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9088A - Uicc 내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uicc로의 접속 프로파일 등록방법, 그를 이용한 접속 프로파일 획득방법 및 p2p 전송방법과, 단말장치 - Google Patents

Uicc 내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uicc로의 접속 프로파일 등록방법, 그를 이용한 접속 프로파일 획득방법 및 p2p 전송방법과, 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9088A
KR20130009088A KR1020110069927A KR20110069927A KR20130009088A KR 20130009088 A KR20130009088 A KR 20130009088A KR 1020110069927 A KR1020110069927 A KR 1020110069927A KR 20110069927 A KR20110069927 A KR 20110069927A KR 20130009088 A KR20130009088 A KR 20130009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icc
terminal
bluetooth
inform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9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1452B1 (ko
Inventor
김경태
이진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069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1452B1/ko
Publication of KR20130009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0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user and terminal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Abstract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비접촉 프론트 엔드 인터페이스(CLF Interface; CLFI) 또는 CLFI 프로토콜(CLFI Protocol; CLFIP)이 단말(Terminal)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P2P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UICC 내의 블루투스 또는 Wi-FI 페어링 정보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UICC와 UICC 내부 애플리케이션, 단말(터미널)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 단말 장치에서, UICC가 P2P 페어링을 위한 로컬 터미널의 접속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터미널 애플리케이션 또는 원격 터미널으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UICC 내부 애플리케이션이 접속 프로파일을 상기 터미널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UICC 내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UICC로의 접속 프로파일 등록방법, 그를 이용한 접속 프로파일 획득방법 및 P2P 전송방법과, 단말장치 {Access Profile Registration/Acquiction Method using UICC Application, Peer-to-Peer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Terminal therefor}
UICC 내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UICC로의 접속 프로파일 등록방법, 그를 이용한 접속 프로파일 획득방법 및 P2P 전송방법과,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근거리 무선통신의 한 방식으로서 NFC가 논의되고 있는 바, NFC 통신은 NFC 모듈을 장착한 단말(이하, NFC 단말이라 함) 사이에서 13.56MHz 주파수 대역(14kHz의 대역폭)을 이용해 최대 10센티미터 이하의 근접 거리에서 최대 424Kbps 전송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술이다.
NFC통신은 크게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Card Emulation Mode), P2P 모드, 리더/라이터(Reader/Writer) 모드의 3가지 모드로 동작하도록 정의된다.
이러한 NFC 기술은 단일 기기 내부에서 스마트 카드와 리더 사이의 통신을 제공하는 ISO/IEC 14443 접근 카드 표준의 확장형 기술로서, NFC 통신은 상대적으로 짧은 셋업 타임(0.1초 이내)을 가지고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통신 가능한 거리가 10센티미터 내외로 짧을 뿐 아니라 블루투스나 기타 다른 근거리 통신에 비하여 전송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GSM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카드로 사용되는 UICC는 모든 종류의 개인 정보의 통합 및 보안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통상 수백 KByte 이상의 용량을 가진다.
또한, UICC는 GSM 네트워크에서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UMTS 네트워크에서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그 외에도 GSM 및 UMTS 네트워크 모두에 접속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주소록(Phonebook)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저장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현재 논의중인 표준사양에서는 이러한 UICC의 비접촉식 사용 형태(Use Case of Contactless UICC Service)로서, 티켓(Ticket) 애플리케이션, 지불(Payment) 애플리케이션, 건강관리(Health care) 애플리케이션, , 디지털 권리(Digital Right) 애플리케이션, 물류(Retail) 애플리케이션 등이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UICC가 점점 대용량화 되어 대용량 USIM 또는 대용량 UICC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기존의 주소록(Phonebook)과 같은 정보 이외에 다수의 애플리케이션 정보나 기타 멀티미디어 정보 등의 저장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UICC에 저장된 대용량 데이터를 NFC 단말 사이에 송수신할 필요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명세서는 NFC 기술의 장점인 단말 사이의 짧은 셋업타임 및 세션(Session) 연결과 함께,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의 데이터 전송 기술을 결합하여 향상된 성능의 UICC 사용 형태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UICC를 포함하는 단말장치가 상기 UICC에 저장된 파일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또는 WiFi에 의한 P2P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UICC에 단말의 블루투스/WiFi 접속 정보를 저장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UICC에 저장된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 정보 또는 WiFi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하여, 2대의 NFC 단말 사이에 P2P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NFC 모드 실행시 원스텝(One Step)으로 상대 단말장치의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 정보 또는 WiFi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하고, 그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어드레스 북 정보와 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P2P 전송하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단말(Terminal) 애플레케이션 또는 원격 터미널에서 요청이 있는 경우UICC 내의 애플리케이션(예를 들면, 카드 애플리케이션 툴키트(Card Application Toolkit; 이하 'CAT'라 함))이 블루투스 프로파일 또는 Wi-Fi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UICC CAT을 이용하여UICC에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 정보 또는 WiFi 어드레스 정보를 등록하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CAT(Card Application Toolkit) 기술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 정보 또는 WiFi 어드레스 정보를 UICC에 저장 또는 등록하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P2P 전송을 위하여 상대방 NFC 모듈로부터의 요청이 있는 경우 UICC의 CAT을 이용하여 UICC에 저장된 블루투스 접속 정보 또는 Wi-Fi 접속 정보를 획득한 후 상대방 NFC 모듈로 전송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는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비접촉 프론트 엔드 인터페이스(CLF Interface; CLFI) 또는 CLFI 프로토콜(CLFI Protocol; CLFIP)이 상기 UICC에 저장된 파일과 WiFi 또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P2P(Peer-to-Peer) 모드 통신을 지원하되, 상기 UICC는 블루투스의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 정보 또는 WiFi 의 MAC 어드레스 정보를 저장하기 위하여 UICC CAT을 이용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블루투스 모듈 또는 WiFi 모듈과, 상기 블루투스의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 정보 또는 WiFi 의 MAC 어드레스 정보를 저장하는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를 포함하며, 상기 UICC는 블루투스의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 정보 또는 WiFi 의 MAC 어드레스 정보를 저장하기 위하여 UICC CAT을 이용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블루투스 모듈 또는 WiFi 