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1385A - 충격감지장치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충격감지장치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1385A
KR20130011385A KR1020110072512A KR20110072512A KR20130011385A KR 20130011385 A KR20130011385 A KR 20130011385A KR 1020110072512 A KR1020110072512 A KR 1020110072512A KR 20110072512 A KR20110072512 A KR 20110072512A KR 20130011385 A KR20130011385 A KR 20130011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or
substrate
guide
mount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철진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2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1385A/ko
Publication of KR20130011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3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01L19/142Multiple part housings
    • G01L19/143Two part hou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5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measuring forces due to impa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감지장치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충격감지장치는 하우징(50)과 커넥터부(60)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50)에는 결합바아부(5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바아부(51)에는 부싱(54)이 삽입된 장착공(5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바아부(51)는 압착기에 결합되는 부분이고, 충격감지장치의 사용시에는 차체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하우징(50)의 내면에는 안내고정리브(58)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부(60)의 삽입부(66)에는 상기 안내고정리브(58)가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는 삽입안내슬롯(7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안내슬롯(72)을 따라 이동되는 안내고정리브(58)는 상기 삽입부(66)의 내부에 형성된 장착공간(68)의 내부로 기판(74)을 밀어 삽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우징(50)을 압착기에 장착한 상태로 상기 기판(74)을 커넥터부(60)의 삽입부(66)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충격감지장치의 조립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충격감지장치 및 그 조립방법{Shock detecting apparatus and assembling method}
본 발명은 충격감지장치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위치에 장착되어 그 장착된 부분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충격감지신호를 제공하는 충격감지장치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충격감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충격감지장치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의 후단으로 개방되게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선단은 후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납작하게 형성되고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 선단에는 장착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공(12)에는 부싱(14)이 설치된다. 상기 장착공(12)의 부싱(14)을 관통하여서는 볼트가 설치되어 장착부분, 예를 들면 차량의 차체에 체결되어 충격감지장치가 차량의 차체에 장착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10)의 후단으로 개방되는 공간에는 커넥터부(16)가 결합된다. 상기 커넥터부(16)는 충격감지장치와 외부와의 신호전달을 위한 커넥터(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커넥터부(16)에는 연결부(17)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17)는 상기 커넥터가 연결되는 부분으로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연결부(17)의 내부에는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7')이 일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17)의 후단에는 결합판(18)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의 후단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판(18)은 상기 하우징(10)에 초음파용착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결합판(18)에서 상기 연결부(17) 반대쪽으로 돌출되어서는 삽입부(19)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부(19)는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삽입부(19)의 내부에는 장착공간(20)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간(20)의 내면에는 삽입안내리브(22)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삽입안내리브(22)는 기판(24)이 상기 장착공간(20)으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기판(24)은 충격감지장치의 구동을 위한 각종 부품들이 장착된다. 예를 들면 센서칩(26)이 일면에 실장되어 그 내부의 회로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기판(24)에는 또한 단자(28)가 설치된다. 상기 단자(28)는 일단부가 상기 기판(24)에 장착되고 타단부가 상기 연결부(17)의 삽입공간(17') 내에 위치하여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충격감지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그(30)를 사용하여 상기 커넥터부(16)의 장착공간(20)내에 기판(24)과 단자(28)를 삽입하게 된다. 즉, 상기 지그(30)는 대략 판상의 지그몸체(32)가 있고, 그 배면에는 결합바아(3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바아(34)는 압착기(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결합공(36)을 가진다. 상기 결합공(36)에 상기 압착기의 결합을 위한 구성이 삽입되어 상기 지그(30)를 압착기에 고정하게 된다. 상기 지그몸체(32)의 전면에는 누름구(38)가 구비되어 상기 기판(24)이 상기 장착공간(20) 내부로 밀리게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상기 하우징(10)에 상기 커넥터부(16)를 결합하기 전에 지그(30)를 사용하여 상기 기판(24)이 상기 장착공간(20)의 내부로 삽입되게 하고, 상기 단자(28)가 상기 기판(24)에 압입되도록 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지그(30)에서 상기 커넥터부(16)를 분리하고, 상기 하우징(10)을 결합한 후에, 초음파용착공정을 수행해서 상기 커넥터부(16)와 하우징(10)이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공정에서는 상기 지그(30)를 반드시 사용해야 하고, 상기 지그(30)에서 상기 커넥터부(16)를 분리하여 다시 하우징(10)과 커넥터부(16)를 결합하기 위한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전체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립과정에서 하우징이 지그의 역할을 수행하는 충격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압착기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결합바아부를 관통하여 장착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일측으로 개방되게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와 반대쪽으로 돌출되어 상대 커넥터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가지는 커넥터부와, 기 삽입부의 내부에 형성된 장착공간이나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내에 설치되고 충격감지를 위한 센서칩이 실장되는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과 상기 커넥터부의 삽입부에 형성된 장착공간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과 커넥터부 사이의 결합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이나 커넥터부중 어느 일측에 삽입안내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안내슬롯이 형성된 반대쪽의 커넥터부나 하우징중 어느 일측에는 안내고정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안내슬롯을 따라 안내되어 선단이 상기 기판을 눌러주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내면에는 상기 안내고정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부의 삽입부에는 상기 안내고정리브가 삽입되는 삽입안내슬롯이 내외부를 관통하게 형성되며, 상기 기판은 상기 삽입부 내부에 형성된 장착공간에 장착된다.
