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0525A - Dual digital audio broadcasting receiver and service linking method using thereof - Google Patents

Dual digital audio broadcasting receiver and service linking method us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0525A
KR20130010525A KR1020110071212A KR20110071212A KR20130010525A KR 20130010525 A KR20130010525 A KR 20130010525A KR 1020110071212 A KR1020110071212 A KR 1020110071212A KR 20110071212 A KR20110071212 A KR 20110071212A KR 20130010525 A KR20130010525 A KR 20130010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digital audio
signal
service
ana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2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48885B1 (en
Inventor
이용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1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885B1/en
Publication of KR20130010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5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8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PURPOSE: A dual DAB receiving device and a service linking method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implement seamless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regardless of a moving region of a vehicle. CONSTITUTION: An audio processing unit(224) extracts first and second audio signals by demodulating and decoding first and second digital audio signals. A handover determining unit(226) determines whether a vehicle of a listener enters a handover area. The handover determining unit supplies a service by changing a first frequency into a second frequency. An audio output unit(230) outputs the first and second voice signals. [Reference numerals] (221a) First high-frequency processing unit; (221b) Second high-frequency processing unit; (222a) First base-band processing unit; (222b) Second base-band processing unit; (224) Audio processing unit; (225) Storage unit; (226) Handover determining unit; (230) Audio output unit

Description

듀얼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링킹 방법{DUAL DIGITAL AUDIO BROADCASTING RECEIVER AND SERVICE LINKING METHOD USING THEREOF}Dual digital audio broadcasting receiver and service linking method using same {DUAL DIGITAL AUDIO BROADCASTING RECEIVER AND SERVICE LINKING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듀얼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제2 채널 신호 각각을 수신하여 제1, 제2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1, 제2 프론트엔드 유닛 및 제1, 제2 채널 신호가 동시에 잡히는 핸드오버(hand over) 영역에서 주파수 변환을 하기 위한 핸드오버 판단부를 구비하여 서비스 링킹(service linking)을 구현함으로써, 차량의 이동 지역에 상관없이 끊어짐 없는(seamless)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을 구현하는 듀얼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digital audio broadcasting receiver, and more particularly, a first and a second front end unit for receiving and converting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hannel signals into first and second digital audio signals. 1, by implementing a service linking by providing a handover determination unit for frequency conversion in the handover area where the second channel signal is simultaneously caught, seamless regardless of the moving area of the vehicle (seamle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digital audio broadcasting receiver for implementing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에 대한 기대와 강력한 정부의 의도에 따라 앞으로의 방송시장은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FM/AM)에서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으로 급격하게 전환될 예정이다. In anticipation of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and strong government intentions, the broadcasting market in the future will radically shift from analog radio broadcasting (FM / AM) to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이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은 기존의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FM/AM)에서 발생하는 화이트 노이즈 및 잡음이 사라지고, 좀 더 좋은 음질(CD 품질의 음질) 및 보다 높은 채널수(5.1 채널까지)로 잡음 없이 소비자에게 접근이 가능한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This means that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eliminates the white noise and noise generated by conventional analog radio broadcasting (FM / AM), noise with better sound quality (CD quality sound) and higher channel count (up to 5.1 channels). This is becaus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ccessible to consumers without.

이에 따라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시장은 점점 더 커질 것이며,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에 대한 연구도 1990년도부터 진행되어 왔으며, 현재 오늘날까지 많은 방송망과 제품들이 나온 상태이다. As a result, the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market will become larger and larger, and research on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has been conducted since 1990, and there are many broadcasting networks and products to date.

그 중 주요하게 연구되어온 기술로, 청취자가 차량을 통해 지역 이동시 주파수를 계속 바뀌면서 끊어짐 없이(seamless) 동일한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링킹(service linking) 기술이 있다. Among them, a technology that has been mainly researched is a service linking technology that allows a listener to listen to the same broadcast program seamlessly while constantly changing frequency when moving through a vehicle.

도 1은 종래의 DAB 수신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1 illustrates a conventional DAB receiving apparatus.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DAB 수신 장치(100)는 안테나(110), 고주파 처리부(121)와 기저대역 처리부(122)를 포함하는 프론트엔드 유닛(123), 오디오 처리부(124) 및 저장부(125)를 구비한 DAB 풀 모듈(Digital Audio Broadcasting Full Module, 120) 및 오디오 출력부(13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DAB receiving apparatus 100 includes a front end unit 123 including an antenna 110, a high frequency processor 121, and a baseband processor 122, an audio processor 124, and a storage unit. DAB full module (Digital Audio Broadcasting Full Module, 120) having the 125 and the audio output unit 130 is provided.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해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이 구현되는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of implementing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by the prior art will be briefly described.

안테나(110)는 송출단에서 발송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신호를 수신 받는다. The antenna 110 receives a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signal sent by the transmitter.

고주파 처리부(121)는 안테나(110)에서 수신된 아날로그 형태의 고주파(RF) 신호를 입력받고, 사용자의 선국에 따라 해당 채널 신호를 아날로그 베이스밴드(base band)로 변환시킨다. The high frequency processor 121 receives an analog high frequency (RF)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110 and converts the corresponding channel signal into an analog base ban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기저대역 처리부(122)는 상기 아날로그 베이스밴드(base band)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하여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The baseband processor 122 outputs a digital audio signal by analog-to-digital (A / D) conversion of the analog baseband signal.

