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1392A - 충전 기능을 가지는 카멀티미디어 일체형 휴대단말기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충전 기능을 가지는 카멀티미디어 일체형 휴대단말기 거치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1392A
KR20130011392A KR1020110072526A KR20110072526A KR20130011392A KR 20130011392 A KR20130011392 A KR 20130011392A KR 1020110072526 A KR1020110072526 A KR 1020110072526A KR 20110072526 A KR20110072526 A KR 20110072526A KR 20130011392 A KR20130011392 A KR 20130011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harging
portable terminal
hold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성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성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성엘텍
Priority to KR1020110072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1392A/ko
Publication of KR20130011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3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record carriers apparatus, e.g. video recorders, tape players or CD play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 장치를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충전단자를 가지는 케이스 겸용의 휴대용 단말기 홀더에 휴대단말기를 결합 구성하는 한편, 차량의 카오디오 헤드유닛에 충전단자를 가지는 수납홈을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사용자가 외부 활동시에는 케이스 겸용의 휴대용 단말기 홀더로 휴대단말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 탑승시에는 휴대단말기가 결합된 단말기 홀더를 수납하여 휴대단말기의 거치는 물론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고, 특히 멀티소켓이나 충전케이블 사용에 따라 제기되는 종래의 문제들인 차량 실내의 지저분함과 안전운전 방해는 물론, 소모품의 구매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장치{Vehicless portable terminal holder device whose charging is possible}
본 발명은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단자를 가지는 케이스 겸용의 휴대용 단말기 홀더에 휴대단말기(예; 스마트폰)를 결합시켜 외부 활동시 휴대단말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의 카오디오 헤드유닛(head unit)에는 충전단자를 가지는 수납홈을 구성하여 휴대단말기가 결합된 단말기 홀더가 수납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차량 탑승시에는 휴대단말기의 거치는 물론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개발되어 그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각종 정보 검색 및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하는 기능 등을 제공하는 휴대용의 정보 단말기이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휴대가 간편한 장점으로 인해 그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고, 차량내에서도 그 사용이 가능하며, 차량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거치대가 개발되었다.
즉, 휴대단말기의 차량용 거치대는 자석을 이용한 거치방식이나 끼움 방식에 의한 거치방식이 있으며, 이러한 거치대는 차량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별매품으로서 사용자가 별도 구매해야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자석을 이용한 거치방식은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금속판을 부착하고, 차량내의 패널(또는 유리면)에 흡착부재를 이용하여 부착하거나 또는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자석 내장형의 거치대 이다.
그리고, 상기 끼움방식의 거치대는 거치대의 양단에 후크를 두어 휴대단말기의 이탈을 방지시키도록 한 것이다.
한편, 종래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중에는 충전이 가능한 핸즈프리 단말기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핸즈프리 단말기는 충전케이블을 통해 차량의 시거잭 단자에 연결되는 것이며, 이에따라 핸즈프리 단말기에 휴대단말기를 거치하게 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에 대한 충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차량용 거치대는 물론, 핸즈프리 단말기는 차량내에 한번 고정하면 그 분리가 상당히 어려운 관계로, 휴대단말기를 보호하는 케이스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핸즈프리 단말기를 통해 휴대단말기를 충전하는 경우, 충전케이블 단자를 차량의 시거잭에 연결시켜야 하는데, 이 경우 차량내에서 각종 편의장치(예; MP3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단말기 등)를 여러개 사용할 경우 시거잭으로의 연결이 불가능하므로, 그 연결을 위해서는 멀티소켓을 구매한 후 이를 차량 시거잭에 연결하고, 다시 멀티소켓에 핸즈프리 단말기를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특히 