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763A - 다중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는 tdd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는 tdd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763A
KR20130006763A KR20110061043A KR20110061043A KR20130006763A KR 20130006763 A KR20130006763 A KR 20130006763A KR 20110061043 A KR20110061043 A KR 20110061043A KR 20110061043 A KR20110061043 A KR 20110061043A KR 20130006763 A KR20130006763 A KR 20130006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carrier
uplink
tdd
downlink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61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6779B1 (ko
Inventor
박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10061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779B1/ko
Priority to PCT/KR2012/004868 priority patent/WO2012177042A2/ko
Priority to US14/128,449 priority patent/US9236986B2/en
Publication of KR20130006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5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hybrid frequency-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T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22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using time-division multiple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다중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는 TDD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는 TDD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은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제 1, 제 2 요소 반송파를 포함하는 요소 반송파 집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서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한 응답 제어 정보가 포함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는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와 다운링크 및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에 있어 상이한 TDD 설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중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는 TDD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ata traffic in Time Division Duplex System using Multi Component Carrier}
본 발명은 하나 또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를 사용하는 TDD시스템에서 응답 제어 정보를 여러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데이터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이 발전해나감에 따라 사업체들 및 개인들과 같은 소비자들은 매우 다양한 무선 단말기들을 사용하게 되었다. 현재의 3GPP 계열의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등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벗어나 영상, 무선 데이터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고속 대용량의 통신 시스템으로서, 유선 통신 네트워크에 준하는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식으로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는 송신과 수신을 특정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되 타임 슬롯으로 구분하여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TDD 시스템에서 업링크(Uplink, UL, 또는 상향링크) 및 다운링크(Downlink, DL, 또는 하향링크)를 설정하는 방식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전송하는 타이밍이 바뀌어 질 수 있다. 한편,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는 TDD 시스템에서 이러한 응답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을 설정하는 것은 전체 네트워크의 효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를 세밀하게 조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응답 제어 정보의 효율적인 할당을 위해 다중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는 TDD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를 사용할 경우, 각각의 요소 반송파의 TDD 설정을 달리 하여,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위치를 다양하게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전송되는 응답 제어 정보가 특정 셀 또는 특정 요소 반송파가 아닌 여러 셀 또는 여러 요소 반송파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하여 전송되도록 구현하고자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는 TDD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은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제 1, 제 2 요소 반송파를 포함하는 요소 반송파 집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서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한 응답 제어 정보가 포함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는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와 다운링크 및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에 있어 상이한 TDD 설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는 TDD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은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제 1, 제 2 요소 반송파를 포함하는 요소 반송파 집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서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에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한 응답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는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와 다운링크 및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에 있어 상이한 TDD 설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사용자 단말에게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제 1, 제 2 요소 반송파를 포함하는 요소 반송파 집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서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수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한 응답 제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는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와 다운링크 및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에 있어 상이한 TDD 설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기지국에게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제 1, 제 2 요소 반송파를 포함하는 요소 반송파 집합중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서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수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기지국에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한 응답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는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와 다운링크 및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에 있어 상이한 TDD 설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TDD 시스템에서의 응답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동일한 TDD 설정을 할 경우의 A/N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동일하지 않은 TDD 설정을 할 경우의 A/N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을 보여주는 제 1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PCell 또는 Scell 중에서 동적인 A/N 타이밍을 제공하기 위한 스위칭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PCell 또는 Scell 중에서 동적인 A/N 타이밍을 제공하기 위한 스위칭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에서 다중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는 TDD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트래픽을 제어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이 다중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는 TDD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트래픽이 제어되도록 응답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 2의 다운링크-업링크 사이의 A/N 타이밍 매핑 관계를 유지하여 A/N을 셀을 바꿔 전송하는 예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매핑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다수의 셀 상에서 서로 다른 TDD 설정이 적용될 경우의 응답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다수의 셀 상에서 서로 다른 TDD 설정이 적용될 경우의 응답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다수의 셀 상에서 서로 다른 TDD 설정이 적용될 경우의 응답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을 도시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시스템은 단말(10; 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20; Base Station, BS, 또는 eNB)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말(10)은 무선 통신에서의 사용자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20)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단말(10)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20)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10)과 기지국(20)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단말(10)과 기지국(20)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업링크(Uplink, UL, 또는 상향링크)는 단말(10)에 의해 기지국(20)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다운링크(Downlink, DL, 또는 하향링크)는 기지국(20)에 의해 단말(10)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업링크 전송 및 다운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LTE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업링크와 다운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LTE-A에서는 LTE에서 단일 반송파에 의한 규격이 기본을 이루고, 20MHz보다 작은 대역을 가진 몇 개의 대역의 결합에 대해서 논의되고 있는 반면에 20MHz이상의 대역을 가지는 요소 반송파 대역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LTE-A에서 다중 반송파 집합화(Carrier Aggregation, 이하 'CA'라 칭함)에 대한 논의는 기본적으로 LTE의 기본규격을 근거로 백워드 컴패터빌러티(Backward Compatibility)를 최대한 고려해 이루어지고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에서는 최대 5개의 요소 반송파가 고려되고 있다. 물론, 상기 5개의 요소 반송파는 시스템의 환경에 따라 증감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요소 반송파 집합은 해당 시스템에서 사용하도록 설정된(configured) 둘 이상의 요소 반송파들로 이루어진 집합을 의미한다.
