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865A - Mobile terminal, immediate shot service system of the living thing using that terminal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immediate shot service system of the living thing using that terminal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865A
KR20130006865A KR1020110061777A KR20110061777A KR20130006865A KR 20130006865 A KR20130006865 A KR 20130006865A KR 1020110061777 A KR1020110061777 A KR 1020110061777A KR 20110061777 A KR20110061777 A KR 20110061777A KR 20130006865 A KR20130006865 A KR 20130006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creature
unit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7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옥요한
Original Assignee
옥요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요한 filed Critical 옥요한
Priority to KR1020110061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6865A/en
Publication of KR20130006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86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1Analysis of document content
    • G06V30/413Classification of content, e.g. text, photographs or 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ultimedia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PURPOSE: A terminal, an immediate-shot creature illustrated service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easily supply information for creatures related to human life. CONSTITUTION: A database stores one or more pieces of creature information. A web server(310) receives image information of creatures from terminals(100). A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320) recognizes patterns of the creatures from the image informa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compares the patterns with the creatur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ransmits comparison result information to the terminals. [Reference numerals] (200) Network; (310) Web server; (321) Feature extraction unit; (322) Comparison unit; (323) Result providing unit; (331) Member DB; (332) Plant DB; (333) Insect DB; (334) Mushroom DB

Description

단말기, 이를 이용한 바로샷 생물 도감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Mobile terminal, Immediate shot service system of the living thing using that terminal and Method thereof}Mobile terminal, Immediate shot service system of the living thing using that terminal and Method

본 발명은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생물 사진을 업로드하면 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해주는 단말기, 이를 이용한 바로샷 생물 도감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net servic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on uploading a biological photo using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a tablet PC, and a method and a method for quick-shot biological illustrated service system using the same. will be.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기의 기능과 PDA의 기능을 결합시킨 스마트폰(smartphone) 및 태블릿 pc 기기들은 유, 무선 인터넷 또는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기존 휴대용 단말기에 비해 대용량의 메모리와 고성능의 CPU가 실장되어 있다.In general, smart phones and tablet PC devices that combine the functions of a mobile phone and a PDA can send and receive data in real time anytime and anywhere using wired, wireless Internet or data transmission services. In comparison, a large memory and a high performance CPU are mounted.

이러한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를 이용하여 흥미위주의 간단한 사물인식 중 얼굴인식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사용되고 있다. Face recognition application (Application) of the simple object recognition of interest-oriented using such a smartphone and a tablet pc is used.

한편, 지금까지 사물의 동정 방법은 사물을 눈으로 보고, 눈으로 본 사물을 도감류의 사전 속 자료와 비교하거나 또는 전문가의 조언 등에 의하여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전문가라 할지라도 특정 이외의 분야에서 사물의 동정에는 매우 어려움이 따르며, 두껍고 무거운 책을 들고 다니며 동정을 하기에는 매우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고, 특히 일반인의 경우 사물의 동정 시 어려움과 불편함을 겪게 된다.On the other hand, until now, the identification method of the object has been made by looking at the object with the eye, comparing the object seen with the preliminary data of the illustrated book or by expert advice. However, even experts, it is very difficult to identify things in other areas, and it is very inefficient to carry and sympathize with heavy and heavy books. .

그리고 언론을 통하면 가끔 독버섯을 식용으로 오인하여 식용함으로써 생명에 관한 사고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And through the media, sometimes misunderstanding poisonous mushrooms as edible and edible may cause accidents about lif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미지사물의 동정에 관한 어려움을 해결하고, 모든 일반인들에게 생물에 대해 널리 알리며, 사람의 생명에 밀접한 연관이 되는 생물에 관한 정보를 손쉽게 제공하는 단말기, 이를 이용한 바로샷 생물 도감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identification of unknown things, to inform the public to all the general public, the information on the creatur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To provide an easy terminal, it is to provide a quick-shot biological illustrated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바로샷 생물 도감 서비스 시스템은,Short-shot biological picture book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is problem,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네트워크망을 통해 접속하는 바로샷 생물 도감 서비스 시스템으로서,A quick-shot biological illustrated service system in which at least one terminal i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적어도 하나의 생물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A databas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rganism;

상기 단말기로부터 생물의 화상 정보를 수신하는 웹서버;A web server for receiving image information of a living organism from the terminal;

상기 생물의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생물의 패턴을 인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생물의 정보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And an information provision server for recognizing the pattern of the living organism from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living creature, comparing the living animal's pattern with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and transmitting the comparison resul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The database unit,

식물의 정보를 저장하는 식물 데이터베이스;A plant database for storing plant information;

곤충의 정보를 저장하는 곤충 데이터베이스;An insect database for storing information of insects;

버섯의 정보를 저장하는 버섯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Includes a mushroom database that stores mushroom information.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상기 생물의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생물의 패턴을 인식하는 특징 추출부;A feature extraction unit for recognizing a pattern of the creature from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creature;

상기 인식된 생물의 패턴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생물의 정보와 비교하는 비교부;A comparison unit for comparing the recognized organism pattern with information of the organism stored in the database;

상기 비교부의 비교결과 일치도가 높은 소정 순위의 생물 정보를 일치도와 함께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결과 제공부를 포함한다.And a result provid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having a predetermined degree of high agreement with the comparison result to the terminal.

상기 비교부는 상기 생물이 촬영된 위치 및 날짜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위치 및 날짜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생물 정보와 상기 인식된 생물의 패턴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parison unit may compare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database uni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and the date with the pattern of the recognized living creature with reference to the location and date information on which the creature was photographed.

상기 결과 제공부는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생물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생물정보는 생물의 종, 속, 과, 목 정보 및 요약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sult providing unit provides the biological information at the request of the terminal, wherein the biological information includes species, genus, fruit, tree information and summary information of the organism.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바로샷 생물도감 서비스 방법은,Short-shot bio illustrated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is problem,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네트워크망을 통해 접속하는 바로샷 생물도감 서비스 시스템의 바로샷 생물 도감 서비스 방법으로서,As a shortcut shot bio illustrated service method of a shortcut shot bio illustrated service system to which at least one terminal i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웹서버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생물의 화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image information of a living organism from the terminal by a web server;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생물의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생물의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Recognizing, by 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he pattern of the creature from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creature;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생물의 정보와 상기 인식된 생물의 패턴을 비교하는 단계;Comparing, by 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he pattern of the recognized creature with information of the creature stored in the database;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비교 결과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d transmitting, by 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he comparison resul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비교 결과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ransmits the comparison resul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비교결과 일치도가 높은 소정 순위의 생물 정보를 백분율화된 일치도와 함께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iological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rank having a high degree of agreement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with a percentage degree of agreement.