모듈과,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MAC 정보 등록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장치의 터미널 호스트는 부팅 상태에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 또는 Wi-Fi(WLAN) 모듈로부터 각각의 MAC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UICC CAT의 특정 명령어를 이용하여 MAC 어드레스 정보를 UICC 파일 시스템에 저장 또는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AC 정보 등록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블루투스 모듈 또는 WiFi 모듈과,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과, UICC CAT을 이용하여 상기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 정보 또는 WiFi 어드레스 정보를 저장하는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MAC 정보 획득방법으로서, 송신측 단말의 NFC 모듈이 수신측 단말의 NFC 모듈로 MAC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수신측 NFC 모듈이 수신측 UICC CAT에게 상기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와, UICC CAT이 UICC의 파일 시스템에 저장된 수신측 단말의 MAC 정보를 획득하여 수신측 NFC 모듈로 응답하는 단계와, 수신측 NFC 모듈이 상기 MAC 정보를 송신측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AC 정보 획득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블루투스 모듈 또는 WiFi 모듈과,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과, P2P 전송용 정보와, UICC CAT을 이용하여 상기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 정보 또는 WiFi 어드레스 정보를 저장하는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P2P 전송 방법으로서, 송신측 단말의 NFC 모듈이 수신측 NFC 모듈로 MAC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수신측 단말의 UICC CAT이 UICC 파일 시스템으로부터 추출하여 전송한 수신측 단말의 MAC 정보를 수신측 단말의 NFC 모듈을 통해서 수신하는 단계와, 송신측 단말의 블루투스 모듈 또는 WiFi 모듈이 상기 획득한 수신측 단말의 MAC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측 단말과 소켓(Socket)을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측 단말이 블루투스 또는 WiFi 통신을 통하여 상기 P2P 전송용 정보를 상기 수신측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2P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단말의 내부 구성을 계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UICC 관련 구성요소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UICC의 파일 구조(UICC Application Structure), 즉 도 2의 UICC 파일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MAC 정보를 UICC에 저장 또는 등록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UICC CAT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MAC 정보를 UICC에 저장하는 과정의 신호 흐름을 예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루투스(또는 Wi-Fi) MAC 정보의 UICC 등록 이후 블루투스 페어링 또는 Wi-Fi 페어링을 통한 P2P 통신의 전체 흐름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흐름 중에서 송신측 단말이 수신측 단말의 블루투스 또느 Wi-Fi MAC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 대한 세부 흐름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일 예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무선 통신을 관할하는 시스템과 상기 시스템과 데이터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기기에서 수행되는 모든 작업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최근 UICC 메모리 크기가 Kbyte에서 Mbyte단위로 아주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현재 UICC의 용도를 새로운 서비스까지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고 있다.
차세대 서비스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에 기반을 두며,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저장과 같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UICC에 저장하는 것을 기본 특징으로 구비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UICC 또는 스마트 카드 사이에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과 관련이 있을 것이며, 이를 위하여 서비스 이용시 타임 레이턴시(Time Latency)를 피할 수 있는 빠른 데이터 접속 기술과 함께 단말 내외부에 있는 원격 서비스와의 연결특성(Connectivity)이 요구될 것이다.
그러나, 현재 논의되고 있는 바에 따르면, 이러한 경향이 반영되고 있지 않으며, 이러한 서비스의 진화에 따라서 UICC-단말 인터페이스와 프로토콜 스택 등이 수정될 필요가 있다. 물론, 이러한 수정은 과거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가져야 할 것이다.
UICC의 진화된 서비스의 일예로서,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기능을 고려할 수 있는 바, UICC는 암호화/복호화된 MMS, MP3 파일, 비디오 클립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들을 저장할 수 있는 바, 이러한 파일 들을 단말 사이에 P2P 방식으로 빠르게 전송할 필요가 있다.
한편, 단말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하나의 방식으로서 NFC 통신이 제안되어 있는 바, 이하에서는 이러한 NFC 기술에 의한 P2P 데이터 전송은 상대적으로 짧은 셋업 타임(0.1초 이내)을 가지고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통신 가능한 거리가 10센티미터 내외로 짧을 뿐 아니라 블루투스나 기타 다른 근거리 통신에 비하여 전송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참고로, NFC에 의한 데이터 전송속도는 최대 484 Kbps인 반면, 블루투스는 10미터 거리에서 최대 2.1Mbps까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UICC를 이용한 고용량 컨텐츠 전송을 위해서, UICC를 포함하는 단말의 비접촉 프론트 엔드(ContactLess Front-end; 이하 "CLF"라 함)의 인터페이스(CLF Interface; 이하 'CLFI'라 함) 또는 CLFI 프로토콜(CLFI Protocol; 이하 'CLFIP'라 함)이, 단말(Terminal)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P2P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UICC 내의 블루투스 또는 Wi-FI 페어링 정보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UICC를 포함하는 단말의 비접촉 프론트 엔드(ContactLess Front-end; 이하 "CLF"라 함)의 인터페이스(CLF Interface; 이하 'CLFI'라 함) 또는 CLFI 프로토콜(CLFI Protocol; 이하 'CLFIP'라 함)이 UICC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단말로 하여금 USIM 파일과 WiFi 또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P2P(Peer-to-Peer) 모드 통신을 지원하되, 상기 UICC는 블루투스의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 정보 또는 WiFi 의 MAC 어드레스 정보를 저장하기 위하여 UICC CAT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USIM 파일은 상기 UICC에 저장되는 특정 용도의 파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 정보 또는 WiFi 어드레스 정보를 저장하는 기본 파일(Elementary File)일 수 있다.
이를 위한 세부 구성은 아래 도 1 이하를 참고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CLF는 단말 내의 회로로서 비접촉 통신의 아날로그 부분을 처리하고, 비접촉 프로토콜의 일부 레이어를 처리할 수 있으며, 단말과 UICC 사이의 데이터 처리를 담당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또한, CLFI는 UICC와 CLF 사이의 물리계층 인터페이스(Physical Interface)를 의미하며, CLFIP는 CLFI를 통한 UICC와 CLF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 논의되고 있는 UICC의 비접촉식 사용 형태(Use Case of Contactless UICC Service)로서, 티켓(Ticket) 애플리케이션, 지불(Payment) 애플리케이션, 건강관리(Health care) 애플리케이션, , 디지털 권리(Digital Right) 애플리케이션, 물류(Retail) 애플리케이션 등을 위하여 정의된 요구 사항(Requirement) 들은 아래 표 1과 같다.
현재의 UICC의 비접촉 서비스 중 P2P 모드의 요구 사항
Identifier Requirements
REQ-11-15-10-1 Support of P2P mode shall be based on the HCI protocol as defined in TS 102 622 [19].
REQ-11-15-10-2 The CLFIP shall provide a means for the system consisting of the UICC and the terminal to support multiple active (i.e. exchanging data) applications in a host when operating in P2P mode.
REQ-11-15-10-3 The means provided by the CLFIP to support the P2P mode shall be identical irrespective of which device initiates the communication (e.g. terminal is generating the RF field or receiving the RF field).