CA에 있어서, 제어 채널 설계와 관련되어 여러 가지 고려되고 있는 사항 중에 상향링크 ACK/NACK(ACKnowledgement/Negative ACKnowledgement) 전송과,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이하 "CQI"라 칭함),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s, 이하 "PMI"이라 칭함) 및 RI(Rank Indicator, 이하 "RI"라 칭함)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채널정보 전송에 관한 사항이 있다.
LTE-A에서는 CA의 구성을 위해서 기본적으로 3GPP LTE Rel-8의 백워드 컴패터빌러티(Backward Compatibility) 사항을 고려하고 있다. LTE Rel-8에서 표준으로 정해진 CQI/PMI/RI정보는 상향 제어 채널인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와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통하여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상향링크 및/또는 하향링크 HARQ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계층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제1계층(L1), 제2 계층(L2), 제3 계층(L3)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 계층에 속하는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한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는 CA에 적용될 수 있다. CA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단말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환경을 의미한다. 이들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은 서로 인접하여 존재할 수도 있고 인접하지 않게 주파수 대역이 이격되어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가 독립적으로 존재하여 그 수가 동일할 수도 있고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다수의 요소 반송파에는 하나 이상의 주요 요소 반송파(Primary Component Carrier, PCC)와 PCC가 아닌 요소 반송파(Secondary Component Carrier, SCC)가 존재할 수 있다. PCC를 통하여 주요 측정 신호 또는 제어 정보가 송수신될 수 있으며, PCC를 통하여 SCC를 할당할 수 있다. 상기 PCC 및 SCC와 같은 의미로 PCell(Primary Cell) 및 SCell(Secondary Cell)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PCell과 SCell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는 동일하게 PCC 및 SCC에 적용될 수 있다.
LTE-A에서 CA의 경우, 요소 반송파의 개수가 복수이기 때문에, 업링크의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정보의 양이 대략 반송파의 개수만큼 증가할 수 있다. LTE-A에서의 반송파 집합화의 경우, 업링크와 다운링크의 반송파 개수가 다른 비대칭 상황이 존재할 수 있는데, 업링크의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정보량이 대략 반송파의 개수만큼 증가할 경우, 각 반송파의 자원블록그룹을 구성하여 자원 할당하는데 있어서 비효율성이 더욱 크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비대칭 상황에서도 상향 링크의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ACK/NACK과 같은 응답 제어 정보(Ack/Nack Control Data)가 효율적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TDD의 설정이 요소 반송파 별로 상이할 경우, 응답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하, 응답 제어 정보의 일 실시예로 A/N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각 서빙셀(Serving Cells)들 사이에 유연한 UL-DL 설정(configuration)을 통해서 효율적인 데이터 트래픽(Data traffic)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즉, 다수의 요소반송파에 대해 독립적인 TDD 설정이 적용되었을 시 발생하는 ACK/NACK과 같은 응답 제어 정보(Ack/Nack Control Data) 전송 타이밍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아래의 표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TDD 설정을 보여주는 표이다. 각 TDD설정마다 다른 UL-DL subframe 전송 타이밍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1] 업링크-다운링크 설정(Uplink-downlink configurations)
Figure pat00001

표 1에서 서브프레임 수에 대응하여 D로 표시된 영역은 다운링크이며, U로 표시된 영역은 업링크이다. S는 다운링크에서 업링크로 전환되는 서브프레임(Downlink-to-Uplink Switch-point periodicity)으로 다운링크와 같이 동작될 수 있다.
[표 2] 다운링크 결합 집합 인덱스(Downlink association set index K:
Figure pat00002
for TDD)
Figure pat00003

표 2는 현재 TDD에서 고려되는 A/N 전송 타이밍을 나타낸 표이다. 표 2를 보면 각 TDD 설정과 현재 subframe n (0~9), 그리고 이 n에 해당하는 K 집합에 따라, K가 지시하는 다운링크의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PDSCH의 A/N전송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현재 subframe n=2, TDD설정이 2 인 경우 K집합이 8,7,4,6이 된다. M값(특정 UL subframe과 연관된 DL subframe의 수, 즉 하나 이상의 DL subframe상에서 전송되는 PDSCH에 대한 A/N 전송은 특정 UL subframe에서 전송된다)은 여기서 4가 된다. K 집합은
Figure pat00004
다음과 같은 index로 정의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2와 같다.
