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521A -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521A
KR20130007521A KR1020120149763A KR20120149763A KR20130007521A KR 20130007521 A KR20130007521 A KR 20130007521A KR 1020120149763 A KR1020120149763 A KR 1020120149763A KR 20120149763 A KR20120149763 A KR 20120149763A KR 20130007521 A KR20130007521 A KR 20130007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igh frequency
frequency signal
residual
low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3969B1 (ko
Inventor
이건형
이철우
정종훈
이남숙
문한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9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969B1/ko
Publication of KR20130007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Abstract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코어 디코더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의 저주파수 신호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복호화된 저주파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의 고주파수 신호의 잔차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비트스트림에 구비된 상기 고주파수 신호의 선형 예측 코딩 계수 및 상기 잔차 신호를 이용한 선형 예측 코딩 합성을 수행하여 상기 고주파수 신호를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복호화된 저주파 신호와 고주파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udio signa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audio signal}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디오 신호 중 소정 크로스 오버 주파수 이상의 고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보다 효율적으로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 신호 중에서 고주파수 신호는 저주파수 신호에 비하여 인간의 심리음향적인(Psychoacoustic) 특성상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다. 따라서,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할 때 이용가능한 비트량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코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저주파수 신호에 많은 비트를 할당하고 고주파수 신호에는 적은 비트를 할당하여 부호화를 수행하는 방식이 도입되었다. 이러한 방식의 일 예로 SBR(Spectral Band Replication)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SBR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SBR은 오디오 신호의 고주파수 신호와 저주파수 신호 사이에 높은 연관성이 존재한다는 가정에 기반을 둔다. 따라서, SBR에 따르면 이러한 연관성을 이용하여 저주파 대역의 정보를 이용해 고주파 대역 성분을 추정할 수 있다고 가정하여, 저주파수 신호는 소정의 코어 코덱으로 부호화하고 고주파수 신호는 저주파수 신호로부터 추정할 때 필요한 부가 정보만을 부호화한다. 여기서, 코어 코덱으로는 mp3, AAC(Advanced Audio Coding)에 기반한 코덱이 이용되며, 고주파수 신호의 복원을 위해 이용되는 부가 정보로는 저주파수 신호를 복사할 고주파수 신호의 대역 정보 등이 포함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부호화기에서는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소정의 크로스 오버 주파수(fc) 이하의 저주파수 신호 A(10)는 코어 코덱을 이용하여 부호화하고, 크로스 오버 주파수(fc) 이상의 고주파수 신호 B(11)는 직접 부호화하지 않고 저주파수 신호로부터 추정될 때 필요한 부가 정보만을 부호화한다.
복호화기에서는 이러한 SBR 방식에 의하여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을 수신하고, 코어 코덱을 이용하여 저주파수 신호 A'(20)를 복원하며, 복원된 저주파수 신호 A'(20)를 고주파수 대역으로 복사한 후 비트스트림에 구비된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복사된 고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조정함으로써 고주파수 신호 B'(21)을 생성한다.