REQ-11-15-10-4 The CLFIP shall provide a means allowing P2P mode to be used by the UICC in the "not battery powered" mode.
……
REQ-11-15-10-18 The CLFIP shall provide a means allowing an application in a host to initiate one or more P2P channels to the peer device.
이러한 현재까지 정의된 요구사항 또는 P2P 모드 요구사항으로는 UICC 상에서의 대용량 데이터의 전송 또는 교환을 위한 환경까지 커버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신속한 세션 개시 및 가능한 한 빠른 데이터 전송 모두를 만족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 블루투스와 같은 더 빠른 단거리(Short-Range)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P2P 모드를 제안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신속한 세션 구성(session making)과 빠른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UICC의 비접촉 서비스의 P2P 모드 요구사항으로서, 단말(Terminal)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P2P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UICC 내의 블루투스 또는 Wi-FI 페어링 정보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도록 정의할 필요가 있다.
즉, P2P 모드상에서 고성능(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컨텐츠) 컨텐츠를 전송 또는 교환하기 위해서는 용이한 사용자 시나리오와 빠른 전송 속도가 필요하다.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블루투스나 Wi-Fi(WLAN)과 같은 빠른 무선 통신이 필요하며, 빠른 블루투스 페어링이 필수적이다. UICC는 P2P 애플리케이션이 장치 사이에서 이러한 신속한 P2P 페어링을 가능하게 해 주는 좋은 수단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비접촉 인터페이스를 통해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UICC와 UICC 내부 애플리케이션, 단말(터미널)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 단말 장치에서, UICC가 P2P 페어링을 위한 로컬 터미널의 접속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터미널 애플리케이션 또는 원격 터미널으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UICC 내부 애플리케이션이 접속 프로파일을 상기 터미널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UICC 또는 UICC 내부 애플리케이션에 저장되는 접속 프로파일 정보는 OTA(Over-The Air)를 경유하여 터미널에 의해 갱신될 수 있다.
여기서 접속 프로파일은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프로파일 또는 Wi-Fi 포르파일이 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P2P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모든 무선통신의 접속 프로파일이 될 수 있다.
또한, UICC 내부 애플리케이션은 UICC CAT(Card Application Toolkit)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P2P 모드 상에 큰 용량의 컨텐트를 신속하게 전송하거나 교환할 수 있으며, 최초 세션 단계에서 비접촉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은 요구사항은 예를 들면 비접촉에 의한 멀티미디어 어드레스 북 공유(multimedia address book sharing by contactless)와 같은 표현으로 정의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USIM 또는 UICC 파일과 블루투스 또는 WiFi 를 함께 이용하는 P2P 모드의 비접촉 서비스를 의미하는 한 다른 표현으로 정의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실시예를 비접촉에 의한 멀티미디어 어드레스 북 공유(multimedia address book sharing by contactless)로 대표하여 설명한다.
비접촉에 의한 멀티미디어 어드레스 북 공유(multimedia address book sharing by contactless)의 시스템 형태(Aspect)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멀티미디어 어드레스 북은 큰 저장 용량을 가질 뿐 아니라 보안 접근 메커니즘(Secure Access Mechanism)이 필요하다. UICC는 그 속성상 사용자의 멀티미디어 어드레스 북을 저장할 수 있는 이상적이고 적당한 환경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는 자신의 멀티미디어 어드레스 북을 다른 사용자 또는 단말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전송할 필요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UICC의 비접촉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세션을 설정하고, 블루투스 또는 WiFi와 같은 빠른 전송 매체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어드레스 북의 컨텐츠를 전송 또는 교환함으로써 상기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UICC 또는 USIM의 역할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UICC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을 가지는 카드로서의 의미이고 USIM은 그 중에서 통신의 가입자 인증(Subscriber Identity)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UICC와 USIM은 동등한 개념으로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UICC 또는 USIM의 역할로는, UICC가 고유한 블루투스 또는 WiFi 매체 접근 제어(MAC) 어드레스를 저장하고 있어야 하며, 리더로부터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어드레스 북의 저장 공간을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NFC 모듈의 리더 에뮬레이션 모드(Reader Emulation Mode)에서 UICC는 다른 UICC 또는 단말로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어드레스 북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USIM 파일 및 WiFi/블루투스를 이용한 P2P 통신의 요구 사항은 예를 들면, 아래 표 2와 같이 정의될 수 있을 것이지만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의 요구 사항 예시
Identifier Requirement
REQ-11-15-10-X The CLFIP shall provide a means allowing an application in a terminal to access Bluetooth paring information in UICC for supporing P2P mode.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UICC를 이용한 고용량 컨텐츠 전송을 위해서, UICC를 포함하는 단말의 CLFIP가, 단말(Terminal)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P2P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UICC 내의 블루투스 또는 Wi-FI 페어링 정보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의한 UICC 내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접속 프로파일 등록 및 획득, 및 WiFi 또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P2P 통신의 세부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접속 프로파일의 일 예로서 블루투스 프로파일, 더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 정보를 대표하여 설명하지만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Wi-Fi 프로파일 등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아래에서 UICC 내부 애플리케이션의 일 예로서 ETSI TS 102 223으로 정의된 UICC CAT(Card Application Toolkit)로 설명하지만,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P2P 통신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서 각 단말 호스트(Terminal host)는 블루투스 모듈 또는 Wi-Fi(WLAN) 모듈로부터 각각의 MAC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한 후, UICC CAT의 특정 명령어를 이용하여 MAC 어드레스 정보를 UICC 파일 시스템에 저장 또는 등록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UICC CAT 기술은 ETSI TS 102 223 표준에 개시된 바와 같을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히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 정보 및 Wi-Fi MAC 어드레스 정보를 UICC 파일 시스템에 등록하거나 그로부터 추출할 때 사용되는 UICC CAT 명령어는 TERMINAL RESPONSE, DECLARE SERVICE, GET SERVICE INFORMATION 등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 정보 및 Wi-Fi MAC 어드레스 정보를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프로세스 또는 UICC 데이터 공간은 CAT 상의 서비스 리코드(Service Record) 프로세스 및 그 영역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UICC CAT에서 규정하는 서비스 레코드는 관련된 기술에 종속된 각각 다른 포맷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오브젝트(Object)는 터미널에서 UICC쪽으로 또는 UICC에서 터미널 쪽의 양 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레코드 오브젝트는 CAT 애플리케이션이 지원 가능한 서비스를 선언(Declare)할 때 사용하는 DECLARE SERVICE 명령어나, CAT 애플리케이션이 서비스를 검색할 때 사용하는 GET SERVICE INFORMATION 명령어를 이용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서비스 레코드는 아래 표 3과 같은 데이터 형식을 가질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로컬 베어러 기술 식별자(Local Bearer Technology Identifier)는 '01'인 경우 블루투스인 것으로 코딩 될 수 있으며, 미래를 위한 예비 자원인 '05' 내지 'FF' 중 하나의 자원이 Wi-Fi(WLAN)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CAT 기술은 ETSI TS 102 223 및 그의 향후 버전에 규정된 사양과 같이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CAT는 카드 애플리케이션 툴키트(Card Application Toolkit)의 약어로서, ICC(Integrated Circuit Card)에 의하여 사용되도록 정의되는 포괄적인 명령어 또는 프로시저(Procedure) 들의 집합을 의미하며, ETSI의 TS 102 223 등의 표준에서 정의되어 있다.
