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625A -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ack/nack 신호의 전송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ack/nack 신호의 전송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625A
KR20130005625A KR1020110067131A KR20110067131A KR20130005625A KR 20130005625 A KR20130005625 A KR 20130005625A KR 1020110067131 A KR1020110067131 A KR 1020110067131A KR 20110067131 A KR20110067131 A KR 20110067131A KR 20130005625 A KR20130005625 A KR 20130005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k
serving cell
nack signal
uplink
sub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10067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625A/ko
Priority to PCT/KR2012/004852 priority patent/WO2013005930A2/ko
Publication of KR20130005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6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6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명세서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ACK/NACK 신호의 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명세서는 주서빙셀에 적용되는 제1 상향/하향 설정에 관한 정보 및 부서빙셀에 적용되는 제2 상향/하향 설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하향 설정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상향/하향 설정에 관한 정보에서 정의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의 전송블록(transport block)을 상기 부서빙셀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말 수신부, 상기 전송블록에 관한 ACK/NACK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상향/하향 설정에 관한 정보에서 정의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ACK/NACK 신호의 전송 타이밍으로 결정하는 HARQ 처리부, 및 상기 ACK/NACK 신호를 상기 주서빙셀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말 전송부를 포함하는 단말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ACK/NACK 신호의 전송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CK/NACK SIGNAL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ACK/NACK 신호의 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 반복 요청(Automatic Repeat reQuest:이하 ARQ)방식은 수신기가 데이터를 제대로 수신하였을 경우 송신기로 수신성공신호(acknowledgement: 이하 ACK)를 전송하고, 반대로 수신기가 데이터를 제대로 수신하지 못하였을 경우 송신기로 재전송요구신호(Not Acknowledgement:이하 NACK)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HARQ방식에 있어서, 수신기가 전송하는 ACK/NACK 신호는 일반적으로 적은 수의 비트로 표현된다. 최근에는 데이터 처리시 전송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존의 ARQ 방식에 물리계층의 채널코딩(Channel Coding)을 결합한 기술인 HARQ(Hybrid-ARQ)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HARQ 방식은 기존의 ARQ와 같이 송신기가 수신 실패한 데이터의 재전송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수신기가 수신 실패한 데이터를 버리지 않고 저장하고 있다가 수신기가 재전송된 데이터를 이전에 저장해 둔 데이터와 합쳐 성능 이득을 높인다. HARQ 방식에서는 수신기가 ACK/NACK 신호를 송신기로 피드백(feedback)하기 위한 별도의 피드백 무선자원(feedback radio resource)을 이용하는 점에서, 한정된 피드백 무선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이 매우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무선자원과, 상향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 시간 및 코드영역과 같은 무선자원이 겹치지 않도록 구분하는 방식이 필요한데, 이러한 방식을 듀플렉스(duplex)라고 한다. 서로 다른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다중접속기술(multiple access scheme)에서와 마찬가지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구분은 주파수, 시간 및 코드 영역에서 가능하다. 듀플렉스 방식은 크게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주파수로 구분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방식과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시간으로 구분하는 TDD(Time Division Duplexing)방식으로 나뉜다.
FDD 방식에서는 주파수 영역에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구분되므로, 기지국과 단말간의 데이터의 전송이 각 링크에서 시간영역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FDD방식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 같은 크기의 주파수를 대칭적으로 할당하고 있어, 음성통화와 같은 대칭형 서비스(symmetric service)에 적절하여 많이 사용되었으나, 최근들어 인터넷 서비스와 같은 비대칭형 서비스(asymmetric service)에는 TDD 방식이 적합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TDD방식은 상향링크, 하향링크에 서로 다른 비율의 시간 슬롯을 할당할 수 있기 때문에, 비대칭형 서비스에 적합하다는 이점이 있다. TDD 방식의 또 다른 장점으로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동일 주파수 대역에서 송수신되므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채널 상태가 거의 일치한다. 따라서 신호를 수신하면 바로 채널상태를 추정할 수 있어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기술등에 적합하다. TDD방식은 전체 주파수 대역을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로 사용하되, 시간영역에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분하고 있으므로, 일정 시간 동안은 상향링크로 사용하고, 또 다른 일정 시간 동안은 하향링크로 사용하므로 기지국과 단말간에 데이터 송수신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없다.
