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0553A -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0553A
KR20130010553A KR1020110071252A KR20110071252A KR20130010553A KR 20130010553 A KR20130010553 A KR 20130010553A KR 1020110071252 A KR1020110071252 A KR 1020110071252A KR 20110071252 A KR20110071252 A KR 20110071252A KR 20130010553 A KR20130010553 A KR 20130010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reatment
stimulation device
movement path
tea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영
하승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닉스
Priority to KR1020110071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0553A/ko
Publication of KR20130010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5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48Thermography; Techniques using wholly visu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93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programm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94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using a remot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95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emperature indicator
    • A61F2007/009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emperature indicator with a thermome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인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측정센서; 상기 사용자를 치료하기 위해 이동하는 경로인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사용자에게 일정한 자극을 가하는 자극장치;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가 선택되면 이에 따라 프로그래밍이 된 경로를 따라 자극장치를 이동시키며 치료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상태측정센서로부터 상기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반영하여 상기 자극장치가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지 여부를 제어하는 치료 제어기; 및 사용자에 따른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 및 그 방법{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USER FEEDBACK AND TASK TEACHING REMOTE TEACHING}
본 발명은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태측정센서를 통해 측정한 사용자 상태를 반영하여 자극장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치료사가 자극장치를 조작하기 위해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지 않으면서 사용자를 치료할 수 있는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마사지 등의 통증치료나 물리치료가 널리 행해지고 있다. 특히 현대인들은 각종 컴퓨터 사용의 증가, 각종 스마트기기 등 사용의 증가 등으로 인해 통증치료나 물리치료도 따라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통증치료 또는 물리치료를 하는 경우 치료사 등이 치료시간 내내 환자를 모니터링 하고 있어야만 한다. 통증치료 또는 물리치료시 온열이나 초음파 등의 치료기기를 많이 사용하는데, 이러한 치료기기들은 열을 사용하여 환자가 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정 이상의 자극이 환자에게 가해지는지 여부를 치료사가 확인하고 있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치료기는 국소부위에 가해지는 것으로 환자의 신체 전반 또는 통증이 있는 부위를 전체를 모두 자극하기 위해서는 그 위치를 계속해서 이동시켜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통증치료나 물리치료를 제공하는 업체 입장에서는 환자를 모두 모니터링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치료사를 고용하는 것이 부담될 수 있으며, 치료사의 입장에서도 모든 환자를 계속해서 모니터링 해야 한다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담 없이 환자에게 통증치료나 물리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태측정센서를 통해 측정한 사용자 상태를 반영하여 자극장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치료사가 자극장치를 조작하기 위해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지 않으면서 사용자를 치료할 수 있는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측정센서를 통해 측정한 사용자 상태를 반영하여 자극장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무리하게 강한 자극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인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측정센서; 상기 사용자를 치료하기 위해 이동하는 경로인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사용자에게 일정한 자극을 가하는 자극장치;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가 선택되면 이에 따라 프로그래밍이 된 경로를 따라 자극장치를 이동시키며 치료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상태측정센서로부터 상기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반영하여 상기 자극장치가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지 여부를 제어하는 치료 제어기; 및 사용자에 따른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는, 상기 메모리가 상기 자극장치가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저장하고, 상기 치료 제어기가 치료 종류, 치료 시간, 치료 강도 또는 치료 부위와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모듈;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가 입력되면 이에 따라 프로그래밍이 된 경로를 따라 자극장치를 이동시키며 치료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상태측정센서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를 받아, 상기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기준데이터보다 높은 경우, 상기 사용자에 따라 입력된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따라 다음 치료 지점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명령을 생성하는 이동명령 생성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는 치료용 로봇으로써, 상기 치료 제어기가 상기 치료용 로봇이 상기 치료자로부터 작업을 교시받아 상기 자극장치를 제어하는 교시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는,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가 치료사가 치료한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학습하여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는,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가 치료사가 상기 입력모듈을 통해 직접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는, 상기 치료 제어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치료 종류, 상기 치료 시간, 상기 치료 강도, 상기 치료 부위 및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는, 상기 네트워크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주치의로부터 전자처방서에 대한 프로토콜을 전송받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는, 상기 상태측정센서가 상기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적외선 