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9436A - 반원통형 미끄럼판을 구비한 구조물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반원통형 미끄럼판을 구비한 구조물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9436A
KR20130009436A KR1020110070554A KR20110070554A KR20130009436A KR 20130009436 A KR20130009436 A KR 20130009436A KR 1020110070554 A KR1020110070554 A KR 1020110070554A KR 20110070554 A KR20110070554 A KR 20110070554A KR 20130009436 A KR20130009436 A KR 20130009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ntermediate support
upper plate
movement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7467B1 (ko
Inventor
한승출
Original Assignee
한승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출 filed Critical 한승출
Priority to KR1020110070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467B1/ko
Publication of KR20130009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2Mechanical bearings
    • E01D19/046Spherical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Abstract

본 발명은 반원통형 미끄럼판을 구비한 구조물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방향으로 상시 이동량이 큰 장대교량의 양단부에서 수직변위 없는 평면이동을 통해 장방향의 이동량을 충분히 수용하는 동시에 단방향으로는 진자운동을 통해 지진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결합되는 상부 플레이트와, 교량의 하부구조물에 결합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고 상부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상면에는 마찰을 감소시키는 마찰재를 구비하여 수직하중을 지지하면서 상부구조물의 이동시 상부 플레이트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중간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중간 지지체와 접촉하는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은 단방향으로 구배진 반원통형의 내곡면으로 이루어져, 상부구조물의 장방향 이동시에는 중간 지지체에 대한 상판의 진자운동 없는 슬라이딩 수평이동을 유도하고, 상부구조물의 단방향 이동시에는 중간 지지체에 대한 상부 플레이트의 진자운동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원통형 미끄럼판을 구비한 구조물 지지장치{STRUCTURE SUPPORTING APPARATUS WITH SEMICYLINDER TYPE SLIDE}
본 발명은 구조물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방향으로 상시 이동량이 큰 장대교량의 양단부에서 수직변위 없는 평면이동을 통해 장방향의 이동량을 충분히 수용하는 동시에 단방향으로는 진자운동을 통해 지진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반원통형 미끄럼판을 구비한 구조물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물 지지장치란 교량 등의 구조물에서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조물의 크기나 하중,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사용된다.
이러한 구조물 지지장치 중 최근 진자운동을 이용하는 구조물 지지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진자운동을 이용한 구조물 지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는, 제1방향으로 활주로를 이루는 하부 마찰판(10)과, 제2방향으로 활주로를 이루는 상부 마찰판(20)과, 상기 하부 마찰판(10)과 상기 상부 마찰판(20)을 따라 구르며 이동하여 진자 운동하는 롤러이동 조립체(3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하부구조물에 대한 상부구조물의 상대변위시 상기 하부 마찰판(10)에 대하여 상부 마찰판(20)이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며, 곡면으로 형성된 활주로에 의해 상부 마찰판(20)이 진자운동을 하면서 수평하중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는 장대교량의 양단부와 같이 교량의 장방향으로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의 상대변위가 매우 큰 경우 상부구조물의 이동량을 수용하지 못하여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밖에 없었다. 만일, 상대변위가 큰 상부구조물의 이동량을 수용하더라도 이로 인해 수직방향 변위가 발생되어 구조물에 추가적인 응력을 발생시키는 문제를 피할 수 없었다. 그렇게 되면 상부 구조에 심각한 변형이 초래되어 붕괴의 위험이 커질 수밖에 없으며, 이를 대비하기 위해서 장치 및 구조물의 비대화와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야기되었다.
