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525U - 이중바닥판넬용 지지대 - Google Patents

이중바닥판넬용 지지대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525U
KR20130006525U KR2020120003673U KR20120003673U KR20130006525U KR 20130006525 U KR20130006525 U KR 20130006525U KR 2020120003673 U KR2020120003673 U KR 2020120003673U KR 20120003673 U KR20120003673 U KR 20120003673U KR 20130006525 U KR20130006525 U KR 201300065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ouble bottom
support plate
bottom pane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6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미서
Original Assignee
고미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미서 filed Critical 고미서
Priority to KR20201200036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6525U/ko
Publication of KR201300065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52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이중바닥판넬용 지지대를 개시한다.
이러한 이중바닥판넬용 지지대는, 바닥에 놓여지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측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 위쪽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이중바닥판넬 둘레부 일측이 얹혀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상기 지주 측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조절연결구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 측에 얹혀진 이중바닥판넬들의 둘레부 일측을 비(非) 관통 상태로 눌러서 상기 지지플레이트 측에 동시에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판넬고정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바닥판넬용 지지대{upholder for access floors}
본 고안은 이중바닥판넬들을 시공하는 작업에 사용되는 이중바닥판넬용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중바닥판넬들은 주로 전산장비나, 통신장비들이 바닥면으로부터 간격을 띄우고 안정적인 상태로 설치될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시공된다.
즉, 바닥면으로부터 간격을 띄우고 이중바닥판넬들을 시공하면, 케이블류의 배선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여러 가닥의 케이블들을 가려진 상태로 배선이 가능하므로 배선 안전성 및 미관을 한층 높일 수 있다.
상기 이중바닥판넬들은 바닥면 상에서 지주(支柱) 형태의 지지대들에 의해 지지되면서 평면의 면적을 이루는 상태로 시공된다.
상기 지지대는 이중바닥판넬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야 하며, 특히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도 만족할 만한 내성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구조와 부합하는 지지대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5548호의 악세스 플로어 지지대."가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5548호의 악세스 플로어 지지대는, 플로어를 지지하는 지지헤드를 구비한 볼트봉이 지주베이스의 지지파이프 측에 단순 끼움 결합으로 설치되며, 특히 볼트봉 측에는 지지파이프 상부 측과 돌기 및 홈 형태로 걸림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너트가 제공되어 상기 지지파이프 측에 볼트봉이 설치된 상태에서 이 볼트봉의 흔들림 유격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기술에 의한 악세스 플로어 지지대는, 지지헤드 측에 플로어들의 모서리 부분이 단순하게 얹혀진 상태로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각 플로어들을 개별적으로 각각 체결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특히, 플로어들을 조립하거나 분해할 때 과다한 시간이 소요되어 시공성 및 유지보수성 등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지지헤드가 설치된 볼트봉은 지주 역할을 하는 지지파이프 측에 단순하게 끼워진 상태로만 제공되므로 이러한 구조는 예를 들어, 플로어 시공 후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작용하는 충격이나 진동, 하중 등에 대하여 만족할 만한 시공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플로어들의 표면을 각각 관통하는 방향으로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직접 체결 고정하는 방식은, 상기 체결부재들의 체결력에 의해 플로어들의 손상이나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플로어들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중바닥판넬들의 시공 안정성 및 시공 편의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이중바닥판넬용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바닥에 놓여지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측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 위쪽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이중바닥판넬 둘레부 일측이 얹혀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상기 지주 측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조절연결구;
상기 지지플레이트 측에 얹혀진 이중바닥판넬들의 둘레부 일측을 비(非) 관통 상태로 눌러서 상기 지지플레이트 측에 동시에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판넬고정구;
를 포함하는 이중바닥판넬용 지지대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바닥면 상에서 지지플레이트로 복수 개의 이중바닥판넬들을 떠받쳐 주는 상태로 지지할 수 있으며, 특히 지지플레이트 측에 얹혀진 이중바닥판넬들을 관통하지 않는 비(非) 관통 체결 방식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동시에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판넬고정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판넬의 시공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 및 유지 보수시 한층 향상된 작업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중바닥판넬용 지지대의 전체 구조 및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중바닥판넬용 지지대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고안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중바닥판넬용 지지대의 전체 구조 및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3 내지 도 7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면 부호 2는 베이스플레이트, 도면 부호 4는 지주를 지칭한다. 그리고, 도면 부호 P는 이중바닥판넬들을 지칭한다.
