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250A - 애니메이션 실행이 지원되는 만화 스토리 형식의 모바일 채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애니메이션 실행이 지원되는 만화 스토리 형식의 모바일 채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2250A
KR20130012250A KR1020120017142A KR20120017142A KR20130012250A KR 20130012250 A KR20130012250 A KR 20130012250A KR 1020120017142 A KR1020120017142 A KR 1020120017142A KR 20120017142 A KR20120017142 A KR 20120017142A KR 20130012250 A KR20130012250 A KR 20130012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animation
user
cha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7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Publication of KR20130012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2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2Feature extraction for speech recognition; Selection of recognition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니메이션 실행이 지원되는 만화 스토리 형식의 모바일 채팅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서, 모바일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사용자의 회원 가입 및 회원 정보를 입력받으며,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사용자를 만화 캐릭터로 표시하고 메시지를 상기 만화 캐릭터에 말풍선 형태로 표시하여, 사용자 간 채팅의 전개를 만화 스토리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단말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송수신하여, 상호 채팅하고자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중계하는 채팅 서버;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만화 스토리 형식으로 전개된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 간 채팅을 수신하여 만화 이미지로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및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단말기 사용자의 회원 가입 및 회원 정보를 수신하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가 전송하는 메시지의 데이터 전송량을 계산하여 데이터 전송량에 비례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 ID에 경험치를 부여하는 관리자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의사 및 감정의 전달이 보다 명확하게 되는 모바일 채팅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애니메이션 실행이 지원되는 만화 스토리 형식의 모바일 채팅 시스템{MOBILE CHATTING SYSTEM OF CARTOON STORY TYPE WHICH SUPPORTS ANIMATION}
본 발명은 애니메이션 실행이 지원되는 만화 스토리 형식의 모바일 채팅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만화 스토리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채팅 화면에서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화면의 터치하기, 스피커에 바람 불기 또는 모바일 단말기 흔들기 등의 명령에 입력되면 모바일 채팅 화면에서 소정의 애니메이션일 실행되는 채팅 시스템에 관한 기술 분야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무료 문자 서비스에 대한 경쟁도 더욱 치열해 졌다. 무료 문자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의 대표적인 것이 '카카오톡'인데, 카카오톡의 국내 가입자는 현재 3200명을 넘어섰으며, 국외 가입자는 600만명을 넘어섰고, 카카오톡을 통해서만 하루 10억 건의 문자가 오간다고 한다(2011년말 기준 (주)카카오 발표). 이에 마이피플((주)다음커뮤니케이션), 라인((주)NHN), 틱톡((주)매드스마트) 등이 후발 주자로서 카카오톡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통해 무료 문자 서비스에 뛰어 들고 있다.
먼저 (주)다음커뮤니케이션의 '마이피플'은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PC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기존 카카오톡 등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은 메시지를 주고 받을 때 스마트폰을 통해서만 가능했지 PC를 통해서는 사용할 수 없었다. 또한 마이피플은 무료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주)NHN의 '라인'은 스마트폰을 흔들어서 친구를 추가하는 기능, 음성 통화 기능, 날씨 정보 제공, 일본어 통역 기능, 영상 통화 기능(예정), PC 및 테블릿 PC에서 사용가능한 기능을 추가하고 있다.