도 2는 TDD 시스템에서의 응답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서 표 1의 설정 2에 따라 서브프레임들의 구성은 라디오 프레임(radio frame)(210, 220)이 반복되어 구성된다. 이때, 220의 2번 서브프레임(222)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이며, 이 경우, 표 2의 설정 2에 따른 정보인 202와 같이 A/N 전송이 되는, 즉 222와 연관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은 8, 7, 4, 6이 되며 이는 현재 222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8, 7, 4, 6만큼 앞서있는, 210의 서브프레임의 A/N이 222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다.
이하, 서브프레임 중 업링크 서브프레임은 U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은 D로, 그리고 다운링크에서 업링크로 스위치 되는 서브프레임을 S로 표시하고자 한다.
한편, TDD CA 환경에서 모든 CC들에 대하여 동일한 TDD 설정을 한 경우에는 모든 CC들이 동일한 TDD 구성을 가지게 된다.
이 경우, PCell 또는 PCC상에서만 전송되는 모든 configured CC에 대한 A/N이 동일한 타이밍(timing)과 동일한 DL 서브프레임의 수 (i.e. M : 하나의 UL subframe과 연관되어 있는 DL 서브프레임의 수로, 특히 A/N 전송과 관련이 깊음)를 가지고 전송하게 된다. 즉, TDD 설정을 모든 CC에 대해 동일하게 하지 않도록 구성할 경우, 그리고 PCell 이외에도 A/N이 전송되도록 할 경우에는 서로 다른 TDD 설정으로 인해 현재의 A/N 타이밍이 보다 다양해 질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3은 동일한 TDD 설정을 할 경우의 A/N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서는 4 개의 셀로 구성된 요소 반송파 집합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 3에서는 PCell에 설정된 TDD 설정과 SCell1, SCell2, SCell3에 설정된 TDD 설정은 310, 320, 330, 340과 같이 모두 표 2의 설정값 1과 같다. 이 경우,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위치는 모두 동일하며, 모든 셀(PCell, SCell1, SCell2, SCell3)에서 송신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응답 정보인 A/N 정보는 모두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인 311, 312를 통하여 전송된다. A/N 정보는 특정 서브프레임 시점에서는 어느 한 서브프레임을 통하여 전송되도록 한정할 경우, 동일한 시점에서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할당된 도 3의 경우에는 PCell에서만 A/N을 전송할 수 있다. 390은 각각의 셀들의 서브프레임 번호를 나타낸다.
도 4는 동일하지 않은 TDD 설정을 할 경우의 A/N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을 보여주는 제 1 실시예이다. 도 4에서는 4 개의 셀로 구성된 요소 반송파 집합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 4에서는 PCell에 설정된 TDD 설정과 SCell1에 설정된 TDD 설정은 410, 420과 같이 표 2의 설정값 1이며, SCell2, SCell3에 설정된 TDD 설정은 430, 440과 같이 표 2의 설정값 2와 같다. 업링크 서브프레임은 451, 452와 같이 구별된다. 도 4에서 PCell상에서 설정된 TDD 설정은 UL subframe의 수가 다른 SCell2, SCell3 상에서의 TDD설정보다 많은 UL subframe 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PCell에서 다른 SCell로 HARQ A/N 스위칭(switching) 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도 4의 경우에는 411, 412와 같이,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A/N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490은 각각의 셀들의 서브프레임 번호를 나타낸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PCell에서 A/N 정보를 전송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SCell 에서도 HARQ A/N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즉, PCell상에서만 HARQ A/N이 전송되는 경우에는 실제 PCell 설정에 따라서 HARQ A/N 타이밍(timing)이 제한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빠르고 효과적인 HARQ 동작을 이끌기 위해서는 특정 상황에서 HARQ A/N transmission on SCell 을 허락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HARQ A/N 타이밍을 어떤 기준으로 설정할 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PCell 또는 Scell 중에서 동적인 A/N 타이밍을 제공하기 위한 스위칭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서는 4 개의 셀로 구성된 요소 반송파 집합의 구성을 보여준다.
우선 PCell(510)의 경우, 업링크 서브프레임(511)에서 서브프레임 #2, #3에 HARQ A/N 타이밍이 정의되어 있으면, PCell 상으로 모든 CC 상에서 전송된 PDSCH에 대한 A/N은 PCell의 해당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다.
하지만 PCell상에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존재하지 않고 SCell들에만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Scell 2(530)와 SCell 3(540)의 경우에는 PCell상에서 전송되지 않고 SCell을 이용하여 A/N 전송을 수행하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
이 때, 545와 같이, SCell2와 SCell3의 업링크 HARQ A/N 타이밍이 충돌할 경우에는 여러가지 기준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소 Scell 인덱스(lowest SCell index)를 가지는 SCell 상으로 HARQ A/N이 전송되도록 약속된 경우, 531에서 A/N 전송이 수행된다. 또는 RRC signaling을 통해서 각 SCell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SCell들의 충돌을 해결할 수도 있으며, 네트워크에서 미리 설정(Predefine)할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SCell2의 #4 서브프레임(531)과 SCell3의 #4 서브프레임에서 업링크 타이밍이 중복되므로, SCell2의 #4 서브프레임(531)에서 HARQ A/N이 전송되며, SCell3의 #7, #9 서브프레임(541, 542)에서는 다른 PCell, SCell들(510, 520, 530)에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업링크 타이밍의 충돌 없이 HARQ A/N 전송이 가능하다.
