질 측정 결과가 상기 음성품질 규격에 만족하면 상기 휴대 단말의 음성품질 향상 자동화 과정을 종료하고, 상기 음성품질 측정 결과가 상기 음성품질 규격에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음성품질 규격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보정하는 단계;를 갖는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automatically improving sound quality of a mobile terminal, the method including: (a) voice quality of the mobile terminal; Selecting a specification; (b) receiving a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of the portable terminal from a voice quality measurement device; (c) determining whether the received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satisfies the voice quality standard selected in step (a); And (d) if the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satisfies the voice quality standard, terminates the voice quality improvement process of the mobile terminal, and if the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does not satisfy the voice quality standard, the voice quality standard corresponds to the voice quality standard. Calibrating the parameter to be obtained.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음질 향상 자동화 장치는 주파수 응답 규격(Frequency Response Specification), 음량 세기 규격(Loudness Rating Specification), 무통화 시 잡음 규격(Idle channel noise Specification)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음성품질 규격을 선택하는 음성품질 규격 선택부; 음성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휴대 단말의 음성품질을 측정한 결과 데이터를 불러오는 음성품질 측정 결과 확인부; 상기 음성품질 측정 결과 확인부로부터 확인된 상기 휴대 단말의 음성품질 측정 결과가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음성품질 규격에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음성품질 규격 판단부; 및 상기 휴대 단말의 음성품질 측정 결과가 상기 음성품질 규격에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음성품질 규격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보정하는 보정부;를 구비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improving sound quality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frequency response specification, a loudness rating specification, and an idle channel noise specification. A voice quality standard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ny one or more voice quality standards of the voice; A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confirming unit which retrieves the result data of the voice quality of the mobile terminal to improve the voice quality; A voice quality standard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a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of the portable terminal confirmed by the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confirmation unit satisfies any one or more selected voice quality standards; And a correction unit for correcting a parameter corresponding to the voice quality standard when the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of the portable terminal does not satisfy the voice quality standard.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음질 향상 자동화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휴대 단말의 송신부에서의 주파수 응답, 음량 세기, 무통화 시 잡음, 수신부에서의 주파수 응답, 음량 세기, 무통화 시 잡음 규격을 만족하도록 파라미터 값을 자동적으로 최적화하여 향상된 음성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sound quality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equency response, the volume intensity, the noise in the non-talk, the frequency response in the receiver, the volume intensity, and the noise in the non-call Automatically optimize parameter values to provide improved voice qualit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음질 향상 자동화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각각 상이한 음성품질 특성을 지닌 다양한 휴대 단말 모델들을 개발함에 있어, 빠른 시간 내에 요구되는 규격을 만족하는 음성품질을 제공함은 물론, 개발 모델에 따른 음성품질의 편차를 최소화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improving sound quality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veloping various portable terminal models having different voice quality characteristics, each of them provides a voice quality satisfying a required standard within a short time, It is to minimize the deviation of voice qualit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mode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음질 향상 자동화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휴대 단말의 음성품질 튜닝(tuning)을 자동화 과정을 통해 튜닝 소요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화 과정을 통해 분석이 빠르고 용이한 테스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improving sound quality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uning time can be shortened through an automatic process of tuning the voice quality of the portable terminal. As a result, an automated process can provide quick and easy test result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음질 향상 자동화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음성품질 규격을 만족시키는 튜닝 파라미터 값들을 찾아 자동으로 값을 도출하여, 음성품질 평가 지표를 제시하며, 음성품질 분석을 위한 시청각적인 펄스 부호 변조 데이터 분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improving sound quality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utomatically finding a tuning parameter value that satisfies a voice quality standard, a value is automatically derived, a voice quality evaluation index is presented, and an audiovisual analysis for voice quality analysis. Pulse code modulation data analysis function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음성품질 향상 자동화 방법을 구현하고자 하는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음성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동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음성품질을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음질 향상 자동화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음성품질 최적화 방법 중 목표 주파수 응답 특성을 설정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음성품질 최적화 방법 중 음량 세기 보정을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음성품질 최적화 방법 중 무통화 시 잡음에 대한 파라미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ntire system to implement the automatic voice quality improvement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tomation method for improving voice quality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optimizing voice quality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for improving sound quality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setting a target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 of a voice quality optimizat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volume intensity correction of the voice quality optimizat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graph illustrating a parameter for noise during a non-call in the voice quality optimization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음질 향상 자동화 방법 및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utomatic sound quality improvement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100)의 음성품질 향상 자동화 방법을 구현하고자 하는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entire system to implement the automatic voice quality improvement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100)의 음성품질 향상 자동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음질향상 자동화 장치(200)는 음성품질 측정장치(300)와 연동하여 휴대 단말(100)의 음성품질 관련된 파라미터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음성품질 측정장치(300)는 음질향상 자동화 장치(200)와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음성품질을 측정하여 부족한 파라미터를 보정(향상)하고자 하는 휴대 단말(100)은 음질향상 자동화 장치(200)와 음성품질 측정 장치(300)와 전기적으로 연결한다.The sound quality improvement automation apparatus 200 for implementing the voice quality improvement automation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performs the voice quality related parameters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association with the voice quality measurement apparatus 300. To control. The voice quality measuring apparatus 3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ound quality enhancing automation apparatus 200.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0 to measure (quality) the insufficient parameters by measuring the voice quality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und quality improvement automation device 200 and the voice quality measurement device 300.

