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646A - 이동형 항공 등화 - Google Patents

이동형 항공 등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2646A
KR20130012646A KR1020110073905A KR20110073905A KR20130012646A KR 20130012646 A KR20130012646 A KR 20130012646A KR 1020110073905 A KR1020110073905 A KR 1020110073905A KR 20110073905 A KR20110073905 A KR 20110073905A KR 20130012646 A KR20130012646 A KR 20130012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ase
emitting diode
light emitting
diod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9033B1 (ko
Inventor
이성진
정춘교
Original Assignee
유양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양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양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3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9033B1/ko
Publication of KR20130012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18Visual or acoustic landing aids
    • B64F1/20Arrangement of optical beac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6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aircraft runway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각통형으로 형성되는 기둥부를 구비하는 방열부; 두 개의 서로 다른 광파장을 발생하도록 복수 개로 구성되어 각통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기둥부의 복수 개의 측면에 각각에 결합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 상기 두 개의 광파장을 서로 구분하도록 상기 방열부에 설치되는 차광판; 상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이 노출되는 램프홀이 형성되며, 상기 방열부가 결합되는 케이스; 및, 광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덮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돔렌즈;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이동형 항공 등화에 있어서,
케이스의 내측에 금속재료의 접지면을 형성하여 안테나로부터 발산하는 파장이 길이를 길게 하여 주파수 수신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삽입하여 야간 비행시에도 항공기의 운행자나 공항 관계자들이 고글을 통해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군사목적으로 이용가능한 효과가 있는 이동형 항공 등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형 항공 등화{MOVEMENT TYPE AIRFIELD LIGHT}
본 발명은 이동형 항공 등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항 내의 항공등화 고장 시나 휴대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이동형 항공 등화에 삽입된 안테나의 일측에 가상 접지를 형성하여 안테나의 이득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형 항공 등화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세계적으로 공항 활주로에는 울긋불긋한 항공등화가 경쟁적으로 화려함을 더해가고 있지만 개발 초기에는 기껏해야 활주로의 이륙지점 및 착륙지점 표시라든지 또는 위험구역 등을 표시하는 단순한 기능에 불과했다. 항공등화는 빛, 색채 및 배열로 구성되어 주위 밝기, 시정 및, 운고 등에 따라 적정한 광도조절을 하여 조종사에게 이륙 및 착륙에 필요한 모든 시각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최종 착륙단계에서는 조종사의 시각에 의해 인위적으로 착륙조작을 하여야 하므로 안전한 이륙 및 착륙의 상태를 결정하는 요소로서 필수불가결한 시설이다.
이런 점에서 오늘날 공항의 항공등화 시설은 일반 조명과는 달리 특수한 형태와 목적에 따라 고도의 기술집약적 최첨단 장비 및 성능이 발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항공등화시설 운영의 적합성은 항공기 안전 운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국내 법규와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및 미연방항공청(FAA)등에서는 설치 및 운영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국내 공항에서도 국제규정에 맞추어 설치 및 운영이 되고 있다.
이러한 공항 내에 설치되는 등은 소손되는 경우 즉각적으로 등을 교체하여야 하나,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동형 항공 등화를 임시적으로 배치하여 임시 방편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상기 이동형 항공 등화는 내부에 전지가 설치되어 있어 휴대와 이동이 간편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이동형 항공 등화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 있는데, 하나의 파장만을 발생하는 단색 파장의 항공 등화 및 두 가지 색을 동시에 발생하는 항공 등화가 있다.