이러한 SBR과 같이 저주파수 신호로부터 고주파수 신호를 추정하여 부호화하는 방식은 저주파수 신호의 하모닉스(harmonics)가 고주파수 신호에 비해서 강하거나, 저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대역별 에너지의 편차가 심한 경우에는 음질이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고주파수 영역에 해당하는 신호를 부호화함에 있어서 적은 비트를 이용하고도 인간이 인식하는 음질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큰 음질의 손실없이 적은 비트레이트로 오디오 신호의 고주파수 성분을 효율적으로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방법은 상기 오디오 신호에 구비된 소정 임계 주파수 이상의 고주파수 신호에 대하여 선형 예측 코딩(Linear Predictive Coding:LPC)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고주파수 신호의 선형 예측 코딩 계수 및 잔차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잔차 신호의 진폭 변화를 나타내는 이득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고주파수 신호의 선형 예측 코딩 계수 및 상기 잔차 신호의 이득 정보를 다중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장치는 상기 오디오 신호에 구비된 소정 임계 주파수 이상의 고주파수 신호에 대하여 선형 예측 코딩(Linear Predictive Coding:LPC)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고주파수 신호의 선형 예측 코딩 계수 및 잔차 신호를 출력하는 선형 예측 코딩 분석부, 상기 잔차 신호의 진폭 변화를 나타내는 이득 정보를 추출하는 이득 정보 추출부 및 상기 고주파수 신호의 선형 예측 코딩 계수 및 상기 잔차 신호의 이득 정보를 다중화하는 다중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방법은 소정의 코어 디코더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의 저주파수 신호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복호화된 저주파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의 고주파수 신호의 잔차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비트스트림에 구비된 상기 고주파수 신호의 선형 예측 코딩 계수 및 상기 잔차 신호를 이용한 선형 예측 코딩 합성을 수행하여 상기 고주파수 신호를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복호화된 저주파 신호와 고주파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형 예측 코딩 분석을 이용하여 고주파수 신호에 대한 부호화를 수행함으로써 발생되는 비트량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면서 고주파수 신호에 대한 음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SBR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잔차 신호의 시간 포락선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이득 정보 추출부(25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도 7의 단계 720을 구체화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 SBR과 같이 저주파 신호를 기반으로 고주파수 신호를 복사함으로써 고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대신에, 선형 예측 코딩(Linear Prediction Coding:LPC)을 이용해서 고주파수 신호의 부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장치(200)는 필터부(210), 코어 코더(220), 감산부(230), 선형 예측 코딩 분석부(240), 이득 정보 추출부(250), 양자화부(260) 및 다중화부(270)를 포함한다.
필터부(210)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소정의 크로스 오버 주파수(임계 주파수)를 기준으로 하여 저주파수 신호와 고주파수 신호로 분할한다. 코어 코더(220)는 소정의 크로스 오버 주파수 이하의 저주파수 신호를 코어 코덱을 이용하여 부호화한다. 여기서, 코어 코덱으로는 MP3, AAC 등의 다양한 오디오 압축 코덱이 이용될 수 있다.
선형 예측 코딩 분석부(240)는 오디오 신호에 구비된 크로스 오버 주파수 이상의 고주파수 신호에 대하여 선형 예측 코딩(Linear Predictive Coding:LPC)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고주파수 신호의 선형 예측 코딩 계수 및 잔차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고주파수 신호로서 필터부(210)를 통해 필터링된 고주파수 신호를 이용하거나, 감산부(230)을 통해서 입력 오디오 신호로부터 코어 코더(220)에서 부호화된 후 복원된 저주파수 신호를 뺌으로서 생성된 고주파수 성분의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선형 예측 분석은 음성의 기본적인 파라미터를 음성 발생의 선형적인 모델에 기초하여 추출해내는 방법으로, 현재의 음성 신호 샘플값은 과거 M개(M은 양의 정수)의 음성 출력 샘플 값과의 선형 결합으로 근사할 수 있다는 가정에 기반한 음성 신호 모델링 방식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에서는 이러한 선형 예측 코딩 분석 방식을 코어 코더(220)에 의해 부호화되지 못한 고주파수 신호에 적용하여 고주파수 신호를 부호화한다. 선형 예측 코딩 분석부(240)는 공분산 방식(covariance method), 자기 상관 방식(autocorrelation method), 래티스 필터(Lattice filter), 레빈슨-더빈 알고리즘(Levinson-Durbin algorithm) 등을 이용하여 고주파수 신호로부터 선형 예측 코딩 계수(LPC 계수) 및 잔차 신호를 추출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예측 코딩 분석부(240)은 현재의 고주파수 신호 샘플값을 s(n)은 다음과 같이 그 이전의 p(p는 양의 정수)개의 고주파수 신호 샘플들(s(n-1), s(n-2),..., s(n-p))을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모델링된다고 가정한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u(n)은 선형 예측 코딩 분석에 따라서 이전의 p개의 고주파수 신호 샘플들로부터 현재의 고주파수 신호 샘플값을 예측하였을 때의 예측 오차값에 해당하는 것으로 여기 신호(excitation signal) 또는 잔차 신호(residual signal)라고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Gu(n)은 잔차 신호로 정의하기로 한다. G는 잔차 신호의 에너지에 따른 이득값(gain)을 의미한다. ai는 선형 예측 코딩 계수(LPC 계수)를 나타내며, p는 선형 예측 코딩 계수의 차수로서 일반적으로 10~16의 값을 갖는다.
