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0496A - 수기 메시지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수기 메시지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0496A
KR20130010496A KR1020130001675A KR20130001675A KR20130010496A KR 20130010496 A KR20130010496 A KR 20130010496A KR 1020130001675 A KR1020130001675 A KR 1020130001675A KR 20130001675 A KR20130001675 A KR 20130001675A KR 20130010496 A KR20130010496 A KR 20130010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handwritten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device
handwritten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진
Original Assignee
김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진 filed Critical 김수진
Priority to KR1020130001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0496A/ko
Publication of KR20130010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4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기 메시지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기록매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기 메시지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기록매체는, 발신 통신단말장치에서 발신자의 자필로 작성된 수기메모 파일을 생성한 후 생성한 수기메모 파일을 무선 통신망에 기반하여 발신하기 위한 수기 메시지로 변환하고 변환한 수기 메시지를 착신 통신단말장치로 전달함에 따라 착신 통신단말장치에서 발신자의 자필로 작성된 수기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신자의 자필에 의해 작성된 편지를 전달하는 것과 같이 휴머니즘을 느낄 수 있는 매체 제공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기 메시지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기록매체{SERVER APPARATUS FOR PRODUCING HAND-WRITING MESSAGE SERVICE, AND RECORDING MEDIUM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수기 메시지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신 통신단말장치에서 발신자의 자필로 작성된 수기 메시지를 무선통신망을 거쳐 착신 통신단말장치로 전달하여 발신자의 자필로 작성된 수기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기 메시지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망에 기반한 통신단말장치는 휴대하고 다니면서 전화 통화를 수행할 뿐 아니라, 다양한 정보들을 문자나 이미지 형태로 전송, 수신하며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제공받는 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통신단말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와 사용자 간,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 업체와 사용자 간, 일반 업체와 사용자 간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가 이용된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통신단말장치 간의 통화 유무와 상관없이 통신단말장치 사이에 총 80Byte 내지 90Byte의 짧은 문자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양방향 단문 메시지 서비스로서, 이메일과 달리 송신자의 발송과 동시에 내용이 수신자에게 전달되는 장점으로 인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통신단말장치 사이에 회신 번호와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하며 그 밖에도 문자의 형태로 은행 계정 조회, 송금, 환율 정보, 여행 정보, 교통 정보, 일기 예보, 여가 정보, TV 정보, 뉴스, 주식 정보, 광고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받아볼 수도 있다.
또한, 신용카드 회사들이 카드 사고를 막기 위해 거래 승인 내용을 문자 메시지를 통해 전송하는 전자 결제, 전자 상거래에까지 활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사용자가 통화가 곤란한 공공 장소에 있는 경우나, 회의 중 또는 강의 중인 상황에 다른 사람에게 방해를 주지 않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그 활용이 지속적으로 많아지고 있다.
아울러,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형태를 문자만이 아닌 정지 영상을 포함하여 서비스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메시지 서비스는 발신 통신단말장치에서 발신 메시지에 포함하기 위해 작성되는 문자 및 착신 통신단말장치에서 수신한 착신 메시지에 포함되어 작성된 문자를 기 정해진 고정 필체로만 서비스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메시지 서비스는 빠르고 편리하게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매체로 큰 역할을 하고 있으나, 발신자의 자필에 의해 작성된 편지를 전달하는 것과 같이 휴머니즘을 느끼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신 통신단말장치에서 발신자의 자필로 작성된 수기메모 파일을 생성한 후 생성한 수기메모 파일을 무선 통신망에 기반하여 발신하기 위한 수기 메시지로 변환하고 변환한 수기 메시지를 착신 통신단말장치로 전달함에 따라 착신 통신단말장치에서 발신자의 자필로 작성된 수기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기 메시지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 통신단말장치에서 제1 작성자의 자필로 작성된 제1 수기 메시지를 제2 통신단말장치에 전달한 후, 제2 통신단말장치에서 제1 수기 메시지에 제2 작성자의 자필로 작성된 메시지 내용을 더 포함하여 제2 수기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한 제2 수기 메시지를 제1 통신단말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수기 메시지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수기 메시지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는, 