오디오 처리부(124)는 프론트엔드 유닛(123)에서 변환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전송 받아 이를 복조(demodulation), 디코딩(decoding) 하여 음성 신호를 추출한다.The audio processor 124 receives the digital audio signal converted by the front end unit 123 and demodulates and decodes the digital audio signal to extract a voice signal.

오디오 출력부(130)는 오디오 처리부(124)에 의해 신호 처리된 음성 신호를 청취자가 들을 수 있는 가청음으로 출력한다. The audio output unit 130 outputs a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audio processor 124 as an audible sound that can be heard by the listener.

하지만, 종래 기술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을 구현할 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prior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when implementing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즉, 종래의 DAB 수신 장치(100)는 고주파 처리부(121)와 기저대역 처리부(122)를 포함하는 1개의 프론트엔드 유닛(123)을 갖는 단일 모듈형태로 1개의 주파수만을 청취할 수밖에 없었고, FIC(Fast Information Channel) 정보만을 사용하여 DAB 서비스 팔로잉(service following)을 진행할 경우 선택된 주파수의 채널 신호가 완전히 차단(cutoff) 되었을 때, 연관된 주파수로 전환시키는데 최소 3초 이상의 뮤트(mute)가 발생하여 청취자가 끊어짐 없는(seamless) 방송을 청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That is, the conventional DAB receiving apparatus 100 has no choice but to listen to only one frequency in a single module form having one front end unit 123 including the high frequency processor 121 and the baseband processor 122, and the FIC. When following the DAB service following using only the Fast Information Channel information, when the channel signal of the selected frequency is cut off completely, a mute occurs for at least 3 seconds to switch to the associated frequency. There was a problem that a listener cannot listen to a seamless broadcas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이동 지역에 상관없이 끊어짐 없는(seamless)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을 구현하는 듀얼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provide a dual digital audio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for implementing seamless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regardless of a moving region of a vehicle.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는, 송출단에서 발송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신호를 수신 받기 위한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서 수신된 아날로그 형태의 고주파(RF) 신호를 입력받아 청취자의 첫 번째 채널 선국으로 이용될 제1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1 채널 신호를 제1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1 프론트엔드 유닛; 상기 안테나에서 수신된 아날로그 형태의 고주파(RF)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2 채널 신호를 제2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2 프론트엔드 유닛;상기 제1, 제2 프론트엔드 유닛에서 변환된 제1, 제2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전송 받아 이를 각각 복조(demodulation), 디코딩(decoding) 하여 제1, 제2 음성 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오디오 처리부; 청취자의 차량이 상기 제1 주파수와 상기 제2 주파수가 동시에 잡히는 핸드오버 영역에 진입했는지를 판단하여, 진입된 경우 상기 제1 주파수에서 상기 제2 주파수로 변경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핸드오버 판단부; 및 상기 제1, 제2 음성 신호를 청취자가 들을 수 있는 가청음으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부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ual digital audio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comprising: an antenna for receiving a digital audio broadcast (DAB) signal sent from a transmitter; First front-end unit for receiving a high-frequency (RF) signal of the analog form received from the antenna to convert a first channel signal having a first frequency band to be used as the first channel selection of the listener to a first digital audio signal ; A second front end unit for receiving an analog high frequency (RF)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and converting a second channel signal having the second frequency band into a second digital audio signal; An audio processor configured to receive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audio signals converted by the front end unit and to demodulate and decode the first and second voice signals, respectively, to extract the first and second voice signal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ehicle of the listener enters the handover area where the first frequency and the second frequency are simultaneously detected, and if so, the handover determination unit for changing the first frequency from the first frequency to the second frequency to provide a service. ; And an audio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first and second voice signals as an audible sound that can be heard by a listener.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링킹 방법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채널 선국을 준비하는 제1 단계; 제1 프론트엔드 유닛에서 청취자의 첫 번째 채널 선국으로 이용될 제1 주파수를 선택하고, 수신된 아날로그 형태의 제1 채널 신호를 제1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 후 청취자에게 상기 제1 주파수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단계;제2 프론트엔드 유닛에서 상기 제1 주파수와 동일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서비스를 청취할 수 있는 대역을 갖는 제2 주파수를 검색하는 제3 단계; 상기 제2 주파수를 저장하고, 상기 수신된 아날로그 제2 채널 신호를 제2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청취자에게 제2 주파수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제4 단계; 청취자의 차량이 상기 제1 주파수와 상기 제2 주파수가 동시에 잡히는 핸드오버 영역에 진입했는지를 판단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제5 단계에서 차량이 핸드오버 영역에 아직 진입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2 단계로 회귀(return) 하고, 상기 제5 단계에서 차량이 핸드오버 영역에 진입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주파수에서 상기 제2 주파수로 서비스를 변경하는 제6 단계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ervice linking method using a dual digital audio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first step of preparing for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channel selection; Selecting a first frequency to be used as a first channel tuning of the listener in the first front-end unit, converting a received analog channel first channel signal into a first digital audio signal and then broadcasting to the listener at the first frequency; A second step of searching for a second frequency having a band capable of listening to the same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service as the first frequency in a second front end unit; A fourth step of storing the second frequency and preparing to provide a broadcast service to a listener at a second frequency by converting the received analog second channel signal into a second digital audio signal; A fifth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vehicle of a listener enters a handover area where the first frequency and the second frequency are simultaneously detected; And returning to the second step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has not yet entered the handover area in the fifth step, and when determining that the vehicle has entered the handover area in the fifth step, A sixth step of changing service from frequency to the second frequency is provided.

