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996A - 키보드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키보드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996A
KR20130005996A KR1020110067756A KR20110067756A KR20130005996A KR 20130005996 A KR20130005996 A KR 20130005996A KR 1020110067756 A KR1020110067756 A KR 1020110067756A KR 20110067756 A KR20110067756 A KR 20110067756A KR 20130005996 A KR20130005996 A KR 20130005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support
keyboard
main bod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0934B1 (ko
Inventor
고영봉
Original Assignee
고영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봉 filed Critical 고영봉
Priority to KR1020110067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934B1/ko
Priority to PCT/KR2012/005105 priority patent/WO2013009019A2/ko
Publication of KR20130005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지지대에 의해 휴대형 단말기를 소정의 각도로 세워서 사용하므로 통상의 휴대형 컴퓨터와 같이 사용할 수 있는 키보드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형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며, 휴대형 단말기의 입력수단으로서 기능하는 키보드, 상기 휴대형 단말기를 소정의 각도로 세워서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키보드와 지지대를 내장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키보드를 장착하기 위한 키보드 장착부, 상기 지지대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대 장착부 및 실리콘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대 장착부의 좌우 부분에 마련된 미끄럼 방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본체에서 분리가능한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키보드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휴대형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며, 휴대형 단말기의 입력수단으로서 기능하는 키보드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통상의 PC에서 사용하는 입력 수단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키보드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Protection apparatus handheld device having keyboard}
본 발명은 휴대형 단말기의 입력수단으로서 사용되고 휴대형 전자 기기를 보호하는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지대에 의해 휴대형 단말기를 소정의 각도로 세워서 사용하므로 통상의 휴대형 컴퓨터와 같이 사용할 수 있는 키보드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에서 사용되는 휴대형 단말기는 제한된 메모리와 디스플레이를 가지면서 손에 들고다니며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핸드폰과 음성 중심의 단말기에 컴퓨팅 기능을 추가한 스마트폰(Smare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진영의 각종 PDA와 이에 무선 기능을 결합한 무선 PDA(Wireless PDA) 등으로, 예를 들어 현재 시판 중인 애플사의 '아이패드', 삼성전자사의 '갤럭시 탭' 등을 포함한다.
휴대형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항시 소지하고 다니면서, 상대방과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전화기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휴대형 단말기는 전화기 기능 외에도, 사진기 기능, 동영상 플레이어 기능, 일정 관리 기능,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 검색 기능, 게임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종래의 휴대형 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특정 항목의 선택 및 숫자나 문자의 입력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키 버튼이 제공된다.
최근에는 이동 단말의 데이터 처리 속도, 저장 용량 등의 기능이 향상되면서, 휴대형 단말기에 장착된 키 버튼만으로 사용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아이패드(iPad) 얇고, 뒤면이 알루미늄 케이스로 보호되고, 앞면은 디스플레이 부분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부분을 보호하면서 아이패드를 세워서 사용할 수 있는 지지대가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지지대는 단순히 휴대형 단말기만을 지지할 뿐 키보드의 기능을 구비하지 않으므로 휴대형 단말기를 시청각용으로만 사용하므로, 입력 기능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입력장치가 장착된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의 사시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케이스는 단말기부(2), 단말기부(2)를 지지하는 케이스(1) 및 입력장치부(3)를 구비하며, 커버를 이용하여 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어 키보드이용시 사용자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단말기부(2)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과 같은 딱딱한 케이스 또는 가죽시트와 같은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단말기와 연결을 가능케 하는 소켓을 포함하고, 뒷면에 키보드와 착탈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한다.
입력장치부(3)는 PC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표준형 키보드 시스템을 도입한 것으로 실제 사용하는 일반 키보드와 거의 같은 크기로 마련된다.
