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633U - Baby carriage - Google Patents
Baby carri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6633U KR20130006633U KR2020130003602U KR20130003602U KR20130006633U KR 20130006633 U KR20130006633 U KR 20130006633U KR 2020130003602 U KR2020130003602 U KR 2020130003602U KR 20130003602 U KR20130003602 U KR 20130003602U KR 20130006633 U KR20130006633 U KR 2013000663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ttom portion
- support
- main body
- extended
- support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6—Securing devices for bags or toys ; Arrangements of racks, bins, trays or other devices for transporting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03—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with actuation mechanisms which drive the folding or unfolding op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2—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adjustable in length or wid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501/00—Manufacturing; Constructional features
- B62B2501/04—Production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수납할 수 있는 부피 또는 중량을 확장할 수 있는 수용 바구니를 구비한 유모차를 제공한다. 차체 프레임(1)과, 차체 프레임으로부터 더욱 후방으로 수평에 가깝게 연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는 지지 프레임(2)과, 차체 프레임(1)에 부착되는 수용 바구니(3)를 구비하는 유모차로서, 수용 바구니(3)는, 차체 프레임(1)에 수평에 가깝게 부착되는 본체 저부(41)를 가짐과 함께 후방을 향하는 개구가 열려져 있는 수용 본체(4)와, 수용 본체(4)의 본체 저부(41)의 후단에 연결됨과 함께, 수용 본체(4)의 후방을 향하는 상기 개구를 덮는 직립 위치와, 지지 프레임(2)에 의해 수평에 가깝게 지지되는 확장 위치와의 사이에 전환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확장 저부(51)를 갖는 확장 수단(5)을 구비하는 유모차를 제공한다.There is provided a stroller provided with a receiving basket capable of expanding the volume or weight of the stroller. A support frame 2 attached so as to be disposed at a position extending further rearward horizontally from the vehicle body frame 1 and a receiving basket 3 attached to the vehicle body frame 1 The receiving basket 3 includes a receiving main body 4 having a main body bottom portion 41 attached to the body frame 1 horizontally to close horizontally and an opening facing rearward, Is switched between an upright position which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bottom part (41) of the main body (4) and covers the opening facing the rear of the main body (4) and an extended position which is supported horizontally close by the support frame (5) having an enlarged bottom portion (51)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Description
본 고안은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짐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바구니를 구비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ol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oller having a receiving basket capable of receiving a load.
종래의 유모차에는, 유아를 태우는 의자 아래에 수납용 바구니가 부착된 것이 있다. 이러한 수납용 바구니는, 유모차의 의자 아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 공간이 제한되어 있고, 유모차 프레임의 접힘에 맞춰 간단히 접을 수 있는 부드러운 재료, 예를 들어 천이나 비닐 재료를 사용한 것이 대부분이며, 따라서 수납할 수 있는 중량도 제한되어 있다.In a conventional baby carriage, there is a storage basket attached under a chair for burning infants. Since the storage basket is disposed under the chair of the baby carriage, the storage space is limited, and most of them are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a cloth or a vinyl material that can be easily folded in accordance with the folding of the baby carriage frame. The weight that can be made is also limited.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유모차 수납 수단의 문제점에 대해, 수납할 수 있는 부피 또는 중량을 확장할 수 있는 수용 바구니를 구비한 유모차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by carriage having a receiving basket capable of expanding the volume or weight of the baby carriage which can be accommodated by the conventional baby carriage storage mean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전방으로 연장하는 전방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전방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지바를 갖는 차체 프레임과, 상기 차체 프레임의 상기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지바에, 상기 후방 지지바로부터 더욱 후방으로 수평에 가깝게 연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차체 프레임에 부착되는 수용 바구니를 구비하는 유모차로서, 상기 수용 바구니는, 상기 차체 프레임에 수평에 가깝게 부착되는 본체 저부를 가짐과 함께 후방을 향하는 개구가 열려있는 수용 본체와, 상기 수용 본체의 상기 본체 저부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으면서, 상기 수용 본체의 후방을 향하는 상기 개구를 덮는 직립 위치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의해 수평에 가깝게 지지되는 확장 위치와의 사이에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확장 저부를 갖는 확장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body frame having a front support frame extending forward, a vehicle body frame having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support bars extending rearward from the front support frame, 1. A baby carriage having a support frame attached to a rear support bar so as to be disposed at a position extending horizontally closer to the rear than the rear support bar and a receiving basket attached to the body frame, And a rear portion of the main body frame is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main body frame, And a support frame which is supported horizontally close to the support frame It provides a baby carriage comprising: an expansion device having a bottom extension adapted to be switched between the storage location.