본 발명은 차량의 청취자가 차량의 이동 지역에 상관없이 끊어짐 없는(seamless)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을 청취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technical effect of allowing a listener of a vehicle to listen to seamless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regardless of the area of movement of the vehicle.

도 1은 종래의 DAB 수신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DAB 수신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DAB 수신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링킹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듀얼 DAB 수신 장치에 의할 경우 핸드오버 영역에서 주파수 변경을 통한 서비스 링킹을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되는 제1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1 illustrates a conventional DAB receiving apparatus.
2 illustrates a dual DAB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rvice linking method using a dual DAB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graph illustrating a method of implementing service linking by changing a frequency in a handover region when the dual DAB rece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igure 5 shows a first embodiment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DAB 수신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2 illustrates a dual DAB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DAB 수신 장치(200)는 안테나(210), DAB 풀 모듈(Digital Audio Broadcasting Full Module, 220) 및 오디오 출력부(230)를 구비한다. 2, the dual DAB receiv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tenna 210, a DAB full module 220, and an audio output unit 230.

안테나(210)는 송출단에서 발송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신호를 수신 받는다. The antenna 210 receives a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signal sent from a transmitter.

DAB 풀 모듈(220)은 제1 프론트엔드 유닛(223a), 제2 프론트엔드 유닛(223b), 오디오 처리부(224), 저장부(225) 및 핸드오버 판단부(226)를 구비한다. The DAB full module 220 includes a first front end unit 223a, a second front end unit 223b, an audio processor 224, a storage unit 225, and a handover determination unit 226.

이하 제1 프론트엔드 유닛(223a), 제2 프론트엔드 유닛(223b)을 구비하여 듀얼(dual)으로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신호를 수신하는 원리 및 핸드오버 판단부(226)에 의해 구현되는 서비스 링킹(service linking) 원리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irst front end unit 223a and the second front end unit 223b include a dual audio receiving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signal and a service implemented by the handover determination unit 226. Describes the linking principle.

제1 프론트엔드 유닛(223a)은 제1 고주파 처리부(221a)와 제1 기저대역 처리부(222a)를 포함한다. The first front end unit 223a includes a first high frequency processor 221a and a first baseband processor 222a.

제1 고주파 처리부(221a)는 안테나(210)에서 수신된 아날로그 형태의 고주파(RF) 신호를 입력받아 청취자의 첫 번째 채널 선국에 따라 제1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1 채널 신호를 아날로그 베이스밴드(base band)로 변환시킨다. The first high frequency processor 221a receives an analog high frequency (RF)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210 and outputs a first channel signal having a first frequency band according to the first channel selection of the listener. band).

제1 기저대역 처리부(222a)는 상기 아날로그 베이스밴드(base band)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하여 제1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The first baseband processor 222a outputs a first digital audio signal by analog-to-digital (A / D) converting the analog baseband signal.

제2 프론트엔드 유닛(223b)은 제2 고주파 처리부(221b)와 제2 기저대역 처리부(222b)를 포함한다. The second front end unit 223b includes a second high frequency processor 221b and a second baseband processor 222b.

제1 프론트엔드 유닛(223a)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2 고주파 처리부(221b)는 안테나(210)에서 수신된 아날로그 형태의 고주파(RF)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널 선국 이후에 사용할 제2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2 채널 신호를 아날로그 베이스밴드(base band)로 변환시킨다.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front end unit 223a, the second high frequency processor 221b receives an analog high frequency (RF)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210 and uses a second frequency to be used after the first null tuning. A second channel signal having a band is converted into an analog base band.

제2 기저대역 처리부(222b)는 상기 아날로그 베이스밴드(base band)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하여 제2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The second baseband processor 222b outputs a second digital audio signal by analog-to-digital (A / D) converting the analog baseband signal.

오디오 처리부(224)는 제1, 제2 프론트엔드 유닛(223a, 223b)에서 변환된 제1, 제2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전송 받아 이를 복조(demodulation), 디코딩(decoding) 하여 제1, 제2 음성 신호를 각각 추출한다.The audio processor 224 receives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audio signals converted by the first and second front end units 223a and 223b to demodulate and decode the first and second voices. Extract each of the signals.

