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4114A - Air-exhaust check valve and storage tank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ir-exhaust check valve and storage tank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14114A KR20130014114A KR1020110076044A KR20110076044A KR20130014114A KR 20130014114 A KR20130014114 A KR 20130014114A KR 1020110076044 A KR1020110076044 A KR 1020110076044A KR 20110076044 A KR20110076044 A KR 20110076044A KR 20130014114 A KR20130014114 A KR 2013001411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housing
- closing member
- air
- tank body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10000001847 Jaw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4
- 210000000614 Ribs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어 배출용 체크밸브 및 이를 구비한 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탱크본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탱크본체 내부로의 물의 유입을 원활하게 하는 에어 배출용 체크밸브 및 이를 구비한 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discharge check valve and a storage tank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discharge check valve for smoothing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tank body by discharging air inside the tank body. It relates to a storage tank.
냉수탱크는 냉각수단과 연결되거나 냉각수단이 구비되어 이에 유입된 물을 냉각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Cold water tank is connected to the cooling means or provided with a cooling means is a device for cooling the water introduced into it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도 1에는 종래의 냉수탱크(10)가 도시되어 있다. 1 shows a conventional
도 1을 참조하면, 냉수탱크(10)는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탱크본체(20)와, 탱크본체에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탱크본체(20)에 구비되는 입수관(21)과, 탱크본체(2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탱크본체(20)에 구비되는 출수관(2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이때, 입수관(21)은 탱크본체(20)로의 물의 유입이 원활할 수 있도록 탱크본체(20)의 상부에 그 일측 단부가 위치되게 탱크본체(20)에 구비된다. 그리고, 출수관(23)은 탱크본체(20)의 하부에 존재하면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물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탱크본체(20)의 하부에 그 일측 단부가 위치되게 탱크본체(20)에 구비된다. 또한, 탱크본체(20)의 둘레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단으로 냉매유동관(미도시)이 감기어 있어서, 탱크본체(20)에 유입된 물을 냉각하도록 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이때, 상기 입수관(21)은 물공급원(11)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물공급원은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13)를 구비하여 상기 정수필터에서 여과된 물이 입수관(21)을 통하여 상기 탱크본체(20)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관(23)은 파우셋(15) 또는 이외에 콕크(미도시)등에 연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그런데, 상기 입수관(21)으로부터 물이 유입될 때, 상기 탱크본체(20)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에 의해 탱크본체(20)로의 물의 유입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탱크본체(20)가 비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탱크본체 내부에 일정량의 공기가 존재하는데, 상기 입수관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면서 내부의 공기압이 증가하게 되어 탱크본체 내부로의 물의 유입이 원활해지지 않게 되어 문제가 된다.However, when water is introduced from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탱크본체로 공기가 유입될 때 공기가 배출되어 탱크본체의 공기의 압력이 해제되면서 물의 유입이 원활해지도록 하는 에어 배출용 체크밸브 및 이를 구비한 저장탱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s an object of the discharge, the air is discharged when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tank body to release the air pressure of the tank body to release the air to smooth the inflow of water To provide a check valve and a storage tank hav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써, 물이 유입됨에 따라 증가하는 탱크본체 내부의 압력에 의해 체크밸브가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구성되어 간단한 구조로 탱크본체의 물의 유출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에어 배출용 체크밸브 및 이를 구비한 저장탱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check valve is configured to be automatically closed by the pressure inside the tank main body increases as the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air discharge check valve that can facilitate the inflow and outflow of water in the tank main body with a simple structure And to provide a storage tank hav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공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공기배출통로를 구비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하부로 탄성 가압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에 수용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에 끼워지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계폐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개폐부재가 하강하면 개방되고, 상기 개폐부재가 상승하면 폐쇄되도록 구비된 에어 배출용 체크밸브를 제공한다. As a technical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and locate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housing, is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hollow portion of the housing, the air to enable the movement of air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having a discharge passage; and an elastic member accommodated in a hollow portion of the housing to elastically pres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downward; and fit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It includes a movement limiting member for limiting the movement; it provides an air discharge check valve provided to be opened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lowered, and closed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raised.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부재는 단면이 십자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배출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may be formed in a cross-section cross-section may include the air discharge passag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제한부재는 하부에 개방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리브를 포함하여, 상기 개폐부재 상단에 구비된 지지턱과 상기 하우징 상부 사이로 공기배출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Also preferably, the movement limiting member may include a rib to form an open space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may be provided to allow air to be discharged between the support jaw provided at the top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장착되는 장치 사이를 밀봉하는 제1밀봉부재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housing may include a first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first sealing member for sealing between the housing and the device on which the housing is mounted is inserted.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개폐부재 사이를 밀봉하는 제2밀봉부재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may include a second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second sealing member for sealing between the housing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inserted.