상기 안내고정리브와 삽입안내슬롯은 상기 하우징과 커넥터부의 결합방향이 일정하게 되도록 그 위치와 갯수가 설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충격감지장치를 조립하는 충격감지장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결합바아부를 압착기에 고정하고 상기 커넥터부의 장착공간 입구에 기판을 위치시키는 준비단계와, 상기 압착기를 동작시켜 상기 하우징으로 상기 기판을 커넥터부의 장착공간의 내부로 밀어넣는 삽입단계와, 상기 기판이 상기 커넥터부의 장착공간에 완전히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커넥터부와 조립되는 조립완료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단게에서는 상기 기판은 상기 커넥터부의 삽입안내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된 안내고정리브에 의해 밀려져 상기 커넥터부의 장착공간 내부로 들어간다.
본 발명에 의한 충격감지장치 및 그 조립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충격감지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일부를 압착기에 장착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 하우징을 압착기에 직접 장착하고 커넥터부의 장착공간에 하우징을 사용하여 기판과 단자를 삽입하도록 하였으므로, 별도의 지그가 없어도 되어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이 압착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직접 커넥터부의 장착공간에 기판과 단자를 눌러 삽입하므로 커넥터부의 장착공간에 기판을 삽입한 후에 다시 하우징과 커넥터부를 조립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체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충격감지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충격감지장치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충격감지장치의 조립과정을 일부를 보인 작업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감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넥터부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충격감지장치 및 그 조립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충격감지장치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5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50)은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50)의 선단에는 결합바아부(51)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바아부(51)는 전체 충격감지장치를 차량의 차체에 체결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고 또 조립시에 압착기에 하우징(50)을 체결하기 위한 역할도 수행한다. 상기 결합바아부(51)는 압착기에 장착하기에 좋은 형상을 가지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이 대략 사각형인 바아 형상이다.
상기 하우징(50) 선단에 해당되는 상기 결합바아부(51)에는 장착공(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공(52)에는 부싱(54)이 설치된다. 상기 장착공(52)의 부싱(54)을 관통하여서는 볼트(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체결구가 설치된다. 상기 볼트는, 예를 들면 차량의 차체에 체결되어 충격감지장치가 차량의 차체 또는 압착기에 장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장착공(52)의 형성방향은 하우징(5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고, 아래에서 설명될 기판(74)의 표면에 대해서 평행한 방향이다.