다중 요소 반송파(multiple component carrier) 시스템의 등장으로, 다수의 요소 반송파(CC)들에 대응하는 ACK/NACK 신호가 전송되어야 한다. TDD 방식에 따를 때 각 요소 반송파들이 ACK/NACK 신호의 전송 타이밍이 서로 다르면 시스템의 불안정한 동작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ACK/NACK 신호의 전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ACK/NACK 신호의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서빙셀별로 독립적인 상향/하향 설정을 적용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밴드별로 독립적인 상향/하향 설정을 적용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모든 서빙셀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ACK/NACK 신호의 전송 타이밍에 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주서빙셀에 적용되는 상향/하향 설정에 따라 적응적으로 결정되는 ACK/NACK 신호의 전송 타이밍에 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주서빙셀(primary cell)에 적용되는 제1 상향/하향 설정에 관한 정보 및 부서빙셀에 적용되는 제2 상향/하향 설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하향 설정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상향/하향 설정에 관한 정보에서 정의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의 전송블록(transport block)을 상기 부서빙셀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말 수신부, 상기 전송블록에 관한 ACK/NACK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상향/하향 설정에서 정의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ACK/NACK 신호의 전송 타이밍으로 결정하는 HARQ 처리부, 및 상기 ACK/NACK 신호를 상기 주서빙셀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말 전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단말에 의한 ACK/NACK 신호의 전송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제1 상향/하향 설정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향링크 전송 또는 하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주서빙셀(primary serving cell) 및 제2 상향/하향 설정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향링크 전송 또는 하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부서빙셀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부서빙셀을 통해 전송블록(transport block)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송블록에 관한 ACK/NACK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상향/하향 설정에 관한 정보에서 정의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ACK/NACK 신호를 상기 주서빙셀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단말에 의한 ACK/NACK 신호의 전송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예약된(reserved)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예약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서빙셀마다 정의하는 상향/하향 설정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향/하향 설정 메시지에서 정의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블록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송블록에 관한 ACK/NACK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주서빙셀의 상향/하향 설정과 부서빙셀의 상향/하향 설정에서 모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서 정의한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ACK/NACK 신호를 상기 주서빙셀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주서빙셀에 관한 상향/하향 설정에 관한 정보기 어떠한 것이든지 부서빙셀에 대한 ACK/NACK 신호가 전송되는 타이밍을 주서빙셀에 대한 ACK/NACK 신호가 전송되는 타이밍과 맞출 수 있다. 또한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서빙셀별 상향/하향 설정이 다름으로 인한 ACK/NACK 신호의 전송 타이밍의 모호성이 해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프레임 구조의 다른 예이다. 이는 TDD 무선 프레임 구조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에 구성되는 서빙셀들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상향/하향 설정을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상향/하향 설정을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ACK/NACK 신호의 전송 타이밍을 설명하는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적응적 적응적 전송 타이밍에 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적응적 전송 타이밍에 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적응적 전송 타이밍에 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적응적으로 결정되는 타이밍에 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어 채널을 전송한다'라는 의미는 특정 채널을 통해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채널은 일례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혹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가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1)은 특정한 셀(cell)(15a, 15b, 15c)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섹터라고 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단말(12; mobile station, MS)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11)은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펨토(femto) 기지국, 가내 기지국(Home nodeB), 릴레이(relay)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셀은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기지국(11)에서 단말(12)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12)에서 기지국(11)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은 복수의 반송파를 지원하는 것으로서, 스펙트럼 집성 또는 대역폭 집성(bandwidth aggregation)이라고도 한다. 반송파 집성에 의해 묶이는 개별적인 단위 반송파를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라고 한다. 각 요소 반송파는 대역폭과 중심 주파수로 정의된다. 반송파 집성은 증가되는 수율(throughput)을 지원하고, 광대역 RF(radio frequency) 소자의 도입으로 인한 비용 증가를 방지하고,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도입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20MHz 대역폭을 갖는 반송파 단위의 그래뉼래리티(granularity)로서 5개의 요소 반송파가 할당된다면, 최대 100Mhz의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이다.