이러한 CAT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접속기술과 무관하거나 그와 별도로 정의되는 것으로서, UICC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임의의 ICC일 수 있다.
이 때,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네트워크 접속 애플리케이션(Network Access Application; NAA)라 정의할 수 있으며, 이러한 NAA는 3G 플랫폼에서만 사용되는 USIM 애플리케이션, TSIM 애플리케이션, ISIM 애플리케이션 등을 의미할 수도 있고, 3G 또는 2G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SIM을 의미할 수도 있으며, 기타 RUIM, 제조업자와 오퍼레이터와 독립적으로 터미널(Terminal) 및 ICC 사이의 연관동작을 보장할 수 있는 특정한 인터페이스인 모든 애플리케이션 일 수 있다.
이러한 CAT는 명령어,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각 프로시저에서의 터미널과 ICC 상의 필수 사양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신측 단말의 MAC 정보 획득방법은, 송신측 단말의 NFC 모듈이 수신측 단말의 NFC 모듈로 MAC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수신측 NFC 모듈이 수신측 UICC CAT에게 상기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와, UICC CAT이 UICC의 파일 시스템에 저장된 수신측 단말의 MAC 정보를 획득하여 수신측 NFC 모듈로 응답하는 단계와, 수신측 NFC 모듈이 상기 MAC 정보를 송신측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송신측 단말의 NFC 모듈이 수신측 NFC 모듈로 MAC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수신측 단말의 UICC CAT이 UICC 파일 시스템으로부터 추출하여 전송한 수신측 단말의 MAC 정보를 수신측 단말의 NFC 모듈을 통해서 수신하는 단계와, 송신측 단말의 블루투스 모듈 또는 WiFi 모듈이 상기 획득한 수신측 단말의 MAC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측 단말과 소켓(Socket)을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측 단말이 블루투스 또는 WiFi 통신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를 상기 수신측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송신측 단말은 상기 MAC 어드레스 요청 이전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화면(UI)을 구동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과, 전송할 대용량 데이터를 선택하는 과정 및 수신측 단말을 지정하는 과정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송신측 단말 및 수신측 단말이 모두 NFC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 NFC 단말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송신측 장치는 NFC 리더 모드(NFC Reader Mode)로 동작하고, 수신측 단말은 아이들(Idle) 상태이므로 NFC 카드 모드(NFC Card Mode)일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설명은 송신측 단말 및 수신측 단말 양자가 수행하는 과정을 전체적으로 기재하였으나, 송신측 단말 또는 수신측 단말의 개별적인 수행 과정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단말의 내부 구성을 계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단말은 NFC 지원이 가능한 단말로서, UICC 모듈(110)과, CLF로서의 NFC 모듈(120)과, 블루투스(BT) 모듈(130), Wi-Fi 모듈(140)을 포함하며,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150)와, 그 상위단에 각 모듈들의 구동부(160; UICC 드라이버, NFC 드라이버, BT 드라이버, Wi-Fi 드라이버)와, 그 상위의 핸드셋 부팅 및 제어 소프트웨어(170; OEM)와, 각 모듈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80) 및 상위 응용 프로그램(19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모듈과 모듈 구동부 사이에는 UICC-단말 프로토콜, NFC-단말 프로토콜, BT-단말 프로토콜, WiFi-단말 프로토콜 등이 정의되어 있으며, NFC 모듈과 단말(Terminal) 또는 UICC 모듈 사이에 정의된 HCI(Host Controller Interface) 또는 SWP(Single Wire Protocol) 등이 그 일 예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송신측 단말 및 수신측 단말 모두가 NFC 단말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UICC 또는 USIM에는 본 실시예에 의하여 P2P 전송할 대용량 데이터(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어드레스 북 등)가 저장되어 있으며, 송신측 NFC 모듈은 NFC 리더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UICC 또는 USIM에는 단말의 MAC 어드레스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파일 구조(File Structure) 또는 파일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MAC 어드레스는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 또는 WiFi MAC 어드레스로 구분되어 UICC 파일 형식 중에서 기본 파일(Elementary File; EF)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 또는 WiFi MAC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기본 파일을 각각 EF_BT_MacAddress 및 EF_WiFi_MacAddress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본 파일인 EF_BT_MacAddress 및 EF_WiFi_MacAddress은 소정의 전용 파일(Dedicated File; DF) 하부에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EF_BT_MacAddress 및 EF_WiFi_MacAddress를 위한 UICC의 파일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MAC 접속 정보인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 또는 WiFi MAC 어드레스를 UICC에 저장하기 위하여 UICC CAT 기술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2 이하를 참고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UICC 관련 구성요소의 내부 구조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UICC는 핸드셋 부팅 및 제어 소프트웨어인 OEM S/W(210)와 UICC(220) 사이를 연결하는 UICC-터미널 인터페이스(ETSI TS 221)이 정의되어 있고 UICC(220)는 내부에 여러 기능별 애플릿(Applet)을 보유하고 있다.
UICC가 보유한 애플릿은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GSM 애플릿(221), 본 발명에 의한 CAT를 포함하는 툴키트 애플릿(222), 로딩을 위한 로더 애플릿(Loader Applet; 223) 및 기타 애플릿(224)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UICC는 SIM 툴킷 프레임워크(SIM Toolkit Framework; 230)을 포함하며, SIM 툴킷 프레임워크는 그 내부에 툴킷 레지스트리(231), 툴킷 핸들러(232), 파일 시스템(233) 등을 포함하며, 상기 파일 시스템 내부에 전술한 바와 같은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 정보 또는 Wi-Fi MAC 어드레스 정보가 저장된다.
