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9919A -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9919A
KR20130009919A KR1020110070719A KR20110070719A KR20130009919A KR 20130009919 A KR20130009919 A KR 20130009919A KR 1020110070719 A KR1020110070719 A KR 1020110070719A KR 20110070719 A KR20110070719 A KR 20110070719A KR 20130009919 A KR20130009919 A KR 20130009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executed
application
display unit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훈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정종훈
정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훈, 정재훈 filed Critical 정종훈
Priority to KR1020110070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9919A/ko
Publication of KR20130009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9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표시하는 아이콘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표시부에 표시된 아이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실행할 수 있는 최근실행 아이콘을 상기 아이콘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표시된 최근실행 아이콘 실행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았는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에서 최근실행 아이콘 실행 명령을 입력 받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1 단계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실행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method for displaying recent program execution icon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서 최근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은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의 배경 화면에 표시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수가 많아질수록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찾는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특히, 사용자가 방금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실행해야 하는 경우, 아이콘 표시 화면 페이지를 수차례 이동하면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어렵게 확인해야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 등 이동 통신 단말기, MP3 플레이어, PMP 등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휴대기기에서 사용자가 최근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응용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서 최근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표시하는 아이콘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표시부에 표시된 아이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실행할 수 있는 최근실행 아이콘을 상기 아이콘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표시된 최근실행 아이콘 실행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았는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에서 최근실행 아이콘 실행 명령을 입력 받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1 단계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실행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에 의해, 특정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구동할 수 있는 최근실행 아이콘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서 최근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방금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구동해야 하는 경우 아이콘 표시 화면 페이지를 수차례 이동하면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어렵게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해 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을 절차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아이콘 표시부에 표시되는 최근실행 아이콘 정보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표시하는 아이콘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표시부에 표시된 아이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실행할 수 있는 최근실행 아이콘을 상기 아이콘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표시된 최근실행 아이콘 실행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았는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에서 최근실행 아이콘 실행 명령을 입력 받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1 단계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실행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서 최근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아래에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공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것이고, 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을 절차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절차는 단계 S100에서 시작된다.
단계 S100에서 절차가 시작되면 단계 S102로 진행하여, 휴대 단말기(ex, 스마트폰 등 이동 통신 단말기, MP3 플레이어, PMP 등)의 아이콘 표시부에 표시된 아이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 부팅 후 바탕 화면의 특정 아이콘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아이콘 표시부와 바탕 화면을 오버레이와 같은 방식으로 겹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아이콘 표시부는 아이콘이 표시된 화면 출력이 가능하다. 그리고 단계는 S104로 진행한다.
단계 S104에서는 단계 S102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실행할 수 있는 최근실행 아이콘을 상기 아이콘 표시부에 생성 및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최근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본 발명이 기대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방금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구동해야 하는 경우 아이콘 표시 화면 페이지를 수차례 이동하면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어렵게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해 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단계 S104에서 표시된 최근실행 아이콘은 단계 S102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타입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아이콘 타입은 예를 들어, 텍스트, 이미지, 텍스트 및 이미지 등일 수 있다. 그리고 단계는 S106로 진행한다.
단계 S106에서는 단계 S104에서 표시된 최근실행 아이콘에 대한 실행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106에서의 판단 결과, 최근실행 아이콘 실행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지 못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104로 복귀하지만, 최근실행 아이콘 실행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108로 진행하고, 단계 S102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실행한다.
한편, 상기 아이콘 표시부는 단계 S102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아이콘 표시부와 상기 제2 단계에서 표시된 최근실행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아이콘 표시부로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최근실행 아이콘을 상기 제2 아이콘 표시부에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최근실행 아이콘을 바로 확인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도2에서와 같이 휴대 단말기(200)의 제1 아이콘 표시부(222)에서 표시된 아이콘(232), 어플23을 실행하면 최근실행 아이콘, 어플23‘(234)이 제2 아이콘 표시부(224)에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화면 페이지에서 다른 화면 페이지로 이동해야 하는 수고 없이 제2 아이콘 표시부에서 최근실행 아이콘, 어플23‘을 바로 확인하고 신속하게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제2 아이콘 표시부는 화면 페이지에서 다른 화면 페이지로 이동하는 상기 제1 아이콘 표시부와 다르게, 화면 페이지 이동이 없는 기본 화면 페이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제2 아이콘 표시부에서 한 뎁스를 더 들어가지 않더라도 최근실행 아이콘을 바로 확인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바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2에서와 같이 상기 제2 아이콘 표시부에 표시된 아이콘, 어플15’, 어플23’은 상기 제1 아이콘 표시부의 화면 페이지 이동, 예컨대 (a)->(b), (b)->(c) 등에 상관없이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최근실행 아이콘을 상기 제1 아이콘 표시부의 홈 화면 페이지에 표시함으로써, 최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바로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도2에서의 홈 버튼(240)은 특정 화면 페이지를 홈 화면 페이지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어, 도2에서와 같이 어플23 아이콘을 표시하는 제1 아이콘 표시부의 화면 페이지(c)에서 홈 버튼(240)을 누르면 제1 아이콘 표시부의 홈 화면 페이지(a)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단계 S104는 최근실행 아이콘을 상기 아이콘 표시부에 하나만 표시함으로써, 일반 PC 모니터와 비교하여 제약된 휴대 단말기의 아이콘 표시부 크기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 최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단계 S102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된 경우, 단계 S104에서 표시된 최근실행 아이콘을 삭제하고, 단계 S102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이전에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최근실행 아이콘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아이콘 표시부에 표시된 다른 아이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경우 단계 S104에서 표시된 최근실행 아이콘을 삭제하고, 실행된 다른 아이콘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실행할 수 있는 다른 최근실행 아이콘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단계 S104는, 최근실행 아이콘을 상기 아이콘 표시부에 표시된 폴더에 포함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102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정된 특정기간 동안 이전 실행된 어플리케이션들 중에 가장 많이 실행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 단계에서 단계 S102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이전 실행된 어플리케이션들 중에 가장 많이 실행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단계 S104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2에서와 같이 제2 아이콘 표시부가 두 개의 최근실행 아이콘을 표시하는 경우, 한 개의 최근실행 아이콘 위치에는 이전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최근실행 아이콘을 표시하고, 나머지 한 개의 최근실행 아이콘 위치에는 이전 실행된 어플리케이션들 중에 가장 많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최근실행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도 좋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것으로서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 치환, 조합 될 수 있는 정도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것에 의하여 정해진다.
S102, S104, S106, S108

