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0252A -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0252A
KR20130010252A KR1020110070927A KR20110070927A KR20130010252A KR 20130010252 A KR20130010252 A KR 20130010252A KR 1020110070927 A KR1020110070927 A KR 1020110070927A KR 20110070927 A KR20110070927 A KR 20110070927A KR 20130010252 A KR20130010252 A KR 20130010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haracter
user
keyboard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신석
이상우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70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0252A/ko
Publication of KR20130010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2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가상 키보드(virtual keyboard) 크기 조절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장치는, 복수의 문자 입력키를 포함하는 가상 키보드를 표시하는 키보드 표시부; 및 상기 가상 키보드의 문자 입력키를 통해 문자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된 문자 다음에 입력될 확률에 따라 상기 복수의 문자 입력키 각각의 크기를 조절하는 키보드 조절부를 포함함으로써, 자원 제약적인 모바일 기기 환경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의 공간 활용도 및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한다.

Description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sizing virtual keyboard}
본 발명은 가상 키보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확률을 기반으로 가상 키보드의 각각의 키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모바일 기기 화면의 공간 활용도 및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하는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상 키보드(virtual key board)란 실제 키보드 대신에 무선 감지나 광 감지에 의한 패턴을 키로 사용하는 컴퓨터 키보드를 말한다. 이러한 가상 키보드를 구현하는 방식에는 디스플레이 평면의 화면상에 이미지 맵처럼 키보드 영상을 표시하고 영상 키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touch)를 광학 장치로 인식하는 방식과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송하는 방식 등이 있다.
최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내지 터치패드(touch pad)를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모바일 단말기들의 보급률이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가상 키보드 기술에 대한 관심과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일반적인 PC 환경에서 사용되는 물리적 키보드와는 달리, 모바일 단말기 등 공간 제약적인 환경에서 사용되는 가상 키보드의 경우 키 입력 공간이 매우 협소하여 문자 입력 시 많은 오타가 발생하기 때문에, 가상 키보드 이용 시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오타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가상 키보드 기술에 대한 요청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미국등록특허 제7752569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기술들은 가상 키보드를 예컨대, 터치패드(touch pad) 등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한 후, 사용자가 특정 패턴의 터치 입력이나 키 입력을 통해 별도의 키보드 크기 변경 명령을 내리면, 그에 따라 가상 키보드의 전체 크기를 변경한다. 그 결과, 기존의 기술들은 사용자의 신속한 문자 입력을 어렵게 하며, 또한 가상 키보드에 포함된 입력 키들의 크기가 일률적으로 변경되므로 사용자 편의성 및 공간 활용도 개선에 충분히 기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0-0105236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기술들은 전체 자판에서 자음 부분 또는 모음 부분 등 자판의 일부만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자 한다. 그 결과, 기존의 기술들은 PC 등에서 사용되는 소위 쿼티(qwerty) 자판에 익숙한 대부분의 사용자들로 하여금 새로운 형식의 자판에 적응하도록 강요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전체 문자 입력키들의 위치 등 자판 전체에 대한 정보를 한번에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신속한 문자 입력을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기존의 기술들은 모바일 장치들의 스마트화 내지 지능화 경향에 따라 사용자의 언어 사용 습관을 고려하여 가상 키보드를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전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가상 키보드에 있어서 현재 입력된 문자 다음에 입력될 확률에 따라 가상 키보드의 문자 입력키들의 크기를 각각 조절함으로써, 문자 입력 시 오타율을 감소시키고 공간 활용도를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 환경에서 대부분의 사용자들에게 익숙한 쿼티 키보드를 사용하면서도 오타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언어 