상기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저부의 둘레에는, 본체 유지부가 상기 수용 본체의 전방측 및 양측을 덮어 상방 및 후방을 향하는 개구를 갖는 고유 수용 공간을 둘러싸도록 연결되고, 상기 확장 수단은, 상기 수용 본체의 상기 본체 유지부 및 상기 확장 수단의 상기 확장 저부와 연속하고 있는 좌측 지지부 및 우측 지지부를 더 갖고, 상기 좌측 지지부 및 상기 우측 지지부는, 상기 확장 저부가 직립 위치로 전환될 때에는 상기 확장 저부에 접혀져 수납되고, 상기 확장 저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의해 수평에 가깝게 지지되는 상기 확장 위치로 전환될 때에는, 상기 확장 저부로부터 전개되어 상기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지바에 부착되어 상기 확장 저부의 바로 위의 공간의 좌우 양측을 덮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baby carriage, a main body holding portion is connected to surround the bottom portion of the main body so as to surround a specific accommodation space having an opening facing upward and rearward, covering the front side and both sides of the accommodation main body, Further comprising a left support portion and a right support portion which are continuous with the main body holding portion of the main body holding portion and the extended bottom portion of the expanding means and the left support portion and the right support portion are folded in the extended bottom portion when the expanded bottom portion is switched to the upright position, When the extended bottom portion is switched to the extended position where the extended bottom portion is held close to the horizontal by the support frame, the extended bottom portion is extended from the extended bottom portion and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pair of rear support bars, As shown in Fig.
상기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확장 수단은, 상기 확장 저부, 상기 좌측 지지부 및 상기 우측 지지부와 연속하고 있는 후방 지지부를 더 갖고, 상기 후방 지지부는, 상기 확장 저부가 직립 위치로 전환될 때에는, 상기 확장 저부로 접혀지고, 상기 확장 저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의해 수평에 가깝게 지지되는 상기 확장 위치로 전환될 때에는, 상기 확장 저부의 바로 위 공간의 후방을 덮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확장 저부, 상기 좌측 지지부 및 상기 우측 지지부와 함께, 상기 고유 수용 공간과 연속하는 확장 수용 공간을 둘러싸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baby carriage, the extend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 rear supporting portion that is continuous with the expanded bottom portion, the left supporting portion, and the right supporting portion, and when the extended bottom portion is switched to the upright position, And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covering the rear portion of the space immediately above the extended bottom portion when the expanded bottom portion is folded and switched to the extended position in which the extended bottom portion is held horizontally close by the support frame, And the right supporting portion, so as to surround the extended accommodation space continuous with the inherent accommodation space.
상기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확장 수단은, 상기 좌측 지지부의 상단 둘레와 연속하면서 상기 좌측의 상기 후방 지지바에 부착되어 있는 좌측 추가 지지부와, 상기 우측 지지부의 상단 둘레와 연속하면서 상기 우측의 상기 후방 지지바에 부착되어 있는 우측 추가 지지부를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xtension means includes a left additional support portion continuous with the upper periphery of the left support portion and attached to the left rear support bar, and a second additional support portion continuous to the upper periphery of the right support por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have a right additional support portion attached thereto.
상기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좌측 지지부 및 상기 우측 지지부는, 각각 상기 좌측 추가 지지부 및 상기 우측 추가 지지부를 수용할 수 있는 이중 구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baby carriage, it is preferable that the left support portion and the right support portion have a double structur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left additional support portion and the right additional support portion, respectively.
상기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확장 수단이 갖는 확장 저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부착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회동에 따라, 상기 개구를 덮는 직립 위치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의해 수평에 가깝게 지지되는 확장 위치와의 사이에 전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supporting frame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nd the extended bottom portion of the extending means is provided with an upright position which is attached to the supporting frame and covers the opening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upporting frame, And an extended position which is held horizontally close to the first position.
