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1459A -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1459A
KR20130011459A KR1020110072623A KR20110072623A KR20130011459A KR 20130011459 A KR20130011459 A KR 20130011459A KR 1020110072623 A KR1020110072623 A KR 1020110072623A KR 20110072623 A KR20110072623 A KR 20110072623A KR 20130011459 A KR20130011459 A KR 20130011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camera module
image
appl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4451B1 (ko
Inventor
오창식
이상준
김창호
박종혁
김종우
강민수
배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110072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4451B1/ko
Publication of KR20130011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2Entity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보안영역 내에서 휴대용 단말의 카메라 모듈을 효과적으로 비활성화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은, 상기 휴대용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Application Framework)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에 탑재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의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관리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클라이언트는, 이미지 촬영용 어플리케이션들 중 미리 정해진 제1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제2 어플리케이션이 보안영역 내에서 실행되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에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으로 생성된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시키는 제1 동작 및 상기 휴대용 단말이 보안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드라이버 구동함수의 실행을 저지하는 제2 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을 비활성화시키는 카메라 모듈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Security}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보안영역 내에서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휴대용 단말은 휴대성(Portability)과 이동성(Mobility)을 보장하기 위해 그 기능이 통화에만 국한되었었다. 하지만,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휴대용 단말은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근거리 통신 모듈, USB포트, 대용량 메모리, 또는 고성능의 카메라 모듈 등을 탑재함으로써 인터넷 기능, 데이터 저장기능, 영상촬영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토탈 멀티미디어 기기로 변모하고 있다.
이를 통해 최근에는 휴대용 단말들이 생활 속에서 다양한 멀티 미디어 기기들을 대체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휴대용 단말이 보안을 위협하는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고성능의 카메라 모듈이 탑재된 휴대용 단말의 경우 기업 비밀을 유출시킬 수 있는 기기로 이용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이 기업 등과 같이 보안이 요구되는 지역 내에서 이용되는 경우 카메라 모듈을 이용한 촬영기능, USB 포트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기능,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기능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의 기능들을 제한시킬 필요가 있다.
하지만, 보안이 요구되는 지역 내라 하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용 단말의 기능들을 제한한다면, 휴대용 단말 사용자들의 불편이 증대될 수 있음은 물론, 업무를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용 단말의 기능들이 요구되는 경우 해당 업무를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안영역 내에서 휴대용 단말의 카메라 모듈을 효과적으로 비활성화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이 속하는 그룹 별로 카메라 모듈의 이용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면서도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은, 상기 휴대용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Application Framework)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에 탑재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의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관리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클라이언트는, 이미지 촬영용 어플리케이션들 중 미리 정해진 제1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제2 어플리케이션이 보안영역 내에서 실행되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에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으로 생성된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시키는 제1 동작 및 상기 휴대용 단말이 보안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드라이버 구동함수의 실행을 저지하는 제2 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을 비활성화시키는 카메라 모듈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은, 상기 휴대용 단말에 포함된 하드웨어 관리, 메모리 관리, 프로세스 관리, 및 네트워킹 관리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커널(Kernel)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에 탑재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의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관리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클라이언트는, 상기 휴대용 단말이 상기 보안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커널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드라이버를 오프시켜 상기 카메라 모듈을 비활성화시키는 카메라 모듈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은, 보안영역을 관장하는 기지국들의 식별정보가 기록된 리스트에 상기 휴대용 단말이 접속된 제1 기지국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이 속하는 그룹의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의 카메라 모듈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 이미지 촬영용 어플리케이션들 중 미리 정해진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미지가 촬영되면, 상기 리스트에 상기 이미지 촬영 시 상기 휴대용 단말이 접속된 제2 기지국 식별정보의 포함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이미지를 상기 제2 기지국 식별정보로 암호화하여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은, 보안영역 내에서 미리 정해진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미지가 촬영되면, 상기 보안영역을 관장하는 기지국들의 식별정보가 기록된 리스트에 상기 이미지 촬영 시 상기 휴대용 단말이 접속된 제1 기지국 식별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포함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를 상기 제1 기지국 식별정보로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 대한 열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리스트에 상기 이미지에 대한 열람 요청 수신 시 상기 휴대용 단말이 접속된 제2 기지국 식별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포함되지 않은 경우, 열람 요청된 이미지를 상기 제1 기지국 식별정보로 복호화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의 커널 레이어에서 카메라 모듈의 드라이버를 오프시키거나, 이미지 촬영용 어플리케이션들의 프로세서를 강제 종료시키거나 카메라 모듈 드라이버의 구동함수를 선점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을 효과적으로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이 속하는 그룹의 프로파일 분석만으로 해당 그룹의 카메라 모듈 이용 권한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카메라 모듈 이용의 제한 또는 허용 여부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을 이용할 권한이 없는 그룹에 속하는 휴대용 단말로 촬영된 이미지는 휴대용 단말에 저장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안영역 내에서 보안을 유지하면서 카메라 모듈의 이용 제한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시스템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리 클라이언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의 포맷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휴대용 단말 구동 시스템의 레이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리 클라이언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100)에 탑재되는 관리 클라이언트(110), 관리서버(120), 및 컨텐츠 서버(130)를 포함한다.