상기 정보제공서버는 상기 생물이 촬영된 위치 및 날짜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위치 및 날짜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생물 정보와 상기 인식된 생물의 패턴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을 한다.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may be configured to compare the biological information of the database uni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and date with the pattern of the recognized creature by referring to the location and date information on which the creature is photographed.

상기 정보제공서버는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생물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생물정보는 생물의 종, 속, 과, 목 정보 및 요약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provides the biological information at the request of the terminal, wherein the biological information includes species, genus, family, tree information and summary information of the organism.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단말기는,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is problem,

웹서버를 구비하고, 네트워크망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바로샷 생물도감 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말기로서,A terminal having a web server and connected to a quick-shot bio illustrated service system that provides a service through a network,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부;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selection of a user;

생물을 촬영하는 카메라부;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creature;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바로샷 서비스가 선택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카메라부를 구동하여 상기 생물의 영상을 취득하고, 취득한 영상에서 해당 생물의 형상을 인식하여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웹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결과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When the quick shot service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executed, the camera unit is driven to acquire an image of the creature, the shape of the creature is recognized from the acquired image, and transmitted to the web server. And a control unit which displays the resul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on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미지사물의 동정에 관한 어려움을 해결하고, 모든 일반인들에게 생물에 대해 널리 알리며, 사람의 생명에 밀접한 연관이 되는 생물에 관한 정보를 손쉽게 제공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difficulty of identification of unknown things, to inform all the general public about creatures, and to easily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creatur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또한, 위치나 계절 및 시간에 관계없이 미지사물의 동정에 관한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difficulty of identifying unknown things regardless of location, season and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로샷 생물도감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로샷 생물도감 서비스 방법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단말기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유사한 생물끼리 차이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9는 비교결과 정보를 나타내는 단말기의 화면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quick-shot bio- illustrated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method for a quick-shot bio illustrate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erminal screen.
5 to 8 is a view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similar organisms.
9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of a terminal showing the comparison result informa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lso, the terms " part, "" module," and " module ", etc.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로샷 생물 도감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quick-shot biological picture book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로샷 생물 도감 서비스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생물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330); 상기 단말기로부터 생물의 화상 정보를 수신하는 웹서버(310); 상기 생물의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생물의 패턴을 인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생물의 정보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제공 서버(32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quick-shot biological illustrated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base unit 330 for stor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rganism; A web server 310 for receiving image information of a living organism from the terminal;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20 that recognizes the pattern of the living organism from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living creature, compares the living animal with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and transmits the comparison resul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30)는, 다양한 식물의 위치 및 계절에 대응하는 성장과정, 서식지역, 개화시기, 영상, 영상에서 추출한 패턴정보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식물 데이터베이스(332); 다양한 곤충의 위치 및 계절에 대응하는 성장과정, 서식지역, 영상, 영상에서 추출한 패턴정보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곤충 데이터베이스(333); 다양한 버섯의 위치 및 계절에 대응하는 성장과정, 서식지역, 영상, 영상에서 추출한 패턴정보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버섯 데이터베이스(334)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생물의 정보는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부(330)는 필요에 따라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331)를 더 포함하고, 가입자 인증을 하여 가입자에게만 바로샷 생물도감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The database unit 330 includes: a plant database 332 for storing information such as a growth process, a habitat area, a flowering time, an image, and pattern information extracted from an image corresponding to various plant positions and seasons; An insect database 333 for storing information such as growth processes, habitat areas, images, and pattern information extracted from images corresponding to various insect locations and seasons; It includes a mushroom database 334 for storing information such as the growth process, habitat area, image, pattern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and season of the various mushrooms. And the information of these organisms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In addition, the database unit 330 may further include a subscriber database 331 for storing subscriber information as needed, and may provide a shortcut shot bio illustrated service only to the subscriber by authenticating the subscriber.

상기 정보 제공 서버(320)는, 상기 생물의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생물의 패턴을 인식하는 특징 추출부(321); 상기 인식된 생물의 패턴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생물의 정보와 비교하는 비교부(322); 상기 비교부의 비교결과 일치도가 높은 소정 순위의 생물 정보를 일치도와 함께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결과 제공부(323)를 포함한다.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20, the feature extraction unit 321 for recognizing the pattern of the creature from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creature; A comparator 322 for comparing the recognized organism pattern with information of the organism stored in the database; And a result providing unit 323 for transmitt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having a predetermined degree of high match with the comparison result to the terminal.

상기 비교부(322)는 상기 생물이 촬영된 위치 및 날짜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위치 및 날짜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생물 정보와 상기 인식된 생물의 패턴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을 한다.The comparison unit 322 compares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database uni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and the date with the pattern of the recognized creature by referring to the location and date information on which the creature is photographed.

상기 결과 제공부(323)는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생물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생물정보는 생물의 종, 속, 과, 목 정보 및 요약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sult providing unit 323 provides the biological information at the request of the terminal, wherein the biological information includes species, genus, family, tree information and summary information of the organism.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단말기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terminal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단말기(100)는 인터넷이 가능한 컴퓨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정보 단말기, 태블릿 pc 등 다양한 전자기기를 포함한다.The terminal 100 includes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computer, a smartphone, a notebook computer, an information terminal, a tablet pc, and the like, which are Internet-enabl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2,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웹서버를 구비하고, 네트워크망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바로샷 생물도감 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말기로서, 입력부(110), 표시부(120), 통신부(130), 제어부(140), 스피커(150), 저장부(160), 타이머(170), GPS부(180), 카메라부(19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일반 컴퓨터나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도 있다.A terminal having a web server and connected to a short shot bio illustrated service system that provides a service through a network, the input unit 110, the display unit 120, the communication unit 130, the control unit 140, and the speaker 150. , Storage unit 160, timer 170, GPS unit 180, and camera unit 190. The terminal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smart phone, a tablet pc or the like, but may be a general computer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pending on the case.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으며,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10 receives a user's selection, and may include a keyboard, a mouse, a touch screen, and the like.