상기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확장 수단이 갖는 상기 확장 저부는, 상기 확장 저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분리가 가능한 제1 계지(繫止) 벨트에 의해, 상기 지지 프레임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baby carriage, the enlarged bottom portion of the extending means is attached to the supporting frame by a detachable belt which is capable of connecting the extended bottom portion and the supporting frame, .
상기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확장 수단이 갖는 상기 확장 저부는, 상기 확장 저부와 상기 후방 지지바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분리가 가능한 제2 계지(繫止) 벨트에 의해, 상기 수용 본체의 후방을 향하는 상기 개구를 덮는 직립 위치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baby carriage, the enlarged bottom portion of the expanding means is provided with a second retaining belt capable of connecting the extended bottom portion and the rear support bar and being detachable, And is held in an upright position to cover the opening facing the opening.
상기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유모차는, 차체 프레임에 부착되는 수용 본체와, 수용 본체의 저부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으면서, 수용 본체의 후방을 향하는 개구를 덮는 직립 위치와, 지지 프레임에 의해 수평에 가깝게 지지되는 확장 위치와의 사이에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확장 저부를 갖는 확장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확장 수단을 갖지 않는 종래의 수납용 바구니보다 수납할 수 있는 부피 또는 중량을 확장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ceiving body attached to the body frame; an upright position which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bottom of the receiving body and covers an opening toward the rear of the receiving body;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volume or weight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conventional storage basket without the expansion means by providing the expansion means having the expansion bottom portion configured to be able to switch between the extended position where it is held close together.
도 1은 본 고안의 유모차의 제1 실시형태를 후방으로부터 본 것으로서, 지지 프레임이 직립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유모차의 제1 실시형태를 후방으로부터 본 것으로서, 제1 계지 벨트가 분리되어 지지 프레임이 수평에 가깝게 내려진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유모차의 제1 실시형태를 후방으로부터 본 것으로서, 제1 및 제2 계지 벨트가 모두 분리되어 지지 프레임만이 수평에 가깝게 내려진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유모차의 제1 실시형태를 후방으로부터 본 것으로서, 지지 프레임 및 확장 수단이 갖는 확장 저부가 수평에 가깝게 내려진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유모차의 제1 실시형태를 후방으로부터 본 것으로서, 확장 수단이 갖는 좌측 지지부 및 우측 지지부가 확장 저부에 접히는 상태로부터 꺼내어지는 태양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유모차의 제1 실시형태를 후방으로부터 본 것으로서, 확장 수단이 갖는 좌측 지지부 및 우측 지지부가 확장 저부에 접히는 상태로부터 꺼내어져서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지바에 각각 부착되는 태양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유모차의 제1 실시형태를 후방으로부터 본 것으로서, 우측 지지부의 이중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유모차의 제1 실시형태를 후방으로부터 본 것으로서, 좌, 우측 추가 지지부가 추가로 부착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유모차의 제2 실시형태를 후방으로부터 본 것으로서, 지지 프레임 및 확장 수단이 갖는 확장 저부가 수평에 가깝게 내려진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유모차의 제3 실시형태를 후방으로부터 본 것으로서, 수평에 가깝게 내려진 지지 프레임에 수용 백이 실려있는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oll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frame is disposed close to the uprigh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stitching belt is separated and the supporting frame is brought close to the horizontal.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in which both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belts are separated so that only the supporting frame is moved horizontally.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and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tending bottom portion of the supporting frame and the extending means is brought close to a horizontal posi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ft support portion and the right support portion of the expanding means are taken out from the state in which they are folded at the extended bottom, as viewed from the rea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baby carriage of this invention.
6 is a rear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left support portion and the right support portion of the expanding means are taken out from the folded state at the expanded bottom portion and attached to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support bars, respectively It is a perspective view.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ouble structure of the right support portion of 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additional supporting portions are additionally attached as viewed from the rea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n from the rea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pansion base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expansion means is brought close to the horizontal. Fig.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in which a receiving bag is placed on a support frame that is brought close to a horizontal position. Fig.
