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3576A - Heat-recovery type ventilation system using heat-pump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Heat-recovery type ventilation system using heat-pump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13576A KR20130013576A KR1020110075299A KR20110075299A KR20130013576A KR 20130013576 A KR20130013576 A KR 20130013576A KR 1020110075299 A KR1020110075299 A KR 1020110075299A KR 20110075299 A KR20110075299 A KR 20110075299A KR 20130013576 A KR20130013576 A KR 201300135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heat
- air supply
- exhaust
- heat exchang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7—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both heat and humidity transfer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2—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intermediate heat-transfer fluid
- F24F12/003—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intermediate heat-transfer fluid using a heat pump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히트펌프 냉난방기를 이용한 열회수형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펄프소재의 전열교환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배출되는 공기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로 열과 수분을 이동시켜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기존 전열교환기식 환기장치에 비해 능동적으로 난방과 냉방, 가습 및 제습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전열교환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전열교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recovery type ventilator using a heat pump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recover energy by moving heat and moisture from the discharged air to the air introduced into the room without using a heat exchanger made of pulp material.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vented to enable heating and cooling,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more actively than the conventional heat exchanger type ventilation device, and to maximize the total heat exchange efficiency by installing an additional heat exchanger if necessary.
일반적으로 환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 내부에 실외공기가 실내로 안내되는 급기덕트(110)가 구비되고, 상기 급기덕트(110)와 소정 위치에서 교차하며 실내공기가 실외로 안내되는 배기덕트(120)가 구비되며, 상기 급기덕트(110)와 배기덕트(120)가 교차하는 지점에 급기되는 실외공기와 배기되는 실내공기가 열교환되는 펄프소재의 전열교환기(130)가 설치된다.In general, as shown in FIG. 1, the
또, 상기 급기덕트(110)의 일단에 실외와 연통되는 급기 흡입구(112)가 형성되고, 타단에 실내와 연통되는 급기 배출구(114)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덕트(120)의 일단에 실내와 연통되는 배기 흡입구(122)가 형성되고 타단에 실외와 연통되는 배기 배출구(124)가 형성된다.In addition, an air
이때, 상기 급기덕트(110)와 배기덕트(120)는 펄프소재로 된 전열교환기(130)를 중심으로 각각 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서 서로 교차되면서 서로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 At this time, the
또 급기덕트(110)의 급기 배출구(114) 측에는 실외공기를 강제 흡입시키는 급기팬(116)이 구비되고, 배기 배출구(124)측에는 실내공기를 실외로 강제 배출시키는 배기팬(126)이 설치된다.In addition, an
그리고, 급기 흡입구(112)와 전열교환기(130) 사이에 실외공기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기정화필터(140)가 구비된다.In addition, an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실내공기가 어느 정도 오염되었을 때 배기팬(126)에 전원이 인가되면 실내공기가 배기 흡입구(122)를 통해 배기덕트(120)로 유입된 다음, 전열교환기를 통과하고 배기 배출구(12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First,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이와 동시에, 급기팬(116)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신선한 실외공기가 급기 흡입구(112)를 통해 급기덕트(110)로 유입된 다음, 전열교환기(130)를 통과하고, 급기 배출구(114)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At the same time, while supplying power to the
이때, 상기 전열교환기(130)를 통과하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는 열교환 막을 통해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이 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전열교환기(130)에서 일어나는 열교환은 급기되는 실외공기와 배기되는 실내공기 사이에 일어나는 현열교환과,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 중 고온의 공기가 노점온도(dew point temp.) 이하의 상태가 되면서 생성된 응축수에 의한 잠열교환으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passing through the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환기장치는 펌프소재의 전열교환기에 의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열교환만 이루어지므로 에너지 회수율이 냉방일 경우 약 40%, 난방일 경우 약 60% 정도로 되어 많은 양의 에너지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ventilation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only heat exchange between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by the total heat exchanger of the pump material, so the energy recovery rate is about 40% when cooling, about 60% when heating, a large amount of energy There is a problem that loss occurs.
즉, 종래 펄프소재의 전열교환기를 사용한 환기장치는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와 실내로 들어오는 공기를 열교환하여 엔탈피를 일부 회수하는 개념으로서, 능동적으로 온도/습도를 제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the conventional ventilator using an electric heat exchanger made of pulp material is a concept of partially recovering enthalpy by heat-exchanging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ir entering the room, and ha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actively control temperature / humidity.
또한, 별도의 냉난방기가 실내에 설치되는 경우, 냉난방기와 환기장치가 별도로 설치되므로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a separat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indoor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st is increased because the air conditioner and the ventilation device are installed separately.