(주)매드스마트의 '틱톡'은 빠른 메시지 전송을 가능하게 하며, 소셜 기능(이른바 '구름')을 추가하여 관심을 공유한 사람들끼리 서로를 소개하고 이야기와 정보를 나눌 수 있는 일종의 SNS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기존의 무료 문자 서비스 애플리케이션들은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들끼리 단순히 문자만을 주고 받는 무미 건조한 문자 서비스를 제공하여 채팅을 이용하는 단말기 사용자들의 흥미를 돋우는데 일정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최근의 문자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다양한 표정을 표현할 수 있는 이모티콘, 스티커 기능을 추가하고 있지만, 이 역시 단말기 사용자들의 대화는 문자 텍스트 중심으로 대화로서, 단말기 사용자들의 대화를 재미있는 스토리로 구성하기에는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들은 이들 무료 문자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단순히 다수 간에 대화의 채널로만 이용할 뿐, 해당 모바일 채팅 시스템을 이용하도록 독려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가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애니메이션 실행이 지원되는 만화 스토리 형식의 모바일 채팅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
첫째, 단순 대화 형식에서 벗어나, 채팅의 전개가 스토리를 가지도록 하는 채팅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기존의 채팅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단순한 명령어 입력 방식의 이모티콘, 스티커 또는 플래시콘 기능에서 벗어나, 채팅 사용자의 다양한 감정을 반영할 수 있는 채팅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애니메이션에 재생되는 음성을 사용자의 음색으로 재생하여 채팅 사용자의 의사 및 감정이 생동감 있게 전달될 수 있는 채팅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넷째, 채팅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의 성격에 따라 채팅 사용자의 캐릭터의 표정이 변하는 채팅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애니메이션 실행이 지원되는 만화 스토리 형식의 모바일 채팅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애니메이션 실행이 지원되는 만화 스토리 형식의 모바일 채팅 시스템은 모바일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사용자의 회원 가입 및 회원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사용자를 만화 캐릭터로 표시하고 상기 메시지를 상기 만화 캐릭터에 말풍선 형태로 표시하여, 사용자 간 채팅의 전개를 만화 스토리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단말기;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메시지 송수신하여, 상호 채팅하고자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중계하는 채팅 서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만화 스토리 형식으로 전개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 간 채팅을 수신하여 만화 이미지로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회원 가입 및 회원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가 전송하는 메시지의 데이터 전송량을 계산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량에 비례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 ID에 경험치를 부여하는 관리자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니메이션 실행이 지원되는 만화 스토리 형식의 모바일 채팅 시스템의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는 메시지 작성부; 상기 메시지 작성부로부터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메시지를 상기 채팅 서버를 통하여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고, 채팅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메시지를 상기 채팅 서버를 통해 수신받는 메시지 송수신부; 상기 메시지 작성부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캐릭터에 말풍선 형태로 표시하고,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가 상기 채팅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상기 채팅 상대방 캐릭터의 말풍선 형태로 표시하여, 사용자 간 채팅의 전개를 만화 스토리 형식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이미지 형성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애니메이션 실행을 위한 소정의 명령을 수신하는 명령 수신부; 상기 소정의 명령에 매칭되는 소정의 애니메이션을 저장하는 애니메이션 저장부; 및 상기 명령 수신부가 상기 소정의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애니메이션 저장부로부터 상기 소정의 명령에 매칭되는 소정의 애니메이션을 수신하여 실행하는 애니메이션 실행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는, 상기 명령 수신부로부터 상기 소정의 명령을 수신하여, 이를 상기 채팅 서버를 통하여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소정의 명령에 매칭되는 소정의 애니메이션이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의 애니메이션 실행부를 통해서 실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니메이션 실행이 지원되는 만화 스토리 형식의 모바일 채팅 시스템의 상기 이미지 형성부는, 상기 메시지 작성부에 입력되는 문자를 인식하여, 상기 입력되는 문자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캐릭터 표정을 자동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니메이션 실행이 지원되는 만화 스토리 형식의 모바일 채팅 시스템의 상기 소정의 명령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 신호,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신호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 인식 시스템을 통해 입력되는 동작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니메이션 실행이 지원되는 만화 스토리 형식의 모바일 채팅 시스템의 상기 소정의 애니메이션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플래시 재생,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소리의 출력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모터를 구동함에 따른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진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니메이션 실행이 지원되는 만화 스토리 형식의 모바일 채팅 시스템의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 상기 음성 인식부가 인식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 음성의 음색을 분석하는 보이스 분석부; 상기 애니메이션 저장부로부터 상기 소정의 애니메이션을 수신하여, 상기 소정의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음성 신호를 상기 보이스 분석부로부터 분석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 음색으로 변화시키는 음색 변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애니메이션 실행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음색으로 변화된 애니메이션을 실행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 음색으로 변화된 애니메이션을 상기 채팅 서버를 통하여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에서도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 음색으로 변화된 애니메이션이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의 애니메이션 실행부를 통해서 실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애니메이션 실행이 지원되는 만화 스토리 형식의 모바일 채팅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만화 스토리 형식의 채팅의 전개로 인하여, 채팅의 전개가 만화 스토리를 가지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다양한 명령어 입력 방식을 이용하며 다양한 방식의 애니메이션이 모바일 단말기를 통하여 재생되는바,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의사 및 감정의 전달이 효과적으로 전달 되는 모바일 채팅 시스템을 제공한다.