도 2와 같은 구성을 기능별로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의 UICC를 이용하여, UICC는 단말과 단말 부팅 과정 중에 UICC 상에 존재하는 애플리케이션인 CAT를 통하여 단말(터미널호스트)와의 사이에서 UICC의 가입자 정보 (폰번호, IMSI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UICC는 단말이 요청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애플릿이 존재한다.
UICC에는 각 애플릿에 사용되는 정보를 SIM 툴킷 프레임워크에서 관리하는 파일 시스템에서 관리하며, 해당 구조는 ETSI TS 102.223의 표준 형태를 따를 수 있다.
또한, WI-FI 및 블루투스 페어링(Bluetooth paring)를 위한 정보, 즉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 정보 또는 Wi-Fi MAC 어드레스 정보를 위에서 명시한 파일 시스템에 저장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UICC의 파일 구조(UICC Application Structure), 즉 도 2의 UICC 파일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과 같이 본 실시예의 UICC 또는 USIM에 저장되는 파일 형태는 크게 마스터 파일(Master File; MF), 전용 파일(Dedicated File; DF) 및 기본 파일(Elementary File; EF)로 구분될 수 있다.
MF는 접근 조건(Access Condition)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DF들과 EF들을 포함할 수 있는 고유한 필수 파일(Mandatory File)을 의미한다.
DF는 파일의 기능적 그룹핑(Grouping)을 가능하게 하는 파일로서, DF들 및/또는 EF 들의 모파일(parent)이 될 수 있으며, 파일 식별자(File Identifier; )로 참조될 수 있다.
일부 파일 식별자는 특정 사용을 위하여 예약(Reservation)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DF 중에서 DFTELECOM은 '7F10'으로, DFGSM은 '7F2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과 같다.
이 중에서 DFTELECOM은 선택적으로 사용(Optional)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독립 정보(Application Independent Information)을 포함한다.
또한, DF 중에서 DFTELECOM인 '7F10'의 하위에 있는 DFPHONEBOOK은 '5F3A', DFMULTIMEDIA는 '5F3B', DFGRAPHIC은 '5F50'으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EFDIR은 MF 아래에 있는 선형 고정 파일(Linear Fixed File)로서, 일종의 애플리케이션 독립 파일이다.
도 3에서 각 DF의 파일 식별자도 상기와 같은 예약 자원에 따라 표시된 것이다.
이러한 파일 구조에서 본 실시예에 의한 블루투스의 MAC 어드레스 정보 및 WiFi MAC 어드레스 정보는 기본 파일인 EF_BT_MacAddress 및 EF_WiFi_MacAddress 형태로 저장되어 UICC의 파일 구조에 포함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EF_BT_MacAddress 및 EF_WiFi_MacAddress는 DFTELECOM(파일 식별자 7F10)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파일 식별자로서 '6F1X'를 가질 수 있다. EF_BT_MacAddress 및 EF_WiFi_MacAddress의 파일 식별자인 6F1X에서 'X'는 0 내지 F 중 하나의 값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한 UICC 또는 USIM의 파일 구조는 도 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NFC 세션 연결시 획득할 수 있는 블루투스의 MAC 어드레스 정보 및 WiFi MAC 어드레스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한 다른 형태도 가능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MAC 정보를 UICC에 저장 또는 등록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우선, 단말의 부팅 과정(Terminal Booting Sequence)에서 단말(터미널 호스트)이 블루투스 모듈에게 블루투스 MAC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 또는 명령어(Get "BT MAC")를 전송한다.(S410) 그러면 블루투스 모듈은 그에 대한 응답으로서 내부 인터페이스(Internal Interface)를 통해 블루투스 MAC 정보(MAC 어드레스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S420)
도 4에서 단말 또는 터미널 호스트는 H/W 드라이버, OEM, OS(Android),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 또는 터미널 호스트는 S420 단계에서 획득한 블루투스 MAC 정보를 UICC CAT으로 전달(S430)하며, 이때에는 ISO 7816에 정의되어 있는 TERMINAL RESPONSE 메시지 또는 명령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단말로부터 블루투스 MAC 정보를 전달받은 UICC CAT는 UICC 파일 시스템에 그를 저장하라는 명령을 전송(S440)하며, 이 때 Update "BT MAC" File과 같은 메시지 또는 명령을 이용할 수 있다.
UICC CAT는 블루투스 MAC 정보를 UICC 파일 시스템에 저장한 후 그 결과를 단말 또는 터미널 호스트로 응답(S450)함으로써 블루투스 MAC 정보 저장 및 등록 과정이 완료된다.
이러한 블루투스 MAC 정보 저장 및 등록 과정에서 상기 UICC CAT의 여러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이 때 사용되는 UICC CAT 기술은 ETSI TS 102 223 표준에 개시된 바와 같을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히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 정보 및 Wi-Fi MAC 어드레스 정보를 UICC 파일 시스템에 등록하거나 그로부터 추출할 때 사용되는 UICC CAT 명령어는 TERMINAL RESPONSE, DECLARE SERVICE, GET SERVICE INFORMATION 등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 정보 및 Wi-Fi MAC 어드레스 정보를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프로세스 또는 UICC 데이터 공간은 CAT 상의 서비스 리코드(Service Record) 프로세스 및 그 영역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UICC CAT에서 규정하는 서비스 레코드는 관련된 기술에 종속된 각각 다른 포맷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오브젝트(Object)는 터미널에서 UICC쪽으로 또는 UICC에서 터미널 쪽의 양 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레코드 오브젝트는 CAT 애플리케이션이 지원 가능한 서비스를 선언(Declare)할 때 사용하는 DECLARE SERVICE 명령어나, CAT 애플리케이션이 서비스를 검색할 때 사용하는 GET SERVICE INFORMATION 명령어를 이용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DECLARE SERVICE 명령어는 프로액티브(Proactive) UICC 메시지 또는 명렁어로서,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서비스를 제거하너가 서비스 데이터베이스에 특정 서비스를 부가할 것을 단말(터미널)에 요청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특히, 로컬 베어러(Local Bearer)를 통해서 사용할 수 있는 리소스의 목록을 제공 또는 요청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GET SERVICE INFORMATION 명령어는 UICC가 주어진 장치에서의 특정 서비스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참조(Look)하라고 단말에에 요청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서, 구체적으로는 특정 서비스와 관련된 완전한 서비스 레코드를 참조할 때 사용된다. 이를 통하여 UICC가 특정 서비스를 정확하게 정의(예를 들면 프로토콜 스택 등)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 정보의 등록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Wi-Fi MAC 어드레스 정보의 저장/등록을 위해서도 동일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UICC CAT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MAC 정보를 UICC에 저장하는 과정의 신호 흐름을 예시한다.