발신자의 자필로 작성된 수기 메시지를 무선 통신망에 기반한 발신 요청을 통해 제공받기 위한 제1 서버부 및 상기 발신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착신자 번호로 상기 수기 메시지를 상기 무선 통신망에 기반하여 전달하기 위한 제2 서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기 메시지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착발신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통신단말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발신자의 자필로 작성된 수기메모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수기메모 파일을 무선 통신망에 기반하여 발신하기 위한 수기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 및 착신자 번호를 포함한 발신 요청을 통해 상기 수기 메시지에 대한 발신을 실행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통신단말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작성자의 자필로 작성된 제1 수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수기 메시지를 편집 가능한 제1 수기메모 파일로 변환한 후 상기 제1 수기메모 파일에 제2 작성자의 자필로 작성된 메시지 내용을 더 포함하여 제2 수기메모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수기메모 파일을 무선 통신망에 기반하여 발신하기 위한 제2 수기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수기 메시지를 발신한 통신 번호를 포함한 발신 요청을 통해 상기 제2 수기 메시지에 대한 발신을 실행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장치는, 발신자의 자필로 작성된 수기메모 파일을 생성한 후 상기 수기메모 파일을 무선 통신망에 기반하여 발신하기 위한 수기 메시지로 변환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통신단말장치와 접속 후 사용자 인증을 거쳐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통신단말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발신 통신단말장치에서 발신자의 자필로 작성된 수기메모 파일을 생성한 후 생성한 수기메모 파일을 무선 통신망에 기반하여 발신하기 위한 수기 메시지로 변환하고 변환한 수기 메시지를 착신 통신단말장치로 전달함에 따라 착신 통신단말장치에서 발신자의 자필로 작성된 수기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발신자의 자필에 의해 작성된 편지를 전달하는 것과 같이 휴머니즘을 느낄 수 있는 매체 제공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통신단말장치에서 제1 작성자의 자필로 작성된 제1 수기 메시지를 제2 통신단말장치에 전달한 후, 제2 통신단말장치에서 제1 수기 메시지에 제2 작성자의 자필로 작성된 메시지 내용을 더 포함하여 제2 수기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한 제2 수기 메시지를 제1 통신단말장치에 전달함으로써, 제1 작성자 및 제2 작성자 상호 간에 하나의 서신을 통해 메모 기재한 내용을 주고 받는 것과 같이 새로운 형태의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기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발신 통신단말장치의 단말 화면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발신 통신단말장치의 단말 화면을 다른 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기 메시지를 단방향으로 전달하는 동작 과정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기 메시지를 양방향으로 전달하는 경우 각 통신단말장치의 단말화면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수기 메시지를 양방향으로 전달하는 동작 과정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기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기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수기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작성자의 자필로 작성된 수기 메시지를 무선통신망에 기반하는 메시지의 형태로 상대방에게 전달하여 작성자의 자필로 작성된 수기 메시지를 그대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호 간에 통신 수행을 위한 제1 통신단말장치(100) 및 제2 통신단말장치(300)와, 제1 통신단말장치(100) 및 제2 통신단말장치(300) 간에 송수신하기 위한 수기 메시지를 무선통신망에 기반하여 전달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200), 및 소정의 통신단말장치에서 작성자의 자필에 기초한 수기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장치(4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춘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200) 및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장치(400)는 통합 형태로 구현되거나 각각 별개의 구성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작성자의 자필에 기초한 수기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은 통신단말장치에 디폴트로 구비되거나,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하지 아니한 통신단말장치를 통한 요청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장치(400)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수기 메시지 서비스라 함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무선통신망 기반의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통신단말장치(100)를 발신 통신단말장치로 하고 제2 통신단말장치(300)를 착신 통신단말장치인 것으로 가정하면, 제1 통신단말장치(100)에서 상기 언급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단말 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발신자의 자필로 메시지 내용을 작성하고, 작성 완료된 메시지 내용을 수기메모 파일로 저장한다.
여기서, 수기메모 파일이라 함은 정지영상 파일(예: 그림 파일)과 같은 저장 파일을 일컫는다.
이후, 제1 통신단말장치(100)에서는 수기메모 파일을 메시지 형태로 제2 통신단말장치(300)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수기메모 파일을 무선 통신망에 기반하여 발신하기 위한 수기 메시지로 변환한다.