이하에서는 각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각각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8에 본 고안의 유모차의 제1 실시형태를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유모차의 제1 실시형태를 후방으로부터 본 것으로서, 지지 프레임이 직립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유모차의 제1 실시형태를 후방으로부터 본 것으로서, 제1 계지 벨트가 분리되어 지지 프레임이 수평에 가깝게 내려진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유모차의 제1 실시형태를 후방으로부터 본 것으로서, 제1 및 제2 계지 벨트가 모두 분리되어 지지 프레임만이 수평에 가깝게 내려진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유모차의 제1 실시형태를 후방으로부터 본 것으로서, 지지 프레임 및 확장 수단이 갖는 확장 저부가 수평에 가깝게 내려진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유모차의 제1 실시형태를 후방으로부터 본 것으로서, 확장 수단이 갖는 좌측 지지부 및 우측 지지부가 확장 저부에 접히는 상태로부터 꺼내어지는 태양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유모차의 제1 실시형태를 후방으로부터 본 것으로서, 확장 수단이 갖는 좌측 지지부 및 우측 지지부가 확장 저부에 접히는 상태로부터 꺼내어져서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지바에 각각 부착되는 태양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유모차의 제1 실시형태를 후방으로부터 본 것으로서, 우측 지지부의 이중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유모차의 제1 실시형태를 후방으로부터 본 것으로서, 좌, 우측 추가 지지부가 추가로 부착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1 to 8 are perspective views of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rear.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oll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in which a supporting frame is disposed close to an upright posi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stitching belt is separated and the support frame is brought close to a horizontal position.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n from the rear, in which both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belts are separated and only the supporting frame is brought close to the horizontal.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n from the rea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tending bottom portion of the supporting frame and the extending means is brought close to the horizontal.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oll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n from the rear, in which a left support portion and a right support portion of the expanding means are taken out from a state of being folded at the extended bottom; Fig. 6 is a rear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upport portions of the expanding means are taken out from the folded state of the expanded bottom portion and attached to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support bars,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ouble structure of the right support portion, viewed from the rea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additional supporting portions are additionally attached as viewed from the rea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유모차의 제1 실시형태는, 전방으로 연장하는 전방 지지 프레임(11)과, 전방 지지 프레임(11)의 중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지바(12)를 갖는 차체 프레임(1)과, 차체 프레임(1)의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지바(12)에, 후방 지지바(12)에 부착되어 있는 지지 프레임(2)과, 차체 프레임(1)에 부착되는 수용 바구니(3)를 구비한 것이다.As shown in Fig. 1, the first embodiment of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그리고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2)은 차체 프레임(1)에 대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직립에 가까운 위치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수평에 가까운 위치와의 사이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지바(1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하단에 캐스터(21)가 부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수용 바구니(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망 재료에 의해 제작된 수용 본체(4)와 확장 수단(5)으로 구성된다. 수용 본체(4)는 차체 프레임(1)에 수평에 가깝게 부착되는 본체 저부(41)를 가지면서 후방으로 향하는 개구가 열려 있다. 확장 수단(5)은, 수용 본체(4)의 본체 저부(41)의 후단에 연결되면서, 도 3에 도시된 수용 본체(4)의 후방을 향하는 개구를 덮는 직립 위치와, 도 4에 도시된 지지 프레임(2)에 의해 수평에 가깝게 지지되는 확장 위치와의 사이에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의 수용 바구니(3)는 망 재료 외에, 예를 들어 천이나 비닐 재료와 같은 얇고, 부드러우면서, 또한 접기 쉬운 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얇은 판 재료 등을 까는 것도 가능하다.The receiving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체 저부(41)는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체 프레임(1)에 구성과 설계 상의 요구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여기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수단(5)이 갖는 확장 저부(51)는, 확장 저부(51)와 지지 프레임(2)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분리가 가능한 제1 계지(繫止) 벨트(6)에 의해, 지지 프레임(2)에 부착되고, 확장 저부(51)와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지바(12)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분리가 가능한 제2 계지(繫止) 벨트(7)에 의해, 수용 본체의 후방을 향하는 상기 개구를 덮는 직립 위치에 유지된다.1 to 3, the extended