여러개의 편의장치와 함께 핸즈프리 단말기의 충전케이블 단자를 통해 멀티소켓에 연결할 경우에는 여러개의 충전케이블을 정렬 고정해야 하는데, 만약 케이블 정렬이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에는 차량 내부가 지저분해지면서 운전에 방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충전단자를 가지는 케이스 겸용의 휴대용 단말기 홀더에 휴대단말기를 결합 구성하는 한편, 차량의 카오디오 헤드유닛에 충전단자를 가지는 수납홈을 구성함으로써, 외부 활동시에는 케이스 겸용의 휴대용 단말기 홀더로 휴대단말기를 보호하고, 차량 탑승시에는 휴대단말기가 결합된 단말기 홀더를 수납하여 휴대단말기의 거치는 물론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 장치는, 차량의 카오디오 헤드유닛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차량배터리와 연결되는 제 1 충전단자를 형성하는 단말기 수납부; 충전/통신 단자를 가지는 휴대단말기가 안착되는 안착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휴대단말기를 보호하는 단말기 홀더; 상기 단말기홀더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충전/통신 단자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충전단자; 및, 상기 단말기 홀더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단말기 홀더가 상기 단말기 수납부로 삽입시, 상기 단말기 수납부의 제 1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3 충전단자;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3 충전단자는 30핀 또는 24핀 또는 20핀 중 어느 하나의 충전단자이고, 상기 제 2 충전단자와 상기 충전/통신 단자는 마이크로 5핀 충전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단말기 홀더에 구성되는 상기 제 2,3 충전단자의 사이에는 전원변환부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카오디오 헤드유닛의 일단에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는 상기 단말기 홀더가 상기 단말기 수납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충전단자와 상기 제 3 충전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상기 제 1,3 충전단자의 전기적 연결에 따른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형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충전단자를 가지는 케이스 겸용의 휴대용 단말기 홀더에 휴대단말기를 결합 구성하는 한편, 차량의 카오디오 헤드유닛에 충전단자를 가지는 수납홈을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사용자가 외부 활동시에는 케이스 겸용의 휴대용 단말기 홀더로 휴대단말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 탑승시에는 휴대단말기가 결합된 단말기 홀더를 수납하여 휴대단말기의 거치는 물론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고, 특히 멀티소켓이나 충전케이블 사용에 따라 제기되는 종래의 문제들인 차량 실내의 지저분함과 안전운전 방해는 물론, 소모품의 구매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단말기 홀더와 휴대단말기의 분리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단말기 홀더와 휴대단말기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휴대단말기가 결합된 단말기홀더와 카오디오 헤드유닛의 분리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휴대단말기가 결합된 단말기홀더와 카오디오 헤드유닛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휴대단말기가 분리된 단말기홀더와 카오디오 헤드유닛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단말기 홀더와 휴대단말기의 분리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단말기 홀더와 휴대단말기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휴대단말기가 결합된 단말기홀더와 카오디오 헤드유닛의 분리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휴대단말기가 결합된 단말기홀더와 카오디오 헤드유닛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휴대단말기가 분리된 단말기홀더와 카오디오 헤드유닛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장치는, 단말기 수납부(10), 단말기 홀더(20), 제 2,3 충전단자(30)(40), 전원변환부(50), 표시부(60)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 수납부(10)는 차량의 카오디오 헤드유닛(100)에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차량배터리(미도시)와 연결되면서 휴대단말기(200)를 충전할 수 있는 제 1 충전단자(11)가 형성된다.
상기 단말기 홀더(20)는 충전/통신 단자(201)를 가지는 휴대단말기(200)가 안착되는 안착홈부(21)를 형성한 것으로, 휴대가 가능하며, 상기 휴대단말기(200)를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단말기 홀더(20)는 상기 휴대단말기(200)가 안착된 상태 또는 안착되지 않더라도, 상기 단말기 수납부(10)에 끼움 방식으로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제 2 충전단자(30)는 상기 단말기홀더(2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충전/통신 단자(201)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제 2 충전단자(30)와 상기 충전/통신 단자(201)는 마이크로 5핀 충전단자(예; 5V의 출력전압)로 서로 통일되게 구성된다.