또 하기 특허 문헌 2에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이 코일 스프링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틸팅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은 특정 단말기에만 적용되므로 범용성이 낮고, 휴대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최근에 디스플레이부가 확장되는 휴대형 단말기에는 적용할 수 없으며, 휴대형 단말기를 보호하는 기능을 구비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슬라이딩 틸팅 장치는 단순히 디스플레이부를 사용자의 시각에 맞추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입력 수단으로서 충분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2001-0069646호(2001.07.25 공개)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2008-0006388호(2008.12.18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휴대형 단말기와 입력장치 간의 연결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휴대용 단말기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한 키보드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사용 용도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를 분리하여 거치하면서 입력 수단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키보드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형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보호할 수 있는 키보드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는 휴대형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며, 휴대형 단말기의 입력수단으로서 기능하는 키보드, 상기 휴대형 단말기를 소정의 각도로 세워서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키보드와 지지대를 내장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키보드를 장착하기 위한 키보드 장착부, 상기 지지대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대 장착부 및 실리콘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대 장착부의 좌우 부분에 마련된 미끄럼 방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본체에서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장착부에는 키보드 걸림턱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대 장착부에는 지지대 걸림턱이 마련되며, 상기 본체에는 휴대형 단말기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자석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단말기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 커버의 일부분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오목부와 결합되는 돌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테두리부분 또는 상기 보호 커버의 테두리부분에는 자석 부재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하판, 상기 하판의 일단부와 힌지 결합되는 상판, 상기 상판에 내장되며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 지지판, 상기 지지판과 결합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판 및 상기 하판과 상기 슬라이드 판에 결합되고 상기 소정의 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 유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판에는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미끄러짐을 방비하는 단말기용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판에는 자석 부재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50°내지 7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에 의하면, 휴대형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며, 휴대형 단말기의 입력수단으로서 기능하는 키보드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통상의 PC에서 사용하는 입력 수단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에 의하면, 지지대를 본체에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휴대형 단말기를 거치하면서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에 의하면, 휴대형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입력장치가 장착된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의 본체와 보호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체에 키보드와 지지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의 지지대에 휴대형 단말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전개 도면,
도 7은 본체와 지지대를 분리하여 사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휴대형 단말기로서 상기 '아이패드'를 예로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의 본체와 보호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체에 키보드와 지지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의 지지대에 휴대형 단말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는 기본적으로 본체(30)로 이루어지고, 본체(30)와 결합되는 보호 커버(40)를 더 구비한다.
상기 본체(30)에는 휴대형 단말기(100)와 무선,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로 통신하며 휴대형 단말기의 입력수단으로서 기능하는 키보드(10) 및 상기 휴대형 단말기(100)를 소정의 각도로 세워서 지지하는 지지대(20)가 내장되도록, 상기 키보드(10)를 장착하기 위한 키보드 장착부(31), 상기 지지대(20)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대 장착부(33) 및 실리콘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대 장착부(33)의 좌우 부분에 마련된 미끄럼 방지부(32)를 구비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보드 장착부(31)에 키보드 걸림턱(35)이 마련되어 키보드(10)가 끼워 맞추어진다. 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 장착부(33)에는 지지대 걸림턱(36)이 마련되어 지지대(20)가 끼워 맞추어진다.
한편, 보호 커버(40)와 결합되는 경우 휴대형 단말기(100)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30)의 테두리부분에 테두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자석 부재(37)가 마련된다. 또 본체(30) 뿐만 아니라 보호 커버(40)의 테두리 부분에도 자석 부재(42)를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다수의 돌출부(34)가 마련되며, 보호 커버의 일부분에는 상기 돌출부(34)에 대응하여 오목부(41)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돌출부(34) 및 오목부(41)의 형상, 위치 및 개수는 도 2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형 단말기의 크기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이와 같이, 자석 부재, 돌출부 및 오목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휴대형 단말기(100)가 본체(30) 및 보호 커버(40)에 수납되는 경우, 휴대시 휴대형 단말기(100)가 본체(30)에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체 내에 미끄럼 방지부(32)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휴대형 단말기(100)를 더욱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본체(30) 및 보호 커버(40)는 각각 키보드(10) 및 지지대(20)와 휴대형 단말기(100)를 수납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 부분이 상부로 돌출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시 설명에서는 본체(30) 또는 보호 커버(40)의 테두리의 일부분에 자석 부재(37,42)를 마련한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각의 테두리 부분에 다수의 자석 부재를 마련하여도 좋다.
다음에 지지대(20)의 구조에 대해 도 5 및 도 6에 따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의 지지대에 휴대형 단말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전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에 있어서, 지지대(20)는 하판(21), 상기 하판(21)의 일단부와 힌지 결합되는 상판(22), 상기 상판(22)에 내장되며 코일 스프링(26)을 구비한 지지판(25), 상기 지지판(25)과 결합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26)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판(23) 및 상기 하판(21)과 상기 슬라이드 판(23)에 결합되고 소정의 각도(θ)를 유지시키는 각도 유지판(24)을 포함한다.
