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498A - 모바일 카드 발급 방법 및 스마트폰 - Google Patents
모바일 카드 발급 방법 및 스마트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7498A KR20130007498A KR1020120133058A KR20120133058A KR20130007498A KR 20130007498 A KR20130007498 A KR 20130007498A KR 1020120133058 A KR1020120133058 A KR 1020120133058A KR 20120133058 A KR20120133058 A KR 20120133058A KR 20130007498 A KR20130007498 A KR 201300074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d
- unit
- card information
- terminal device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9—Use of the SIM of a M-device as secure el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3—Payments by cards read by M-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9—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involving ke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모바일 카드 발급 방법 및 스마트폰이 제공된다. 모바일 카드 발급 방법은, 근접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소지한 카드에 기록된 카드정보를 획득하는 카드 리더기를 구비하는 단말장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의 카드전송 프로토콜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카드전송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카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카드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바일 카드 발급 및 스마트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장치의 카드 리더를 통해 카드에 기록된 카드정보를 획득하여 스마트폰으로 발급하도록 하는 모바일 카드 발급 방법 및 스마트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이 활성화되면서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 형태의 모바일 카드가 발급되고 있다. 모바일 카드는 실물 카드 외에 애플리케이션 형태로도 발급이 가능한 카드를 지칭한다. 예컨대 해당 카드사가 카드 상품을 개발하는 시점에서 애플리케이션을 함께 개발하고, 통상의 신용카드 발급 절차에 따라 발급 심사를 거쳐 그 결과를 SMS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통지한다. 즉 모바일 카드의 발급은 해당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는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하나은행과 SKT가 제휴하여 발급하는 “하나SK카드”가 스마트폰에서 구동 가능한 모바일 카드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바일 카드는 카드사의 상품 개발 시점부터 모바일 카드가 가능하도록 개발되어야 하기 때문에, 스마트폰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대부분의 신용카드는 모바일 카드로 이용될 수 없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신용카드를 편리하게 모바일 카드로 발급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카드 발급 방법 및 스마트폰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모바일 카드 발급 방법은, 근접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소지한 카드에 기록된 카드정보를 획득하는 카드 리더기를 구비하는 단말장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의 카드전송 프로토콜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카드전송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카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카드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이 소지한 대부분의 신용카드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모바일 카드로 발급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모바일 카드를 발급하기 위한 전체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에서 모바일 카드를 발급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에서 모바일 카드를 발급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에서 모바일 카드를 발급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에서 모바일 카드를 발급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모바일 카드를 발급하기 위한 전체 구성을 보이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장치(200)는 카드 리더를 구비하며, 상기 카드 리더를 통해 MS 카드와 IC 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카드를 리딩하여 상기 카드의 매체(예컨대, MS 또는 IC 칩)에 기록된 카드정보를 획득한다(100).
상기 단말장치(200)와 스마트폰(300)은 근거리 통신 또는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의 근접 통신을 통해 정보를 교환한다. 상기 단말장치(200)는 근접 통신을 통해 정보를 전달할 스마트폰(300)을 인식한다 (105). 예컨대 상기 단말장치(200)는 카드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해 스마트폰(300)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단말장치(200)는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인식된 스마트폰(300)으로 앞서 획득한 카드정보를 전송한다 (110). 상기 스마트폰(300)은 상기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200)로부터 전송 받은 카드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기록한다 (115).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보이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2는 카드 리더를 이용하여 카드의 매체에 기록된 카드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카드정보를 통해 고객의 스마트폰(300)으로 상기 카드정보를 전송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구비한 단말장치(2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장치(200)는, 제어부(205)와 메모리부(250)와 카드 리더부(210)와 키 입력부(220)와 화면 출력부(215)와 통신 처리부(230)와 보안응용모듈(235) 및 전원 공급부(225)를 포함하는 물리적 구성부로 이루어진다. 한편 스마트폰(300)과 근접 통신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부(240)와 NFC 통신부(245)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다. 상기 단말장치(200)의 일부 물리적 구성부는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5)는 상기 단말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205)는 버스(BUS)를 통해 단말장치(200)에 구비된 각 물리적 구성부와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205)는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2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단말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본 발명의 프로그램 모듈을 구성하는 기능 구성부를 제어부(205)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250)는 상기 단말장치(200)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205)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을 저장하여 유지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한 프로그램 모듈도 상기 메모리부(250)에 저장하여 유지된다.