따라서 종래에도 히트펌프가 구비된 환기장치가 개발되어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10-0011144호로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와, 이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전열교환기(20)와,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 냉난방을 수행하는 히트펌프 시스템(30)과, 환기장치가 설치되는 건물의 북측과 남측에 각각 설치되어 동절기와 하절기에 따라 북측 흡입구(42)와 남측 흡입구(4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외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멀티 배관(40)을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refore, a conventional ventilator equipped with a heat pump has been developed and presented as a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11144, which is installed in the
이때, 상기 케이스(10) 내부에는 실외공기가 실내로 안내되는 급기덕트(50)와, 급기덕트(50)와 소정 위치에서 교차하게 배치되고 실내공기가 실외로 안내되는 배기덕트(60)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전열교환기(20)는 급기덕트(50)와 배기덕트(60)가 교차하는 지점에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At this time, inside the
또, 급기덕트(50)의 일단에는 실외와 연통되어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급기 흡입구(52)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실내와 연통되어 실외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는 급기 배출구(54)가 설치되며, 또한 배기덕트(60)의 일단에는 실내와 연통되어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배기 흡입구(62)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실외와 연통되어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배기 배출구(64)가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뿐만 아니라, 상기 급기덕트(50)의 급기 배출구(54) 측에는 실외공기를 강제 흡입시키는 급기팬(56)이 설치되고, 배기 배출구(64) 측에는 실내공기를 실외로 강제 배출시키는 배기팬(66)이 설치되며, 또 상기 급기 흡입구(52)와 전열교환기(20) 또는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급기덕트(50)의 일측에는 실외공기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기정화필터(70)가 설치된다. In addition, an
이때, 상기 공기정화필터(70)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프리 필터(72)와, 정전기를 이용하여 먼지 등을 제거하는 정전식 필터(74)와,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필터(7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전열교환기(20)는 실외공기가 통과하는 급기통로와 실내공기가 통과하는 배기통로가 서로 교차되게 마련되어 실외공기와 실내공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전열교환기(20)에서 일어나는 열교환은 급기되는 실외공기와 배기되는 실내공기 사이에 일어나는 현열교환과,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 중 고온의 공기가 노점온도(dew point temp.) 이하의 상태가 되면서 생성된 응축수에 의한 잠열교환으로 이루어지는 형태를 갖는다.In addition, the heat exchanger (20) is provided so that the air supply passage through which the outdoor air passes and the exhaust passage where the indoor air passes through each other to perform heat exchange between the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specifically, the heat exchange occurring in the heat exchanger (20). Is composed of sensible heat exchange between the supplied outdoor air and the exhausted indoor air, and latent heat exchange by condensate generated when hot air in the indoor air or outdoor air is below the dew point temp. Has
한편, 상기 환기장치에 적용된 히트펌프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기덕트(50)에 설치되어 급기덕트(50)를 통해 흡입되는 실외공기와 열교환되는 제 1 열교환기(80)와, 배기덕트(60)에 설치되어 배기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열교환되는 제 2 열교환기(82)와, 저온저압 기체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의 냉매로 압축하는 압축기(84)와, 냉방운전과 난방운전의 모드에 따라 냉매의 흐름을 절환시키는 사방밸브(86) 및 팽창밸브(88) 등을 포함한 구성을 갖는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3, the heat pump system applied to the ventilation device includes a
이때, 제 1 열교환기(80)는 실외공기가 통과하는 전열교환기(20)의 양쪽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실외공기가 전열교환기(20)를 통과한 후의 위치인 전열교환기(20)의 일측면에 설치될 수 있고, 실외공기가 전열교환기(20)를 통과하기 전 위치인 전열교환기(20)의 타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이와 같은 제 1 열교환기(80)는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의 열에너지를 2차로 회수할 수 있어 열교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제 1 열교환기(80)는 냉방운전 모드에서는 저온저압 액체상태의 냉매를 기체상태로 증발시키는 증발기 역할을 하고, 난방운전 모드에서는 고온고압 기체상태의 냉매를 상온고압 액체상태로 응축시키는 응축기의 역할을 하여, 냉매의 엔탈피 변화에 대응하여 실외공기와 열교환하는 작용을 한다.The
또한, 상기 제 2 열교환기(82)는 실내공기가 통과하는 전열교환기(20)의 양쪽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실내공기가 전열교환기(20)를 통과하기 전 위치인 전열교환기의 일측면에 설치될 수 있고, 실내공기가 전열교환기를 통과한 후 위치인 전열교환기의 타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 열교환기(82)는 실외로 배출되는 실내공기의 열에너지를 2차로 회수할 수 있어 열교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와 같은 제 2 열교환기(82)는 냉방운전시는 응축기로서, 난방운전시는 증발기로서 외부로 토출되는 실내공기와의 열교환 작용을 한다.The
또, 압축기(84)는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어 저온,저압 기체 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하여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사방밸브(86)는 압축기(84)의 토출구(84a) 및 흡입구(84b)와 연결되고, 제 1 열교환기(80) 및 제 2 열교환기(82)와 각각 연결되어 냉방운전 및 난방운전 모드에 따라 냉매의 흐름이 바뀌도록 냉매 유로를 절환시킨다.In addition, the four-
그리고, 팽창밸브(88)는 제 1 열교환기(80)와 제 2 열교환기(82) 사이에 연결되어 두 열교환기(80,82) 중 하나에서 유입되는 상온 고압 액체상태 냉매를 저온 저압의 액체상태로 감압시키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또, 멀티 배관(40)은 급기 흡입구(52)에 연결되고 건물의 북쪽 벽면에 설치되어 북쪽 방향의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북측 흡입구(42)와, 급기 흡입구(52)에 연결되고 건물의 남쪽 벽면에 설치되어 남쪽방향의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남측 흡입구(44)와, 북측 흡입구(42)와 남쪽 흡입구(44) 중 어느 하나와 급기 흡입구 (52)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댐퍼(46)를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multi-pipe 40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inlet 52 and installed on the north wall of the building north
이때, 북측 흡입구(42)는 건물의 북쪽 방향에 설치되어 동절기 때 급기 흡입구(52)와 연통되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사이의 온도차를 최대화하여 냉방을 수행할 때 에너지 교환효율을 극대화시켜 주고, 남측 흡입구(44)는 건물의 남쪽 방향에 설치되어 하절기 때 급기 흡입구(52)와 연통되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사이의 온도차를 최대화할 수 있게 되어 난방을 수행할 때 에너지 교환효율을 극대화시켜 주게 된다.At this time, the north
또한, 댐퍼(46)는 급기유로(48)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급기유로(48)를 선택적으로 절환시키는 밸브판(46a)과,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밸브판(46a)을 동작시키는 댐퍼모터(46b)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히트펌프가 구비된 환기장치는 하나의 케이스 내에서 급기덕트(50)와 배기덕트(60)가 교차하는 지점에 전열교환기(20)를 마름모 형태로 설치하고, 제 1 열교환기(80)와 제 2 열교환기(82)는 전열교환기(20)의 양쪽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설치함은 물론 케이스의 내부에는 압축기(84)와 사방밸브(86) 및 팽창밸브(88) 등을 더 설치하고, 또한 멀티 배관(40)은 급기 흡입구(52)에 연결되고 건물의 북쪽 벽면에 설치되어 북쪽 방향의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북측 흡입구(42)와, 급기 흡입구(52)에 연결되고 건물의 남쪽 벽면에 설치되어 남쪽방향의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남측 흡입구(44)와, 북측 흡입구(42)와 남쪽 흡입구(44) 중 어느 하나와 급기 흡입구 (52)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댐퍼(46)를 포함하고 있어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품의 생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ventilator provided with a heat pump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nstalls the
특히, 응축수가 발생될 수 있는 제 1 열교환기(80)와 제 2 열교환기(82) 중 그 어디에도 응축수를 받아 처리할 수 있는 드레인 구조가 구비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능동적으로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할 수 있는 어떠한 기능도 없이 단순히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와 실내로 들어오는 공기를 열교환하여 일부 열만 회수하고 있어 냉,난방 효율을 극대화하는데 한계가 있음은 물론 제습 및 가습을 통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In particular, none of th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펄프소재의 전열교환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배출되는 공기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로 열과 수분을 이동시켜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전열교환기식 환기장치에 비해 능동적으로 난방과 냉방, 가습 및 제습이 가능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전열교환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전열교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히트펌프 냉난방기를 이용한 열회수형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it is possible to recover energy by moving heat and moisture from the discharged air to the air flowing into the room without using a heat exchanger made of pulp material, Heat recovery type ventilation system using heat pump air conditioner that can maximize heating / cooling,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and install additional heat exchanger if necessary to maximiz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장치는, 중앙을 가로지르게 설치된 격벽을 사이에 두고 급기덕트와 배기덕트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급기덕트의 전,후면에는 각각 급기 흡입구와 급기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덕트의 전,후면에는 각각 배기 흡입구와 배기 배출구가 형성된 직사각 