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3678A -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3678A
KR20130013678A KR1020110075426A KR20110075426A KR20130013678A KR 20130013678 A KR20130013678 A KR 20130013678A KR 1020110075426 A KR1020110075426 A KR 1020110075426A KR 20110075426 A KR20110075426 A KR 20110075426A KR 20130013678 A KR20130013678 A KR 20130013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ubject
indicator
lens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5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4523B1 (ko
Inventor
현진욱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5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523B1/ko
Priority to US13/560,478 priority patent/US8867909B2/en
Priority to CN201210266475.6A priority patent/CN102902131B/zh
Publication of KR20130013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3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5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comprising setting of focusing reg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18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 G03B17/20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visible in viewfind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는 터치 압력을 받는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의 하부에 장착되고,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터치된 상기 터치 패널의 영역의 좌표를 계산하는 좌표 계산부와; 상기 터치된 영역에 대응되는 피사체와 카메라 모듈의 거리인 측거값을 검출하는 측거값 검출부와; 상기 터치된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기(Indicator)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와;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고, 상기 측거값을 이용하여 렌즈를 이동시켜 오토포커싱을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표시기를 입력받고, 상기 렌즈 이동으로 변화된 화각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오토포커싱된 피사체의 이미지에서 상기 표시기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이미지 처리부와; 상기 좌표 계산부에서 계산된 좌표로 상기 터치된 영역을 인지하고, 상기 측거값 검출부에서 검출된 측거값으로 상기 터치된 영역의 오토포커싱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 { Touch-type portable terminal }
본 발명은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 역할도 가능하고, 음악 또는 동영상 플레이어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는 최근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널과 같은 전자기기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스크린 만을 사용하여 대화식 방법으로 전자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일종의 입력 장치가 적용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성을 도모하고 있다.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널, 전자기기의 스크린에 직접 손으로 살짝 눌러줌으로써 기존의 키 패드나 버튼 등을 대신할 수 있는 최첨단 기술이다.
이때,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널은 공간 절약이 가능하고 조작성 향상과 간편성을 이룰 수 있고, 사양변경이 간편하며 이용자 인식이 높다는 점 이외에도 IT 기기와의 연동성이 용이하다는 많은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장점으로 인해 산업, 교통, 서비스, 의료, 모바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 넓게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잘못된 오토포커싱 영역을 시각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터치 압력을 받는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의 하부에 장착되고,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터치된 상기 터치 패널의 영역의 좌표를 계산하는 좌표 계산부와;
상기 터치된 영역에 대응되는 피사체와 카메라 모듈의 거리인 측거값을 검출하는 측거값 검출부와;
상기 터치된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기(Indicator)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와;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고, 상기 측거값을 이용하여 렌즈를 이동시켜 오토포커싱을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표시기를 입력받고, 상기 렌즈 이동으로 변화된 화각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오토포커싱된 피사체의 이미지에서 상기 표시기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이미지 처리부와;
상기 좌표 계산부에서 계산된 좌표로 상기 터치된 영역을 인지하고, 상기 측거값 검출부에서 검출된 측거값으로 상기 터치된 영역의 오토포커싱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장부는 화각의 변화에 따른 표시기 위치 이동 거리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화각의 변화에 따른 표시기 위치 이동 거리 데이터로 표시기를 오토포커싱된 피사체의 이미지에 결합하도록 상기 이미지 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 상기 터치된 터치 패널 영역의 이미지를 추출하는 이미지 추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렌즈 이동으로 변화된 화각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오토포커싱된 피사체의 이미지에서 상기 표시기의 위치를 이동시킬 때, 상기 이미지 추출부에서 추출된 상기 터치된 터치 패널 영역의 이미지에 상기 표시기의 위치를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전달받는 렌즈로 이루어진 렌즈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받아 렌즈부의 렌즈를 이동시키는 렌즈 구동부와; 상기 렌즈부를 통한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터치 압력을 받는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의 하부에 장착되고,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터치된 상기 터치 패널의 영역의 좌표를 계산하는 좌표 계산부와;