반송파 집성은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적인 요소 반송파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인접(contiguous) 반송파 집성과 불연속적인 요소 반송파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비인접(non-contiguous) 반송파 집성으로 나눌 수 있다.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간에 집성되는 반송파들의 수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 수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 수가 동일한 경우를 대칭적(symmetric) 집성이라고 하고, 그 수가 다른 경우를 비대칭적(asymmetric) 집성이라고 한다.
요소 반송파들의 크기(즉 대역폭)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70MHz 대역의 구성을 위해 5개의 요소 반송파들이 사용된다고 할 때, 5MHz 요소 반송파(carrier #0) + 20MHz 요소 반송파(carrier #1) + 20MHz 요소 반송파(carrier #2) + 20MHz 요소 반송파(carrier #3) + 5MHz 요소 반송파(carrier #4)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다중 반송파(multiple carrier) 시스템이라 함은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인접 반송파 집성 및/또는 비인접 반송파 집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대칭적 집성 또는 비대칭적 집성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다. 서빙셀(serving cell)은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에 기반하여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에 의해 집성될 수 있는 요소 주파수 대역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서빙셀에는 주서빙셀(primary serving cell: PCell)과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 SCell)이 있다. 주서빙셀은 RRC 연결(establishment) 또는 재연결(re-establishment) 상태에서, 보안입력(security input)과 NAS 이동 정보(mobility information)을 제공하는 하나의 서빙셀을 의미한다. 단말의 성능(capabilities)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셀이 주서빙셀과 함께 서빙셀의 집합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셀을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이라 한다. 하나의 단말에 대해 설정된 서빙셀의 집합은 하나의 주서빙셀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하나의 주서빙셀과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로 구성될 수 있다.
주서빙셀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하향링크 주요소 반송파(DL PCC)라 하고, 주서빙셀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상향링크 주요소 반송파(UL PCC)라 한다. 또한, 하향링크에서, 부서빙셀에 대응하는 요소 반송파를 하향링크 부요소 반송파(DL SCC)라 하고, 상향링크에서, 부서빙셀에 대응하는 요소 반송파를 상향링크 부요소 반송파(UL SCC)라 한다. 하나의 서빙셀에는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만이 대응할 수도 있고, DL CC와 UL CC가 함께 대응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프레임 구조의 다른 예이다. 이는 TDD 무선 프레임 구조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두 개의 하프프레임(half-frame)을 포함한다. 각 하프프레임의 구조는 동일하다. 하프프레임은 5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과 3개의 필드(field)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DwPTS), 보호구간(Guard Period) 및 UpPTS(Uplink Pilot Time Slot)을 포함한다. DwPTS는 단말에서의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UpPTS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보호구간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구간이다.
표 1은 무선 프레임의 상향/하향 설정(UL/DL configuration)의 일 예를 나타낸다. 상향/하향 설정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예약된(reserved) 서브프레임 및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예약된 서브프레임을 정의한다. 즉, 상향/하향 설정은 하나의 무선프레임내의 모든 서브프레임에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어떠한 규칙에 의해 할당(또는 예약)되는지를 알려준다.