수학식 1을 z-변환을 통해 변환하면 다음의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pat00002
수학식 2에서 전달함수 H(z)의 분모 부분을 A(z)로 표시하였다.
한편, 수학식 1로부터 잔차 신호 Gu(n)(또는 e(n))으로 표시함)은 다음의 수학식 3와 같다.
Figure pat00003
예측 오차에 해당하는 잔차 신호의 전달 함수는 다음의 수학식 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수학식 2와 수학식 4를 고려할 때, 잔차 신호의 전달 함수는 전달 함수 H(z)의 분모 부분에 해당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선형 예측 코딩 분석을 통해 선형 예측 코딩 계수 ai들을 계산하여 A(z)를 결정하고, A(z)에 고주파수 신호를 입력하여 필터링하면 잔차 신호 Gu(n)이 추출된다.
이와 같이, 선형 예측 코딩 분석부(240)는 고주파수 신호에 대하여 선형 예측 코딩 분석을 수행하여 고주파수 신호의 예측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선형 예측 코딩 계수 및 예측 에러에 해당하는 잔차 신호를 출력한다.
이득 정보 추출부(250)는 잔차 신호로부터 이득값(G)을 추출하여 부호화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잔차 신호의 시간 포락선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이득 정보 추출부(25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잔차 신호의 진폭 변화는 잔차 신호의 개략적인 외형을 나타내는 시간 포락선(time envelope)을 모델링함으로써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득 정보 추출부(250)에 구비된 분할부(251)는 잔차 신호의 시간 포락선을 소정 시간 단위로 분할하고, 포락선 파라미터 검출부(252)는 분할된 각 구간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잔차 신호의 시간 포락선의 진폭 변화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일 예로 포락선 파라미터 검출부(252)는 잔차 신호의 분할된 각 구간의 평균 에너지를 계산하고, 이를 각 구간의 진폭을 나타내는 대표값으로 이용할 수 있다.
양자화부(260)는 선형 예측 코딩 분석부(240)에서 출력된 고주파수 신호의 선형 예측 코딩 계수 및 이득 정보 추출부(250)에서 출력된 이득 정보를 양자화하여 출력한다.
다중화부(270)는 저주파수 신호의 부호화된 데이터, 고주파수 신호의 선형 예측 코딩 계수 및 이득 정보 등을 다중화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 때, 다중화부(270)는 선형 예측 코딩 분석의 역과정인 선형 예측 코딩 합성 과정을 통해 고주파수 신호의 복원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파라미터 정보들, 예를 들어 선형 예측 코딩 계수의 차수 정보, 복사 대역 정보 등을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에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장치에 따르면, 코어 코더에 의하여 부호화되지 않는 고주파수 신호를 선형 예측 코딩 분석을 통해 부호화함으로써 비트량의 큰 증가없이 고주파수 신호의 코딩 효율을 향상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오디오 신호에 구비된 임계 주파수 이상의 고주파수 신호에 대하여 선형 예측 코딩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고주파수 신호의 선형 예측 코딩 계수 및 잔차 신호를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주파수 신호로서 필터링된 고주파수 신호를 이용하거나, 입력 오디오 신호로부터 코어 코덱을 이용하여 부호화된 후 복원된 저주파수 신호를 뺌으로서 생성된 고주파수 성분의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단계 520에서 잔차 신호의 진폭 변화를 나타내는 이득 정보를 추출한다. 이득 정보로서 잔차 신호의 시간 포락선을 모델링한 파라미터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잔차 신호의 시간 포락선을 소정 구간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구간의 평균 에너지를 계산하여 계산된 평균 에너지를 잔차 신호의 시간 포락선의 진폭 변화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로 이용할 수 있다.
단계 540에서 고주파수 신호의 선형 예측 코딩 분석을 통해 생성된 선형 예측 코딩 계수 및 잔차 신호의 이득 정보를 양자화한다.
