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012U - 의료용 칼날 펀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칼날 펀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012U
KR20130006012U KR2020120002822U KR20120002822U KR20130006012U KR 20130006012 U KR20130006012 U KR 20130006012U KR 2020120002822 U KR2020120002822 U KR 2020120002822U KR 20120002822 U KR20120002822 U KR 20120002822U KR 20130006012 U KR20130006012 U KR 201300060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punch
yellow
remove
ner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8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대순
Original Assignee
고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대순 filed Critical 고대순
Priority to KR20201200028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6012U/ko
Publication of KR201300060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01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53Punch like cutting instruments, e.g. using a cylindrical or oval knif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11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칼날펀치는 내려와서(도 3,1) 자르는 부분에 칼날(도 1,2)을 넣어서 기존의 펀치보다는 황색 인대를 안전하고 빠르게 필요한 부분만 절개해서 제거할 수 있게 하였고 칼날펀치로 황색 인대와 신경 사이에 들어가는 서로 맞닿아서 조직을 제거하는 (도 4,2)에 (도 1,1) 부분을 기존의 척추 수술용 펀치보다는 조금 더 뭉툭하게 하고 서로 맞닿아서 칼날(도 1,2)이 들어가는(도 2,3) 가운데 부위를 중심으로 공간을(도 4,G,H,I),(도 7,G,H,I) 있게 해서 절개할 때 신경과 유착된 부위를 같이 자르지 않게 하였다. 그래서 더 안전하게 필요한 부분만 절개해 제거할 수 있어서 수술 후 신경과 유착이 덜 되고 다른 조직이나 뼈를 최대한 손상시키지 않아 환자의 치유와 회복도 빨리 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의료용 칼날 펀치 { knife punch }
칼날펀치는 척추수술에서 척추궁과 척추궁 사이의 황색 인대를 절개해서 제거하는 기구이다. (도 1,2) 부위에 칼날이 있어서 황색 인대를 빠르고 원하는 모양대로 절개해 제거할 수 있어서 수술할 부위를 빠르고 안전하게 보여줄 수 있고 칼날이 들어가는 가운데 부위를 중심으로 공간이(도 4,G,H,I),(도 7,G,H,I) 있어 가운데만 자르기 때문에 주변조직에 손상은 안 주고 황색 인대만 안전하게 절개해서 제거할 수 있다.
기존의 황색 인대를 제거하는 기구들보다 더 안전하고 빠르게 절개해서 제거할 수 있고 원하는 모양대로 안전하게 칼날 펀치를 사용함으로써 황색 인대를 절개 제거하기 때문에 다른 조직이나 뼈를 많이 제거하지 않아도 된다.
황색 인대를 빠르고 안전하게 절개 제거함으로써 수술할 부위를 빨리 보여줘 수술시간이 단축되고 기존의 조직이나 뼈를 최대한 적게 제거해서 환자의 치유와 회복도 빨라지고 수술 후 신경과 유착되는 부분도 적게 하는 것이다.
칼날펀치의 (도 1,1)은 뭉툭해서 황색 인대와 신경 사이에 칼날펀치의 (도 1,1)이 들어갔을 때 신경이나 다른 조직이 다치지 않도록 안전하게 하였고 칼날 펀치의 (도 1,2)에 칼날이 (도 4,2)와 서로 맞닿을 때 닿는 부위가 각도(도 7,1)가 있어서 밑으로 내려가면서 쉽게 잘릴 수 있도록 했다. 그래서 필요한 부위만 절개 제거해 수술할 부위를 안전하고 빠르게 보여줄 수 있고 기존의 척추수술에 쓰이는 펀치는 겉의 테두리가 맞닿아서 잘리게 되어 있어 황색 인대가 신경과 유착이 되어있거나 하면 제거할 때 유착된 부위를 같이 바로 자를 수 있지만 칼날 펀치는 가운데 칼날(도 1,2)만 들어가는(도 2,3) 부분만 잘리고 그 주위로는 공간이(도 4,G,H,I),(도 7,G,H,I) 있어서 황색 인대가 신경과 유착되어 있으면 제거할 때 유착된 부위는 같이 잘리지 않게 되어있다.
