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0065A - 학습 및 평가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학습 및 평가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0065A
KR20130010065A KR1020120014395A KR20120014395A KR20130010065A KR 20130010065 A KR20130010065 A KR 20130010065A KR 1020120014395 A KR1020120014395 A KR 1020120014395A KR 20120014395 A KR20120014395 A KR 20120014395A KR 20130010065 A KR20130010065 A KR 20130010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user
web page
content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실
Original Assignee
강영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실 filed Critical 강영실
Priority to PCT/KR2012/00478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005928A2/en
Publication of KR20130010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0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서버를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작성의 학습 및 평가가 가능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학습 및 평가 시스템은 복수의 컨텐츠 리스트를 웹페이지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복수의 컨테츠 리스트 중 특정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에 대응하여, 컨텐츠의 본문 내용을 웹페이지에 표시하고, 컨텐츠의 본문 내용과 관련한 복수의 평가 항목을 웹페이지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복수의 평가 항목에 대한 답안을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것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웹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모범 답안과 비교하며, 사용자의 입력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모범 답안과의 일치율에 의해 사용자에 대한 평가 결과를 산출한다.

Description

학습 및 평가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METHOD FOR STUDYING AND EVALUATING, AND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온라인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웹서버를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에세이의 작성의 학습 및 평가가 동시에 가능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종래의 오프라인(off-line) 교육 환경이 점차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on-line) 교육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에세이(essay)와 같은 글쓰기의 경우 객관적인 평가가 용이하지 않고 주관적인 채점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온라인을 통한 학습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글쓰기 학습을 온라인에서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작성한 에세이 등을 온라인으로 업로드하고 채점자가 평가를 하여 다시 온라인으로 업로드하고 사용자가 평가 결과를 받아 볼 수 있는 글쓰기 온라인 학습 및 평가 방법은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글쓰기 온라인 학습 및 평가 방법들은 사용자가 결과물로 산출한 에세이에 대한 평가만 가능할 뿐 글쓰기 과정 자체를 온라인을 통하여 지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에세이 답안에 대한 평가는 채점자의 주관적인 기준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어서, 동일한 에세이 답안이 다른 채점자에 의해 채점될 경우 채점 결과가 상이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에세이 답안에 대한 평가는 채점자의 주관적인 상태에 의해서도 달라질 수 있어, 동일한 에세이 답안이 동일한 채점자에 의해 평가되는 경우라도 채점자의 주관적인 상태에 따라 점수가 상이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9-0003081호 (2009. 01. 09 공개)
본 발명은 웹 서버를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에세이 작성의 학습 및 평가가 동시에 가능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학습 및 평가 방법은, 웹서버에 의해, 복수의 컨텐츠 리스트를 웹페이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컨테츠 리스트 중 특정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의 본문 내용을 상기 웹페이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에 의해, 상기 컨텐츠의 본문 내용과 관련한 복수의 평가 항목을 상기 웹페이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평가 항목에 대한 답안을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상기 웹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모범 답안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입력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모범 답안과의 일치율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 대한 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학습 및 평가 시스템은,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미리 설정된 복수의 평가 항목별 답안을 저장하는 데이테베이스; 및 복수의 컨텐츠 리스트를 웹페이지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컨테츠 리스트 중 특정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의 본문 내용을 상기 웹페이지에 표시하고, 상기 컨텐츠의 본문 내용과 관련한 복수의 평가 항목을 상기 웹페이지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평가 항목에 대한 답안을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상기 웹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모범 답안과 비교하며, 상기 사용자의 입력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모범 답안과의 일치율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 대한 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웹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세이를 작성하기 위한 사전 단계를 마련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에세이를 작성하는 방법을 학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각 사전 단계에서의 사용자의 입력을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에세이의 평가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및 평가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110)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및 평가를 위한 메인 웹페이지(main web page)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본문 내용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5 내지 도 5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
도 59 내지 도 6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가 결과 산출 방법을 보이는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및 평가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학습 및 평가 시스템(100)은 데이터베이스(110), 서버(120) 및 디스플레이(130)를 포함한다. 학습 및 평가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사용자1, 사용자2 ... 사용자N)과 인터넷을 통하여 온라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10)는 에세이 작성(essay writing)의 학습 및 평가를 위한 학습 및 평가 항목별 답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일 실시예로서, 학습 및 평가 항목은 키워드(key word), 브레인 스토밍(brain storming), 로지컬 시퀀스(logical sequence), 쿼테이션(quotation) 및 에세이 라이팅(essay writing)의 5가지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키워드, 브레인 스토밍, 로지컬 시퀀스 및 쿼테이션 항목은 에세이 라이팅을 위한 사전 단계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학습 및 평가 항목이 상기한 5가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학습 및 평가 항목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110)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110)는 키워드 항목의 모범 답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키워드 데이터베이스(DB)(111), 브레인 스토밍 항목의 모범 답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브레인 스토밍 데이터베이스(112), 로지컬 시퀀스 항목의 모범 답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로지컬 시퀀스 데이터베이스(113), 쿼테이션 항목의 모범 답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쿼테이션 데이터베이스(114), 에세이 라이팅 항목의 모범 답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에세이 라이팅 데이터베이스(115) 및 학습, 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자책 등의 각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16)를 포함할 수 있다. 키워드 데이터베이스(111), 브레인 스토밍 데이터베이스(112), 로지컬 시퀀스 데이터베이스(113) 및 쿼테이션 데이터베이스(114)에 저장되는 모법 답안은 단어의 형태로 저장되며 대소문자 구분없이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와의 일치율을 산출하여 평가를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사용자 1, 사용자 2 ... 