셋째, 모바일 사용자의 음색을 애니메이션에서 재생되는 소리(음성)을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음색으로 변환하여 재생하는바 채팅 사용자는 상대방과 직접 대화하는 듯한 느낌을 가지도록 하는 모바일 채팅 시스템을 제공한다.
넷째, 채팅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의 성격에 따라 채팅 사용자의 캐릭터의 표정이 변하는바 채팅 사용자의 의사 전달이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채팅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실행이 지원되는 만화 스토리 형식의 모바일 채팅 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내부의 구성요소의 일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 및 처리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 간 채팅의 전개를 만화 스토리 형식으로 모바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을 캡쳐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애니메이션을 저장하고 실행하는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흔들어서 애니메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도시한 구상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 바람을 불어서 애니메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도시한 구상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을 문질러서 애니메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도시한 구상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애니메이션 실행이 지원되는 만화 스토리 형식의 모바일 채팅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실행이 지원되는 만화 스토리 형식의 모바일 채팅 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내부의 구성요소의 일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 및 처리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 간 채팅의 전개를 만화 스토리 형식으로 모바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을 캡쳐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애니메이션을 저장하고 실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흔들어서 애니메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도시한 구상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 바람을 불어서 애니메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도시한 구상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을 문질러서 애니메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도시한 구상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애니메이션 실행이 지원되는 만화 스토리 형식의 모바일 채팅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1); 채팅 서버(101); 데이터 베이스(103); 및 관리자 서버(102)를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기(1)는 휴대가 가능하고 3G, Wi-Fi, 4G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구동시킬 수 있는 일반적인 스마트폰(예를 들어, 아이폰(애플사 제조), 갤럭시S2, 갤럭시 노트(삼성 전자 제조) 등을 말한다), 테블릿 PC(예를 들어, 아이패드2(애플사 제조), 갤럭시 탭(삼성전자 제조) 등을 말한다) 등을 말한다. 다만, 상술한 통신 방식에 반드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상술한 통신 방식 외의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제품명 외에도 휴대가 가능하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며,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킬 수 있으면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모바일 단말기(1)의 범주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모바일 단말기(1)는 동작 인식 센서 즉,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등 각종 센서와 고도계, 자이로 등의 기능을 포함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모바일 단말기(1)를 흔들고 기울이는 것 등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단말기(1)에 유료 또는 무료로 설치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말한다. 이들 응용 프로그램은 애플사의 아이폰의 경우는 앱스토어(애플사 운영), 모바일 운영 체제가 안드로이드(구글) 플랫폼 기반의 경우는 안드로이드 마켓 등에서 구할 수 있으며 그외 다양한 소스를 통해 구입이 가능하며, 모바일 단말기(1)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애플리케이셔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애플사의 iOS, 구글의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만 구동되어야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개발될 다양한 플랫폼에서 구동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이기만 하면 된다.