도 5와 같이, 단말은 외부 또는 NFC 모듈 등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TERMINAL RESPONSE를 UICC로 전달한다(S510). 이러한 TERMINAL RESPONSE 명령어 또는 메시지에는 SERVICE SEARCH 및 BT Service와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UICC는 SERVICE SEARCH 메시지를 단말로 전달한다(S520). 이러한 SERVICE SEARCH 메시지에는 DeviceFilter와 ServiceSearch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UICC로부터의 SERVICE SEARCH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ServiceAvailability(list of [Local BD_ADDR, Service_Handle, Device_name]) 정보를 포함하는 TERMINAL RESPONSE 응답을 UICC로 전송하게 된다(S530)
도 5에서 사용되는 각종 메시지 및 파라미터의 의미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ERVICE SEARCH 명령어는 현재의 단말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검색할 것을 단말에 요청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ServiceAvailability 파라미터는 SERVICE SEARCH 명령에 대해 성공적인 TERMINAL RESPONSE를 할 때 반드리 포함되어야 하는 데이터 오브젝트로서, 사용가능한 서비스의 목록 정보를 포함하여야 한다. 특히, 로컬 베어러 기술 식별자가 블루투스(BT)인 경우에는 6바이트의 BD_ADDR 정보와, 4바이트의 Service_Handler 또는 ServiceRecordHandler 정보와, 20바이트의 Device_nam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루투스(또는 Wi-Fi) MAC 정보의 UICC 등록 이후 블루투스 페어링 또는 Wi-Fi 페어링을 통한 P2P 통신의 전체 흐름을 도시한다.
송신측 단말과 수신측 단말이 모두 NFC 모듈 이외에 블루투스 모듈 또는 WiFi 모듈을 포함하고 있으며, 도 4 및 5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 정보 또는 WiFi MAC어드레스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UICC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우선, 송신 단말측에서는 멀티미디어 어드레스 북과 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P2P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구동하거나 P2P 전송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610).
또한, 경우에 따라서 수신단말을 확인하거나 또는 다수의 수신단말 중에서 하나를 지정하기 위하여 수신부 확인을 요청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S610 단계 및 수신부 확인 요청 과정은 송신측 단말에 설치된 자바 애플릿(Applet) 또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NFC 모듈, UICC 등이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S610 단계에 의하여, P2P 전송이 개시되면 송신측 단말의 NFC 모듈이 NFC 리더 모드로 실행되고(S620), 이어서 수신측 단말에게 MAC 어드레스 정보를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수신측 단말에 전송(S630)한다. 이 때의 MAC 어드레스는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 정보 또는 WiFi MAC어드레스 정보이다.
S620 및 S630 단계에서, 수신측 단말은 대기(Idle)상태, 즉 블루투스 또는 WiFi 페어링 과정에서의 서버측 장치로 사용되므로, NFC 카드 모드로 동작할 수 있을 것이다.
수신측 단말에게 전송하는 MAC 어드레스 요청 메시지는, 수신측 단말에서 파일 등록 과정을 통해서 UICC에 저장한EF_BT_MacAddress 및 EF_WiFi_MacAddress의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ISO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MAC 어드레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측 단말은 자신의 UICC에 저장된 EF_BT_MacAddress 및 EF_WiFi_MacAddress로부터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 정보 또는 WiFi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한 후 그를 송신측 단말로 전송한다(S640)
그 다음으로 송신측 단말은 상기 S620 내지 S640 과정, 즉 NFC 세션을 통하여 획득한 수신측 단말의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 정보 또는 WiFi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페어링 또는 WiFi 페어링 과정을 수행한다(S650)
블루투스 페어링 또는 WiFi 페어링 과정이 완료되면 송신측 단말은 블루투스 모듈 또는 WiFi 모듈을 이용하여 해당되는 대용량 데이터(멀티미디어 어드레스 북 등)를 수신측 단말로 P2P 전송한다.(S660)
한편, S650 단계에서의 블루투스 페어링(paring) 및 WiFi 페어링 과정은 이미 공지된 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바, 구체적으로는 송신측 단말이 S640 과정에서 획득한 수신측 단말의 MAC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하여 소켓 요청을 수신측 단말로 전송하고, 수신측 단말은 그에 대한 응답으로서 ACK 또는 수락(Accept)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BluetoothSocket 및 BluetoothServerSocket와 같은 API 또는 클래스(Class)를 이용할 수 있으며, BluetoothServerSocket를 이용하여 하나의 단말이 서버 소켓이 되고, 원격에 있는 다른 단말은 이 서버 소켓을 가지는 단말에 연결(connect) 요청을 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 요청시 서버 소켓을 가지는 단말의 MAC 어드레스를 이용하는데, 이러한 연결 요청을 받은 단말은 BluetoothSocket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측 단말에서 요구하는 연결을 수락(accept 또는 ACK) 함으로써 블루투스 페어링이 완료된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수신측 단말이 서버측 단말이 되어 서버 소켓을 열어두게 되고, 송신측 단말이 수신측 단말의 MAC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해 연결 요청을 하면, 수신측 단말이 그에 대한 수락(ACK)을 함으로써 페어링이 수행되는 것이다.
또한, WiFi 페어링 과정 역시 전술한 블루투스 페어링 과정과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송신측 단말(110)은 상기 MAC 어드레스 요청 이전에,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릿(Applet)을 실행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의하여 전송할 대용량 데이터를 선택하거나, 다수의 수신측 단말과 P2P 통신이 가능한 경우 그 중 하나를 지정하거나 수신 단말의 확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등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도 6의 흐름 중에서 송신측 단말이 수신측 단말의 블루투스 또느 Wi-Fi MAC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 대한 세부 흐름도이다.
도 7에서 각 신호의 상부에 있는 옅은 음영 블록은 메시지 또는 명령어를 표시하며, 하부에 있는 짙은 음영 블록은 메시지 전달을 위하여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또는 프로토콜을 표시한다.
송신측 장치의 P2P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NFC 칩(Chip)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측 NFC 칩으로 ISO 7810 API에 의한 명령어가 전송된다(S710). 이러한 명령어는 예컨데 Select/Read File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애플리케이션이 송신측 NFC 칩에게 수신측 단말의 MAC 정보 획득을 요청하는 메시지이다.
S710에서의 명령은 ISO 14443 타입 A/B의 Send APDU 를 이용하여 수신측 NFC 칩으로 전달된다(S720)
수신측 NFC 칩은 전술한 바와 같이 HCI/SWP등을 이용하여 수신측 UICC CAT에게 요청을 전달하고(S730), 요청을 수신한 UICC CAT는 해당 블루투스 MAC 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UICC 파일 시스템으로 접속한다(S740)
UICC는 HCI/SWP등을 이용하여 추출한 블루투스 MAC 정보(BT_MAC info.)를 수신측 NFC 칩으로 응답한다.(S750) 이러한 S750 단계에서는 Res APDU(BT_MAC info.)과 같은 메시지 또는 응답신호가 이용될 수 있다.