먼저, 휴대용 단말(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클라이언트(110)가 탑재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포함된 통신모듈(미도시)을 통해 기지국(140a~140n)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100)은 통신모듈 이외에, 카메라 모듈(미도시), 와이파이(Wi-fi)모듈(미도시), 블루투스 모듈(미도시), 모바일 액세스 포인트 모듈(미도시), USB 포트(미도시), 및 SD카드와 같은 메모리(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100)의 일례로, 휴대폰, 스마트폰, PDA, 테블릿 PC등이 있다.
다음으로, 관리 클라이언트(110)는, 휴대용 단말(100)에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탑재되어 휴대용 단말(100)이 보안영역(140)으로 진입하는지 여부에 따라 휴대용 단말(100)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모듈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 클라이언트(110)는 휴대용 단말(100)이 보안영역(140) 내로 진입하게 되면, 휴대용 단말(100)이 속하는 그룹의 프로파일(Profile)에 따라 휴대용 단말(100)에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와이파이(Wi-fi)모듈, 블루투스 모듈, 모바일 액세스 포인트 모듈, USB 포트, 및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관리 클라이언트(110)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관리 클라이언트(110)가 휴대용 단말(100)에 포함된 다양한 모듈들 중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관리 클라이언트(110)가 보안을 위해 휴대용 단말(100)에 포함된 다른 모듈들의 동작을 카메라 모듈의 동작 제어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리 클라이언트(1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관리 클라이언트(110)는 메모리(200), 기지국 식별정보 획득부(210), 제1 판단부(220), 제2 판단부(230), 카메라 모듈 제어부(250),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니터링부(255), 암호화부(260), 및 디스플레이 제어부(280)를 포함한다.
먼저, 메모리(200)에는, 관리서버(120)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프로파일 및 보안영역(140)을 관장하는 기지국들의 식별정보가 기록된 리스트(이하, '기지국 식별정보 리스트'라 함)가 저장된다.
여기서, 프로파일은 휴대용 단말(100)이 속하는 그룹 별로 생성되는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100)이 속하는 그룹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프로파일에는 프로파일의 인코딩 형태 정보, 프로파일의 요청에 대한 응답 형태 정보, 프로파일의 버전 정보, 카메라 모듈의 이용 권한 정보, 테더링 기능의 이용 권한 정보, 와이파이(Wi-fi) 기능의 이용 권한 정보, USB 포트의 이용 권한 정보, 블루투스 기능의 이용 권한 정보, 메모리의 이용 권한 정보, 휴대용 단말에 설치되어 할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휴대용 단말에서 삭제되어야 할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휴대용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정보 및 하드웨어 정보 리스트, 휴대용 단말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로그 정보 및 전송 주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이때, 이러한 프로파일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규격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XML을 이용하여 생성된 프로파일의 일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의 제1 영역(300)에는 프로파일 생성에 이용된 XML 규격의 버전과 프로파일의 인코딩 형태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다.
프로파일의 제2 영역(310)에는 프로파일 요청에 대한 응답 형태의 정보가 기록된다.
프로파일의 제3 영역(320)에는 프로파일의 버전이 기록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파일의 버전은 프로파일의 생성시간을 이용해서 표기될 수 있다.
프로파일의 제4 영역(330)에는 휴대용 단말(100)에 포함된 다양한 모듈들의 이용 권한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4 영역(330)에 모바일 엑세스 포인트의 이용 권한, 테더링 기능의 이용 권한, 와이파이 기능의 이용 권환, SD카드의 이용 권한, 카메라 모듈의 이용 권한, 및 USB 포트의 이용 권한 정보가 기록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모듈들의 이용 권한 정보가 제4 영역에 추가로 기록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프로파일의 제5 영역(340)에는 휴대용 단말(100) 내의 패키지(Package)관련 정보가 기록된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는 휴대용 단말(100) 내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정보 리스트 및 정보 전송 주기에 대한 정보, 휴대용 단말(100)내의 이벤트 관련 로그 정보 레벨 및 전송 주기에 대한 정보, 휴대용 단말(100)에 설치되어야 할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휴대용 단말(100)에서 삭제되어야 할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원격으로 삭제 가능한 디렉토리 정보가 기록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100)이 속하는 그룹은, 휴대용 단말(100)의 사용자가 속하는 부서, 사용자의 직책, 사용자가 수행하는 업무, 사업자가 소속되어 있는 사업장, 및 사용자의 고용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고용 상태란 사용자가 현재 재직중인 사용자인지 퇴직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나타낸다.