음질향상 자동화 장치(200)는 음성품질 측정장치(300)와 연동되어 음성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휴대 단말(100)의 음성품질을 측정한 결과값을 요청하고, 전송받는다. 이때, 음질향상 자동화 장치(200)는 음성품질 측정장치(300)에게 휴대 단말(100)의 음성품질 측정을 시작하는 시작 신호 및 음성품질 측정을 중단하는 정지 신호를 보낼 수 있다. The sound quality improvement automation device 200 interoperates with the voice quality measurement apparatus 300 and requests and receives a result value of measuring the voice quality of the mobile terminal 100 to improve the voice quality. In this case, the sound quality improvement automation device 200 may transmit a start signal for starting the voice quality measur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a stop signal for stopping the voice quality measurement to the voice quality measurement apparatus 300.

음성품질 측정장치(300)를 통하여 휴대 단말(100)의 음성품질 특성에 대한 측정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음질향상 자동화 장치(200)로 전송하여 사전에 설정한 음성품질 규격을 만족하는 통화품질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정들은 통화품질 규격에 만족하거나 사전에 설정한 횟수 동안 반복하여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 도면을 통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Analyze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voic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voice quality measuring apparatus 300 and transmit the same to the sound quality enhancing automation apparatus 200 to satisfy call quality standards set in advance.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hese processes may be repeated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satisfying or preset call quality standards. Details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100)의 음성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동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tomation method for improving voice quality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음질향상 자동화 장치(200)가 휴대 단말(100) 및 음성품질 측정장치(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는지 확인한다. 모든 장치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면, 휴대 단말(100)의 음성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음성품질 규격을 선택하여 음질 향상 자동화 과정을 시작한다(S200). 이때, 음성품질 규격에는 주파수 응답 규격, 음량 세기 규격, 무통화 시 잡음 규격이 있고, 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First, the sound quality improvement automation device 2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voice quality measurement device 300. If all the devic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voice quality standard for improving the voice quality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selected to start the automatic sound quality improvement process (S200). In this case, the voice quality standard includes a frequency response standard, a loudness standard, and a no-noise noise standard, and one or more of them may be selected.