따라서, 확장 수단(5)이 갖는 확장 저부(51)는, 제1 계지 벨트(6)에 의해 지지 프레임(2)에 부착되는 지지 프레임(2)의 회동에 따라, 도 1에 도시되는 상기 개구를 덮는 직립 위치와, 도 3에 도시되는 지지 프레임(2)에 의해 수평에 가깝게 지지되는 확장 위치 사이의 전환이 가능하다.The
여기서, 제1 계지 벨트(6)와 제2 계지 벨트(7)는, 예를 들어, 양단에 각각 끼울 수 있는 버튼이나 지퍼, 또는 면 지퍼를 이용하여 확장 저부(51)를 지지 프레임(2)과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지바(12)에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버튼(71)과 암버튼(72)이 사용되고 있다.The
나아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저부(41)의 둘레에는, 본체 유지부(42)가 수용 본체(4)의 전방측 및 양측을 덮어 상방 및 후방으로 개구하는 고유 수용 공간(31)을 둘러싸도록 연결되어 있고, 확장 수단(5)은, 수용 본체(4)의 본체 유지부(42) 및 확장 수단(5)의 확장 저부(51)와 연속하는 좌측 지지부(521) 및 우측 지지부(522)를 더 갖고, 좌측 지지부(521) 및 우측 지지부(522)는, 확장 저부(51)가 직립 위치로 전환될 때에는 확장 저부(51)로 접혀서 수납되고, 확장 저부(51)가 지지 프레임(2)에 의해 수평에 가깝게 지지되는 확장 위치로 전환될 때에는,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저부(51)로부터 전개되어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지바(12)에 각각 부착되어 확장 저부(51)의 바로 위의 공간의 좌우 양측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5, the main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체 유지부(42)는 전방 지지 프레임(11)과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지바(12)에 걸쳐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main
또한, 좌측 지지부(521) 및 우측 지지부(522)가 확장 저부(51)로부터 전개될 때에는,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지바(12)가 아닌, 본체 유지부(42)의 후단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When the
또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수단(5)은, 확장 저부(51), 좌측 지지부(521) 및 우측 지지부(522)와 연속하는 후방 지지부(53)를 더 가지며, 상기 후방 지지부(53)는, 확장 저부(51)가 직립 위치로 전환될 때, 확장 저부(51)로 접히고, 확장 저부(51)가 지지 프레임(2)에 의해 수평에 가깝게 지지되는 확장 위치로 전환될 때, 확장 저부(51)의 바로 위의 공간의 후방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또한, 확장 저부(51), 좌측 지지부(521) 및 우측 지지부(522)와 함께, 고유 수용 공간(31)과 연속하는 확장 수용 공간(32)을 둘러싸도록 되어 있다.5 to 7, the extending means 5 further has a rear supporting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확장 수단(5)은, 확장 저부(51)와, 좌측 지지부(521)와, 우측 지지부(522)와, 후방 지지부(53)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수단(5)이 확장 저부(51)가 지지 프레임(2)에 의해 수평에 가깝게 지지되는 확장 위치로 전환될 때에 있어서, 좌측 지지부(521)와, 우측 지지부(522)와, 후방 지지부(53)는 전개될 필요 없이,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보다 긴 것을 고유 수용 공간(31)과 확장 수용 공간(32)에 수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expansion means 5 in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o have the extended
나아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수단(5)은, 좌측 지지부(521)의 상단 둘레와 연속하면서, 좌측의 상기 후방 지지바(12)에 부착할 수 있는 좌측 추가 지지부(541)와, 우측 지지부(522)의 상단 둘레와 연속하면서, 우측의 상기 후방 지지바(12)에 부착할 수 있는 우측 추가 지지부(542)를 더 갖고 있다. 여기서, 좌측 추가 지지부(541)와 우측 추가 지지부(542)의 후방 지지바(12)에 대한 부착은, 끼워지는 버튼이나 지퍼, 면 지퍼를 이용할 수 있다.8, the expansion means 5 includes a left additional support portion 541 which is continuous with the upper periphery of the
또한, 좌측 지지부(521) 및 우측 지지부(522)는, 각각 좌측 추가 지지부(541) 및 우측 추가 지지부(542)를 수용할 수 있는 포켓(520)을 갖는 이중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도 9는, 본 고안의 유모차의 제2 실시형태를 후방으로부터 본 것으로서, 지지 프레임(2) 및 확장 수단(5)이 갖는 확장 저부(51)가 수평에 가깝게 내려진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유모차의 제2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와 유사하나, 본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확장 수단(5)의 구성이 간단하게 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의 유모차가 갖는 확장 수단(5)은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저부(51)와, 좌측 지지부(521)와, 우측 지지부(522)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방 지지부(53)를 갖지 않기 때문에, 좌측 지지부(521)와 우측 지지부(522)는 각각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but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expanding means 5 is simplified. That is, the extending