상기 카드 리더부(210)는 ISO/IEC 7810 규격의 MS (Magnetic Stripe) 카드를 리딩하는 MS카드 리더부(210), ISO/IEC 7816 규격의 접촉식 IC 카드 리더부(210), 또는 ISO/IEC 14443 규격 및 RF 카드 규격의 비접촉식 IC 카드 리더부(210)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며, 각 규격에서 정한 바에 따라 카드에 구비된 매체 (예컨대, MS 또는 IC칩)에 기록된 카드정보를 리딩한다.
상기 키 입력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입력장치 (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215)와 연계된 터치 스크린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입력장치 (또는 터치스크린 장치)로부터 상기 카드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키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제어부(205)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화면 출력부(215)는 출력장치 (예컨대, LCD (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모듈로 구성되며, 카드정보를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하는데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출력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통신 처리부(230)는 유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 및 근거리 통신과 유선 통신망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에 접속하는 통신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통신모듈로 구성되며, 카드정보를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하는 것을 관리하는 관리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보안응용모듈 (Secure Application Module; SAM)(235)은 상기 단말장치(200)의 전자지불 또는 전자결제 과정에 요구되는 기밀성(Confidentiality), 인증(Authentication), 무결성(Integrity) 및 부인방지(Nonrepudiation)의 보안 요구사항을 상기 단말장치(200) 내부적으로 제어하고 관리하는 모듈의 총칭으로서, 각종 키 값과 제어 프로토콜 및 명령을 저장하여 유지하고, 상기 제어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키 값과 명령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장치(200)의 전자지불 또는 전자결제를 제어한다. 상기 보안응용모듈(235)은 PCB에 실장 되는 IC 칩이나 주문형 반도체, 또는 SIM 슬롯에 삽입되는 SIM 타입 형태로 제작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안응용모듈(235)은 카드정보를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각종 키 값과 제어 프로토콜 및 명령을 저장하여 유지하고, 상기 제어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키 값과 명령을 이용하여 카드정보를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드정보를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 프로토콜은 카드의 매체에 기록된 카드정보가 전송될 스마트폰(300)(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인식하는 대상 인식 프로토콜과, 상기 인식된 스마트폰(300)으로 카드정보를 전송하는 카드정보 전송 프로토콜을 포함하며, 상기 카드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300)과 상기 카드정보를 암호화할 적어도 하나의 키 값을 교환하는 키 교환 프로토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 인식 프로토콜은 상기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카드정보가 전송될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스마트폰(300)을 인식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 값 및 명령의 처리 순서와 동작을 포함한다. 만약 스마트폰(300)에 상기 카드정보가 전송될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라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대상 인식 프로토콜의 키 값과 명령의 처리 순서에 반응하여 예측된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카드는 상기 스마트폰(300)에 구비된 USIM(310)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대상 인식 프로토콜은 상기 USIM(310)에 상기 카드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카드정보 기록 권한을 획득하는 키 값과 명령의 처리 순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드정보 전송 프로토콜은 상기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대상 인식 프로토콜에 의해 인식된 스마트폰(300)으로 카드정보를 전송하는 키 값 및 명령의 처리 순서와 동작을 포함한다. 만약 스마트폰(300)에 상기 카드정보가 전송될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라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카드정보 전송 프로토콜의 키 값과 명령의 처리 순서에 반응하여 상기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카드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부(240)는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모듈로 구성되며, 와이파이 통신모듈, 블루투스 통신모듈, RF 통신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FC 통신부(245)는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규격에 따라 일정 거리 이내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교환하는 NFC 통신모듈로 구성되며, RFID 통신모듈, ISO/IEC 14443 규격의 비접촉식 IC 카드 통신모듈, RF카드 통신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NFC 통신부(245)는 상기 카드 리더부(210)의 비접촉식 IC 카드 리더부(210)와 통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 모듈은, 상기 카드 리더부(210)를 통해 카드의 매체에 기록된 카드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255)를 구비한다.