그 중에서도 활주로 주변에 60미터마다 설치하는 이동형 활주로등은 백색광과 황색광을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이동형 항공 등화는 하나의 램프에서 백색광과 황색광을 동시에 발생하게 되는 경우, 백색광과 황색광의 파장이 서로 간에 겹쳐 다른 파장을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항공기의 운행자나 공항 관계자들은 이동형 항공 등화에서 발생하는 색을 오인하여 항공기 운항에 어려움이 있으며, 등의 식별력이 떨어져 대형 사고로 이어지는 상황을 유발할 수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59320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동형 항공 등화의 내측에 삽입되는 안테나의 일측에 금속재질로 형성된 가상 접지면을 형성하여 파장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원적외선 램프를 적용하여 군사목적으로 이용가능하여 야간비행시에 고글을 통해 빛을 확인하여 비행기를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형 항공 등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형 항공 등화는 각통형으로 형성되는 기둥부를 구비하는 방열부; 두 개의 서로 다른 광파장을 발생하도록 복수 개로 구성되어 각통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기둥부의 복수 개의 측면에 각각에 결합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 상기 두 개의 광파장을 서로 구분하도록 상기 방열부에 설치되는 차광판; 상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이 노출되는 램프홀이 형성되며, 상기 방열부가 결합되는 케이스; 및, 광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덮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돔렌즈;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이동형 항공 등화에 있어서, 케이스의 내측에 접지면을 형성하여 안테나로부터 발산하는 파장이 길이를 길게 하여 주파수 수신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는 케이스 덮개와 하부 케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 덮개의 배면에는 접지면이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 덮개의 일측에 위치하는 안테나의 전파를 반사시켜 안테나의 이득(gain)이 좋아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테나는 코일이 가지는 인덕턴스 성분을 이용하여 물리적 길이를 25% 정도까지 축소할 수 있는 헬리컬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에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삽입하여 야간 비행시에도 항공기의 운행자나 공항 관계자들이 고글을 통해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군사목적으로 이용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케이스의 내측에 금속재료의 접지면을 형성하여 안테나로부터 발산하는 파장이 길이를 길게 하여 주파수 수신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삽입하여 야간 비행시에도 항공기의 운행자나 공항 관계자들이 고글을 통해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군사목적으로 이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항공 등화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항공 등화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스의 덮개에 대한 배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방열부, 발광 다이오드 모듈 및, 차광판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항공 등화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의 구조, 결합관계, 상기 구조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항공 등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항공 등화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스의 덮개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방열부, 발광 다이오드 모듈 및, 차광판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항공 등은 방열부(110),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 차광판(130), 케이스(140) 및, 돔렌즈(15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방열부(110)는 기둥부(111), 안착부(112) 및, 날개부(113)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기둥부(111)는 각통형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측면에 상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이 각각 결합된다. 이 경우, 기둥부(111)는 측면들이 상부 중심부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그로 인해, 기둥부(111)의 네 측면에 각각 안착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도 기둥부(111)의 기울어짐에 따라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에서 발생되는 광은 경사진 상태로 광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에서 발생되는 각기 다른 파장을 이루는 두 개의 광은 파장이 서로 겹치는 부분이 적어지게 되므로서, 시각적으로 각기 다른 파장을 더욱 잘 보이게 할 수 있다. 또한, 기둥부(111)는 상부면에 상부 차광부(132)와 볼트 결합하기 위한 나사홀(111a)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112)는 기둥부(111)의 일 단부가 중앙 부근에 결합되며, 케이스(140)와 볼트 결합되도록 볼트홀(112a)이 기둥부(111)의 주변에 형성되고, 상부면이 램프홀(141a)이 형성된 케이스 덮개(141)의 하부에 밀착된다. 이러한 안착부(112)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에서 발생하는 열이 보다 잘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발열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안착부(112)는 기둥부(111)의 하부 면적보다 5배 내지 15배 사이의 면적으로 형성되어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에서 발생하는 열을 자기 자신 또는 날개부(113)로 방열시킬 수 있다. 또한, 안착부(112)는 케이스(140)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날개부(113)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서로 간에 이격되며, 안착부(112)의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날개부(113)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에서 발생되어 기둥부(111)와 안착부(112)로 전도된 열을 방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은 인쇄 회로 기판(120b)에 발광 다이오드(120a)가 실장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은 두 개의 서로 다른 광파장을 발생하도록 복수 개로 구성되어 방열부(110)에 결합된다. 