도 10은, 본 고안의 유모차의 제3 실시형태를 후방으로부터 본 것으로서, 수평에 가깝게 내려진 지지 프레임(2)에 수용 백(8)이 실려있는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ceivin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유모차의 제3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와 유사하나, 수용 백(8)을 추가로 갖는 점이 상이하다. 수용 백(8)은 부드러운 재료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수평에 가깝게 내려진 지지 프레임(2)에 싣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용 백(8)은 부드러운 재료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서 확장 저부(51)에 수납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third embodiment of the s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but differs in that it additionally has a receiving
또한, 본 고안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프레임(2)은 차체 프레임(1)에 대해 수평에 가까운 위치와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구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을 생략하고, 차체 프레임(1)이 갖는 좌우 한쌍의 후방 지지바(12)로부터 더욱 후방으로 수평에 가깝게 연장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each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유모차는, 차체 프레임에 부착되는 수용 본체와, 수용 본체의 저부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으면서 수용 본체의 후방을 향하는 개구를 덮는 직립 위치와, 지지 프레임에 의해 수평에 가깝게 지지되는 확장 위치 사이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확장 저부를 갖는 확장 수단을 구비하므로, 확장 수단을 갖지 않는 종래의 수납용 바구니보다 수납할 수 있는 부피 또는 중량을 확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body attached to a body frame; an upright position which is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bottom of the receiving body and covers an opening toward the rear of the receiving body; Since the expanding means having the enlarged bottom portion configured to be able to switch between the extended positions to be supported is provided, the volume or weight that can be accommodated is larger than that of a conventional storage basket having no expanding means.
1 유모차
11 전방 지지 프레임
12 후방 지지바
2 지지 프레임
3 수용 바구니
31 고유 수용 공간
32 확장 수용 공간
4 수용 본체
41 본체 저부
42 본체 유지부
5 확장 수단
51 확장 저부
520 포켓
521 좌측 지지부
522 우측 지지부
53 후방 지지부
541 좌측 추가 지지부
542 우측 추가 지지부
6 제1 계지 벨트
7 제2 계지 벨트
71 수버튼
72 암버튼
8 수용 백1 stroller
11 front support frame
12 rear support bar
2 support frame
3 reception baskets
31 Own space
32 expansion room
4 receiving body
41 Body bottom
42 Main Body Holder
5 Expansion means
51 extended bottom
520 pockets
521 Left support
522 right support
53 rear support portion
541 Left additional support
542 Right additional support
6 1st stop belt
7 2nd stitch belt
71 Number button
72 arm button
8 receptacle
Claims (8)
상기 차체 프레임의 상기 좌우 한쌍의 후방 지지바에, 상기 후방 지지바로부터 더욱 후방으로 수평에 가깝게 연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차체 프레임에 부착되는 수용 바구니를 구비하는 유모차로서,
상기 수용 바구니는,
상기 차체 프레임에 수평에 가깝게 부착되는 본체 저부를 가짐과 함께 후방을 향하는 개구가 열려있는 수용 본체와,
상기 수용 본체의 상기 본체 저부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으면서, 상기 수용 본체의 후방을 향하는 상기 개구를 덮는 직립 위치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의해 수평에 가깝게 지지되는 확장 위치와의 사이에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확장 저부를 갖는 확장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A vehicle body frame having a front support frame extending forward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support bars extending rearward from the front support frame,
A support frame attached to the pair of left and right rear support bars of the vehicle body frame so as to be disposed at a position extending horizontally further from the rear support bar,
A stroller comprising a receiving basket attached to the body frame,
In the receiving basket,
An accommodating body having a main body bottom portion attached to the vehicle body frame horizontally and opening rearward,
Wherein the support frame is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bottom of the main body of the accommodating main body so as to be switchable between an upright position covering the opening facing the rear of the accommodating main body and an extended position held close to the horizontal by the support frame And an expanding means having an enlarged bottom portion which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roller.