상향/하향 설정
전환시점 주기
서브프레임 번호
0 1 2 3 4 5 6 7 8 9
0 5 ms D S U U U D S U U U
1 5 ms D S U U D D S U U D
2 5 ms D S U D D D S U D D
3 10 ms D S U U U D D D D D
4 10 ms D S U U D D D D D D
5 10 ms D S U D D D D D D D
6 5 ms D S U U U D S U U D
표 1을 참조하면, 'D'는 서브프레임이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것임을 나타내고, 'U'는 서브프레임이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것임을 나타낸다. 'S'는 서브프레임이 특별한 용도로 쓰임을 나타내며, 프레임 동기(sync)를 맞추거나, 또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것임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서브프레임을 간단히 하향링크 서브프레임(downlink subframe)이라 하고,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서브프레임을 간단히 상향링크 서브프레임(downlink subframe)이라 한다. 각 상향/하향 설정마다 하나의 무선 프레임내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배치(position) 및 개수가 서로 다르다.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 변경되는 시점 또는 상향링크에서 하향링크로 전환되는 시점을 전환시점(switching point)이라 한다. 전환시점의 주기성(Switch-point periodicity)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전환되는 양상이 동일하게 반복되는 주기를 의미하며, 5ms 또는 10ms 이다. 예를 들어, 상향/하향 설정 0에서 보면, 0번째부터 4번째 서브프레임까지 D->S->U->U->U로 전환되고, 5번째부터 9번째 서브프레임까지 이전과 동일하게 D->S->U->U->U로 전환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1ms이므로, 전환시점의 주기성은 5ms이다. 즉, 전환시점의 주기성은 하나의 무선 프레임 길이(10ms)보다 적으며, 무선 프레임내에서 전환되는 양상이 1회 반복된다.
상기 표 1의 상향/하향 설정은 시스템 정보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은 상향/하향 설정이 바뀔 때마다 상향/하향 설정의 인덱스만을 전송함으로써 무선 프레임의 상향링크-하향링크 할당상태의 변경을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또는 상향/하향 설정은 방송정보로서 브로드캐스트 채널(broadcast channel)을 통해 셀내의 모든 단말에 공통으로 전송되는 제어정보일 수 있다.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은 주서빙셀 및/또는 부서빙셀등과 같은 복수의 서빙셀들을 운용한다. 따라서 TDD 시스템에서는 단말에 설정된 복수의 서빙셀들이 각기 독립적으로 상향/하향 설정을 취할 수 있다. 주서빙셀의 상향/하향 설정은 주서빙셀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예약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주서빙셀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예약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정의한다. 부서빙셀의 상향/하향 설정은 부서빙셀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예약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부서빙셀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예약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 1에서 주서빙셀의 상향/하향 설정은 2번이고, 부서빙셀의 상향/하향 설정은 5번이라 하자. 이때 7번 서브프레임은 주서빙셀에 대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나, 부서빙셀에 대하여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다. 이에 따르면 각 서빙셀들 간에 유연한 상향/하향 설정을 통해 기지국은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 트래픽(data traffic)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에 구성되는 서빙셀들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시스템 대역폭은 밴드(band) A와 B를 포함하고, 밴드 A는 주서빙셀(PCell) 및 제1 부서빙셀(SCell 1)을 포함하며, 밴드 B는 제2 부서빙셀(SCell 2) 및 제3 부서빙셀(SCell 3)을 포함한다. 다수의 서빙셀에 적용되는 상향/하향 설정을 독립적으로 인에이블(enable)시키는 시그널링 방법이 요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상향/하향 설정을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는 도 3에 기초하여 설명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주서빙셀, 제1 부서빙셀, 제2 부서빙셀 및 제3 부서빙셀에는 모두 독립적으로 상향/하향 설정이 적용된다. 즉, 서빙셀이 서로 동일한 밴드(band)에 속하는지 아닌지를 불문하고, 모든 서빙셀이 독립적으로 상향/하향 설정을 취한다. 이러한 상향/하향 설정을 셀 특정(cell-specific) 상향/하향 설정이라고도 한다. 도 4에서는 모든 서빙셀들에 다 다른 상향/하향 설정이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동일한 상향/하향 설정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4에 따를 때, 기지국은 각 서빙셀마다 독립적인 상향/하향 설정을 단말에 알려주어야 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표 2와 같은 형식을 이용하여 단말에 상향/하향 설정 메시지(configuration message)를 제공할 수 있다.