이 경우 오디오 처리부(224)는 오디오 코덱(codec)으로 MPEG-2 AAC(Advanced Audio Coding) 또는 MPEG-4 AAC(Advanced Audio Coding)을 사용 한다. 여기서 MPEG-2 AAC를 사용하는 이유는, MPEG-2 AAC는 압축된 오디오 테이터 형태를 갖고 프레임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함으로 최대 30퍼센트까지 용량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보다 향상된 음질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In this case, the audio processor 224 uses MPEG-2 AAC (Advanced Audio Coding) or MPEG-4 AAC (Advanced Audio Coding) as an audio codec. The reason for using MPEG-2 AAC is that MPEG-2 AAC has compressed audio data and saves data in units of frames, which can reduce capacity by up to 30 percent and provide better sound quality. Because.

저장부(225)는 오디오 처리부(224)에서 복조(demodulation) 하고, 디코딩(decoding)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일시 저장 공간으로 에스디램(Synchronous DRAM, SDRAM) 및 제1, 제2 프론트엔드 유닛(223a, 223b)에서 변환된 제1, 제2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각종 채널 리스트 등을 저장하기 위한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한다.The storage unit 225 is a temporary storage space for demodulating and decoding the audio processing unit 224 and performing decoding operations. The storage unit 225 and the first and second front end units 223a may be used. And a flash memory for storing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audio signals converted in operation 223b, various channel lists, and the like.

핸드오버 판단부(226)는 차량이 핸드오버 영역(handover region)에 진입되었는지를 판단하며, 만일 핸드오버 영역(handover region)에 진입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핸드오버 영역(handover region)에 진입되기 전에 사용된 제1 주파수를 제2 프론트엔드 유닛(223b)에서 검색된 제2 주파수로 변경하여 서비스 링킹(service linking)을 구현시킨다. The handover determination unit 226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has entered the handover region,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has entered the handover region, it is used before entering the handover region. Service linking is implemented by changing the first frequency to the second frequency searched by the second front end unit 223b.

여기서 핸드오버 영역(handover region)은 제1 주파수로 송출되는 방송 서비스와 제2 주파수로 송출되는 방송 서비스가 동시에 잡혀 서비스 링킹(service linking)이 가능한 지역을 의미한다. In this case, the handover region refers to an area where service linking is possible by simultaneously catching a broadcast service transmitted at a first frequency and a broadcast service transmitted at a second frequency.

이 경우 핸드오버 판단부(226)는 제1, 제2 프론트엔드 유닛(223a, 223b)으로 입력되는 제1, 제2 채널 신호의 전파강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핸드오버가 필요한 상황인지를 판단한다. In this case, the handover determination unit 226 continuously monitors the propagation intensity of the first and second channel signals input to the first and second front end units 223a and 223b to determine whether a handover is necessary. .

즉, 핸드오버 판단부(226)는 제1 프론트엔드 유닛(223a)으로 입력되는 제1 채널 신호의 전파강도가 이미 설정된 문턱값 이하를 갖고 지정된 시간(예를 들어 1분) 동안 지속되는 경우 및 제2 프론트엔드 유닛(223b)으로 입력되는 제2 채널 신호의 전파강도가 이미 설정된 문턱값 이상을 갖고 지정된 시간(예를 들어 1분) 동안 지속되는 경우가 발생하면, 이를 핸드오버가 필요한 상황인 것으로 판단한다.That is, the handover determination unit 226 is a case where the propagation intensity of the first channel signal input to the first front end unit 223a has a threshold value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lasts for a specified time (for example, 1 minute), and If the propagation intensity of the second channel signal inputted to the second front end unit 223b is long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and lasts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one minute), a handover is necessary. I think that.

오디오 출력부(230)는 오디오 처리부(224)에 의해 신호 처리된 제1, 제2 음성신호를 청취자가 들을 수 있는 가청음으로 출력되며, 출력장치로 스피커가 사용된다.The audio output unit 230 outputs the first and second voice signals processed by the audio processor 224 as audible sound that can be heard by the listener, and a speaker is used as the output devic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DAB 수신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링킹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것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rvice linking method using a dual DAB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3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듀얼 DAB 수신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링킹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service linking method using a dual DAB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2.

우선,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채널 선국을 준비하는 제1 단계(S10)를 갖는다. First, a first step S10 of preparing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channel selection is provided.

이 경우 차량을 운전하는 청취자는 차량에 설치된 오디오 시스템을 작동시켜 청취하기를 원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채널 선국을 준비한다. In this case, a listener driving a vehicle prepares a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channel to be tuned for operation by operating an audio system installed in the vehicle.

제1 프론트엔드 유닛(223a)에서 청취자가 청취하기를 원하는 제1 주파수를 선택하고, 수신된 아날로그 제1 채널 신호를 제1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 후 청취자에게 제1 주파수로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단계(S20)를 갖는다.The first front end unit 223a selects a first frequency that the listener wants to listen to, converts the received analog first channel signal into a first digital audio signal, and then broadcasts the digital audio to the listener at the first frequency (DAB). ) A second step (S20) of providing a service.

이 경우 청취자는 어느 특정지역으로 차량이 이동되어 방송이 끊어지기까지 제1 프론트엔드 유닛(223a)에서 선택한 제1 주파수의 방송 서비스를 계속하여 수신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listener continues to receive the broadcast service of the first frequency selected by the first front end unit 223a until the vehicle is moved to a specific region and broadcast is cut off.