카메라로써, 상기 적외선 카메라는,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스캔하여 사용자의 체온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체온 측정부; 상기 체온 측정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인 체온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치료 제어기로 제공하는 신호제공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는, 상기 상태측정센서가 근전도 센서로써, 상기 근전도 센서는,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부착되어 근전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근전도 측정부; 상기 근전도 측정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인 근전도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증폭한 후 근전도의 활동 전위 세기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치료 제어기로 제공하는 신호제공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는, 상기 상태측정센서가 적외선 카메라, 체온계, 근전도 센서, 초음파 프로브 또는 임피던스 측정센서 중 어느 하나이며, 자동으로 어느 하나의 상태측정센서에서 다른 상태측정센서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는, 상기 자극장치가 열을 제공하는 장치이고, 상기 기준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또는 치료사가 설정한 온도에 대한 데이터로써, 상기 자극장치가 상기 사용자에 열을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 중 일정부위에 대한 온도가 상기 기준데이터 이상인 경우 상기 자극장치의 이동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는, 상기 자극장치가 저주파 또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는, 상기 자극장치가 자외선 또는 적외선을 제공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는, 상기 자극장치가 진동을 제공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는, 자극장치가 적외선 또는 자외선을 제공하는 장치, 온열을 제공하는 장치, 저주파 또는 고주파 또는 초음파를 제공하는 장치, 주무르거나 두드리는 장치 중 어느 하나이며, 자동으로 어느 하나의 자극장치에서 다른 자극장치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는, 상기 메모리가 사용자별로 상기 사용자의 건강 및 치료경과에 관계된 데이터를 더 저장하고, 상기 치료 제어기가기 사용자의 건강 및 상기 치료경과를 반영하여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프로그래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는, 상기 치료 제어기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방법은, 사용자의 신체부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자극장치 및 상태측정센서를 장착하는 자극장치 장착단계; 상기 자극장치가 상기 사용자를 치료하기 위해 이동하는 경로인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입력받는 이동경로 입력단계; 및 치료 제어기가 입력된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에 대해 프로그래밍된 경로를 따라 상기 자극장치가 이동하며 상기 사용자를 자극하도록 하는 사용자 자극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방법은, 상기 사용자 자극단계에서, 상기 상태측정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인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를 수집하는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 수집단계; 및 상기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반영하여 상기 자극장치가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지 여부를 제어하는 자극장치 이동여부 결정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방법은, 상기 자극장치 이동여부 결정단계에서, 상기 상태측정센서로부터 상기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를 상기 자극장치가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인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기준데이터보다 높은 경우, 상기 사용자에 따라 입력된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따라 현재 치료 지점에서 다음 치료 지점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방법은, 이동경로 입력단계에서, 치료 종류, 치료 시간, 치료 강도 또는 치료 부위에 대한 데이터를 더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방법은, 상기 상태측정센서가 상기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적외선 카메라로써, 상기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 수집단계에서, 상기 적외선 카메라는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스캔하여 사용자의 체온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상기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인 체온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상기 치료 제어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방법은, 상기 상태측정센서가 근전도 센서로써, 상기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 수집단계에서, 상기 근전도 센서는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부착되어 근전도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증폭한 후 근전도의 활동 전위 세기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치료 제어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 및 방법은, 상태측정센서를 통해 측정한 사용자 상태를 반영하여 자극장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치료사가 자극장치를 조작하기 위해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지 않으면서 사용자를 치료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 및 방법은, 상태측정센서를 통해 측정한 사용자 상태를 반영하여 자극장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무리하게 강한 자극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를 도시하는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를 도시하는 세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극장치에 대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극장치 이동경로에 대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측정센서(100), 자극장치(200), 치료 제어기(300) 및 메모리(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태측정센서(100)는 사용자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인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센서이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측정센서(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신체에 근접하여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태측정센서(100)는 사용자의 체온, 건강상태, 치료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상태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써, 예를 들어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적외선 카메라, 체온계, 근전도 센서, 초음파 프로브, 임피던스 측정센서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상태측정센서들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어느 하나의 상태측정센서에서 다른 상태측정센서로 교체되는 것이 가능하다. 치료자가 직접 교체할 것을 입력하거나 또는 주치의가 네트워크를 통해 교체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며, 미리 입력된 내용에 따라 자동으로 교체될 수도 있다.