단계 550에서, 부호화된 저주파수 신호의 데이터, 양자화된 고주파수 신호의 선형 예측 코딩 계수 및 잔차 신호의 이득 정보를 다중화한다. 이 때, 선형 예측 코딩 분석의 역과정인 선형 예측 코딩 합성 과정을 통해 고주파수 신호의 복원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파라미터 정보들, 예를 들어 선형 예측 코딩 계수의 차수 정보, 복사 대역 정보 등을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에 부가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장치는 역다중화부(610), 코어 디코더(620), 스펙트럼 화이트닝 수행부(630), 고주파수 대역 복사부(640), 포락선 조정부(650), 선형 예측 코딩 합성부(660) 및 결합부(6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펙트럼 화이트닝 수행부(630), 고주파수 대역 복사부(640), 포락선 조정부(650)는 복호화된 저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고주파수 신호의 잔차 신호를 생성하는데에 이용된다.
역다중화부(610)는 비트스트림에 대한 역다중화를 수행하여, 부호화된 저주파수 신호의 데이터, 고주파수 신호의 복원을 위해 필요한 선형 예측 코딩 계수의 차수(LPC 차수) 정보, 복사 대역 정보, 이득 정보 및 부호화시에 고주파수 신호에 대한 선형 예측 코딩 분석을 통해 생성된 선형 예측 코딩 계수(LPC 계수) 정보 등을 추출하여 출력한다.
코어 디코더(620)는 코어 코덱을 이용하여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의 저주파수 신호를 복호화한다.
스펙트럴 화이트닝 수행부(630)는 복호화된 저주파수 신호로부터 포락선을 제거하고 남은 잔차 신호를 추출한다. 일 예로, 스펙트럴 화이트닝 수행부(630)는 선형 예측 코딩 분석을 수행하여 복호화된 저주파수 신호의 잔차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스펙트럴 화이트닝 수행부(63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출력된 선형 예측 코딩 계수의 차수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된 고주파수 신호와 동일한 선형 예측 코딩 계수 차수를 적용하여 선형 예측 코딩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주파수 대역 복사부(640)는 스펙트럴 화이트닝 수행부(630)에서 출력된 저주파수 신호의 잔차 신호를 소정의 고주파수 대역으로 복사한다. 이때, 고주파수 대역 복사부(640)는 소정의 크로스 오버 주파수 이상의 고주파수 대역들 중 부호화화된 고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복사 대역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복사 대역에 저주파수 신호의 잔차 신호를 복사한다. 고주파수 대역 복사부(640)를 통해 저주파수 잔차 신호로부터 복사된 고주파수 신호는 고주파수 신호의 잔차 신호의 예측 신호에 해당하게 된다.
포락선 조정부(65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이득 정보를 이용하여, 복사된 고주파수 신호를 소정 구간으로 분할하고, 각 구간이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해당 구간의 이득 정보와 동일하게 되도록 복사된 고주파수 신호의 진폭을 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득 정보로서 각 구간의 평균 에너지를 이용하는 경우, 복사된 고주파수 신호를 분할한 각 구간의 평균 에너지가 이득 정보에 구비된 해당 구간의 평균 에너지와 일치되도록 복사된 고주파수 신호의 진폭을 조정한다. 이와 같이 복사된 고주파수 신호의 진폭을 이득 정보를 통해 조정하여 시간 포락선을 조정함으로써 고주파수 신호의 잔차 신호가 생성된다.
선형 예측 코딩 합성부(660)는 선형 예측 코딩 분석의 역과정인 선형 예측 코딩 합성을 통해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고주파수 신호의 선형 예측 코딩 계수 및 잔차 신호로부터 고주파수 신호를 복원한다. 전술한 수학식 1을 참조하면, 현재 고주파수 신호의 샘플값은 선형 예측 코딩 계수(ai) 및 잔차 신호(Gu(n))가 결정되면 이전의 고주파수 신호의 샘플값을 통해 복원될 수 있다. 한편, 선형 예측 코딩 합성부(660)는 선형 예측 코딩 계수를 라인 스펙트럼 주파수(Line Spectral Frequencies:LSF)로 변환하고, 변환된 라인 스펙트럼 주파수를 보간하여 선형 예측 코딩 합성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670)는 코어 디코더(620)를 통해 복원된 저주파수 신호와 선형 예측 코딩 합성부(660)를 통해 복원된 고주파수 신호를 결합하여 복호화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10에서 코어 코덱을 이용하여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에 구비된 오디오 신호의 저주파수 신호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한다.