상기 하우징(5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56)이 형성되는데, 상기 내부공간(56)은 상기 하우징(50)의 후단으로 개방된다. 상기 내부공간(56)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된다. 물론, 상기 내부공간(56)이 반드시 육면체 형상으로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내부공간(56)의 내면에는 상기 하우징(50)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안내고정리브(58)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내고정리브(58)는 횡단면이 사각형상으로 되는데,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상기 안내고정리브(58)는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공간(56)의 길이방향 일부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길게 형성되어 있는데,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으며,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안내고정리브(58)는 상기 내부공간(56)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 이는 상기 안내고정리브(58)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부(60)의 삽입안내슬롯(72)에 삽입되는데, 상기 하우징(50)과 커넥터부(60)의 삽입방향이 특정하게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하우징(50)과 커넥터부(60)의 삽입방향이 달리되면 상기 안내고정리브(58)가 삽입안내슬롯(72)과 대응되지 않는 위치에 있게 되어 결합이 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50)의 내부공간(56)에는 커넥터부(60)가 결합된다. 상기 커넥터부(60)도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커넥터부(60)는 충격감지장치와 외부와의 신호전달을 위한 커넥터(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커넥터부(60)에는 연결부(62)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62)는 상기 하우징(50)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으로, 내부에는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공간(62')이 일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62)의 후단에는 결합판(64)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50)의 후단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판(64)의 형상은 상기 커넥터부(60)의 외면에서 소정 길이 돌출되어 커넥터부(60)의 외면을 둘러 위치되는 판형상이다. 상기 결합판(64)의 외곽만을 보면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이는 상기 하우징(50)의 내부공간(56) 입구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형상이다. 따라서, 만약 상기 하우징(50)의 내부공간(56) 입구 가장자리의 형상이 원형으로 되면 결합판(64)은 원판형상으로 된다. 상기 결합판(64)은 상기 하우징(50)에 초음파용착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결합판(64)에서 상기 연결부(62) 반대쪽으로 돌출되어서는 삽입부(66)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부(66)는 상기 하우징(50)에 형성된 내부공간(56)으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삽입부(66)의 내부에는 장착공간(68)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간(68)의 내측에는 안착단(69)이 내면을 둘러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69)은 아래에서 설명될 기판(74)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장착공간(68)의 내면에는 삽입안내리브(70)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삽입안내리브(70)는 아래에서 설명될 기판(74)이 상기 장착공간(68)으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삽입안내리브(70)는 서로 마주보는 장착공간(68)의 내면에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어 기판(74)의 삽입방향이 특정한 방향으로만 되게 한다. 상기 삽입안내리브(70)는 상기 장착공간(68)의 내측까지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삽입안내리브(70)의 선단은 도 5에서 잘 볼 수 있듯이 곡면으로 되어 있다. 이는 상기 삽입안내리브(70)의 선단이 기판(74)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고 보다 원활한 삽입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상기 삽입부(66)에는 상기 삽입안내리브(70)의 연장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안내슬롯(7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안내슬롯(72)은 상기 삽입부(66)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데, 삽입부(66)의 내외부를 관통하도록 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50)의 안내고정리브(58)가 삽입안내슬롯(72)을 통해 상기 삽입부(66)의 내외부를 관통하여 위치하게 된다.
상기 삽입안내슬롯(72)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공간(68)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 각각 하나씩 있도록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삽입안내슬롯(72)은 상기 안내고정리브(58)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우징(50)과 커넥터부(60)의 조립방향을 안내할 수 있도록 그 위치와 갯수가 달리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66)의 장착공간(68)에는 기판(74)이 설치된다. 상기 기판(74)이 설치되는 것은 그 양측 표면이 상기 하우징(50)의 전후방향을 각각 향하도록 된다. 즉, 상기 하우징(5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이 상기 기판(74)의 표면을 직교하게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기판(74)은 상기 장착공간(68)의 횡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판 형상으로 기판(74)이 만들어진다. 상기 기판(74)의 외면을 둘러서는 다수개의 기판슬릿(74')이 형성된다. 상기 기판슬릿(74')은 상기 삽입안내리브(7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기판(74)이 장착공간(68)에 삽입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판(74)에는 충격감지장치의 구동을 위한 각종 부품들이 장착된다. 예를 들면 센서칩(76)이 일면에 실장되어 그 내부의 회로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기판(74)에는 또한 단자(78)가 설치된다. 상기 단자(78)는 일단부가 상기 기판(74)에 장착되고 타단부가 상기 연결부(62)의 삽입공간(62') 내에 위치하여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감지장치가 조립되고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충격감지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품들로 구성되는데, 조립과정에서 상기 하우징(50)을 사용하여 상기 기판(74)을 상기 커넥터부(60)의 장착공간(68)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상기 커넥터부(60)의 장착공간(68)의 입구에 기판(74)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압착기에 상기 하우징(50)의 결합바아부(51)가 결합되게 한다. 이때, 상기 결합바아부(51)의 장착공(52)을 사용하여 하우징(50)이 압착기에 장착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50)이 상기 압착기에 의해 상기 커넥터부(60)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커넥터부(60)의 장착공간(68)으로 상기 기판(74)을 밀어 넣게 된다. 상기 기판(74)이 상기 장착공간(68)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은 상기 기판(74)의 기판슬릿(74')이 상기 커넥터부(60)의 삽입부(66)내에 형성된 삽입안내리브(70)의 선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66)의 상기 장착공간(68) 내부로 밀어 넣으면 된다. 상기 기판(74)의 삽입은 상기 안착단(69)에 안착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상기 기판(74)은 상기 기판슬릿(74')과 상기 삽입안내리브(70)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또한 방향이 달라졌을 때, 서로가 대응되는 위치에 있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74)은 상기 기판슬릿(74')과 상기 삽입안내리브(70)에 의해 상기 장착공간(68)내에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방향으로 있게 된다.