자극장치(200)는 사용자에게 일정한 자극을 가해 사용자를 치료 또는 자극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때 자극장치(200)는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사용자에게 자극을 가할 수 있는데, 자극장치 이동경로는 치료사가 먼저 치료했던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학습하여 자극장치(200)가 반복하거나 또는 치료사가 직접 이동경로를 입력할 수 있다. 치료사 등이 직접 입력할 경우에는 좌표 등으로 자극장치(200)가 지나가야 하는 이동경로를 입력할 수 있다.
자극장치(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열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로써 증상에 따라 적외선, 자외선을 제공하는 장치이거나 또는 온열찜질기, 뜸, 부황 제공기일 수 있다. 저주파, 고주파, 초음파 등을 발생하여 사용자를 자극하는 장치, 또는 주무르거나 두드리는 등의 자극을 가할 수 있는 장치일 수도 있으며, 그 종류에 제한이 없다.
이러한 자극장치들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어느 하나의 상태측정센서에서 다른 상태측정센서로 교체되는 것이 가능하다. 치료자가 직접 교체할 것을 입력하거나 또는 주치의가 네트워크를 통해 교체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며, 미리 입력된 내용에 따라 자동으로 교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자극장치(200)는 스카라(Selectire Compliance Assembly Robot Arm : SCARA) 로봇 등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치료 제어기(300)는 자극장치(20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자극장치 이동경로가 선택되면 이에 따라 프로그래밍이 된 경로를 따라 자극장치를 이동시키며 치료하도록 제어하되, 상태측정센서(100)로부터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반영하여 자극장치(200)가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지 여부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치료 제어기(300)는 입력모듈(310), 제어모듈(330) 및 이동명령 생성모듈(3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모듈(310)은 치료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치료 종류, 치료 시간, 치료 강도 또는 치료 부위와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모듈(330)은 자극장치 이동경로가 입력되면 이에 따라 프로그래밍이 된 경로를 따라 자극장치(200)를 이동시키며 치료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명령 생성모듈(350)은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따라 자극장치(200)를 이동시키는 명령어를 생성한다. 즉, 상태측정센서(100)로부터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를 받아,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자극장치(200)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자극장치(200)를 이동하도록 하는 명령을 생성한다.
한편, 치료 제어기(300)는 교시모듈(3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장치는 특히 치료용 로봇으로 구성할 수 있다. 치료자는 키보드, 마우스 등을 통해 치료 제어기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힘 반향 장치(Force feedback device)를 이용하여 직접 교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치료 제어기(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치료 종류, 상기 치료 시간, 상기 치료 강도, 상기 치료 부위 및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는, 상기 네트워크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주치의로부터 전자처방서에 대한 프로토콜을 전송받아 입력할 수 있다.
치료 제어기(300)를 구성하는 이러한 입력모듈(310), 제어모듈(330) 및 이동명령 생성모듈(350)을 유기적으로 설명하면, 입력모듈(310)을 통해 자극장치(200)를 이동시킬 경로를 입력받으면, 제어모듈(330)이 입력받은 경로대로 자극장치(200)가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자극장치(200)를 이동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이동명령 생성모듈(350)인데, 이동명령 생성모듈(350)은 상태측정센서(100)로부터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를 받아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기준데이터보다 높은 경우, 자극장치(200)를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명령을 생성한다. 제어모듈(330)은 이러한 이동명령이 있는 경우, 자극장치(200)를 현재 치료 지점에서 다음 치료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가 기준데이터보다 높은 경우에 자극장치(200)를 이동하도록 하는 것에 대해 기술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가 기준데이터보다 낮은 경우에 자극장치(200)를 이동하도록 설계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메모리(400)는 자극장치 이동경로 등 사용자의 치료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400)는 사용자별로 상기 사용자의 건강 및 치료경과에 관계된 데이터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별로 상이한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가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데이터는 사용자별로 저장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사용자의 건강 및 치료경과에 관계된 데이터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와 비교하여 자극장치(200)를 이동시킬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기준데이터도 메모리(40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는 네트워크 모듈을 통해 별개의 서버인 데이터 관리 서버에 전송될 수 있으며, 치료사 및 주치의는 이러한 데이터 관리 서버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며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태측정센서(100) 및 자극장치(2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먼저, 자극장치(200)는 열을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에 기준데이터는 사용자 또는 치료사가 설정한 온도에 대한 데이터이다. 