음질향상 자동화 장치(200)는 음성품질 측정장치(300)에 휴대 단말(100)의 음성품질을 측정할 것으로 요청한다(S210). 음성품질 측정장치(300)는 측정 요청된 항목에 대해 측정을 시작하고, 음성품질 측정이 완료되면 음성품질 측정결과를 음성품질 측정장치(300)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표시될 수 있다(S220). 이렇게 측정된 음성품질 측정 결과는 음질향상 자동화 장치(200)로 전송된다(S230). 전송받은 음성품질 측정 결과가 앞에서 선택한 음성품질 규격에 만족하는지 판단한다(S240). 음성품질 측정결과가 선택된 음성품질 규격에 만족하면 휴대 단말(100)의 음성품질 향상 자동화 과정을 종료한다. 또는, 음성품질 측정결과가 선택된 음성품질 규격에 만족하지 않으면 음성품질 규격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보정함으로서 음성품질을 최적화하는 보정 과정을 거치게 된다(S250). The sound quality improvement automation device 200 requests the voice quality measuring apparatus 300 to measure the voice quality of the mobile terminal 100 (S210). The voice quality measuring apparatus 300 may start measuring the requested item, and when the voice quality measurement is completed, the voice quality measuring result may be displayed on a display unit (not shown) of the voice quality measuring apparatus 300 ( S220). The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measured is transmitted to the sound quality improvement automation device 200 (S23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ceived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satisfies the previously selected voice quality standard (S240). When the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satisfies the selected voice quality standard, the voice quality improvement automation process of the mobile terminal 100 ends. Alternatively, if the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does not satisfy the selected voice quality standard, a calibration process for optimizing voice quality is performed by correcting a parameter corresponding to the voice quality standard (S250).

이러한 보정 과정을 거친 후, 재차 휴대 단말(100)의 음성품질 측정을 요청하여, 측정된 음성품질 결과가 앞서 선택한 음성품질 규격에 만족하는지 다시 한번 판단한다. 이러한 과정은 사전에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가장 최적의 파라미터값을 산출하게 된다. 이러한 최적화 과정을 통해서 산출된 파라미터 값들은 휴대 단말(100)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칩에 적용되어 음성품질 규격에 맞도록 조절된다. After the correction process, the voice quality measurement is requested again by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t is determined once again whether the measured voice quality result satisfies the previously selected voice quality standard. This process is repea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o calculate the most optimal parameter value. The parameter values calculated through this optimization process are applied to the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chip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djusted to meet the voice quality standard.

음성품질 최적화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 도면을 통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Details of the voice quality optimiz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100)의 음성품질을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optimizing voice quality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휴대 단말(100)의 음성품질의 여러 측정 항목들 중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송수신부의 주파수 응답, 음량 세기, 무통화 시 잡음에 대한 최적화 과정을 수행한다. 최적화 과정은 휴대 단말(100)의 특성상 조정하는 우선순위에 따라 주파수 응답, 음량 세기, 무통화 시 잡음 순서로 행해진다. Among the various measurement items of the voice quality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 optimization process for the frequency response, the volume intensity, and the noise at the time of no communication is required. The optimization process is performed in order of frequency response, volume intensity, and no-noise noise in accordance with the priority to adjus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terminal 100.

먼저, 휴대 단말(100)의 측정된 주파수 응답이 주파수 응답 규격에 만족하는지 확인한다(S300). 목표 주파수 응답 규격을 만족하면 다음 최적화 과정을 수행하고, 만족하지 않으면 주파수 응답에서 필터 계수를 보정한다(S350). First, it is checked whether the measured frequency response of the mobile terminal 100 satisfies the frequency response standard (S300). If the target frequency response specification is satisfied, the next optimization process is performed. If not, the filter coefficient is corrected in the frequency response (S350).

송수신부 주파수 응답 항목 최적화에 사용되는 필터 계수 보정에 관련된 변수는 펄스 부호 변조(Pulse Code Modulation : PCM) 필터 파라미터이다. 펄스 부호 변조 필터 파라미터는 송신부와 수신부 각각에 7개의 필터 계수로 구성되어 있다. 필터 계수 최적화 과정은 ⅰ) 먼저 목표 주파수 응답 특성(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을 설정한다. 휴대 단말(100)의 기종에 맞는 목표 주파수 응답을 선택하거나,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직접 목표 주파수 응답 특성을 설정할 수 있다. ⅱ) 휴대 단말(100)의 기본적인 주파수 응답 특성을 구한다. 그리고 ⅲ) 목표 주파수 응답과 휴대 단말(100)의 주파수 응답 특성 곡선과의 차이를 토대로 최적화된 필터 계수 값을 도출한다.The variable related to filter coefficient correction used for the transceiver frequency response item optimization is a pulse code modulation (PCM) filter parameter. The pulse code modulation filter parameter is composed of seven filter coefficients in each of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In the filter coefficient optimization process, i) First, target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are set. The target frequency response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model of the mobile terminal 100, or the target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may be directly set by using a mouse or the like as shown in FIG. Ii) A basic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obtained. And iii) an optimized filter coefficient value is deriv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frequency response and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 curve of the mobile terminal 100.