상기 기판(74)이 상기 장착공간(68) 내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면, 상기 단자(78)의 일단부는 상기 기판(74)에 형성된 통홀(도면부호 부여 않음)에 압입된 상태가 된다. 물론, 상기 단자(78)는 상기 커넥터부(60)의 장착공간(68)에 일단부가 위치되고 타단부가 삽입공간(62')에 위치하도록 커넥터부(60)의 사출성형시에 미리 금형 내에 인서트되어 일체로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커넥터부(60)의 사출성형 후에 상기 단자(78)가 상기 커넥터부(60)에 삽입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기판(74)에 단자(78)의 일단부가 압입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기판(74)과 함께 상기 장착공간(68)의 내부로 들어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기판(74)을 상기 장착공간(68)의 내부로 밀어주는 것은 상기 하우징(50)이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50)은 상기 기판(74)이 상기 장착공간(68)의 안착단(69)에 안착되는 순간에 상기 커넥터부(60)와의 조립이 완성된다. 참고로, 이 상태에서는 상기 커넥터부(60)와 하우징(50)이 서로 결합된 것은 아니고, 상기 커넥터부(60)와 하우징(50)는 초음파용착공정을 거쳐 서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성된 충격감지장치는 압착기에서 상기 하우징(50)의 결합바아부(51)를 분리하여 초음파용착공정으로 넘겨진다. 물론, 상기 압착기에서 초음파용착공정까지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초음파용착공정까지 진행할 수도 있다.
조립이 완성된 충격감지장치는 상기 장착공(52)에 볼트나 나사가 체결되어 차체에 결합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차체에 충격이 가해지면 이를 상기 기판(74)의 센서칩(76)이 감지하여 상기 커넥터부(60)의 연결부(62)에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를 통해 외부로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충격감지장치는 예를 들면 에어백의 작동을 위한 센서로 사용될 수 있다. 차체에 충격이 가해지면 이를 센서칩(76)이 감지하고, 그 신호를 커넥터부(60)에 결합된 상대 커넥터를 통해 전달하여 에어백이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판(64)이 상기 하우징(50)에 초음파용착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하지만, 상기 하우징(50)에 상기 결합판(64)이 나사로 체결되거나 하우징(50)이나 결합판(64)에 일체로 형성된 탄성변형가능한 결합구조에 의해 하우징(50)과 결합판(64)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50)의 내부공간(56)에 상기 커넥터부(60)의 삽입부(66)가 삽입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반대로 상기 하우징(50)이 상기 삽입부(66)의 장착공간(68)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판(74)은 상기 내부공간(56)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50)에 삽입안내슬롯(7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66)의 내면에 안내고정리브(58)가 형성되는 것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50: 하우징 51: 결합바아부
52: 장착공 54: 부싱
56: 내부공간 58: 안내고정리브
60: 커넥터부 62: 연결부
64: 결합판 66: 삽입부
68: 장착공간 69: 안착단
70: 삽입안내리브 72: 삽입안내슬롯
74: 기판 74': 기판슬릿
78: 단자

Claims (6)

  1. 압착기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결합바아부를 관통하여 장착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일측으로 개방되게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와 반대쪽으로 돌출되어 상대 커넥터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가지는 커넥터부와,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 형성된 장착공간이나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내에 설치되고 충격감지를 위한 센서칩이 실장되는 기판을 포함하는 충격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과 상기 커넥터부의 삽입부에 형성된 장착공간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과 커넥터부 사이의 결합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이나 커넥터부중 어느 일측에 삽입안내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안내슬롯이 형성된 반대쪽의 커넥터부나 하우징중 어느 일측에는 안내고정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안내슬롯을 따라 안내되어 선단이 상기 기판을 눌러주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감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내면에는 상기 안내고정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부의 삽입부에는 상기 안내고정리브가 삽입되는 삽입안내슬롯이 내외부를 관통하게 형성되며, 상기 기판은 상기 삽입부 내부에 형성된 장착공간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감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고정리브와 삽입안내슬롯은 상기 하우징과 커넥터부의 결합방향이 일정하게 되도록 그 위치와 갯수가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감지장치.