상기 터치된 영역에 대응되는 피사체와 카메라 모듈의 거리인 측거값을 검출하는 측거값 검출부와;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고, 상기 측거값을 이용하여 렌즈를 이동시켜 오토포커싱을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렌즈 이동으로 변화된 화각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오토포커싱된 피사체의 이미지에서 상기 표시기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이미지 처리부와;
상기 좌표 계산부에서 계산된 좌표로 상기 터치된 영역을 인지하고, 상기 측거값 검출부에서 검출된 측거값으로 상기 터치된 영역의 오토포커싱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촬영된 피사체의 이미지의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터치 패널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상기 터치된 영역에 대응되는 피사체와 카메라 모듈의 거리인 측거값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측거값으로 카메라 모듈의 렌즈를 이동시켜 오토포커싱을 수행하여 피사체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렌즈의 이동에 의해 변화된 화각에 대응하여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의 특정 영역에 표시기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의 오토포커싱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는 오토포커싱시 렌즈의 화각의 변화에 대응하여 표시기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잘못된 오토포커싱 영역을 시각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부와 터치 패널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의 오토포커싱을 위하여 터치된 영역에 표시되는 표시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도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의 오토포커싱시 화각에 따라 표시기가 이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토포커싱시 화각에 대응하여 표시기를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의 오토포커싱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터치형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터치형 휴대 단말기는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은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부와 터치 패널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는 터치 압력을 받는 터치 패널(100)과; 상기 터치 패널(100)의 하부에 장착되고,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150)와; 오토포커스를 위하여 터치된 상기 터치 패널의 영역의 좌표를 계산하는 좌표 계산부(110)와; 상기 터치된 영역에 대응되는 피사체와 카메라 모듈의 거리인 측거값을 검출하는 측거값 검출부(120)와; 상기 터치된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기(Indicator)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140)와;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고, 상기 측거값을 이용하여 렌즈를 이동시켜 오토포커싱을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200)과;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표시기를 입력받고, 상기 렌즈 이동으로 변화된 화각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오토포커싱된 피사체의 이미지에서 상기 표시기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표시부(150)에 표시하는 이미지 처리부(210)와; 상기 좌표 계산부(110)에서 계산된 좌표로 상기 터치된 영역을 인지하고, 상기 측거값 검출부(120)에서 검출된 측거값으로 상기 터치된 영역의 오토포커싱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200)을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의 각 구성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로 피사체를 촬영하고, 촬영된 피사체의 이미지가 상기 표시부(150)를 통하여 상기 터치 패널(100)에 표시된 후, 사용자가 오토포커스를 위하여 표시된 피사체의 특정 영역을 터치하게 되면, 상기 좌표 계산부(110)는 터치된 상기 터치 패널의 영역의 좌표를 계산한다.
이때, 상기 좌표 계산부(110)는 반응 신호가 발생된 상기 터치 패널(100)의 픽셀의 화면상의 좌표를 산출하여 상기 제어부(130)에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좌표 계산부(110)에서 계산된 좌표로 상기 터치 패널(100)에서 터치된 영역을 인지한다.
또,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측거값 검출부(120)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200)과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하고, 상기 측거값 검출부(120)에서 검출된 측거값을 상기 제어부(120)는 입력받는다.
한편, 상기 터치 패널(100)은 가로 및 세로로 배열된 화상 픽셀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상기 카메라 모듈(200)에 의해 결상된 상 및 각종 이미지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패널(100)에 투명되고, 사용자가 특정 부분을 터치하면 터치된 부분의 픽셀에서 반응 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측거값 검출부(120)에서 검출된 측거값으로 상기 터치된 영역의 오토포커싱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200)을 제어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전달받는 렌즈들로 이루어진 렌즈부(220)와;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신호를 받아 렌즈부(220)의 렌즈들을 이동시키는 렌즈 구동부(210)와; 상기 렌즈부(220)를 통한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2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터치 패널(100)은 복수개의 서브 영역들로 구획되어 있고, 사용자가 터치한 터치 패널(100)의 특정 영역은 복수개의 서브 영역들 중 하나이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좌표 계산부(110)에서 계산된 좌표로, 상기 복수개의 서브 영역들 중 어느 영역이 터치된 영역인지를 인지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저장부(140)는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로서, 서브 영역 정보와 서브 영역별 측거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측거값 검출부(120)에 의해 측정된 측거값이 상기 서브 영역에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 상기 저장부(140)는 터치된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기가 저장되어 있어, 터치된 영역에 표시기를 표시하게 된다.