한편, 메모리(200)에 저장되는 기지국 식별정보 리스트에는 보안영역(140)을 관장하는 기지국들(140a~140n)의 식별정보(Identifier)가 기록되는 것으로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기지국 식별정보 리스트는 해쉬 테이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프로파일 및 기지국 식별정보 리스트는, 관리서버(120)에 의해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20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파일 또는 기지국 식별정보 리스트의 버전이 관리서버(13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파일 및 기지국 식별정보 리스트의 버전과 상이한 경우, 이러한 프로파일 및 기지국 식별정보 리스트는 관리서버(130)에 의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 식별정보 획득부(210)는, 휴대용 단말(100)이 접속되는 기지국들의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제1 판단부(220) 및 제2 판단부(230)로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 식별정보는 Cell ID일 수 있다.
이러한 기지국 식별정보 획득부(210)는 페이징 과정을 통해 휴대용 단말(100)이 접속한 기지국(140a~140n)으로부터 기지국의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판단부(220)는 휴대용 단말(100)이 접속된 제1 기지국 식별정보가 기지국 식별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카메라 모듈 제어부(250)로 전송한다. 이때, 제1 기지국 식별정보는 기지국 식별정보 획득부(210)로부터 제공받는다.
판단결과, 제1 기지국 식별정보가 기지국 식별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제1 판단부(220)는 휴대용 단말(100)이 보안영역(140) 내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1 기지국 식별정보가 기지국 식별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제1 판단부(220)는 휴대용 단말(100)이 보안영역(140) 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다음으로, 제2 판단부(230)는, 이미지 촬영용 어플리케이션들 중 미리 정해진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미지가 촬영되는 경우, 이미지 촬영 시 휴대용 단말(100)이 접속된 제2 기지국 식별정보가 기지국 식별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암호화부(260)로 전송한다.
이때,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미지가 촬영되는지 여부는 카메라 모듈 제어부(250)로부터 제공 받고, 제2 기지국 식별정보는 기지국 식별정보 획득부(210)로부터 제공 받는다.
판단결과, 제2 기지국 식별정보가 기지국 식별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제2 판단부(230)는 이미지가 보안영역(140) 내에서 촬영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2 기지국 식별정보가 기지국 식별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제2 판단부(230)는 이미지가 보안영역(140) 외에서 촬영된 것으로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판단부(230)는 휴대용 단말(100)이 제1 판단부(220)에 의해 보안영역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한하여 이미지 촬영 시 휴대용 단말(100)이 접속된 제2 기지국 식별정보가 기지국 식별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판단부(220) 및 제2 판단부(230)가 별개의 구성요소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판단부(220) 및 제2 판단부(230)는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카메라 모듈 제어부(250)는 제1 판단부(220)에 의해 휴대용 단말(100)이 보안영역(140) 내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메모리(20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파일을 분석하여 카메라 모듈(290)을 비활성화시킨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모듈 제어부(250)는 휴대용 단말(100)이 보안영역(140) 내에 위치하고, 프로파일상에서 해당 휴대용 단말(100)이 카메라 모듈의 이용 권한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카메라 모듈(294)을 비활성화시켜 보안영역(140) 내에서 카메라 모듈이 동작되지 않도록 한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 제어부(2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휴대용 단말(100)의 구동 시스템(Operating System, 40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레이어들(410~450) 중 커널(Kernel)(450)에서 카메라 모듈의 드라이버를 직접 제어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레이어들 중 커널(450)은 휴대용 단말(100)에 포함된 각종 하드웨어 관리, 내부 메모리 관리, 프로세스 관리, 및 네트워킹 관리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이때, 휴대용 단말(100)의 구동 시스템이 안드로이드(Android)인 경우, 안드로이드는 리눅스(Linux)기반의 구동 시스템이기 때문에, 이때 커널(450)은 리눅스 커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100)의 구동 시스템이 안드로이드인 경우, 카메라 모듈 제어부(2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레이어(410)에서 Run_Camera(off)와 같은 카메라 모듈 드라이버 제어 인터페이스 함수의 실행을 통해 리눅스 커널 레이어(450) 내의 카메라 모듈 드라이버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SecDM.putlnt()와 같은 함수를 실행시켜 카메라 모듈의 드라이버를 오프시킴으로써 카메라 모듈(290)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 제어부(2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Application Framework)(420)에서 쓰레드(Thread) 형태로 이미지 촬영용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에 따른 프로세스를 모니터링 하다가, 미리 정해진 제1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프로세스가 발생되면 해당 프로세스를 restartPackage(name) 또는 forceStopPackage(name)와 같은 함수를 이용하여 강제종료 시킴으로써 카메라 모듈(290)을 비활성화시킬 수 이다. 이때,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여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니터링부(255)로부터 제공 받을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420)는, 휴대용 단말(100)에서 구현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 제어부(2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420)에서 Camera.open()과 같은 카메라 모듈의 드라이버 구동함수를 쓰레드 형태로 선점하여, 미리 정해진 제1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카메라 모듈이 동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카메라 모듈(290)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여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니터링부(255)로부터 제공 받을 수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 제어부(250)는 카메라 모듈(290)이 비활성화 되어 있는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니터링부(255)로부터 이미지 촬영용 어플리케이션들 중 미리 정해진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것으로 판단되면, 카메라 모듈(290)을 활성화시키고,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미지가 촬영되면 이미지 촬영 여부를 제2 판단부(230)로 제공한다.