한편,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입수부와 출수부를 갖는 탱크본체;와, 상기 탱크본체의 상부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탱크본체 내부로의 물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탱크본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상기 탱크본체에 물이 유입되면 상기 탱크본체 내부의 압력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비된 저장탱크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tank body having an inlet and outlet portion; and a check valve mounte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tank body; the check valve is the inlet of water into the tank body It is easy to discharge the air inside the tank body to the outside, and when the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tank body provides a storage tank provided to be closed by the pressure inside the tank body.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배출용 체크밸브 및 저장탱크에 의하면, 탱크본체로 공기가 유입될 때 체크밸브를 통하여 공기가 배출되어 탱크본체의 공기의 압력이 해제되면서 물의 유입이 원활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air discharge check valve and the storage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ir flows into the tank body,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check valve to release the air pressure of the tank body smoothly inlet of water A retardation effect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물이 유입됨에 따라 증가하는 탱크본체 내부의 압력에 의해 체크밸브가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구성되어 간단한 구조로 탱크본체의 물의 유출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eck valve is automatically closed by the pressure inside the tank body increases as the water is introduced, the effect that can smoothly flow in and out of the water in the tank body with a simple structure You can get it.
도 1은 종래 저장탱크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장탱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어 배출용 체크밸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에어 배출용 체크밸브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상기 에어 배출용 체크밸브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storage tank.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orage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discharge check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air check valve of FIG. 3.
5 and 6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ir discharge check valve.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에어 배출용 체크밸브 및 이를 구비한 저장탱크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Firs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suitable embodiments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discharge check valve and the storage tank having the same. However,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or explain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어 배출용 체크밸브(100)에 대해 살펴본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ures 2 to 6 looks at the ai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어 배출용 체크밸브(100)는, 하우징(110)과 개폐부재(130)와 탄성부재(150) 및 이동제한부재(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ir
상기 에어 배출용 체크밸브(100)는, 도 2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이, 수처리 장치에 사용되는 저장탱크(200)의 탱크본체(210)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탱크본체(210) 상부의 일부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내부에 중공부(111)를 가진다. 그리고, 상부에 걸림턱(115)을 형성하여 상기 탱크본체(210)에 걸쳐짐으로써 설치될 수 있다. The air
한편, 상기 개폐부재(130)는 상기 하우징(110)의 중공부(111)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110)의 중공부(111)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공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공기배출통로(131)를 구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and closing
즉, 상기 개폐부재(130)는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중공부(111)에 끼워지며, 상기 중공부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체크밸브(100)는 상기 개폐부재(130)가 하강하면 개방되고, 상기 개폐부재(130)가 상승하면 폐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at is, the opening and closing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130)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기배출통로(131)가 구비되어 상기 개폐부재(130)와 상기 하우징(110) 내부 사이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ning and
한편, 상기 탄성부재(150)는 상기 개폐부재(130)를 하부로 탄성 가압하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중공부(111)에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150)는 예를 들어 탄성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개폐부재(130)에 끼워지고 상기 개폐부재(130)와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개폐부재(130)를 하부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130)는 상기 탄성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하여 평상시에는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개폐부재(130)가 하강되면서 상기 체크밸브(100)는 개방되어 상기 공기배출통로(131)로 공기가 배출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opening and closing
한편, 상기 개폐부재(130)에는 이동제한부재(170)가 끼워져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개폐부재(13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부재(130)는 상기 하우징(110)의 중공부(111) 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상기 이동제한부재(170)를 구비하여 상기 개폐부재(130)가 중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Meanwhile, the
이때, 상기 이동제한부재(170)는 예를 들어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130)의 상부에 끼워지며, 상기 개폐부재(130)의 지지턱(135)과 상기 하우징(110)의 상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부재(130)가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이동제한부재(170)의 형상은 도시된 일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개폐부재(130)가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에어 배출용 체크밸브(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처리 장치의 저장탱크(200) 등에 설치되어 저장탱크(2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내부의 공기 압력을 해제시킴으로써, 탱크 내부로 물의 유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air