예컨대, 사과를 포함한 과일 바구니가 상기 카메라 모듈(200)에서 촬영되어, 상기 표시부(150)에 과일 바구니 이미지가 표시되면, 상기 과일 바구니 이미지는 상기 터치 패널(100)에 투영되고, 사용자가 상기 터치 패널에 투영된 과일 바구니 이미지 중 사과를 오포포커스하기 위하여 터치한 경우, 사과에 상기 표시기가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140)는 화각의 변화에 따른 표시기 위치 이동 거리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화각의 변화에 따른 표시기 위치 이동 거리 데이터로 표시기를 오토포커싱된 피사체의 이미지에서 위치를 이동시킨 다음, 오토포커싱된 피사체의 이미지에 결합하도록 상기 이미지 처리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저장부(140)에는 오토포커싱되기 전의 제1화각에서 오토포커싱되기 후의 제2화각으로 변화될 때 표시기 위치 이동 거리가 'A'라고 저장되어 있는 경우, 오토포커싱되기 전의 피사체 특정 영역에 매칭된 표시기의 위치값에서 'A'거리 만큼 표시기의 위치를 이동시켜 오토포커싱된 후의 피사체의 이미지에 결합하는 것이다.
다른 구조로,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터치된 터치 패널 영역의 이미지를 추출하는 이미지 추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부(210)는 상기 렌즈 이동으로 변화된 화각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오토포커싱된 피사체의 이미지에서 상기 표시기의 위치를 이동시킬 때, 상기 이미지 추출부에서 추출된 상기 터치된 터치 패널 영역의 이미지에 상기 표시기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이미지 처리부(210)는 상기 렌즈 이동으로 변화된 화각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표시기를,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오토포커싱된 피사체의 이미지에 결합하여 상기 표시부(150)에 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는 오토포커싱시 렌즈의 화각의 변화에 대응하여 표시기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잘못된 오토포커싱 영역을 시각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의 오토포커싱을 위하여 터치된 영역에 표시되는 표시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도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는 오포포커스를 위하여 사용자가 터치 패널의 특정 영역을 터치하게 되면, 도 3과 같이, 터치된 영역이 오토포커스 영역을 나타내는 표시기 'K1' 또는 'K2'가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가 하나의 터치 패널의 특정 영역을 선택하면, 표시기는 하나가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기는 터치 패널의 터치된 영역의 좌표를 읽어, 저장부에 저장된 사각형의 이미지를 매칭시켜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저장부에 저장된 표시기의 형상은 사각형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원형, 삼각형 등 모두 가능하다.
이 표시기 'K1' 및 'K2'는 오토포커스를 위한 터치된 영역으로 정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표시기의 형상이 도 3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이미지로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의 오토포커싱시 화각에 따라 표시기가 이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도이고,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토포커싱시 화각에 대응하여 표시기를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도이다.
비교예에 따른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오토포커싱시 화각에 따라 표시기가 이동되어, 오토포커싱을 위하여 터치 패널에 터치시(오토포커싱되기 전)에 생성된 표시기(K3)와 오토포커싱된 후 생성된 표시기(K4)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게 된다.
즉, 오토포커싱을 수행하려면, 카메라 모듈의 렌즈를 이동시켜야 한다.
이때, 렌즈가 이동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토포커싱된 전과 후에 렌즈의 화각이 변하게 되고, 오토포커싱된 후의 피사체의 이미지는 오토포커싱되기 전의 피사체의 이미지보다 미소하게 확대된다.
그러므로, 오토포커싱되기 전의 피사체의 이미지가 화각 'Θ1'으로 촬영된 경우, 렌즈의 이동으로 오토포커싱될 때 화각 'Θ2'로 피사체의 이미지가 촬영된다.
따라서, 오토포커싱되기 전과 오토포커싱된 후에 변화된 렌즈의 화각에 의해 오토포커싱되기 전의 표시기(K3)의 위치와 오토포커싱된 후의 표시기(K4)의 위치가 다르게 된다.