이 경우,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과 방열부(110)의 결합은 본딩 결합 또는 나사와 같은 체결부속에 의한 체결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은 기둥부(111)의 네 측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4개로 구성된다. 이 경우,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은 기둥부(111)의 측면에 형성된 네 모서리 가운데 마주보는 두 개의 모서리가 이어진 일직 선상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에 제 1 발광 다이오드 모듈(121)과 제 2 발광 다이오드 모듈(122)이 설치되고, 우측에 제 3 발광 다이오드 모듈(123)과 제 4 발광 다이오드 모듈(124)이 설치된다. 여기서, 제 1 발광 다이오드 모듈(121)과 제 2 발광 다이오드 모듈(122)은 백색의 광을 발생하고, 제 3 발광 다이오드 모듈(123)과 제 4 발광 다이오드 모듈(124)은 황색의 광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기둥부(111)의 측면에 형성된 네 모서리 가운데 마주보는 두 개의 모서리가 이어진 일직선은 백색의 광파장과 황색의 광파장이 겹치는 선상이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은 백색의 광과 황색의 광을 발생시킴으로써, 운행자나 공항 관계자에게 두 색의 광이 의미하는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에는 백색과 황색의 광파장을 발생하는 발광다이오드 대신에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삽입하여 야간 비행시에도 항공기의 운행자나 공항 관계자들이 고글을 통해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군사목적으로 이용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차광판(130)은 측부 차광부(131) 및, 상부 차광부(13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측부 차광부(131)는 두 개의 광파장인 백색광의 파장과 황색광의 파장이 겹치는 중앙 선상(C1)의 평면을 가로질러 형성된다. 제 1 발광 다이오드 모듈(121)과 제 2 발광 다이오드 모듈(122)은 여기서, 백색 광파장과 황색 광파장이 겹치는 중앙 선상(C1)의 평면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고, 제 3 발광 다이오드 모듈(123)과 제 4 발광 다이오드 모듈(124)은 우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측부 차광부(131)는 중앙 선상(C1)의 평면을 가로질러 형성됨으로써, 중앙 선상(C1)과 수직한 180도 범위를 가로 막게되므로 백색광과 황색광이 서로 간에 겹치지 않도록 하는 구간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측부 차광부(131)는 두 개로 형성되어 중앙 선상(C1)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측부 차광부(131)는 넓적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부 차광부(131)의 넓은 두 면 가운데 하나의 일 면에 돌출부(131a)가 형성된다. 여기서, 돌출부(131a)는 측부 차광부(131)의 길이 방향으로 측부 차광부(131)의 중앙 부분이 일정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131a)는 기둥부(111)의 모서리와 맞닿아 기둥부(111)와의 결합위치를 맞추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경우, 돌출부(131a)는 중앙 선상(C1)을 기준으로 하여 양 측각의 각도가 각각 75도로 형성된다. 즉, 돌출부(131a)는 중앙 선상(C1)을 기준으로 하여 양 각의 합인 내각(131b)이 대략 150도로 형성되고, 돌출부(131a)는 중앙 선상(C1)에 위치한 기둥부(111)의 모서리부와 맞닿게 된다.
여기서, 돌출부(131a)는 중앙 선상(C1)을 기준으로 하여 양각이 75도를 형성함으로써, 중앙 선상(C1) 방향으로 입사된 황색광과 백색광을 반사시키게 된다. 따라서, 중앙 선상(C1) 부근에는 황색광과 백색광이 더욱 겹치지 않는 구간을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돌출부(131a)의 내각(131b)을 150도로 예시하였으나, 돌출부(131a)의 내각(131b)은 120도 내지 170도 사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돌출부(131a)의 내각(131b)은 120도 이상으로 형성되어 백색광과 황색광이 서로 간에 겹치지 않는 구간을 넓게 형성하게 된다. 또한, 돌출부(131a)의 내각(131b)은 170도 이하로 형성되어 돌출부(131a)를 형성하는 측부 차광부(131)의 양 면에 의해 반사된 황색광과 백색광이 중앙 선상(C1) 부근에 집광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상부 차광부(132)는 측부 차광부(131)와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의 상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차광부(132)는 백생광과 황색광이 상부로 세어나가지 않도록 가로막아 백색광과 황색광의 파장이 서로 간에 겹치지 않게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부 차광부(132)는 기둥부와 나사 결합을 하기 위한 홀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부 차광부(132)에는 두 개의 측부 차광부(131)를 있는 중앙 선상(c1)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에 백색광의 컬러를 표시하는 백색의 도색을 하거나 또는 백색광을 표시하는 이니셜인 "W"의 문자를 형성할 수 있으며, 우측에는 황색광의 컬러를 표시하는 황색의 도색을 하거나 또는 황색광을 표시하는 이니셜인 "Y"의 문자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는 등의 교체시에 상부 차광부(132)에 형성되는 색이나 이니셜을 참고하여 발광 다이오드를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40)는 램프홀(141a)이 형성되는 케이스 덮개(141)와, 케이스 덮개(141)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14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케이스 덮개(141)와 하부 케이스(142)는 내부에 실장 공간이 형성되며, 케이스 덮개(141)와 하부 케이스(142)는 고리형 잠금쇠와 같은 체결부속에 의해 서로 간에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케이스(140)는 내측에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을 발광시키기 위한 전기장치인 구동시스템(미도시)과 전지(미도시) 및, 전력제어를 위한 유무선 제어 장치(미도시)등이 내장된다. 또한, 케이스(140)의 케이스 덮개(141)에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이 노출되는 램프홀(141a)이 형성되며, 방열부(110)가 결합된다. 여기서, 케이스(140)는 내측에 방열부(110)의 안착부(112) 및 날개부(113)가 수용된 상태에서 램프홀(141a)에 방열부(110)의 기둥부(111)가 노출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 경우, 케이스(140)는 볼트(미도시)가 결합할 수 있는 볼트홀(미도시)이 형성되며, 볼트가 방열부(110)의 안착부(112)를 통과한 상태에서 볼트홀과 나사결합함으로써, 방열부(110)을 케이스(140)와 일체형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덮개(141)의 배면에는 접지면(141b)이 삽입된다. 상기 접지면(141b)은 상기 케이스 덮개(141)의 일측에 위치하는 안테나(미도시)의 전파를 반사시키기 위한 것으로 안테나의 이득(gain)이 좋아지게 한다. 또한 상기 접지면(141b)는 금속재료로 형성해도 되고, 수지재료나 세라믹등으로 형성하여 표면만을 금속으로 증착한 것으로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소형의 안테나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헬리컬 안테나를 사용한다.
