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208A - 전화번호 기반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전화번호 기반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2208A
KR20130012208A KR1020110066313A KR20110066313A KR20130012208A KR 20130012208 A KR20130012208 A KR 20130012208A KR 1020110066313 A KR1020110066313 A KR 1020110066313A KR 20110066313 A KR20110066313 A KR 20110066313A KR 20130012208 A KR20130012208 A KR 20130012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social
social network
hub serv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상민
김천일
Original Assignee
(주)지온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온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지온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10066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2208A/ko
Publication of KR20130012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2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18Call detai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 H04M3/4931Directory assistanc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별도의 가입 절차가 불필요하거나 기존의 방식에 비해 현저하게 간단한 절차에 의해 가입이 가능한 소셜네트워크 서비스가 개시된다. 소셜허브 서버가 개개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화번호 목록을 수신하고 개개의 사용자 단말기 중에서 전화번호 목록 내에 존재하는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검출하여 소셜네트워크를 설정한다. 그리고 나서, 소셜허브 서버는 설정된 소셜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검출된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준다.

Description

전화번호 기반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Method for providing a social network service based on phone numbers}
본 발명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들간에 사용자들의 개인 정보를 토대로 관심사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소셜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 소셜네트워크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의 보급 확대와 이러한 기기들이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망의 발달을 토대로 소위 소셜네트워크 서비스가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다.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는 웹상에서 이용자들이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통칭하는 용어로서, 대표적인 서비스로 트위터(Twitter)나 페이스북(Facebook)을 들 수 있다.
소셜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개개인이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수단을 소셜허브 서버에 제공하는 것이 필요한데, 트위터나 페이스북은 이러한 식별 수단으로써 사용자의 이메일 계정을 이용한다. 즉, 어느 한 사용자가 소셜허브 서버에 회원 가입하면서 자신의 이메일 계정을 등록하면, 소셜허브 서버는 이메일 계정을 통해 사용자를 인증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소셜허브 서버에 접속하여 유명인이나 지인을 자신의 친구로 등록하는 방식을 통해 소셜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고, 이와 같이 구성된 소셜네트워크를 통해 특정인 또는 다수의 회원들과 대화를 나누거나 파일을 전송하는 등의 행위를 함으로써 관심사에 대한 공유를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개개인이 자신의 지인들이 사용하는 이메일의 리스트를 소셜허브 서버에 업로드하면, 소셜허브 서버는 이메일 리스트 내의 이메일을 사용하는 회원들의 리스트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지인들 중 소셜허브 서버에 회원가입된 지인들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지인들과의 소셜네트워크를 쉽게 구축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는 인터넷 등에 익숙하지 못한 사용자들도 용이하게 접근 가능하도록 편리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종래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는 소셜허브 서버에 회원 가입을 하면서 회원으로서의 식별을 위한 아이디를 발급받아야 하고 또한 반드시 자신의 이메일을 등록하여야 한다. 트위터나 페이스북은 이러한 과정을 매우 간단하게 구성함으로써 최대한의 사용자 편의를 도모하였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아이디를 기억해야 하고 접속을 위해 자신의 아이디를 입력하는 등의 과정을 거치는 것은 여전히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함을 준다.
나아가 소셜네트워크 내에서는 어떤 사용자라도 결국은 자신을 식별하는 수단이 필요한데,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서는 식별 수단으로써 이메일이 사용되므로 사전에 별도 가입한 이메일 계정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메일이 없는 사용자의 경우 별도의 이메일 개설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친구 등록 등의 작업에 있어서 이메일 계정을 매개체로 해야 하므로 원하는 친구의 식별이 즉각적이지 못하다.
특히, 종래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에서는 개개의 사용자의 개인적 취향 등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 자신이 능동적으로 소셜네트워크상에 업로드시켜야만 타인이 조회 가능하다. 따라서 타인의 일상 생활에서의 특성이 자연스럽게 반영된 데이터가 아닌 타인이 인위적으로 올린 데이터에만 의존하므로, 진정한 의미에서의 관심 공유를 할 수 있는 소셜네트워크로서의 한계를 가지게 된다.