GPS부(180)는 외부의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자신의 좌표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The GPS unit 180 generates and outputs its coordinates using a sig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satellite.

카메라부(190)는 버섯, 식물, 곤충 등의 생물을 촬영하여 영상을 출력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음성 녹음 기능도 갖는다.The camera unit 190 photographs a creature such as a mushroom, a plant, an insect, and outputs an image. In some cases, it also has a voice recording function.

저장부(160)는 제어프로그램을 내장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촬영된 영상 정보를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160 may embed a control program and store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as necessary.

스피커(150)는 음성을 출력하며, 벨소리, 사람의 음성 등을 출력할 수 있다.The speaker 150 may output a voice, and may output a ring tone, a human voice, and the like.

표시부(120)는 다양한 선택정보, 촬영된 영상, 비교 결과 정보 등을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20 displays various selection information, photographed images, comparison result information, and the like.

통신부(130)는 통신기능을 수행하며, 전화기능이나 인터넷 등을 이용 시에 외부의 통신망을 통해 통신기능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30 performs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performs a communication function through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when using a telephone function or the Internet.

제어부(140)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상기 바로샷 서비스가 선택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카메라부(190)를 구동하여 상기 생물의 영상을 취득하고, 취득한 영상에서 해당 생물의 형상을 인식하여 상기 웹서버(310)로 전송하고, 상기 웹서버(310)로부터 수신되는 결과정보를 상기 표시부(120)에 표시한다.When the short shot service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110, the controller 140 executes the application, drives the camera unit 190 to acquire an image of the creature, and shapes the creature from the acquired image. Recognize and transmit the result to the web server 310, and displays the resul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eb server 310 on the display unit 120.

타이머(170)는 날짜 및 시간정보를 제공한다.The timer 170 provides date and time information.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가진 단말기 및 바로샷 생물도감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the quick-shot bio illustrated service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로샷 생물도감 서비스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quick-shot bio illustrated book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 사용자는 산이나 들을 돌아다니다가 잘 모르는 생물을 접하는 경우, 입력부(110)를 조작하여 도 4와 같이 선택을 한다.Referring to FIG. 3, when a user of a terminal encounters an unknown creature while walking around a mountain or a field, the terminal user selects as shown in FIG. 4 by operating the input unit 110.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100)의 화면에서 바로샷 서비스(400)를 선택하면, 제어부(140)는 바로샷 생물도감 서비스 화면(400)을 표시부(120)에 제공한다. Referring to FIG. 4, when the shortcut shot service 400 is select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0, the controller 140 provides the shortcut shot bio illustrated service screen 400 to the display 120.

이후 사용자는 해당 생물에 대해 카메라부(190)에 생물이 올바로 찍힐 수 있도록 각도를 조정하여 사진찍기를 선택한다. 그러면,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카메라부(190)가 해당 생물을 촬영하여 출력한다(S120).After that, the user adjusts the angle so that the creature can be correctly photographed in the camera unit 190 with respect to the creature, and selects to take a picture. Then, the camera unit 190 captures and outputs the creatur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0 (S120).

그리고 나서, 제어부(140)는 취득한 영상에서 해당 생물의 형상을 인식하여 상기 웹서버(310)로 전송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사물영역을 확정하고(S130), 제어부(140)가 확정된 영상을 인식하여 상기 웹서버(310)로 전송한다(S140).Then, the controller 140 recognizes the shape of the creature in the acquired image and transmits it to the web server 310. If necessary, the user determines the thing area (S130), and the control unit 140 recognizes the determined image and transmits it to the web server 310 (S140).

여기서, 전체 영상을 보낼 수도 있지만 데이터량을 줄이기 위해 생물의 형상만을 인식하여 송신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제어부(140)는 gps부(180) 및 타이머부(170)를 참조하여 단말기의 위치, 날짜 시간 정보를 추가로 취득하여 웹서버(310)로 송신할 수도 있다(S140).  Here, the entire image can be sent, but only the shape of the creature is recognized and transmitted to reduce the amount of data.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40 may further obtain the location and date tim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with reference to the gps unit 180 and the timer unit 170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web server 310 (S140).

그러면, 웹서버(310)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생물의 화상 정보를 수신한다.Then, the web server 310 receives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creature from the terminal.

그리고 나서, 정보 제공 서버(320)의 특징 추출부(321)가 상기 생물의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생물의 패턴을 인식한다(S230).Then, the feature extraction unit 321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20 recognizes the pattern of the creature from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creature (S230).

다음, 상기 정보 제공 서버(320)의 비교부(322)가 데이터베이스부(330)에 저장된 생물의 정보와 상기 인식된 생물의 패턴을 비교하고(S240), 결과 제공부(323)가 백분율화된 비교 결과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한다(S250, S260). 이때, 비교결과 일치도가 높은 순위의 생물 정보를 백분율화된 일치도와 함께 상기 단말기(100)로 송신한다.Next, the comparison unit 322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20 compares the information of the living organisms stored in the database unit 330 with the pattern of the recognized living organisms (S240), and the result providing unit 323 is percentageized. The comparison resul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S250, S260). At this time, the biometric information having a high degree of match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0 along with a percentage matched degree.

그리고 비교부(322)는 상기 생물이 촬영된 위치 및 날짜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위치 및 날짜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30)의 생물 정보와 상기 인식된 생물의 패턴을 비교하여 더욱 정확한 비교결과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더욱 정확한 비교가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comparison unit 322 compares the biological information of the database unit 330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and the date with the pattern of the recognized living organism with reference to the location and date information on which the creature was photographed, and more accurately compares the result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us, a more accurate comparison is possible.

또한, 정보제공서버(320)는 상기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생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상기 생물정보는 생물의 종, 속, 과, 목 정보 및 요약 정보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20 may provide the biological information at the request of the terminal 100, the biological information includes species, genus, subject, tree information and summary information of the organism.