상기 헬리컬 안테나는 코일이 가지는 인덕턴스 성분을 이용하여 물리적 길이를 20~35% 정도까지 축소할 수 있는 안테나로서, 평면상에 지그재그 형태로 변형하거나, 다이폴과 조합하여 사용하거나 다중 대역으로 설계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케이스(140)의 내부에는 전지가 실장되며, 전지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지는 외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충전 장치에 의해 충전된다. 여기서, 전지는 태양광을 이용한 솔라셀 충전 장치로 충전될 수 있으며, 유선으로 연결되어 충전될 수도 있다.
상기 돔렌즈(150)는 하부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돔렌즈(150)는 광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한 유리 재질 또는 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을 덮도록 일 단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케이스(140)에 결합된다. 이러한 돔렌즈(150)는 하부에 외곽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는 확장부를 형성하고, 확장부에는 나사홀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홀을 통해 볼트를 삽입하여 케이스 덮개(141)와 나사 결합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돔렌즈(150)의 외곽 원주면에는 상부 주름부(151), 볼록부(152) 및, 하부 주름부(153)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주름부(151)는 돔렌즈(150)의 외곽 원주면에 2열의 원형띠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주름부(151)는 돔렌즈(150)를 수직하게 절개하여 보았을 때, 단면 형상이 삼각형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삼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 주름부(151)는 일 모서리부가 돔렌즈(150)의 외곽 원주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볼록부(152)는 돔렌즈(150)의 외곽 원주면에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 경우, 볼록부(152)는 상부 주름부(151)의 하부에 이어져 형성된다.
상기 하부 주름부(153)는 돔렌즈(150)의 외곽 원주면에 2열의 원형띠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 주름부(153)는 볼록부(152)의 하부와 이어져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주름부(151)는 돔렌즈(150)를 수직하게 절개하여 보았을 때, 단면 형상이 삼각형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삼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 주름부(151)는 일 모서리부가 돔렌즈(150)의 외곽 원주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발광 다이오드 모듈이 발생하는 광은 중앙으로 기준으로 120도 정도 되는데, 상부 주름부(151)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에서 발생되는 광을 하부로 굴절시키고, 하부 주름부(153)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에서 발생되는 광을 상부로 굴절시키게 된다. 또한, 볼록부(152)는 볼록면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이 발생하는 120각도의 광을 40 내지 60도 범위로 집광시키게 된다.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에서 발생되는 광은 상부 주름부(151)와 하부 주름부(153) 및 볼록부(152)에 의해 돔렌즈(150)의 외주 방향으로만 투광되어 발생하게 되므로, 이동형 항공 등화는 광 분포도가 향상되어 실제 설치된 항공 등화의 국제 규격에 맞게 배치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방열부 111 ; 기둥부
112 ; 안착부 113 ; 날개부
120 ; 발광 다이오드 모듈
121 ; 제 1 발광 다이오드 모듈
122 ; 제 2 발광 다이오드 모듈
123 ; 제 3 발광 다이오드 모듈
124 ; 제 4 발광 다이오드 모듈
130 ; 차광판 130 ; 차광판
131 ; 측부 차광부 132 ; 상부 차광부
140 ; 케이스 150 ; 돔렌즈

Claims (4)

  1. 각통형으로 형성되는 기둥부를 구비하는 방열부; 두 개의 서로 다른 광파장을 발생하도록 복수 개로 구성되어 각통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기둥부의 복수 개의 측면에 각각에 결합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 상기 두 개의 광파장을 서로 구분하도록 상기 방열부에 설치되는 차광판; 상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이 노출되는 램프홀이 형성되며, 상기 방열부가 결합되는 케이스; 및, 광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덮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돔렌즈;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이동형 항공 등화에 있어서,
    케이스의 내측에 접지면을 형성하여 안테나로부터 발산하는 파장이 길이를 길게 하여 주파수 수신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항공 등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케이스 덮개와 하부 케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 덮개의 배면에는 접지면이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 덮개의 일측에 위치하는 안테나의 전파를 반사시켜 안테나의 이득(gain)이 좋아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항공 등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코일이 가지는 인덕턴스 성분을 이용하여 물리적 길이를 20~35% 까지 축소할 수 있는 헬리컬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항공 등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에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삽입하여 야간 비행시에도 항공기의 운행자나 공항 관계자들이 고글을 통해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군사목적으로 이용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항공 등화