모바일 단말기(1)는 모바일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모바일 단말기(1)를 통하여 사용자의 회원 가입 및 사용자의 회원 정보를 입력받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1)를 통하여 모바일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채팅을 하고자 하는 자를 말한다.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1)를 통하여 채팅을 하고자 하는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1) 사용자와 메시지를 주고 받게 되며, 이 경우 사용자는 만화 캐릭터로 표시되며,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로 입력한 메시지 또는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1)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는 사용자의 만화 캐릭터로 표현한 것에 말풍선 형태로 표시하게 된다.
채팅 서버(101)는 모바일 단말기(1)로부터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상호 채팅하고자 하는 모바일 단말기(1)를 중계하게 된다. 채팅 서버(101)는 무선 데이터 통신으로 모바일 단말기(1)와 메시지를 주고 받게 되는데 데이터 통신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이 3G, Wi-Fi, 4G 또는 기타 현존 또는 향후 개발될 모든 데이터 통신 방식을 다 포함하는 개념이다.
데이터 베이스(103)는 모바일 단말기(1)로부터 만화 스토리 형식으로 전개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1)의 사용자 간 채팅을 수신하여 만화 이미지로 저장하는 구성요소이다. 만화 스토리 형식으로 전개된 모바일 단말기(1)의 사용자 간 채팅은 채팅 서버(101)로 전송되며, 이는 다시 데이터 베이스(103)로 전송된다. 이 경우, 데이터 베이스(103)에 저장되는 만화 이미지는 업로드한 모바일 단말기(1) 사용자 ID 정보와 함께 저장된다. 다만, 데이터 베이스(103)에 업로드 된 만화 이미지를 열람할 수 있는 다수의 모바일 단말기(1) 사용자는 상기 업로드한 만화 이미지의 구체적인 신상 정보는 개인 정보 보호 차원에서 알 수는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만화 이미지를 업로드 한 모바일 단말기(1) 사용자의 ID 및 이름 정도만 알 수 있다.
관리자 서버(102)는 모바일 단말기(1)로부터 모바일 단말기(1) 사용자의 회원 가입 신청을 받으며, 모바일 단말기(1) 사용자의 회원 정보를 수신한다. 모바일 단말기(1) 사용자는 메시지를 입력하여 이를 채팅 서버(101)를 통하여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1)로 전송하게 되는데, 관리자 서버(102)는 모바일 단말기(1)의 사용자가 전송하는 메시지의 데이터 전송량을 계산하며, 이에 비례하여 메시지를 전송한 모바일 단말기(1)의 사용자 ID에 경험치를 부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니메이션 실행이 지원되는 만화 스토리 형식의 모바일 채팅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기(1)는 메시지 작성부(13); 메시지 송수신부(12); 이미지 형성부(15); 명령 수신부(30); 애니메이션 저장부(31); 애니메이션 실행부(32)를 포함한다.
메시지 작성부(13)는 모바일 단말기(1)의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는다. 모바일 단말기(1)가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는 수단으로는 쿼티 자판, 천지인 자판 등의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터치 스크린, 음성 인식을 통한 문자 텍스트 변환, 감압식 방식의 자판 입력을 통해 입력할 수도 있으며, 메시지 입력 방식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제한해서는 안될 것이다.
메시지 송수신부(12)는 메시지 작성부(13)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채팅 서버(101)로 송신하고, 반대로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1)로부터 송신된 메시지를 채팅 서버(101)로부터 수신하는 기능도 있다. 메시지 송수신은 상술한 데이터 통신 방식을 따르게 된다.
이미지 형성부(15)는 메시지 작성부(13)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모바일 단말기(1) 사용자의 캐릭터를 표시하고 이들 캐릭터에 말풍선 형태로 하여 수신한 메시지를 표시하며, 반대로 채팅 서버(101)를 경유하여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1)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는 상대방 캐릭터에 말풍선 형태로 표시한다. 이렇게 하여 상호 모바일 단말기(1) 사용자 간의 채팅의 전개는 만화 스토리 형식으로 모바일 단말기(1)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미지 형성부(15)는 메시지 작성부(13)에 입력되는 문자를 인식하여, 입력되는 문자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 사용자의 캐릭터 표정을 자동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메시지의 내용에 여러 가지 이모티콘(^^, --; 또는 ㅠㅠ)이나 의성어(ㅋㅋ, ㅎㅎ, 하하)를 입력하면 이미지 형성부(15)가 이를 인식하여 이에 맞게 설정된 표정이나 행동을 하도록 캐릭터의 이미지를 변화시킨다. 또한, 사용자는 특정 단어나 이모티콘이 들어가면 특정 표정이나 행동이 표현되도록 미리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명령 수신부(30)는 모바일 단말기(1) 사용자로부터 애니메이션 실행을 위한 소정의 명령을 수신한다.