사용 습관을 고려하여 문자 입력키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문자 입력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장치는, 복수의 문자 입력키를 포함하는 가상 키보드를 표시하는 키보드 표시부; 및 상기 가상 키보드의 문자 입력키를 통해 문자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된 문자 다음에 입력될 확률에 따라 상기 복수의 문자 입력키 각각의 크기를 조절하는 키보드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키보드 조절부는, 상기 복수의 문자 입력키를 통해 입력 가능한 각각의 문자들에 대하여 소정의 선 입력 문자 다음에 입력될 확률에 대응하는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를 저장하는 키 크기 저장부; 및 상기 가상 키보드의 문자 입력키를 통해 문자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키 크기 저장부의 상기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문자 입력키 각각의 크기를 조절하는 키보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보드 표시부는, 상기 가상 키보드의 문자 입력키에 대한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 문자에 관한 터치 입력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키보드 표시부는, 상기 가상 키보드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부; 상기 가상 키보드 화면에 대한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및 상기 터치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터치에 대하여 터치 입력값을 생성하는 터치 입력값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보드 제어부는, 상기 키보드 표시부에서 생성된 터치 입력값에 의해 입력 문자를 인식하는 입력 문자 인식부; 및 상기 키 크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 중 상기 입력 문자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입력 문자 다음에 입력될 확률에 대응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문자 입력키 각각의 크기를 조절하는 키 크기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키보드 조절부는, 상기 입력 문자 인식부에 의해 인식되는 문자들을 통해 사용자 사용 어휘를 학습하여 상기 사용자 사용 어휘의 사용 빈도를 고려한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를 상기 키 영역 저장부에 저장하는 사용자 어휘 학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어휘 학습부는, 상기 입력 문자 인식부에 의해 인식되는 문자들로 구성되는 사용자 사용 어휘 및 상기 어휘의 입력 빈도수를 저장하는 사용자 어휘 저장부; 및 상기 복수의 문자 입력키를 통해 입력 가능한 각각의 문자들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어휘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사용 어휘 및 어휘 입력 빈도수를 고려하여 소정의 선 입력 문자 다음에 입력될 확률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확률에 대응하는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를 생성하는 키 크기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키보드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사용 어휘 학습 전 상기 키 크기 저장부에 저장된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문자 입력키 각각의 크기를 조절하는 사용자 독립 조절 모드, 또는 상기 사용자 사용 어휘의 사용 빈도를 고려한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문자 입력키 각각의 크기를 조절하는 사용자 종속 조절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키보드 제어부는, 상기 키보드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독립 조절 모드 또는 상기 사용자 종속 조절 모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모드 선택 창을 표시하여 상기 키보드 제어부로 하여금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조절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조절 모드 전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방법은, 터치스크린 기반 장치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보드의 크기를 조절하며, 상기 장치에서 상기 가상 키보드의 복수의 문자 입력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 입력 단계; 및 상기 장치에서 상기 입력된 문자 다음에 입력될 확률에 따라 상기 복수의 문자 입력키 각각의 크기를 조절하는 키보드 조절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방법은, 상기 문자 입력 단계 전에 상기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문자 입력키를 통해 입력 가능한 각각의 문자들에 대하여 소정의 선 입력 문자 다음에 입력될 확률에 대응하는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를 소정 저장부에 저장하는 키 크기 저장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 조절 단계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 중 상기 입력된 문자 다음에 입력될 확률에 대응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문자 입력키 각각의 크기를 조절하는 키 크기 제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키보드 