도 5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기존의 HARQ A/N 타이밍을 변화시키지 않고 단지, 도 5의 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 UE에게는 SCell 상으로 HARQ A/N을 전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HARQ A/N 전송의 효율을 CC별로 서로 다른 TDD 설정이 가능한 시나리오에서 쉽게 얻을 수 있다. 590은 각각의 셀들의 서브프레임 번호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PCell 또는 Scell 중에서 동적인 A/N 타이밍을 제공하기 위한 스위칭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에서는 3 개의 셀로 구성된 요소 반송파 집합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 6은 세 개의 밴드(Band A, Band B, Band C)를 도시하고 있으며, 각각의 Band별 TDD 설정은 PCell 1(610)의 경우 설정 2, SCell1(620)의 경우 설정 4, SCell2(630)의 경우 설정 6과 같다.
PCell(610)에서 업링크 서브프레임(611)은 서브프레임 #2에 HARQ A/N 타이밍이 정의되어 있으며, 모든 CC 상에서 전송된 PDSCH에 대한 A/N은 PCell의 해당 업링크 서브프레임(611)에서 전송된다.
하지만 PCell상에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존재하지 않고 SCell들에만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있는 경우, 즉 621, 631과 같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도 SCell을 이용하여 A/N 전송을 수행한다. 물론,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업링크 HARQ A/N 타이밍이 충돌하지 않도록, 미리 정하거나, CC 인덱스를 이용하거나, RRC 설정을 통하여 구현할 수 있다.
한편, #7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점을 살펴보면, PCell에도 업링크 서브프레임(612)이 존재하며, SCell2에도 업링크 서브프레임(633)이 존재한다. 이 경우에도 다양한 선택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선택 기준의 하나로, 업링크 HARQ A/N 타이밍이 충돌하는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하여, 전/후로 다른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존재한다면, 해당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셀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A/N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서 PCell의 #7 업링크 서브프레임(612)은 전/후인 #6, #8이 모두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존재하며, 단지 하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만 존재한다. 그러나 SCell2의 #8 업링크 서브프레임(633)의 전 서브프레임인 #7(632)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므로, 두 개의 서브프레임이 연결되어 존재한다. 따라서, A/N 전송의 효율을 위하여 SCell2의 632, 633 서브프레임에서 A/N가 전송될 수 있다. 690은 각각의 셀들의 서브프레임 번호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에서 다중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는 TDD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트래픽을 제어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기지국은 제 1 요소 반송파 및 제 2 요소 반송파의 TDD 방식을 설정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에게 지시한다(S710). TDD 설정은 앞서 표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업링크/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 1, 제 2 요소 반송파를 포함하는 요소 반송파 집합중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서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한다(S720). 여기서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란, 다운링크를 통해 PDSCH를 송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는 PCell이며,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는 SCell이 될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이 상기 송신된 PDSCH에 대한 사용자 단말의 A/N인 응답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여러 가지 경우를 고려하여 응답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먼저, 기지국은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가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와 상이한 TDD 설정인지 확인한다(S730). 동일한 TDD 설정인 경우, 즉 도 3의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PCell인 제 1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한 응답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S760). 한편,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는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와 다운링크 및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에 있어 상이한 TDD 설정인 경우,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시간적 영역과 상이한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740). 만약,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시간적 영역과 상이한 업링크 서브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 1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응답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S760). 도 4와 같은 경우를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시간적 영역과 상이한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제 2 요소 반송파에 존재할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한 응답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S750).
만약, 도 7에서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와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중복되는 제 3 요소 반송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 또는 상기 제 3 요소 반송파의 셀 인덱스(Cell index), 상기 사용자 단말과 미리 약속된 정보, 또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SCell인 요소 반송파들이 다수 있으며, 이들 요소 반송파들 모두 응답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인 경우, 이들 중 하나의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응답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선택 방식은 셀 인덱스 중 가장 낮거나 가장 높은 인덱스를 사용하는 방안, 미리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이 약속한 방식을 사용하는 방안 등이 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이 다중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는 TDD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트래픽이 제어되도록 응답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은 기지국이 설정한 제 1 요소 반송파 및 제 2 요소 반송파의 TDD 방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810). TDD 설정은 앞서 표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업링크/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 1, 제 2 요소 반송파를 포함하는 요소 반송파 집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서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S820).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이란 둘 이상의 요소 반송파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UE와 eNB간에 사용하도록 설정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는 PCell이며,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는 SCell이 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은 상기 수신된 PDSCH에 대한 A/N인 응답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여러 가지 경우를 고려하여 응답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가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와 상이한 TDD 설정인지 확인한다(S830). 동일한 TDD 설정인 경우, 즉 도 3의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PCell인 제 1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한 응답 제어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한다(S860). 한편,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는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와 다운링크 및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에 있어 상이한 TDD 설정인 경우,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시간적 영역과 상이한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840). 만약,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시간적 영역과 상이한 업링크 서브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 1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상기 기지국에 응답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S860). 도 4와 같은 경우를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시간적 영역과 상이한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제 2 요소 반송파에 존재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기지국에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한 응답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S850).