함체형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급기덕트 및 배기덕트 내 급기 흡입구 및 배기 흡입구 측에 설치되어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각각 급기 배출구 및 배기 배출구 측으로 강제 배출시켜 주는 급기팬 및 배기팬과; 상기 케이스의 급기덕트 및 배기덕트 내 급기팬 및 배기팬과 급기 배출구 및 배기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부응하여 냉방 또는 난방 작동시 급기되는 실외공기 및 배기되는 실내공기와 각각 열교환을 실시하는 제 1 및 제 2 열교환기와;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기의 저부에 설치되어 제 1 및 제 2 열교환기가 증발기로 작동할 때 발생되는 응축수를 포집하여 응축수 저장탱크 측으로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드레인 팬과; 상기 케이스의 급기덕트 및 배기덕트 내 제 1 및 제 2 열교환기와 급기 배출구 및 배기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펌프를 통해 응축수 저장탱크로부터 물이 공급되면 이를 제 1 및 제 2 열교환기 중 응축기로 작동하는 열교환기에 분무시켜 주는 제 1 및 제 2 가습기와; 소정 용적을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드레인 팬을 통해 포집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저장탱크와;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응축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을 제 1 및 제 2 가습기에 공급시켜 주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제 1 및 제 2 가습기 사이의 배관 분기점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펌프에서 강제로 공급되는 물을 제 1 및 제 2 가습기 중 어느 일측에 공급시켜 주는 삼방변과; 저온저압 기체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의 냉매로 압축하여 냉방 또는 난방모드 작동에 부응하여 제 1 및 제 2 열교환기 중 어느 일측에 공급시켜 주는 압축기와; 열회수형 환기장치의 각 구성부품의 구동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air supply duct and the exhaust duct are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partition wall installed across the center, and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air supply duct. A rectangular housing case formed at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exhaust duct, each having an exhaust inlet and an exhaust outlet; An air supply fan and an exhaust fan installed at an air supply inlet and an exhaust air inlet of the air supply duct and the air exhaust duct of the case to suck outdoor air and indoor air and forcibly discharge the air to the air supply outlet and the exhaust outlet; It is installed between the air supply duct and the exhaust fan and the exhaust fan and the air supply outlet and the exhaust outlet in the case of the case,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o perform heat exchange with the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that is supplied during the cooling or heating operation,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heat exchangers; First and second drain pan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and second heat exchangers to collect condensate generated when the first and second heat exchangers operate as an evaporator, and to deliver the condensate to a condensate storage tank; A heat exchanger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eat exchangers in the air supply duct and the exhaust duct of the case and the air supply outlet and the exhaust outlet to supply water from the condensate storage tank through a pump to operate as a condenser among the first and second heat exchangers First and second humidifiers sprayed to the apparatus; A condensate storage tank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and storing condensed water collec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rain pans; A pump for supplying water stored in the condensate storage tank to first and second humidifiers under control of a controller; A three-way valve disposed at a pipe branch between the pump and the first and second humidifiers to supply water to the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humidifiers forcibly supplied from the pump in response to an output signal of the controller;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a low temperature low pressure gaseous refrigerant into a high temperature high pressure gaseous refrigerant and supplying it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eat exchangers in response to the cooling or heating mode operation; And a controller for performing an overall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each component of the heat recovery type ventilation device.
또, 상기 케이스의 급기덕트 및 배기덕트 내 급기 흡입구 및 배기 흡입구와 급기팬 및 배기팬 사이에는 급기되는 실외공기 또는 배기되는 실내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필터링해 주는 제 1 및 제 2 필터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first filter and a second filter for filtering variou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outdoor air to be supplied or the indoor air to be exhausted are provided between the air supply inlet and the exhaust air inlet of the air supply duct and the exhaust duct of the case.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installation.
또한, 상기 펌프의 물 유입구에는 응축수 저장탱크 내의 물이 제 1 또는 제 2 가습기로 공급될 때 물속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수중필터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ter inlet of the pum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filter further removes a variety of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water when the water in the condensate storage tank is supplied to the first or second humidifier.
또, 상기 응축수 저장탱크 내에 물에서 서식하는 각종 세균을 자외선 소독을 통해 멸균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외선 살균 램프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densate storage tank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stalled an ultraviolet sterilization lamp to sterilize various bacteria inhabiting in water through ultraviolet disinfection.
또한, 상기 케이스에 일체로 구비된 급기덕트 및 배기덕트의 급기 흡입구 및 배기 배출구 외측에,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급기 흡입구와 급기 배출구 및 배기 흡입구와 배기 배출구가 형성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내부에서 마름모 형태로 설치되는 전열교환소자가 구비된 전열교환기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ir supply inlet and the exhaust inlet and exhaust outlet of the air supply duct and the exhaust duct integrally provided in the case, the air inlet and the air supply outlet and the exhaust inlet and exhaust outlet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to each other, and a rhombus shape inside the hous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al heat exchanger provided with a total heat exchange element to be installed.
이때, 상기 케이스의 급기덕트 및 배기덕트에 각각 형성된 급기 흡입구 및 배기 배출구에 전열교환기의 급기 배출구 및 배기 흡입구가 각각 일체로 연결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air supply inlet and the exhaust inlet of the air supply inlet and exhaust outlet formed in the air supply duct and the exhaust duct of the case,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and exhaust inlet are integrally connected.
또, 상기 전열교환기 함체의 급기 흡입구와 전열교환소자의 일측부 사이 및 상기 케이스의 배기덕트 내 배기 흡입구와 배기팬 사이에 흡기되는 실외공기 또는 배기되는 실내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필터링해 주는 제 1 및 제 2 필터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t filters out variou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outdoor air or indoor air that are intaken between the air supply inlet port of the heat exchanger enclosure and one side of the heat exchange element, and between the exhaust inlet port and the exhaust fan in the exhaust duct of the case.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are further provid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히트펌프 냉난방기를 이용한 열회수형 환기장치에 의하면, 펄프소재의 전열교환기를 사용하지 않고 히트펌프 시스템만을 이용하여 배출되는 공기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로 열과 수분을 이동시켜 에너지를 원활히 회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전열교환기식 환기장치에 비해 능동적으로 난방과 냉방, 가습 및 제습이 가능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전열교환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전열교환 효율을 포함하여 제습 및 가습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heat recovery type ventilation apparatus using the heat pump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and moisture are moved from the discharged air to the air introduced into the room using only the heat pump system without using the heat exchanger made of pulp material. Not only can the energy be recovered smoothly, but also the heating, cooling,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can be actively performed compared to the existing heat exchanger type ventilation system, and if necessary, an additional heat exchanger can be installed to further dehumidify and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such as to maximize the humidification effect.