따라서, 장방향으로 상시 이동량이 큰 장대교량에서 그 이동량을 충분히 수용하면서도 수직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효율적으로 대응하여 추가적인 응력을 발생시키지 않는 새로운 구조물 지지장치의 개발이 절실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장방향으로 상시 이동량이 큰 장대교량의 양단부에서 수직변위 없는 평면이동을 통해 장방향의 이동량을 충분히 수용하는 동시에 단방향으로는 진자운동을 통해 지진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반원통형 미끄럼판을 구비한 구조물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는,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결합되는 상부 플레이트와; 교량의 하부구조물에 결합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상면에는 마찰을 감소시키는 마찰재를 구비하여 수직하중을 지지하면서 상기 상부구조물의 이동시 상부 플레이트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중간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 지지체와 접촉하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은 단방향으로 구배진 반원통형의 내곡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구조물의 장방향 이동시에는 상기 중간 지지체에 대한 상기 상판의 진자운동 없는 슬라이딩 수평이동을 유도하고, 상기 상부구조물의 단방향 이동시에는 상기 중간 지지체에 대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진자운동을 유도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마찰재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를 소재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원통형 내곡면에는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의 미끄럼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중간 지지체 사이에는 단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단방향 이동시 압축변형되면서 단방향 수평하중을 완충해주는 단방향 MER 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중간 지지체 사이에는 장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장방향 이동시 압축변형되면서 장방향 수평하중을 완충해주는 장방향 MER 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장방향의 수평하중을 흡수하는 LUD(Lock Up device)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지지체의 하부는 구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중간 지지체의 하부에 대응하여 진자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요입된 구형의 안착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지지체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수직하중을 지지하면서 하부 플레이트에 대한 상부 플레이트의 회전을 수용하는 디스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지지체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수직하중을 지지하면서 상부구조물이 기울어지는 경우 하부 플레이트에 대한 상부 플레이트의 상하방향 회전을 수용하는 고무패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지지체는 패드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물 지지장치는,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결합되는 상부 플레이트와; 교량의 하부구조물에 결합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하면은 마찰을 감소시키는 마찰재를 구비하여, 수직하중을 지지하면서 상기 상부구조물의 이동시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는 중간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 지지체와 접촉하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은 단방향으로 구배진 원통형의 내곡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구조물의 장방향 이동시에는 상기 하판에 대한 상기 중간 지지체 및 상부 플레이트의 진자운동 없는 슬라이딩 수평이동을 유도하고, 상기 상부구조물의 단방향 이동시에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대한 중간 지지체 및 상부 플레이트의 진자운동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는, 상시 이동량이 큰 장대교량 등의 구조물에서 장방향으로는 수직변위 없는 평면이동을 통해 이동량을 충분히 수용하는 동시에 단방향으로는 진자운동을 통해 지진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MER 스프링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지진에 대비한 능력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LUD가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지진에 대비한 능력이 보다 향상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의 단면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는,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결합되는 상부 플레이트(110)와, 교량의 하부 구조물의 결합되는 하부 플레이트(120)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 지지체(130) 및 디스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반원통형의 미끄럼판(150)을 구비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와 마찰재(135)를 구비한 상기 중간 지지체(130)가 접촉하는 상호작용에 의해 장방향(x)으로는 수직변위 없는 평면이동을 통해 이동량을 충분히 수용하는 동시에 단방향(y)으로는 진자운동을 통해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로써, 장대교량의 양단부와 같이 상시 이동량이 크거나 지진시 이동량이 큰 다양한 구조물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의 구성을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는 전술된 것처럼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결합된다. 주목할 점으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에서 상기 중간 지지체(130)와 접촉하는 하면(110a)은 단방향(y)으로 구배지고, 장방향(x)으로는 구배지지 않은 반원통형의 내곡면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는 상부 구조물의 이동량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장방향(x)으로 길게 형성된다. 도면에서 상부 플레이트(110)의 장방향(x) 길이가 단방향(y)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길이는 구조물에 따라 융통성을 두고 조절한다. 또한, 상기 반원통형의 하면(110a)에는 그에 맞게 구부러진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그에 상응하는 소재로 이루어진 미끄럼판(150)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120)는 교량의 하부구조물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부재로서 앵커(125)에 의해 하부구조물에 결합된다.