상기 과정에서 패턴인식과정 및 비교과정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pattern recognition process and the comparison process in the above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바로샷 생물도감 서비스란 카메라가 달린 단말기로 사진을 찍어 데이터가 생성되면 이를 유,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면 전송받은 데이터를 정보제공서버(320)가 전처리(Preprocessing) 과정을 통하여 사물(Object)의 특징을 추출하고 이를 자율학습(Unsupervised)형 패턴매칭 과정을 통한 인식 결과를 퍼센트화 하여 상위 1순위에서 3~5순위를 나열하여 정보를 요청한 단말기에 결과값을 전송하는 서비스를 말한다.Short-shot bio illustrated service service takes a picture with a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and when data is generated, transmits it via wired or wireless Internet,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20 preprocesses the received data. It is a service that transmits the result value to the terminal that requested the information by extracting the feature and percentage-recognizing the recognition result through the unsupervised pattern matching process.

특징 추출부(321) 및 비교부(322)는 사물을 인식하고 패턴을 분석하여 기존 사물과 매칭 하고 사물의 특징에 따라 사물을 명확히 구분하는데 핵심이 있다. The feature extractor 321 and the comparator 322 recognize a thing, analyze a pattern, match it with an existing thing, and clearly classify the thing according to the feature of the thing.

특징 추출부(321)의 패턴 인식은 두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어 식물의 경우 일차적으로 에지검출을 통하여 잎, 줄기, 꽃 등을 구분해 내며, 불변 모멘트를 이용하여 식물의 유사성이 나타나는 종의 판독을 하며, 이차적으로 PCA법을 통한 식물의 명칭을 판독해 낸다. Pattern recognition of the feature extractor 321 consists of two stages. For example, a plant primarily distinguishes leaves, stems, and flowers through edge detection, and uses species invariants to show similarities. Then, the plant name is read out by PCA method.

위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단말기(100)가 카메라부(190)를 이용하여 광학적 형태의 영상을 아날로그 신호 형태인 전기 신호로 변환하면 카메라부(190)에 있는 CCD(Charge Coupled Device)에 의해 빛의 세기에 비례하는 전기신호로 변환된 2차원 배열 형태의 데이터가 저장부(160)에 저장된다. 저장된 이미지 중 단말기 사용자는 일차적으로 상ㆍ하 및 좌ㆍ우로 늘어나고 줄어드는 움직이는 사각창 형태의 영역기능을 이용하여 사물영역을 선택하여 이를 웹서버(310)로 송신한다.As a method for implementing the above method, when the terminal 100 converts an optical image into an electrical signal in the form of an analog signal using the camera unit 190, th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 charge coupled device (CCD) in the camera unit 190. The two-dimensional array data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proportional to the light intensity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Among the stored images, the terminal user first selects and transmits the object area to the web server 310 by using the area function in the form of a moving rectangular window that increases and decreases up, down, left, and right.

그러면 특징 추출부(321)가 에지검출을 하고 에지추적을 하여 체인코드화 한다. 코드화된 데이터는 경계를 적절히 분할하여 새로 표본화하면 정규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이를 영역 불변 모멘트를 사용하여 사물의 일차적 판독을 거친 후 이차적으로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법을 통하여 특정 사물의 평균영상을 빼 성분값을 얻어 낸다. 이 성분값핀다. 코드화된 에서 데이터베이스부(330)의 축소된 고유벡터 공간할하여 새로사물 영상들의 성분벡터와 . 해서 유크리디 거리(Euclidian distance)가 최소가 되는 것이 전송된 이미지와 같은 사물로 인식된다.Then, the feature extraction unit 321 performs edge detection and edge tracking to chaincode. Coded data can be normalized by properly dividing the boundaries and newly sampling. In addition, after the first reading of the object using the region invariant moment, the component value is obtained by subtracting the average image of the specific object through 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method. This component value pin. In the coded, the reduced eigenvectors of the database unit 330 are spatially spaced to obtain component vectors of new object images. The minimum Euclidian distance is thus perceived as the same thing as the transmitted image.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에지 검출(Edge Detection)에서 에지 또는 윤곽선은 이미지상에서 밝기가 낮은 값에서 높은 값으로 또는 그 반대로 변하는 부분으로 주로 영역의 경계를 나타내는 특징으로 검출될 수 있다. 에지는 영역의 위치, 모양, 크기 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미지상에서 밝기값의 변화율 즉, 미분 값이 특정 임계값보다 더 큰 화소들이 바로 에지가 된다. 다시 말하면 이미지상에서 밝기 변화가 큰 곳은 데이터가 생성되고 밝기 변화가 없는 나머지에서는 0의 값을 가짐으로써 경계선 검출기의 기능을 한다. 이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1, 2차 연산자를 사용한다. 이미지상의 경계가 일정한 방향의 직선인 경우에는 허브변환 또는 마스크법을 사용한다. 에지 세선화(Edge Thinnig)시 이웃 화소들의 기울기 벡터 방향을 비교하여