도 1의 종래 일반적인 전열교환기를 이용한 환기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히트펌프가 구비된 환기장치의 구성도.
도 3은 종래 환기장치에서 사용된 히트펌프의 시스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략적인 평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략적인 정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ventilation device using a conventional general heat exchanger.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ventilation device provided with a conventional heat pump.
3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 heat pump used in a conventional ventilation device.
4 is a schematic plan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front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plan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략적인 평면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략적인 정면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 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4 shows a schematic plan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 schematic front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other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plan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shown.
이에 따르면 본 발명 장치의 일 실시 예는,Accordingly, an embodiment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중앙을 가로지르게 설치된 격벽(201)을 사이에 두고 급기덕트(202)와 배기덕트(205)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급기덕트(202)의 전,후면에는 각각 급기 흡입구(203)와 급기 배출구(204)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덕트(205)의 전,후면에는 각각 배기 흡입구(206)와 배기 배출구(207)가 형성된 직사각 함체형 케이스(200)와;The
상기 케이스(200)의 급기덕트(202) 및 배기덕트(205) 내 급기 흡입구(203) 및 배기 흡입구(206) 측에 설치되어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각각 급기 배출구(204) 및 배기 배출구(207) 측으로 강제 배출시켜 주는 급기팬(210) 및 배기팬(220)과;It is installed at the
상기 케이스(200)의 급기덕트(202) 및 배기덕트(205) 내 급기팬(210) 및 배기팬(220)과 급기 배출구(204) 및 배기 배출구(207) 사이에 설치되어 제어부(330)의 제어에 부응하여 냉방 또는 난방 작동시 급기되는 실외공기 및 배기되는 실내공기와 각각 열교환을 실시하는 제 1 및 제 2 열교환기(230)(240)와;It is installed between the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기(230)(240)의 저부에 설치되어 제 1 및 제 2 열교환기(230)(240)가 증발기로 작동할 때 발생되는 응축수를 포집하여 응축수 저장탱크(290) 측으로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드레인 팬(250)(260)과;It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and
상기 케이스(200)의 급기덕트(202) 및 배기덕트(205) 내 제 1 및 제 2 열교환기(230)(240)와 급기 배출구(204) 및 배기 배출구(207) 사이에 설치되어 펌프(300)를 통해 응축수 저장탱크(290)로부터 물이 공급되면 이를 제 1 및 제 2 열교환기(230)(240) 중 응축기로 작동하는 열교환기에 분무시켜 주는 제 1 및 제 2 가습기(270)(280)와;The
소정 용적을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드레인 팬(250)(260)을 통해 포집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저장탱크(290)와;A
제어부(33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응축수 저장탱크(290)에 저장된 물을 제 1 및 제 2 가습기(270)(280)에 공급시켜 주는 펌프(300)와;A
상기 펌프(300)와 제 1 및 제 2 가습기(270)(280) 사이의 배관 분기점에 설치되어 제어부(330)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펌프(300)에서 강제로 공급되는 물을 제 1 및 제 2 가습기(270)(280) 중 어느 일측에 절체/공급시켜 주는 삼방변(310)과;Installed at the pipe branch between the
저온저압 기체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의 냉매로 압축하여 냉방 또는 난방모드 작동에 부응하여 제 1 및 제 2 열교환기(230)(240) 중 어느 일측에 공급시켜 주는 압축기(320)와;
열회수형 환기장치의 각 구성부품의 구동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33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또, 상기 케이스(200)의 급기덕트(202) 및 배기덕트(205) 내 급기 흡입구(203) 및 배기 흡입구(206)와 급기팬(210) 및 배기팬(220) 사이에는 급기되는 실외공기 또는 배기되는 실내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필터링해 주는 제 1 및 제 2 필터(340)(350)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etween the
또한, 상기 펌프(300)의 물 유입구에는 응축수 저장탱크(290) 내의 물이 제 1 또는 제 2 가습기(270)(280)로 공급될 때 물속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제거시켜 주는 수중필터(360)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 상기 응축수 저장탱크(290) 내에 물에서 서식하는 각종 세균을 자외선 소독을 통해 멸균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외선 살균 램프(370)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On the other h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케이스(200)에 일체로 구비된 급기덕트(202) 및 배기덕트(205)의 급기 흡입구(203) 및 배기 배출구(207) 외측에,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급기 흡입구(383)와 급기 배출구(384) 및 배기 흡입구(386)와 배기 배출구(387)가 형성된 함체(381)와;The
상기 함체(381)의 내부에서 마름모 형태로 설치되는 전열교환소자(382)가 구비된 전열교환기(380)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side of the
이때, 상기 케이스(200)의 급기덕트(202) 및 배기덕트(205)에 각각 형성된 급기 흡입구(203) 및 배기 배출구(207)에 전열교환기(380)의 급기 배출구(384) 및 배기 흡입구(386)가 각각 일체로 연결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전열교환기(380) 함체(381)의 급기 흡입구(383)와 전열교환소자(382)의 일측부 사이 및 상기 케이스(200)의 배기덕트(205) 내 배기 흡입구(206)와 배기팬(220) 사이에 흡기되는 실외공기 또는 배기되는 실내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필터링해 주는 제 1 및 제 2 필터(340)(350)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etwee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히트펌프 냉난방기를 이용한 열회수형 환기장치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s of the heat recovery type ventilation apparatus using a heat pump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본 발명 장치의 일 실시 예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직사각 함체형 케이스(200)와 급기팬(210) 및 배기팬(220), 제 1 및 제 2 열교환기(230)(240), 제 1 및 제 2 드레인 팬(250)(260), 제 1 및 제 2 가습기(270)(280), 응축수 저장탱크(290), 펌프(300), 삼방변(310), 압축기(320) 및 제어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기본적인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Firs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4 and 5, the