수신측 NFC 칩은 UICC로부터 전달받은 블루투스 MAC 정보를 송신측 NFC 칩으로 응답(Res APDU(BT_MAC info.))하고(S760), 송신측 NFC 칩은 해당 애플리케이션으로 블루투스 MAC 정보를 응답(S770)함으로써, P2P 애플리케이션이 수신측 단말의 블루투스 MAC 정보를 획득(Get "BT_MAC")하게 된다.
물론, 수신측 NFC 칩에서 송신측 NFC 칩으로의 응답은 요청시와 마찬가지로 ISO 14443 A/B 표준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 때의 응답 메시지는 Res APDU(BT_MAC info.)의 형식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송신측 NFC 칩에서 애플리케이션으로의 응답 역시 NFC 칩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며, 응답 신호는 Res "Call ISO 7816 API"의 형식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송신측의 애플리케이션은 수신측 단말의 블루투스 MAC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그 이후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블루투스 페어링 및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송수신측 단말 모두에서 UICC와 NFC 모듈 사이의 데이터 통신은 ETSI TS 102.613에서 규정하고 있는 SWP(Single Wire Protocol) 및 TS 102.622에서 규정하고 있는 HCI(Host Controller Interface) 방식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송수신측 단말에서는 ISO 7816 명령어(Command)를 통하여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 정보와 WiFi MAC 어드레스 정보를 UICC의 파일 구조 내부에 있는 소정의 기본 파일인 EF_BT_MacAddress 또는 EF_WiFi_MacAddress에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2대의 NFC 단말 사이에서 멀티미디어 어드레스 북과 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P2P 송수신할 때, NFC 세션 형성시에 상대 단말의 UICC에 저장된 블루투스 또는 WiFi MAC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하고, 그 이후에는 NFC의 P2P 방식이 아닌 별도의 블루투스 또는 WiFi 를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를 P2P 송수신 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NFC 표준에서는 ISO 18092 방식에 의하여 양 NFC 단말 사이에서 P2P 통신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 경우 단말 사이의 거리가 제한적(~10cm)이고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린 점(~484Kbps)과 비교할 때, 본 실시예를 이용하면 UICC와 NFC 기술(송신측의 NFC 리더 모드 및 수신측의 NFC 카드 모드)을 이용하여 상대 단말의 블루투스 또는 WiFi 접속 정보를 일괄로 획득하여 접속한 후 해당 통신 방식으로 P2P통신을 수행할 수 있어서 거리(~수십 m) 및 데이터 전송속도(>2Mbps)에서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NFC 세션에 의하여 상대 단말의 UICC에 저장되어 있는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 정보 또는 WiFi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한 후, 그 MAC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하여 블루투스/WiFi 페어링을 수행함으로써, 블루투스 또는 WiFi 방식으로 대용량 데이터를 신속하게 P2P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세션 셋업 타임이 짧은 NFC 모드에서 신속하게 원스텝으로 상대 단말의 MAC 어드레스를 획득하고, 실제 데이터의 P2P 송수신은 전송속도가 빠른 타 통신 기법(블루투스/WiFi)을 이용함으로써, 효율적인 P2P 전송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UICC CAT 을 이용함으로써 블루투스(또는 Wi-Fi) MAC 정보를 UICC의 파일 시스템에 등록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블루투스 모듈 또는 WiFi 모듈;
    블루투스 접속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 내부 애플리케이션; 및
    단말(터미널) 애플리케이션
    를 포함하며,
    상기 UICC 내부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터미널 애플리케이션 또는 외부의 원격 터미널으로부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UICC에 등록된 블루투스 접속 프로파일을 추출하여 상기 터미널 애플리케이션 또는 외부의 원격 터미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접속 정보는 블루투스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 정보이며, 상기 UICC 내부 애플리케이션은 UICC CAT(CAard Application Toolki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부팅시 상기 블루투스의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 정보 또는 WiFi 의 MAC 어드레스 정보를 기본 파일(Elementary File; EF) 형태로 상기 UICC의 파일 시스템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파일은 UICC 파일 구조상 DFTELECOM 하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FTELECOM의 파일 식별자(File Identifier)는 7F10이며, 상기 블루투스의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 정보 또는 WiFi 의 MAC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는 기본파일의 파일 식별자는 6F1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을 포함하는 NFC 지원 단말장치이고,
    상기 단말장치는 NFC 모드 실행시 P2P 전송을 위한 상대 단말장치에게 블루투스의 MAC 어드레스 정보 또는 WiFi 의 MAC 어드레스 정보를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하는 MAC 어드레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MAC 어드레스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대 단말장치의 블루투스의 MAC 어드레스 정보 또는 WiFi 의 MAC 어드레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대 단말장치의 블루투스의 MAC 어드레스 정보 또는 WiFi 의 MAC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 단말장치와 블루투스 페어링 또는 WiFi 페이링을 완료한 후 P2P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8. 블루투스 모듈 또는 WiFi 모듈과,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접속 정보 등록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장치의 터미널 호스트는 부팅 상태에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 또는 Wi-Fi(WLAN) 모듈로부터 각각의 접속 프로파일을 획득하는 단계;
    UICC 내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접속 프로파일을 UICC 파일 시스템에 저장 또는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정보 등록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UICC 내부 애플리케이션은 UICC CAT(CAard Application Toolki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정보 등록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프로파일은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 정보 또는 Wi-FI MAC 어드레스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정보 등록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UICC CAT의 특정 명령어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 정보 또는 Wi-FI MAC 어드레스 정보를 UICC에 저장하며, 상기 UICC CAT의 특정 명령어는 DECLARE SERVICE, GET SERVICE INFORMATION, TERMINAL RESPONSE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정보 등록방법.
  12. 블루투스 모듈 또는 WiFi 모듈과,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과, UICC CAT을 이용하여 상기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 정보 또는 WiFi 어드레스 정보를 저장하는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MAC 정보 획득방법으로서,
    송신측 단말의 NFC 모듈이 수신측 단말의 NFC 모듈로 MAC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수신측 NFC 모듈이 수신측 UICC CAT에게 상기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UICC CAT이 UICC의 파일 시스템에 저장된 수신측 단말의 MAC 정보를 획득하여 수신측 NFC 모듈로 응답하는 단계;
    수신측 NFC 모듈이 상기 MAC 정보를 송신측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AC 정보 획득방법.