또한, 카메라 모듈 제어부(250)는 카메라 모듈(290)이 비활성화 되어 있는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니터링부(255)로부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것으로 판단되면 카메라 모듈(290)의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고, 카메라 모듈(290)의 사용 불능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후, 카메라 모듈 제어부(250)는 생성된 사용 불능 메시지가 디스플레이(292)를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 제어부(250)는 사용 불능 메시지를 직접 디스플레이(292)를 통해 표시할 수 있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 제어부(250)는 사용 불능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제어부(2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니터링부(255)는, 제1 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여부를 모니터링하여 그 결과를 카메라 모듈 제어부(25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니터링부(255)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촬영용 어플리케이션의 명칭이 미리 정해진 어플리케이션의 명칭과 동일한 경우 이미지 촬영이 허용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카메라 모듈 제어부(250)로 전달함으로써 카메라 모듈(290)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니터링부(255)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촬영용 어플리케이션의 명칭이 미리 정해진 어플리케이션의 명칭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 이미지 촬영이 허용되지 않는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카메라 모듈 제어부(250)로 전달함으로써 카메라 모듈(290)이 비활성화되거나 카메라 모듈(290)의 비활성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암호화부(260)는, 제2 판단부(230)에 의해 보안영역(140) 내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미지가 촬영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제2 기지국 식별정보로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이미지를 컨텐츠 서버(130)로 전송한다.
이때, 암호화부(260)는 암호화된 이미지를 HTTP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컨텐츠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암호화부(260)는 촬영된 이미지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이미지가 휴대용 단말(100)에 저장되지 않고 컨텐츠 서버(130)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촬영된 이미지가 휴대용 단말(100)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암호화부(260)는 암호화된 이미지와 함께, 이미지의 암호화에 이용된 제2 기지국 식별정보, 이미지 촬영에 이용된 휴대용 단말(100)의 식별정보, 촬영된 이미지의 타이틀 중 적어도 하나를 컨텐츠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촬영된 이미지의 타이틀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암호화부(260)가 제2 기지국 식별정보를 암호화된 이미지와 함께 전송하는 것은, 암호화된 이미지를 제2 기지국 식별정보로 복호화하기 위한 것이고, 휴대용 단말(100)의 식별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은 컨텐츠 서버(130)에서 암호화된 이미지가 휴대용 단말(100) 별로 저장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촬영된 이미지의 타이틀을 함께 전송하는 것은 촬영된 이미지의 열람 시 원하는 이미지만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암호화부(260)는 암호화된 이미지의 타이틀을 이용하여 이미지 타이틀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 타이틀 리스트를 메모리(2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타이틀 리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열람하기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부(280)는, 사용자로부터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열람 요청을 수신하고,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열람 요청을 컨텐츠 서버(13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제어부(280)는 열람 요청의 수신을 위해 사용자에게 이미지 타이틀 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미지 타이틀 리스트 상에서 자신이 열람하기 원하는 이미지 타이틀을 선택함으로써 열람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제어부(280)는 이미지에 대한 열람 요청에 상응하여 컨텐츠 서버(130)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292)를 통해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제어부(280)는, 이미지를 스트리밍 형태로 수신함으로써 수신된 이미지가 휴대용 단말(100)의 메모리에 저장되지 않도록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관리서버(120)는 휴대용 단말(100)에 관리 클라이언트(110)가 탑재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관리 클라이언트(110)가 휴대용 단말(100)에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 관리 클라이언트(110)를 휴대용 단말(100)로 다운로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서버(120)는 휴대용 단말(100)에 관리 클라이언트(11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푸시 메시지를 통해 관리 클라이언트(110)가 휴대용 단말(100)로 다운로드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120)는 휴대용 단말(100)에 관리 클라이언트(110)가 탑재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탑재되어 있는 관리 클라이언트(110)의 버전을 확인하여 탑재되어 있는 관리 클라이언트(110)를 최신의 버전으로 업데이트 시킨다.