이때, 직사각 함체 형상을 갖는 상기 케이스(200)는 그 내부에서 중앙을 가로지르게 설치된 격벽(201)을 사이에 두고 급기덕트(202)와 배기덕트(205)가 일체로 구비된 형태를 가짐은 물론 상기 급기덕트(202)의 전,후면에는 각각 급기 흡입구(203)와 급기 배출구(20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기덕트(205)의 전,후면에는 각각 배기 흡입구(206)와 배기 배출구(207)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또, 상기 급기팬(210) 및 배기팬(220)은 각각 상기 케이스(200)의 급기덕트(202) 및 배기덕트(205) 내에서 급기 흡입구(203) 및 배기 흡입구(206) 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330)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작동되며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각각 실내와 실외로 연결된 급기 배출구(204) 및 배기 배출구(207) 측으로 강제 배출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기(230)(240)는 도시 생략된 사방밸브와 냉매 배관을 통해 압축기(320)와 연결된 상태에서 각각 상기 케이스(200)의 급기덕트(202) 및 배기덕트(205) 내 급기팬(210) 및 배기팬(220)과 급기 배출구(204) 및 배기 배출구(207) 사이에 설치되어, 제어부(330)의 제어에 부응하여 냉방 또는 난방 작동시 급기되는 실외공기 및 배기되는 실내공기와 각각 열교환을 실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이때, 사방밸브는 겨울철 난방모드인 경우 제어부(330)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제 1 및 제 2 열교환기(230)(240) 중 제 1 열교환기(230) 측으로 절환되어 급기덕트(202) 내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열교환기(230) 자체가 고온고압의 냉매로 가열되는 응축기로 작동하여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게 되고, 또한 배기덕트(205) 내에 설치되어 있는 제 2 열교환기(240)는 제 1 열교환기(230)를 거치면서 흡열반응을 통한 열교환이 이루어진 냉매가 도시 생략된 팽창변을 통해 저온저압으로 냉각된 상태로 공급되는 냉매로 인해 냉각되는 증발기로 작동하여 실내의 따뜻한 공기로부터 열을 냉매를 통해 흡수하고 외부로는 차가운 공기를 내보냄과 동시에 제습을 통해 응축수를 발생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four-way valve is switched to the
물론, 상기와 반대로 여름철 냉방모드에서는 사방밸브가 압축기(320)에서 배출되는 고온고압의 냉매를 제 1 및 제 2 열교환기(230)(240) 중 제 2 열교환기(240) 측으로 절환 공급시켜 주므로 제 2 열교환기(240) 자체가 고온고압의 냉매로 가열되는 응축기로 작동하여 실내에서 실외로 배출되는 차가운 공기를 가열하게 되고, 또한 제 1 열교환기(230)는 제 2 열교환기(240)를 거친 냉매가 도시 생략된 팽창변을 통해 저온저압으로 냉각된 상태로 공급되는 냉매로 인해 냉각되는 증발기로 작동하여 실외의 따뜻한 공기로부터 열을 냉매를 통해 흡수하고 실내로는 차가운 공기를 내보냄과 동시에 제습을 통해 응축수를 발생시키게 된다.Of course, in contrast to the above, in the summer cooling mode, the four-way valve switches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즉, 제 1 및 제 2 열교환기(230)(240)와 압축기(320) 및 팽창변 등으로 이루어지는 히트펌프 싸이클에서 냉매는 외부로 배출되는 따뜻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압축기(320)로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는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차가운 공기를 가열하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측으로 열에너지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n the heat pump cycle including the first and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드레인 팬(250)(260)는 전술한 제 1 및 제 2 열교환기(230)(240)의 저부에 설치되어 제 1 열교환기(230) 또는 제 2 열교환기(240)가 증발기로 작동할 때 발생되는 응축수를 포집하여 응축수 저장탱크(290) 측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and second drain pans 250 and 260 ar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and
또, 상기 제 1 및 제 2 가습기(270)(280)는 케이스(200)의 급기덕트(202) 및 배기덕트(205) 내 제 1 및 제 2 열교환기(230)(240)와 급기 배출구(204) 및 배기 배출구(207) 사이에서 제 1 및 제 2 열교환기(230)(240)의 상방부에 각각 설치되어, 후술하는 펌프(300)를 통해 응축수 저장탱크(290)로부터 물이 공급되면 이를 제 1 및 제 2 열교환기(230)(240) 중 응축기로 작동하는 열교환기에 분무(즉, 난방모드에서는 제 1 가습기(270)를 통해 제 1 열교환기(230) 측으로 분무시켜 주고, 냉방모드에서는 제 2 가습기(280)를 통해 제 2 열교환기(240) 측으로 분무)시켜 주어 실내의 습도가 원하는 습도를 유지하도록 가습시켜 주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또한, 상기 응축수 저장탱크(290)는 소정 용적을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드레인 팬(250)(260)을 통해 포집된 응축수를 저장하게 되는데, 이때 응축수 저장탱크(290) 내에는 응축수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서는 실내의 적절한 습도를 유지시켜 주기에 충분한 물이 구비되도록 가습용 물로써 직수를 공급시켜 줄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또, 상기 펌프(300)는 제어부(33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응축수 저장탱크(290)에 저장된 물을 제 1 및 제 2 가습기(270)(280)에 선택적으로 공급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또한 상기 삼방변(310)는 펌프(300)와 제 1 및 제 2 가습기(270)(280) 사이의 배관 분기점에 설치되어 제어부(330)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펌프(300)에서 강제로 공급되는 물을 제 1 및 제 2 가습기(270)(280) 중 어느 일측에 절체/공급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압축기(320)는 저온저압 기체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의 냉매로 압축하여 냉방 또는 난방모드 작동에 부응하여 사방변을 통해 제 1 및 제 2 열교환기(230)(240) 중 어느 일측에 공급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Meanwhile, the
이때, 상기한 히트펌프 시스템에 적용시킨 압축기(320) 자체를 용량 가변형으로 사용할 경우 능력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케이스(200) 내 급기덕트(202) 및 배기덕트(205)의 입,출구에 도시 생략한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각각의 온도를 감지함으로써 급기(SA) 측을 환기(RA) 수준으로 가열하여 현재의 실내온도를 유지시키거나 또는 그 이상으로 가열할 수 있어 원활한 난방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when the
또, 상기 제어부(330)는 열회수형 환기장치의 각 구성부품의 구동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케이스(200)의 급기덕트(202) 및 배기덕트(205) 내 급기 흡입구(203) 및 배기 흡입구(206)와 급기팬(210) 및 배기팬(220) 사이에 각각 제 1 및 제 2 필터(340)(350)를 교체 가능하게 더 설치하여 급기되는 실외공기 또는 배기되는 실내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필터링해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공기를 포함하여 본 발명 장치 내의 각 구성부품이 먼지를 포함하는 각종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또, 상기 펌프(300)의 물 유입구에는 필요에 따라 수중필터(360)를 더 설치하여 줌으로써 응축수 저장탱크(290) 내의 물이 제 1 또는 제 2 가습기(270)(280)로 공급될 때 물속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펌프(300)와 제 1 및 제 2 가습기(270)(280)의 내부를 포함하여 제 1 및 제 2 열교환기(230)(240) 등이 물속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ater inlet of th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 응축수 저장탱크(290) 내에 자외선 살균 램프(370)를 더 설치하여 물에서 서식하는 각종 세균을 자외선 소독을 통해 멸균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습용으로 사용된 물에 서식하는 각종 세균에 의해 실내에 기거하는 사람들이 질병에 걸리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y further installing an ultraviole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펄프소재의 전열교환기를 사용하지 않고 히트펌프 시스템만을 이용하여 배출되는 공기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로 열과 수분을 이동시켜 에너지를 원활히 회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전열교환기식 환기장치에 비해 능동적으로 난방과 냉방, 가습 및 제습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As such,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heat exchanger of the pulp material is used, but also the heat transfer from the discharged air to the air introduced into the room using only the heat pump system to recover the energy smoothly as well as the existing heat transfer. Compared to exchange ventilators, heating, cooling,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can be carried out more actively.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도 6과 같이, 전술한 케이스(200)에 일체로 구비된 급기덕트(202) 및 배기덕트(205)의 급기 흡입구(203) 및 배기 배출구(207) 외측에 전열교환기(380)를 부가 설치하여 전술한 히트펌프 시스템과 더불어 전열교환기(380)를 통해 2중으로 열교환을 통한 열회수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또 다른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Meanwhile, 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이때, 상기 전열교환기(380)는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급기 흡입구(383)와 급기 배출구(384) 및 배기 흡입구(386)와 배기 배출구(387)가 형성된 함체(381)와, 상기 함체(381)의 내부에서 마름모 형태로 설치되는 전열교환소자(382)가 구비된 구성을 갖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200)의 급기덕트(202) 및 배기덕트(205)에 각각 형성된 급기 흡입구(203) 및 배기 배출구(207)에 전열교환기(380)의 급기 배출구(384) 및 배기 흡입구(386)가 각각 일체로 연결되게 설치한 형태를 갖게 된다.At this time, the