만약, 도 8에서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와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중복되는 제 3 요소 반송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 또는 상기 제 3 요소 반송파의 셀 인덱스(Cell index), 상기 기지국과 미리 약속된 정보, 또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SCell인 요소 반송파들이 다수 있으며, 이들 요소 반송파들 모두 응답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인 경우, 이들 중 하나의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응답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선택 방식은 셀 인덱스 중 가장 낮거나 가장 높은 인덱스를 사용하는 방안, 미리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이 약속한 방식을 사용하는 방안 등이 될 수 있다.
도 7, 8에서의 응답 제어 정보의 송수신은 상기 응답 제어 정보가 포함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지금까지 TDD-CA 환경에서 CC들에게 상이한 TDD 설정이 된 경우, SCell 에서도 응답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구현하는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구성은 사용자 단말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신부(910), 수신부(930)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9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920)는 도 7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제 1, 제 2 요소 반송파를 포함하는 요소 반송파 집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서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부(91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920)는 상기 수신부(930)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한 응답 제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이란 둘 이상의 요소 반송파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UE와 eNB간에 사용하도록 설정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는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와 다운링크 및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에 있어 상이한 TDD 설정을 가지는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는 PCell(Primary Cell)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는 SCell(Secondary Cell)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와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는 밴드(band)가 상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SCell들에서 응답 제어 정보가 전송될 수 있는 경우, 이들 다수의 SCell에서 어떤 SCell을 통하여 응답 제어 정보가 전송될 것인지는 SCell인 요소 반송파 다수의 셀 인덱스, 상기 사용자 단말과 미리 약속된 정보, 또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응답 제어 정보가 전송될 SCell의 요소 반송파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구성은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신부(1010), 수신부(1030)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020)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020)는 도 8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제 1, 제 2 요소 반송파를 포함하는 요소 반송파 집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서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수신부(1030)를 제어한다.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이란 둘 이상의 요소 반송파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UE와 eNB간에 사용하도록 설정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20)는 상기 기지국에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한 응답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부(1010)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는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와 다운링크 및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에 있어 상이한 TDD 설정을 가지는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는 PCell(Primary Cell)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는 SCell(Secondary Cell)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와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는 밴드(band)가 상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SCell들에서 응답 제어 정보가 전송될 수 있는 경우, 이들 다수의 SCell에서 어떤 SCell을 통하여 응답 제어 정보가 전송될 것인지는 SCell인 요소 반송파 다수의 셀 인덱스, 상기 기지국과 미리 약속된 정보, 또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응답 제어 정보가 전송될 SCell의 요소 반송파를 선택할 수 있다.
이하, 다수의 셀 상에서 서로 다른 TDD 설정이 적용될 경우의 응답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 2의 다운링크-업링크 사이의 A/N 타이밍 매핑 관계를 유지하여 A/N 전송에 관한 셀을 바꿔 전송하는 예이다. 도 11에서는 2개의 셀로 구성된 요소 반송파 집합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 11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수의 셀 상에서 서로 다른 TDD 설정이 적용될 경우의 응답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두 개의 셀인 PCell과 SCell로 구성된다. PCell은 표 1의 TDD 설정 2에 따르며, SCell은 표 1의 TDD 설정 3에 따른다. 본 명세서에서 살펴본, TDD 설정이 셀마다 다르게 설정된 경우이다. TDD 설정 단위(10 개의 서브프레임)를 기준으로 20개의 서브프레임이 제시되어 있다. 제 1 라디오 프레임(1110)과 제 2 라디오 프레임(1120)이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한 예를 살펴보기 위하여, 제 2 라디오 프레임(1120)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또한, 제 2 라디오 프레임(1120)에서 PCell의 #2(1121), SCell의 #3(1125), #4(1126)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어느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응답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지 살펴본다.
표 2의 설정에 따를 경우, PCell의 #2(1121)에는 8, 7, 4, 6 앞에 존재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매핑되어 있으며, SCell의 #3(1125)은 6, 5 앞에 존재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매핑되어 있으며, SCell의 #4(1126)는 5, 4 앞에 존재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매핑되어 있다.
상기의 매핑을 고려할 경우, PCell의 #2(1121)에는 제 1 라디오 프레임(1110)의 #4, #5, #6, #8에 해당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매핑되며, SCell의 #3(1125)은 제 1 라디오 프레임(1110)의 #7, #8 에 해당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매핑되며, SCell의 #4(1126)은 제 1 라디오 프레임(1110)의 #9 및, 제 2 라디오 프레임(1120)의 #0 에 해당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매핑된다.