나아가, 종래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에서는 소셜허브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소셜네트워크를 통해서만 대화 등을 할 수 있으므로, 예컨대 친구와 즉시 통화를 하고 싶은 경우 다시 친구의 전화번호를 조회하여 전화를 거는 동작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가입 절차가 불필요하거나 기존의 방식에 비해 현저하게 간단한 절차에 의해 가입이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별도의 이메일 계정을 등록할 필요가 없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고 또한 친구 등록 등을 위한 타인의 식별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개의 회원들의 개인적 성향에 대해 알 수 있는 수단을 각 회원이 능동적으로 업로드한 자료에만 의존하지 않고 각 회원의 생활상에서의 특성이 자연스럽게 반영된 데이터에 의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정한 의미에서의 관심 공유를 할 수 있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셜네트워크를 통해 등록된 지인들에 대해서 손쉽게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소셜네트워크에서 제공되지 못하는 추가적인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소셜허브 서버가 개개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소셜허브 서버가, 개개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 중에서 상기 전화번호 목록 내에 존재하는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소셜허브 서버가, 검출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전화번호 목록을 전송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소셜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소셜허브 서버가, 설정된 소셜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검출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전화번호 목록을 전송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기반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소셜허브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화번호 목록과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기록을 수신하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소셜허브 서버는 상기 통화기록을 토대로 각각의 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통화빈도를 산출하여 상기 통화빈도가 소정 수치 또는 소정 순위 이상인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상기 소셜네트워크를 설정한다.
상기 소셜허브 서버는 상기 통화빈도 산출에 있어서 통화 시점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소셜허브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화번호 목록과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사용자에 의해 저장 또는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인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소셜허브 서버는 상기 소셜네트워크에 대한 정보 전송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함께 전송하여 준다.
상기 사용자 데이터는, 음원 리스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배경화면 데이터, 및 벨소리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소셜허브 서버에 접속함에 따라 상기 소셜허브 서버가 상기 전화번호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역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전화번호 목록 내의 특정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호 연결을 시도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여 주는 단계가 추가적으로 수행된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소셜허브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화번호 목록과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기록을 수신하며,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소셜허브 서버는 상기 통화기록을 토대로 각각의 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통화빈도를 산출하여 상기 통화빈도의 순서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들을 재배열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전화번호가 재배열되어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소셜허브 서버는 상기 통화빈도 산출에 있어서 통화 시점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소셜허브 서버가 수신하는 상기 전화번호 목록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전체 전화번호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전화번호들만을 포함하는 전화번호 목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가입 절차가 불필요하거나 기존의 방식에 비해 현저하게 간단한 절차에 의해 가입이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소셜네트워크 서비스가 제공된다. 나아가, 개개의 회원들의 개인적 성향에 대해 알 수 있는 수단을 각 회원이 능동적으로 업로드한 자료에만 의존하지 않고 각 회원의 생활상에서의 특성이 자연스럽게 반영된 데이터에 의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정한 의미에서의 관심 공유를 할 수 있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가 제공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와 소셜허브 서버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 는 도 1 의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소셜네트워크 형성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 은 도 1 의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소셜네트워크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 는 도 3 에서 어느 하나의 친구를 선택한 경우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와 소셜허브 서버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에서 도면부호 10 은 소셜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소셜허브 서버를 도시한 것이고, 도면부호 11 은 소셜허브 서버(10)가 데이터를 저장하여 구축되는 데이터베이스(또는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별도의 DB서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20 은 개개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20)로서, 사용자 단말기(20)는 통상적으로 휴대폰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인 스마트폰으로 구성될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 는 도 1 의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소셜네트워크 형성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소셜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소셜허브 서버(10)에 접속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먼저 사용자 단말기(20)는 소셜허브 서버(10)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사용자 단말기(20)에 설치하여야 한다.(S10) 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20)가 소셜허브 서버(10)에 접속하는 기능 및 접속 후에 구축된 소셜네트워크 관련 정보의 수신과 기타의 제반 부가 기능 수행시 이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다. 도 2 에서는 편의상 어플리케이션을 소셜허브 서버(10)로부터 다운로드받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소셜허브 서버(10)가 제작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기(20)에 제공하기 위한 앱스토어나 안드로이드마켓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장터(application market)을 통해 다운로드받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20)가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먼저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20)를 소셜허브 서버(10)에 접속시킨다.(S20) 접속 경로로는 와이파이(Wi-Fi)나 3G 통신망 등과 같은 다양한 경로가 가능함은 자명하다.