소정의 명령은 모바일 단말기(1)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 신호, 모바일 단말기(1)의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신호 또는 모바일 단말기(1)의 동작 인식 시스템을 통해 입력되는 동작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나타난 소정의 명령은 모바일 단말기(1)의 동작 인식 시스템을 통해 입력되는 동작 신호이며, 모바일 단말기(1)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를 흔들면 채팅의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1) 사용자의 캐릭터가 확대되면서 그 위로 100톤짜리 망치로 내려치는 애니메이션이 재생될 수 있도록 하였다.
제 2 실시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나타난 소정의 명령은 모바일 단말기(1)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 신호이며, 모바일 단말기(1)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의 마이크에 입으로 바람을 불어 넣으면 채팅 화면에 까마귀가 날아가는 애니메이션이 재생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이크를 통해 인식되는 소리의 주파수 및 크기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 사용자는 다양한 형태의 애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에 나타난 소정의 명령은 모바일 단말기(1)의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신호이며, 모바일 단말기(1)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의 화면을 문지르면 모바일 단말기(1)는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여 채팅 화면에 회오리 돌풍이 부는 애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 저장부(31)는 모바일 단말기(1)를 통해서 재생될 다양한 애니메이션을 저장한다. 애니메이션 저장부(31)는 명령 수신부(30)를 통해서 인식될 소정의 명령에 매칭되는 소정의 애니메이션을 상기 소정의 명령에 대한 정보와 함께 저장하고 있다. 즉, 제 1 실시예의 경우 재생될 애니메이션(도 6)은 모바일 단말기(1)를 흔드는 것을 소정의 명령으로 하여, 상기 애니메이션 저장부(31)에 저장되어 있으며, 제 2 실시예의 경우 재생될 애니메이션(도 7)은 모바일 단말기(1)의 마이크에 입으로 바람을 불어 넣는 것을 소정의 명령으로 하여, 상기 애니메이션 저장부(31)에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실시예의 경우, 재생될 애니메이션(도 8)의 경우, 모바일 단말기(1)의 화면을 문지르는 것을 소정의 명령으로 하여 상기 애니메이션 저장부(31)에 저장되어 있다.
애니메이션 실행부(32)는 명령 수신부(30)가 소정의 명령을 수신하면, 애니메이션 저장부(31)로부터 소정의 명령에 매칭되는 소정의 애니메이션을 수신하여 실행한다.
애니메이션 실행부(32)는 애니메이션 저장부(31)에 저장된 소정의 애니메이션이 모바일 단말기(1)의 화면을 통해 플래시를 재생하거나, 모바일 단말기(1)의 스피커를 통해 소리를 출력하거나, 모바일 단말기(1)의 모터를 구동함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를 진동시키는 기능을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바, 모바일 단말기(1)의 화면, 스피커 또는 진동 모터를 통해 애니메이션을 표현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시지 송수신부(12)는 명령 수신부(30)로부터 소정의 명령을 수신하여 이를 채팅 서버를 통하여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1)로 전송하여 소정의 명령에 매칭되는 소정의 애니메이션이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1)의 애니메이션 실행부(32)를 통해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니메이션이 실행이 지원되는 만화 스토리 형식의 모바일 채팅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기(1)는 음성 인식부(17); 보이스 분석부(18); 음색 변환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인식부(17)는 모바일 단말기(1)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한다. 사용자의 음성은 모바일 단말기(1)의 마이크를 통해 인식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미리 자신의 음성을 모바일 단말기(1)의 음성 인식부(17)를 통해 인식시킬 수도 있다.