또한, 관리서버(120)는, 프로파일 및 기지국 식별정보 리스트를 휴대용 단말(100)에 탑재된 관리 클라이언트(110)로 제공하며, 프로파일 및 기지국 식별정보 리스트를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업데이트시키거나, 관리 클라이언트(11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파일 또는 리스트가 최신버전이 아닌 경우 이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시킨다.
다음으로, 컨텐츠 서버(130)는 휴대용 단말(100)로부터 암호화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 서버(130)는 이미지의 암호화에 이용된 제2 기지국 식별정보, 암호화된 이미지를 전송한 휴대용 단말(100)의 식별번호, 및 암호화된 이미지의 타이틀 중 적어도 하나를 암호화된 이미지와 함께 저장한다.
또한, 컨텐츠 서버(130)는 휴대용 단말(100)로부터 암호화된 이미지에 대한 열람 요청을 수신한다. 이후, 컨텐츠 서버(130)는 열람 요청에 상응하여 암호화된 이미지를 제2 기지국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이미지를 휴대용 단말(100)로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 서버(130)는 보안유지를 위해 복호화된 이미지를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복호화된 이미지가 휴대용 단말(100)에 저장되지 않도록 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보안영역(140) 내에서 휴대용 단말(100)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보안유지를 위해 휴대용 단말(100)에 저장하지 않고 컨텐츠 서버(130)에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보안영역(140) 내에서 휴대용 단말(100)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라 하더라도 해당 이미지가 휴대용 단말(100)에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리 클라이언트(1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500), 기지국 식별정보 획득부(510), 제1 판단부(520), 제2 판단부(530), 제3 판단부(540), 카메라 모듈 제어부(550), 암호화부(560), 이미지 저장부(570), 및 디스플레이 제어부(58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시스템에서 컨텐츠 서버는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관리 클라이언트(11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그 기능이 상이하거나 새롭게 추가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3 판단부(540)는, 보안영역(140) 내에서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열람 요청이 수신되면, 메모리(500)에 저장된 기지국 식별정보 리스트에 열람 요청 수신 시 휴대용 단말(100)가 접속되어 있는 제3 기지국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 제어부(580)로 전달한다. 이때, 열람 요청 수신 시 휴대용 단말(100)이 접속되어 있는 제3 기지국 식별정보는 기지국 식별정보 획득부(51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판단결과, 제3 기지국 식별정보가 기지국 식별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보안영역(140) 내에서 이미지에 대한 열람 요청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3 기지국 식별정보가 기지국 식별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보안영역(140) 외에서 이미지에 대한 열람 요청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한다.
다음으로, 암호화부(560)는 제2 판단부(530)에 의해 보안영역(140) 내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미지가 촬영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제2 기지국 식별정보로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이미지를 이미지 저장부(570)에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암호화부(560)는 암호화된 이미지의 타이틀을 이용하여 이미지 타이틀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 타이틀 리스트를 메모리(5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타이틀 리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열람하기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미지 저장부(570)에는, 암호화부(560)에 의해 암호화된 이미지가 저장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지 암호화부(570)에는 이미지의 암호화에 이용된 제2 기지국 식별정보 및 암호화된 이미지의 타이틀이 암호화된 이미지와 함께 저장된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부(580)는, 사용자로부터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열람 요청을 수신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제어부(580)는 이미지에 대한 열람 요청이 수신된 지점이 제3 판단부(540)에 의해 보안영역(140) 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열람 요청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이미지 저장부(570)에서 선택하여 복호화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제어부(580)는 선택된 이미지를 해당 이미지에 매칭되어 있는 제2 기지국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복호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제어부(580)는 열람 요청의 수신을 위해 사용자에게 이미지 타이틀 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미지 타이틀 리스트 상에서 자신이 열람하기 원하는 이미지 타이틀을 선택함으로써 열람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제어부(580)는 복호화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592)를 통해 표시한다.