사용자 N)을 통해 학생 사용자로부터 키워드, 브레인 스토밍, 로지컬 시퀀스, 쿼테이션 및 에세이 라이팅 항목에 대한 입력을 받아서 해당 항목의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서버(120)는 하이퍼 텍스트(hyper-text) 기반으로 구현되는 웹서버(web server) 또는 무선 모바일 통신 기반의 왑서버(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server)를 포함하여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및 평가를 위한 메인 웹페이지(main web page)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웹페이지는 최상단 바(10), 메인 메뉴 바(20), 공지 창(notice window)(30), 주별 주제 창(weekly topic window)(40) 및 큐 라운지 창(Q LOUNGE window)(5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메인 웹페이지의 구성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상단 바(10)는 메인 웹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홈(Home) 버튼, 사용자 인증을 위한 로그인(Login) 버튼 및 회원 가입을 위한 사인 업(Sign up)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최상단 바(10)의 구성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인 메뉴 바(20)는 최상단 바(10) 아래쪽으로 위치하며, 메인 웹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홈 버튼, 학생 또는 선생님 사용자별로 학습 정보, 평가 정보 등을 표시하기 위한 마이 큐(MY Q) 버튼, 컨텐츠의 구입을 위한 바이 큐(BUY Q) 버튼, 컨텐츠의 인기 순위를 표시하기 위한 랭킹(RANKING) 버튼 및 학생 사용자가 구입한 컨텐츠 정보 및 학습 상황을 표시하기 위한 큐 라운지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메인 메뉴 바(20)의 구성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지 창(30)은 메인 메뉴 바(20)의 왼쪽 아래 부분에 위치하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16)에 업데이트된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뉴 북스(NEW BOOKS), 학생 사용자의 순위를 표시하기 위한 탑 스튜던트(TOP STUDENT), 일반적인 공지사항을 표시하기 위한 노티스(NOTICE) 등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공지 창(30)의 구성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주별 주제 창(40)은 공지 창(30)의 오른쪽에 위치하며, 매주 변경된 주제에 대한 에세이가 표시된다. 학생 사용자는 주별 주제 창(40)에 표시된 에세이에 대한 의견을 작성하여 평가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주별 주제 창(40)의 구성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큐 라운지 창(50)은 주별 주제 창(40)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학생 사용자가 구입한 컨텐츠 정보 및 해당 학생 사용자의 학습 상황이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큐 라운지 창(50)의 구성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에세이 학습 및 평가 시스템(100)을 이용하고자 하는 학생 또는 선생님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사용자1, 사용자2 ... 사용자N)을 이용하여 메인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메인 메뉴 바(10)의 로그인 버튼을 클릭하고 사용자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인증 단계를 통과하면 서버(120)에 접속이 가능하다. 학생 사용자는 소정의 인증 단계를 통과하면 특정 컨텐츠를 선택하여 각 항목에 대한 답안을 입력하여 평가를 받을 수 있고, 선생님 사용자는 소정의 인증 단계를 통과하면 학생 사용자들이 작성한 에세이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학생 사용자가 학습 및 평가 시스템(100)에 로그인 후 특정 컨텐츠를 구입하면 해당 컨텐츠에 대한 챕터(chapter)별 질문 사항(Question)들이 메인 웹페이지의 큐 라운지 창(5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eloved의 제1 챕터의 본문 내용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로서, 학생 사용자가 토니 모리슨(Toni Morisson)의 "Beloved"라는 컨텐츠를 구입하여 제1 챕터(Chapter 1)의 제1 질문(Question 1)을 선택하면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챕터의 제1 질문은 "124 refers to a house which is personified and described as spiteful. What is spiteful?"이다(도 5의 상단 참조). 학생 사용자는 키워드, 브레인 스토밍, 로지컬 시퀀스, 쿼테이션 항목에 대한 답을 입력하고, 최종적으로 에세이 라이팅 항목에 대한 답안을 입력하여 제1 챕터의 제1 질문에 대한 학습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시스템(100)은 학생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으로 평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키워드 항목에 대한 학습 및 평가를 위한 웹페이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학생 사용자는 키워드 항목에서 질문의 형태에 대해서 선택할 수 있다(Select Question Type). 질문의 형태는 1. 확인 및 대응 질문(Identifying & Corresponding Question), 2. 연관, 관계, 추론 및 참조 질문(Connecting, Relation, Inferential, and Referential Question), 3. 창의, 상상, 추측, 가정 및 추정 질문(Imaginative, Guess, Speculation, Assumption, Presumption, Conjecture, and Surmise Question), 4. 비교 및 대조 질문(Compare and Contrast Question), 5. 의견, 제안 및 제의 질문(Opinionate, Suggest, and Propose Question), 6. 창조적이고 허구적인 질문(Creative and Fictional Question)의 6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1. 확인 및 대응 질문은 내용을 확인하거나 사건에 부합하는 내용을 찾아 서술하는 질문 형태이다. 2. 연관, 관계, 추론 및 참조 질문은 사건, 인물 등의 연관, 관계, 추론, 참조할 항목에 대해 질문하는 형태이다. 3. 창의, 상상, 추측, 가정 및 추정 질문은 사용자가 상상, 추측, 짐작, 가정, 추정 등을 통해 질문에 답해야 하는 질문 형태이다. 4. 비교 및 대조 질문은 사용자가 비교 또는 대조를 통해 답해야 하는 질문 형태이다. 5. 의견, 제안 및 제의 질문은 의견, 견해, 제안을 통해 답해야 하는 질문 형태이다. 6. 창조적이고 허구적인 질문은 창조 혹은 허구를 통해 답해야 하는 질문 형태이다. 그러나, 질문 형태가 상기한 6가지 질문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일 실시예로서 학생 사용자는 제1 챕터의 제1 질문에 대해 spiteful 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묻고 있으므로(도 5 참조), 확인 및 대응(identifying and corresponding question)이라는 질문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잘못된 질문 형태를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다음 페이지로 진행되지 않고, 선택이 잘못되었다는 안내 문구를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할 수 있다.
웹페이지에서 오른쪽 상단의 TIP 버튼을 선택하면 해당 항목에 대한 도움말을 별도의 웹페이지 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해당 항목에 따라서 도움말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으며, 해당 항목에 도움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움말이 존재하는 경우의 버튼과 음영 비율을 달리하여 버튼을 구성하고 사용자의 클릭이 불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웹페이지에서 NEXT 버튼 하단에는 입력 내용을 취소하기 위한 Cancel 버튼, 답을 입력하는 빈칸에 내용을 임시 저장하기 위한 Save Instance 버튼 및 모든 답을 입력후 평가(evalution)를 위한 Submit 버튼이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웹페이지의 버튼 구성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로서, 학생 사용자가 확인 및 대응(identifying and corresponding question)이라는 질문 형태를 선택하고 웹페이지 오른쪽 하단의 NEXT 버튼을 선택하면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 웹페이지가 나타날 수 있다. 도 6의 웹페이지에서 학생 사용자는 제1 질문에 대해 상기 도 4a 내지 도 4c의 본문 내용에서 핵심 단어라고 판단되는 단어들을 빈칸에 입력할 수 있다. 빈칸은 최초 웹페이지 생성시에 1개가 기본으로 나타나며, 빈칸 오른쪽의 생성 버튼을 누르면, 예컨대 최대 4개까지 추가가 가능하고, 취소 버튼을 이용하여 생선된 빈칸의 삭제도 가능하다(도면에서의 풍선 도움말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130)에는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시스템(110)에 의한 키워드 항목에 대한 평가의 예로는, 한번에 정답을 맞추고 NEXT 버튼을 선택할 경우 만점을 부여하고, 여러 번에 걸쳐서 정답을 맞출 경우 1점을 감점하며, 정답을 맞추지 못하는 경우 또는 정답을 적지 않고 NEXT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점수를 부여하지 않는다. 확인 및 대응 형태의 질문에 대해서 평가를 위해 키워드 DB(111)에는 도 7에서와 같은 키워드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키워드 항목에 대한 평가는 학생이 입력한 내용과 키워드 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된 내용이 75% 이상 일치할 경우 만점을 부여하고, 50% 이상 75% 미만으로 일치할 경우 만점에서 1점을 감점하고, 25% 이상 50% 미만으로 일치할 경우 만점에서 2점을 감점하며, 25% 미만으로 일치할 경우 또는 정답을 적지 않고 NEXT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는 점수를 부여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과 같은 키워드 항목 첫번째 웹페이지의 빈칸에 답을 적고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키워드 항목 두번째 웹페이지가 표시된다. 키워드 항목 두번째 웹페이지에는 작가의 의도를 나타내는 키워드를 입력하는 Finding Keywords that represent author`s intent, 에세이 작성에 필요한 사건이나 이벤트를 입력하는 Finding Incidents or Events Needed 및 은유적인 표현을 입력하는 Finding Metaphors 항목들이 포함되어 있다. 도 8에서의 각각의 빈칸 안의 기재와 같이, 학생 사용자가 답안을 문장으로 입력하였을 경우, 서버(120)는 단어들을 추출하여 키워드 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된 모범 답안과의 일치율을 점수로 환산할 수 있다.