즉 자극장치(200)가 사용자에 열을 제공하여 사용자를 자극하면, 상태측정센서(100)가 사용자의 신체부위 중 일정부위에 대한 온도가 측정한다. 치료 제어기(300)는 상태측정센서가 측정한 사용자의 온도가 기준데이터 이상이 되는 경우, 자극장치(200)를 이동시킬 것을 결정하여 사용자에게 지나치게 높은 열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의 상태측정센서는(100)는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적외선 카메라일 수 있다. 이러한 적외선 카메라는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스캔하여 사용자의 체온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체온 측정부 및 체온 측정부로부터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인 체온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치료 제어기(300)로 제공하는 신호제공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태측정센서(100)는 근전도 센서일 수 있다. 이러한 근전도 센서는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부착되어 근전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근전도 측정부 및 근전도 측정부로부터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인 근전도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증폭한 후 근전도의 활동 전위 세기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치료 제어기(300)로 제공하는 신호제공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극장치 이동경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극장치(200)는 현재 치료 지점에서 다음 치료 지점으로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먼저 사용자의 신체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자극장치(2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측정센서(100)를 장착하는 자극장치 장착단계(S100)를 수행한다.
자극장치(200)는 사용자에게 일정한 자극을 가해 사용자를 치료 또는 자극할 수 있는 장치로써,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열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로써 증상에 따라 적외선, 자외선을 제공하는 장치이거나 또는 온열찜질기, 뜸, 부황 제공기일 수 있다. 또한 저주파, 고주파, 초음파 등을 발생하여 사용자를 자극하는 장치, 또는 주무르거나 두드리는 등의 자극을 가할 수 있는 장치일 수도 있으며, 그 종류에 제한이 없다.
상태측정센서(100)는 사용자의 체온, 건강상태, 치료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상태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써, 예를 들어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적외선 카메라, 체온계, 근전도 센서, 초음파 프로브 등일 수 있다.
다음으로, 자극장치(200)가 사용자를 치료하기 위해 이동하는 경로인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입력받는 이동경로 입력단계(S200)를 수행한다.
자극장치 이동경로는 자극장치(200)가 이동하여 사용자에게 자극을 가하기 위해 프로그래밍된 경로이다. 이러한 자극장치 이동경로는 사용자 또는 치료사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으며, 또는 치료사가 먼저 치료했던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학습하여 반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동경로 입력단계(S200)에서는 자극장치 이동경로 이외에 치료 종류, 치료 시간, 치료 강도 또는 치료 부위에 대한 데이터를 더 입력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치료 제어기(300)가 입력된 자극장치 이동경로에 대해 프로그래밍된 경로를 따라 자극장치를 이동시키며 사용자를 자극하도록 하는 사용자 자극단계(S300)를 수행한다.
이러한 사용자 자극단계(S300)는 자극장치(200)가 사용자에게 지나친 자극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치료 제어기(300)가 자극장치(200)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태측정센서(10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인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를 수집하는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 수집단계(S310) 및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반영하여 자극장치(200)가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지 여부를 제어하는 자극장치 이동여부 결정단계(S330)를 수행할 수 있다.
자극장치 이동여부 결정단계(S330)에서는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와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가 기준데이터보다 높은 경우,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따라 현재 치료 지점에서 다음 치료 지점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측정센서를 통해 측정한 사용자 상태를 반영하여 자극장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무리하게 강한 자극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가 기준데이터보다 높은 경우에 자극장치(200)를 이동하도록 하는 것에 대해 기술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가 기준데이터보다 낮은 경우에 자극장치(200)를 이동하도록 설계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태측정센서(100)가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적외선 카메라인 경우에는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 수집단계(S310)에서, 적외선 카메라가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스캔하여 사용자의 체온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인 체온 신호를 실시간으로 치료 제어기(300)로 제공한다.