한편, 제3 판단부(540)에 의해 이미지에 대한 열람 요청이 수신된 지점이 보안영역(140) 외인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제어부(580)는 이미지의 유출 염려가 있기 때문에 암호화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592)를 통해 디스플레이 한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보안영역(140) 내에서 촬영된 이미지가 휴대용 단말(100)에 저장되지만, 열람요청이 수신된 지점이 보안영역(140) 내인 경우에만 해당 이미지를 열람할 수 있게 하고, 열람요청이 수신된 지점이 보안영역(140) 외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이미지를 열람할 수 없게 함으로써 보안영역(140) 내에서 촬영된 이미지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은 휴대용 단말에 탑재되는 관리 클라이언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휴대용 단말이 접속된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기지국 식별정보가 획득되면(S600), 제1 기지국 식별정보가 보안영역(140)을 관장하는 기지국들의 식별정보가 기록된 리스트(이하, '기지국 식별정보 리스트'라 함)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10).
판단결과, 제1 기지국 식별정보가 기지국 식별정보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해당 휴대용 단말이 속하는 그룹의 프로파일 상에서 카메라 모듈의 이용 권한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20).
판단결과, 카메라 모듈의 이용권한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카메라 모듈을 비활성화시킨다(S630).
카메라 모듈을 비활성화 시킴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 있어서는 휴대용 단말의 구동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레이어들 중 커널에서 카메라 모듈의 드라이버를 오프시킴으로써 카메라 모듈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에서 쓰레드 형태로 이미지 촬영용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에 따른 프로세스를 모니터링 하다가, 미리 정해진 제1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프로세스가 발생되면 해당 프로세스를 강제종료 시킴으로써 카메라 모듈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에 있어서는,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에서 카메라 모듈의 드라이버 구동함수를 쓰레드 형태로 선점하여 미리 정해진 제1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제2 어플리케이션들이 구동 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이미지 촬영을 위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정해진 제1 어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635), 제1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어 실행되면 카메라 모듈을 활성화시킨다(S640). 그러나, 이미지 촬영을 위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제1 어플리케이션이 아니면 카메라 모듈의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고 카메라 모듈의 사용 불능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한다(S650).
다음으로,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미지가 촬영되면(S660), 이미지 촬영 시 휴대용 단말이 접속된 제2 기지국 식별정보를 제2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한다(S670).
이후, 획득된 제2 기지국 식별정보가 기지국 식별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680), 제2 기지국 식별정보가 기지국 식별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촬영된 이미지를 암호화한다(S69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촬영된 이미지는 제2 기지국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할 수 있다.
이후, 암호화된 이미지를 컨텐츠 서버로 전송한다(S70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암호화된 이미지 전송 시, 제2 기지국 식별정보, 휴대용 단말의 식별정보, 및 촬영된 이미지의 타이틀을 함께 컨테츠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은, 보안영역 내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휴대용 단말에 저장하지 않고 컨텐츠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해당 이미지의 유출을 방지한다.
한편, S670에서 제2 기지국 식별정보가 기지국 식별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촬영된 이미지를 휴대용 단말에 저장할 수 있다(S710).
다음으로, 사용자로부터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열람요청이 수신되면(S720), 수신된 열람 요청을 컨텐츠 서버로 전송한다(S730).
이후, 열람 요청에 상응하여, 컨텐츠 서버로부터 복호화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한다(S74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암호화된 이미지는 컨텐츠 서버에 의해 제2 기지국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복호화될 수 있고, 복호화된 이미지는 보안유지를 위해 컨텐츠 서버로부터 스트리밍 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은, 관리서버로부터 프로파일 및 기지국 식별정보 리스트를 다운로드 받거나, 다운로드된 프로파일 및 기지국 식별정보 리스트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 또한 휴대용 단말에 탑재되는 관리 클라이언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S800 내지 S890은 도 6에 도시된 S600 내지 S690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890에서 촬영된 이미지가 암호화되면, 암호화된 이미지를 휴대용 단말에 저장한다(S900).
이후,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열람 요청이 수신되면(S920), 이미지에 대한 열람 요청 수신 시 휴대용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제3 기지국 식별정보를 제3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한다(S930).
이후, 획득된 제3 기지국 식별정보가 기지국 식별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40). 판단결과 제3 기지국 식별정보가 기지국 식별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휴대용 단말이 보안영역 내에 있다는 것으로서 촬영된 이미지의 유출 염려가 없으므로 암호화된 이미지를 복호화하여 디스플레이 한다(S95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암호화된 이미지는 제2 기지국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복호화될 수 있다.
한편, S940에서 제3 기지국 식별정보가 기지국 식별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휴대용 단말이 보안영역 외에 있다는 것으로서 이미지의 유출 염려가 있기 때문에 암호화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한다(S960).