Figure pat00001
안에 있는 화소들만을 검사한다. 불규칙한 조명 및 잡음으로 인하여 연결 부분이 끊어진 경우 구해진 에지점들을 추적하여 윤곽선이 연결되도록 하는 에지 추적(Edge Following)을 실시하며, 에지검출이 수행된 이미지상의 모든화소 (x, y)에 대한 이웃 화소들 중에서 특징이 비슷한 화소들을 연결한다. 이미지의 전처리 과정이 끝나면 이후 체인코드(Chain Code)화 에 들어간다. 영역의 경계선을 주어진 방향을 가진 단위 크기 직선들로의 표현은 4연결성 또는 8연결성의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여 처음 시작 화소의 위치로 되돌아오면 종료한다. 경계를 나타내는 체인코드는 출발점에 따라 달라지게 되나 체인코드를 방향을 나타내는 숫자의 열로 생각하여 정규화가 가능하다. 이때 크기가 달라진 경우 경계를 적절히 새로 표본화 하여 정규화 시킨다. 이후 불변 모멘트(Moments)를 사용하여 일차적으로 사물을 판독하게 된다. 에지 검출로 선택된 이미지는 정규화된 명암도 영상 함수를 2D 확률 변수의 확률 밀도로 해석한다. 0이 아닌 화소값이 영역을 표현 한다고 가정하면, 에지 선만이 유효한 값으로 사용되며 기존 사물의 에지 이미지와 비교하여 일차적 사물의 판독에 들어간다. 불변 모멘트의 경우 크기, 이동, 회전 변화에 대해 가장 유사한 일치율을 가지는 사물을 설정하고 이를 PCA법을 이용한 판별에 들어간다.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In edge detection, an edge or a contour line may be detected as a feature that mainly represents a boundary of an area as a portion of the brightness of the image that changes from a low value to a high value or vice versa. The edge can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shape, size, and the like of the region. The edges are the pixels in the image where the rate of change of the brightness value, that is, the derivative value is greater than a certain threshold value. In other words, where the change in brightness is large in the image, data is generated, and in the rest where there is no change in brightness, a value of 0 functions as a boundary detector. This uses the primary and secondary operators currently in use. If the boundary on the image is a straight line in a certain direction, use the hub transform or mask method. By comparing the gradient vector direction of neighboring pixels in edge thinnig,
Figure pat00001
Only the pixels inside are examined. If the connection is broken due to irregular lighting and noise, edge following is performed to trace the obtained edge points so that the outline is connected, and neighboring pixels for all pixels (x, y) on the image where edge detection is performed. The pixels having similar characteristics are connected. After the preprocessing of the image is finished, it is then chained. The representation of the boundary of the region as unit size straight lines with a given direction ends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of the 4-connected or 8-connected and returns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starting pixel. The chaincode that represents the boundary depends on the starting point, but can be normalized by thinking of the chaincode as a column of numbers that indicate the direction. If the size is changed, the boundary is properly sampled and normalized. Then we use the constant moments to read things first. The image selected by edge detection interprets the normalized contrast image function as the probability density of the 2D random variable. Assuming a non-zero pixel value represents an area, only the edge line is used as a valid value and enters the primary object's reading compared to the edge image of the existing object. In the case of the invariant moment, we set the object with the most similar match rate for the change in size, movement, and rotation, and enter it into discrimination using the PCA method.

이차적 판독단계인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법은 일차적으로 판독된 이미지가 주어졌을 때 이미 저장된 사물 이미지들 중에서 중에서이미지를 검색해 낸다. 이미지중 사물의 크기가 N X N이고 훈련 집합(training set)에 있는 사물 이미지의 개수가 M개일 때 각각의 사물 이미지를 N2개의 성분을 가지는 1차원 열벡터들로 표현하면 N2 X M 행렬 X를 구성할 수 있다. 관측 벡터인 Xⅰ는 훈련 집합 안에 있는 각각의 사물의 이미지를 나타낸다.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which is a secondary reading step, retrieves an image from among already stored object images when a first read image is given. When the size of an object in the image is NXN and the number of objects in the training set is M, each object image is expressed as one-dimensional column vectors having N2 components. have. The observation vector Xⅰ represents an image of each object in the training set.

Xⅰ, i = 1, ..., MXⅰ, i = 1, ..., M

그 다음 훈련 집합의 평균 사물 이미지(mx)을 다음의 식으로 구한다.Then, the average object image (mx) of the training set is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mx =

Figure pat00002
mx =
Figure pat00002

실제 각각의 사물 이미지들은 조명 조건이 다를 수 있으므로, 이를 보정해 주기 위해서 같은 사물 이미지에서 평균 사물 이미지를 뺀

Figure pat00003
(=Xi - mx)라는 벡터를 구한다. 이렇게 얻어진
Figure pat00004
라는 벡터를 이용한 X의 공분산 행렬 CX는 다음과 같다.Since each object image may have different lighting conditions, to compensate for this, subtract the average object image from the same object image.
Figure pat00003
Find a vector called (= Xi-mx). Thus obtained
Figure pat00004
The covariance matrix CX of X using the vector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이 N2 X N2 공분산 행렬에서 데이터의 분포를 가장 잘 표현하는 정규직교 벡터, 즉 N2개의 고유벡터들을 고유값의 크기 순으로 구하면 N X N의 사물이미지들은 기저 함수가 된다.In this N2 X N2 covariance matrix, the normal orthogonal vectors, ie, N2 eigenvectors, that best represent the distribution of data are ordered by the magnitude of the eigenvalues.

고유사물이미지를 이용한 인식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처리할 데이터의 양을 줄이기 위해 큰 고유치들에 대응하는 k(k<N2)개의 고유벡터들을 구한다. 일단 새로운 사물이미지 X'가 주어지면 새 이미지(일차적으로 판독된 이미지)를 위에서 구한 일련의 고유사물들로 표현하기 위해, 축소된 고유벡터 공간으로 투사시켜 다음과 같은 식을 통하여 그 성분값을 구한다.The recognition process using the unique object image is as follows. First, to reduce the amount of data to be processed, k (k <N2) eigenvectors corresponding to large eigenvalues are obtained. Once a new object image X 'is given, to represent the new image (primaryly read image) as a series of eigenobjects obtained above, it is projected to the reduced eigenvector space and its component value is obtained by .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일차적으로 판독된 사물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각각의 고유사물의 공헌도를 이렇게 얻어진 성분값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벡터

Figure pat00007
를 구한다.Using the component values thus obtained, the contribution of each intrinsic object in the representation of the first-read object image is
Figure pat00007
.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일차적으로 판독된 사물이미지와 같은 것을 검색하기 위해서 위의 값을 축소된 고유벡터 공간에 저장된 사물 이미지들의 성분벡터

Figure pat00009
와 비교해서 유클리디 거리
Figure pat00010
가 최소가 되는 것이 입력 이미지사물과 같은 사물로 인식된다. The component vector of the object images stored in the reduced eigenvector space to retrieve the same as the object image read first.
Figure pat00009
Euclidean distance in comparison with
Figure pat00010
Is minimized to be recognized as an object such as an input image object.