상기 제 3 충전단자(40)는 상기 단말기 홀더(20)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2 충전단자(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단말기 홀더(20)가 상기 단말기 수납부(10)로 삽입시, 상기 단말기 수납부(10)의 제 1 충전단자(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 제 1,3 충전단자(11)(40)는 30핀 또는 24핀 또는 20핀 중 어느 하나의 충전단자(예; 4.2V의 출력전압)로 서로 통일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전원변환부(50)는 상기 단말기 홀더(20)의 상기 제 2,3 충전단자(30)(40)의 사이에 구성되는 것으로, 차량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이 제 1,3 충전단자(11)(40)로 공급된 후 4.2V의 충전전압이 출력될 때, 상기 출력되는 4.2V의 충전전압을 5V의 충전전압으로 변환한 후 이를 제 2 충전단자(30)로 출력하는 것이며, 이에따라 상기 제 2 충전단자(30)와 결합되는 충전/통신 단자(201)를 통해 휴대단말기(200)에서 필요로 하는 충전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표시부(60)는 상기 카오디오 헤드유닛(100)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충전단자(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휴대단말기(200)가 결합되는 상기 단말기 홀더(20)가 상기 단말기 수납부(10)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충전단자(11)와 상기 제 3 충전단자(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상기 제 1,3 충전단자(11)(40)의 전기적 연결에 따른 충전량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우선 단말기 홀더(20)의 안착홈부(21)에 휴대단말기(200)를 거치시키면, 상기 안착홈부(21)내의 제 2 충전단자(30)는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충전/통신 단자(201)와 결합되며, 이에따라 상기 휴대단말기(200)는 케이스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단말기 홀더(2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단말기 홀더(20)의 안착홈부(21)에 휴대단말기(200)가 안착된 상태에서, 시동이 걸린 차량내에서 상기 휴대단말기(200)에 대한 전원충전을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홀더(20)를 카오디오 헤드유닛(100)의 단말기 수납부(10)에 삽입시킨다.
그러면, 상기 단말기홀더(20)가 상기 단말기 수납부(10)로 삽입될 때, 상기 단말기 홀더(20)의 제 3 충전단자(40)는 상기 단말기 수납부(10)내에 구성되는 제 1 충전단자(11)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에따라 상기 단말기 홀더(20)에 안착되는 휴대단말기(200)는 차량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 충전단자(11)는 차량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충전단자(11)에 제 3 충전단자(40)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상기 차량배터리의 전원은 제 1,3 충전단자(11)(40)를 통해 제 2 충전단자(30)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제 2,3 충전단자(30)(40)의 사이에 형성되는 전원변환부(50)는 상기 차량배터리의 전원을 휴대단말기(200)가 필요로 하는 전원으로 그 출력전압을 조정한 후 이를 상기 제 2 충전단자(30)로 공급하게 되는 바,
상기 제 2 충전단자(30)에 충전/통신 단자(201)가 전기적인 연결상태를 유지시, 상기 충전/통신 단자(201)를 가지는 휴대단말기(200)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기(200)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질 때, 그 충전상태는 상기 카오디오 헤드유닛(100)에 형성되는 표시부(60)에 의해 표시됨으로써, 차량 탑승자는 차량내에서 휴대단말기(200)에 대한 충전상태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6과 같이, 상기 단말기 홀더(20)에 휴대단말기(200)를 결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단말기 홀더(20)를 단말기 수납부(10)에 수납시킬 수 있으며, 이때 단말기 수납부(10)에 수납되는 단말기 홀더(20)에 휴대단말기(200)를 삽입하여, 상기 휴대단말기(200)에 대한 충전이 진행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단말기 수납부 11; 제 1 충전단자
20; 단말기 홀더 21; 안착홈부
30; 제 2 충전단자 40; 제 3 충전단자
50; 전원변환부 60; 표시부
100; 카오디오 헤드유닛 200; 휴대단말기
201; 충전/통신 단자

Claims (3)

  1. 차량의 카오디오 헤드유닛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차량배터리와 연결되는 제 1 충전단자를 형성하는 단말기 수납부;
    충전/통신 단자를 가지는 휴대단말기가 안착되는 안착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휴대단말기를 보호하는 단말기 홀더;
    상기 단말기홀더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충전/통신 단자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충전단자; 및,
    상기 단말기 홀더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단말기 홀더가 상기 단말기 수납부로 삽입시, 상기 단말기 수납부의 제 1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3 충전단자;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3 충전단자는 30핀 또는 24핀 또는 20핀 중 어느 하나의 충전단자이고, 상기 제 2 충전단자와 상기 충전/통신 단자는 마이크로 5핀 충전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단말기 홀더에 구성되는 상기 제 2,3 충전단자의 사이에는 전원변환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오디오 헤드유닛의 일단에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는 상기 단말기 홀더가 상기 단말기 수납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충전단자와 상기 제 3 충전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상기 제 1,3 충전단자의 전기적 연결에 따른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장치.