상기 중간 지지체(13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 사이에 설치되어 수직하중을 지지하면서 상기 상부구조물의 이동량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 플레이트(110)의 슬라이딩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중간 지지체(130)는 반원통형 내곡면으로 이루어진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의 하면(110a)과 접촉하는 부위인 상면(131)이 곡면으로 형성되고, PTFE(Polytetrafluoroethylene) 또는 그에 상응하는 소재로 이루어진 마찰재(135)를 구비한다.
상기 디스크(140)는 상기 중간 지지체(130)와 하부 플레이트(120) 사이에 설치되어 수직하중을 지지하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120)에 대한 상부 플레이트(110)의 회전을 수용하게 된다.
전술된 이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교량의 상부구조물이 장방향(x)으로 이동시에는 상기 중간 지지체(130)에 대한 상부 플레이트(110)의 진자운동 없이 슬라이딩에 의한 수평이동만 이루어지고, 교량의 상부구조물의 단방향(y) 이동시에는 상기 중간 지지체(130)에 대한 상부 플레이트(110)의 진자운동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장방향(x)으로 일어나는 상부구조물의 이동량을 원활하게 수용하면서도 수직방향 변위에 의한 추가적인 응력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고, 단방향(y)으로 일어나는 이동량에 대해서는 원위치로 복원되는 진자운동에 의해 거동하기 때문에 지진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에 대하여 안정적인 대처가 가능해진다.
[제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와 중간 지지체(130) 사이에 단방향(y)으로 MER 스프링(16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MER 스프링(160)은 일단부가 가이드봉(161)에 의해 상기 중간 지지체(130)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지지체(163)에 의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의 둘레부에 지지되는데, 상기 MER 스프링(160)의 타단부 지지를 위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의 둘레부에 지지편(111)이 추가된다.
이같은 제2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상부구조물의 단방향(y) 이동으로 인해 상부 플레이트(110)가 이동하면 상기 MER 스프링(160)의 탄성체(162)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와 중간 지지체(130) 사이에서 압축변형되면서 단방향(y) 수평하중을 완충하게 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 비해 지진에 대한 대처능력이 강화된다.
[제3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와 중간 지지체(130) 사이에 단방향(y)은 물론 장방향(x)으로도 MER 스프링(16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제3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상부구조물의 단방향(y)뿐만 아니라 장방향(x)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상기 MER 스프링(160)에 의해 각 방향의 수평하중을 완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3실시예에 비해 지진에 대한 대처능력이 보다 강화된다.
[제4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는 하부 플레이트(120)에 장방향(x)으로 발생하는 수평하중을 흡수하는 LUD(170 Lock Up device)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LUD(170)는 실린더 몸체와, 실린더 몸체의 양단으로 돌출된 실린더 로드를 포함하는 보통의 유압 실린더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하지만 실린더 몸체에 충전된 내부 충전물(filling fluid)이 충격 하중에 의해 성상이 변화(유체에서 탄성고체로)하는 실리콘 퍼티(silicone putty)로 구비되기 때문에, 상부구조물의 온도변화, 건조수축 및 크리프에 의한 저속의 변위에 대해서는 작은 반력의 발생으로 수용하고, 지진 등의 급격한 충격하중이 작용하면(110a) 순간적으로 잠기게 되어 변위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제5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는 상부 플레이트(110)에 장방향(x)의 수평하중을 흡수하는 LUD(170 Lock Up device)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제5실시예에의 경우에도 전술된 제4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제6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는 중간 지지체(130)의 하부(130a)가 구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120)의 상면(131)에는 상기 중간 지지체(130)의 하부(130a)에 대응하여 진자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형으로 요입된 안착홈(12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제6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상부구조물이 기울어지는 경우 발생하는 상부 플레이트(110)의 상하방향 회전에 대하여도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제7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는 상기 중간 지지체(130)와 하부 플레이트(120) 사이에 설치되어 수직하중을 지지하면서 하부 플레이트(120)에 대한 상부 플레이트(110)의 상하방향 회전을 수용하는 포트형 탄성체(1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제7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포트형 