- 상향/하향 설정 i (i는 서빙셀의 인덱스임)
- 설정 번호의 범위 : {0,1,...,6}, 모든 집성된 서빙셀에 동일하게 적용됨
표 2를 참조하면, i는 현재 상향/하향 설정이 적용되는 서빙셀의 인덱스를 나타낸다. 그리고 설정 번호의 범위는 제i 서빙셀에 적용되는 상향/하향 설정의 번호가 가질 수 있는 범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i=3이고 상향/하향 설정이 5이면, 표 1에 따를 때 제3 서빙셀에 적용되는 상향/하향 설정은 D,S,U,D,D,D,D,D,D,D이다. 이와 같이 상향/하향 설정 메시지는 단말에 구성되는 서빙셀의 수만큼 존재하게 된다. 상향/하향 설정 메시지는 TDD 설정에 관련된 RRC 파라미터로서, 단말이 핸드오버시에 사용되는 파라미터일 수 있다. 상향/하향 설정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블록1(system information block1: SIB1)을 통해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상향/하향 설정을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는 도 3에 기초하여 설명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일 밴드에 포함되는 서빙셀들간에는 동일한 상향/하향 설정이 적용되고, 서로 다른 밴드간에는 서로 독립적으로 상향/하향 설정이 적용된다. 이러한 상향/하향 설정을 밴드 특정(band-specific) 상향/하향 설정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밴드 A에 포함되는 주서빙셀과 제1 부서빙셀에는 모두 상향/하향 설정 0번이 적용되고, 밴드 B에 포함되는 제2 부서빙셀 및 제3 부서빙셀에는 모두 상향/하향 설정 1번이 적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밴드마다 독립적인 상향/하향 설정을 단말에 알려주어야 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표 3과 같은 형식을 이용하여 단말에 상향/하향 설정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 상향/하향 설정 j (j는 밴드의 인덱스임)
- 설정 번호의 범위 : {0,1,...,6}, 모든 집성된 서빙셀에 동일하게 적용됨
표 3을 참조하면, j는 현재 상향/하향 설정이 적용되는 밴드의 인덱스를 나타낸다. 그리고 설정 번호의 범위는 제j 밴드에 적용되는 상향/하향 설정의 번호가 가질 수 있는 범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j=3이고 상향/하향 설정의 번호가 5이면, 표 1에 따를 때 제j 밴드내의 모든 서빙셀에 적용되는 상향/하향 설정은 D,S,U,D,D,D,D,D,D,D이다. 이와 같이 상향/하향 설정 메시지는 단말에 구성되는 밴드의 수만큼 존재하게 된다. 상향/하향 설정 메시지는 TDD 설정에 관련된 RRC 파라미터로서, 단말이 핸드오버시에 사용되는 파라미터일 수 있다. 상향/하향 설정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 예를 들어 SIB1을 통해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이하에서 다중 요소 반송파 TDD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전송블록의 성공적인 수신 또는 비성공적인 수신을 지시하는 ACK/NACK 신호의 전송방법에 관하여 상술된다. 상기 표 1에서, 'S'가 모두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라고 하면, 설정정보 2의 경우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8개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2개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즉,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비율이 4:1이다. 이 경우, 단말은 4개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고, 1개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ACK/NACK 신호를 전송해야 한다. 이와 같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수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수보다 큰 경우, 데이터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과와 ACK/NACK 신호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을 1:1로 대응시키기에는 상향링크 무선자원이 부족하다.
따라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과 ACK/NACK 신호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간에 N:1맵핑을 시킨다. 이 경우, 한 단말에 대한 복수의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전송에 대한 HARQ 피드백으로서 단일 ACK/NACK 신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드(mode)를 ACK/NACK 번들링(bundling)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ACK/NACK 번들링에 기반하여 전송되는 ACK/NACK 신호를 번들(bundled) ACK/NACK 신호라 한다. 기본적으로 모든 서빙셀상에서 수신되는 전송블록(transport block)에 관한 ACK/NACK 신호는 주서빙셀상에서만 전송되기 때문에, ACK/NACK 신호도 마찬가지로 주서빙셀상에서만 전송된다. 그런데 복수의 서빙셀들간에 상향/하향 설정이 다르면, ACK/NACK 신호가 전송되는 타이밍, 또는 서브프레임의 번호가 다를 수 있다.