KR1020110072526A 2011-07-21 2011-07-21 충전 기능을 가지는 카멀티미디어 일체형 휴대단말기 거치장치 KR201300113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526A KR20130011392A (ko) 2011-07-21 2011-07-21 충전 기능을 가지는 카멀티미디어 일체형 휴대단말기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526A KR20130011392A (ko) 2011-07-21 2011-07-21 충전 기능을 가지는 카멀티미디어 일체형 휴대단말기 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392A true KR20130011392A (ko) 2013-01-30

Family

ID=47840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526A KR20130011392A (ko) 2011-07-21 2011-07-21 충전 기능을 가지는 카멀티미디어 일체형 휴대단말기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13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0069A (ko) * 2014-06-05 2015-12-15 박남태 차량용 오디오 및 공조제어를 위한 태블릿pc 매립장치
US9473607B2 (en) 2013-12-26 2016-10-18 Hyundai Motor Company Mobile phone holder for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73607B2 (en) 2013-12-26 2016-10-18 Hyundai Motor Company Mobile phone holder for vehicle
KR20150140069A (ko) * 2014-06-05 2015-12-15 박남태 차량용 오디오 및 공조제어를 위한 태블릿pc 매립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2567B2 (en) Battery charger stand set for motor vehicle
US10075000B2 (en) Safety circuit for multi-function portable power charger
JP6110956B2 (ja) 充電変換アダプタを携帯でき且つ二次元バーコードの識別をサポートするモバイル電源
US9559533B2 (en) Detachable charging system for a vehicle
JP3148046U (ja) 携帯型給電装置
US20090051312A1 (en) Battery charger
KR200482089Y1 (ko) 휴대단말기 충전거치대
US10601224B1 (en) Power supply attachment
WO2017080367A1 (zh) 具数据传输及充放电一体化功能的背夹式移动电源
US20060202702A1 (en) Headset charging system with interchargeable charge devices
KR20110136327A (ko) 보호케이스와 착탈이 가능한 휴대용단말기 보조 전원공급 장치
US20150346773A1 (en) Extendable auxiliary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having a portable terminal-supporting function
KR20170043866A (ko) 무선충전 보조배터리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KR20130011392A (ko) 충전 기능을 가지는 카멀티미디어 일체형 휴대단말기 거치장치
US20150288203A1 (en) Portable battery charger
KR101561069B1 (ko) 보조 배터리 겸용 충전 거치대
KR101516321B1 (ko) 스마트폰용 전원공급장치
US7990104B2 (en) Mobile charger receptacle configured with universal serial bus (USB), cigarette lighter adapter (CLA) plug and control firmware
CN208257908U (zh) 一种多功能手机壳
US20140292255A1 (en) Usb charging structure of mobile power pack
KR101561050B1 (ko) 보조 배터리 겸용 충전 거치대
KR20150011563A (ko) 충전용 스마트 푸드 유닛
CN219893436U (zh) 一种内置耳机带线充电装置
KR102232933B1 (ko) 보조 배터리
CN203278284U (zh) 便携设备应急电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