이를 토대로 휴대 단말(100)의 음질 특성을 다시 측정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규격을 만족할 때까지 사전에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회 반복될 수 있다. Based on this, the sou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terminal 100 are measured again. This process may be repea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until the specification is satisfied, preferably three times.

다음으로, 휴대 단말(100)의 측정된 음량 세기가 음량 세기 규격에 만족하는지 확인한다(S310). 음량 세기 규격(예를 들면, -8 dB ~ -12 dB)을 만족하면 다음 최적화 과정을 수행하고, 만족하지 않으면 음량 세기를 보정한다(S360). 음량 세기 규격은 통화품질을 음량 크기의 관점에서 평가하는 객관적인 품질을 의미한다. Next, it is checked whether the measured volume intensity of the mobile terminal 100 satisfies the volume intensity standard (S310). If the volume intensity specification (for example, -8 dB to -12 dB) is satisfied, the next optimization process is performed, and if it is not satisfied, the volume intensity is corrected (S360). The loudness standard refers to the objective quality of evaluating call quality in terms of volume level.

도 6을 참조하면, 음량 세기 보정은 목표 음량 세기 수치와 휴대 단말(100)에서 측정한 음량 세기 수치의 차이를 구하여, 상기 차이만큼 코덱 이득(codec gain)과 볼륨 파라미터를 조절하게 된다. 코덱 이득과 볼륨 파라미터를 증가시키면 송수신부 음량 세기는 감소되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목표 음량 세기 수치와 휴대 단말(100)에서 측정한 음량 세기 수치의 차이를 구하여, 차이만큼 코덱 이득 파라미터를 조정하고, 일정 범위 이상 증가하면 볼륨 파라미터를 조정하여 송수신부 음량 세기 수치를 조정한다. 이러한 과정은 규격을 만족할 때까지 반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volume intensity correction obtains a difference between a target volume intensity value and a volume intensity value measur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djusts a codec gain and a volume parameter by the difference. Increasing the codec gain and volume parameters reduces the volume of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According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volume intensity value and the volume intensity value measur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is obtained, and the codec gain parameter is adjusted by the difference, and if the increase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range, the volume intensity value of the transceiver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volume parameter. This process can be repeated until the specification is met.

음량 세기에 대한 항목 최적화시 다른 항목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음량 세기에 대한 항목을 최적화한 후에 이전 항목들을 다시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따라서 음량 세기 규격 만족 여부를 확인하여 음량 세기를 보정한 후에 다시 한번 주파수 응답과 음량 세기 규격에 만족하는지 확인한다(S320).When optimizing an item for the volume intensity, other items may be affected. Therefore, after optimizing the item for the volume intensity, the previous items are checked again. Therefore, after checking whether the volume intensity specification is satisfied, the volume intensity is corrected, and once again, the frequency response and the volume intensity standard are satisfied (S320).

다음으로, 휴대 단말(100)의 측정된 음성품질 결과가 무통화 시 잡음 규격에 만족하는지 확인한다(S330). 무통화 시 잡음 규격(예를 들면, -65 dBPa(A) 이하)을 만족하면 다음 과정을 수행하고, 만족하지 않으면 무통화 시 잡음을 보정한다(S370). 무통화 시 잡음은 상호 접속된 통화자가 아무 말도 하고 있지 않은 상태일 때의 잡음을 의미한다. Next, it is checked whether the measured voice quality result of the mobile terminal 100 satisfies the noise standard at the time of no call (S330). If no noise is satisfied (for example, -65 dBPa (A) or less), the following process is performed, and if it is not satisfied, noise is canceled during no talk (S370). No-talk noise refers to noise when interconnected callers are not talking.