탄성체(180)가 가해지는 수직하중에 대해서도 완충이 가능한 것은 물론 상부구조물이 기울어지는 경우 발생하는 상부 플레이트(110)의 상하방향 회전에 대하여도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제8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는 상기 중간 지지체(190)가 고무와 양단부가 상부를 향하는 아크형태의 철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제8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수평하중은 물론, 상부구조물이 기울어지는 경우 발생하는 상부 플레이트(110)의 상하방향 회전에 대하여도 수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제9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9실시예의 경우 제1실시예의 형태를 상하방향으로 뒤집어 놓은 형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도면에 사용된 도면부호는 제1실시예의 도면부호를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이에 따른 구조물 지지장치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부 플레이트(120)에 반원통형의 미끄럼판(150)이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하부 플레이트(120)에 반원통형의 미끄럼판(150)이 구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장치의 경우, 상기 중간 지지체(130)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120)와 하부 플레이트(11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110)와 접촉하는 하면(135)은 마찰을 감소시키는 마찰재(135)를 구비하여, 수직하중을 지지하면서 상기 상부구조물의 이동시 상기 하부 플레이트(110)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중간 지지체(130)와 접촉하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110)의 상면(110a)은 단방향(y)으로 구배진 원통형의 내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이같은 제9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상부구조물의 장방향(x) 이동시에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110)에 대한 상기 중간 지지체(130) 및 상부 플레이트(120)의 진자운동 없는 슬라이딩 수평이동을 유도하여 과도한 이동량을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상부구조물의 단방향(y) 이동시에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110)에 대한 중간 지지체(130) 및 상부 플레이트(120)의 진자운동을 유도하게 되어 지진 등에 안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상부 플레이트 120 : 하부 플레이트
130 : 중간 지지체 135 : 마찰재
140 : 디스크 150 : 미끄럼판
160 : MER 스프링 170 : LUD
180 : 고무패드 190 : 패드 베어링

Claims (10)

  1.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결합되는 상부 플레이트와;
    교량의 하부구조물에 결합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상면에는 마찰을 감소시키는 마찰재를 구비하여 수직하중을 지지하면서 상기 상부구조물의 이동시 상부 플레이트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중간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 지지체와 접촉하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은 단방향으로 구배진 반원통형의 내곡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구조물의 장방향 이동시에는 상기 중간 지지체에 대한 상기 상판의 진자운동 없는 슬라이딩 수평이동을 유도하고, 상기 상부구조물의 단방향 이동시에는 상기 중간 지지체에 대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진자운동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재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를 소재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원통형 내곡면에는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의 미끄럼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중간 지지체 사이에는 장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장방향 이동시 압축변형되면서 장방향 수평하중을 완충해주는 장방향 MER 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중간 지지체 사이에는 단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단방향 이동시 압축변형되면서 단방향 수평하중을 완충해주는 단방향 MER 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장방향의 수평하중을 흡수하는 LUD(Lock Up device)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지지체의 하부는 구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중간 지지체의 하부에 대응하여 진자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요입된 구형의 안착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지지체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수직하중을 지지하면서 하부 플레이트에 대한 상부 플레이트의 회전을 수용하는 디스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지지체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수직하중을 지지하면서 상부구조물이 기울어지는 경우 하부 플레이트에 대한 상부 플레이트의 상하방향 회전을 수용하는 고무패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지지체는 패드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10.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결합되는 상부 플레이트와;