사물의 경우 변수는 식물체의 생김새(형태)에 따라 분류 할 수 있는데 이는 식물형태학(곤충은 곤충형태학)에 따르며 식물의 다양성은 적자생존(기후, 환경 등)이라는 자연선택에 의한 진화과정의 결과물이며, 이는 사물의 다양성 및 고유성을 나타내는 특징이 되며, 이에 사물의 형태를 통한 동정이 가능하다. In the case of things, variable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ppearance (morphology) of the plant, which is based on plant morphology (insect morphology), and the diversity of plants is the result of the evolutionary process by natural selection called survival of the fittest (climate, environment, etc.). This is a feature that represents the diversity and uniqueness of things, and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m through the form of things.

일예로 식물은 잎, 뿌리, 줄기, 꽃 등으로 형태학적 분류가 가능하고 잎은 단엽, 복엽, 자엽, 전출엽, 저장엽, 포충엽, 탁엽, 가시, 소엽, 대엽 등으로 형태적 구분이 가능하고 꽃잎은 종형, 호형, 누두형, 순형, 분형, 통형, 설형, 접형, 화피편 등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뿌리 역시 주근, 측근, 저장근, 기근, 수축근, 호흡근, 뿌리혹 등으로 형태적 구분이 명확하다.For example, plants can be classified morphologically into leaves, roots, stems, flowers, etc., and leaves can be classified into foliar, bicotyledonous, cotyledon, exfoliation, storage lobes, insects, leafy leaves, thorns, leaflets, and large leaves. Can be classified into bell, arc, walnut, pure, powder, barrel, snow, splint, and skin fragments. Roots also have distinct morphologies such as root, lateral, reservoir, famine, contractile muscle, respiratory muscle, and root nodule.

특히 도 5를 참조하면, 꽃의 경우 대칭성 및 형태적 뚜렷한 형질이 나타난다. In particular, referring to Figure 5, in the case of flowers appear symmetrical and morphologically distinct traits.

또한, 균계 중 버섯의 경우 자실체의 갓, 자루, 주름은 선명한 형태로 구분되며, 현재 시판되고 있는 버섯 도감의 경우 매우 정확한 자료가 수집되어 있고, 산림청 공시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버섯은 약 1,550여종으로 이중식용과 약용으로 알려진 버섯은 400여종이고, 독버섯은 160여종 그리고 나머지 990여종은 식용인지 독버섯인지 불명확한 하다고 밝혀졌다.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in case of mushrooms among mushrooms, the freshly stalks, sacks, and wrinkles of fruiting bodies are divided into vivid forms.In the case of the mushroom book currently on the market, very accurate data are collected. According to the Korea Forest Service published data, about 1,550 kinds of mushrooms in Korea It is known that there are 400 kinds of mushrooms known for food and medicinal use, 160 kinds of poisonous mushrooms, and 990 kinds of poisonous mushrooms.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독버섯과 식용버섯의 구분도 이다.Figure 6 is a distinction between poisonous mushrooms and edible mushrooms.

도 6의 느타리버섯(600)은 식용이지만 화경버섯은 독버섯으로, 갓 표면의 인편 유무로 구분이 가능하며, 노란달걀버섯(610)은 식용이지만 개나리광대버섯은 독버섯으로, 갓의 형태에 따라 구분 가능하고, 싸리버섯(620)은 식용이지만 붉은싸리버섯은 독버섯으로, 색의 차이에 의해 구분된다. 이처럼 균계 중 버섯은 사물의 외형적 특질로서 구분이 가능하며, 식독 가능 및 식독 불가의 판단만으로도 매년 일어나는 독버섯 중독 사고를 예방 할 수 있다. The oyster mushroom 600 of Figure 6 is edible, but the hardy mushroom is a poisonous mushroom, can be distinguish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scales on the surface, yellow egg mushroom (610) is edible, but the forsythia crab mushroom is poisonou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gat Possibility, sari mushroom 620 is edible, but red mori mushrooms are poisonous mushrooms, distinguished by the difference in color. As such, mushrooms can be distinguished as the outward characteristics of things, and can prevent poisonous mushroom poisoning accidents that occur every year just by determining whether they can be read or not.

우리나라의 식물은 약 30,000여 종으로 이중 국립생물자원관에 23,000여 종의 식물 자료가 수집되어 있으며, 일반인이 접할 수 있는 식물의 종류는 약 6,000여 종이고, 이중 20%인 약 1,200여 종의 식물이 식용 가능하다.There are about 30,000 kinds of plants in Korea, and 23,000 kinds of plant data are collected in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and about 6,000 kinds of plants can be encountered by the general public, and about 1,200 kinds of plants are 20%. This is edible.

또한, 식물계의 식물들 역시 매우 뚜렷한 특질을 가진다. 엽상식물의 경우 잎, 줄기, 뿌리 등의 기관분화가 뚜렷하지 않지만, 경엽식물의 경우 양치식물과 종자식물처럼 기관이 완전히 분화되어 있으며, 선태식물의 경우 태류는 우산이끼와 망울이끼와 같이 몸이 줄기, 잎의 구분이 없는 얇은 엽상체이며, 선류는 솔이끼와, 물이끼처럼 뿌리, 잎, 줄기의 구분이 가능하며, 양치식물의 경우 석송, 고사리와 같이 관다발이 발달하고 꽃이 없으며, 종자식물중 겉씨식물의 경우 씨방이 없어 밑씨가 노출, 단성화, 꽃잎과 꽃받침이 없는 반면, 속씨식물의 경우 밑씨가 씨방 속에 들어 있고, 꽃은 암술, 수술 모두 가지며, 속씨식물 중 외떡잎 식물은 떡잎 1장, 잎맥은 나란히맥, 꽃잎ㅇ꽃받침은 3배수를 띄며, 쌍떡잎 식물은 떡잎 2장, 잎맥은 그물맥, 꽃잎ㅇ꽃받침은 4,5배수를 띈다.In addition, the plants of the plant family also have very distinct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leafy plants, organs such as leaves, stems, and roots are not clearly distinguished, but in the case of leafy plants, organs are completely differentiated like ferns and seed plants. It is a thin frond with no distinction between stems and leaves, and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roots, leaves, and stems like brush moss and water moss. In the case of the outer seeds, there is no ovary, so the seed is not exposed, single flowered, petals and calyx, whereas the inner seeds have the seed in the ovary, and the flowers have both pistil and stamens. Side by side, petals calyxes tripled, dicotyledonous plants with two leaves, leaf veins with net veins, petals sepals 4,5 times.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식물은 종류에 따라 매우 명확하게 구분되는 성질이 있으며, 생물 분류에 따라 명확한 차이가 일어난다. 즉, 같은 문, 같은 강, 같은 목, 같은 과의 식물이라 해도 종이 다르다면 명확히 구분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we have seen above, plants are very distinctive in nature, and there is a clear difference in biodiversity. In other words, even plants of the same door, the same river, the same tree, and the same family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Referring to FIG. 7, the following will be described.