사용자 단말기(20)가 소셜허브 서버(10)에 접속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20)에 기 저장되어 있던 주소록을 탐색하여 주소록 내의 전화번호 목록(전화번호 및 이름이 포함된 목록)을 소셜허브 서버(10)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소셜허브 서버(10)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전화번호 목록을 수신하게 된다.(S30) 이 전화번호 목록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를 사용하면서 자신의 지인들에 대한 전화번호를 이름과 함께 기록한 통상적인 휴대전화기의 전화번호 목록과 같은 것이다.
소셜허브 서버(10)는 전송받은 전화번호 목록을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시킨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20)는 S30 단계에서 전화번호 목록과 함께 자신의 전화번호도 전송한다. 따라서 소셜허브 서버(10)는 사용자 단말기(20)의 전화번호와 함께 동 전화번호에 대응되어 있는 전화번호 목록을 수신하게 되며, S40 단계에서 전화번호 목록 저장시 저장한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자 단말기(20)의 전화번호가 사용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20)의 회원 가입이 완료된다. 따라서 별도의 회원 가입 절차 없이 사용자 단말기(20)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동작만으로도 사용자 단말기(20)의 전화번호를 사용자 식별 수단으로 하는 회원 가입이 이루어진다. 필요하다면 별도의 회원 가입을 위한 최소한의 인증 절차 등을 부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소셜허브 서버(10)는 이와 같은 방식을 여러 사용자 단말기(20)에 대해 수행함으로써 여러 사용자를 회원으로 확보하며, 확보된 회원들에 대해서는 사용자 단말기(20)의 전화번호와 사용자 단말기(20)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목록을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소셜허브 서버(10)는 소셜네트워크 구축을 위하여 전화번호와 전화번호 목록을 비교하는 작업을 한다.(S50) 즉, 소셜허브 서버(10)는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20)의 전화번호가 다른 사용자 단말기들(10)의 전화번호 목록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며, 검색된 다른 사용자 단말기들(10)에 대해서는 동 전화번호의 사용자 단말기(20)에 대해 지인 관계인 것으로 간주하고 이들을 묶는 소셜네트워크를 설정한다.(S60) 그리고 나서, 소셜허브 서버(10)는 설정된 소셜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20) 및/또는 검색 대상인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20)(즉, 전화번호 목록을 전송한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준다.(S70)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면,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20)의 사용자 입장에서는 자신의 전화번호를 저장하여 두고 있던 다른 사용자들 모두를 검색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20)에 저장해 두었던 전화번호의 사용자 모두를 검색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이 검색된 사용자들 모두가 자신을 중심으로 한 소셜네트워크로서 형성된다. 형성된 소셜네트워크 내에서 각 사용자는 전체 회원들에 대해서 특정 글이나 파일을 보내는 등의 활동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부가적인 서비스는 기존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에서 통상적으로 제공되는 주지관용의 서비스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소셜네트워크로서 형성된 타 사용자들에 대해서는 S30 단계에서 소셜허브 서버(10)에 전송한 전화번호 목록 내에 이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전화번호와 이름을 동시에 알 수 있게 된다. 자신의 전화번호가 타 사용자의 전화번호 목록에 존재하고 있음에 따라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에 포함되게 된 타 사용자에 대해서는 이름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가 있는데, 만약 S20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기(20)의 사용자에 대해 이름 입력을 요구하고 이와 같이 입력된 이름을 S30 단계에서 전화번호 목록 전송시 함께 전송하도록 구성한다면, 모든 회원이 회원 가입시 자신의 이름을 입력하게 되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시키는 동작만으로도(또는 필요하다면 사용자의 이름을 입력하는 부가 동작만으로도) 회원 가입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회원 가입 방법이 극히 단순하여 스마트폰 등의 사용이 서툰 사용자라도 쉽게 자신의 지인들과 소셜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기(20)의 출시시에 탑재된 상태로 제작된다면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는 작업조차도 수행할 필요가 없이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소셜네트워크의 형성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셜네트워크 