보이스 분석부(18)는 음성 인식부(17)로부터 인식된 모바일 단말기(1)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여 모바일 단말기(1) 사용자의 음색을 분석한다.
음색이란 감각적으로는 사람이 어떤 음을 들었을 때 느끼는 음의 이미지를 말하고, 구체적으로는 음성을 이루는 주파수 대역이 주로 어느 주파수 대역인지, 고주파나 저주파가 어느 정도 분포되는지, 소리의 크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따라 다양한 패턴으로써 결정되게 된다.
보이스 분석부(18)는 인식된 음성의 주된 주파수 대역(최저 주파수에서 최고 주파수까지의 주파수 범위)을 분석하며, 주된 주파수의 대역을 인식된 모바일 단말기(1) 사용자의 음색으로 결정한다.
음색 변환부(20)는 음성 데이터 변환부로부터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보이스 분석부(18)로부터 결정된 모바일 단말기(1)의 사용자 음색의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1000Hz~1500Hz)으로 주파수를 변조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음색의 주파수 대역으로서 BPF(band pass filter)를 구성하게 되어, 나머지 주파수 대역은 필터링하여 제거한다.
이 경우, 애니메이션 실행부(32)는 모바일 다말기 사용자의 음색으로 변화된 애니메이션을 실행하며, 모바일 단말기(1) 사용자 음색으로 변화된 애니메이션을 상기 채팅 서버(101)를 통하여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1)로 전송하여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1)에서도 모바일 단말기(1) 사용자 음색으로 변화된 애니메이션이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1)의 애니메이션 실행부(32)를 통해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니메이션 실행이 지원되는 만화 스토리 형식의 모바일 채팅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모바일 단말기
2: 채팅 화면
3: 애니메이션
11: CPU
12: 메시지 송수신부
13: 메시지 작성부
15: 이미지 형성부
16: 푸시 알림부
17: 음성 인식부
18: 보이스 분석부
19: 애니메이션 저장부
20: 음색 변환부
21: 애니메이션 실행부
30: 명령 수신부
31: 애니메이션 저장부
32: 애니메이션 실행부
100: 채팅 관리자 시스템
101: 채팅 서버
102: 관리자 서버
103: 데이터 베이스
105: IPNS
200: 푸시 서비스 서버

Claims (6)

  1. 모바일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사용자의 회원 가입 및 회원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사용자를 만화 캐릭터로 표시하고 상기 메시지를 상기 만화 캐릭터에 말풍선 형태로 표시하여, 사용자 간 채팅의 전개를 만화 스토리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단말기;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메시지 송수신하여, 상호 채팅하고자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중계하는 채팅 서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만화 스토리 형식으로 전개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 간 채팅을 수신하여 만화 이미지로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회원 가입 및 회원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가 전송하는 메시지의 데이터 전송량을 계산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량에 비례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 ID에 경험치를 부여하는 관리자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채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는 메시지 작성부;
    상기 메시지 작성부로부터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메시지를 상기 채팅 서버를 통하여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고, 채팅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메시지를 상기 채팅 서버를 통해 수신받는 메시지 송수신부;
    상기 메시지 작성부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캐릭터에 말풍선 형태로 표시하고,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가 상기 채팅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상기 채팅 상대방 캐릭터의 말풍선 형태로 표시하여, 사용자 간 채팅의 전개를 만화 스토리 형식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이미지 형성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애니메이션 실행을 위한 소정의 명령을 수신하는 명령 수신부;
    상기 소정의 명령에 매칭되는 소정의 애니메이션을 저장하는 애니메이션 저장부; 및
    상기 명령 수신부가 상기 소정의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애니메이션 저장부로부터 상기 소정의 명령에 매칭되는 소정의 애니메이션을 수신하여 실행하는 애니메이션 실행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는,
    상기 명령 수신부로부터 상기 소정의 명령을 수신하여, 이를 상기 채팅 서버를 통하여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소정의 명령에 매칭되는 소정의 애니메이션이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의 애니메이션 실행부를 통해서 실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채팅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형성부는,
    상기 메시지 작성부에 입력되는 문자를 인식하여, 상기 입력되는 문자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캐릭터 표정을 자동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채팅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명령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 신호,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신호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 인식 시스템을 통해 입력되는 동작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채팅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애니메이션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플래시 재생,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소리의 출력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모터를 구동함에 따른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진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채팅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