도 9는 키워드 항목 두번째 웹페이지의 입력 내용(도 8 참조)을 평가하기 위해서 키워드 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되는 내용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학생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과 키워드 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된 내용을 비교하여 80% 이상 일치할 경우 만점을 부여하고, 60% 이상 80% 미만으로 일치할 경우 만점에서 1점을 감점하고, 40% 이상 60% 미만으로 일치할 경우 만점에서 2점을 감점하고, 20% 이상 40% 미만으로 일치할 경우 만점에서 3점을 감점하고, 20% 미만으로 일치할 경우 만점에서 4점을 감점하여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키워드 항목의 전체 점수는 10점 만점이며, 도 5의 질문 형태 선택에 대한 배점은 2점 만점, 도 6의 웹페이지에 입력하는 키워드에 대한 점수는 3점 만점, 도 8의 웹페이지에 입력하는 키워드에 대한 점수는 5점 만점으로 키워드 항목에 대한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도 10은 브레인 스토밍 항목에 대한 학습 및 평가를 위한 웹페이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학생 사용자가 도 8과 같은 키워드 항목 두번째 웹페이지의 빈칸에 내용을 입력하고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1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브레인 스토밍 항목을 위한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브레인 스토밍 항목을 위한 웹페이지에는 최초에 0으로 표시된 버튼, 가로 생성, 가로 취소, 세로 생성, 세로 취소 버튼 및 입력 창이 표시될 수 있다. 학생 사용자는 가로 생성, 가로 취소, 세로 생성 및 세로 취소 버튼을 이용하여 숫자가 표시된 버튼을 생성 또는 삭제시킬 수 있다. 숫자가 표시된 버튼의 확장에 따라서 아래쪽으로 버튼에 대응하는 트리 구조가 생성될 수 있다. 0으로 표시된 버튼은 트리 구조의 중앙에 대응하고, 가로 생성 버튼으로 확장되는 버튼들(1-1, 2-1, 3-1, 4-1)은 트리 구조의 중앙에 직접 연결된 풍선(b,c,d,e)에 대응하며, 세로 생성 버튼으로 확장되는 버튼들(1-2, 2-2, 3-2, 3-3)은 트리 구조의 중앙에서 동일한 라인으로 확장되는 풍선(f,g,h,i)에 대응될 수 있다. 숫자가 표시된 특정 버튼을 선택하고 입력창에 내용을 입력하면 버튼에 대응하는 풍선에 입력한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0으로 표시된 버튼을 선택하여 입력 창에 124라고 입력하면 브레인 스토밍 풍선의 중앙(a)에 해당 내용이 표시되고, 1-1로 표시된 버튼을 선택하여 입력 창에 Define "Spiteful"을 입력하면 대응하는 풍선(b)에 해당 내용이 표시되고, 1-2로 표시된 버튼을 선택하여 입력 창에 How is 124 spiteful?을 입력하면 대응하는 풍선(f)에 해당 내용이 표시되고, 2-1로 표시된 버튼을 선택하여 입력 창에 What is behind the Spiteful?을 입력하면 대응하는 풍선(c)에 해당 내용이 표시되고, 2-2로 표시된 버튼을 선택하여 입력 창에 What do the characters sya about 124라고 입력하면 대응하는 풍선(g)에 해당 내용이 표시되고, 3-1로 표시된 버튼을 선택하여 입력 창에 Examples of spiteful을 입력하면 대응하는 풍선(d)에 해당 내용이 표시되고, 3-2로 표시된 버튼을 선택하여 입력 창에 Examples of house "acting"을 입력하면 대응하는 풍선(h)에 해당 내용이 표시되고, 3-3으로 표시된 버튼을 선택하여 입력 창에 Why is the house presented this way?라고 입력하면 대응하는 풍선(i)에 해당 내용이 표시되며, 4-1로 표시된 버튼을 선택하여 입력 창에 What is personification?을 입력하면 대응하는 풍선(e)에 해당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1은 브레인 스토밍 웹페이지의 입력 내용을 평가하기 위해서 브레인 스토밍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되는 내용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브레인 스토밍 항목의 만점은 예컨대, 10점이며, 트리 구조에서 브레인 스토밍 중앙의 풍선(a)에 해당하는 단어가 정확히 입력되었을 경우 2점, 0' 에 저장된 단어를 입력하였을 경우 1점, 이외의 단어를 입력하였을 경우에는 0점을 부여할 수 있다. 트리 구조 작성시 키워드 및 브레인 스토밍 데이터베이스(112)의 트리 구조의 개수를 초과할 경우 4점을 부여한다. 트리 구조에서 같은 라인에 존재하여야 하는 단어가 일치할 경우 1점을 추가로 부여하고, 4라인 이상 일치할 경우에는 만점을 부여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트리 구조에서 동일한 라인에 입력한 단어가 브레인 스토밍 데이터베이스(112) 1-1의 Define/Definition, 1-2 Spite/Spiteful, 1-3 How/What에 저장된 단어와 일치할 경우 1점을 부여하고, 일치하는 라인이 4개 이상일 경우 만점(10점)을 부여할 수 있다.