형성이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20)에 기 저장되어 있던, 즉 사용자 자신이 기 구축해 두었던 전화번호 목록에 의존하므로, 소셜네트워크의 형성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범위 설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개개의 사용자에 대해 친구 등록 여부를 결정하는 등의 개별적인 설정을 할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소셜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범위로서, 자신의 전화번호 목록에 전화번호가 존재하는 타인에 대해 그리고 자신의 전화번호가 전화번호 목록에 존재하는 타인에 대해서 설정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그러나 소셜네트워크의 형성은 이 둘 중 어느 하나만을 기준으로 할 수도 있을 것이며, 또한 이 둘을 모두 충족시키는 경우에 대해서만 소셜네트워크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여러 가지 방식 중에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때 개개의 사용자별로 선택한 방식이 상이하여 두 사용자 간의 소셜네트워크 구성 여부가 충돌되는 경우 소셜네트워크의 형성 범위가 좁아지게 하는 또는 넓어지게 하는 방식에 대해 우선순위를 두도록 하는 등의 부가 조건이 채용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2 는 도시와 설명의 편의상 소셜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본 발명의 주된 구성만을 간결하게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의 구현을 위하여 하기와 같이 변형될 수 있다.
먼저, 도 2 의 S3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20)가 전화번호 목록과 함께 사용자 단말기(20)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기록을 전송함으로써 이를 소셜허브 서버(10)가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화기록이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를 이용하여 타인에게 전화를 한 기록(및/또는 타인이 사용자 단말기(20)에 전화를 한 기록)으로서 통화한 전화번호와 통화한 시각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소셜허브 서버(10)는 통화기록을 토대로 각각의 전화번호에 대한 통화빈도를 산출하여 통화빈도가 소정 수치 또는 소정 순위 이상인 전화번호에 대해서 소셜네트워크를 설정한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와의 통화 빈도가 일정 회수 이상이 되는 타인에 대해서만 또는 전화번호 목록 내의 전체 전화번호 중에서 전화한 회수가 상위 몇 위 내에 있는 타인에 대해서만 소셜네트워크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실제로 자주 접촉하는 타인에 대해서만 소셜네트워크를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이때의 통화빈도 산출에 있어서 통화 시점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도 있다. 즉, 통화한 시점이 최근일수록 가중치를 크게 하고 통화한 시점이 오래된 경우에 대해서는 가중치를 작게 함으로써 최근에 자주 접촉하는 타인 위주로 소셜네트워크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S3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20)가 전화번호 목록과 함께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이를 소셜허브 서버(10)가 수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데이터는, 음원 리스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배경화면 데이터, 또는 벨소리 데이터 등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20)에 사용자에 의해 저장 또는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로 정의한다. 이러한 사용자 데이터는 사용자의 취향이나 성향이 반영된 데이터라고 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배경화면으로 어떤 이미지를 저장하였는지, 음악 파일로서 어떤 곡을 저장하였는지, 어떤 앱을 사용하는지 여부 등은 사용자의 취향을 알 수 있는 정보이다. 이러한 사용자 데이터를 소셜허브 서버(10)가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해 놓은 상태에서, 소셜네트워크가 형성된 후에 타인이 그 사용자에 대해 조회를 하면 이러한 정보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 소셜네트워크 내의 타 사용자에 대한 성향을 알 수 있고 그에 따른 취미의 공유와 필요한 정보의 상호 제공 등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변형예들은 기존의 SNS 서비스와 비교할 때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페이스북의 경우 이메일 주소 기반으로 친구를 추천하고 추천한 친구를 직접 추가해 관계를 설정한다. 소셜네트워크가 형성된 친구에 대한 성향에 대해서는 해당 친구가 올린 글과 사진을 통해서 파악한다. 트위터는 이메일을 기반으로 친구를 추천받으면 그에 대해서 팔로우(follow)를 함으로써 유명인사의 팔로우어(follower)가 되어 리트윗(reteet)하거나 일대일로 대화를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들은 이메일을 기반으로 하여 소셜네트워크를 설정하므로 불편함이 있고 친구의 성향이나 특성을 파악하기 어렵다.