제2 프론트엔드 유닛(223b)에서 상기 제1 주파수와 동일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서비스를 청취할 수 있는 대역을 갖는 제2 주파수를 검색하는 제3 단계(S30)를 갖는다.The second front end unit 223b has a third step S30 of searching for a second frequency having a band capable of listening to the same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service as the first frequency.

여기서 제2 주파수는 제1 주파수로 송출되는 동일한 방송 프로그램을 청취할 수 있는 제1 주파수 대역 근처의 주파수 값을 의미한다.Here, the second frequency refers to a frequency value near the first frequency band in which the same broadcast program transmitted at the first frequency can be heard.

검색된 제2 주파수를 저장하고, 수신된 아날로그 제2 채널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청취자에게 제2 주파수로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제4 단계(S40)를 갖는다.A fourth step S40 of storing the retrieved second frequency and converting the received analog second channel signal into a digital audio signal and preparing to provide a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service to the listener at the second frequency; .

차량이 제1 주파수와 제2 주파수가 동시에 잡히는 핸드오버 영역(handover region)에 진입했는지를 판단하는 제5 단계(S50)를 갖는다. And a fifth step S50 of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has entered a handover region in which the first frequency and the second frequency are simultaneously caught.

만일 제5 단계(S50)에서 차량이 핸드오버 영역(handover region)에 아직 진입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제2 단계(S20)로 회귀(return) 되어 제2 단계(S20)~ 제4 단계(S40)가 동일하게 수행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5 (S50) that the vehicle has not yet entered the handover region, the vehicle returns to step 2 (S20) to return to step 2 (S20) to step 4 (S40). ) Is performed the same.

반면, 제5 단계(S50)에서 차량이 핸드오버 영역(handover region)에 진입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제1 주파수에서 제2 주파수로 변경하여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6 단계(S60)로 이행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enters the handover region in the fifth step S50, the sixth step of changing from the first frequency to the second frequency to provide a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service (S60). Is implemented.

이하 도4를 참조하여 핸드오버 영역(handover region)에서 주파수 변경을 통한 끊어짐 없는(seamless)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리를 설명한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4, a principle of providing a seamless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service through frequency change in a handover reg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듀얼 DAB 수신 장치에 의할 경우 핸드오버 영역에서 주파수 변경을 통한 서비스 링킹을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FIG. 4 is a graph illustrating a method of implementing service linking by changing a frequency in a handover region when the dual DAB rece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도 4를 참조하면, 그래프는 CELL1 지역에서 CELL2 지역으로 차량이 이동할 경우, CELL1 지역에서 송출하는 Service A와 CELL2 지역에서 송출하는 Service B의 신호에 대한 전파강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방송 서비스 Service A와 Service B는 동일한 방송 서비스 아이디(Sevice ID)를 갖고 있어 청취자는 동일한 프로그램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4, when the vehicle moves from the CELL1 region to the CELL2 region, the graph shows the change in the radio wave intensity of the signal of Service A transmitted from the CELL1 region and Service B transmitted from the CELL2 region. In this case, the broadcast service Service A and Service B have the same broadcast ID, so that the listener can listen to the same program.

이 경우 Service A의 신호에 대한 전파강도는 CELL1 지역에서 CELL2 지역으로 차량이 이동함에 따라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In this case, the propagation intensity of the signal of Service A tends to decrease gradually as the vehicle moves from CELL1 to CELL2.

반면, Service B의 신호에 대한 전파강도는 CELL1 지역에서 CELL2 지역으로 차량이 이동함에 따라 점점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On the other hand, the propagation intensity of the signal of Service B tends to increase as the vehicle moves from the CELL1 area to the CELL2 area.

한편, 도4에서 빗금 친 핸드오버 영역(handover region)은 CELL1 지역의 Service A의 신호와 CELL2 지역의 Service B의 신호가 동시에 잡혀 서비스 링킹(service linking)이 가능한 d1, d2, d3, d4 지역을 나타낸다.Meanwhile, in FIG. 4, the hatched handover region is a region d1, d2, d3, and d4 where the signal of Service A in the CELL1 region and the Service B signal in the CELL2 region are simultaneously detected to enable service linking. Indicates.

여기서 핸드오버 영역(handover region)의 각 지역에 따른 Service A와 Service B의 전파강도를 살펴보면, d1 지역에서는 Service A의 전파강도가 Service B의 전파강도 보다 크고, d2 지역에서는 Service A의 전파강도가 Service B의 전파강도와 동일하며, d3, d4 지역으로 갈수록 Service A의 전파강도 보다 Service B의 전파강도가 점점 커지는 분포를 갖는다.  Here, the propagation intensity of Service A and Service B according to each region of the handover region is shown. In the d1 region, the propagation intensity of Service A is greater than that of Service B, and in the d2 region, the propagation intensity of Service A is It is the same as the propagation intensity of Service B, and has a distribution in which the propagation intensity of Service B becomes larger than that of Service A toward the d3 and d4 regions.