상술한 관리 클라이언트 또는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데, 이때 관리 클라이언트 또는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하드 디스크, CD-ROM, DVD, 롬(ROM), 램, 또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휴대용 단말 110: 관리 클라이언트
120: 관리서버 130: 컨텐츠 서버
140: 보안영역 140a~140n: 기지국
200, 500: 메모리 210, 510: 기지국 식별정보 획득부
220, 520: 제1 판단부 230, 530: 제2 판단부
250, 550: 카메라 모듈 제어부
255, 555: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니터링부
260, 560: 암호화부 280, 580: 디스플레이 제어부
540: 제3 판단부 570: 이미지 저장부

Claims (23)

  1. 휴대용 단말의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은, 상기 휴대용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Application Framework)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에 탑재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의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관리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클라이언트는, 이미지 촬영용 어플리케이션들 중 미리 정해진 제1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제2 어플리케이션이 보안영역 내에서 실행되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에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으로 생성된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시키는 제1 동작 및 상기 휴대용 단말이 보안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드라이버 구동함수의 실행을 저지하는 제2 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을 비활성화시키는 카메라 모듈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클라이언트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명칭이 미리 정해진 어플리케이션의 명칭과 동일하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명칭이 미리 정해진 어플리케이션의 명칭과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것으로 판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시스템.
  3. 휴대용 단말의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은, 상기 휴대용 단말에 포함된 하드웨어 관리, 메모리 관리, 프로세스 관리, 및 네트워킹 관리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커널(Kernel)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에 탑재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의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관리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클라이언트는, 상기 휴대용 단말이 상기 보안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커널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드라이버를 오프시켜 상기 카메라 모듈을 비활성화시키는 카메라 모듈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클라이언트는, 상기 휴대용 단말이 접속된 제1 기지국 식별정보가 상기 보안영역을 관장하는 기지국들의 식별정보가 기록된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이 상기 보안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제1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이 속하는 그룹의 프로파일(Profile)에 포함된 카메라 모듈의 이용 권한 정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보완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프로파일의 인코딩 형태 정보, 상기 프로파일의 요청에 대한 응답 형태 정보, 상기 프로파일의 버전 정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용 권한 정보, 테더링 기능의 이용 권한 정보, 와이파이(Wi-fi) 기능의 이용 권한 정보, USB 포트의 이용 권한 정보, 블루투스 기능의 이용 권한 정보, 메모리의 이용 권한 정보, 상기 휴대용 단말에 설치되어 할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상기 휴대용 단말에서 삭제되어야 할 어플리케이션 목록 리스트, 상기 휴대용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정보 및 하드웨어 정보 리스트, 상기 휴대용 단말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로그 정보 및 전송 주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은 상기 휴대용 단말의 사용자가 속하는 부서, 상기 사용자의 직책, 상기 사용자의 업무, 및 상기 사용자의 고용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비활성화된 카메라 모듈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사용 불능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 불능 메시지가 상기 휴대용 단말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클라이언트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용한 이미지 촬영 시 상기 휴대용 단말이 접속된 제2 기지국 식별정보가 상기 보안영역을 관장하는 기지국들의 식별정보가 기록된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이미지가 상기 보안영역 내에서 촬영된 것으로 판단하는 제2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클라이언트는, 상기 보안영역 내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촬영 시 상기 휴대용 단말이 접속된 제2 기지국 식별정보로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이미지를 상기 제2 기지국 식별정보, 상기 휴대용 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이미지의 타이틀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암호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시스템.
  11.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클라이언트는, 상기 휴대용 단말이 접속되는 기지국들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기지국 식별정보 획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시스템.
  12.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클라이언트는, 컨텐츠 서버로 상기 보안영역 내에서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열람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이미지를 스트리밍 형태로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시스템.
  13.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클라이언트는,
    상기 보안영역 내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촬영 시 상기 휴대용 단말이 접속된 제2 기지국 식별정보로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암호화부;
    상기 이미지에 대한 열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보안영역을 관장하는 기지국들의 식별정보가 기록된 리스트에 상기 열람 요청 수신 시 상기 휴대용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제3 기지국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 판단부; 및
    상기 제3 기지국 식별정보가 상기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이미지를 상기 제2 기지국 식별정보로 복호화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시스템.
  1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시스템은,
    상기 관리 클라이언트, 상기 휴대용 단말이 속하는 그룹의 프로파일, 상기 보안영역을 관장하는 기지국의 식별정보가 기록된 리스트를 상기 휴대용 단말로 제공하며,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파일이나 상기 리스트의 버전에 따라 상기 프로파일이나 상기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관리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시스템.
  1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시스템은,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암호화된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의 열람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암호화된 이미지를 복호화하여 스트리밍 형태로 상기 휴대용 단말로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시스템.