상기 본체 저부의 둘레에는, 본체 유지부가 상기 수용 본체의 전방측 및 양측을 덮어 상방 및 후방을 향하는 개구를 갖는 고유 수용 공간을 둘러싸는 것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상기 확장 수단은, 상기 수용 본체의 상기 본체 유지부 및 상기 확장 수단의 상기 확장 저부와 연속하고 있는 좌측 지지부 및 우측 지지부를 더 갖고,
상기 좌측 지지부 및 상기 우측 지지부는, 상기 확장 저부가 직립 위치로 전환될 때에는 상기 확장 저부에 접혀져 수납되고, 상기 확장 저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의해 수평에 가깝게 지지되는 상기 확장 위치로 전환될 때에는, 상기 확장 저부로부터 전개되어 상기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지바에 부착되어 상기 확장 저부의 바로 위의 공간의 좌우 양측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main body holding portion is connected to surround the bottom portion of the main body so as to surround a specific accommodating space having an opening facing upward and rearward to cover the front side and both sides of the receiving main body,
Wherein said extending means further has left and right supports which are continuous with said main body holding portion of said receiving main body and said extended bottom portion of said extending means,
Wherein the left support portion and the right support portion are folded and housed in the extended bottom portion when the extended bottom portion is switched to the upright position and when the extended bottom portion is switched to the extended position held close to the horizontal by the support frame, And is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pair of rear support bars so as to cov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pace immediately above the expansion bottom portion.
상기 확장 수단은, 상기 확장 저부, 상기 좌측 지지부 및 상기 우측 지지부와 연속하고 있는 후방 지지부를 더 갖고,
상기 후방 지지부는, 상기 확장 저부가 직립 위치로 전환될 때에는, 상기 확장 저부로 접히고, 상기 확장 저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의해 수평에 가깝게 지지되는 상기 확장 위치로 전환될 때에는, 상기 확장 저부의 바로 위의 공간의 후방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확장 저부, 상기 좌측 지지부 및 상기 우측 지지부와 함께, 상기 고유 수용 공간과 연속하는 확장 수용 공간을 둘러싸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xpanding means further comprises a rear support portion continuous with the expanded bottom portion, the left support portion and the right support portion,
When the extended bottom portion is folded into the extended bottom portion when the extended bottom portion is switched to the upright position and when the extended bottom portion is switched to the extended position where the extended bottom portion is supported horizontally close by the support frame, And is configured so as to cover the rear portion of the space and to surround the expansion accommodating space continuous with the inherent accommodation space together with the expansion bottom portion, the left support portion and the right support portion.
상기 확장 수단은, 상기 좌측 지지부의 상단 둘레와 연속하면서 좌측의 상기 후방 지지바에 부착되어 있는 좌측 추가 지지부와, 상기 우측 지지부의 상단 둘레와 연속하면서 우측의 상기 후방 지지바에 부착되어 있는 우측 추가 지지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The method of claim 3,
The extension means includes a left additional support portion continuous with the upper periphery of the left support portion and attached to the left rear support bar and a right additional support portion continuous with the upper periphery of the right support portion and attached to the right rear support bar The stroller further comprising:
상기 좌측 지지부 및 상기 우측 지지부는, 각각 상기 좌측 추가 지지부 및 우측 추가 지지부를 수용할 수 있는 이중 구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eft support portion and the right support portion are formed with a double structur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left additional support portion and the right additional support portion, respectively.
상기 지지 프레임은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확장 수단이 갖는 확장 저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부착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회동에 따라, 상기 개구를 덮는 직립 위치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의해 수평에 가깝게 지지되는 확장 위치와의 사이에 전환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support frame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The expansion bottom portion of the expansion means is switched between an upright position which is attached to the support frame and covers the open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upport frame and an extended position which is supported horizontally close by the support frame The stroller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상기 확장 수단이 갖는 상기 확장 저부는, 상기 확장 저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분리가 가능한 제1 계지(繫止) 벨트에 의해, 상기 지지 프레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enlarged bottom portion of the expanding means is attached to the support frame by a first retaining belt capable of connecting and separating the extended bottom portion and the support frame.