    상기 음성 인식부가 인식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 음성의 음색을 분석하는 보이스 분석부;
    상기 애니메이션 저장부로부터 상기 소정의 애니메이션을 수신하여, 상기 소정의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음성 신호를 상기 보이스 분석부로부터 분석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 음색으로 변화시키는 음색 변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애니메이션 실행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음색으로 변화된 애니메이션을 실행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 음색으로 변화된 애니메이션을 상기 채팅 서버를 통하여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에서도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 음색으로 변화된 애니메이션이 상기 상대방 모바일 단말기의 애니메이션 실행부를 통해서 실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채팅 시스템.
KR1020120017142A 2011-07-07 2012-02-20 애니메이션 실행이 지원되는 만화 스토리 형식의 모바일 채팅 시스템 KR201300122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67323 2011-07-07
KR1020110067323 2011-07-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250A true KR20130012250A (ko) 2013-02-01

Family

ID=47892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7142A KR20130012250A (ko) 2011-07-07 2012-02-20 애니메이션 실행이 지원되는 만화 스토리 형식의 모바일 채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225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601B1 (ko) * 2013-03-26 2013-09-17 성완 애니메이션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133544A (ko) 2014-05-20 2015-11-30 (주)오픈벡스 모션이모티콘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9641471B2 (en) 2013-10-31 2017-05-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message in electronic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601B1 (ko) * 2013-03-26 2013-09-17 성완 애니메이션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US9641471B2 (en) 2013-10-31 2017-05-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message in electronic device
KR20150133544A (ko) 2014-05-20 2015-11-30 (주)오픈벡스 모션이모티콘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049B1 (ko) 웹 페이지 상에서 만화 스토리 형식의 대화를 지원하는 모바일 채팅 시스템
KR10070185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의 배경효과 제공 방법
US8285257B2 (en) Emotion recognition message syst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and message storage server therefor
RU2442294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и отображения анимированных sms-сообщений
US77065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text-to-voice synthesis
US7991401B2 (en) Apparatus, a method, and a system for animating a virtual scene
KR100706967B1 (ko) 이동통신망에서 3d 캐릭터를 이용한 뉴스 정보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US200800279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dimensional action capture
KR100678212B1 (ko) 휴대단말기의 감정정보 제어방법
KR101200559B1 (ko)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에서 플래시콘을 제공하는 시스템,장치 및 방법
CN105677023B (zh) 信息呈现方法及装置
KR101587115B1 (ko)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EP18042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text to voice synthesis
KR101376292B1 (ko) 통화 중 감정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30012250A (ko) 애니메이션 실행이 지원되는 만화 스토리 형식의 모바일 채팅 시스템
KR101337420B1 (ko) 감성대화단말기
CN110291768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系统
KR101609585B1 (ko) 청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기
CN101640860B (zh) 用于通信的方法、用于通信的相关系统和相关的转换部件
CN111338598B (zh) 一种消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20190138406A (ko) 단말기를 이용한 채팅 시스템
JP2007259427A (ja) 携帯端末装置
JP2016091195A (ja) 情報送受信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KR101404409B1 (ko) 통신 상대방 간에 심리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통신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단말 장치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장치
KR101911870B1 (ko) 메시지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121

Effective date: 2013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