조절 단계는, 상기 장치에서 상기 가상 키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사용 어휘를 학습하여 상기 사용자 사용 어휘의 사용 빈도를 고려한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사용자 어휘 학습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키보드 제어 단계는, 상기 사용자 어휘 학습 단계 전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문자 입력키 각각의 크기를 조절하는 사용자 독립 조절 모드, 또는 상기 사용자 사용 어휘의 사용 빈도를 고려한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문자 입력키 각각의 크기를 조절하는 사용자 종속 조절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키보드 제어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독립 조절 모드 또는 상기 사용자 종속 조절 모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모드 선택 창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장치가 상기 모드 선택 창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조절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간 제약적인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현재 입력된 문자 다음에 입력될 확률에 따라 가상 키보드의 문자 입력키 각각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문자 입력 시 오타율을 감소시키고 공간 활용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 환경에서 대부분의 사용자들에게 익숙한 쿼티 키보드를 사용하면서도 사용자 오타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언어 사용 습관을 고려하여 문자 입력키의 크기를 적응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문자 입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가상 키보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가상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따른 문자 입력 시 문자 입력키의 크기가 조절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관한 해결 방안을 명확화하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 공지기술에 관한 설명이 오히려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장치가 블록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방법이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장치(100)는 키보드 표시부(110) 및 키보드 조절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장치(100)에는 가상 키보드(virtual keyboard)를 통해 입력 가능한 각각의 문자에 대하여, 소정 문자가 입력되는 경우 그 다음에 입력될 확률이 사전에 산출되어 저장될 수 있다(S210). 그리고, 상기 키보드 표시부(110)는, 복수의 문자 입력키를 지니는 가상 키보드를 화면상에 표시한다(S220). 또한, 상기 키보드 조절부(120)는, 상기 가상 키보드의 문자 입력키를 통해 문자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된 문자 다음에 입력될 확률에 따라 상기 복수의 문자 입력키 각각의 크기를 조절한다(S230 내지 S260).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키보드 표시부(110)는 디스플레이 패널부(112), 터치 감지부(114) 및 터치 입력값 생성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부(112)는, 상기 가상 키보드에 관한 시각적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한다(S220).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부(112)는 실시예에 따라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LED(Light Emitting Diode) 패널,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 등 다양한 기술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감지부(114)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부(112)에 표시된 상기 가상 키보드의 문자 입력키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감지부(114)는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적외선 광 방식, 저항막 방식, 초음파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광 방식은, 적외선의 직진성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나오는 적외선이 소정 장애물에 의해 차단될 때 차단된 부분의 좌표를 감지하는 방식이다. 또한, 상기 저항막 방식은, 전도성 물질이 코팅된 투명한 유리 층 내지 플라스틱 층에 해당하는 하부층과 전도성 물질이 코팅된 필름 층에 해당하는 상부층이 미세하게 인쇄된 스페이서 도트(Spacer dots)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상부층에 대한 터치에 따라 상부층(X축) 및 하부층(Y축)에서 각각 발생한 저항값 변화 위치를 감지하는 방식이다. 또한, 상기 초음파 방식은, 패널 표면에 초음파 신호를 통과시켜서, 사용자 터치에 의해 발생하는 초음파 손실 위치를 감지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상기 터치 입력값 생성부(116)는, 상기 터치 감지부(114)에 의해 감지된 터치에 대응하여 해당 입력 문자에 관한 터치 입력값을 생성한다. 