이때 차량이 핸드오버 영역(handover region)에 접근했는지 여부는 수신되는 Service A의 신호에 대한 전파강도의 세기가 일정 기준 이하로 일정 시간 유지하는지 여부 및 수신되는 Service B의 신호에 대한 전파강도의 세기가 일정 기준 이상 일정 시간 유지하는지 여부로 판단된다. At this time, whether the vehicle approaches the handover region indicates whether the intensity of the intensity of the signal of the received service A is kept below a certain level and the intensity of the intensity of the signal of the received service B. It is determined whether is maintained for a certain time over a certain criterion.

이하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차량의 청취자가 끊어짐 없이(seamless)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을 청취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3 and 4, a process of listening to a digital audio broadcast (DAB) seamlessly by a listener of a vehicl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차량의 청취자는 CELL1에서 핸드오버 영역(handover region)에 진입하기 직전의 d1 까지 제1 프론트엔드 유닛(223a)에서 선택한 제1 주파수로 방송 서비스(Service A)를 계속하여 수신한다. The listener of the vehicle continuously receives the broadcast service Service A at the first frequency selected by the first front end unit 223a until d1 immediately before entering the handover region in CELL1.

한편, 핸드오버 영역(handover region)에 진입하기 직전의 d1까지 제2 프론트엔드 유닛(223b)은 청취 가능한 모든 주파수를 검색한 후 검색된 제2 주파수를 저장하고, 수신된 아날로그 제2 채널 신호를 제2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청취자에게 제2 주파수로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Meanwhile, the second front end unit 223b searches for all audible frequencies until d1 immediately before entering the handover region, stores the retrieved second frequencies, and stores the received analog second channel signals. 2 Convert to a digital audio signal and prepare to provide a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service to a listener at a second frequency.

차량이 핸드오버 영역(handover region)의 d2 지역, 즉 Service A의 전파강도와 Service B의 전파강도가 서로 동일한 값으로 교차하는 지역에 도달하면, 제1 주파수를 갖는 방송 서비스(Service A)에서 제2 주파수를 갖는 방송 서비스(Service B)로 전환시킨다. When the vehicle reaches the d2 region of the handover region, that is, the region where the radio wave intensity of Service A and the radio wave intensity of Service B intersect with the same value, the broadcast service having the first frequency (Service A) Switch to a broadcast service (Service B) having two frequencies.

이 경우 핸드오버 영역(handover region)에 속하는 d1, d2, d3, d4의 어느 지점에서 제1 주파수에서 제2 주파수로 변경하여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지만, 이때 청취자가 최상의 상태로 방송을 청취할 수 있는 지점을 선택해야 함은 당연하다.In this case, the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service can be provided by changing from the first frequency to the second frequency at any point of d1, d2, d3, and d4 belonging to the handover region, but the listener is in the best state. Of course, you must choose a point where you can listen to the broadcast.

이로써,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된 듀얼 DAB 수신 장치를 이용하여 핸드오버 영역(handover region)에서 서비스 링킹(service linking)을 구현함으로써, 청취자가 차량의 이동 지역에 상관없이 끊어짐 없는(seamless)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서비스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service linking in a handover region by using a dual DAB receiving apparatus installed in a vehicle, so that a listener can seamlessly digital audio broadcast regardless of the moving region of the vehicle. (DAB) to listen to the service.

도5는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되는 제1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5 shows a first embodiment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이 A지역에서 B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A지역에서 수신 가능한 전파 강도는 12B(225.648MHz) > 12C(227.360MHz) > 12A(223.936MHz) 이고, B지역에서 수신 가능한 전파 강도는 12C(227.360MHz) > 12C(227.360MHz) > 12A(223.936MHz) > 12B(225.648MHz) 이다. Referring to FIG. 5, when the vehicle moves from the region A to the region B, the radio wave strength that can be received in region A is 12B (225.648 MHz)> 12C (227.360 MHz)> 12A (223.936 MHz), and the radio wave can be received in region B. The intensity is 12C (227.360 MHz)> 12C (227.360 MHz)> 12A (223.936 MHz)> 12B (225.648 MHz).

이 경우 청취자는 A지역에서 수신 강도가 제일 우수한 12B(225.648MHz)를 청취하고 있다가 B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차량에 설치된 듀얼 DAB 수신 장치를 이용하여 핸드오버 영역(handover region)에서 서비스 링킹(service linking)을 구현하여 B지역에서 수신 강도가 제일 우수한 12C(227.360MHz)로 변경함으로 끊어짐 없는(seamless) 방송을 청취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listener is listening to 12B (225.648 MHz) having the best reception strength in region A and then moves to region B, the listener may use service linking in the handover region using dual DAB receivers installed in the vehicle. By implementing service linking, it is possible to listen to seamless broadcasts by changing to 12C (227.360MHz), which has the best reception strength in region B.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10, 210 : 안테나
120, 220 : DAB 풀 모듈(Digital Audio Broadcasting Full Module)
121 : 고주파 처리부
221a : 제1 고주파 처리부 221b : 제2 고주파 처리부
122 : 기저대역 처리부
222a : 제1 기저대역 처리부 222b : 제2 기저대역 처리부
123 : 프론트엔드 유닛(front end unit)
223a : 제1 프론트엔드 유닛 223b : 제2 프론트엔드 유닛
124, 224 : 오디오 처리부 125, 225 : 저장부
226 : 핸드오버 판단부 130, 230 : 오디오 출력부
110, 210: Antenna
120, 220: DAB Full Audio Broadcasting Full Module
121: high frequency processing unit
221a: first high frequency processor 221b: second high frequency processor
122: baseband processing unit
222a: first baseband processor 222b: second baseband processor
123: front end unit
223a: first front end unit 223b: second front end unit
124, 224: audio processing unit 125, 225: storage unit
226: handover determination unit 130, 230: audio output unit