단계 720에서, 복호화된 저주파 신호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의 고주파수 신호의 잔차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도 7의 단계 720을 구체화한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721에서, 복호화된 저주파수 신호에 대한 스펙트럴 화이트닝을 수행하여 복호화된 저주파수 신호의 잔차 신호를 생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선형 예측 코딩 분석을 이용하여 복호화된 저주파수 신호에서 포락선을 제거한 잔차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722에서, 저주파수 신호의 잔차 신호를 복사 대역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고주파수 대역으로 복사한다. 단계 723에서, 비트스트림에 구비된 고주파수 신호의 잔차 신호의 이득 정보를 이용하여 고주파수 대역으로 복사된 신호의 포락선을 조정한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30에서 비트스트림에 구비된 고주파수 신호의 선형 예측 코딩 계수와 포락선이 조정 과정을 통해 생성된 고주파수 신호의 잔차 신호를 이용한 선형 예측 코딩 합성을 수행하여 고주파수 신호를 복호화한다. 선형 예측 코딩 합성시에 선형 예측 코딩 계수를 라인 스펙트럼 주파수(LSF)로 변환하고, 변환된 라인 스펙트럼 주파수를 보간하여 선형 예측 코딩 합성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740에서 복호화된 저주파 신호와 고주파 신호를 결합하여 오디오 신호를 복원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주파수 신호에 대한 선형 예측 코딩 분석을 통해서 고주파수 대역의 톤 성분 등을 효율적으로 부호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종래 SBR 방식 등에서는 부호화되지 않았던 고주파수 신호의 성분을 부호화할 수 있으므로 전체 오디오 신호의 음질이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와 균등하거나 또는 등가적인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Claims (10)

  1.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코어 디코더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의 저주파수 신호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복호화된 저주파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의 고주파수 신호의 잔차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비트스트림에 구비된 상기 고주파수 신호의 선형 예측 코딩 계수 및 상기 잔차 신호를 이용한 선형 예측 코딩 합성을 수행하여 상기 고주파수 신호를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복호화된 저주파 신호와 고주파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의 고주파수 신호의 잔차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호화된 저주파수 신호에 대한 스펙트럴 화이트닝(Spectral Whitening)을 수행하여 상기 복호화된 저주파수 신호의 잔차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저주파수 신호의 잔차 신호를 소정의 고주파수 대역으로 복사하는 단계;
    상기 비트스트림에 구비된 상기 고주파수 신호의 잔차 신호의 이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주파수 대역으로 복사된 신호의 포락선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수 신호의 이득 정보는 상기 비트스트림에 구비된 상기 고주파수 신호의 잔차 신호의 시간 포락선을 모델링한 파라미터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수 대역으로 복사된 신호의 포락선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고주파수 대역으로 복사된 신호를 소정 구간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비트스트림에 구비된 상기 고주파수 신호의 시간 포락선의 각 구간의 에너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주파수 대역으로 복사된 신호의 분할된 각 구간의 포락선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고주파수 대역으로 복사된 신호의 시간 포락선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수 신호를 복호화하는 단계는
    상기 비트스트림에 구비된 선형 예측 코딩 계수를 라인 스펙트럼 주파수(Line Spectral Frequencies)로 변환하고, 변환된 라인 스펙트럼 주파수를 보간하여 상기 선형 예측 코딩 합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방법.