상기와 같은 전열교환기(380)는 종래 전열교환기와 마찬가지로 전술한 본 발명 장치의 일 실시 예의 배기덕트(205) 내 배기팬(220)이 작동하여 실내공기가 배기 흡입구(206)를 통해 배기덕트(205)로 유입된 다음 제 2 열교환기(240)를 걸쳐 1차적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전열교환기(380)의 함체(381) 내로 유입된 다음 전열교환소자(382)를 통과하며 2차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최종적으로 함체(381)에 형성된 배기 배출구(287)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The
또한, 이와 동시에, 본 발명 장치의 일 실시 예의 급기덕트(202) 내 급기팬(210)이 작동하게 되면 실외공기가 전열교환기(380)의 함체(381)에 형성된 급기 흡입구(383)를 통해 함체(381) 내로 유입된 다음 전열교환소자(382)를 통과하며 1차적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본 발명 장치의 케이스(200)에 형성된 급기덕트(202) 내로 유입된 다음 제 1 열교환기(230)를 거처 2차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최종적으로 케이스(200)의 급기덕트(202)에 형성되어 있는 급기 배출구(204)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At the same time, when the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경우 케이스(200) 내의 제 1 및 제 2 열교환기(230)(240)를 각각 직접 통과하는 실,내외공기가 냉매의 흡열 및 발열작용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실외공기가 통과하는 급기통로와 실내공기가 통과하는 배기통로가 서로 교차되게 마련된 형태에서 케이스(200)의 일측에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상기 전열교환기(380)에서 급기되는 실외공기와 배기되는 실내공기 사이에 일어나는 현열교환과,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 중 고온의 공기가 노점온도 이하의 상태가 되면서 생성된 응축수에 의한 잠열교환으로 이루어지는 형태를 갖게 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비해 전열교환 효율을 포함하여 제습 및 가습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ide and the outside air passing directly through the first an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일 실시 예와 달리, 전열교환기(380)을 더 구비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제 1 및 제 2 필터(340)(350)를 전열교환기(380) 함체(381)의 급기 흡입구(383)와 전열교환소자(382)의 일측부 사이 및 상기 케이스(200)의 배기덕트(205) 내 배기 흡입구(206)와 배기팬(220) 사이에 각각 설치하여, 흡기되는 실외공기 또는 배기되는 실내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embodiment, since the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It should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200 : 케이스 201 : 격벽
202 : 급기덕트 203 : 급기 흡입구
204 : 급기 배출구 205 : 배기덕트
206 : 배기 흡입구 207 : 배기 배출구
210 : 급기팬 220 : 배기팬
230, 240 : 제 1 및 제 2 열교환기
250, 260 : 제 1 및 제 2 드레인 팬
270, 280 : 제 1 및 제 2 가습기
290 : 응축수 저장탱크 300 : 펌프
310 : 삼방변 320 : 압축기
330 : 제어부 340, 350 : 제 1 및 제 2 필터
360 : 수중필터 370 : 자외선 살균 램프
380 : 전열교환기 381 : 함체
382 : 전열교환소자
383 : 급기 흡입구 384 : 급기 배출구
386 : 배기 흡입구 387 : 배기 배출구200: case 201: partition wall
202: air supply duct 203: air supply inlet
204: air supply outlet 205: exhaust duct
206: exhaust inlet 207: exhaust outlet
210: air supply fan 220: exhaust fan
230, 240: first and second heat exchanger
250, 260: first and second drain pan
270, 280: first and second humidifier
290: condensate storage tank 300: pump
310: three-way 320: compressor
330:
360: submersible filter 370: UV germicidal lamp
380: heat exchanger 381: enclosure
382: electrothermal exchange element
383: supply air inlet 384: supply air outlet
386
Claims (7)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각각 급기 배출구 및 배기 배출구 측으로 강제 배출시켜 주는 급기팬 및 배기팬과;
제어부의 제어에 부응하여 냉방 또는 난방 작동시 급기되는 실외공기 및 배기되는 실내공기와 각각 열교환을 실시하는 제 1 및 제 2 열교환기와;
제 1 및 제 2 열교환기가 증발기로 작동할 때 발생되는 응축수를 포집하여 응축수 저장탱크 측으로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드레인 팬과;
펌프를 통해 응축수 저장탱크로부터 물이 공급되면 이를 제 1 및 제 2 열교환기 중 응축기로 작동하는 열교환기에 분무시켜 주는 제 1 및 제 2 가습기와;
소정 용적을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드레인 팬을 통해 포집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저장탱크와;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응축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을 제 1 및 제 2 가습기에 공급시켜 주는 펌프와;
펌프에서 강제로 공급되는 물을 제 1 및 제 2 가습기 중 어느 일측에 공급시켜 주는 삼방변과;
저온저압 기체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의 냉매로 압축하여 냉방 또는 난방모드 작동에 부응하여 제 1 및 제 2 열교환기 중 어느 일측에 공급시켜 주는 압축기와;
열회수형 환기장치의 각 구성부품의 구동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냉난방기를 이용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An air supply duct and an exhaust duct are integrally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disposed across the center, and an air supply inlet and an air supply outlet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air supply duct, respectively. And a rectangular housing case having an exhaust outlet formed therein;
An air supply fan and an exhaust fan for sucking outdoor air and indoor air and forcibly discharging the air to an air supply outlet and an exhaust outlet;
First and second heat exchangers each configured to exchange heat with the outdoor air supplied during the cooling or heating operation and the indoor air exhaus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First and second drain pans which collect condensate generated when the first and second heat exchangers operate as an evaporator and transfer the condensate to a condensate storage tank;
First and second humidifiers that spray water to a heat exchanger operating as a condenser among the first and second heat exchangers when water is supplied from the condensate storage tank through a pump;
A condensate storage tank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and storing condensed water collec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rain pans;
A pump for supplying water stored in the condensate storage tank to first and second humidifiers under control of a controller;
A triangular stool for supplying water forcibly supplied from the pump to ei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umidifiers;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a low temperature low pressure gaseous refrigerant into a high temperature high pressure gaseous refrigerant and supplying it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eat exchangers in response to the cooling or heating mode operation;