일례로, 무선 통신망에 기반하여 발신하기 위한 수기 메시지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발신자의 자필로 직접 작성한 메시지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수기메모 파일을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통해 전달하기 위한 메시지 포맷으로 변환 설정함에 따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1 통신단말장치(100)에서 제2 통신단말장치(300)로 전달할 때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에 기반한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전달된다.
또한, 제2 통신단말장치(300)에서 수신한 수기 메시지를 단말화면에 출력할 때,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형태로 출력하여도 이미 발신자의 자필로 작성된 메시지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착신자는 제2 통신단말장치(300)의 단말화면을 통해 발신자로 하여금 직접 작성된 메시지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발신 통신단말장치의 단말 화면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신단말장치(100)의 단말 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발신자의 자필에 의한 메시지 내용 입력방식을 단말화면 대비 부분 입력창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통신단말장치(100)에서 수기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서비스 실행화면 중 일부분을 발신자의 자필 입력을 위한 입력창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다른 부분은 발신자에 의해 자필 입력된 메시지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면으로 활용한다.
즉, "수진~ 정민이도 잘"은 이미 발신자의 자필에 의해 입력된 내용이며, 이 입력된 내용인 "수진~ 정민이도 잘"도 자필 입력된 상태로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발신자의 자필 입력을 위한 입력창에 디스플레이 중인 "있"은 발신자에 의해 입력 수행되고 있는 상태인 것이며, 입력 완료로 설정되면 상기 "수진~ 정민이도 잘"에 이어서 "수진~ 정민이도 잘 있"로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이 변경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발신 통신단말장치의 단말 화면을 다른 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신단말장치(100)의 단말 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발신자의 자필에 의한 메시지 내용 입력방식을 단말 화면 대비 전체 입력창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통신단말장치(100)에서 수기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서비스 실행화면 중 전체 화면을 발신자의 자필 입력을 위한 입력창으로 설정함에 따라, 입력창 자체가 메시지 내용을 입력한 디스플레이 화면이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입력 방식은 한정된 단말 화면 크기로 인하여 발신자의 자필 입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불편한 점이 있으므로, 도 3a)와 같이 메시지 내용을 자필로 일부 입력한 후 화면 위치를 좌우, 상하로 이동하여 나머지 부분에 대한 자필 입력을 수행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작성된 메시지 내용을 수기 메시지로 형성하게 되면, 자필로 작성된 형태 그대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내용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메시지 출력 화면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발신자에 의한 자필 입력 시에는 입력이 용이하도록 입력창의 화면 위치를 좌우,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발신자 또는 착신자에 의한 메시지 확인시에는 미리 정해진 규격 화면으로 조절하여 발신자 자필에 의한 메시지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기 메시지를 단방향으로 전달하는 동작 과정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수기 메시지 서비스의 동작 과정은 제1 통신단말장치(100)에서 발신자의 자필 작성에 의한 메시지 내용 입력 후 입력된 메시지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수기메모 파일을 생성하는 것으로 진행된다(S100).
이후, 수기메모 파일은 제1 통신단말장치(100)의 수기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무선통신망에 기반하여 전달되기 위한 수기 메시지로 변환된다(S102).
이에, 제1 통신단말장치(100)는 통상의 무선 통신망 기반의 메시지 전달 서비스에 기반하여 상기 변환된 수기 메시지에 대한 발신 요청을 수행한다(S104).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200)의 제1 서버부에서 상기 발신 요청을 접수하여 발신자의 자필로 작성된 수기 메시지를 제공받은 후, 제2 서버부를 통해 발신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착신자 번호로 해당 수기 메시지를 무선 통신망에 기반하여 착신자의 단말인 제2 통신단말장치(300)에 전달한다(S106).
이후, 제2 통신단말장치(300)는 통상의 무선 통신망 기반의 메시지 수신과정과 같이(예: MMS), 수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S108 및 S110).