척추 수술하는 위 척추궁을 최대한 적게 제거한 후 황색 인대를 척추궁과 분리하고 황색 인대와 신경 사이에 칼날펀치의 (도 1,1) 부분을 넣은 후 신경이 다치지 않게 조심해서 황색 인대와 신경 사이가 유착이 되었는지 안 되었는지 확인한 후 안전하게 칼날펀치로 절개해서 제거할 수 있다. 그러면 우선 척추궁을 많이 제거하지 않아도 되고 황색 인대와 신경 사이에 칼날펀치를 넣었을 때 (도 1,1) 부분이 뭉툭하기 때문에 강한 충격을 주지만 않으면 안전하고 빠르게 황색 인대를 필요한 부분만 절개할 수 있어서 수술할 부위를 쉽게 볼 수 있다. 그리고 필요한 부분만 황색 인대를 제거했기 때문에 수술 후 신경과 유착되는 부분도 적어지고 척추궁과 조직과 뼈를 많이 제거하지 않아도 되어서 수술 후 환자의 치유와 회복도 빨라질 수 있다.
(도 1)
본 발명에 의한 의료기기 본체의 단면도.
(도 2)
본 발명에 의한 의료기기 본체의 단면도.
(도 3)
도 2, 에 실선 원을 확대하여 윗부분 실선 원 1부분만 분리시킨 도면.
(도 4)
도 2, 에 실선 원을 확대하여 밑에 2부분만 분리시킨 도면.
(도 5)
칼날 펀치의 (도 2)에 실선 원 부분이 황색 인대와 척추신경 사이에 들어가서 황색 인대를 제거하는 측면 확대 도면.
(도 6)
칼날 펀치의 (도 2)에 실선 원 부분이 황색 인대와 척추신경 사이에 들어가서 황색 인대를 제거하는 전면 확대 도면.
(도 7)
칼날 펀치의 (도 2)에 실선 원 부분을 확대한 전면(A) 측면(B) 도면.
1.척추 수술할 부위를 피부 절개한 후 근막을 절개하고 근육을 수술할 부위 척추궁까지 박리한 후 수술할 디스크의 위쪽 요추 4번 척추궁과 아래쪽 요추 5번 척추궁을 시야에 보기 쉽게 더 박리한다.
2.기구로 위쪽 요추 4번과 아래쪽 요추 5번 척추궁을 볼 수 있게 고정한 후 위쪽 요추 4번 척추궁을 황색 인대가 박리 될 수 있도록 최대한 적게 제거한다.
3.요추 4번 척추궁과 황색 인대가 박리가 되면 황색 인대와 신경 사이에 지방이 있는데 황색 인대와 지방 사이에 칼날펀치 뭉툭한(도 1,1) 부분을 넣고 신경은 누르지 않는 상태로 아래쪽 요추 5번 척추궁 쪽으로 방향을 돌려서 (도 1,1) 부분으로 신경과 황색 인대가 유착되었는지 안 되었는지 좌우로 조심해서 돌리며 확인한다. 유착이 되었는지 안되었는지는 칼날펀치 (도 1,1) 부분을 황색 인대와 신경 사이에 넣었을 때 잘 들어가지 않거나 넣은 상태에서 좌우로 돌렸을 때 잘 돌아가지 않거나 했을 때 유착이 된 것이다. 유착이 되었을 때는 억지로 유착을 풀려고 하지 말고 서서히 풀면서 되는 곳까지 절개해 주면 된다.
4.황색 인대와 신경이 유착이 되지 않았으면 (도 5),(도 6)과 같이 칼날 펀치를 넣어서 원하는 방향대로 황색 인대를 절개해 주고 제거해 주면 된다.
(도 1)
1은 황색 인대와 신경 사이에 들어가는 부위가 뭉툭한 모습. 2는 황색 인대나 기타 다른 조직을 자를 수 있는 칼날.
(도 2)
3은 칼날(도 1,2)이 안으로 들어가서 맞닿는 부분 그래서 칼날(도 1,2)이 3으로 들어오면서 황색 인대를 자를 수 있다.
(도 3)
A는 1에 전면, B는 1에 후면, C는 1에 측면, D는 1에 윗면, E는 1에 밑면 도면.