상기 정보 획득부(255)는 상기 카드 리더부(210)로 카드의 매체에 기록된 카드정보를 리딩하는 명령을 전달하고, 상기 카드 리더부(210)가 상기 카드의 매체로부터 리딩한 카드정보를 획득한다. 만약 상기 카드의 매체가 MS라면, 상기 카드정보는 상기 MS의 트랙I, 트랙II 및 트랙III 중 하나 이상의 트랙에 기록된 비트 열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카드의 매체가 IC 칩이라면, 상기 카드정보는 상기 IC 칩의 메모리에 기록된 비트 열 (또는 IC칩의 메모리에 기록된 파일에 포함된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 모듈은,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카드정보가 전송될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스마트폰(300)을 인식하는 대상 인식부(275)를 구비하며, 상기 카드정보를 암호화할 암호화 키 값을 확인하는 키 값 확인부(265)와, 상기 암호화 키 값을 통해 상기 카드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처리부(2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대상 인식부(275)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240) 또는 NFC 통신부(245)를 이용한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대상 인식 프로토콜의 키 값과 명령의 처리 순서에 예측된 반응을 응답하는 스마트폰(300)을 검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대상 인식부(275)는 상기 화면 출력부(215)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300)(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키 입력부(220)를 통해 상기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대상 인식 프로토콜의 키 값과 명령의 처리 순서에 따라 상기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하고 예측된 반응이 응답되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카드정보가 전송될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스마트폰(300)을 인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대상 인식 프로토콜의 키 값과 명령의 처리 순서 만으로 상기 스마트폰(300)을 인식할 수 있다면, 상기 식별정보의 입력은 생략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카드정보가 상기 스마트폰(300)에 구비된 USIM(310)에 기록되는 경우, 상기 대상 인식부(275)는 상기 대상 인식 프로토콜의 키 값과 명령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300)에 구비된 USIM(310)에 상기 카드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카드정보 기록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드정보 기록 권한은 상기 USIM(310)에 구비된 카드 발급사 저장영역 (예컨대, 시큐어 도메인(Secure Domain; SD)), 또는 발급자 시큐어 도메인(Issuer Secure Domain; ISD))에 대한 쓰기 권한을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폰(300)의 PIN 인증을 통해 상기 USIM(310)에 대한 카드정보 기록 권한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대상 인식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USIM(310)의 카드정보 기록 권한을 획득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폰(300)(또는 USIM(310))에는 해당 스마트폰(300) 사용자의 개인 키가 저장되고, 통신망 상의 관리서버에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 키와 매칭되는 사용자의 공개 키가 상기 스마트폰(300)(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디바이스 식별 값과 연결되어 저장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키 값 확인부(265)는 상기 통신 처리부(230)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 상기 인식된 스마트폰(300)(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디바이스 식별 값을 전송한 후,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디바이스 식별 값과 연결된 공개 키를 수신하여 상기 카드정보를 암호화할 암호화 키 값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바이스 식별 값은 상기 스마트폰(300)에 할당된 전화번호, 장치번호, 애플사의 APNS 규격(또는 상기 APNS 규격과 호환되는 규격)을 근거로 할당된 디바이스 토큰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보안응용모듈(235)에는 상기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300)과 적어도 하나의 키 값을 교환하는 키 교환 프로토콜이 유지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키 값 확인부(265)는 상기 키 교환 프로토콜의 제어에 따라 상기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300)과 적어도 하나의 키 값을 생성하여 교환하고, 상기 교환된 키 값 중 어느 하나의 키 값을 상기 카드정보를 암호화할 암호화 키 값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암호화 키 값이 확인되면, 상기 암호화 처리부(270)는 상기 암호화 키 값을 통해 상기 카드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 모듈은, 상기 카드정보를 전송 가능한 데이터 구조로 변환하는 카드정보 가공부(2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정보 획득부(255)를 통해 획득되는 카드정보는 N(N≥1)개의 단위정보와 각 단위정보를 구분하는 식별자를 조합한 데이터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카드정보 가공부(260)는 상기 카드정보를 구성하는 N개의 단위정보 중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할 필요 없는 단위정보와 각 단위정보를 구분하는 식별자를 제외한 n(1≤n≤N)개의 유효한 단위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n개의 단위정보를 조합하여 스마트폰(300)으로 전송 가능한 구조로 가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n개의 단위정보는, 카드번호, 유효기간, 발급사 정보, 카드검증정보, 카드소유자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카드정보가 상기 스마트폰(300)의 USIM(310)에 기록된다면, 상기 카드정보는 상기 n개의 단위정보를 상기 USIM(310)의 카드 발급사 저장영역에 기록 가능한 파일 구조로 조합한 정보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 모듈은, 상기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300)으로 상기 카드정보를 전송하는 카드 처리부(280)를 구비하며, 상기 카드정보가 이종의 스마트폰(300)으로 중복 전송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카드 관리부(28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안응용모듈(235)은 상기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카드정보를 상기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하는 카드정보 전송 프로토콜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카드 처리부(280)는 상기 카드정보 전송 프로토콜의 제어에 따라 상기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인식된 스마트폰(300)으로 상기 카드정보를 전송한다. 만약 상기 카드정보가 암호화되어 있다면, 상기 카드 처리부(280)는 상기 암호화된 카드정보를 상기 인식된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한다.