도 7을 참조하면, 무통화 시 잡음은 자동이득제어(Automatic gain control : AGC)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제어하며, 자동이득제어 파라미터에는 정적 이득(static gain), 익스팬더 임계값(expander threshold) 및 익스팬더 기울기(expander slope)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정적 이득은 입력되는 신호를 전체적으로 조정하는 역할을 하므로 무통화 시 잡음이 클 때 가장 먼저 입력신호를 조절하며, 익스팬더 임계값 및 익스팬더 기울기는 입력 신호의 로우 레벨을 조절하여 무통화 시 잡음을 조절하게 된다. 익스팬더 임계치를 조정하여 입력 신호의 통과 기준 레벨을 정하고, 익스팬더 기울기를 조정하여 입력과 출력의 상대적인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무통화 시 잡음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규격을 만족할 때까지 반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noise during no call is controlled by adjusting an automatic gain control (AGC) parameter, and the automatic gain control parameter includes a static gain, an expander threshold, and an expander slope. Contains the (expander slope) parameter. The static gain acts to adjust the input signal as a whole, so when the noise is high during no talk, the input signal is adjusted first, and the expander threshold and expander slope adjust the low level of the input signal to adjust the noise during no talk. do. Adjusting the expander thresholds determines the pass reference level of the input signal, and the expander slopes adjust the relative ratio of input and output to reduce noise during no talk. This process can be repeated until the specification is met.

무통화 시 잡음에 대한 항목 최적화시 다른 항목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무통화 시 잡음에 대한 항목을 최적화한 후에 이전 항목들을 다시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따라서 무통화 시 잡음 규격 만족 여부를 확인하여 무통화 시 잡음을 보정한 후에 다시 한번 주파수 응답, 음량 세기 규격 및 무통화 시 잡음 규격에 만족하는지 확인한다(S340).When optimizing an item for noise during a call, other items may be affected. Therefore, the previous items are checked again after optimizing an item for noise during a call. Therefore, after confirming that the noise specification is satisfied during the non-call, the noise is corrected during the non-call, and then the frequency response, the volume intensity specification, and the noise specification during the non-call are satisfied again (S34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100)의 음질을 향상시키는 음질 향상 자동화 장치(2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200 for improving sound quality for improving sound quality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음질 향상 자동화 장치(200)는 음성품질 규격 선택부(400), 음성품질 측정 결과 확인부(410), 음성품질 규격 판단부(420) 및 보정부(430)를 포함한다. The apparatus 200 for improving sound qu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oice quality standard selection unit 400, a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checking unit 410, a voice quality standard determination unit 420, and a correction unit 430.

음성품질 규격 선택부(400)는 주파수 응답 규격, 음량 세기 규격, 무통화 시 잡음 규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음성품질 규격을 선택한다. The voice quality standard selection unit 400 selects one or more voice quality standards of a frequency response standard, a volume intensity standard, and a noise standard when no communication is performed.

음성품질 측정 결과 확인부(410)는 음성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휴대 단말(100)의 음성품질을 측정한 결과 데이터를 음성품질 측정장치(300)로부터 전송받는다.The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confirming unit 410 receives data from the voice quality measuring apparatus 300 as a result of measuring voice quality of the mobile terminal 100 to improve voice quality.

음성품질 규격 판단부(420)는 음성품질 측정 결과 확인부(410)로부터 확인된 휴대 단말의(100) 음성품질 측정 결과가 앞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음성품질 규격에 만족하는지 판단한다. The voice quality standard determination unit 420 determines whether the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confirmed by the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check unit 410 satisfies any one or more voice quality standards previously selected.

보정부(430)는 휴대 단말(100)의 음성품질 측정 결과가 음성품질 규격에 만족하지 않으면 음성품질 규격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보정한다. 보정부(430)는 주파수 응답 보정부(440), 음량 세기 보정부(450), 무통화 시 잡음 보정부(460)를 포함한다. The correction unit 430 corrects a parameter corresponding to the voice quality standard when the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does not satisfy the voice quality standard. The correction unit 430 includes a frequency response correction unit 440, a volume intensity correction unit 450, and a noise correction unit 460 during no call.