  13. 블루투스 모듈 또는 WiFi 모듈과,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과, P2P 전송용 정보와, UICC CAT을 이용하여 상기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 정보 또는 WiFi 어드레스 정보를 저장하는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P2P 전송 방법으로서,
    송신측 단말의 NFC 모듈이 수신측 NFC 모듈로 MAC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수신측 단말의 UICC CAT이 UICC 파일 시스템으로부터 추출하여 전송한 수신측 단말의 MAC 정보를 수신측 단말의 NFC 모듈을 통해서 수신하는 단계;
    송신측 단말의 블루투스 모듈 또는 WiFi 모듈이 상기 획득한 수신측 단말의 MAC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측 단말과 소켓(Socket)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송신측 단말이 블루투스 또는 WiFi 통신을 통하여 상기 P2P 전송용 정보를 상기 수신측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2P 전송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단말은 상기 P2P 전송용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수신측 단말을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2P 전송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단말은 NFC 리더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수신측 단말은 NFC 카드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2P 전송 방법.
  16.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비접촉 프론트 엔드 인터페이스(CLF Interface; CLFI) 또는 CLFI 프로토콜(CLFI Protocol; CLFIP)이 , 단말(Terminal)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P2P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UICC 내의 블루투스 또는 Wi-FI 페어링 정보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7. 블루투스 모듈 또는 WiFi 모듈;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 내부 애플리케이션; 및
    단말(터미널) 애플리케이션
    를 포함하며,
    상기 UICC는 P2P 페어링을 위한 로컬 터미널의 접속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8. 블루투스 모듈 또는 WiFi 모듈;
    블루투스 접속 프로파일을 저장하는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 내부 애플리케이션; 및
    단말(터미널) 애플리케이션
    를 포함하며,
    상기 블루투스 접속 파일은 OTA(Over-The Air)를 경유하여 터미널에 의해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UICC는 P2P 페어링을 위한 로컬 터미널의 접속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프로파일은 블루투스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 정보이며, 상기 UICC 내부 애플리케이션은 UICC CAT(CAard Application Toolki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KR1020110069927A 2011-07-14 2011-07-14 Uicc 내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uicc로의 접속 프로파일 등록방법, 그를 이용한 접속 프로파일 획득방법 및 p2p 전송방법과, 단말장치 KR101811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927A KR101811452B1 (ko) 2011-07-14 2011-07-14 Uicc 내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uicc로의 접속 프로파일 등록방법, 그를 이용한 접속 프로파일 획득방법 및 p2p 전송방법과, 단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927A KR101811452B1 (ko) 2011-07-14 2011-07-14 Uicc 내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uicc로의 접속 프로파일 등록방법, 그를 이용한 접속 프로파일 획득방법 및 p2p 전송방법과, 단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088A true KR20130009088A (ko) 2013-01-23
KR101811452B1 KR101811452B1 (ko) 2017-12-22

Family

ID=47838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9927A KR101811452B1 (ko) 2011-07-14 2011-07-14 Uicc 내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uicc로의 접속 프로파일 등록방법, 그를 이용한 접속 프로파일 획득방법 및 p2p 전송방법과, 단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145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862B1 (ko) * 2013-08-14 2014-10-13 유넷시스템주식회사 네트워크 자동 접속용 프로파일 생성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WO2015069031A1 (ko) * 2013-11-06 2015-05-14 엘지전자(주) 블루투스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링크 형성 방법 및 장치
KR20150123752A (ko) * 2014-04-25 2015-11-04 주식회사 인터렉티브비전 스마트 디바이스간 개인 정보 전송 방법
CN112233404A (zh) * 2020-10-14 2021-01-15 成都极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蓝牙连接方法、蓝牙遥控器、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20210020076A (ko) * 2018-06-20 2021-02-23 비비타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97164A1 (en) * 2006-02-23 2007-08-23 Arnold Sheynma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 bluetooth pairing
EP2122540A1 (en) * 2007-01-26 2009-11-25 LG Electronics Inc. Contactless interface within a terminal to support a contactless servic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862B1 (ko) * 2013-08-14 2014-10-13 유넷시스템주식회사 네트워크 자동 접속용 프로파일 생성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WO2015069031A1 (ko) * 2013-11-06 2015-05-14 엘지전자(주) 블루투스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링크 형성 방법 및 장치
US9743225B2 (en) 2013-11-06 2017-08-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ommunication link using bluetooth
KR20150123752A (ko) * 2014-04-25 2015-11-04 주식회사 인터렉티브비전 스마트 디바이스간 개인 정보 전송 방법
KR20210020076A (ko) * 2018-06-20 2021-02-23 비비타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CN112233404A (zh) * 2020-10-14 2021-01-15 成都极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蓝牙连接方法、蓝牙遥控器、终端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1452B1 (ko) 2017-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26959A1 (en) Method and device for efficiently providing profile for communication service
US9699642B2 (en) Electronic subscriber identity module selection
CN111480350B (zh) 嵌入式sim卡的数据访问的方法和设备
CN102457849B (zh) 具有带外启动的无线对接
US9762277B2 (en) Supporting SIM toolkit applications in embedded UICCs
TWI559787B (zh) 行動網路操作者識別
EP3001711A1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devices, servers, methods for controlling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server
CN103916979A (zh) 信息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US2017020203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storage medium storing wireless communication program
US83961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network access information in using removable external modem
CN105263140A (zh) 一种实现sim卡远程鉴权的系统与方法
CN103916987A (zh) 用于提供集成的装置信息的设备和方法
CN107801179A (zh) 用于向移动设备供应自举电子用户身份模块(eSIM)的技术
KR101811452B1 (ko) Uicc 내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uicc로의 접속 프로파일 등록방법, 그를 이용한 접속 프로파일 획득방법 및 p2p 전송방법과, 단말장치
US20230171586A1 (en) Automated Subscription Management for Wireless Devices Having Multiple Subscription Profiles
EP3023904A1 (en) Implicit File creation in APDU scripts
US10306456B2 (en) Processing of preferred roaming lists
EP4344268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20230076852A1 (e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plurality of sims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CN111132129B (zh) Sim卡信息获取装置和通信终端装置
EP2597900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accessing a network
KR10203668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4244447A (zh) 通信终端及远程访问其用户识别模块的方法与装置
KR101803972B1 (ko) Uicc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및 그를 이용한 파일 등록방법과 p2p 전송방법
KR101870992B1 (ko) Uicc를 이용한 drm컨텐츠 전송 방법 및 그를 위한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 획득방법과 단말 및 uic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