상기 카드 관리부(285)는 상기 카드정보 전송 프로토콜의 제어에 따라 상기 카드정보가 상기 인식된 스마트폰(300)으로 정상 전송되었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카드정보가 상기 인식된 스마트폰(300)으로 정상 전송되었다면, 상기 카드 관리부(285)는 상기 카드정보를 복구되지 않도록 영구 삭제하여 상기 카드정보가 이종의 스마트폰(300)으로 중복 전송되지 않도록 관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구성을 보이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3은 단말장치(200)에서 리딩한 카드정보가 전송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 스마트폰(3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폰(300)은, 제어부(301)와 메모리부(311)와 화면 출력부(302)와 키 입력부(303)와 사운드 처리부(308)와 무선망 통신부(307)와 근거리 통신부(304)와 NFC 통신부(305)와 USIM 리더부(309) 및 USIM(310)와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306)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301)는 상기 스마트폰(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301)는 상기 스마트폰(3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301)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3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스마트폰(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기능 구성부를 도 3의 제어부(301)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311)는 상기 스마트폰(300)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301)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특히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도 상기 메모리부(311)에 저장하여 유지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302)는 출력장치 (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모듈로 구성되며, 카드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데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출력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키 입력부(303)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입력장치 (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302)와 연계된 터치스크린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입력장치 (또는 터치스크린 장치)를 통해 단말장치(200)로부터 카드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명령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입력 받거나, 또는 상기 USIM(310)에 대한 쓰기 권한을 획득하는 PIN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제어부(301)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307)는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단말장치(200)로부터 카드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관리하는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부(304)는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모듈로 구성되며, 와이파이 통신모듈, 블루투스 통신모듈, RF 통신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FC 통신부(305)는 NFC 규격에 따라 일정 거리 이내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교환하는 NFC 통신모듈로 구성되며, RFID 통신모듈, ISO/IEC 14443 규격의 비접촉식 IC 카드 통신모듈, RF카드 통신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NFC 통신부(305)는 상기 카드 리더부의 비접촉식 IC 카드 리더부와 통합될 수 있다.
상기 USIM 리더부(309)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폰(3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을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 셋은 APDU (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
상기 USIM(310)은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 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상기 USIM 리더부(309)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IC 칩용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을 저장하는 IC 칩 메모리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폰(300)으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상기 IC 칩용 프로그램 코드를 연산하거나 상기 데이터 셋을 추출(또는 가공)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IC칩의 메모리는 카드정보가 기록될 카드 발급사 저장영역이 할당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드 발급사 저장영역은 시큐어 도메인 (Secure Domain; SD), 또는 발급자 시큐어 도메인 (Issuer Secure Domain; ISD)의 형태로 할당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폰(300)은 상기 무선망 통신부(307) 또는 근거리 통신부(304)를 통해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서버로부터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제어부(301)로 로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근접 통신을 통해 카드 리더를 구비한 단말장치(200)를 검출하는 단말장치 검출부(315)와, 상기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200)의 보안응용모듈에 구비된 카드정보 전송 프로토콜을 인식하는 프로토콜 인식부(320)를 구비한다.
상기 단말장치 검출부(315)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304) 또는 NFC 통신부(305)를 이용한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카드 리더를 구비한 단말장치(200)를 검출한다. 상기 단말장치 검출부(315)는 상기 단말장치(200)의 보안응용모듈에 구비된 대상 인식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단말장치(200) 검출 프로토콜을 유지하고, 상기 단말장치(200) 검출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키 값과 명령의 처리 순서에 반응한다. 만약 상기 키 값과 명령의 정상적으로 처리되면, 상기 단말장치 검출부(315)는 상기 근접 통신을 통해 키 값과 명령을 처리한 대상을 상기 단말장치(200)로 인식한다.