A heat recovery type ventilation apparatus using a heat pump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an overall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heat recovery type ventilation apparatus.
상기 케이스의 급기덕트 및 배기덕트 내 급기 흡입구 및 배기 흡입구와 급기팬 및 배기팬 사이에는 급기되는 실외공기 또는 배기되는 실내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필터링해 주는 제 1 및 제 2 필터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냉난방기를 이용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irst and second filters are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air supply inlet and the exhaust air inlet of the case and the air inlet and the air supply fan and the exhaust fan of the case to filter variou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outdoor air to be supplied or indoor air to be exhausted. Heat recovery type ventilation apparatus using a heat pump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펌프의 물 유입구에는 응축수 저장탱크 내의 물이 제 1 또는 제 2 가습기로 공급될 때 물속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수중필터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냉난방기를 이용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Heat recovery type ventilation apparatus using a heat pump air conditioner at the water inlet of the pump further comprises a water filter for removing various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water when the water in the condensate storage tank is supplied to the first or second humidifier. .
상기 응축수 저장탱크 내에 물에서 서식하는 각종 세균을 자외선 소독을 통해 멸균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외선 살균 램프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냉난방기를 이용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Heat recovery type ventilation apparatus using a heat pump air-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installed UV sterilization lamp to sterilize various bacteria inhabiting water in the condensate storage tank by ultraviolet disinfection.
상기 케이스에 일체로 구비된 급기덕트 및 배기덕트의 급기 흡입구 및 배기 배출구 외측에,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급기 흡입구와 급기 배출구 및 배기 흡입구와 배기 배출구가 형성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내부에서 마름모 형태로 설치되는 전열교환소자가 구비된 전열교환기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냉난방기를 이용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utside the air supply inlet and exhaust outlet of the air supply duct and exhaust duct integrally provided in the case,
Heat pump air conditioner is provided with a heat exchanger provided with an air inlet, an air supply outlet, an exhaust inlet and an exhaust outlet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with each other, and a heat exchange element installed in a rhombus shape inside the enclosure. Heat recovery type ventilation device.
상기 케이스의 급기덕트 및 배기덕트에 각각 형성된 급기 흡입구 및 배기 배출구에 전열교환기의 급기 배출구 및 배기 흡입구가 각각 일체로 연결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냉난방기를 이용한 열회수형 환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heat recovery type ventilation apparatus using a heat pump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supply inlet and exhaust outlets formed in the air supply duct and the exhaust duct of the cas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tegrally.
상기 전열교환기 함체의 급기 흡입구와 전열교환소자의 일측부 사이 및 상기 케이스의 배기덕트 내 배기 흡입구와 배기팬 사이에 흡기되는 실외공기 또는 배기되는 실내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필터링해 주는 제 1 및 제 2 필터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냉난방기를 이용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A first filter for filtering variou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outdoor air or indoor air exhausted between the air supply inlet port of the heat exchanger enclosure and one side of the heat exchange element and between the exhaust inlet port of the case and the exhaust fan of the case; And a second filter further comprising a heat recovery type ventilation device using a heat pump air condition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5299A KR20130013576A (en) | 2011-07-28 | 2011-07-28 | Heat-recovery type ventilation system using heat-pump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5299A KR20130013576A (en) | 2011-07-28 | 2011-07-28 | Heat-recovery type ventilation system using heat-pump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3576A true KR20130013576A (en) | 2013-02-06 |
Family
ID=47894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75299A KR20130013576A (en) | 2011-07-28 | 2011-07-28 | Heat-recovery type ventilation system using heat-pump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13576A (en) |
Cited B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501374A (en) * | 2014-12-11 | 2015-04-08 | 南京膜材料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 Indoor air purificatio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20160143050A (en) * | 2015-06-04 | 2016-12-14 | 주식회사 나노렉스 | Apparatus for removing condensed water |
CN106885330A (en) * | 2017-03-13 | 2017-06-23 | 苏州惠林节能材料有限公司 | A kind of full-thermal type fresh air ventilator |
CZ307231B6 (en) * | 2017-02-14 | 2018-04-11 | Petr Morávek | A multi-zone air-conditioning unit |
CN107940621A (en) * | 2017-12-22 | 2018-04-20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Dehumidifier |
CZ307374B6 (en) * | 2014-09-15 | 2018-07-11 | Petr Morávek | An autonomous air conditioning unit |
CN110043966A (en) * | 2019-04-30 | 2019-07-23 | 中建环能建筑工程有限公司 | A kind of big temperature-difference fan coil |
CN110864394A (en) * | 2019-11-26 | 2020-03-06 | 广州市婵昕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 Energy-saving new fan with clean function of filter screen |
KR20200045164A (en) | 2018-10-22 | 2020-05-04 |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 Humidifier with cooling and heating function |
US10731877B2 (en) | 2014-06-09 | 2020-08-04 |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Desiccant cooling system |
CN111623463A (en) * | 2020-06-08 | 2020-09-04 | 刘长庚 | Heat exchanger energy recovery device |