다시 말해, 오토포커싱되기 전의 피사체 이미지 중심과 표시기(K3)의 중심 거리 'a'와 오토포커싱되기 후의 피사체 이미지 중심과 표시기(K4)의 중심 거리 'b'가 다르게 된다.
그러므로, 비교예에 따른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는 오토포커싱시 렌즈의 이동으로 화각이 변화되어 터치된 영역에 표시되는 표시기가 이동함으로써, 사용자가 잘못된 오토포커싱 영역을 시각하게 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는 오토포커싱시 렌즈의 이동으로 화각이 변화되는 것에 대응하여 표시기를 표시하여, 오토포커싱 된 후에 표시기를 터치된 특정 영역에 위치시킴으로써, 정확한 오토포커싱 영역을 시각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5a와 같이, 오토포커싱되기 전의 표시기의 위치는 피사체의 이미지의 좌측 하단에 있는 꽃봉우리에 있다.
이때, 도 5b와 같이, 렌즈의 이동으로 화각의 변화에 대응하여 표시기를 오토포커싱된 피사체의 이미지의 꽃봉우리에 위치시키기 되면, 오토포커싱된 후의 피사체의 이미지의 꽃봉우리 영역에 표시기가 위치되게 된다.
다시 말해, 비교예와 같이, 렌즈의 이동으로 화각의 변화에 대응하여 표시기를 위치시키지 않을 때의 오토포커싱된 후의 피사체 이미지 중심과 표시기의 중심 거리 'd'에서,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렌즈의 이동으로 화각의 변화에 대응하여 표시기를 위치시킬 때의 오토포커싱된 후의 피사체 이미지 중심과 표시기의 중심 거리 'd'를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오토포커싱 영역을 오토포커싱된 후에도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의 오토포커싱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먼저, 오토포커싱을 위하여, 촬영된 피사체의 이미지의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터치 패널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상기 터치 패널의 터치된 영역의 측거값을 검출한다.(S100단계)
상기 측거값은 터치된 상기 터치 패널의 영역의 상기 카메라 모듈과 피사체 사이의 거리이다.
그 다음, 상기 검출된 측거값으로 카메라 모듈의 렌즈를 이동시켜 오토포커싱을 수행하여 피사체의 이미지를 획득한다.(S110단계)
이어서, 상기 렌즈의 이동에 의해 변화된 화각에 대응하여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의 특정 영역에 표시기를 위치시킨다.(S120단계)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터치 압력을 받는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의 하부에 장착되고,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터치된 상기 터치 패널의 영역의 좌표를 계산하는 좌표 계산부와;
    상기 터치된 영역에 대응되는 피사체와 카메라 모듈의 거리인 측거값을 검출하는 측거값 검출부와;
    상기 터치된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기(Indicator)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와;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고, 상기 측거값을 이용하여 렌즈를 이동시켜 오토포커싱을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표시기를 입력받고, 상기 렌즈 이동으로 변화된 화각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오토포커싱된 피사체의 이미지에서 상기 표시기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이미지 처리부와;
    상기 좌표 계산부에서 계산된 좌표로 상기 터치된 영역을 인지하고, 상기 측거값 검출부에서 검출된 측거값으로 상기 터치된 영역의 오토포커싱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화각의 변화에 따른 표시기 위치 이동 거리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화각의 변화에 따른 표시기 위치 이동 거리 데이터로 표시기를 오토포커싱된 피사체의 이미지에 결합하도록 상기 이미지 처리부를 제어하는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된 터치 패널 영역의 이미지를 추출하는 이미지 추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렌즈 이동으로 변화된 화각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오토포커싱된 피사체의 이미지에서 상기 표시기의 위치를 이동시킬 때, 상기 이미지 추출부에서 추출된 상기 터치된 터치 패널 영역의 이미지에 상기 표시기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전달받는 렌즈로 이루어진 렌즈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받아 렌즈부의 렌즈를 이동시키는 렌즈 구동부와;
    상기 렌즈부를 통한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
  5. 터치 압력을 받는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의 하부에 장착되고,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터치된 상기 터치 패널의 영역의 좌표를 계산하는 좌표 계산부와;
    상기 터치된 영역에 대응되는 피사체와 카메라 모듈의 거리인 측거값을 검출하는 측거값 검출부와;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고, 상기 측거값을 이용하여 렌즈를 이동시켜 오토포커싱을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렌즈 이동으로 변화된 화각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오토포커싱된 피사체의 이미지에서 상기 표시기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이미지 처리부와;
    상기 좌표 계산부에서 계산된 좌표로 상기 터치된 영역을 인지하고, 상기 측거값 검출부에서 검출된 측거값으로 상기 터치된 영역의 오토포커싱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
  6. 촬영된 피사체의 이미지의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터치 패널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상기 터치된 영역에 대응되는 피사체와 카메라 모듈의 거리인 측거값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측거값으로 카메라 모듈의 렌즈를 이동시켜 오토포커싱을 수행하여 피사체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렌즈의 이동에 의해 변화된 화각에 대응하여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의 특정 영역에 표시기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의 오토포커싱 방법.