상기 터치 입력값 생성부(116)가 생성하는 터치 입력값은, 상기 터치 감지부(114)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 터치의 터치 지점을 나타내는 터치 좌표값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키보드 조절부(120)는 키보드 제어부(130) 및 키 크기 저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 크기 저장부(14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가상 키보드의 문자 입력키들을 통해 입력 가능한 각각의 문자들에 대하여 소정의 선 입력 문자 다음에 입력될 확률에 대응하는 해당 문자 입력키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사전에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한글의 경우, 초성에는 항상 자음이 오며 자음 다음에는 모음이 오게 된다. 따라서, 일단 자음이 입력되면 그 다음에는 모음이 입력될 확률이 매우 높다. 또한, 실제 존재하거나 일상 생활에서 사용되는 어휘들의 종류를 고려할 때 해당 자음 다음에 입력될 확률은 각각의 모음에 따라 달라진다. 즉, 상기 가상 키보드로서 쿼티(qwerty) 자판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사용자에 의해 특정 자음 입력키가 터치된 후, 그 다음 터치될 확률은 12개의 모음 입력키마다 달라진다. 이러한 확률은, 예컨대 사전상에 실제 존재하는 어휘 수를 계산하여 전체 어휘 수에 대한 비율로서 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산출된 확률에 대응하여 확률이 높은 입력키에는 넓은 면적을 할당하고 확률이 낮은 입력키에는 좁은 면적을 할당하여 해당 입력키에 대한 키 크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문자 입력키들이 지닌 각각의 확률에 따라 키 크기를 달리한다면 정보 저장량이 증가하고 정보 처리가 복잡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산출된 확률들을 적절한 수의 확률 범위로 그룹화하고 각각의 확률 범위에 매칭되는 키 크기 레벨을 지정하여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정보 저장량을 감소시키고 정보 처리를 단순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선 입력 문자 다음에 입력 가능한 문자들의 키 크기를 미리 산출하여 저장함으로써, 특정 문자 입력 발생 시 별도의 연산 과정 없이 신속하게 문자 입력키들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원리는 한글 이외에 영어, 독일어 등 다른 언어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 다음, 상기 키보드 제어부(130)는, 상기 가상 키보드의 문자 입력키를 통해 문자가 입력되는 경우(S230), 상기 키 크기 저장부(140)의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문자 입력키 각각의 크기를 조절한다(S240 내지 S260). 이를 위해, 상기 키보드 제어부(130)는 입력 문자 인식부(132) 및 키 크기 조절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문자 인식부(132)는, 상기 키보드 표시부(110)에서 생성된 터치 입력값에 의해 입력 문자를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키 크기 조절부(134)는, 상기 키 크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상기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 중 상기 입력 문자 인식부(132)에 의해 인식된 입력 문자 다음에 입력될 확률에 대응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문자 입력키 각각의 크기를 조절한다.
도 3에는 가상 키보드 화면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상 키보드 화면(300)은 가상 키보드 영역(310) 및 상기 가상 키보드 영역(310)을 통해 입력되는 문자가 표시되는 입력창 영역(3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문자 입력에 의해 메시지를 작성하는 경우, 작성된 메시지를 소정 수신처로 전송하고 문자 입력을 종료하는 전송키 영역(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 3의 가상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의 화면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화면(400) 상에서 가상 키보드(410)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 입력키들이 동일한 키 크기를 지닐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초성에는 자음이 올 확률이 높음을 고려하여 자음 입력키들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문자 입력키(412)에 대한 사용자 터치 또는 마우스 클릭을 통해 자음에 해당하는 ‘ㄱ’이 입력되면, 입력창(420)에는 ‘ㄱ’이 표시되고 다음 문자 입력 단계로 넘어가게 된다.
도 5에는 도 4에 따른 문자 입력 시 문자 입력키의 크기가 조절된 화면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입력 후의 화면(500) 상에는 가상 키보드(510)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 입력키 각각의 크기가 다음에 입력될 확률에 따라 변경된다. 예컨대, 자음에 해당하는‘ㄱ’이 입력되었으므로 다음에 입력될 확률이 낮은 자음 입력키들(514)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축소되며, 다음에 입력될 확률이 높은 모음 입력키들(516)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확대된다. 그러나, 모음에 해당하더라도 실제 존재하거나 사용되는 어휘들을 고려할 때 ‘ㄱ’ 다음에 입력될 확률은 모음에 따라 달라지므로 해당 모음 입력키들의 크기도 달라진다. 따라서, 12개의 모음 입력키 중에서 ‘ㄱ’ 다음에 입력될 확률이 높은 모음 입력키들(516)은 상대적으로 확대되고, 입력이 낮은 모음 입력키들(ㅕ, ㅑ, ㅛ, ㅠ 등)은 상대적으로 축소된다. 