또한, 상기 저장탱크(200) 등에 일정량의 물이 유입되면 저장탱크(200) 내부의 압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130)가 상승되면서 상기 에어 배출용 체크밸브(100)가 폐쇄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저장탱크(200)를 밀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flows into the
한편, 상기 개폐부재(130)는 단면이 십자형태로 형성되어 공기배출통로(131)를 구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and closing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130)는 단면이 십자형태인 샤프트로 구비되어 돌출된 부분 사이로 상기 공기배출통로(131)가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재(130)가 하강되면 상기 하우징(110)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통로(131)를 통하여 상부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4 and 5, the opening and
다만, 상기 개폐부재(130)의 단면 형상은 도시된 경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개폐부재(130)와 상기 하우징(110) 내주면 사이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However,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opening and
한편, 상기 이동제한부재(170)는 하부에 개방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리브(171)를 포함하여, 상기 개폐부재(130) 상단에 구비된 지지턱(135)과 상기 하우징(110) 상부 사이로 공기배출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제한부재(170)의 하측에 2개의 리브(171)가 형성되며 상기 리브(171) 사이에 개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방공간은 상기 하우징(110)의 중공부(111) 및 상기 공기배출통로(131)와 연통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10)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통로(131)를 거쳐 상기 리브(171) 사이에 형성된 개방공간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on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S. 4 and 5, two
다만, 상기 리브(171)는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동제한부재(170)와 상기 하우징(110) 사이에 개방공간을 형성하여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However, the
한편,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이 장착되는 장치 사이를 밀봉하는 제1밀봉부재(191)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1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즉,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체크밸브(100)가 장착되는 장치 예를 들어, 저장탱크(200) 등을 관통하여 끼워질 수 있는데, 이때 상기 하우징(110)에 상기 제1삽입홈(113)이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홈(113)에 상기 제1밀봉부재(191)를 끼움으로서 상기 하우징(110)과 상기 저장탱크(200) 등의 장치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110)과 상기 저장탱크(200) 등의 장치 사이로 물이나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2 to 6, the
또한, 상기 개폐부재(130)는 상기 하우징(110)과 상기 개폐부재(130) 사이를 밀봉하는 제2밀봉부재(193)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1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즉,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조하면, 상기 개폐부재(130)의 하부에 상기 제2삽입홈(133)을 형성하여 상기 제2삽입홈(133)에 상기 제2밀봉부재(193)를 끼우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130)가 상승하면 상기 제2밀봉부재(193)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재(130)와 상기 하우징(110) 사이가 밀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크밸브(100)가 폐쇄된 경우에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referr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S. 3 to 6, the
이때, 상기 제1밀봉부재(191)와 상기 제2밀봉부재(193)는 상기 하우징(110)과 상기 저장탱크(200) 또는 상기 개폐부재(130)와 상기 하우징(110)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면 형상이나 재질에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무패킹이나 고무오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한편,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한 저장탱크(200)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때, 상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with reference to Figure 2 looks at with respect to the
본 발명에 따른 저장탱크(200)는 탱크본체(210)와 상기 탱크본체에 장착되는 체크밸브(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탱크본체(210)는 입수부(211)와 출수부(2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수부(211)는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탱크본체(210)에 연결되며, 상기 탱크본체(210)는 상기 입수부(211)를 통하여 수도꼭지 등과 같은 물 공급원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부(213)를 통하여 상기 탱크본체(210)에 저장된 물이 출수될 수 있다. The
이때, 상기 저장탱크(200)는 예를 들어 냉수탱크인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냉수탱크는 탱크본체(210)에 냉매유동관(미도시)등의 냉각수단이 장착되어 탱크본체(210)에 유입된 물을 냉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수탱크로 유입된 물이 냉각되면 상기 탱크본체(210)의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냉수탱크의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수부(211)는 물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상기 탱크본체(2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출수부(213)는 상기 탱크본체(210)의 하부에 존재하면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탱크본체(210)의 하부에 일측 단부가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저장탱크(200)는 상기 탱크본체(210)의 상부를 관통하여 장착된 체크밸브(1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크밸브(1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체크밸브(100)가 구비되며 중복된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체크밸브(100)는 상기 탱크본체(210) 내부로의 물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탱크본체(2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상기 탱크본체(210)에 물이 유입되면 상기 탱크본체(210) 내부의 압력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성된다.The
즉, 상기 입수부(211)를 통해 상기 탱크본체(210)에 물이 유입되는 동안, 상기 탱크본체(2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탄성부재(150)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체크밸브(10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체크밸브(100)의 상기 개폐부재(130)는 하강한 상태이며 상기 하우징(110)과 개폐부재(130) 사이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통로(131)를 통하여 상부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That is, while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tank
그리고, 상기 탱크본체(210)에 물이 일정량이상 유입되면 상기 탱크본체(210) 내부의 압력에 의해서 상기 개폐부재(130)가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체크밸브(100)가 폐쇄되면서 상기 탱크본체(210)를 밀폐시키게 된다. In addition, when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다만, 상기 저장탱크(200)는 냉수탱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의 유입, 유출에 따라 내부 공기압이 변화하는 탱크이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수탱크나 온수탱크 일 수 있다.