카카오톡은 휴대폰의 주소록을 기반으로 친구가 맺어지나 친구와 문자 대화를 하는 기능만 존재하므로 소셜네트워크의 형성이라고 보기 어렵고 친구의 성향 등에 관한 것은 문자를 통한 직접 대화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이와 비교할 때, 본 발명은 전화번호만으로 소셜네트워크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단말기(2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데이터가 사용자의 공개 설정을 통해 자동으로 소셜허버 서버(10)에 전송되므로, 이러한 사용자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개인 취향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친구의 휴대폰에 저장되어 있는 취향 관련 컨텐츠를 파악하고 그 친구가 관심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앱, 음악, 사진, 새로운 이벤트에 대한 정보 등을 그 친구에게 제공하는 등과 같이 취향 공유를 위한 활동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통화목록과 통화빈도의 산출을 통해 관계성과 친밀도까지 반영된 소셜네트워크의 형성이 가능하다.
한편, 도 2 의 제 단계에 부가적인 단계로서, 사용자 단말기(20)가 소셜허브 서버(10)에 접속시 소셜허브 서버가 전화번호 목록을 사용자 단말기(20)로 역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역전송되는 전화번호 목록은 S3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20) 자신이 소셜허브 서버(10)에 전송하였던 전화번호 목록이다. 역전송된 전화번호 목록은 어플리케이션의 표시화면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기(20)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에 역전송된 전화번호 목록이 표시된 상태가 도 3 에 도시되어 있다. 도 3 에서는 각 전화번호에 대해서 하나씩의 아이콘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도 3 에서 각 아이콘에는 편의상 숫자가 표기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숫자 대신 각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이름이 표시될 것이다.
도 3 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1번 아이콘을 클릭하면 도 4 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도 4 에서는 1번 아이콘의 전화번호에 대해서 '전화걸기', '문자전송', '정보보기' 등과 같은 각종 선택 메뉴가 표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전화걸기'를 클릭하면 사용자 단말기(20) 내의 전화기 기능이 기동되어 1번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호 연결이 시도되고, '문자전송'을 클릭하면 사용자 단말기(20) 내의 문자메시지 전송 기능이 기동되어 1번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화면이 생성된다. 또한 '정보보기'를 클릭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배경화면, 음악파일, 앱 리스트 등과 같은 사용자 데이터가 표시됨으로써 해당 사용자에 대한 취향을 알 수 있는 정보가 표시된다.
이 경우에도, 도 3 에서 사용자 단말기(20)에 표시되는 전화번호 목록의 표시 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화기록을 토대로 산출된 통화 빈도의 순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산출된 통화빈도에 의거하여 통화빈도의 순서에 따라 소셜허브 서버(10)가 전화번호들을 재배열하고 이와 같이 재배열된 전화번호 목록을 사용자 단말기(20)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20)에는 통화 빈도가 큰 전화번호부터 순차고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이 경우에도 통화빈도 산출에 있어서 통화 시점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전송한 전화번호목록에 대해서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20)에 기록되어 있는 전화번호 목록을 조회하여 전화나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것과 동일한 느낌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화나 문자 전송시의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됨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기(20)의 분실시에도 전화번호를 웹상에 백업하여 두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의하면, S3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20)가 전송하여 소셜허브 서버(10)가 수신하는 전화번호 목록은 사용자 단말기(20)에 저장되어 있는 전체 전화번호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전화번호들만을 포함하는 전화번호 목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전화번호 목록 내에서 사용자가 전송할 전화번호를 개별적으로 선택하도록 어플리케이션에서 선택 화면을 제공하고 이 화면에서 선택된 전화번호만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전화번호 목록에 저장되는 전화번호들에는 그룹(예컨대, 친구, 가족 등과 같이 각 전화번호별로 그룹 명을 입력함으로써 그룹을 설정함)을 지정할 수 있는 기능이 사용자 단말기(20)에 구비되어 있는데, 특정 그룹들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전화번호 목록의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저장한 전화번호에는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단순한 업무상 알고 있는 지인들도 있으며, 만약 이러한 사용자가 친구들에 대해서만 소셜네트워크를 설정하고 업무상 알고 있는 지인들에 대해서는 소셜네트워크를 설정하고 싶지 않을 경우 이와 같이 그룹을 지정하여 전화번호 목록을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그룹 지정 전송 등과 같은 기능을 위한 선택화면도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S30 단계에서의 전화번호 목록 전송이나 그와 함께 통화기록의 전송 및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등과 같은 과정은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때마다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환경 설정에 따라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의 선택적 수행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a) 소셜허브 서버가 개개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소셜허브 서버가, 개개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 중에서 상기 전화번호 목록 내에 존재하는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소셜허브 서버가, 검출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전화번호 목록을 전송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소셜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소셜허브 서버가, 설정된 소셜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검출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전화번호 목록을 전송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주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기반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소셜허브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화번호 목록과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기록을 수신하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소셜허브 서버는 상기 통화기록을 토대로 각각의 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통화빈도를 산출하여 상기 통화빈도가 소정 수치 또는 소정 순위 이상인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상기 