주파수 응답 보정부(440)는 휴대 단말(100)의 음성 품질 측정 결과가 주파수 응답 규격에 만족하지 않으면 필터 계수를 보정한다. 음량 세기 보정부(450)는 휴대 단말(100)의 음성품질 측정 결과가 음량 세기 규격에 만족하지 않으면 음량 세기를 보정한다. 무통화 시 잡음 보정부(460)는 휴대 단말(100)의 음성품질 결과가 무통화 시 잡음 규격에 만족하지 않으면 무통화 시 잡음을 보정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에 대한 설명을 참고한다. The frequency response corrector 440 corrects the filter coefficients when the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of the mobile terminal 100 does not satisfy the frequency response standard. The volume intensity correction unit 450 corrects the volume intensity when the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of the mobile terminal 100 does not satisfy the volume intensity standard. The non-talk noise correction unit 460 corrects the noise during the non-call when the voice quality resul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does not satisfy the noise standard during the non-call. Fo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refer to the description of FIG. 3.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장치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apparatus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 carrier wave (transmission via the Internet).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computer devices connected throug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so that the computer-readable code may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n the embodiment in which said invention is directe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음성품질 규격 선택부 : 400
음성품질 측정 결과 확인부 : 410
음성품질 규격 판단부 : 420
보정부 : 430
주파수 응답 보정부 : 440
음량 세기 보정부 : 450
무통화 시 잡음 보정부 : 460
Voice quality standard selection part: 400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checker: 410
Voice Quality Standard Determination Unit: 420
Compensator: 430
Frequency response correction unit: 440
Volume intensity correction unit: 450
Noise compensator during no call: 460

Claims (16)