CN111623462A (en) * | 2020-06-04 | 2020-09-04 | 蒋俊 | Odorless disinfection and ventilation device for hospital |
KR102160102B1 (en) * | 2019-12-19 | 2020-09-28 | (주)오션엔지니어링 | Ventilation System Using Heat Pump |
CN112283804A (en) * | 2020-10-22 | 2021-01-29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
CN113551343A (en) * | 2021-07-29 | 2021-10-26 | 江苏净松环境科技有限公司 | Fresh air system and control method |
KR20210147643A (en) | 2020-05-29 | 2021-12-07 | 주식회사 웰템 | Air conditioner of one assembled and the control method |
CN114341560A (en) * | 2019-09-17 | 2022-04-12 |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 Heat exchange type ventilator with dehumidification function |
KR20230082894A (en) * | 2021-12-02 | 2023-06-09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Air conditioning system |
CN117588804A (en) * | 2023-11-25 | 2024-02-23 | 浙江永德信科技有限公司 | Fresh air total-heat haze, humidity and humidification all-in-one machine |
CN118043602A (en) * | 2021-09-30 | 2024-05-14 | 大金工业株式会社 | Ventilation device and air conditioning system |
EP4242532A4 (en) * | 2020-12-07 | 2024-08-07 | Brother Ind Ltd | Air conditioner |
-
2011
- 2011-07-28 KR KR1020110075299A patent/KR20130013576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731877B2 (en) | 2014-06-09 | 2020-08-04 |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Desiccant cooling system |
CZ307374B6 (en) * | 2014-09-15 | 2018-07-11 | Petr Morávek | An autonomous air conditioning unit |
CN104501374A (en) * | 2014-12-11 | 2015-04-08 | 南京膜材料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 Indoor air purificatio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20160143050A (en) * | 2015-06-04 | 2016-12-14 | 주식회사 나노렉스 | Apparatus for removing condensed water |
CZ307231B6 (en) * | 2017-02-14 | 2018-04-11 | Petr Morávek | A multi-zone air-conditioning unit |
CN106885330A (en) * | 2017-03-13 | 2017-06-23 | 苏州惠林节能材料有限公司 | A kind of full-thermal type fresh air ventilator |
CN107940621A (en) * | 2017-12-22 | 2018-04-20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Dehumidifier |
CN107940621B (en) * | 2017-12-22 | 2024-04-26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Dehumidifier |
KR20200045164A (en) | 2018-10-22 | 2020-05-04 |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 Humidifier with cooling and heating function |
CN110043966A (en) * | 2019-04-30 | 2019-07-23 | 中建环能建筑工程有限公司 | A kind of big temperature-difference fan coil |
CN114341560B (en) * | 2019-09-17 | 2024-03-15 |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 Heat exchange type air interchanger with dehumidifying function |
CN114341560A (en) * | 2019-09-17 | 2022-04-12 |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 Heat exchange type ventilator with dehumidification function |
CN110864394A (en) * | 2019-11-26 | 2020-03-06 | 广州市婵昕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 Energy-saving new fan with clean function of filter screen |
KR102160102B1 (en) * | 2019-12-19 | 2020-09-28 | (주)오션엔지니어링 | Ventilation System Using Heat Pump |
KR20210147643A (en) | 2020-05-29 | 2021-12-07 | 주식회사 웰템 | Air conditioner of one assembled and the control method |
CN111623462A (en) * | 2020-06-04 | 2020-09-04 | 蒋俊 | Odorless disinfection and ventilation device for hospital |
CN111623463A (en) * | 2020-06-08 | 2020-09-04 | 刘长庚 | Heat exchanger energy recovery device |
CN112283804A (en) * | 2020-10-22 | 2021-01-29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
EP4242532A4 (en) * | 2020-12-07 | 2024-08-07 | Brother Ind Ltd | Air conditioner |
CN113551343A (en) * | 2021-07-29 | 2021-10-26 | 江苏净松环境科技有限公司 | Fresh air system and control method |
CN118043602A (en) * | 2021-09-30 | 2024-05-14 | 大金工业株式会社 | Ventilation device and air conditioning system |
KR20230082894A (en) * | 2021-12-02 | 2023-06-09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Air conditioning system |
CN117588804A (en) * | 2023-11-25 | 2024-02-23 | 浙江永德信科技有限公司 | Fresh air total-heat haze, humidity and humidification all-in-one machi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13576A (en) | Heat-recovery type ventilation system using heat-pump air conditioner | |
KR101749194B1 (en) | Air-conditioner capable of heating and humidity control and the method thereof | |
KR101083866B1 (en) | A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 with integrated cooling and heating funtion | |
JP2007315710A (en) | Air conditioner and building | |
KR100991809B1 (en) | Ventilating system having heat pump | |
KR101957240B1 (en) | Air conditioner | |
KR20110105037A (en) | A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 with integrated cooling and heating funtion | |
JP4645529B2 (en) | Air conditioner and building | |
CN203964187U (en) | The multi-connected air conditioner device of cooling and warming simultaneously | |
CN108885023B (en) |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2010139213A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KR20130013585A (en) | Heat-pump air conditioner with heat-recovery type ventilation function | |
JP4997830B2 (en) | Air conditioner and building | |
JP3008941B1 (en) | Humidity control ventilator | |
JPH11153332A (en) | Multifunctional air conditioning system | |
CN108613255B (en) | Indoor air conditioning system | |
JP3023361B1 (en) | Heat exchange type ventilation system | |
JP4816252B2 (en) | Air conditioner and building | |
JP4816253B2 (en) | Air conditioner and building | |
KR20220125597A (en) | Air conditioner | |
CN203964181U (en) | The multi-connected air conditioner device of cooling and warming simultaneously | |
CN204100403U (en) | The permanent clean Split wall-mounted indoor set of the permanent oxygen of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 |
KR20030030472A (en) | ventilating device | |
KR20070054227A (en) | Ventilating device and building | |
KR102477472B1 (en) | Multipurpose Heat Exchanger for Airconditioning and Dehumidific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