S110 단계에서 제2 통신단말장치(300)의 단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수기 메시지는 발신자의 자필로 작성된 형태를 유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기 메시지를 양방향으로 전달하는 경우 각 통신단말장치의 단말화면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신단말장치(100) 및 제2 통신단말장치(300) 간에 수기 메시지를 양방향성으로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1 통신단말장치(100)에서 제1 작성자의 자필로 작성된 제1 수기 메시지를 제2 통신단말장치(300)에 전달한 후, 제2 통신단말장치(300)에서 제1 수기 메시지에 제2 작성자의 자필로 작성된 메시지 내용을 더 포함하여 제2 수기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한 제2 수기 메시지를 제1 통신단말장치(100)에 전달하는 기능을 일컫는다.
이러한 양방향성의 수기 메시지 송수신은 여러 차례 반복 수행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작성자가 제1 통신단말장치(100)를 통해 "1+2+3+4+5 = ?"라는 문제를 수기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수기 메시지로 한다. 도 5a)가 이에 해당하는 단말 화면이다.
이후, 도 5a)의 메시지 내용을 포함한 수기 메시지를 제2 통신단말장치(300)로 전달하게 되면, 제2 통신단말장치(300)의 단말화면에 "1+2+3+4+5 = ?"가 제1 작성자에 의해 자필 작성된 형태로 출력된다.
이후, 제2 작성자는 단말화면에 출력 중인 "1+2+3+4+5 = ?"의 문제를 푼 결과를 출력 중인 화면 자체에 "15"로 입력 수행하여 다른 수기 메시지를 생성한다. 도 5b)가 이에 해당하는 단말 화면이다.
이렇게 생성된 다른 수기 메시지는 제2 통신단말장치(300)에서 제1 통신단말장치(100)로 전달된다.
이어, 제1 작성자는 "1+2+3+4+5 = ?"의 문제를 푼 결과로 "15"가 추가 입력된 다른 수기 메시지를 단말 화면에 출력한 상태에서 그 화면 자체에 또다시 추가 적으로 "Good"이라는 평가 결과를 입력 수행하여 또 다른 수기 메시지를 생성한다. 도 5c)가 이에 해당하는 단말 화면이다.
이렇게 생성된 또 다른 수기 메시지를 제1 통신단말장치(100)에서 제2 통신단말장치(300)로 전달하게 되면, 제2 통신단말장치(300)의 단말 화면에 도 5d)와 같이 상기 또 다른 수기 메시지를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수기 메시지를 양방향으로 전달하는 동작 과정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수기 메시지를 양방향으로 전달하는 과정은 제1 통신단말장치(100)에서 제1 작성자의 자필 작성에 의한 메시지 내용 입력 후 입력된 메시지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제1 수기메모 파일을 생성하는 것으로 진행된다(S200).
이후, 제1 수기메모 파일은 제1 통신단말장치(100)의 수기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무선통신망에 기반하여 전달되기 위한 제1 수기 메시지로 변환된다(S202).
이에, 제1 통신단말장치(100)는 통상의 무선 통신망 기반의 메시지 전달 서비스에 기반하여 상기 변환된 제1 수기 메시지에 대한 발신 요청을 수행한다(S204).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200)의 제1 서버부에서 상기 발신 요청을 접수하여 발신자의 자필로 작성된 제1 수기 메시지를 제공받은 후, 제2 서버부를 통해 발신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착신자 번호로 해당 제1 수기 메시지를 무선 통신망에 기반하여 착신자의 단말인 제2 통신단말장치(300)에 전달한다(S206).
이후, 제2 통신단말장치(300)는 통상의 무선 통신망 기반의 메시지 수신과정과 같이(예: MMS), 제1 수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S208 및 S210).
S210 단계에서 제2 통신단말장치(300)의 단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수기 메시지는 발신자의 자필로 작성된 형태를 유지한다.
이후, 제2 작성자는 제2 통신단말장치(300)의 단말 화면에 출력 중인 제1 수기 메시지 자체에 소정의 메시지 내용을 더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 제1 수기 메시지를 편집 가능한 제1 수기메모 파일로 재변환한다(S212).
이후, 제2 통신단말장치(300)의 단말 화면에 출력 중인 제1 수기메모 파일 형태의 제1 수기 메시지에 대한 제2 작성자의 자필 입력에 의한 메시지 추가 입력이 있으면, 추가 입력된 메시지 내용과 제1 수기 메시지의 원본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제2 수기메모 파일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S214).