휴대 단말의 통화 품질을 향상시키는 음질 향상 자동화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음질 향상 자동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휴대 단말의 음성품질 규격을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휴대 단말의 음성품질 측정 결과를 음성품질 측정 장치로부터 전송받는 단계;
(c) 상기 전송받은 음성품질 측정 결과가 상기 (a) 단계에서 선택한 음성품질 규격에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음성품질 측정 결과가 상기 음성품질 규격에 만족하면 상기 휴대 단말의 음성품질 향상 자동화 과정을 종료하고, 상기 음성품질 측정 결과가 상기 음성품질 규격에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음성품질 규격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음질 향상 자동화 방법.
In the sound quality improvement automation method performed by the sound quality improvement automation device for improving the call quality of the mobile terminal,
(a) selecting a voice quality standard of the portable terminal;
(b) receiving a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of the portable terminal from a voice quality measurement device;
(c) determining whether the received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satisfies the voice quality standard selected in step (a); And
(d) if the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satisfies the voice quality standard, the process of automating the voice quality impr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is terminated; and if the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does not satisfy the voice quality standard, Compensating the parameter; sound quality enhancement automat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음성품질 규격은 주파수 응답 규격, 음량 세기 규격, 무통화 시 잡음 규격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음질 향상 자동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voice quality standard of step (a) is one or more of a frequency response standard, a volume intensity standard, and a noise standard when no communication is performe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측정된 음성품질 결과가 주파수 응답 규격에 만족하지 않으면, 필터 계수를 보정하는 단계;
(d2) 상기 측정된 음성품질 결과가 음량 세기 규격에 만족하지 않으면, 음량 세기를 보정하는 단계; 및
(d3) 상기 측정된 음성품질 결과가 무통화 시 잡음 규격에 만족하지 않으면, 무통화 시 잡음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음질 향상 자동화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step (d)
(d1) correcting a filter coefficient if the measured voice quality result does not satisfy a frequency response standard;
(d2) correcting the volume intensity if the measured voice quality result does not satisfy a volume intensity standard; And
(d3) if the measured voice quality result does not satisfy the noise standard when no call is made, correcting the noise when no call is include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d2) 단계가 수행된 후 상기 보정된 음성품질 결과가 상기 주파수 응답 규격과 상기 음량 세기 규격에 만족하는지 다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음질 향상 자동화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And re-determining whether the corrected voice quality result satisfies the frequency response standard and the volume intensity standard after the step (d2) is performe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d3) 단계가 수행된 후 상기 보정된 음성품질 결과가 상기 주파수 응답 규격, 상기 음량 세기 규격 및 상기 무통화 시 잡음 규격에 만족하는지 다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음질 향상 자동화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And re-determining whether the corrected voice quality result satisfies the frequency response standard, the loudness standard, and the no-noise noise standard after the step (d3) is performe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d1) 단계는,
목표 주파수 응답 특성을 설정하고, 상기 휴대 단말의 주파수 응답을 구하여, 상기 목표 주파수 응답 특성과 상기 휴대 단말의 주파수 응답 특성의 차이를 토대로 필터 계수 값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음질 향상 자동화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ep (d1),
Setting a target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 obtaining a frequency respons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deriving a filter coefficient value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 and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 of the portable terminal. Way.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d1) 단계는 100회 반복하여 목표 주파수 응답과 가장 근접한 필터 계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음질 향상 자동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tep (d1) is repeated 100 times to use the filter coefficient closest to the target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zed in that the automatic quality impr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d2) 단계는,
목표 음량 세기 수치와 상기 휴대 단말에서 측정한 음량 세기 수치의 차이를 구하여, 상기 차이만큼 코덱 이득값(codec gain)과 볼륨 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음질 향상 자동화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ep (d2),
And obtaining a difference between a target volume intensity value and a volume intensity value measured by the portable terminal, and adjusting a codec gain and a volume value by the differen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d3) 단계는,
자동이득제어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무통화 시 잡음을 제어하며,
상기 자동이득제어 파라미터에는 정적 이득(static gain), 익스팬더 임계값(expander threshold) 및 익스팬더 기울기(expander slope) 파라미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음질 향상 자동화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step (d3),
Adjust the automatic gain control parameter to control the noise when no calls are made.
The automatic gain control parameter includes a static gain, an expander threshold, and an expander slope parameter.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정적 이득은 무통화 시 잡음이 클 때 입력신호를 조절하며, 상기 익스팬더 임계값 및 상기 익스팬더 기울기는 입력 신호의 로우 레벨을 조절하여 잡음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음질 향상 자동화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static gain adjusts the input signal when the noise is high during no talk, and the expander threshold and the expander slope adjust the noise by adjusting the low level of the input signal.
주파수 응답 규격, 음량 세기 규격, 무통화 시 잡음 규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음성품질 규격을 선택하는 음성품질 규격 선택부;
음성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휴대 단말의 음성품질을 측정한 결과 데이터를 불러오는 음성품질 측정 결과 확인부;
상기 음성품질 측정 결과 확인부로부터 확인된 상기 휴대 단말의 음성품질 측정 결과가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음성품질 규격에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음성품질 규격 판단부; 및
상기 휴대 단말의 음성품질 측정 결과가 상기 음성품질 규격에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음성품질 규격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음질 향상 자동화 장치.
A voice quality standard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t least one voice quality standard among a frequency response standard, a loudness standard, and a no-noise noise standard;
A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confirming unit which retrieves the result data of the voice quality of the mobile terminal to improve the voice quality;
A voice quality standard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a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of the portable terminal confirmed by the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confirmation unit satisfies any one or more selected voice quality standards; And
And a correction unit for correcting a parameter corresponding to the voice quality standard when the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of the mobile terminal does not satisfy the voice quality standard.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휴대 단말의 음성품질 측정 결과가 주파수 응답 규격에 만족하지 않으면 필터 계수를 보정하는 주파수 응답 보정부;
상기 휴대 단말의 음성품질 측정 결과가 음량 세기 규격에 만족하지 않으면 음량 세기를 보정하는 음량 세기 보정부; 및
상기 휴대 단말의 음성품질 측정 결과가 무통화 시 잡음 규격에 만족하지 않으면 무통화 시 잡음을 보정하는 무통화 시 잡음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음질 향상 자동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rrection unit,
A frequency response correcting unit correcting a filter coefficient when a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of the portable terminal does not satisfy a frequency response standard;
A volume intensity correction unit for correcting the volume intensity if the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of the portable terminal does not satisfy the volume intensity standard; And
And a non-call noise compensator configured to correct noise during a non-call when the voice quality measurement result of the portable terminal does not satisfy the non-call noise standard.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응답 보정부는 목표 주파수 응답 특성을 설정하고, 상기 휴대 단말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구하여, 상기 목표 주파수 응답 특성과 상기 휴대 단말의 주파수 응답 특성의 차이를 토대로 필터 계수 값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음질 향상 자동화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frequency response corrector sets a target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 obtains a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derives a filter coefficient value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 and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 of the portable terminal. Automated device for improving sound quality of mobile terminals.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음량 세기 보정부는 목표 음량 세기 수치와 상기 휴대 단말에서 측정한 음량 세기 수치의 차이를 구하여 상기 차이만큼 코덱 이득값(codec gain)과 볼륨 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음질 향상 자동화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volume intensity correcting unit obtains a difference between a target volume intensity value and a volume intensity value measured by the portable terminal, and adjusts a codec gain and a volume value by the difference.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무통화 시 잡음 보정부는 자동이득제어 파라미터를 조절하며,
상기 자동이득제어 파라미터에는 정적 이득(static gain), 익스팬더 임계값(expander threshold) 및 익스팬더 기울기(expander slope) 파라미터가 포함되며, 상기 정적 이득은 무통화 시 잡음이 클 때 입력신호를 조절하며 상기 익스팬더 임계값 및 상기 익스팬더 기울기는 입력 신호의 로우 레벨을 조절하여 잡음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음질 향상 자동화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noise compensator adjusts the automatic gain control parameter during no call,
The automatic gain control parameter includes a static gain, an expander threshold, and an expander slope parameter, wherein the static gain adjusts an input signal when the noise is high during no talk and the expander. The threshold and the expander slope adjusts the noise level by adjusting the low level of the input signal.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휴대 단말의 음질 향상 자동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for automatically improving the sound quality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KR1020110076069A 2011-07-29 2011-07-29 Autom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 quality improving to mobile devic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of the same in computer KR1012345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069A KR101234586B1 (en) 2011-07-29 2011-07-29 Autom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 quality improving to mobile devic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of the same in compu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069A KR101234586B1 (en) 2011-07-29 2011-07-29 Autom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 quality improving to mobile devic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of the same in compu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129A true KR20130014129A (en) 2013-02-07
KR101234586B1 KR101234586B1 (en) 2013-02-19