상기 이중바닥판넬(P)들은 금속을 통상의 방법으로 가공하거나 성형하여 사각(또는 직사각)판넬 모양을 갖도록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는 바닥면(F)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놓여질 수 있도록 도 1에서와 같이 사각형(또는 원형) 모양을 갖는 평판형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는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판(예: 스틸, 알루미늄)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외부 충격 등에 대한 내성을 높일 수 있도록 통상의 방법으로 보강 리브(rib)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주(4)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 측에 세워져서 고정된 상태로 제공된다.
상기 지주(4)는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 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위쪽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주(4)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가 놓여지는 바닥면(F)과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 측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중바닥판넬용 지지대는, 지지플레이트(6) 및 조절연결구(8)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6) 및 조절연결구(8)는, 상기 지주(4) 측에서 이중바닥판넬(P)들을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떠 받쳐 주는 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6)는 평판형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지주(4) 위쪽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6)는 금속판(예: 스틸, 알루미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지주(4) 위쪽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와 평행을 이루는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조절연결구(8)는 금속봉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단이 상기 지지플레이트(6)와 연결되고 이 지지플레이트(6)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지주(4) 측에 연결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조절연결구(8)는 일단이 상기 지지플레이트(6)와 결합될 때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6) 일측을 관통하여 이중바닥판넬(P)의 두께와 대응하는 길이로 돌출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절연결구(8)는 나사결합에 의한 조절방식으로 상기 지지플레이트(6)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지주(4) 측에 연결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조절연결구(8) 측에 암나사(A2)를 형성하고, 상기 지주(4) 측에 수나사(A1)를 형성하여 상기 지주(4) 상부 측에 상기 조절연결구(8) 단부를 나사 결합으로 끼워서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절연결구(8)는, 상기 지주(4)의 축선과 서로 동축을 형성하면서 세워진 상태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 상에 제공되며, 정,역 회전시 상기 지주(4) 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조절연결구(8)를 정,역 회전 조작하는 방식으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지주(4) 측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6)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 및 셋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연결구(8)는 비(非) 용접, 또는 비(非) 체결 방식으로 상기 지지플레이트(6) 측에 고정 결합된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통상의 압축가공 작업으로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즉, 통상의 압축가공 작업으로 상기 조절연결구(8) 양쪽 단부를 압축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조절연결구(8) 측에 상기 지지플레이트(6) 일면 및 타면과 밀착된 상태로 걸림 접촉되는 단차부(B)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고정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연결구(8)와 지지플레이트(6)의 결합부에는 도 5에서와 같이 돌기(C1) 및 홈(C2)들이 서로 끼워진 상태로 형성되도록 압축가공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지지플레이트(6) 측에 설치된 조절연결구(8)가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비정상으로 유동하는 현상을 상기 돌기(C1) 및 홈(C2)들의 걸림 접촉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축가공 작업시 조절연결구(8) 및 지지플레이트(6)의 결합부에 유동 방지용 돌기(C1) 및 홈(C2)들이 형성되도록 하려면, 예를 들어, 상기 지지플레이트(6)의 홀부 측에 홈(C2)들을 미리 형성한 상태로 상기 조절연결구(8) 양단을 압축한다. 