소셜네트워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기반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허브 서버는 상기 통화빈도 산출에 있어서 통화 시점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기반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소셜허브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화번호 목록과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사용자에 의해 저장 또는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인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소셜허브 서버는 상기 소셜네트워크에 대한 정보 전송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함께 전송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기반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는, 음원 리스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배경화면 데이터, 및 벨소리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기반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e)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소셜허브 서버에 접속함에 따라 상기 소셜허브 서버가 상기 전화번호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역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전화번호 목록 내의 특정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호 연결을 시도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여 주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기반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소셜허브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화번호 목록과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기록을 수신하며,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소셜허브 서버는 상기 통화기록을 토대로 각각의 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통화빈도를 산출하여 상기 통화빈도의 순서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들을 재배열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전화번호가 재배열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기반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허브 서버는 상기 통화빈도 산출에 있어서 통화 시점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기반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소셜허브 서버가 수신하는 상기 전화번호 목록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전체 전화번호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전화번호들만을 포함하는 전화번호 목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기반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10066313A 2011-07-05 2011-07-05 전화번호 기반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300122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313A KR20130012208A (ko) 2011-07-05 2011-07-05 전화번호 기반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313A KR20130012208A (ko) 2011-07-05 2011-07-05 전화번호 기반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208A true KR20130012208A (ko) 2013-02-01

Family

ID=47892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313A KR20130012208A (ko) 2011-07-05 2011-07-05 전화번호 기반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22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3018B2 (en) Advanced contact management in communications networks
US9432326B2 (en) Question server to facilitate communication between participants
KR101195333B1 (ko) 사회적 관계 정보 활용에 의한 컨텐츠 이용 할당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EP3557516B1 (en) Method for providing human network management service in mobile terminal
US9396729B2 (en) Mobile devic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enhancing social interactions with relevant social networking information
JP6312795B2 (ja) 社交の通信システム
US20160005003A1 (en) Continuous Proximity and Relational Analysis of User Devices in a Network
US8958537B1 (en) Providing call alerts using social network data
TWI477994B (zh) 通訊存取控制系統與方法
US20140108383A1 (en) Method and System for Filtering Search Results for Maps Using Social Graph
US20120265703A1 (en) Ad hoc social networking
WO2011109636A2 (en) A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 dating decision process
EP2820834A1 (en) Method for providing support services using multi-channel navigator and route sequences
KR20120121376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제공 시스템
US9503410B2 (en) Sharing of activity metadata via messaging systems
US9704202B1 (en) Blending device-based recommendations
CN102655505A (zh) 一种开放式通讯平台及其实现方法
US9729483B2 (en) Anonymous calling and/or texting via content provider web sites and applications
US2013022701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dentification in a Social Network Using a Mobile Telephone Number
US20130311590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intaining, individualizing and updating contact information across various platforms
US1105733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online platform for facilitat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an individual and an elected official
US9241015B1 (en) System and method for suggesting discussion topics in a social network
US20170006445A1 (en) Systems, Methods, Circuits and Associated Software for Managing Communications from a Mobile Device to Other Parties and Retrieving and Managing Data Stored on the Mobile Device and Associated with the Communications to Other Parties
JP2012168630A (ja) データ管理装置、データ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125274A (ko) 단말 장치에서 사용자 프로필을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