However, the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배출용 체크밸브(100) 및 저장탱크(2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5 and 6, the operation of the air
우선, 상기 체크밸브(100)를 상기 탱크본체(210)의 상측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110)이 상기 탱크본체(210)의 상측의 일부를 관통하여 장착되며,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하우징(110)의 중공부(111)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First, the
도 5는 상기 에어 배출용 체크밸브(100)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개폐부재(130)는 상기 탄성부재(150)에 의하여 하강되며 상기 개폐부재(130)와 상기 하우징(110) 사이로 상기 탱크본체(21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유입된 공기는 상기 개폐부재(130)의 상기 공기배출통로(131)를 통하여 상측으로 이동한 후 상기 공기배출통로(131)와 연통된 상기 이동제한부재(170)의 리브(171)들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5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air
이에 따라, 상기 탱크본체(210)의 공기의 압력이 해제되면서 상기 입수부(211)로부터 물의 유입이 원활해 질 수 있다.Accordingly, while the pressure of the air of the
한편, 도 6은 상기 에어 배출용 체크밸브(100)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탱크본체(210)로 일정량 이상의 물이 유입되면서 상기 탱크본체(210)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이러한 내부 압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130)가 상승하여 상기 개폐부재(130)와 상기 하우징(110) 사이가 폐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탱크본체(210)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지 아니하며 상기 탱크본체(210)가 밀폐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Figure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air
이때, 상기 개폐부재(130)의 제2삽입홈(133)에 구비된 제2밀봉부재(193)를 통하여 상기 탱크본체(2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개폐부재(130)와 상기 하우징(110) 사이가 밀봉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배출용 체크밸브 및 저장탱크를 이용하면, 상기 탱크본체로 공기가 유입될 때 상기 체크밸브를 통하여 공기가 배출되어 상기 탱크본체의 공기의 압력이 해제되면서 물의 유입이 원활해 질 수 있다. 그리고, 물이 유입됨에 따라 상기 탱크본체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면 상기 체크밸브가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구성되어 간단한 구성으로 물의 유출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When using the air discharge check valve and the storage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check valve when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tank body to release the air pressure of the tank body The inflow of water can be smooth. In addition,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tank body increases as the water flows in, the check valve is configured to be automatically closed, thereby achieving an effect of smoothly flowing in and out of water with a simple configuration.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so fa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know.
100 : 체크밸브 110 : 하우징
111 : 중공부 113 : 제1삽입홈
130 : 개폐부재 131 : 공기배출통로
133 : 제2삽입홈 150 : 탄성부재
170 : 이동제한부재 171 : 리브
191 : 제1밀봉부재 193 : 제2밀봉부재
200 : 저장탱크 210 : 탱크본체
211 : 입수부 213 : 출수부100: check valve 110: housing
111: hollow portion 113: the first insertion groove
130: opening and closing member 131: air discharge passage
133: second insertion groove 150: elastic member
170: movement limiting member 171: rib
191: first sealing member 193: second sealing member
200: storage tank 210: tank body
211: acquisition unit 213: extraction unit
Claims (6)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공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공기배출통로를 구비하는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를 하부로 탄성 가압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에 수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에 끼워지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계폐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개폐부재가 하강하면 개방되고, 상기 개폐부재가 상승하면 폐쇄되도록 구비된 에어 배출용 체크밸브.housing;
Locate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hous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provided to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hollow portion of the housing, the opening member having an air discharge passage to enable the movement of air;
An elastic member accommodated in the hollow of the housing to elastically press the opening / closing member downward; And
And a movement limiting member fitted to the opening / closing member and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o limit movement of the closing member.
An air discharge check valve provided to open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lowered, and closed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raised.
상기 개폐부재는 단면이 십자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배출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배출용 체크밸브.The method of claim 1,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formed in the cross-section cross-section is provided with the air discharge pass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discharge passage.