도 11은 이러한 매핑에 따라, PCell과 S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A/N 정보를 전송하는 매핑 관계를 보여준다.
즉,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SCell의 제 1 라디오 프레임(1110)의 #5, #6에서 전송되는 PDSCH에 대한 응답 제어 정보는 PCell의 제 2 라디오 프레임(1120)에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2(1121)를 통하여 전송된다. 그러나, SCell의 제 1 라디오 프레임(1110)의 #7, #8에서 전송되는 PDSCH에 대한 응답 제어 정보는 SCell의 제 2 라디오 프레임(1120)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3(1125)을 통해서 전송되며, SCell의 제 1 라디오 프레임(1110)의 #9 및 제 2 라디오 프레임(1120)의 #0에서 전송되는 PDSCH에 대한 응답 제어 정보는 SCell의 제 2 라디오 프레임(1120)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4(1126)를 통해서 전송된다.
도 11와 같이 PCell의 TDD 설정과 SCell의 TDD 설정이 상이하며,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시간적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S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3, #4)이 존재할 경우, 응답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보다 효율적인 응답 제어 정보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즉, S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도 응답 제어 정보를 보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만 응답 제어 정보를 보내는 경우보다 효율적인 HARQ-ACK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
도 11에서 SCell의 제 1 라디오 프레임(1110)의 #8은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1121)에도 매핑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매핑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다수의 셀 상에서 서로 다른 TDD 설정이 적용될 경우의 응답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과의 비교를 위하여 도 11의 설정을 그대로 사용한다. 도 12에서는 2개의 셀로 구성된 요소 반송파 집합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 12의 실시예에서는 표 2의 다운링크-업링크 매핑 관계를 고려하지 않는다. 즉, 업링크 서브프레임(subframe # n)이 있을 경우, 이 업링크 서브프레임보다 4 앞선, 즉 #(n-4)를 포함한 이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부터 업링크 서브프레임 #n에서 전송이 가능하며, PCell(PCC)와 SCell(SCC)가 모두 서브프레임 #n에서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가진다면 PCell(PCC)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A/N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2에서 SCell의 1215, PCell의 1211, 1211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매핑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1 라디오 프레임(1210)에서의 SCell의 #4의 업링크 서브프레임(1215)이 있으며, 이는 4 이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즉 제 1 라디오 프레임(1210)의 #0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A/N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 1 라디오 프레임(1210)에서의 PCell의 #7의 업링크 서브프레임(1211)에는 제 1 라디오 프레임(1210)의 #1, #3 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A/N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 2 라디오 프레임(1220)에서의 PCell #2의 업링크 서브프레임(1221)에는 제 1 라디오 프레임(1210)의 #4, #5 #6, #7, #8 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A/N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특정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A/N에 대해 중복하여 전송되는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A/N Repetition이라고 한다. 즉 A/N Repetition이 활성화(enable)된 경우라면, 첫 번째 전송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다음으로 처음으로 오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서 동일한 A/N 정보가 N_rep번만큼 반복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N_rep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동일한 A/N 정보가 다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서 반복적으로 전송되는 것에 대한 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만약 2번 반복전송(N_rep = 2)가 설정된다면 업링크 서브프레임 n에서 첫 번째 A/N 정보가 전송되고 다음으로 오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도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를 적용하여, 모든 CC에 대한 업링크 서브프레임 전송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다음으로 오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n_1 에 그것에 대한 A/N 정보가 전송될 것이 있다면 그것을 전송하지 않고 이전 업링크 서브프레임 n 에서 전송되는 A/N정보가 동일한 것이 다음 업링크 서브프레임 n_1에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다수의 셀 상에서 서로 다른 TDD 설정이 적용될 경우의 응답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에서는 앞서 살펴본 표 2의 다운링크-업링크 매핑을 적용한 경우의 실시예이다. 도 13에서는 3개의 셀로 구성된 요소 반송파 집합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 13에는 세 개의 셀인 PCell과 SCell1, SCell2로 구성된다. PCell은 표 1의 TDD 설정 5에 따르며, SCell1은 표 1의 TDD 설정 2, SCell2은 표 1의 TDD 설정 1에 따른다. 본 명세서에서 살펴본, TDD 설정이 셀마다 다르게 설정된 경우이다. TDD 설정 단위(10 개의 서브프레임)를 기준으로 20개의 서브프레임이 제시되어 있으며 두 개의 라디오 프레임(1310, 1320)이 존재한다. 도 13에서는 응답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둘 이상인 경우, 셀 인덱스가 낮은 것을 우선하여 선택한다. 따라서 PCell, SCell1, SCell2의 순으로 선택된다.