  5.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4항 중 어느 한 항의 충격감지장치를 조립하는 충격감지장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결합바아부를 압착기에 고정하고 상기 커넥터부의 장착공간 입구에 기판을 위치시키는 준비단계와,
    상기 압착기를 동작시켜 상기 하우징으로 상기 기판을 커넥터부의 장착공간의 내부로 밀어넣는 삽입단계와,
    상기 기판이 상기 커넥터부의 장착공간에 완전히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커넥터부와 조립되는 조립완료단계를 포함하는 충격감지장치 조립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단게에서는 상기 기판은 상기 커넥터부의 삽입안내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된 안내고정리브에 의해 밀려져 상기 커넥터부의 장착공간 내부로 들어감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감지장치 조립방법.
KR1020110072512A 2011-07-21 2011-07-21 충격감지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201300113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512A KR20130011385A (ko) 2011-07-21 2011-07-21 충격감지장치 및 그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512A KR20130011385A (ko) 2011-07-21 2011-07-21 충격감지장치 및 그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385A true KR20130011385A (ko) 2013-01-30

Family

ID=47840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512A KR20130011385A (ko) 2011-07-21 2011-07-21 충격감지장치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13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5291A (ko) * 2015-04-21 2016-10-31 렘 인텔렉튜얼 프라퍼티 에스.에이. 통합된 주 도전체 바를 갖는 전류 트랜스듀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5291A (ko) * 2015-04-21 2016-10-31 렘 인텔렉튜얼 프라퍼티 에스.에이. 통합된 주 도전체 바를 갖는 전류 트랜스듀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599B1 (ko) 커넥터
US9585280B2 (en) Electronic modular unit, in particular capacitive proximity sensor for a vehicl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modular unit
KR101133954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101586486B1 (ko) 커넥터
US20170194750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device securing shielding plate and insulator together before molding
KR20100113545A (ko) 전기커넥터 부착 회로기판용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전자유닛
JP2001185270A (ja) 被せモールドされたハウジング部材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と被せモールド方法
CN104868266B (zh) 具有固持部件的电连接器
KR101530431B1 (ko) 커넥터 장치
US20090104810A1 (en) Connector having coupling guides for establishing connection with memory connector at right position
KR20130011385A (ko) 충격감지장치 및 그 조립방법
US1089258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ar pressing pins pressing on a terminal fitting
CN106571708B (zh) 将动力线固定于基础部件的固定用具、固定组件以及固定方法
JP6127009B2 (ja) 物理量測定装置
KR20120098146A (ko) 충격감지장치
WO2008088821A2 (en) Electronic connection box and its method of assembly
CN111952761B (zh) 连接器装置
US20180198231A1 (en) Wiring cover, and connector having wiring cover
KR100830697B1 (ko)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
JP2005302614A (ja) コネクタとプリント基板との組付け構造および組付け方法
JP4782230B2 (ja) 車両用ワイヤハーネス及び車両の配線方法
KR101727559B1 (ko) 충격감지장치
KR101868608B1 (ko) 터미널 진동방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커넥터
KR20140042539A (ko) 센서장치
KR101969460B1 (ko) 센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