Family

ID=47894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069A KR101234586B1 (en) 2011-07-29 2011-07-29 Autom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 quality improving to mobile devic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of the same in compu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58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700A1 (en) * 2015-05-28 2016-12-01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elephone call speech quality
KR20190111134A (en) * 2017-03-10 2019-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s and devices for improving call quality in noisy environment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1036A (en) * 2005-04-21 200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providing service of an image telephone call in mobile terminal considering situation of a weak current
KR101239318B1 (en) * 2008-12-22 2013-03-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peech improving apparatus and speech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700A1 (en) * 2015-05-28 2016-12-01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elephone call speech quality
US10187516B2 (en) 2015-05-28 2019-01-22 Line Corporation Systems,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a and methods for voice quality enhancement
KR20190111134A (en) * 2017-03-10 2019-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s and devices for improving call quality in noisy environ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4586B1 (en) 2013-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83213B1 (en)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ng a hands-free system
US20150156614A1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and Processing Ringtone
CN113647120B (en)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for controlling loudness level
US20130090922A1 (en) Voice quality optimization system and method
JP4940158B2 (en) Sound correction device
RU2010146924A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SPEECH PERCEPTIBILITY IN MULTI-CHANNEL SOUND OPERATION WITH MINIMUM INFLUENCE ON THE VOLUME SOUND SYSTEM
US20120059649A1 (en) Howling canceller
CN112929809A (en) Active noise reduction earphone calibration method
US1073496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ersonalised audio frequency equalizer
KR101234586B1 (en) Autom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 quality improving to mobile devic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of the same in computer
US20220286103A1 (en) Audi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oudness level and dynamic range
CN101478587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telephone handsfree system
US20010006511A1 (en) Process for coordinated echo- and/or noise reduction
US7277847B2 (en) Method for determining intensity parameters of background noise in speech pauses of voice signals
Werner et al. Parameter-based speech quality measures for GSM
US77608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transmit volume level of a speakerphone
US20220166397A1 (en) Method for performing normalization of audio signal and apparatus therefor
KR10096587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the characteristic of speaker automatically
KR100654906B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ing volume level for calculating mos
US9438357B2 (en) Calibration device,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user interface for the same
KR201300142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 quality adjusting to mobile devic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of the same in computer
JP2006157574A (en)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acoustic characteristics, and program
KR100765817B1 (en)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for MOS measuring appliance
CN111212372A (en) Automatic testing and calibrating method and device for audio call products
KR102508413B1 (en) Audi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frequency spectrum corr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