그러면, 상기 조절연결구(8) 외부면이 압축력에 의해 상기 지지플레이트(6)의 홈(C2) 안쪽으로 확장되는 상태로 돌기(C1)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와 상기 지주(4)를 서로 연결 고정할 때에도 상기와 같이 통상의 압축가공 방식으로 고정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중바닥판넬용 지지대는, 판넬고정구(1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판넬고정구(1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6) 측에 얹혀지는 복수 개의 이중바닥판넬(P)을 각각 관통하지 않는 비(非) 관통 체결 방식으로 동시에 눌러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판넬고정구(10)는 나사결합에 의한 조작 방식으로 누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판넬고정구(1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6)와 대응하는 평판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조절연결구(8)의 상측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판넬고정구(10)는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조절연결구(8)의 암나사(A2)와 대응하는 수나사(A3)를 구비하고, 이 나사(A2, A3)들의 나사 결합으로 상기 조절연결구(8)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6)와 평행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판넬고정구(10)는 도 7에서와 같이 정,역 회전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6)를 향하여 간격이 좁혀지거나 벌어지는 방향으로 누름 동작 또는 누름 해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판넬고정구(10)를 일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지지플레이트(6)와 간격이 좁혀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이중바닥판넬(P)들을 동시에 눌러서 이 이중바닥판넬(P)들이 상기 지지플레이트(6) 측에 얹혀진 상태로 유동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눌러서 잡아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넬고정구(10)를 반대 반향으로 돌리면, 상기 지지플레이트(6)와 간격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이중바닥판넬(P)들의 누름 동작이 해제되도록 작동된다.
그러므로, 상기 판넬고정구(10)를 회전 조작하는 방식으로 상기 지지플레이트(6) 측에 복수 개의 이중바닥판넬(P)들을 동시에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판넬고정구(10)는 상기 이중바닥판넬(P)들을 관통하지 않는 비(非) 관통 체결 방식으로 상기 지지플레이트(6) 상에 동시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예를 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판넬들을 직접 관통하는 방향으로 체결부재(예: 볼트)를 각각 체결하여 고정하는 방식과 비교할 때 판넬의 손상이나 변형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중바닥판넬용 지지대는, 높낮이 제어구(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낮이 제어구(12)는 상기 조절연결구(8)의 회전 동작을 제한하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6)의 높낮이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높낮이 제어구(12)는 나사 조임 방식으로 상기 조절연결구(8)의 회전 동작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높낮이 제어구(12)는, 상기 지주(4)의 수나사(A1) 측에 나사 결합으로 끼워져서 정,역 회전시 상기 지주(5)의 축선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높낮이 제어 동작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높낮이 제어구(12)를 일방향으로 돌리면, 이 높낮이 제어구(12)가 상기 지주(4) 위쪽을 이동되면서 상기 조절연결구(8) 하부를 눌러서 이 조절연결구(8)가 회전되지 않도록 조여줄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조절연결구(8)를 조작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6)의 높이 위치를 적절하게 셋팅한 다음, 상기 높낮이 제어구(12)의 조임력으로 상기 조절연결구(8)의 회전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상기 지지플레이트(6)를 셋팅 위치에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높낮이 제어구(12) 측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조절연결구(8) 하부와 접촉되는 지점에 슬립방지용 돌기(D)들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슬립방지용 돌기(D)들은 예를 들어, 상기 높낮이 제어구(12)로 상기 조절연결구(8) 하부를 조여 준 상태에서 이들의 접촉면에서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상기 높낮이 제어구(12)의 작동 안정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중바닥판넬용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지주(4) 측에 설치된 지지플레이트(6)로 복수 개의 이중바닥판넬(P)들의 둘레부 일측(모서리)을 떠받쳐주는 상태로 지지하여 상기 이중바닥판넬(P)들이 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이중바닥 면적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상기 지지플레이트(6) 측에 걸쳐진 상태로 놓여진 복수 개의 이중바닥판넬(P)들을 판넬고정구(10)의 조임 동작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함께 눌러서 동시에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예를 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판넬들을 볼트나 나사로 단순하게 조여서 각각 고정하는 방식과 비교하면 이중바닥판넬(P)의 설치 및 분리 작업을 더욱 신속하고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다.