도 6은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ACK/NACK 신호의 전송 타이밍을 설명하는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셀 1(Cell 1)은 부서빙셀(SCell)이고, 셀 3(Cell 3)은 주서빙셀(PCell)이다. 셀 1과 셀 3의 상향/하향 설정은 각각 표 1에서 0번과 1번이다. 그리고 1번 서브프레임은 셀 1과 셀 3에 대해 모두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다. 기지국은 셀 1과 셀 3의 0번 서브프레임에서 각각 PDSCH1과 PDSCH3을 단말로 전송한다. 기본적으로 단말은 PDSCH1에 맵핑된 제1 전송블록에 대한 ACK/NACK 신호 1을 4개의 서브프레임 이후(즉 4번 서브프레임)에 기지국으로 전송하기로 되어 있다. 그런데 5번 서브프레임은 셀 1에 대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지만, 주서빙셀인 셀 3에 대해서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므로 단말은 4번 서브프레임에서 ACK/NACK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는 각 서빙셀마다 상향/하향 설정이 서로 독립적으로 운용되는 것에서 기인한다.
따라서 ACK/NACK 신호, 특히 부서빙셀에서의 ACK/NACK 신호에 관한 전송 타이밍이 조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ACK/NACK 신호 1의 전송시점을 3개 서브프레임만큼 지연시킬 수 있다. 이로써 ACK/NACK 신호 1은 8번 서브프레임의 셀 3에서 ACK/NACK 신호 3과 함께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는 부서빙셀의 ACK/NACK 신호가 주서빙셀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될 수 있도록 ACK/NACK 신호의 전송 타이밍이 조정되는 경우이다. 이하에서 ACK/NACK 신호의 전송 타이밍은 공통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용어상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적응적 ACK/NACK 신호의 전송 타이밍>
일 예로서, ACK/NACK 신호의 전송 타이밍은 단말에 구성된 주서빙셀의 상향/하향 설정에 특정하게 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단말은 현재 단말에 구성된 주서빙셀의 상향/하향 설정을 기초로 ACK/NACK 신호의 전송 타이밍을 적응적으로 결정한다. 즉, 부서빙셀에서 수신된 전송블록에 관한 ACK/NACK 신호의 전송 타이밍은, 주서빙셀의 상향/하향 설정과의 관계에서 상대적으로 결정된다. 이렇게, 주서빙셀의 상향/하향 설정과의 관계에서 상대적으로 결정되는 ACK/NACK 신호의 전송 타이밍을 적응적 ACK/NACK 신호의 전송 타이밍이라 하며, 줄여서 적응적 전송 타이밍이라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적응적 전송 타이밍에 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단말은 부서빙셀인 셀 1의 5번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PDSCH1을 수신한다. 4개 서브프레임 이후인 9번 서브프레임은 부서빙셀에 대하여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주서빙셀인 셀 3에대하여서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단말은 PDSCH1에 대한 ACK/NACK 신호 1을 9번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할 수 없다.