KR1020110075426A 2011-07-28 2011-07-28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 KR101784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426A KR101784523B1 (ko) 2011-07-28 2011-07-28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
US13/560,478 US8867909B2 (en) 2011-07-28 2012-07-27 Touch-type portable terminal
CN201210266475.6A CN102902131B (zh) 2011-07-28 2012-07-30 触摸型便携式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426A KR101784523B1 (ko) 2011-07-28 2011-07-28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678A true KR20130013678A (ko) 2013-02-06
KR101784523B1 KR101784523B1 (ko) 2017-10-11

Family

ID=47574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5426A KR101784523B1 (ko) 2011-07-28 2011-07-28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67909B2 (ko)
KR (1) KR101784523B1 (ko)
CN (1) CN10290213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7024A (ko) * 2014-01-21 201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9729775B2 (en) 2014-12-26 2017-08-08 Xiaomi Inc. Auto-focusing method and auto-focus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523B1 (ko) * 2011-07-28 2017-10-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
US9282228B2 (en) 2013-01-05 2016-03-08 The Lightco Inc. Camera methods and apparatus using optical chain modules which alter the direction of received light
CN103500062A (zh) * 2013-09-17 2014-01-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终端控制方法及装置
US9563033B2 (en) 2013-10-18 2017-02-07 Light Lab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apturing images and/or for using captured images
US9197816B2 (en) * 2013-10-18 2015-11-24 The Lightco Inc. Zoom related methods and apparatus
US9374514B2 (en) 2013-10-18 2016-06-21 The Lightco Inc. Methods and apparatus relating to a camera including multiple optical chains
US9736365B2 (en) 2013-10-26 2017-08-15 Light Labs Inc. Zoom related methods and apparatus
US9467627B2 (en) 2013-10-26 2016-10-11 The Lightco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with multiple optical chains
US9426365B2 (en) 2013-11-01 2016-08-23 The Lightco Inc. Image stabilization related methods and apparatus
US9554031B2 (en) 2013-12-31 2017-01-24 Light Labs Inc. Camera focusing related methods and apparatus
KR102119843B1 (ko) 2014-02-10 2020-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377785B1 (ko) * 2014-02-10 2022-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9462170B2 (en) 2014-02-21 2016-10-04 The Lightco Inc. Lighting methods and apparatus
US9979878B2 (en) 2014-02-21 2018-05-22 Light Labs Inc. Intuitive camera user interface methods and apparatus
EP3164831A4 (en) 2014-07-04 2018-02-14 Light Labs Inc. Methods and apparatus relating to detection and/or indicating a dirty lens condition
US10110794B2 (en) 2014-07-09 2018-10-23 Light Labs Inc. Camera device including multiple optical chains and related methods
KR102226820B1 (ko) * 2014-08-20 2021-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5578018B (zh) * 2014-10-10 2019-03-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调整焦距的方法、装置及终端
WO2016061565A1 (en) 2014-10-17 2016-04-21 The Lightco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a camera device to support multiple modes of operation
CN107211099A (zh) 2014-12-17 2017-09-26 光实验室股份有限公司 用于实施并使用摄像机装置的方法及设备
US9544503B2 (en) 2014-12-30 2017-01-10 Light Labs Inc. Exposure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US9824427B2 (en) 2015-04-15 2017-11-21 Light Lab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sharp image
US10091447B2 (en) 2015-04-17 2018-10-02 Light Lab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readout of multiple image sensors
US10075651B2 (en) 2015-04-17 2018-09-11 Light Lab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apturing images using multiple camera modules in an efficient manner
US9967535B2 (en) 2015-04-17 2018-05-08 Light Lab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noise in images
US9857584B2 (en) 2015-04-17 2018-01-02 Light Labs Inc. Camera device methods, apparatus and components
WO2016172641A1 (en) 2015-04-22 2016-10-27 The Lightco Inc. Filter mounting methods and apparatus and related camera apparatus
US10129483B2 (en) 2015-06-23 2018-11-13 Light Lab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zoom using one or more moveable camera modules
US10491806B2 (en) 2015-08-03 2019-11-26 Light Labs Inc. Camera device control related methods and apparatus
US10365480B2 (en) 2015-08-27 2019-07-30 Light Lab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nd/or using camera devices with one or more light redirection devices