브레인 스토밍 항목의 입력을 완료하고,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1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로지컬 시퀀스 항목의 평가를 위한 웹페이지가 표시된다. 학생 사용자는 로지컬 시퀀스 항목에서 질문의 형태에 대해서 선택할 수 있다(도 12의 "Select Question Type" 참조). 질문의 형태는 묘사/설명 (Descriptive/Expository), 논쟁 (Argumentative), 비교/대조 (Compare/Contrast), 제안/의견 (Suggestive/Opinionate), 창조적 (Creative)의 5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로지컬 시퀀스 항목이 상기한 5가지 질문 형태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학생 사용자는 "What is spiteful?" 이라는 질문에 대해 묘사/설명 (Descriptive/Expository)이라는 질문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한번에 정답을 맞추고 NEXT 버튼을 누를 경우 만점(예를 들어, 2점)을 부여하고, 1회 이상 정답을 맞추지 못할 경우 만점에서 1점을 감점하며, 질문 형태를 선택하지 않고 NEXT 버튼을 누르는 경우 또는 정답을 맞추지 못하는 경우 점수를 부여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2의 웹페이지에서 묘사/설명 (Descriptive/Expository) 질문 형태를 선택하고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1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웹페이지가 표시된다. 웹페이지에는 학생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읽고, 언제(when), 어디서(where), 누가(who), 무엇을(what), 왜(why), 어떻게(how)의 6하 원칙에 해당하는 사항을 입력하기 위한 빈칸과 추가적으로 글의 목적(Purpose), 글의 요소(Factors) 및 주제 요약(Summarizing Theme)을 입력하기 위한 빈칸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로지컬 시퀀스 웹페이지의 입력 내용을 평가하기 위해서 로지컬 시퀀스 DB(113)에 저장되는 내용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로지컬 시퀀스 항목의 만점은 10점이며, 도 13의 웹페이지에서 한번에 정답을 입력하는 경우 2점, 여러번에 거쳐 정답을 입력하는 경우 1점, 정답을 입력하지 않고 NEXT 버튼을 누르는 경우 점수를 부여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3의 웹페이지에서 학생 사용자가 입력하는 단어 중 명사, 형용사, 부사만 인식될 수 있으며, 인식된 단어와 로지컬 시퀀스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단어와의 일치율을 산출해서 80% 이상 일치할 경우 8점을 부여하고, 70% 이상 80% 미만으로 일치할 경우 7점을 부여하고, 60% 이상 70% 미만으로 일치할 경우 6점을 부여하고, 50% 이상 60% 미만으로 일치할 경우 5점을 부여하고, 40% 이상 50% 미만으로 일치할 경우 4점을 부여하고, 30% 이상 40% 미만으로 일치할 경우 3점을 부여하고, 20% 이상 30% 미만으로 일치할 경우 2점을 부여하고, 10% 이상 20% 미만으로 일치할 경우 1점을 부여하고, 10% 미만으로 일치할 경우 0점을 부여할 수 있다. 로지컬 시퀀스 항목의 빈칸에 해당 사항을 입력하고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1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쿼테이션 항목의 평가를 위한 웹페이지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학생 사용자는 해당 컨텐츠를 읽고 해당 컨텐츠 내에서 제1 질문과 가장 관련된 내용을 빈칸에 입력할 수 있다. 학생 사용자는 해당 내용을 직접 입력하거나, 전자책 형태로 제공되는 해당 컨텐츠에서 복사하기(copy) 및 붙이기(paste)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빈칸 옆에는 생성 버튼 및 취소 버튼이 위치하며 생성 버튼을 누르면 아래쪽으로 빈칸이 생성되고, 취소 버튼을 누르면 해당 빈칸이 삭제될 수 있다.
도 16은 쿼테이션 웹페이지의 입력 내용을 평가하기 위해서 쿼테이션 데이터베이스(114)에 저장되는 내용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쿼테이션 항목의 만점은 10점이며, 쿼테이션 항목은 정답이 있는 문제이므로 정답을 맞출 경우 10점을 부여할 수 있다. 쿼테이션 데이터베이스(114)에는 정답 이외에 유사한 답 또는 가능성 있는 답이 저장될 수 있으며, 유사한 답이나 가능성 있는 답을 맞출 경우 5점을 부여할 수 있다. 답을 입력하지 않거나 정답, 유사한 답 또는 가능성 있는 답과 관련없는 내용을 입력할 경우 0점을 부여할 수 있다. 빈칸에 해당 사항을 입력하고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1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세이 라이팅 항목의 평가를 위한 웹페이지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학생 사용자는 에세이 라이팅 항목의 이전에 수행된 키워드, 브레인 스토밍, 로지컬 시퀀스 및 쿼테이션 항목에 입력했던 사항에 근거하여 제1 질문에 대한 에세이를 작성할 수 있다. 에세이 라이팅 항목의 평가에는 제한시간을 부여하여 제한시간이 경과하면 학생 사용자가 더이상 입력을 하지 못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에세이 라이팅에 대한 평가는 1차적으로 에세이 라이팅 데이터베이스(115)에 저장되어 있는 모범 답안과 일치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일치율 중 가장 큰 값을 에세이 라이팅에 대한 점수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학생 사용자가 원할 경우에는 또다른 학생 사용자나 소셜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소위 집단지성을 이용하여 에세이 라이팅에 대한 평가를 받을 수 있다. 아울러, 학생 사용자의 선택으로 선생님 사용자의 첨삭 지도도 받을 수 있다. 에세이 라이팅 데이터베이스(115)에 저장된 모범 답안은 선생님이 작성한 답안 또는 또다른 학생 사용자가 작성한 답안 중에서 소정 점수 이상의 답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5는 키워드 항목의 질문 형태가 연관, 관계, 추론 및 참조 질문인 경우의 웹페이지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학생 사용자가 F. 스콧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The Great Gatsby)"라는 컨텐츠를 구입하여 특정 질문(Question 1)을 선택하면 도 1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키워드 항목을 위한 웹페이지가 표시된다. In the apartment that he rents in order to facilitate his affair with Mytle, Tom, incensed by her irreverent behavior, breaks his mistress's nose. What is the significance of Mytle's blood pouring out onto copies of the Town Tattle and tapestry scenes of Versailles? What is she wearing? What about her behavior and appearance do you find surprising? 이라는 질문에 대하여 사건 및 인물의 참조할 항목에 대한 질문을 하고 있으므로 학생 사용자는 질문 형태 중 2. 연관, 관계, 추론 및 참조 질문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학생 사용자는 상기한 도 5 내지 도 17에서 예시한 바와 마찬가지로, 키워드 항목, 브레인 스토밍 항목, 로지컬 시퀀스 항목, 쿼테이션 항목 및 에세이 라이팅 항목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19를 참조하여 보면, 웹페이지에서 학생 사용자는 특정 질문(Question 1)에 대해 위대한 개츠비의 본문 내용에서 핵심 단어라고 판단되는 단어들(도 19에서는 "Versaillers/Town Tattle")을, 예컨대 좌측 빈칸에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우측 빈칸에는 좌측 빈칸에 입력된 단어가 의미하는 내용(도 19에서는 "Sacrifice to Raise Social Status")을 입력할 수 있다. 나머지 방식은 도 6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도 19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9에서 오른쪽 하단의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20의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고, 학생 사용자가 "Finding Keywords that represent author's intent", "Finding Incidents or Events Needed" 및 "Finding Metaphors" 항목들에 대한 빈칸에 관련 내용을 입력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은 도 8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0에서 오른쪽 하단의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21의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21에서는 도 10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 버튼들(0, 1-1, 1-2, 1-3, 2-1,...,3-1)을 선택하고 "입력"창에 내용을 입력함으로써, 그 내용이 풍선(a, b, c,...,h)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도 10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1에서 오른쪽 하단의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22의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22에서는 도 12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묘사/설명 (Descriptive/Expository), 논쟁 (Argumentative), 비교/대조 (Compare/Contrast), 제안/의견 (Suggestive/Opinionate), 창조적 (Creative)의 5가지 질문 형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도 12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2에서 5가지 질문 형태 중 비교/대조를 선택하고 오른쪽 하단의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23의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23에서 "Purpose" 창에는 특정 질문(Question 1)을 한 목적에 대한 내용을 입력할 수 있고, "Object" 창에는 목적을 나타내기 위해 본문에 표현된 단어들을 입력할 수 있고, "Factors" 창에는 "Object" 창에 입력된 단어들 각각이 나타내는 의미들을 입력할 수 있으며, "Conclusion" 창에는 "Factors" 창에 입력된 내용에 의해 도출되는 결론에 대해서 입력할 수 있다.