Claims (13)

  1.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표시하는 아이콘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표시부에 표시된 아이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실행할 수 있는 최근실행 아이콘을 상기 아이콘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표시된 최근실행 아이콘 실행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았는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에서 최근실행 아이콘 실행 명령을 입력 받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1 단계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실행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최근실행 아이콘을 상기 아이콘 표시부에 하나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최근실행 아이콘을 상기 아이콘 표시부에 표시된 폴더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된 경우, 상기 제2 단계에서 표시된 최근실행 아이콘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최근실행 아이콘을 삭제하는 상기 단계 이후, 상기 제1 단계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이전에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최근실행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표시부에 표시된 다른 아이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경우, 상기 제2 단계에서 표시된 최근실행 아이콘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최근실행 아이콘을 삭제하는 상기 단계 이후, 실행된 다른 아이콘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실행할 수 있는 다른 최근실행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표시부는 상기 제1 단계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아이콘 표시부와 상기 제2 단계에서 표시된 최근실행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아이콘 표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표시된 최근실행 아이콘은 상기 제1 아이콘 표시부의 홈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이콘 표시부는, 화면에서 다른 화면으로 이동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이전 실행된 어플리케이션들과 비교하여 가장 많이 실행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이전 실행된 어플리케이션들과 비교하여 가장 많이 실행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2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정된 특정기간 동안 이전 실행된 어플리케이션들과 비교하여 가장 많이 실행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이전 실행된 어플리케이션들과 비교하여 가장 많이 실행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2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표시된 최근실행 아이콘은 상기 제1 단계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타입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
KR1020110070719A 2011-07-16 2011-07-16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 KR201300099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719A KR20130009919A (ko) 2011-07-16 2011-07-16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719A KR20130009919A (ko) 2011-07-16 2011-07-16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919A true KR20130009919A (ko) 2013-01-24

Family

ID=47839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719A KR20130009919A (ko) 2011-07-16 2011-07-16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991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052B1 (ko) * 2013-03-15 2013-08-29 (주)지란지교소프트 이미지 탐색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047914A (ko) * 2013-10-25 2015-05-0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WO2024035069A1 (ko) * 2022-08-08 2024-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사이즈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전환을 위한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052B1 (ko) * 2013-03-15 2013-08-29 (주)지란지교소프트 이미지 탐색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047914A (ko) * 2013-10-25 2015-05-0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WO2024035069A1 (ko) * 2022-08-08 2024-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사이즈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전환을 위한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99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ding icon to interface of android system, and mobile terminal
JP6169590B2 (ja) 適応的な入力言語切り換え
CN107577505B (zh) 应用程序的操作、生成、启动的方法及其装置
CN105335048B (zh) 具有隐藏应用图标的电子设备及隐藏应用图标的方法
US10055102B2 (en) Method of promptly starting windowed applications installed on a mobile operating system and device using the same
KR20150128671A (ko)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 식별 방법, 전력 소비 관리 방법, 장치 및 단말기 장치
EP2763131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figuring screen
CN103593116A (zh) 便携式终端工具栏的显示和控制方法、及其装置
CN103064580A (zh) 一种在桌面上隐藏应用及调出隐藏应用的方法
CN105404458B (zh) 网页内容更新方法及装置
KR20150069504A (ko) 이동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전환 장치 및 방법
CN102999358A (zh) 一种程序智能启动方法
TW201327355A (zh) 電子裝置的主螢幕圖示管理系統及方法
CN105488051B (zh) 网页处理方法及装置
JP2013512506A5 (ko)
CN103513861A (zh) 一种信息处理的方法及一种电子设备
US201401300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pplication update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TW201435737A (zh) 具有作業系統共用控制功能的電子裝置、系統及方法
US9733798B2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executing application,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20523692A (ja) ページ閲覧方法、装置及び電子機器
CN112148178A (zh) 应用切换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1813305A (zh) 应用程序启动方法及装置
CN113672290B (zh) 一种文件打开方法及设备
KR20140001031A (ko)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30009919A (ko) 휴대 단말기의 최근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