상태측정센서(100)는 근전도 센서인 경우에는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 수집단계(S310)에서, 근전도 센서가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부착되어 근전도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증폭한 후 근전도의 활동 전위 세기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치료 제어기(300)로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상태측정센서
200 : 자극장치
300 : 치료 제어기
310 : 입력모듈
330 : 제어모듈
350 : 이동명령 생성모듈
370 : 교시모듈
400 : 메모리

Claims (22)

  1.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인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측정센서;
    상기 사용자를 치료하기 위해 이동하는 경로인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사용자에게 일정한 자극을 가하는 자극장치;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가 선택되면 이에 따라 프로그래밍이 된 경로를 따라 자극장치를 이동시키며 치료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상태측정센서로부터 상기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반영하여 상기 자극장치가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지 여부를 제어하는 치료 제어기; 및
    사용자에 따른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자극장치가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저장하고,
    상기 치료 제어기는, 치료 종류, 치료 시간, 치료 강도 또는 치료 부위와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모듈;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가 입력되면 이에 따라 프로그래밍이 된 경로를 따라 자극장치를 이동시키며 치료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상태측정센서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를 받아, 상기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기준데이터보다 높은 경우, 상기 사용자에 따라 입력된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따라 현재 치료 지점에서 다음 치료 지점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명령을 생성하는 이동명령 생성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장치는, 치료용 로봇으로써,
    상기 치료 제어기는, 상기 치료용 로봇이 상기 치료자로부터 작업을 교시받아 상기 자극장치를 제어하는 교시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는,
    치료사가 치료한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학습하여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는,
    치료사가 상기 입력모듈을 통해 직접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제어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치료 종류, 상기 치료 시간, 상기 치료 강도, 상기 치료 부위 및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는, 상기 네트워크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주치의로부터 전자처방서에 대한 프로토콜을 전송받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측정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적외선 카메라로써,
    상기 적외선 카메라는,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스캔하여 사용자의 체온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체온 측정부; 상기 체온 측정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인 체온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치료 제어기로 제공하는 신호제공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측정센서는, 근전도 센서로써,
    상기 근전도 센서는,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부착되어 근전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근전도 측정부; 상기 근전도 측정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인 근전도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증폭한 후 근전도의 활동 전위 세기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치료 제어기로 제공하는 신호제공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측정센서는, 적외선 카메라, 체온계, 근전도 센서, 초음파 프로브 또는 임피던스 측정센서 중 어느 하나이며, 자동으로 어느 하나의 상태측정센서에서 다른 상태측정센서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장치는, 열을 제공하는 장치이고,
    상기 기준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또는 치료사가 설정한 온도에 대한 데이터로써, 상기 자극장치가 상기 사용자에 열을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 중 일정부위에 대한 온도가 상기 기준데이터 이상인 경우 상기 자극장치의 이동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장치는,
    저주파 또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장치는,
    자외선 또는 적외선을 제공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장치는,
    진동을 제공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
  14. 제 2 항에 있어서,
    자극장치는, 적외선 또는 자외선을 제공하는 장치, 온열을 제공하는 장치, 저주파 또는 고주파 또는 초음파를 제공하는 장치, 주무르거나 두드리는 장치 중 어느 하나이며, 자동으로 어느 하나의 자극장치에서 다른 자극장치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사용자별로 상기 사용자의 건강 및 치료경과에 관계된 데이터를 더 저장하고,
    상기 치료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 및 상기 치료경과를 반영하여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프로그래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제어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치료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
  17. 사용자의 신체부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자극장치 및 상태측정센서를 장착하는 자극장치 장착단계;
    상기 자극장치가 상기 사용자를 치료하기 위해 이동하는 경로인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입력받는 이동경로 입력단계; 및
    치료 제어기가 입력된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에 대해 프로그래밍된 경로를 따라 상기 자극장치가 이동하며 상기 사용자를 자극하도록 하는 사용자 자극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자극단계는,
    상기 상태측정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인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를 수집하는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 수집단계;
    상기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반영하여 상기 자극장치가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지 여부를 제어하는 자극장치 이동여부 결정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장치 이동여부 결정단계에서,
    상기 상태측정센서로부터 상기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를 상기 자극장치가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인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기준데이터보다 높은 경우, 상기 사용자에 따라 입력된 상기 자극장치 이동경로를 따라 현재 치료 지점에서 다음 치료 지점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이동경로 입력단계에서,
    치료 종류, 치료 시간, 치료 강도 또는 치료 부위에 대한 데이터를 더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측정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적외선 카메라로써,
    상기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 수집단계에서, 상기 적외선 카메라는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스캔하여 사용자의 체온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상기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인 체온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상기 치료 제어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측정센서는, 근전도 센서로써,
    상기 사용자 상태 측정데이터 수집단계에서, 상기 근전도 센서는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부착되어 근전도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증폭한 후 근전도의 활동 전위 세기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치료 제어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방법.