또 상기 하판(21)에는 휴대형 단말기(100)의 미끄러짐을 방비하는 단말기용 걸림턱(2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20)의 각각의 구성 요소의 결합은 통상의 힌지 결합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소정의 각도(θ)는 50°내지 75°, 바람직하게는 65°로 한다. 이러한 각도의 한정은 휴대형 단말기(100)가 뒤로 넘어지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는 반복적인 실험에 의해 결정되었으며, 65°로 하는 것이 휴대형 단말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상기 본체(30) 및 보호 커버(40)는 천연 수지 또는 합성 수지 등에 의해 사출로 형성하던가, 또는 가벼운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지지대(20)는 천연 수지 또는 합성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며, 지지대(20)를 본체(30)에 보다 확실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하판(21)과 지지대 장착부(33)에 각각 자석 부재를 마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체와 지지대를 분리하여 사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과 같이 지지대(20)를 단품으로 하는 경우, 상판(22)의 표면부분에 광고 등의 표기를 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는 휴대형 단말기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된다.
10 : 키보드
20 : 지지대
30 : 본체
40 : 보호 커버
100 : 휴대형 단말기

Claims (8)

  1. 휴대형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며, 휴대형 단말기의 입력수단으로서 기능하는 키보드,
    상기 휴대형 단말기를 소정의 각도로 세워서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키보드와 지지대를 내장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키보드를 장착하기 위한 키보드 장착부, 상기 지지대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대 장착부 및 실리콘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대 장착부의 좌우 부분에 마련된 미끄럼 방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본체에서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장착부에는 키보드 걸림턱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대 장착부에는 지지대 걸림턱이 마련되며,
    상기 본체에는 휴대형 단말기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자석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단말기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 커버의 일부분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오목부와 결합되는 돌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테두리부분 또는 상기 보호 커버의 테두리부분에는 자석 부재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하판, 상기 하판의 일단부와 힌지 결합되는 상판, 상기 상판에 내장되며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 지지판, 상기 지지판과 결합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판 및 상기 하판과 상기 슬라이드 판에 결합되고 상기 소정의 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 유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에는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미끄러짐을 방비하는 단말기용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에는 자석 부재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
  8.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50°내지 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
KR1020110067756A 2011-07-08 2011-07-08 키보드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 KR101310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756A KR101310934B1 (ko) 2011-07-08 2011-07-08 키보드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
PCT/KR2012/005105 WO2013009019A2 (ko) 2011-07-08 2012-06-28 지지대 및 이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756A KR101310934B1 (ko) 2011-07-08 2011-07-08 키보드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996A true KR20130005996A (ko) 2013-01-16
KR101310934B1 KR101310934B1 (ko) 2013-09-23

Family

ID=47837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756A KR101310934B1 (ko) 2011-07-08 2011-07-08 키보드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9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8614A1 (ko) * 2014-05-23 2015-11-26 주식회사 우린 초 슬림 터치 키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초 슬림 스마트 커버 장치
CN114688149A (zh) * 2020-12-30 2022-07-01 深圳市杰美特科技股份有限公司 转接结构和可折叠支架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4636B2 (en) 2002-01-22 2004-01-06 Jyh-Tsung Lin Keyboard device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s
KR20020086371A (ko) * 2002-09-30 2002-11-18 박정훈 입력장치 및 확장팩이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US6882524B2 (en) 2003-04-25 2005-04-19 Motion Computing, Inc. Combined modular keyboard and tablet PC protective cover
US20060227111A1 (en) * 2005-03-30 2006-10-12 Chun-Chien Chou Keyboard to be inside page of notebook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8614A1 (ko) * 2014-05-23 2015-11-26 주식회사 우린 초 슬림 터치 키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초 슬림 스마트 커버 장치
CN114688149A (zh) * 2020-12-30 2022-07-01 深圳市杰美特科技股份有限公司 转接结构和可折叠支架
CN114688149B (zh) * 2020-12-30 2023-08-11 深圳市杰美特科技股份有限公司 转接结构和可折叠支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0934B1 (ko) 201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88832A1 (en) Protective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storage compartment and pivot stand
US10523257B2 (en) Device cover for accessory attachment
EP2438829B1 (en) Protection cover for portable terminal
US8490789B2 (en) Device for retaining a portable electronic component
US9653934B2 (en) Mobile device case with finger grips
EP2757438B1 (en) An electronic device case
US20130088813A1 (en) Modular protective cover with accessory slo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57185Y1 (ko) 거치 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US20160007705A1 (en)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3018889B1 (en) An electronic portable device shell having an integral stand and stand brace
KR200470332Y1 (ko) 모바일 기기 케이스
KR20160018306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101310934B1 (ko) 키보드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
KR101338217B1 (ko) 휴대형 전자기기의 지지대
KR20140001471U (ko) 모바일 단말용 파우치
KR20140003032U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TWM467351U (zh) 保護套
US20230090339A1 (en) Kickstand for a smart device
US20240179232A1 (en) Gripping attachment apparatus
KR101585923B1 (ko) 휴대기기 보호대
WO2013009019A2 (ko) 지지대 및 이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