  16. 보안영역을 관장하는 기지국들의 식별정보가 기록된 리스트에 상기 휴대용 단말이 접속된 제1 기지국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이 속하는 그룹의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의 카메라 모듈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
    이미지 촬영용 어플리케이션들 중 미리 정해진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미지가 촬영되면, 상기 리스트에 상기 이미지 촬영 시 상기 휴대용 단말이 접속된 제2 기지국 식별정보의 포함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이미지를 상기 제2 기지국 식별정보로 암호화하여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 대한 열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열람 요청을 상기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서버에 의해 복호화된 이미지를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스트리밍 형태로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에 포함된 카메라 모듈의 이용 권한 정보를 통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용 권한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을 비활성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의 구동 시스템을 구성하는 커널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드라이버를 오프시키는 제1 동작, 상기 구동 시스템을 구성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상에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으로 생성된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시키는 제2 동작,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상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드라이버 구동함수의 실행을 저지하는 제3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의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프로파일 및 상기 리스트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프로파일이나 상기 리스트의 버전이 상기 관리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파일 및 리스트의 버전과 다른 경우 상기 프로파일이나 상기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제2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의 비활성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사용 불능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
  22. 보안영역 내에서 미리 정해진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미지가 촬영되면, 상기 보안영역을 관장하는 기지국들의 식별정보가 기록된 리스트에 상기 이미지 촬영 시 상기 휴대용 단말이 접속된 제1 기지국 식별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포함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를 상기 제1 기지국 식별정보로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 대한 열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리스트에 상기 이미지에 대한 열람 요청 수신 시 상기 휴대용 단말이 접속된 제2 기지국 식별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포함되지 않은 경우, 열람 요청된 이미지를 상기 제1 기지국 식별정보로 복호화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제1 기지국 식별정보의 포함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휴대용 단말이 상기 보안영역 내에 위치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의 커널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드라이버를 오프시키는 제1 동작, 상기 휴대용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에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으로 생성된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시키는 제2 동작,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드라이버 구동함수의 실행을 저지하는 제3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
KR1020110072623A 2011-07-21 2011-07-21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284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623A KR101284451B1 (ko) 2011-07-21 2011-07-21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623A KR101284451B1 (ko) 2011-07-21 2011-07-21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459A true KR20130011459A (ko) 2013-01-30
KR101284451B1 KR101284451B1 (ko) 2013-08-23

Family

ID=47840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623A KR101284451B1 (ko) 2011-07-21 2011-07-21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44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364B1 (ko) * 2015-07-22 2016-11-07 주식회사 엔에스에이치씨 메모리 정보에 대한 접근 감지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보안을 향상시키는 보안 제공 방법
CN106454092A (zh) * 2016-10-14 2017-02-22 韩斌 一种针对无影像摄取权限用户的终端拍照智能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540B1 (ko) * 2017-05-30 2017-11-03 국방과학연구소 모바일 촬영 및 녹음을 위한 mdm/mal연동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049B1 (ko) * 2008-03-10 2010-11-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특정 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시스템 및 장치
KR101012872B1 (ko) * 2009-09-16 2011-02-08 주식회사 팬택 플랫폼 보안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364B1 (ko) * 2015-07-22 2016-11-07 주식회사 엔에스에이치씨 메모리 정보에 대한 접근 감지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보안을 향상시키는 보안 제공 방법
CN106454092A (zh) * 2016-10-14 2017-02-22 韩斌 一种针对无影像摄取权限用户的终端拍照智能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4451B1 (ko) 201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0746B2 (en) Network connection metho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terminal
US10375116B2 (en)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server control for access to mobile client data
KR10184428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정보에 기반한 휴대 단말기의 보안 관리 방법 및 장치
US88131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 partially viewed media content file
KR101735306B1 (ko)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US10945019B2 (en) Video uploading method, camera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101244037B1 (ko) 휴대용 단말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EP2985979B1 (en) Method and terminal for backing up data
US20140032647A1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device
CN104883540A (zh) 一种基于中标麒麟操作系统的视频监控客户端系统
KR101284451B1 (ko)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10705982B2 (en) Securing stream buffers
US20190037612A1 (en) Connecting method to an information capture device
KR101210193B1 (ko)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6091854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
CN106776057B (zh) 事件处理方法及装置
KR20160066493A (ko) 홈 네트워크에서 콘텐츠 공유를 위한 동작 방법 및 시스템
JP2015225475A (ja) アクセス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970366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plug-in by a router and the router thereof
US118249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force running of remote support, and client for executing the same
KR101269095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 장치 및 그 구현 방법
CN112463429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
EP3313110A1 (en) A method and an application for managing functionalities of a mobile device
CN117998529A (zh) 配网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6301696A (zh) 一种处理方法、系统及第一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