    교량의 하부구조물에 결합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하면은 마찰을 감소시키는 마찰재를 구비하여, 수직하중을 지지하면서 상기 상부구조물의 이동시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는 중간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 지지체와 접촉하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은 단방향으로 구배진 원통형의 내곡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구조물의 장방향 이동시에는 상기 하판에 대한 상기 중간 지지체 및 상부 플레이트의 진자운동 없는 슬라이딩 수평이동을 유도하고, 상기 상부구조물의 단방향 이동시에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대한 중간 지지체 및 상부 플레이트의 진자운동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KR1020110070554A 2011-07-15 2011-07-15 반원통형 미끄럼판을 구비한 구조물 지지장치 KR101317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554A KR101317467B1 (ko) 2011-07-15 2011-07-15 반원통형 미끄럼판을 구비한 구조물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554A KR101317467B1 (ko) 2011-07-15 2011-07-15 반원통형 미끄럼판을 구비한 구조물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436A true KR20130009436A (ko) 2013-01-23
KR101317467B1 KR101317467B1 (ko) 2013-10-11

Family

ID=47839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554A KR101317467B1 (ko) 2011-07-15 2011-07-15 반원통형 미끄럼판을 구비한 구조물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746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7394A (zh) * 2013-03-09 2013-06-12 北京工业大学 抗拔双向滑动摩擦支座
KR200473622Y1 (ko) * 2013-08-28 2014-07-21 삼영엠텍(주) 지압판이 구비된 마찰진자 받침
CN107653774A (zh) * 2017-10-12 2018-02-02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跨座式轨道梁支座的抗拉拔结构
USD824889S1 (en) 2016-12-21 2018-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and for television
KR102158342B1 (ko) * 2019-12-05 2020-09-21 포인텍이앤씨(주) 회전성능이 향상된 면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6423B2 (ja) * 1998-10-26 2007-09-19 株式会社奥村組 振動抑制装置
JP3945344B2 (ja) * 2002-07-17 2007-07-18 株式会社金澤製作所 免震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7394A (zh) * 2013-03-09 2013-06-12 北京工业大学 抗拔双向滑动摩擦支座
KR200473622Y1 (ko) * 2013-08-28 2014-07-21 삼영엠텍(주) 지압판이 구비된 마찰진자 받침
USD824889S1 (en) 2016-12-21 2018-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and for television
CN107653774A (zh) * 2017-10-12 2018-02-02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跨座式轨道梁支座的抗拉拔结构
KR102158342B1 (ko) * 2019-12-05 2020-09-21 포인텍이앤씨(주) 회전성능이 향상된 면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7467B1 (ko) 2013-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467B1 (ko) 반원통형 미끄럼판을 구비한 구조물 지지장치
US9829063B2 (en) Seismic isolator utilizing wedge
KR100757749B1 (ko) 구조물 면진장치
CN204510510U (zh) 多维减隔震支座
ITMI20110257A1 (it) Supporto anti-sismico.
RU2391594C1 (ru) Сейсмозащитная опора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а
CN106968499B (zh) 一种附带竖向减震功能的水平向负刚度装置
CN104563322A (zh) 多维减隔震支座
CN105297903A (zh) 一种大震与小震刚度切换减震球型支座及其减震方法
CN207121815U (zh) 一种公路桥梁减震支座
KR20030034850A (ko) 이중완충구조를 갖는 교좌장치
CN205088814U (zh) 一种建筑工程用防震缓冲钢铸件
JP2010265927A (ja) 構造物用の滑り支承
CN106381934B (zh) 三维隔震支座
CN204530453U (zh) 用于桥梁施工的隔震减震装置
KR20150047754A (ko) 스프링 및 고무 댐퍼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마찰형 지진 격리받침
Girish et al. Sliding isolation systems: state-of-the-art review
KR101351069B1 (ko) 완충구조를 갖는 감쇠용 교좌장치
CN204530419U (zh) 防震减震式桥梁结构
CN105421228A (zh) 一种桥梁伸缩缝装置
CN206256370U (zh) 一种等刚臂速度锁定减隔震支座
KR101291809B1 (ko) 교량용 면진장치
KR101512122B1 (ko) 진자형 마찰 댐퍼
JPH02107843A (ja) 三次元免震装置
KR101835811B1 (ko) 지진격리받침의 성능시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