2: 베이스플레이트 4: 지주 6: 지지플레이트
8: 조절연결구 10: 판넬고정구 12: 높낮이 제어구
P: 이중바닥판넬

Claims (6)

  1. 바닥에 놓여지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측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 위쪽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이중바닥판넬 둘레부 일측이 얹혀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상기 지주 측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조절연결구;
    상기 지지플레이트 측에 얹혀진 이중바닥판넬들의 둘레부 일측을 비(非) 관통 상태로 눌러서 상기 지지플레이트 측에 동시에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판넬고정구;
    를 포함하는 이중바닥판넬용 지지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연결구는,
    상기 지주의 축선과 동심을 이루는 상태로 상기 지주 상부 측에 나사 결합으로 연결되어 정,역 회전 조작시 상기 지주 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셋팅되는 이중바닥판넬용 지지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넬고정구는,
    상기 조절연결구 측에 나사 결합으로 연결되어 정,역 회전 조작시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간격이 좁혀지거나, 간격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 측에 얹혀진 이중바닥판넬들의 둘레부 일측을 동시에 눌러서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셋팅되는 이중바닥판넬용 지지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조절연결구는,
    상기 지지플레이트 일측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상기 조절연결구가 끼워지고, 이들의 결합부에는 상기 조절연결구의 축선 회전 방향으로 걸림 접촉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돌기 및 홈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바닥판넬용 지지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중바닥판넬용 지지대는, 높낮이 제어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높낮이 제어구는,
    상기 지주 측에 나사 결합으로 연결되어 정,역 회전 조작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조절연결구 일측을 눌러서 이 조절연결구의 회전 동작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바닥판넬용 지지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제어구는,
    슬립방지용 돌기들을 구비하고,
    상기 슬립방지용 돌기들은,
    상기 높낮이 제어구의 누름 동작시 상기 조절연결구 일측을 눌러서 회전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기 높낮이 제어구 측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바닥판넬용 지지대.
KR2020120003673U 2012-05-03 2012-05-03 이중바닥판넬용 지지대 KR2013000652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673U KR20130006525U (ko) 2012-05-03 2012-05-03 이중바닥판넬용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673U KR20130006525U (ko) 2012-05-03 2012-05-03 이중바닥판넬용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525U true KR20130006525U (ko) 2013-11-13

Family

ID=52434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673U KR20130006525U (ko) 2012-05-03 2012-05-03 이중바닥판넬용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652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18626B (zh) 自锁装置及其锁紧和解锁装置
US20120118846A1 (en) Assembling an auxiliary lifting unit on a mobile crane
CN205592592U (zh) 一种升降支撑件
CN106522495A (zh) 一种新型组合墙板
CN107989366B (zh) 一种用于梁模板支撑结构组件
KR101187488B1 (ko) 가스스프링의 조립 및 분해를 위한 압축장치
CN102535646A (zh) 一种适用于弦支穹顶空间结构的多向误差可调节点
KR200423535Y1 (ko) 바닥판용 지지대
CN201596989U (zh) 转向泵弯管装配定位夹具
CN202624603U (zh) 分段斜支撑装置
KR20070056757A (ko) 비계용 클램프
KR20130006525U (ko) 이중바닥판넬용 지지대
KR100980204B1 (ko) 타두재용 유압너트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두재용유압너트 체결방법
CN104132497B (zh) 一种冰箱压缩机支撑结构
JP6029228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パネルの取付治具、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KR200452409Y1 (ko) 건물 인테리어용 바닥판 지지대
KR101281159B1 (ko)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CN210659270U (zh) 一种建筑工程施工模板支护结构
KR102007382B1 (ko) 형틀 체결 장치
CN111851984A (zh) 一种脚手架用附墙支座及其使用方法
CN203188558U (zh) 防静电地板承重支架
CN208363598U (zh) 一种快速移动安装支撑系统
CN202969649U (zh) 石材幕墙锥杆球铰背栓
CN107270062B (zh) 一种易锁紧消震效果好的抗震支架斜拉连接件
KR101216558B1 (ko) 조립식 강관 비계 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