도 23에서 오른쪽 하단의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24의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쿼테이션 항목의 평가를 위한 웹페이지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24에서의 입력 방식은 도 15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4에서 오른쪽 하단의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25의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세이 라이팅 항목의 평가를 위한 웹페이지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25에서의 입력 방식은 도 17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도 18 내지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워드 항목의 질문 형태가 연관, 관계, 추론 및 참조 질문인 경우에서도, 상술한 도 5 내지 도 17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키워드, 브레인 스토밍, 로지컬 시퀀스, 쿼테이션 및 에세이 라이팅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다.
도 26 내지 도 33은 키워드 항목의 질문 형태가 창의, 상상, 추측, 가정 및 추정 질문인 경우의 웹페이지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학생 사용자가 F. 스콧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The Great Gatsby)"라는 컨텐츠를 구입하여 특정 질문(Question 2)을 선택하면 도 2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키워드 항목을 위한 웹페이지가 표시된다. A popular theory of the novel claims that it is imperative that the first sentence of a first-person narrative capture something essential about the narrator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The Great Gatsby begins as follows: "In my younger and more vulnerable years my father gave me some advice that I've been tuming over in my mind ever since." What does Fitzgerald's opening line capture about Nick Carraway? 라는 질문에 대하여 사용자의 상상, 추측, 짐작, 가정, 추정 등을 필요로 하는 질문을 하고 있으므로 학생 사용자는 질문 형태 중 3. 창의, 상상, 추측, 가정 및 추정 질문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학생 사용자는 상기한 도 5 내지 도 17에서 예시한 바와 마찬가지로, 키워드 항목, 브레인 스토밍 항목, 로지컬 시퀀스 항목, 쿼테이션 항목 및 에세이 라이팅 항목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27을 참조하여 보면, 웹페이지에서 학생 사용자는 특정 질문(Question 2)에 대해 위대한 개츠비의 본문 내용에서 핵심 단어라고 판단되는 문장 또는 단어들(도 27에서는 "Speculate on the meaning of the first sentence", "What does it capture about Nick Carraway", "What does the first sentence mean")을 빈칸에 입력할 수 있다. 나머지 방식은 도 6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도 27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7에서의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28의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고, 학생 사용자가 "Finding Keywords that represent author's intent", "Finding Incidents or Events Needed" 및 "Finding Metaphors" 항목들에 대한 빈칸에 관련 내용을 입력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은 도 8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8에서의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29의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29에서는 도 10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버튼들(0, 1-1, 1-2, 2-1, 2-2, 3-1)을 선택하고 "입력"창에 내용을 입력함으로써, 그 내용이 풍선(a, b, c ... f)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도 10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9에서 오른쪽 하단의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30의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30에서는 도 12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묘사/설명 (Descriptive/Expository), 논쟁 (Argumentative), 비교/대조 (Compare/Contrast), 제안/의견 (Suggestive/Opinionate), 창조적 (Creative)의 5가지 질문 형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도 12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0에서 5가지 질문 형태 중 비교/대조를 선택하고 오른쪽 하단의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31의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31에서 "Theme" 창에는 특정 질문(Question 2)과 관련된 주제에 해당하는 단어 또는 문장을 입력할 수 있고, "Purpose" 창에는 특정 질문을 한 목적에 대한 내용을 입력할 수 있고, "Opinion" 창에는 특정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의견을 나타내는 문장 또는 단어들을 입력할 수 있고, "Negative Reason" 창에는 사용자의 의견이나 주장에 반(反)하거나 모순되는 주장을 입력할 수 있고, "Refutation" 창에는 사용자의 의견이나 주장에 반하거나 모순된 주장보다 더 높은 종합적인 주장의 합을 통해 반증 혹은 반론을 입력할 수 있고, "Summary & Organizer" 창에는 특정 질문(Question 2)에 대한 개요 및 구조에 대해 입력할 수 있고, "Conclusion" 창에는 특정 질문(Question 2)에 대한 최종적인 결론을 입력할 수 있다.
"Refutation" 창에는 , "Summary & Organizer" 창에는 , "Conclusion" 창에는 입력할 수 있다.
도 31에서 오른쪽 하단의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32의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쿼테이션 항목의 평가를 위한 웹페이지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32에서의 입력 방식은 도 15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2에서 오른쪽 하단의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33의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세이 라이팅 항목의 평가를 위한 웹페이지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33에서의 입력 방식은 도 17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도 26 내지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워드 항목의 질문 형태가 창의, 상상, 추측, 가정 및 추정 질문인 경우에서도, 상술한 도 5 내지 도 17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키워드, 브레인 스토밍, 로지컬 시퀀스, 쿼테이션 및 에세이 라이팅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다.
도 34 내지 도 41은 키워드 항목의 질문 형태가 비교 및 대조 질문 인 경우의 웹페이지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학생 사용자가 토니 모리슨의 "Beloved"라는 컨텐츠를 구입하여 특정 질문(Question 1)을 선택하면 도 3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키워드 항목을 위한 웹페이지가 표시된다. How does Beloved's voice differ from Sethe's and Denver's? 라는 질문에 대하여 사용자가 비교 또는 대조를 통해 답해야 하는 질문을 하고 있으므로 학생 사용자는 질문 형태 중 4. 비교 및 대조 질문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학생 사용자는 상기한 도 5 내지 도 17에서 예시한 바와 마찬가지로, 키워드 항목, 브레인 스토밍 항목, 로지컬 시퀀스 항목, 쿼테이션 항목 및 에세이 라이팅 항목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35를 참조하여 보면, 웹페이지에서 학생 사용자는 특정 질문(Question 1)에 대해 Beloved 라는 단어와 반대의 의미를 가진 단어가 있을 경우에는 '≠' 선택 후, 해당 단어를 입력할 수 있고, 같은 뜻을 가진 단어나 같은 의미를 가진 단어가 있을 경우에는 '='를 선택 후, 해당 단어를 입력할 수 있고, 대응하는 단어나 대응하는 의미를 가진 단어가 있을 경우 ':'를 선택한 후, 해당 단어를 입력할 수 있다. 나머지 방식은 도 6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도 27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5에서의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36의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고, 학생 사용자가 "Finding Keywords that represent author's intent", "Finding Incidents or Events Needed" 및 "Finding Metaphors" 항목들에 대한 빈칸에 관련 내용을 입력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은 도 8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6에서의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37의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37에서는 도 10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버튼들(0, 1-1, 1-2, 2-1, 2-2, 3-1)을 선택하고 "입력"창에 내용을 입력함으로써, 그 내용이 풍선(a, b, c ... f)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도 10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7에서 오른쪽 하단의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38의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38에서는 도 12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묘사/설명 (Descriptive/Expository), 논쟁 (Argumentative), 비교/대조 (Compare/Contrast), 제안/의견 (Suggestive/Opinionate), 창조적 (Creative)의 5가지 질문 형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도 12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8에서 5가지 질문 형태 중 비교/대조를 선택하고 오른쪽 하단의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39의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39에서 "Purpose" 창에는 특정 질문(Question 1)을 한 목적에 대한 내용을 입력할 수 있고, "Objects" 창에는 목적을 나타내기 위해 본문에 표현된 단어들을 입력할 수 있고, "Factors" 창에는 "Object" 창에 입력된 단어들 각각이 나타내는 의미들을 입력할 수 있으며, "Conclusion" 창에는 "Factors" 창에 입력된 내용에 의해 도출되는 결론에 대해서 입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도 23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9에서 오른쪽 하단의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40의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쿼테이션 항목의 평가를 위한 웹페이지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40에서의 입력 방식은 도 15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0에서 오른쪽 하단의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41의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세이 라이팅 항목의 평가를 위한 웹페이지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41에서의 입력 방식은 도 17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도 34 내지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워드 항목의 질문 형태가 비교 및 대조 질문인 경우에서도, 상술한 도 5 내지 도 17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키워드, 브레인 스토밍, 로지컬 시퀀스, 쿼테이션 및 에세이 라이팅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다.