PCell의 설정 5는 서브프레임 #2에서 13, 12, 9, 8, 7, 5, 4, 11, 6 이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응답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PCell에서는 제 1 라디오 프레임(1310) 이전 라디오 프레임의 #9(1319)와, 제 1 라디오 프레임(1310)의 #0, #1, #3, #4, #5, #6, #7, #8에 해당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한 응답 제어 정보가 업링크 서브프레임#2 (1321)에서 전송된다.
한편 SCell1, SCell2는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2 (1321)에서 13, 12, 9, 8, 7, 5, 4, 11, 6 이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중에서 A/N이 전송되지 않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의 A/N 정보, 즉 응답 제어 정보가 전송된다. 제 1 라디오 프레임(1310)의 SCell1에서는 #4, #5, #6, #8에 해당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한 응답 제어 정보가 업링크 서브프레임#2 (1321)에서 전송된다. 제 1 라디오 프레임(1310)의 SCell2에서는 #5, #6에 해당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한 응답 제어 정보가 업링크 서브프레임#2 (1321)에서 전송된다.
한편, SCell1의 설정 2는 제 2 라디오 프레임(1320)의 서브프레임 #2, #7에서 8, 7, 4, 6 이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응답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그런데, SCell1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2은 PCell1과 충돌되는 부분이므로, SCell1에서의 제 2 라디오 프레임(1320)에서의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4, #5, #6, #8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한 응답 제어 정보는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인 1321을 통하여 응답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반면 SCell1의 제 1 라디오 프레임(1310)에서의 #9, 제 2 라디오 프레임(1320)에서의 #0, #1, #3인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한 응답 제어 정보는 SCell1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7(1327) 을 통하여 전송된다.
한편, SCell2는 설정 1이며, #2, #3, #7, #8번째 서브프레임이 업링크 서브프레임이다. 이 때, #2 업링크 서브프레임은 PCell1의 #2 업링크 서브프레임(1321)과 충돌하며, #7 업링크 서브프레임은 SCell1의 #7 업링크 서브프레임(1337)과 충돌한다. 그러나 #3 서브프레임(1353) 및 #8 서브프레임(1358)은 다른 셀의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충돌하지 않으므로, 응답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SCell2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3(1323)은 4번째 앞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응답 제어 정보를 전송하게 되므로, 제 1 라디오 프레임(1310)의 SCell2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9의 응답 제어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한편 SCell2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8(1328) 역시 4번째 앞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응답 제어 정보를 전송하게 되므로, 제 2 라디오 프레임(1320)에서 SCell2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4의 응답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다수의 셀 상에서 서로 다른 TDD 설정이 적용될 경우의 응답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PCell, SCe11l, SCell2의 설정은 도 13과 동일하다. 도 14에서는 3개의 셀로 구성된 요소 반송파 집합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 14에서는 앞서 살펴본 표 2의 다운링크-업링크 매핑을 적용하지 않고,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4를 포함하여 앞선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의 A/N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의 실시예이다.
응답 제어 정보를 전송하게 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은 1323, 1327, 1328이 된다. PCell의 제 2 라디오 프레임(1420)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2는 제 1 라디오 프레임(1410)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의 응답 제어 정보를 전송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SCell2의 업링크 서브프레임(1323)은 4 서브프레임 이전, 즉 제 1 라디오 프레임(1410)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인 #9의 응답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SCell1의 업링크 서브프레임(1327)은 7 서브프레임 이전, 즉 제 2 라디오 프레임(1420)의 #0, #1, #3의 응답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SCell2의 업링크 서브프레임(1328)은 4 서브프레임 이전, 즉 제 2 라디오 프레임(1420)의 #4의 응답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다수의 셀 상에서 서로 다른 TDD 설정이 적용되었을 경우, HARQ-ACK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특히, PCell의 업링크를 위한 서브프레임이 적게 할당된 경우, 다른 SCell을 통하여 A/N을 전송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제 1, 제 2 요소 반송파를 포함하는 요소 반송파 집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서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한 응답 제어 정보가 포함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는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와 다운링크 및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에 있어 상이한 TDD 설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는 TDD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는 PCell(Primary Cell)이며,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는 SCell(Secondary Cell)이며,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와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는 밴드(band)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는 TDD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와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중복되는 제 3 요소 반송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 또는 상기 제 3 요소 반송파의 셀 인덱스(Cell index), 상기 사용자 단말과 미리 약속된 정보, 또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는 TDD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시간적 영역과 상이한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한 응답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는 TDD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
  5.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제 1, 제 2 요소 반송파를 포함하는 요소 반송파 집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서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에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한 응답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는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와 다운링크 및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에 있어 상이한 TDD 설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는 TDD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는 PCell(Primary Cell)이며,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는 SCell(Secondary Cell)이며,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와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는 밴드(band)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는 TDD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와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중복되는 제 3 요소 반송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 또는 상기 제 3 요소 반송파의 셀 인덱스(Cell index), 상기 기지국과 미리 약속된 정보, 또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는 TDD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시간적 영역과 상이한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기지국에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한 응답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는 TDD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