단말은 주서빙셀에 적용된 상향/하향 설정에 기반하여, 적응적 전송 타이밍을 현 시점(current timing)으로부터 가장 먼저 도래하는 주서빙셀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고, 변경된 전송 타이밍에 ACK/NACK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현 시점은 변경 전의 적응적 전송 타이밍을 의미한다. 이로써 부서빙셀과 주서빙셀에 서로 다른 상향/하향 설정이 적용되더라도 ACK/NACK 신호의 전송의 모호성이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변경 전의 적응적 전송 타이밍인 9번 서브프레임 이후에 주서빙셀에서 가장 먼저 또는 2번째로 도래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인 12번 또는 13번 서브프레임으로 ACK/NACK 신호 1의 전송 타이밍을 적응적으로 변경하고, 13번 또는 14번 서브프레임에서 ACK/NACK 신호 1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가장 먼저 도래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뿐만 아니라 2번째로 도래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도 변경 후의 적응적 전송 타이밍이 될 수 있는 이유는,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많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상의 PDSCH들에 대한 ACK/NACK 신호들이 몰리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단말은 주서빙셀에서 2개 이상의 연속적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 어느 하나를 적응적 전송 타이밍으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ACK/NACK 신호 1의 변경 전 전송 타이밍을 PDSCH1의 수신 시점으로부터 4개 서브프레임으로 가정하였으나, 이는 예시일 뿐 일반적인 n개의 서브프레임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적응적 전송 타이밍에 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7과 비교할 때 셀 1이 주서빙셀로, 셀 3이 부서빙셀로 뒤바뀐 경우이다. 단말은 부서빙셀인 셀 3의 4번 및 5번 서브프레임에서 각각 PDSCH1과 PDSCH2를 수신하고, 그로부터 4개 서브프레임이 경과한 9번 서브프레임은 부서빙셀에 대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다. 그러나, 9번 서브프레임은 주서빙셀인 셀 1에 대하여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므로, 단말은 9번 서브프레임에서 ACK/NACK 신호1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상향/하향 설정 0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나의 무선 프레임내에 2, 3, 4, 7, 8, 9번 서브프레임을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상향/하향 설정 0에서는 적응적 전송 타이밍이 될 수 있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가 1개 이상이다. 그런데 만약 실제로 ACK/NACK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2, 4, 7, 9번 서브프레임으로 정의되어 있다면, 단말은 다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3번과 8번 서브프레임)들도 적응적 전송 타이밍으로 취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적응적 전송 타이밍으로 선택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단말과 기지국간에 미리 정의되거나(predefined), 기지국이 RRC 메시지로서 단말에 설정해 줄 수 있다. 또한 적응적 전송 타이밍의 변경으로 인해 특정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4개 이상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연관되는(associated) 경우, 상향/하향 설정 5에서 적용되는 방법과 같이 ACK/NACK 신호가 오직 PUCCH 포맷 3에만 맵핑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적응적 전송 타이밍에 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셀 1은 주서빙셀로서 상향/하향 설정 2가 적용되며 5ms 전환시점 주기를 가진다. 셀 3은 부서빙셀로서 상향/하향 설정 3이 적용되며 10ms 전환시점 주기를 가진다. 단말에 셀 1과 셀 3이 구성되는 경우, 단말의 ACK/NACK 신호의 전송 타이밍은 2번 및 7번 서브프레임으로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주서빙셀에는 상향/하향 설정 2가 적용되므로, ACK/NACK 신호의 전송 타이밍은 다음 표와 같이 결정된다.
상향/하향 설정
서브프레임 번호 n
0 1 2 3 4 5 6 7 8 9
2 - - 8, 7, 4, 6 - - - - 8, 7, 4, 6 - -
표 4를 참조하면, n은 서브프레임 번호이고 해당 번호의 서브프레임과 연관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집합은 K={k0, k1,..., kM -1}에 의해 결정되는데(kM -1≥4), n-k는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k 번째 이전의 서브프레임 인덱스로서 현재 서브프레임과 연관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지시한다. 연관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란, ACK/NACK 신호의 판단에 기초가 되는 PDSCH를 나른 서브프레임을 의미한다. M은 n번째 서브프레임과 연관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이다.