(도 4)
3은 2에 전면, A는 D에서 나온 타원 실선의 단면, B는 D에서 나온 타원 실선의 단면, C는 D에서 나온 타원 실선의 단면, D는 2에 윗면, E는 2에 측면, F는 2에 밑면, 실선 원에 부분은 칼날이 들어가는 부분을 중심으로 공간 (G,H,I)을 나타낸 도면.
(도 5)
L 4번 척추궁은 요추 4번 척추궁, L 5번 척추궁은 요추 5번 척추궁.
(도 6)
L 4번 척추궁은 요추 4번 척추궁, L 5번 척추궁은 요추 5번 척추궁.
(도 7)
칼날 펀치의 (도 2)에 실선 원 부분에 (도 3,1) 부분이 (도 4,2)으로 내려가면서 황색 인대가 처음 잘리는 부분과 각도(1)를 보여주는 전면(A)과 측면(B)의 확대 도면. G,H,I는 칼날이 들어가는 부위를 중심으로 공간이 있는 것.

Claims (3)

  1. (도 3,1)과 (도 4,2)가 서로 맞닿아서 황색 인대를 제거하는데 (도 1,2)에 칼날이 들어가 있는 것.
  2. 서로 맞닿아서 조직을 제거하는 (도 1,1) 부분에 전면(도 4,3)이 뭉툭하고 칼날(도 1,2)이 들어갈 수 있는 부분(도 2,3)을 중심으로 공간이(도 4,G,H,I),(도 7,G,H,I) 있는 것.
  3. (도 7,B,1)의 부분이 각도가 있어서 칼날(도 1,2)이 내려올 때 칼날(도 1,2) 전체 면이 닿는 것이 아니라 먼저 각도가 좁은 (도 7,B,1)부분부터 닿아서 잘리게 되는 것.
KR2020120002822U 2012-04-06 2012-04-06 의료용 칼날 펀치 KR2013000601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822U KR20130006012U (ko) 2012-04-06 2012-04-06 의료용 칼날 펀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822U KR20130006012U (ko) 2012-04-06 2012-04-06 의료용 칼날 펀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012U true KR20130006012U (ko) 2013-10-16

Family

ID=52435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822U KR20130006012U (ko) 2012-04-06 2012-04-06 의료용 칼날 펀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601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6585A1 (ko) * 2014-11-14 2016-05-19 주식회사 앤트테크놀로지 척수 신경 보호 기능을 갖는 수술용 펀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6585A1 (ko) * 2014-11-14 2016-05-19 주식회사 앤트테크놀로지 척수 신경 보호 기능을 갖는 수술용 펀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9686B2 (en) Method for ultrasonic tissue excision with tissue selectivity
EP2704649B1 (en) Quadriceps tendon stripper
US9332995B2 (en) Bone-harvesting tool
WO2016131077A1 (en) Surgical rectractor blade with distal end formation for engaging anchor pin
AU202220330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direct visualized rhizotomy
CN202554063U (zh) 微创矫形针刀
CN104323825A (zh) 一种带软组织割刀的钩状神经剥离子及其应用
KR20150103583A (ko) 척추경에 스크류를 고정하기 위한 수술방법 및 상기 방법에 사용되는 스크류의 삽입 도구
KR20130006012U (ko) 의료용 칼날 펀치
US20110034932A1 (en) Surgical chisel assembly and method of use
CN204158458U (zh) 带软组织割刀的钩状神经剥离子
CN100571644C (zh) 前端分叉的异形下切骨刀
CN202113123U (zh) 一种髂骨取骨刀
KR200480105Y1 (ko) 척수 신경 보호 기능을 갖는 수술용 펀치
CN203815541U (zh) 一种用于切除胸腰椎后纵韧带骨化病灶的弧形骨刀
CN207666617U (zh) 脊柱经皮内镜下剥离及组织切除器械
KR20080002714U (ko) 척추 삽입물
CN220588325U (zh) 神经剥离子
CN205251637U (zh) 一种经关节突和肋横关节入路环脊髓减压术用骨刀
CN214761342U (zh) 一种新型钩状剥离子
CN102068295B (zh) 一种角度环形骨刀
CN213309947U (zh) 整段脊髓取出器
CN201939448U (zh) 一种角度环形骨刀
CN211409310U (zh) 四孔螺钉肋骨接骨板
KR102264307B1 (ko) 새로운 형태의 수술용 메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