상기 단말장치(200)가 검출되면, 상기 프로토콜 인식부(320)는 상기 근접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키 값 및 명령의 처리 순서와 동작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처리 순서 및 동작과 매칭되는지 판독한다. 만약 상기 처리 순서 및 동작이 매칭되면, 상기 프로토콜 인식부(320)는 상기 단말장치(200)의 보안응용모듈에 인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카드정보 전송 프로토콜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카드정보가 USIM(310)에 기록되는 경우, 상기 USIM(310)에 상기 카드정보를 기록 가능한 카드발급사 저장영역이 할당되어 있는지 판독하는 USIM 판독부(325)와, 상기 카드발급사 저장영역이 확인되면, 상기 USIM(310)의 카드발급사 저장영역에 대한 쓰기 권한을 획득하는 권한 획득부(330)를 구비한다.
사용자로부터 카드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요청 명령이 입력되거나, 또는 상기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200)가 검출되면, 상기 USIM 판독부(325)는 상기 USIM 리더부(309)를 통해 상기 USIM(310)에 상기 카드정보가 기록될 카드 발급사 저장영역이 할당되어 있는지 판독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SIM 판독부(325)는 상기 USIM 리더부(309)를 통해 상기 USIM(310)으로 리셋 신호를 인가한 후 상기 USIM(310)으로부터 응답되는 ATR(Answer To Reset)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USIM(310)에 카드 발급사 저장영역이 할당되어 있는지 판독할 수 있다.
상기 USIM(310)에 상기 카드 발급사 저장영역이 할당된 경우, 상기 권한 획득부(330)는 상기 화면 출력부(302)를 통해 상기 USIM(310)에 대한 쓰기 권한을 획득하는 PIN 입력 인터페이스를 출력한 후, 상기 PIN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PIN을 상기 USIM(310)으로 전달하여 상기 USIM(310)에 대한 쓰기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카드정보가 USIM(310)에 기록되는 경우, 상기 권한 획득부(330)는 상기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200)의 보안응용모듈에 구비된 대상 인식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200)로부터 상기 USIM(310)에 대한 쓰기 권한을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 값을 수신한 후, 상기 수신된 키 값을 상기 USIM(310)으로 전달하여 상기 USIM(310)에 대한 쓰기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단말장치(200)의 카드정보 전송 프로토콜에 대응하여 상기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200)로부터 카드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335)와, 상기 카드정보를 저장하는 카드 기록부(355)를 구비하며, 상기 카드정보가 암호화된 경우, 상기 암호화된 카드정보를 복호화할 복호화 키 값을 확인하는 키 값 확인부(340)와, 상기 복호화 키 값을 통해 상기 카드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처리부(34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신부(335)는 상기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200)의 보안응용모듈에 구비된 카드정보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200)로부터 카드의 매체로부터 획득된 카드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311)(또는 USIM(310))에는 스마트폰(300) 사용자의 개인 키가 저장되고, 통신망 상의 관리서버에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 키와 매칭되는 사용자의 공개 키가 상기 스마트폰(300)(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디바이스 식별 값과 연결되어 저장될 수 있는데, 상기 수신된 카드정보가 암호화된 경우, 상기 키 값 확인부(340)는 상기 메모리부(311)(또는 USIM(310))에 저장된 개인 키를 상기 암호화된 카드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키 값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말장치(200)의 보안응용모듈에는 상기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300)과 적어도 하나의 키 값을 교환하는 키 교환 프로토콜이 유지될 수 있는데, 상기 수신된 카드정보가 암호화된 경우, 상기 키 값 확인부(340)는 상기 키 교환 프로토콜에 대응하여 상기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200)와 적어도 하나의 키 값을 생성하여 교환하고, 상기 교환된 키 값 중 어느 하나의 키 값을 상기 암호화된 카드정보를 복호화할 복호화 키 값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복호화 키 값이 확인되면, 상기 복호화 처리부(345)는 상기 복호화 키 값을 통해 상기 암호화된 카드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상기 카드 기록부(355)는 상기 카드정보를 상기 메모리부(311)에 기록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카드정보가 USIM(310)에 기록되는 경우, 상기 카드 기록부(355)는 상기 권한 획득부(330)에 의해 획득된 쓰기 권한을 근거로 상기 USIM(310)의 카드 발급사 저장영역에 상기 카드정보를 기록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카드정보가 USIM(310)에 기록되는 경우, 상기 카드정보가 상기 USIM(310)의 파일 구조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상기 카드정보를 상기 USIM(310)에 기록될 파일 구조로 변환하는 정보 변환부(3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에서 모바일 카드를 발급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장치(200)는 카드의 매체에 기록된 카드정보를 획득하고(400),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카드정보가 전송될 스마트폰(300)을 인식한다(405).