또한, 자음에 해당하더라도 쌍자음이 올 확률 등을 고려하여 ‘ㄱ’문자 입력키(512)의 크기가 다른 자음 입력키(514) 보다 상대적으로 확대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조절부(120)는, 가상 키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사용 어휘를 학습하여 상기 사용자 사용 어휘의 사용 빈도를 고려한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를 상기 키 크기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S240, S242, S244). 즉, 상기 키보드 조절부(120)는 사용자 어휘 학습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어휘 학습부(150)는 상기 입력 문자 인식부(132)에 의해 인식되는 문자들을 통해 사용자 사용 어휘를 학습하여 상기 사용자 사용 어휘의 사용 빈도를 고려한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를 상기 키 영역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키보드 조절부(120)는, 예컨대 도 5에서와 같이 ‘ㄱ’이 입력된 후 쌍자음에 해당하지 않는 ‘ㅅ’의 경우에도 평소 사용자의 언어 사용 습관을 고려하여 해당 입력키를 다른 자음 입력키들(514) 보다 상대적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 즉, 비문법적인 용어, 신조어, 약어 등이 많이 사용되는 SMS 메시지 작성 시, 사용자가 ‘감사’라는 단어를 초성만 사용하여 ‘ㄱㅅ’로 표시하고, 또한 이를 자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사용자 언어 사용 습관을 키 크기에 반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사용자 어휘 학습부(150)는 사용자 어휘 저장부(152) 및 키 크기 산출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어휘 저장부(152)는, 상기 입력 문자 인식부(132)에 의해 인식되는 문자들로 구성되는 사용자 사용 어휘 및 해당 어휘의 입력 빈도수를 저장한다(S242). 이때, 상기 사용자 어휘 저장부(152)는, 문장 작성 시 발생하는 스페이스(space) 등을 인식하여 사용자 사용 어휘를 어절 단위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전 등에 존재하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사용자 사용 어휘를 어절 단위로 학습함으로써, 한국어와 같이 어근에 접사가 결합하여 단어를 형성하는 교착어(膠着語)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단어로부터 어근을 추출하기 위한 별도의 연산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특히 비문법적인 용어, 신조어 등이 빈번히 사용되는 실제 모바일 기기 사용 환경에서도 사용자 사용 어휘를 학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키 크기 산출부(154)는, 가상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 입력키를 통해 입력 가능한 각각의 문자들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어휘 저장부(152)에 저장된 사용자 사용 어휘 및 어휘 입력 빈도수를 고려하여 소정의 선 입력 문자 다음에 입력될 확률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확률에 대응하는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를 생성한다(S244). 이 경우, 상기 키 크기 산출부(154)는, 상기 키 크기 저장부(140)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저장된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를 기초로 사용 빈도수가 많은 사용자 사용 어휘들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각각의 문자들이 소정 선 입력 문자 다음에 입력될 확률을 산출하고, 이렇게 산출된 확률을 기초로 해당 사용자를 위해 적응된 새로운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 어휘 학습 데이터가 충분히 축적된 경우에는, 사용자 사용 어휘만을 고려하여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키 크기 산출부(154)는, 사용자에 의한 문자 입력 전에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 생성을 위한 연산을 미리 수행하여 새롭게 생성된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를 상기 키 크기 저장부(140)에 저장해 둠으로써 동작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키보드 제어부(130)는, 상기 사용자 어휘 학습부(150)에 의한 사용자 사용 어휘 학습 전 상기 키 크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문자 입력키 각각의 크기를 조절하는 사용자 독립(user-independent) 조절 모드로 동작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어휘 학습부(150)에 의해 사용자 사용 어휘의 사용 빈도가 고려된 새로운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문자 입력키 각각의 크기를 조절하는 사용자 종속(user-dependent) 조절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키보드 제어부(130)는 조절 모드 전환부(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 모드 전환부(136)는, 상기 키보드 표시부(110)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독립 조절 모드 또는 상기 사용자 종속 조절 모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모드 선택 창을 표시한다(S240). 그리고, 상기 모드 선택 창을 통해 사용자의 조절 모드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조절 모드 전환부(136)는 상기 키보드 제어부(130)로 하여금 사용자 선택에 따라 사용자 독립 조절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거나(S250), 또는 사용자 종속 조절 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S242, S244, S250).