KR1020110073905A 2011-07-26 2011-07-26 이동형 항공 등화 KR101269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905A KR101269033B1 (ko) 2011-07-26 2011-07-26 이동형 항공 등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905A KR101269033B1 (ko) 2011-07-26 2011-07-26 이동형 항공 등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646A true KR20130012646A (ko) 2013-02-05
KR101269033B1 KR101269033B1 (ko) 2013-06-13

Family

ID=47893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905A KR101269033B1 (ko) 2011-07-26 2011-07-26 이동형 항공 등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0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431B1 (ko) 2021-03-25 2021-12-10 장민영 조류 충돌 방지장치를 구비한 항공등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5690B1 (en) 2020-10-19 2022-05-10 Rockwell Collins, Inc. Integrated aircraft antenna and light assemblies
KR102570559B1 (ko) 2021-10-29 2023-08-29 유양산전(주) 열분산용 구동부 하우징을 구비한 led 항공등화
US11898717B2 (en) 2022-01-05 2024-02-1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Light assembly that emits a narrow, unattenuated light beam and attenuated light over broad angl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0156A (en) * 1994-09-27 1996-12-03 Koito Manufacturing Co., Ltd. Marker apparatus
JP2004124442A (ja) 2002-09-30 2004-04-22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航空標識灯
KR100581392B1 (ko) 2004-04-30 2006-05-23 에이피엘시스템(주) 중광도용 항공장애등
KR100959320B1 (ko) 2009-10-27 2010-05-20 유양산전 주식회사 이동형 항공 등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431B1 (ko) 2021-03-25 2021-12-10 장민영 조류 충돌 방지장치를 구비한 항공등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9033B1 (ko)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4212B2 (en) Anti-collision light for aircraft
AU2011247664B2 (en) Elevated airfield LED lighting device
US11465773B2 (en) Aircraft beacon light unit and set of aircraft beacon light units
KR101269033B1 (ko) 이동형 항공 등화
US20120218742A1 (en) Lighting unit for lighting airfields
EP3072813B1 (en) Helicopter light system with layer material arranged on a rotor blade tip of the helicopter and helicopter comprising the same
US10899470B2 (en) Multifunctional aircraft landing light with static function switching
EP2985228B1 (en) Exterior aircraft light unit and aircraft comprising the same
CN209445155U (zh) 基于tir透镜实现的led照明单元及光学系统
US11072437B2 (en) Aircraft beacon light and aircraft comprising the same
KR100959320B1 (ko) 이동형 항공 등화
US10024509B2 (en) Exterior signaling and/or illuminating light and corresponding signaling and/or illuminating system
EP3356232B1 (en) Precision approach path indicator with a novel reflector arrangement
US11447268B2 (en) Airfield taxiway lights
KR20160009141A (ko) Led 정밀진입경로지시등
EP3299298B1 (en) Dual mode aircraft light assembly
KR20170012527A (ko) 공항 활주로 유도등
KR101262662B1 (ko) 반달형 포물경 리플렉터를 이용한 led 매립형 항공등화
KR20140138573A (ko) 공항 활주로 유도등
RU2153443C2 (ru) Система для посадки воздушных судов в условиях слабой освещенност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20140138572A (ko) 공항 활주로 유도등
Bloudicek et al. Led light sources in the approach slope indicators and their visibility in inhomogeneous atmosphere
Lužica et al. The APAPI optical system assembly with LED light sources and its visibility in inhomogeneous atmosphere
KR20170010889A (ko) 공항 활주로의 이착륙 유도등
Shen et al. Design of precision approach path indicator with LEDs as its light sour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