US9749549B2 (en) 2015-10-06 2017-08-29 Light Lab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selective blurring of one or more image portions
US10225445B2 (en) 2015-12-18 2019-03-05 Light Lab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amera lens or viewing point indicator
US10003738B2 (en) 2015-12-18 2018-06-19 Light Lab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or indicating a blocked sensor or camera module
WO2017141746A1 (ja) * 2016-02-19 2017-08-24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306218B2 (en) 2016-03-22 2019-05-28 Light Labs Inc. Camera calibration apparatus and methods
US9948832B2 (en) 2016-06-22 2018-04-17 Light Lab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ynchronized image capture in a device including optical chains with different orientations
CN110872861A (zh) * 2018-08-31 2020-03-10 魔水科技(北京)有限公司 智能喷水杆、智能马桶盖及融合可视化功能的冲洗系统
CN111866381B (zh) * 2020-07-08 2022-05-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调焦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7303A (en) 1983-02-08 1989-05-02 Canon Kabushiki Kaisha Distance measuring device
JP2001159730A (ja) * 1999-12-02 2001-06-12 Ricoh Co Ltd 電子カメラ
JP3480446B2 (ja) * 2001-01-11 2003-12-22 ミノルタ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JP4929630B2 (ja) * 2005-07-06 2012-05-09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237807B2 (en) * 2008-07-24 2012-08-07 Apple Inc. Image capturing device with touch screen for adjusting camera settings
KR101505681B1 (ko) * 2008-09-05 2015-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촬상 방법
CN101848333B (zh) * 2009-03-25 2011-09-28 佛山普立华科技有限公司 成像装置及其对焦方法
KR101784523B1 (ko) * 2011-07-28 2017-10-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7024A (ko) * 2014-01-21 201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5111819A1 (en) * 2014-01-21 2015-07-3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843732B2 (en) 2014-01-21 2017-12-1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multiple image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729775B2 (en) 2014-12-26 2017-08-08 Xiaomi Inc. Auto-focusing method and auto-focu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02131A (zh) 2013-01-30
KR101784523B1 (ko) 2017-10-11
US20130027353A1 (en) 2013-01-31
US8867909B2 (en) 2014-10-21
CN102902131B (zh) 201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3678A (ko)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
US2023036745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responding to finger and hand operation inputs
US10205869B2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U267218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команды
EP3127320B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focus imaging
EP3125531A1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shooting function
US9632626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3D man-machine interface (MMI)
US907544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alculation size and position of one of an entire person and a part of a person in an image
US886677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120096849A (ko) 제스쳐를 이용한 입력 장치 및 방법
EP3276478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etermining scrolling speed
US10152218B2 (en) Operation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operation device, and operation receiving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9535604B2 (en) Display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nd recording medium
JP2012098705A (ja) 画像表示装置
JP2013228267A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232301B1 (en) Mobile terminal and virtual key processing method
US112099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orientation of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150277548A1 (en) Mobile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gram
US9671881B2 (en) Electronic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0481772B2 (en) Widget displaying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11570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display mode,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JP2015139037A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を制御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2013218517A (ja) 入出力装置
US20210333988A1 (en)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interface, touch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14360049A (zh) 无接触的屏幕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