  9. 사용자 단말에게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제 1, 제 2 요소 반송파를 포함하는 요소 반송파 집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서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수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한 응답 제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는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와 다운링크 및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에 있어 상이한 TDD 설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0. 기지국에게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제 1, 제 2 요소 반송파를 포함하는 요소 반송파 집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서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수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기지국에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한 응답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요소 반송파는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와 다운링크 및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에 있어 상이한 TDD 설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KR1020110061043A 2011-06-23 2011-06-23 다중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는 tdd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56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043A KR101856779B1 (ko) 2011-06-23 2011-06-23 다중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는 tdd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PCT/KR2012/004868 WO2012177042A2 (ko) 2011-06-23 2012-06-20 다중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는 tdd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14/128,449 US9236986B2 (en) 2011-06-23 2012-06-20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ata traffic in a TDD system that uses multi-component carri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043A KR101856779B1 (ko) 2011-06-23 2011-06-23 다중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는 tdd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763A true KR20130006763A (ko) 2013-01-18
KR101856779B1 KR101856779B1 (ko) 2018-05-10

Family

ID=47423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043A KR101856779B1 (ko) 2011-06-23 2011-06-23 다중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는 tdd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36986B2 (ko)
KR (1) KR101856779B1 (ko)
WO (1) WO201217704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1781B2 (en) * 2012-02-01 2016-11-08 Broadcom Corporation Random access channel enhancement for carrier aggregation with different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US9119197B2 (en) 2012-05-22 2015-08-25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lay scheduling
EP3057259B1 (en) * 2013-10-07 2019-12-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ck/nack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72068B2 (en) * 2013-12-03 2017-02-14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ate adaptation in full-duplex wireless communication
US9603074B2 (en) * 2013-12-16 2017-03-21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arrier channel selection in carrier aggregation enabled networks
US9894545B2 (en) * 2014-02-03 2018-02-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of controlling simultaneous transmission/reception of a radio node in a TDD system
US9660793B2 (en) 2015-06-26 2017-05-23 Intel Corporation Leveraging full duplex for rate adaptation in wireless LAN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83511B (zh) 2008-01-09 2013-09-18 三星电子株式会社 适用于多tdd系统共存的方法
KR20090109046A (ko) 2008-04-14 2009-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Tdd 방식에 따른 프레임 전송 방법
EP3032860B1 (en) 2008-11-04 2024-01-10 Datang Mobile Communications Equipment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nabling multi-carriers aggregation transmission
CN101771515A (zh) * 2008-12-30 2010-07-07 三星电子株式会社 传输harq-ack的方法
KR101777416B1 (ko) * 2009-11-26 2017-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성 시스템에서 단말의 통신 방법 및 단말
US10439786B2 (en) * 2010-03-18 2019-10-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of resolving PDCCH confusion in LTE
CN102237991B (zh) * 2010-04-30 2016-08-24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在tdd系统中发送ack/nack信息的方法
US8792370B2 (en) * 2010-05-05 2014-07-29 Qualcomm Incorporated Carrier preconfiguration for PDCCH monitoring in multi-carrier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36986B2 (en) 2016-01-12
WO2012177042A2 (ko) 2012-12-27
WO2012177042A3 (ko) 2013-03-28
US20140119248A1 (en) 2014-05-01
KR101856779B1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99985A1 (en) User equipment, pdsch a/n transmitting method thereof, transmission/reception point, and pdsch a/n receiving method thereof
EP3100563B1 (en) Time domain multiplexing ul transmission on multiple serving cells for a mobile station with single transmitter
EP3528571B1 (en) Communication method using frequency band of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using method
US20210351874A1 (en) Method and device for scheduling uplink control channel in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
WO2017014048A1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US10805060B2 (en) User equipment, PDSCH A/N transmitting method thereof, transmission/reception point, and PDSCH A/N receiving method thereof
US92369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ata traffic in a TDD system that uses multi-component carriers
US201403213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pusch/phich scheduling timing in inter-band tdd transmission schemes
US201401264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processing control information in time division duplex system using multi-component carrier
US20230056636A1 (en)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data channel resource for next-generation wireless access network
KR20130121605A (ko) 단말 및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자원 설정 방법
US10200983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CN108702754B (zh) 用户终端、无线基站以及无线通信方法
KR20180107417A (ko) Nr을 위한 하향 링크 harq 동작 방법 및 장치
KR102085195B1 (ko)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90125260A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비트맵을 이용하여 하향 링크 선점 지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80389A (ko) D2d 통신에서 ack/nack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40018547A (ko) 인터밴드 tdd 전송 방식에서 수신 데이터의 응답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90131831A (ko) 비면허 대역의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데이터 재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80049423A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주파수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130073666A (ko) 단말의 pdsch a/n 전송 방법, 단말, 기지국의 pdsch a/n 수신 방법, 및 기지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