만약 상기 스마트폰(300)이 인식되면, 상기 단말장치(200)는 상기 카드정보를 상기 스마트폰(300)으로 전송 가능한 데이터 구조로 가공할 수 있다(410). 또는 상기 카드정보를 암호화할 암호화 키 값을 확인한 후(415), 상기 암호화 키 값을 통해 상기 카드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다(420). 상기 데이터 구조의 가공 과정과 암호화 과정은 생략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단말장치(200)는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카드정보를 상기 인식된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한 후(425), 상기 카드정보가 이종의 스마트폰(300)으로 중복 전송되지 않도록 관리한다(43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에서 모바일 카드를 발급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폰(300)은 도 4에 도시된 단말장치(200)의 스마트폰(300) 인식 과정과 연계하여 근접 통신을 통해 단말장치(200)를 검출한다(50). 만약 상기 단말장치(200)가 검출되면, 상기 스마트폰(300)은 상기 단말장치(200)의 보안응용모듈에 구비된 카드정보 전송 프로토콜을 인식한다(505).
만약 상기 카드정보 전송 프로토콜이 인식되면, 상기 스마트폰(300)은 상기 카드정보 전송 프로토콜에 대응하여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200)로부터 카드정보를 수신한다(510). 한편 상기 카드정보가 암호화되어 있다면, 상기 스마트폰(300)은 상기 암호화된 카드정보를 복호화할 복호화 키 값을 확인한 후(515), 상기 복호화 키 값을 통해 상기 암호화된 카드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520). 상기 카드정보가 암호화되지 않았다면, 상기 복호화 과정은 생략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스마트폰(300)은 상기 카드정보를 메모리부(311)에 저장함으로써(525), 상기 단말장치(200)의 카드 리더와 연결된 카드를 상기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한다. 만약 상기 카드정보가 USIM(310)에 기록된다면, 상기 스마트폰(300)은 상기 USIM(310)에 카드 발급사 저장영역이 할당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카드 발급사 저장영역이 할당된 경우, 상기 USIM(310)의 카드 발급사 저장영역에 대한 쓰기 권한을 획득한 후, 상기 쓰기 권한을 근거로 상기 USIM(310)의 카드 발급사 저장영역에 상기 카드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200: 단말장치 255: 정보 획득부
260: 정보 구성부 265: 키 값 확인부
270: 암호화 처리부 275: 대상 인식부
280: 카드 처리부 285: 카드 관리부
300: 스마트폰 315: 단말장치 검출부
320: 프로토콜 인식부 325: USIM 판독부
330: 권한 획득부 335: 정보 수신부
340: 키 값 확인부 345: 복호화 처리부
350: 정보 변환부 355: 카드 기록부
260: 정보 구성부 265: 키 값 확인부
270: 암호화 처리부 275: 대상 인식부
280: 카드 처리부 285: 카드 관리부
300: 스마트폰 315: 단말장치 검출부
320: 프로토콜 인식부 325: USIM 판독부
330: 권한 획득부 335: 정보 수신부
340: 키 값 확인부 345: 복호화 처리부
350: 정보 변환부 355: 카드 기록부
Claims (8)
- 근접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소지한 카드에 기록된 카드정보를 획득하는 카드 리더기를 구비하는 단말장치를 검출하는 단말장치 검출부와,
상기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의 카드전송 프로토콜을 인식하는 프로토콜 인식부와,
상기 카드전송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카드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수신한 카드정보를 저장하는 카드 기록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카드정보가 USIM의 카드 발급사 저장영역에 기록되는 경우, 상기 USIM의 카드 발급사 저장영역에 대한 쓰기 권한을 획득하는 권한 획득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카드 기록부는,
상기 쓰기 권한을 근거로 상기 USIM의 카드 발급사 저장영역에 상기 수신한 카드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카드정보가 암호화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된 개인 키에 대응하는 복호화 키 값을 확인하는 키 값 확인부와,
상기 복호화 키 값을 통해 상기 암호화된 카드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처리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카드정보가 암호화된 경우, 상기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와 하나 이상의 키 값을 교환하여 상기 수신한 카드정보를 복호화할 복호화 키 값을 확인하는 키 값 확인부와,
상기 키 값 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복호화 키 값을 사용하여 상기 수신한 카드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처리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 스마트폰에서 모바일 카드를 발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근접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소지한 카드에 기록된 카드정보를 획득하는 카드 리더기를 구비하는 단말장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의 카드전송 프로토콜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카드전송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카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카드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에서 모바일 카드 발급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카드정보가 