Claims (8)

송출단에서 발송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신호를 수신 받기 위한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서 수신된 아날로그 형태의 고주파(RF) 신호를 입력받아 청취자의 첫 번째 채널 선국으로 이용될 제1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1 채널 신호를 제1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1 프론트엔드 유닛;
상기 안테나에서 수신된 아날로그 형태의 고주파(RF)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2 채널 신호를 제2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2 프론트엔드 유닛;
상기 제1, 제2 프론트엔드 유닛에서 변환된 제1, 제2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전송 받아 이를 각각 복조(demodulation), 디코딩(decoding) 하여 제1, 제2 음성 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오디오 처리부;
청취자의 차량이 상기 제1 주파수와 상기 제2 주파수가 동시에 잡히는 핸드오버 영역에 진입했는지를 판단하여, 진입된 경우 상기 제1 주파수에서 상기 제2 주파수로 변경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핸드오버 판단부; 및
상기 제1, 제2 음성 신호를 청취자가 들을 수 있는 가청음으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
An antenna for receiving a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signal sent by a transmitter;
First front-end unit for receiving a high-frequency (RF) signal of the analog form received from the antenna to convert a first channel signal having a first frequency band to be used as the first channel selection of the listener to a first digital audio signal ;
A second front end unit for receiving an analog high frequency (RF)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and converting a second channel signal having the second frequency band into a second digital audio signal;
An audio processor configured to receive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audio signals converted by the first and second front end units, and to demodulate and decode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audio signals, respectively, to extract the first and second voice signals;
It is determined whether a vehicle of a listener enters a handover area where the first frequency and the second frequency are simultaneously detected, and when the vehicle is entered, a handover determination unit for changing a service from the first frequency to the second frequency to provide a service. ; And
And an audio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first and second voice signals as an audible sound that can be heard by a listen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론트엔드 유닛은,
상기 제1 채널 신호를 아날로그 베이스밴드(base band)로 변환하기 위한 제1 고주파 처리부; 및
상기 아날로그 베이스밴드(base band)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하여 제1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제1 기저대역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front end unit,
A first high frequency processor for converting the first channel signal into an analog base band; And
And a first baseband processor for analog-to-digital (A / D) converting the analog baseband signal and outputting the analog baseband signal as a first digital audio sig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론트엔드 유닛은,
상기 제2 채널 신호를 아날로그 베이스밴드(base band)로 변환하기 위한 제2 고주파 처리부; 및
상기 아날로그 베이스밴드(base band)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하여 제2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제2 기저대역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front end unit,
A second high frequency processor for converting the second channel signal into an analog base band; And
And a second baseband processor for analog-to-digital (A / D) converting the analog baseband signal and outputting the analog baseband signal as a second digital audio sig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파수는,
상기 제1 주파수로 송출되는 동일한 프로그램을 청취할 수 있는 제1 주파수 대역 근처의 주파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frequency is,
And a frequency value near a first frequency band for listening to the same program transmitted at the first frequenc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처리부는,
오디오 코덱(codec)으로 MPEG-2, MPEG-4 AAC(Advanced Audio Coding)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udio processor,
Dual digital audio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using MPEG-2, MPEG-4 AAC (Advanced Audio Coding) as an audio codec (codec).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처리부에서 복조(demodulation) 하고, 디코딩(decoding)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일시 저장 공간으로 에스디램(SDRAM); 및
상기 제1, 제2 프론트엔드 유닛에서 변환된 제1, 제2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채널 리스트를 저장하기 위한 플래시(flash) 메모리를 구비한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SDRAM as a temporary storage space for demodulation and decoding in the audio processor; And
And a storage unit having a flash memory for storing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audio signals and the channel list converted by the first and second front end units. .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채널 선국을 준비하는 제1 단계;
제1 프론트엔드 유닛에서 청취자의 첫 번째 채널 선국으로 이용될 제1 주파수를 선택하고, 수신된 아날로그 형태의 제1 채널 신호를 제1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 후 청취자에게 상기 제1 주파수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단계;
제2 프론트엔드 유닛에서 상기 제1 주파수와 동일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서비스를 청취할 수 있는 대역을 갖는 제2 주파수를 검색하는 제3 단계;
상기 제2 주파수를 저장하고, 상기 수신된 아날로그 제2 채널 신호를 제2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청취자에게 제2 주파수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제4 단계;
청취자의 차량이 상기 제1 주파수와 상기 제2 주파수가 동시에 잡히는 핸드오버 영역에 진입했는지를 판단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제5 단계에서 차량이 핸드오버 영역에 아직 진입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2 단계로 회귀(return) 하고,
상기 제5 단계에서 차량이 핸드오버 영역에 진입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주파수에서 상기 제2 주파수로 서비스를 변경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링킹 방법.
A first step of preparing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channel selection;
Selecting a first frequency to be used as a first channel tuning of the listener in the first front-end unit, converting a received analog channel first channel signal into a first digital audio signal and then broadcasting to the listener at the first frequency; Providing a second step;
Searching for a second frequency having a band in which a second front end unit can listen to the same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service as the first frequency;
A fourth step of storing the second frequency and preparing to provide a broadcast service to a listener at a second frequency by converting the received analog second channel signal into a second digital audio signal;
A fifth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vehicle of a listener enters a handover area where the first frequency and the second frequency are simultaneously detected; 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5 that the vehicle has not yet entered the handover area, the process returns to the second step,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enters the handover region in the fifth step, changing the service from the first frequency to the second frequency; and using the dual digital audio broadcasting receiver. Linking metho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영역에 진입여부 판단은,
상기 제1 주파수의 신호에 대한 전파강도의 세기가 일정 기준 이하로 일정 시간 유지하는지 여부 및 상기 제2 주파수의 신호에 대한 전파강도의 세기가 일정 기준 이상 일정 시간 유지하는지 여부에 의해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링킹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determining whether to enter the handover area,
It is determined by whether the intensity of the radio wave intensity for the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is kept below a predetermined reference for a certain time and whether the intensity of the wave intensity for the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is maintained for a certain time or more over a predetermined reference. A service linking method using a dual digital audio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KR1020110071212A 2011-07-19 2011-07-19 Dual digital audio broadcasting receiver and service linking method using thereof KR1017488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212A KR101748885B1 (en) 2011-07-19 2011-07-19 Dual digital audio broadcasting receiver and service linking method us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212A KR101748885B1 (en) 2011-07-19 2011-07-19 Dual digital audio broadcasting receiver and service linking method us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525A true KR20130010525A (en) 2013-01-29
KR101748885B1 KR101748885B1 (en) 2017-07-03