도 42 내지 도 50은 키워드 항목의 질문 형태가 의견, 제안 및 제의 질문인 경우의 웹페이지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학생 사용자가 "Nine Stories"라는 컨텐츠를 구입하여 특정 질문(Question 1)을 선택하면 도 4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키워드 항목을 위한 웹페이지가 표시된다. The tone of the final paragraph of "A perfect Day for Bananafish" is particularly devoid of passion or feeling. Where might a reader normally expect to encounter writing in this style? What literary purpose does it serve for salinger here at the conclusion of his story? " 라는 질문에 대하여 사용자가 의견, 견해, 제안을 통해 답해야 하는 질문을 하고 있으므로 학생 사용자는 질문 형태 중 5. 의견, 제안 및 제의 질문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학생 사용자는 상기한 도 5 내지 도 17에서 예시한 바와 마찬가지로, 키워드 항목, 브레인 스토밍 항목, 로지컬 시퀀스 항목, 쿼테이션 항목 및 에세이 라이팅 항목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43을 참조하여 보면, 웹페이지에서 학생 사용자는 특정 질문(Question 1)에 대해 Nine stories 사용자가 의견, 견해, 제안을 통해 답하겠다고 선택했으므로 Pros.와 Cons.에 관련된 키워드 항목을 찾아서 입력하여야 한다. 여기서 Pros.와 Cons.는 에세이 라이팅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Pros.는 'the primary positive aspects'를 의미하며 Cons.는 'the primary negative aspects'를 의미하므로 사용자의 의견, 견해, 제안에 해당하는 키워드 항목을 장점과 단점으로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다. 나머지 방식은 도 6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도 43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3에서의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44의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고, 학생 사용자가 "Finding Keywords that represent author's intent", "Finding Incidents or Events Needed" 및 "Finding Metaphors" 항목들에 대한 빈칸에 관련 내용을 입력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은 도 8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4에서의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45의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45에서는 도 10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버튼들(0, 1-1, 1-2, 2-1, 3-1, 3-2, 3-3, 4-1)을 선택하고 "입력"창에 내용을 입력함으로써, 그 내용이 풍선(a, b, c ... h)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도 10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5에서 오른쪽 하단의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46의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46에서는 도 12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묘사/설명 (Descriptive/Expository), 논쟁 (Argumentative), 비교/대조 (Compare/Contrast), 제안/의견 (Suggestive/Opinionate), 창조적 (Creative)의 5가지 질문 형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도 12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6에서 5가지 질문 형태 중 논쟁을 선택하고 오른쪽 하단의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47의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47에서 특정 질문이 논쟁 형태 중에서 귀납적 추론(Inductive Reasoning), 연역적 추론(Deductive Reasoning), 삼단 논법(Syllogisms), 유사(Parallel)의 4가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학생 사용자가 귀납적 추론이라는 질문 형태를 선택하고 웹페이지 오른쪽 하단의 NEXT 버튼을 선택하면 도 4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 웹페이지가 나타날 수 있다. 도 48의 웹페이지에서 학생 사용자는 특정 질문에 대해 "Nine stories" 본문 내용에서 핵심 단어라고 판단되는 단어들을 빈칸에 입력할 수 있다. 도 48에서 "Thesis Statement" 창에는 특정 질문(Question 1)과 관련된 내용의 문장을 입력할 수 있고, "Corresponding Evident" 창에는 "Thesis Statement" 창에 입력한 내용과 관련된 증거에 대한 내용을 입력할 수 있고, "Premise" 창에는 특정 질문의 전제사항을 입력할 수 있고, "Conclusion" 창에는 "Thesis Statement" 창에 입력한 내용으로부터 귀납적으로 도출되는 결론에 대해서 입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도 23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8에서 오른쪽 하단의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49의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4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쿼테이션 항목의 평가를 위한 웹페이지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49에서의 입력 방식은 도 15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9에서 오른쪽 하단의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50의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5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세이 라이팅 항목의 평가를 위한 웹페이지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50에서의 입력 방식은 도 17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도 42 내지 도 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워드 항목의 질문 형태가 비교 및 대조 질문인 경우에서도, 상술한 도 5 내지 도 17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키워드, 브레인 스토밍, 로지컬 시퀀스, 쿼테이션 및 에세이 라이팅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다.