USIM의 카드발급사 저장영역에 기록되는 경우, 상기 USIM의 카드 발급사 저장영역에 대한 쓰기 권한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에서 모바일 카드 발급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카드정보가 암호화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된 개인 키에 대응하는 복호화 키 값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복호화 키 값을 통해 상기 암호화된 카드정보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에서 모바일 카드 발급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카드정보가 암호화된 경우, 상기 근접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와 하나 이상의 키 값을 교환하여 상기 수신한 카드정보를 복호화할 복호화 키 값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복호화 키 값을 통해 상기 수신한 카드정보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에서 모바일 카드 발급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3058A KR20130007498A (ko) | 2012-11-22 | 2012-11-22 | 모바일 카드 발급 방법 및 스마트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3058A KR20130007498A (ko) | 2012-11-22 | 2012-11-22 | 모바일 카드 발급 방법 및 스마트폰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7261A Division KR20120097811A (ko) | 2011-02-25 | 2011-02-25 | 모바일 카드 발급 방법과 이를 위한 단말장치 및 스마트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7498A true KR20130007498A (ko) | 2013-01-18 |
Family
ID=47837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3058A KR20130007498A (ko) | 2012-11-22 | 2012-11-22 | 모바일 카드 발급 방법 및 스마트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07498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198728B2 (en) | 2013-05-15 | 2019-02-05 |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sioning payment credentials |
-
2012
- 2012-11-22 KR KR1020120133058A patent/KR2013000749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198728B2 (en) | 2013-05-15 | 2019-02-05 |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sioning payment credential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12923B2 (en) | Personal point of sale | |
US9129270B2 (en) | Portable E-wallet and universal card | |
US8788418B2 (en) | Portable E-wallet and universal card | |
US9813116B2 (en) | Secure near field communication solutions and circuits | |
US1078351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personalizing identification token | |
ES2526641T3 (es) | Procedimiento de comunicación, dispositivo de comunicación y procesador seguro | |
US20150242844A1 (en) |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remote access and remote payment using a mobile device and a powered display card | |
TW201428530A (zh) | 配件、配件介面系統及方法 | |
KR101648502B1 (ko) | 카드형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및 방법 | |
CN101714216B (zh) | 半导体元件、生物体认证方法和系统、便携式终端 | |
EP2663106B1 (en) | Secure near field communication solutions and circuits | |
KR200401587Y1 (ko) | 원 타임 패스워드 생성용 스마트카드 리더 장치 | |
KR20130007498A (ko) | 모바일 카드 발급 방법 및 스마트폰 | |
KR20120097811A (ko) | 모바일 카드 발급 방법과 이를 위한 단말장치 및 스마트폰 | |
KR102193696B1 (ko) | 카드를 이용한 일회용코드 기반 안심 로그인 방법 | |
KR102172855B1 (ko) | 사용자의 휴대형 매체를 이용한 매체 분리 기반 서버형 일회용코드 제공 방법 | |
US10810296B2 (en) |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 |
KR101686631B1 (ko) | 스마트 보안 데이터 저장 장치 | |
KR100727866B1 (ko) | 원 타임 패스워드 생성용 스마트카드 리더 장치 | |
KR20180001647A (ko) | 무선장치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 |
KR20160025540A (ko) | 사용자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면 서비스 인증 방법 | |
KR20150065995A (ko) | 카드를 이용한 일회용코드 기반 다중 채널 인증 방법 | |
KR20170088793A (ko) | 사용자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면 서비스 인증 방법 | |
KR20180001649A (ko) | 무선장치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 |
KR20180001653A (ko) | 무선장치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