그리고, 상기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장치(100)는, 문자 입력 후 소정 시간이 경과 하거나 또는 상기 전송키(330)에 의한 문자 전송이 발생하는 등 문자 입력 완료 사유가 발생할 때까지 상술한 과정들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내지 터치패드(touch pad)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모바일 기기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어들일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실행되는 경우,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또한,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컴퓨터의 프로세서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을 통해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로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컴퓨터 시스템이 읽어들일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분산 배치하여 컴퓨터가 읽어들일 수 있는 코드가 분산 방식으로 저장되고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면, 공간 제약적인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현재 입력된 문자 다음에 입력될 확률에 따라 가상 키보드의 문자 입력키 각각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문자 입력 시 오타율을 감소시키고 공간 활용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 환경에서 대부분의 사용자들에게 익숙한 쿼티 키보드를 사용하면서도 사용자 오타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언어 사용 습관을 고려하여 문자 입력키의 크기를 적응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문자 입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는 물론 관련 기술 분야에서 본 명세서에 언급된 내용 이외의 다른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이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장치 110 : 키보드 표시부
120 : 키보드 조절부 130 : 키보드 제어부
140 : 키 크기 저장부 150 : 사용자 어휘 학습부

Claims (14)

  1. 복수의 문자 입력키를 포함하는 가상 키보드(virtual keyboard)를 표시하는 키보드 표시부; 및
    상기 가상 키보드의 문자 입력키를 통해 문자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된 문자 다음에 입력될 확률에 따라 상기 복수의 문자 입력키 각각의 크기를 조절하는 키보드 조절부를 포함하는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조절부는,
    상기 복수의 문자 입력키를 통해 입력 가능한 각각의 문자들에 대하여 소정의 선 입력 문자 다음에 입력될 확률에 대응하는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를 저장하는 키 크기 저장부; 및
    상기 가상 키보드의 문자 입력키를 통해 문자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키 크기 저장부의 상기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문자 입력키 각각의 크기를 조절하는 키보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표시부는, 상기 가상 키보드의 문자 입력키에 대한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 문자에 관한 터치 입력값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표시부는,
    상기 가상 키보드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부;
    상기 가상 키보드 화면에 대한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및
    상기 터치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터치에 대하여 터치 입력값을 생성하는 터치 입력값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제어부는,
    상기 키보드 표시부에서 생성된 터치 입력값에 의해 입력 문자를 인식하는 입력 문자 인식부; 및
    상기 키 크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 중 상기 입력 문자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입력 문자 다음에 입력될 확률에 대응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문자 입력키 각각의 크기를 조절하는 키 크기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조절부는, 상기 입력 문자 인식부에 의해 인식되는 문자들을 통해 사용자 사용 어휘를 학습하여 상기 사용자 사용 어휘의 사용 빈도를 고려한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를 상기 키 영역 저장부에 저장하는 사용자 어휘 학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어휘 학습부는,
    상기 입력 문자 인식부에 의해 인식되는 문자들로 구성되는 사용자 사용 어휘 및 상기 어휘의 입력 빈도수를 저장하는 사용자 어휘 저장부; 및
    상기 복수의 문자 입력키를 통해 입력 가능한 각각의 문자들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어휘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사용 어휘 및 어휘 입력 빈도수를 고려하여 소정의 선 입력 문자 다음에 입력될 확률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확률에 대응하는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를 생성하는 키 크기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사용 어휘 학습 전 상기 키 크기 저장부에 저장된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문자 입력키 각각의 크기를 조절하는 사용자 독립 조절 모드, 또는 상기 사용자 사용 어휘의 사용 빈도를 고려한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문자 입력키 각각의 크기를 조절하는 사용자 종속 조절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제어부는, 상기 키보드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독립 조절 모드 또는 상기 사용자 종속 조절 모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모드 선택 창을 표시하여 상기 키보드 제어부로 하여금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조절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조절 모드 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장치.