Family

ID=47839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212A KR101748885B1 (en) 2011-07-19 2011-07-19 Dual digital audio broadcasting receiver and service linking method us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88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881B1 (en) * 2014-04-17 2015-02-25 주식회사 텔레칩스 Adaptive method of providing fast synchronization of audio signals for seamless link in a heterogeneous audio broadcast receive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WO2020009745A1 (en) * 2018-07-02 2020-01-09 Hock Darryl Retrofitting legacy car radio to receive digital audio broadcast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4969A (en) * 2006-07-26 2008-02-14 Toyota Motor Corp Broadcast receiving device for vehicle, and broadcast receiving method for vehic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881B1 (en) * 2014-04-17 2015-02-25 주식회사 텔레칩스 Adaptive method of providing fast synchronization of audio signals for seamless link in a heterogeneous audio broadcast receive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WO2020009745A1 (en) * 2018-07-02 2020-01-09 Hock Darryl Retrofitting legacy car radio to receive digital audio broadcasts
US11329740B2 (en) 2018-07-02 2022-05-10 Darryl Hock Retrofitting legacy car radio to receive digital audio broadcas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8885B1 (en) 201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39109A1 (en) Portable device with combined broadcast and web radio
JP4614906B2 (en) Receiver
EP258086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modulation based audio correlation technique for maintaining dynamic fm station list in single tuner variant and assisting alternate frequency switching methodology in single tuner and dual tuner variants
CN102210142A (en) Broadcast receiving circuit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EP3001587B1 (en) Radio broadcasting reception device and method for switching reception broadcasting services
KR101748885B1 (en) Dual digital audio broadcasting receiver and service linking method using thereof
KR2005004925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channel frequency and program in mobil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102219431B1 (en) Method for channel auto switching of radio broadcasting
US20160294421A1 (en) Management Process of a Radio Service Following In a Receptor and Corresponding Receptor
JP5653793B2 (en) Radio broadcast receiver
EP2693668B1 (en) Radio receiver
KR102319432B1 (en) Method for switching variety audio broadcasting
KR101945742B1 (en) Broadcasting Data Seamless Decoding Output Apparatus of Digital Audio Broadcasting
KR20130128140A (en) Digital radio receiver and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radio
JP2009049954A (en) Receiver and receiving method
JP2013016960A (en) Broadcast receiver
EP3174226B1 (en) Broadcasting reception device and broadcasting reception control method
KR20150142802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radio frequency and method thereof
JP2011211585A (en) Radio receiver
KR2015006983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dio signal process
JP2020005031A (en) Radio receiver, on-vehicle device, and radio reception program
KR101495880B1 (en) Method of seamlessly processing audio signals in a heterogeneous audio broadcast receive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KR20150044347A (en) Digital audio broadcas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4790064B2 (en) FM multiplex broadcast receiver
KR20110096819A (en) System for tracing and hearing identical broadcast on multi frequency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