도 7은 단풍나무과의 단풍잎 비교도 이다.Figure 7 is a comparison of the maple leaves of the maple family.

도 7은 모두 식물 중 속씨식물 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단풍나무과의 단풍잎이지만, 잎사귀 둘레가 찢어져 뾰족뾰족 나온 낱낱의 작은 잎(열편, 裂片)이 3개인 것은 신나무(720), 5개는 고로쇠나무(710), 7개를 단풍나무(730), 11개인 것을 섬단풍나무(700)라 한다. 이처럼 식물의 잎사귀 또는 꽃ㅇ꽃잎은 종마다 고유의 특성을 갖는다. Figure 7 is a maple leaf of the genus Dicotyledon-tree of the Agaricaceae, among the plants, but three small leaves (lobe, 나온 片) with the tip of the leaves are ripped around the tip of the new tree (720), five of the locust tree (710 ), Seven are maples (730), 11 are called maples (700). Thus, the leaves or flower petals of plants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한편, 모든 단풍나무의 잎은 7개이며 대부분 비슷한 크기와 비율을 가진다. On the other hand, all maple leaves are seven and most have similar size and propor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차이를 패턴인식방법을 통해 데이터화 하고, 이를 기존 사물들의 영상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사물 동정을 정확히 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erence may be data-formed through a pattern recognition method, and compared with the image data of the existing objects to accurately identify the object.

한편, 동물계 중 절지동물문 곤충강(Insecta)은 대악아문의 1강으로 Myrientomata, Ligoentomata, Pterygota, Pterygota의 4아강으로 구성된다. 몸은 머리, 가슴, 배의 3부분으로 뚜렷하게 구분되며, 두부에는 1쌍의 촉각, 3쌍의 구기(큰턱, 작은턱, 아랫 입술)의 31쌍의 복안(겹눈)과 통상 3개의 단안(홑눈)이 있고, 가슴에는 3체절로 3쌍의 다리와 일반적으로 2쌍의 날개가 있다. 복부는 7~13체절, 보통은 11체절로 유시곤충류의 성체에는 부속지가 없다. 도 12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arthropods of insects (Insecta) of the animal world is the first class of the great evil gate, composed of four subclasses of Myrientomata, Ligoentomata, Pterygota, and Pterygota. The body is distinctly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head, the chest, and the abdomen.The head has 31 pairs of compound eyes (double eyes) and 3 monoculars (single eyes) The chest has three joints, three pairs of legs, and generally two pairs of wings. Abdomen 7-13 segments, usually 11 segments, without appendages for adult insects.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12 is as follows.

도 8은 절지동물문의 몸구조 및 곤충강의 대표적인 목 분류도 이다. 8 is a representative neck classification of the arthropod body structure and insect cavity.

도 8은 절지동물문의 거미류, 갑각류, 지네류, 곤충류의 각각의 몸구조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었으며, 곤충류(830)의 경유 다른 세 부류와 달리 몸을 3부분(머리, 흉부, 복부)으로 구분 하며, 흉부에 3쌍의 발과 2쌍의 날개가 있음을 알 수 있고, 곤충강의 대표적인 분류도(840)를 통하여, 곤충들 역시 각각의 매우 특별한 외형적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Figure 8 shows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body structure of each of the arthropods arachnids, crustaceans, centipedes, insects, unlike the other three classes via the insects 830, the body into three parts (head, chest, abdomen) It can be seen that the chest has three pairs of feet and two pairs of wings, and through the representative classification diagram 840 of the insect cavity, it can be seen that the insects also have their very special appearance.

따라서, 절지동물문의 곤충강은 위에서 언급한 사물인식알고리즘을 거쳐, 기존사물들의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사물 동정을 할 수 있다. Therefore, the insect river of the arthropod gate can identify thing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ata with existing objects through the object recognition algorithm mentioned above.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위에 기재된 패턴인식 방법 외에도 기존 기술의 패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생물도감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If necessary, in addition to the pattern recognition method described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bio illustrated service using the pattern recognition technology of the existing technology.

이러한 과정에 의해 단말기에 결과 정보가 제공되면, 사용자는 도 9와 같은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다.When the result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terminal by this process,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the screen as shown in FIG.

도 9를 참조하면, 단말기가 송신한 영상은 사물인식결과 산토끼 고사리로 판단되었고, 산토끼 고사리일 확률이 98퍼센트이다. 그리고 고사리일 확률이 80퍼센트이고, 각시고사리일 확률은 67퍼센트이다.Referring to FIG. 9, the image transmitted by the terminal was determined to be a hare fern as a result of object recognition, and the probability of being a hare fern is 98 percent. There is an 80 percent chance of being a fern, and a 67 percent chance of being a fern.

따라서, 사용자는 손쉽게 자신이 원하는 생물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추가로 상세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Thus, the user can easily obtain the information about the desired creature and further detailed information as needed.