도 51 내지 도 58은 키워드 항목의 질문 형태가 창조적이고 허구적인 질문인 경우의 웹페이지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학생 사용자가 "Red Scarf Girl"라는 컨텐츠를 구입하여 특정 질문(Question 1)을 선택하면 도 5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키워드 항목을 위한 웹페이지가 표시된다. "Ji-li and Ji-yun witness two high school student inspectors humiliate a man on the street. No one in the crowd stops them and in general everyone laughs and supports the two students. Would you do the same thing in this situation?" 이라는 질문에 대하여 사용자가 창조적이고 허구적으로 답해야 하는 질문을 하고 있으므로 학생 사용자는 질문 형태 중 6. 창조적이고 허구적인 질문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학생 사용자는 상기한 도 5 내지 도 17에서 예시한 바와 마찬가지로, 키워드 항목, 브레인 스토밍 항목, 로지컬 시퀀스 항목, 쿼테이션 항목 및 에세이 라이팅 항목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52를 참조하여 보면, 웹페이지에서 학생 사용자는 특정 질문(Question 1)에 대해 Red Scarf Girl의 본문 내용에서 핵심 단어라고 판단되는 단어들을 빈칸에 입력할 수 있다. 빈칸은 최초 웹페이지 생성시에 1개가 기본으로 나타나며, 빈칸 오른쪽의 생성 버튼을 누르면 빈칸의 추가가 가능하고, 취소 버튼을 이용하여 생선된 빈칸의 삭제도 가능하다. 나머지 방식은 도 6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도 52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2에서의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53의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고, 학생 사용자가 "Finding Keywords that represent author's intent", "Finding Incidents or Events Needed" 및 "Finding Metaphors" 항목들에 대한 빈칸에 관련 내용을 입력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은 도 8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3에서의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54의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54에서는 도 10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버튼들(0, 1-1, 1-2, 2-1, 3-1, 3-2, 4-1)을 선택하고 "입력"창에 내용을 입력함으로써, 그 내용이 풍선(a, b, c ... g)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도 10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4에서 오른쪽 하단의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55의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55에서는 도 12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묘사/설명 (Descriptive/Expository), 논쟁 (Argumentative), 비교/대조 (Compare/Contrast), 제안/의견 (Suggestive/Opinionate), 창조적 (Creative)의 5가지 질문 형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도 12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5에서 5가지 질문 형태 중 창조적을 선택하고 오른쪽 하단의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56의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56에서 "Red Scarf Girl" 본문 내용에서 핵심 단어라고 판단되는 단어들을 빈칸에 입력할 수 있다. 도 56에서 "Theme" 창에는 특정 질문(Question 1)과 관련된 주제를 입력할 수 있고, "Characters or Objects" 창에는 사용자가 창의적으로 만들어낸 인물이나 사용자의 주제에 따른 목적물 혹은 관심의 대상에 대해서 입력할 수 있고, "Opinion" 창에는 특정 질문(Question 1)에 대한 사용자의 의견을 나타내는 문장 또는 단어들을 입력할 수 있고, "Story Line-Intro" 창에는 서론에 대한 개략적 내용을 입력할 수 있고, "Story Line Progress & Development" 창에는 본론에 대한 개략적 내용을 입력할 수 있고, "Conclusion" 창에는 결론에 대한 개략적 내용을 입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도 23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6에서 오른쪽 하단의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57의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5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쿼테이션 항목의 평가를 위한 웹페이지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57에서의 입력 방식은 도 15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7에서 오른쪽 하단의 NEXT 버튼을 누르면, 도 58의 웹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5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세이 라이팅 항목의 평가를 위한 웹페이지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58에서의 입력 방식은 도 17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도 51 내지 도 5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워드 항목의 질문 형태가 창조적 및 허구적 질문인 경우에서도, 상술한 도 5 내지 도 17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키워드, 브레인 스토밍, 로지컬 시퀀스, 쿼테이션 및 에세이 라이팅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다.
도 59 내지 도 6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가 결과 산출 방법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59에서는 도 5 내지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평가 결과 산출 방법을 나타낸다. 우선 키워드 항목(KW)에 대한 점수로 도 5의 웹 페이지에서 질문 형태 선택 회수에 대한 점수로 2점, 도 6의 웹 페이지에서의 입력에 대한 점수로 3점, 도 8의 웹페이지에서의 입력에 대한 점수로 4 점을 부여할 수 있다. 브레인 스토밍 항목(BS)에 대한 점수로 도 10의 웹페이지에서 4개의 트리 구조를 입력하였기 때문에 4점을 부여할 수 있고, 중앙의 풍선(a)에 해당하는 단어를 정확히 입력하였으므로 2점을 부여할 수 있고, 풍선에 입력한 단어들 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단어와 10개 이상 일치하였기 때문에 4점을 부여할 수 있다. 로지컬 시퀀스 항목(LS)에 대한 점수로 도 12의 웹페이지에서 2번에 거쳐서 정답을 입력하였기 때문에 1점을 부여할 수 있고, 도 13의 웹페이지에서 입력한 내용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내용과 100% 일치하였기 때문에 8점을 부여할 수 있다. 쿼테이션 항목(QT)에 대한 점수로 도 15의 웹페이지에서 입력한 내용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내용이 완전 일치하지 않지만 일부 유사하여 5점을 부여할 수 있다. 에세이 라이팅 항목(EW)에 대한 점수로 도 17의 웹페이지에서 입력한 내용과 추천 답안과의 최고 일치율인 92%에 근거하여 9.2점을 부여할 수 있다. 문법 항목(Grammar Module)에 대한 점수로 문법 오류 1개당 0.2점을 감점할 수 있으며, 문법 오류가 없을 경우 만점으로 10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으로 소위 집단지성에 의한 평가 항목(WS1) 점수를 추가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도 60 내지 도 63은 최종 점수 산출 방법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키워드, 브레인 스토밍, 로지컬 시퀀스, 쿼테이션 및 에세이 라이팅 항목 각각의 개별 점수는 vocabulary, grammar, comprehension, organization, logic, analysis, transition, comparison, reflection, criticism, expression, metaphor, creativity 등의 점수로 환산될 수 있다. vocabulary, grammar, comprehension, organization, logic, analysis, transition, comparison, reflection, criticism, expression, metaphor, creativity에 대한 점수 환산시에 키워드, 브레인 스토밍, 로지컬 시퀀스, 쿼테이션 및 에세이 라이팅 항목에 대한 반영 비율을 결정할 수 있으며, 추후 누적된 평가 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러한 반영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organization은 브레인 스토밍 항목에서 가장 잘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브레인 스토밍 항목 점수의 50%를, 로지컬 시퀀스 항목은 브레인 스토밍 항목보다 organization에 영향을 적게 미치기 때문에 로지컬 시퀀스 항목 점수의 30%, 에세이 라이팅 항목은 organization에 가장 영향을 적게 미치기 때문에 에세이 라이팅 항목 점수의 20%를 각각 반영하여 organization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방법들은 특정 실시예들을 통하여 설명되었지만, 상기 방법들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이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학습 및 평가 시스템 110: 데이터 베이스
120: 서버 130: 디스플레이부
111: 키워드 데이터베이스 112: 브레인 스토밍 데이터베이스
113: 로지컬 시퀀스 데이터베이스 114: 쿼테이션 데이터베이스
115: 에세이 라이팅 데이터베이스 116: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Claims (28)

  1. 학습 및 평가 방법으로서,
    웹서버에 의해, 복수의 컨텐츠 리스트를 웹페이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컨테츠 리스트 중 특정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의 본문 내용을 상기 웹페이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에 의해, 상기 컨텐츠의 본문 내용과 관련한 복수의 평가 항목을 상기 웹페이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평가 항목에 대한 답안을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상기 웹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모범 답안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입력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모범 답안과의 일치율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 대한 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학습 및 평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키워드(keyword), 브레인 스토밍(brain storming), 로지컬 시퀀스(logical sequence), 쿼테이션(quotation) 및 에세이 라이팅(essay writing)에 대한 모범 답안을 저장하며,
    상기 평가 항목은, 상기 키워드, 브레인 스토밍, 로지컬 시퀀스, 쿼테이션 및 에세이 라이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학습 및 평가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키워드, 상기 브레인 스토밍, 상기 로지컬 시퀀스, 상기 쿼테이션 및 상기 에세이 라이팅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여 상기 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학습 및 평가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키워드, 상기 브레인 스토밍, 상기 로지컬 시퀀스, 상기 쿼테이션 및 상기 에세이 라이팅에 대한 반영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수용적 사고(receptive thinking), 논리적 사고(logical thinking),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 창조적 사고(creative thinking), 소통적 사고(communicative thinking)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학습 및 평가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산출된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들간의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학습 및 평가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에세이 라이팅에 대한 첨삭 지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학습 및 평가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답안은 상기 웹페이지 내에 표시된 빈칸을 통해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빈칸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학습 및 평가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평가 항목을 상기 웹페이지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평가 항목 중 상기 키워드 또는 상기 로지컬 시퀀스를 선택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 항목과 관련한 복수의 질문을 상기 웹페이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학습 및 평가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 리스트를 웹페이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의 본문 내용을 웹페이지에 표시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고 구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학습 및 평가 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에 대한 평가는 상기 답안에 포함된 단어들과의 일치율을 고려하여 상기 평가 결과를 산출하고, 상기 브레인 스토밍에 대한 평가는 상기 답안에 포함된 단어들의 배열을 고려하여 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학습 및 평가 방법.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지컬 시퀀스는, 언제(when), 어디서(where), 누가(who), 무엇을(what), 어떻게(how), 왜(why)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서 상기 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학습 및 평가 방법.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지컬 시퀀스 및 쿼테이션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답안과의 일치율을 고려하여 상기 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학습 및 평가 방법.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세이 라이팅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모범 답안과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비교하여 일치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일치율 중 가장 큰 값을 점수화하여 상기 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학습 및 평가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평가 항목 중 일부에 대하여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를 포함하는 집단지성에 의한 평가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학습 및 평가 방법.