상기 확장 수단이 갖는 상기 확장 저부는, 상기 확장 저부와 상기 후방 지지바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분리가 가능한 제2 계지(繫止) 벨트에 의해, 상기 수용 본체의 후방을 향하는 상기 개구를 덮는 직립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extension bottom portion of the expanding means is provided with a second retaining belt which is capable of connecting the extension bottom portion and the rear support bar and is detachable, Wherein the stroller is held in 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2202068626U CN202608853U (en) | 2012-05-09 | 2012-05-09 | Foldable and enlargeable storage basket device |
CN201220206862.6 | 2012-05-0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6633U true KR20130006633U (en) | 2013-11-19 |
KR200475195Y1 KR200475195Y1 (en) | 2014-11-17 |
Family
ID=47342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3602U KR200475195Y1 (en) | 2012-05-09 | 2013-05-08 | Baby carriage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3184813U (en) |
KR (1) | KR200475195Y1 (en) |
CN (1) | CN202608853U (en) |
TW (1) | TWM459155U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54725A1 (en) * | 2013-10-15 | 2015-04-23 | Nuske Enterprises Pty Ltd | Convertible toddler platfor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103940A (en) * | 2017-09-14 | 2021-07-13 |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 Soft containing structure |
CN209750534U (en) | 2018-11-21 | 2019-12-10 |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 Children's bed |
CN211391434U (en) * | 2019-12-18 | 2020-09-01 |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 Infant carrier with multiple storage baskets |
CN114475761A (en) * | 2020-10-28 | 2022-05-13 |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 Storage basket and baby carriage with sam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767489B2 (en) * | 2011-03-03 | 2015-08-19 |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合同会社 | baby carriage |
-
2012
- 2012-05-09 CN CN2012202068626U patent/CN202608853U/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13
- 2013-04-09 TW TW102206387U patent/TWM459155U/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3-05-07 JP JP2013002497U patent/JP3184813U/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13-05-08 KR KR2020130003602U patent/KR200475195Y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54725A1 (en) * | 2013-10-15 | 2015-04-23 | Nuske Enterprises Pty Ltd | Convertible toddler platfor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202608853U (en) | 2012-12-19 |
KR200475195Y1 (en) | 2014-11-17 |
TWM459155U (en) | 2013-08-11 |
JP3184813U (en) | 2013-07-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5195Y1 (en) | Baby carriage | |
JP4425560B2 (en) | stroller | |
US8677527B2 (en) | Portable playyard with a storage unit | |
US8490230B2 (en) | Diaper bag having an integral changing pad | |
EP3122202B1 (en) | Improved luggage apparatus | |
CA2886259C (en) | Compactible stroller | |
US7281759B1 (en) | Portable high chair | |
US9095228B2 (en) | Containing structure for small children fitted with a dynamic backrest | |
US10342320B2 (en) | Transformable multifunction backpack | |
CN103930000B (en) | With the folding baby seat of covering | |
KR101558055B1 (en) | Multi-function bag having baby bed function | |
ES2640924T3 (en) | Convertible provision in baby care items | |
US8267260B2 (en) | Storage device | |
CN204410269U (en) | Portable high chair | |
WO2014155084A1 (en) | Suitcase convertible into a cot | |
JP7239313B2 (en) | How to use stroller bag and stroller bag | |
KR102054895B1 (en) | Baby Bedding Bag | |
KR101219152B1 (en) | backpack with folding chair | |
CN110001737A (en) | Stroller frame | |
US10070730B2 (en) | Folding chair with side bags on both sides | |
US10070729B2 (en) | Folding chair with a side bag on one side | |
KR20120001229U (en) | A baby carriage combined suitcase | |
CN210338029U (en) | Seat pocket for baby stroller frame | |
CN213464440U (en) | Waist support | |
KR101437730B1 (en) | Shopping bag which is easy to carry and u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