또한, 제2 통신단말장치(300)는 제2 수기메모 파일을 무선 통신망에 기반하여 발신하기 위한 제2 수기 메시지로 변환한 후(S216), 제1 통신단말장치(100)의 통신 번호를 포함한 발신 요청을 통해 상기 제2 수기 메시지에 대한 발신을 실행한다(S218).
이후, 제2 수기 메시지는 무선 통신망의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200)를 거쳐 상기 발신 요청에 포함된 착신자 번호와 상응하는 제2 통신단말장치(300)로 전달되고(S220), 제2 통신단말장치(300)에서 수신한 제2 수기 메시지를 단말 화면에 제2 작성자의 자필 입력 형태로 디스플레이 한다(S222 및 S224).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신 통신단말장치에서 발신자의 자필로 작성된 수기 메시지를 무선통신망을 거쳐 착신 통신단말장치로 전달하여 발신자의 자필로 작성된 수기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제1 통신단말장치 200: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300: 제2 통신단말장치 400: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장치

Claims (3)

  1. 발신자의 자필로 작성된 수기 메시지를 무선 통신망에 기반한 발신 요청을 통해 제공받기 위한 제1 서버부; 및
    상기 발신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착신자 번호로 상기 수기 메시지를 상기 무선 통신망에 기반하여 전달하기 위한 제2 서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기 메시지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기 메시지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착발신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기 메시지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3. 통신단말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발신자의 자필로 작성된 수기메모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수기메모 파일을 무선 통신망에 기반하여 발신하기 위한 수기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 및
    착신자 번호를 포함한 발신 요청을 통해 상기 수기 메시지에 대한 발신을 실행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130001675A 2013-01-07 2013-01-07 수기 메시지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기록매체 KR201300104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675A KR20130010496A (ko) 2013-01-07 2013-01-07 수기 메시지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675A KR20130010496A (ko) 2013-01-07 2013-01-07 수기 메시지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기록매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015A Division KR101305029B1 (ko) 2011-06-23 2011-06-23 수기 메시지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496A true KR20130010496A (ko) 2013-01-28

Family

ID=47839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675A KR20130010496A (ko) 2013-01-07 2013-01-07 수기 메시지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04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50361A (ko) * 2015-06-22 2016-12-30 이태완 수기 메시지 제공 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50361A (ko) * 2015-06-22 2016-12-30 이태완 수기 메시지 제공 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5709B1 (ko) 휴대단말기에서의 개선된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US8327127B2 (en) Web content customization via adaptation web services
CN103391504B (zh) 一种流量提醒的方法及装置
CN102263705B (zh) 显示即时通讯消息的方法及装置
KR20070079553A (ko) 국제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운용하는 방법
US20220391577A1 (en) Information interaction method and apparatus, server, system, and storage medium
CN112073307B (zh) 邮件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CN109670132A (zh) 一种页面绘制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09766315A (zh) 文件展示方法及终端、计算机存储介质、计算机设备
KR101305029B1 (ko) 수기 메시지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기록매체
KR2008000695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변환 장치 및 방법
CN101938580A (zh) 一种实现话务台业务的方法及系统
KR20130010496A (ko) 수기 메시지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기록매체
KR100846734B1 (ko) 폰트 코덱이 결합된 문자메시지, 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방법
KR20070066661A (ko) Mms 데이터 통신방법
KR101351995B1 (ko) 문자메시지 변환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N104753759A (zh) 即时通信im系统中的联系人信息展现方法和装置
KR20120033453A (ko) 위치기반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73343B1 (ko) 휴대폰의 메시지 읽음 확인 서비스 방법
CN104754541A (zh) 一种智能省费的信息传输方法及装置
KR101950059B1 (ko) 수기 메시지 제공 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0852755B1 (ko) 이동통신망에서 문자 메시지 전달 시스템, 방법 및 그를위한 문자 메시지 변환 장치
KR101570240B1 (ko) 전자 메일 중계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101978064B1 (ko) 컬러 sms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01072001A2 (en) Method of, and means for charging of delivering mobile or wireless information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