  6.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의 저주파수 신호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하는 코어 디코더(620);
    상기 복호화된 저주파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의 고주파수 신호의 잔차 신호를 생성하는 고주파수 잔차 신호 생성부;
    비트스트림에 구비된 상기 고주파수 신호의 선형 예측 코딩 계수 및 상기 잔차 신호를 이용한 선형 예측 코딩 합성을 수행하여 상기 고주파수 신호를 복호화하는 선형 예측 코딩 합성부(660); 및
    상기 복호화된 저주파 신호와 고주파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는 결합부(6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수 잔차 신호 생성부는
    상기 복호화된 저주파수 신호에 대한 스펙트럴 화이트닝(Spectral Whitening)을 수행하여 상기 복호화된 저주파수 신호의 잔차 신호를 생성하는 스펙트럴 화이트닝 수행부(630);
    상기 저주파수 신호의 잔차 신호를 소정의 고주파수 대역으로 복사하는 고주파수 대역 복사부(640);
    상기 비트스트림에 구비된 상기 고주파수 신호의 잔차 신호의 이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주파수 대역으로 복사된 신호의 포락선을 조정하는 포락선 조정부(6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수 신호의 이득 정보는 상기 비트스트림에 구비된 상기 고주파수 신호의 잔차 신호의 시간 포락선을 모델링한 파라미터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포락선 조정부(650)는
    상기 고주파수 대역으로 복사된 신호를 소정 구간으로 분할하고, 상기 비트스트림에 구비된 상기 고주파수 신호의 시간 포락선의 각 구간의 에너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주파수 대역으로 복사된 신호의 분할된 각 구간의 포락선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고주파수 대역으로 복사된 신호의 시간 포락선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예측 코딩 합성부(660)는
    상기 비트스트림에 구비된 선형 예측 코딩 계수를 라인 스펙트럼 주파수(Line Spectral Frequencies)로 변환하고, 변환된 라인 스펙트럼 주파수를 보간하여 상기 선형 예측 코딩 합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장치.
KR1020120149763A 2012-12-20 2012-12-20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413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763A KR101413969B1 (ko) 2012-12-20 2012-12-20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763A KR101413969B1 (ko) 2012-12-20 2012-12-20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008A Division KR101413968B1 (ko) 2008-01-29 2008-01-29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521A true KR20130007521A (ko) 2013-01-18
KR101413969B1 KR101413969B1 (ko) 2014-07-08

Family

ID=47838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763A KR101413969B1 (ko) 2012-12-20 2012-12-20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9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67954A (zh) * 2020-06-24 2021-05-0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音频编解码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CN115579013A (zh) * 2022-12-09 2023-01-06 深圳市锦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低功耗音频解码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1488B2 (ja) * 1996-11-19 2005-08-10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エチレン共重合体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易開封性シール材料
KR20060131766A (ko) * 2003-12-01 2006-12-20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오디오 코딩
MX2007012184A (es) 2005-04-01 2007-12-11 Qualcomm Inc Sistemas, metodos y aparatos para codificacion de dialogo de banda ancha.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67954A (zh) * 2020-06-24 2021-05-0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音频编解码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CN115579013A (zh) * 2022-12-09 2023-01-06 深圳市锦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低功耗音频解码器
CN115579013B (zh) * 2022-12-09 2023-03-10 深圳市锦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低功耗音频解码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3969B1 (ko)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3968B1 (ko)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6170520B2 (ja) オーディオ及び/またはスピーチ信号符号化及び/または復号化方法及び装置
JP6186082B2 (ja) オーディオ信号を適応スペクトルタイル選択を用いて復号化および符号化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101373004B1 (ko) 고주파수 신호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방법
KR101435893B1 (ko) 대역폭 확장 기법 및 스테레오 부호화 기법을 이용한오디오 신호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171098B1 (ko) 혼합 구조의 스케일러블 음성 부호화 방법 및 장치
KR100803205B1 (ko) 저비트율 오디오 신호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428487B1 (ko) 멀티 채널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413967B1 (ko)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 및 그에 대한 기록 매체,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
JP2014160280A (ja) フレームエラー隠匿方法及び装置、これを利用した復号化方法及び装置
KR20120128136A (ko) 일반 오디오 및 음성 프레임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용 디코더
KR20080005325A (ko) 적응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090007396A (ko) 손실 인코딩된 데이터 스트림 및 무손실 확장 데이터 스트림을 이용하여 소스 신호를 무손실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9074755A (ja) 独立したノイズ充填を用いた強化された信号を生成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2052144B1 (ko) 음성 신호의 대역 선택적 양자화 방법 및 장치
KR101387808B1 (ko) 가변 비트율을 갖는 잔차 신호 부호화를 이용한 고품질 다객체 오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KR101413969B1 (ko)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080034819A (ko)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KR20080092823A (ko)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KR20070008211A (ko) 스케일러블 대역 확장 음성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00007648A (ko)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080034817A (ko)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