  10. 터치스크린(touch screen) 기반 장치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보드(virtual keyboard)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서 상기 가상 키보드의 복수의 문자 입력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 입력 단계; 및
    상기 장치에서 상기 입력된 문자 다음에 입력될 확률에 따라 상기 복수의 문자 입력키 각각의 크기를 조절하는 키보드 조절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방법은, 상기 문자 입력 단계 전에 상기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문자 입력키를 통해 입력 가능한 각각의 문자들에 대하여 소정의 선 입력 문자 다음에 입력될 확률에 대응하는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를 소정 저장부에 저장하는 키 크기 저장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 조절 단계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 중 상기 입력된 문자 다음에 입력될 확률에 대응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문자 입력키 각각의 크기를 조절하는 키 크기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조절 단계는, 상기 장치에서 상기 가상 키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사용 어휘를 학습하여 상기 사용자 사용 어휘의 사용 빈도를 고려한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사용자 어휘 학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제어 단계는, 상기 사용자 어휘 학습 단계 전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문자 입력키 각각의 크기를 조절하는 사용자 독립 조절 모드, 또는 상기 사용자 사용 어휘의 사용 빈도를 고려한 문자 입력키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문자 입력키 각각의 크기를 조절하는 사용자 종속 조절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제어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독립 조절 모드 또는 상기 사용자 종속 조절 모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모드 선택 창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장치가 상기 모드 선택 창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조절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방법.
KR1020110070927A 2011-07-18 2011-07-18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1300102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927A KR20130010252A (ko) 2011-07-18 2011-07-18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927A KR20130010252A (ko) 2011-07-18 2011-07-18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252A true KR20130010252A (ko) 2013-01-28

Family

ID=47839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927A KR20130010252A (ko) 2011-07-18 2011-07-18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025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191B1 (ko) * 2014-03-28 2014-10-22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터치스크린 장치 및 상기 터치스크린 장치의 가상 키보드 터치 인식 영역 조정 방법
KR20160061229A (ko) * 2014-11-21 2016-05-31 주식회사 큐키 동적 터치 인식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하는 방법
KR20170024063A (ko) * 2014-06-27 2017-03-06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확률적 터치 감지
KR20180025599A (ko) * 2016-09-01 2018-03-09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게임 키맵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0825240A (zh) * 2019-11-01 2020-02-21 西南石油大学 一种按键键面尺寸可变的键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191B1 (ko) * 2014-03-28 2014-10-22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터치스크린 장치 및 상기 터치스크린 장치의 가상 키보드 터치 인식 영역 조정 방법
KR20170024063A (ko) * 2014-06-27 2017-03-06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확률적 터치 감지
KR20160061229A (ko) * 2014-11-21 2016-05-31 주식회사 큐키 동적 터치 인식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하는 방법
KR20180025599A (ko) * 2016-09-01 2018-03-09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게임 키맵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0825240A (zh) * 2019-11-01 2020-02-21 西南石油大学 一种按键键面尺寸可变的键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3698B2 (en) Neural network for keyboard input decoding
US10489508B2 (en) Incremental multi-word recognition
US9304683B2 (en) Arced or slanted soft input panels
KR102402397B1 (ko) 다중 입력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0095405B2 (en) Gesture keyboard input of non-dictionary character strings
US10133479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xt entry
WO2014189625A1 (en) Order-independent text input
EP3644163B1 (en) Temporal based word segmentation
US10146764B2 (en) Dynamic key mapping of a graphical keyboard
KR20130010252A (ko) 가상 키보드 크기 조절 장치 및 방법
US9952763B1 (en) Alternative gesture mapping for a graphical key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