  15. 학습 및 평가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미리 설정된 복수의 평가 항목별 답안을 저장하는 데이테베이스; 및
    복수의 컨텐츠 리스트를 웹페이지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컨테츠 리스트 중 특정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의 본문 내용을 상기 웹페이지에 표시하고, 상기 컨텐츠의 본문 내용과 관련한 복수의 평가 항목을 상기 웹페이지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평가 항목에 대한 답안을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상기 웹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모범 답안과 비교하며, 상기 사용자의 입력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모범 답안과의 일치율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 대한 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웹서버를 포함하는, 학습 및 평가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키워드(keyword), 브레인 스토밍(brain storming), 로지컬 시퀀스(logical sequence), 쿼테이션(quotation) 및 에세이 라이팅(essay writing)에 대한 모범 답안을 저장하며,
    상기 평가 항목은, 상기 키워드, 브레인 스토밍, 로지컬 시퀀스, 쿼테이션 및 에세이 라이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학습 및 평가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결과 산출은,
    상기 키워드, 상기 브레인 스토밍, 상기 로지컬 시퀀스, 상기 쿼테이션 및 상기 에세이 라이팅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여 상기 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학습 및 평가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키워드, 상기 브레인 스토밍, 상기 로지컬 시퀀스, 상기 쿼테이션 및 상기 에세이 라이팅에 대한 반영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수용적 사고(receptive thinking), 논리적 사고(logical thinking),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 창조적 사고(creative thinking), 소통적 사고(communicative thinking)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학습 및 평가 시스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산출된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들간의 순위를 결정하는, 학습 및 평가 시스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에세이 라이팅에 대한 첨삭 지도를 수행하는, 학습 및 평가 시스템.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답안은 상기 웹페이지 내에 표시된 빈칸을 통해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빈칸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학습 및 평가 시스템.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평가 항목 중 상기 키워드 또는 상기 로지컬 시퀀스를 선택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 항목과 관련한 복수의 질문을 상기 웹페이지에 표시하는, 학습 및 평가 시스템.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웹페이지에 표시하는, 학습 및 평가 방법.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에 대한 평가는 상기 답안에 포함된 단어들과의 일치율을 고려하여 상기 평가 결과를 산출하고, 상기 브레인 스토밍에 대한 평가는 상기 답안에 포함된 단어들의 배열을 고려하여 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학습 및 평가 시스템.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로지컬 시퀀스는, 언제(when), 어디서(where), 누가(who), 무엇을(what), 어떻게(how), 왜(why)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서 상기 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학습 및 평가 시스템.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로지컬 시퀀스 및 쿼테이션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답안과의 일치율을 고려하여 상기 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학습 및 평가 시스템.
  2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에세이 라이팅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모범 답안과 상기 평가 항목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비교하여 일치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일치율 중 가장 큰 값을 점수화하여 상기 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학습 및 평가 시스템.
  2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평가 항목 중 일부에 대하여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에 의한 평가 요청하는, 학습 및 평가 시스템.
KR1020120014395A 2011-07-01 2012-02-13 학습 및 평가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201300100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4788 WO2013005928A2 (en) 2011-07-01 2012-06-18 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65459 2011-07-01
KR1020110065459 2011-07-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065A true KR20130010065A (ko) 2013-01-25

Family

ID=47839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395A KR20130010065A (ko) 2011-07-01 2012-02-13 학습 및 평가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00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512B1 (ko) * 2018-09-14 2020-02-25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유법 문장 생성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512B1 (ko) * 2018-09-14 2020-02-25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유법 문장 생성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lcessor Restricted access: Media, disability, and the politics of participation
Gottlieb et al. Academic language in diverse classrooms: Definitions and contexts
Duran et al. Holistic media education: An assessment of the effectiveness of a college course in media literacy
Coiro Exploring changes to reading comprehension on the Internet: Paradoxes and possibilities for diverse adolescent readers
Mckoy Y’all call it technical and professional communication, we call it# ForTheCulture: The use of amplification rhetorics in Black communiti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technical and professional communication studies
Hackett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consumer psychology
Chang et al. Improving children’s textual cohesion and writing attitude in a game-based writing environment
Roy Innovative practices for teaching sign language interpreters
Mills et al. Culture and vision in virtual reality narratives
Edgington Performativity and the power of shame: Lesson observations, emotional labour and professional habitus
Colarusso Teaching English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ree models of reform
Breault Distilling wisdom from practice: Finding meaning in PDS stories
Note et al. A novel viewpoint on andragogy: Enabling moments of community
Mewburn et al. How to fix your academic writing trouble: a practical guide
Greenhalgh et al. The mirror and the window: Making implicit perceptions of leadership explicit
Boldbaatar et al. Developing Educational 3D Games With StarLogo: The Role of Backwards Fading in the Transfer of Programming Experience<? AQ1?>
Adjapong et al. For White Folks Who Teach Hip-Hop—and the Rest of Ya’ll, Too: Interrogating the Positionality of Hip-Hop Educators and Researchers
KR20130010065A (ko) 학습 및 평가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Samanani Power in a minor key: Rethinking anthropological accounts of power alongside London’s community organisers
Zaphiris et al. Learning and Collaboration Technologies. Design, Development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LCT 2018, Held as Part of HCI International 2018, Las Vegas, NV, USA, July 15-20, 2018, Proceedings, Part I
Zhu Creating your own convers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agents using convo, a conversational programming system
Kennedy Reading like economists to reimagine the humanities
Kagolobya Symbolic interaction and intercultural theatre performance dynamics in Uganda: the case of Makerere Universitys Intercultural Theatre Collaborations
Skaremyr et al. (Re) thinking children’s picturebooks as the mirror of contemporary society
Johnson The rhetoric and poetics of speech and debate: resituating and re-disciplining literary arg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