KR1020110071252A 2011-07-19 2011-07-19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105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252A KR20130010553A (ko) 2011-07-19 2011-07-19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252A KR20130010553A (ko) 2011-07-19 2011-07-19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553A true KR20130010553A (ko) 2013-01-29

Family

ID=47839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252A KR20130010553A (ko) 2011-07-19 2011-07-19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055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8009A (ko) * 2013-12-11 2015-06-19 한국 한의학 연구원 자극 장치 및 방법
WO2018026038A1 (ko) * 2016-08-05 2018-02-08 알버트 장우주 로봇암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hifu 트랜스듀서의 위치를 제어하는 hifu 장치
WO2019093646A1 (en) * 2017-11-09 2019-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mov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3915536A1 (de) * 2020-05-27 2021-12-01 Pascal Baumann Mobile streichelvorrichtun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8009A (ko) * 2013-12-11 2015-06-19 한국 한의학 연구원 자극 장치 및 방법
WO2018026038A1 (ko) * 2016-08-05 2018-02-08 알버트 장우주 로봇암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hifu 트랜스듀서의 위치를 제어하는 hifu 장치
WO2019093646A1 (en) * 2017-11-09 2019-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mov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407106B2 (en) 2017-11-09 2022-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mov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3915536A1 (de) * 2020-05-27 2021-12-01 Pascal Baumann Mobile streichelvorricht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01914B2 (en) Brain-controlled body movement assistance devices and methods
US1141951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pain with body impedance analyzer
CN102186538B (zh) 用于向对象提供磁共振治疗的系统和方法
KR20130010553A (ko) 사용자 피드백 및 작업교시를 이용한 치료장치 및 그 방법
CN108091392A (zh) 一种诊疗一体化的物理治疗装置
US201900668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hysical therapy
JP7050867B2 (ja) ヘルスケアシステム及びこの動作方法
CN110120256A (zh) 智能针灸系统
Zhang et al. Multiperiodic repetitive control for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based wrist tremor suppression
KR20180057194A (ko)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하는 전기자극 치료 모니터링 시스템
US20210069059A1 (en) Electroacupuncture Treatment System and Data Optimization Method Thereof
WO2024011958A1 (zh) 一种控制康复训练的方法、控制装置及控制系统
Prange et al. Script: tele-robotics at home; functional architecture and clinical application
Excell et al. Optimisation of hand posture stimulation using an electrode array and iterative learning control.
Shurbin et al. Hardware-software complex to diagnostic and rehabilitation the patients with damages of cervical-thoracic spine and hand nerves
US11338153B2 (en) Phototherapeutic apparatus and protocol setting method for phototherapeutic apparatus
KR20220066722A (ko) 근육 검사에 근거한 디지털 처방 관리 서버
Zhou et al. Automatic theranostics for long-term neurorehabilitation after stroke
Ahmad et al. Knee joint impedance hybrid modeling and control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cyclingfor paraplegic: Free swinging trajectory
Hammerschlag Acupuncture: on what should its evidence base be based?
Ivanova et al. A Wireless Device to Modular Robotized Instrument for Health Information
CN214713390U (zh) 用于智能前列腺理疗系统的前列腺理疗设备
Patil Optimizing Animal Rehabilitation and Physical Therapy: AI-Driven Evidence-Based Strategies for Achieving Optimal Outcomes in Veterinary Practice
KR20210112580A (ko) 근막 이완 치료 시스템 및 방법
Sandison Wearable Rehabilitation Robotics for Upper Limb Stroke Recovery and Examining Electrophysiological Respon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