그러므로 일반인들이 미지사물영상을 인터넷이 가능한 카메라가 단린 단말기로 송신하기만 하면, 매우 손쉽고, 간편하게 언제 어디서든, 사물을 동정할 수 있게 되며, 매년 일어나는 사물의 식독 판단의 어려움으로 인한 사고사를 상당부분 줄일 수 있다. Therefore, the general public can easily identify the objects anytime, anywhere, simply by sending the unknown object video to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the accidents caused by the difficulty of judging the reading of the objects that occur every year. Can be reduc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apparatus and the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Implementa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Claims (7)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네트워크망을 통해 접속하는 바로샷 생물 도감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생물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생물의 화상 정보를 수신하는 웹서버;
상기 생물의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생물의 패턴을 인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생물의 정보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바로샷 생물 도감 서비스 시스템.
A quick-shot biological illustrated service system in which at least one terminal i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 databas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rganism;
A web server for receiving image information of a living organism from the terminal;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hat recognizes the pattern of the living organism from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living creature, compares it with information of the living creature stored in the database, and transmits the comparison resul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식물의 정보를 저장하는 식물 데이터베이스;
곤충의 정보를 저장하는 곤충 데이터베이스;
버섯의 정보를 저장하는 버섯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바로샷 생물 도감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atabase unit,
A plant database for storing plant information;
An insect database for storing information of insects;
A quick-shot biological illustrated service system that includes a mushroom database that stores mushroom inform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생물의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생물의 패턴을 인식하는 특징 추출부;
상기 인식된 생물의 패턴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생물의 정보와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의 비교결과 일치도가 높은 소정 순위의 생물 정보를 일치도와 함께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는 바로샷 생물 도감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A feature extraction unit for recognizing a pattern of the creature from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creature;
A comparison unit for comparing the recognized organism pattern with information of the organism stored in the database;
And a result provid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having a predetermined high degree of matching result to the terminal to the termin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생물이 촬영된 위치 및 날짜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위치 및 날짜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생물 정보와 상기 인식된 생물의 패턴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로샷 생물 도감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comparison unit compares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database uni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and date with the pattern of the recognized living organism by referring to the location and date information on which the creature was photograph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제공부는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생물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생물정보는 생물의 종, 속, 과, 목 정보 및 요약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로샷 생물 도감 서비스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sult providing unit provides the biological information at the request of the terminal, wherein the biological information includes the species, genus, fruit, tree information, and summary information of the organism.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네트워크망을 통해 접속하는 바로샷 생물도감 서비스 시스템의 바로샷 생물 도감 서비스 방법으로서,
웹서버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생물의 화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생물의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생물의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생물의 정보와 상기 인식된 생물의 패턴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비교 결과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로샷 생물도감 서비스 방법
As a shortcut shot bio illustrated service method of a shortcut shot bio illustrated service system to which at least one terminal i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Receiving image information of a living organism from the terminal by a web server;
Recognizing, by 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he pattern of the creature from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creature;
Comparing, by 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he pattern of the recognized creature with information of the creature stored in the database;
The quick-shot bio illustrated service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comparison resul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by 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웹서버를 구비하고, 네트워크망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바로샷 생물도감 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말기로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부;
생물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바로샷 서비스가 선택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카메라부를 구동하여 상기 생물의 영상을 취득하고, 취득한 영상에서 해당 생물의 형상을 인식하여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웹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결과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A terminal having a web server and connected to a quick-shot bio illustrated service system that provides a service through a network,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selection of a user;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creatur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When the quick shot service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executed, the camera unit is driven to acquire an image of the creature, the shape of the creature is recognized from the acquired image, and transmitted to the web server. And a control unit which displays the resul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on the display unit.



KR1020110061777A 2011-06-24 2011-06-24 Mobile terminal, immediate shot service system of the living thing using that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201300068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777A KR20130006865A (en) 2011-06-24 2011-06-24 Mobile terminal, immediate shot service system of the living thing using that terminal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777A KR20130006865A (en) 2011-06-24 2011-06-24 Mobile terminal, immediate shot service system of the living thing using that terminal and method thereof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854A Division KR20130045287A (en) 2013-01-25 2013-01-25 Mobile terminal, immediate shot service system of the living thing using that terminal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865A true KR20130006865A (en) 2013-01-18

Family

ID=47837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777A KR20130006865A (en) 2011-06-24 2011-06-24 Mobile terminal, immediate shot service system of the living thing using that terminal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686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7186A (en) * 2017-07-12 2019-01-22 김장욱 Talk with plant service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20200087342A (en) * 2018-12-31 2020-07-21 월드버텍 주식회사 Plant recognizing system based deep learn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7186A (en) * 2017-07-12 2019-01-22 김장욱 Talk with plant service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20200087342A (en) * 2018-12-31 2020-07-21 월드버텍 주식회사 Plant recognizing system based deep learn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o et al. Detecting tomatoes in greenhouse scenes by combining AdaBoost classifier and colour analysis
Aquino et al. vitisBerry: An Android-smartphone application to early evaluate the number of grapevine berries by means of image analysis
Saedi et al. A deep neural network approach towards real-time on-branch fruit recognition for precision horticulture
Li et al. Immature green citrus fruit detection and counting based on fast normalized cross correlation (FNCC) using natural outdoor colour images
Kurtulmus et al. Immature peach detection in colour images acquired in natural illumination conditions using statistical classifiers and neural network
Lu et al. Fine-grained maize tassel trait characterization with multi-view representations
Liu et al. Detection of citrus fruit and tree trunks in natural environments using a multi-elliptical boundary model
US20230071265A1 (en) Quantifying plant infestation by estimating the number of biological objects on leaves, by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that use training images obtained by a semi-supervised approach
CN113252584B (en) Crop growth detec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5G transmission
CN112257702A (en) Crop disease identification method based on incremental learning
Kumar et al. An identification of crop disease using image segmentation
CN112465038A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disease and insect pest types of fruit trees
Muthukumarana et al. A review on deep learning based image classification of plant diseases
CN109190571A (en) A kind of detection recognition method and its device of grazing sheep feeding typical plant type
Murugeswari et al. Automated sugarcane disease detection using faster RCNN with an android application
Jia et al. Dough‐Stage Maize (Zea mays L.) Ear Recognition Based on Multiscale Hierarchical Features and Multifeature Fusion
JP5351084B2 (en) Image recognition apparatus and image recognition method
KR20130006865A (en) Mobile terminal, immediate shot service system of the living thing using that terminal and method thereof
CN116863452A (en) Plant disease identification method, storage medium, and identification system
CN108664921B (en) Image identific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bag-of-words model under android platform
KR20130045287A (en) Mobile terminal, immediate shot service system of the living thing using that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anwal et al. Overlapped apple fruit yield estimation using pixel classification and hough transform
Husin et al. Plant chili disease detection using the RGB color model
Kalmukov et al. Methods for Automated Remote Sensing and Counting of Animals
Fang et al. Classification system study of soybean leaf disease based on deep le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