상기 이동제한부재는 하부에 개방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리브를 포함하여, 상기 개폐부재 상단에 구비된 지지턱과 상기 하우징 상부 사이로 공기배출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배출용 체크밸브.The method of claim 1,
The movement limiting member includes a rib to form an open space at the bottom, the air discharge check valv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enable the air discharge between the support jaw provided on the top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the upper housing.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장착되는 장치 사이를 밀봉하는 제1밀봉부재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배출용 체크밸브.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housing includes a first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first sealing member for sealing between the housing and the device on which the housing is mounted is inserted.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개폐부재 사이를 밀봉하는 제2밀봉부재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배출용 체크밸브.The method of claim 1,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a check valve for air dischar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second sealing member for sealing between the housing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inserted.
상기 탱크본체의 상부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체크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탱크본체 내부로의 물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탱크본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상기 탱크본체에 물이 유입되면 상기 탱크본체 내부의 압력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비된 저장탱크.A tank body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And
And a check valv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mounted through an upper portion of the tank body.
The check valve is a storage tank for discharging the air in the tank body to the outside to facilitate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tank body, when the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tank body is closed by the pressure inside the tank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6044A KR101849080B1 (en) | 2011-07-29 | 2011-07-29 | Air-exhaust check valve and storage tank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6044A KR101849080B1 (en) | 2011-07-29 | 2011-07-29 | Air-exhaust check valve and storage tank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4114A true KR20130014114A (en) | 2013-02-07 |
KR101849080B1 KR101849080B1 (en) | 2018-04-16 |
Family
ID=47894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76044A KR101849080B1 (en) | 2011-07-29 | 2011-07-29 | Air-exhaust check valve and storage tank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9080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38248A (en) * | 2016-10-06 | 2018-04-16 | (주)구츠 | Water purifier capable of hydrogen gas and air flow control auto emissions |
JP2018109335A (en) * | 2017-01-06 | 2018-07-12 | Toto株式会社 | Washing water supply device and water closet |
KR20200065971A (en) * | 2018-11-30 | 2020-06-09 | 주식회사 포스코 | Container for storing liquid material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6640Y1 (en) * | 2004-12-07 | 2005-03-08 | 김승제 | A Valve of Air-tube |
-
2011
- 2011-07-29 KR KR1020110076044A patent/KR101849080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38248A (en) * | 2016-10-06 | 2018-04-16 | (주)구츠 | Water purifier capable of hydrogen gas and air flow control auto emissions |
JP2018109335A (en) * | 2017-01-06 | 2018-07-12 | Toto株式会社 | Washing water supply device and water closet |
KR20200065971A (en) * | 2018-11-30 | 2020-06-09 | 주식회사 포스코 | Container for storing liquid materia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49080B1 (en) | 2018-04-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6528036A5 (en) | ||
KR20130014114A (en) | Air-exhaust check valve and storage tank having the same | |
KR20110109088A (en) | Apparatus for storing and discharging water | |
BR112015003638B1 (en) | sanitary flush valve with hand shower and sanitary insert cartridge with a shut-off valve | |
KR20160089085A (en) | Valve apparatus for water purifier | |
KR102053784B1 (en) | Coldt Tank for Water Purifier | |
KR101303923B1 (en) | Tuch safety cock for water dispenser and purifier | |
KR101296434B1 (en) | Water purifier and drain structure in water purifier | |
KR101708425B1 (en) | Back flow preventing cap for slim mat and boiler having the same | |
KR101818214B1 (en) | Instantaneous water heater | |
KR20100118231A (en) | Cold and hot water purifier | |
US20180050284A1 (en) | Capsule intended for a liquid flow comprising an inner casing and an outer unit | |
JP3897619B2 (en) |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 |
JP5745170B2 (en) | Water heater for water heater | |
KR101104344B1 (en) | Safety valve for water purifier | |
WO2019154243A1 (en) | Drinking water apparatus | |
JP5907438B1 (en) | Cold / hot water machine with air vent means | |
KR101250484B1 (en) | Cooling and heating water dispenser | |
KR101171233B1 (en) | Air ejection device for coolant tank and coolant tank having the same | |
KR101075062B1 (en) | Cold water tank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 |
KR101739360B1 (en) | Air shut-off equipment for medical infusion set | |
US2625272A (en) | Sealed filling cap for fuel storage tanks | |
KR200474516Y1 (en) | Sealing unit for leak protection | |
KR20150053040A (en) | Condensed water treating member and water dischar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KR101765667B1 (en) | Storage tan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