단말은 주서빙셀인 셀 1을 기준으로 부서빙셀인 셀 3에서의 적응적 전송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복수의 서빙셀들에 관한 ACK/NACK 신호들이 주서빙셀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다. 먼저, 단말은 기준이 되는 셀 1의 적응적 전송 타이밍을 결정한다. 셀 1의 2번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서, K={8, 7, 4, 6}이므로, 연관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이전 무선 프레임의 4번, 5번, 6번, 8번 서브프레임이 된다. 따라서, 단말은 이전 무선 프레임의 4번, 5번, 6번 서브프레임 각각의 PDSCH에 매핑된 전송블록에 대한 ACK/NACK 신호1을 생성하고, 이전 무선 프레임의 8번 서브프레임의 PDSCH에 매핑된 전송블록에 대한 ACK/NACK 신호2를 생성하며, 생성된 ACK/NACK 신호1, 2를 2번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한편, 셀 1의 적응적 전송 타이밍은 셀 3의 적응적 전송 타이밍이 된다. 따라서, 단말은 2번 서브프레임보다 4개의 서브프레임 이상 앞서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이전 무선 프레임의 5, 6, 7, 8번 서브프레임) 각각의 PDSCH에 맵핑된 전송블록에 대한 ACK/NACK 신호3을 생성하고, 2번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단말에 복수의 서빙셀이 구성되면, 연관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서빙셀마다 개별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2번 서브프레임에 연관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주서빙셀에 대하여 K={8, 7, 4, 6}에 의해 결정되고, 부서빙셀에 대하여 K'={k'0, k'1,..., k'M-1}={7, 6, 5, 4}에 의해 결정된다. 이로써 연관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는 확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서빙셀의 ACK/NACK 신호의 전송 타이밍은 주서빙셀의 상향/하향 설정에 따른 ACK/NACK 신호의 전송 타이밍에 따라 적응적, 종속적으로 결정된다. 결국, 셀 1 및 셀 3의 적응적 전송 타이밍은 다음 표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상향/하향 설정
서브프레임 번호 n
0 1 2 3 4 5 6 7 8 9
2(셀 1) - - 8, 7, 4, 6 - - - - 8, 7, 4, 6 - -
3(셀 3) - - 7, 6, 5, 4 - - - - 8, 7, 6
2번 서브프레임과 마찬가지로, 7번 서브프레임이 적응적 전송 타이밍으로 결정되면, 7번 서브프레임과 연관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집합은 주서빙셀에 대해 K={8, 7, 4, 6}, 부서빙셀에 대해 K'={8, 7, 6}으로 결정된다.
주서빙셀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연관된 부서빙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집합은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먼저, 이전 무선 프레임 또는 현재 무선 프레임내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연관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시간의 순서로 맵핑시키고, 2개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공평하게(evenly)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이 맵핑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k'M-1≥4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적응적으로 결정되는 타이밍에 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0 참조하면, 도 9와 달리 셀 3이 주서빙셀로서 상향/하향 설정 3이 적용되며 5ms 전환시점 주기를 가진다. 셀 1은 부서빙셀로서 상향/하향 설정 2가 적용되며 10ms 전환시점 주기를 가진다. 단말에 셀 1과 셀 3이 구성되는 경우, 단말의 적응적 전송 타이밍은 2번 및 3번 서브프레임으로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셀 1에서 0번, 1번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맵핑되는 PDSCH에 관한 ACK/NACK 신호는 4 서브프레임이 경과된 후 가장 먼저 도래하는 주서빙셀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어야 한다. 이는 다음 무선 프레임의 2번 서브프레임이다. 주서빙셀의 2번 서브프레임에 연관된 부서빙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은 2번 서브프레임보다 4 서브프레임 이전에 존재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로서, 0, 1, 3, 4, 5, 6, 8, 9번 서브프레임들이 될 수 있다. 그런데, 이들에 관한 ACK/NACK 신호가 모두 2번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면 오버헤드가 커질 수 있으므로, 단말은 2개 이상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이 공평하게 연관될 수 있도록 ACK/NACK 신호의 전송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셀 1의 0, 1, 3, 4번 서브프레임은 2번 서브프레임에 연관되고, 셀 1의 5, 6, 8, 9번 서브프레임들은 3번 서브프레임에 연관될 수 있다.
결국, 셀 1 및 셀 3의 적응적 전송 타이밍은 다음 표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상향/하향 설정
서브프레임 번호 n
0 1 2 3 4 5 6 7 8 9
2(셀 1) - - 12, 11, 9, 8 8, 7, 5, 4 - - - - - -
3(셀 3) - - 12, 11, 7, 6 6, 5, 4 - - -
2번 서브프레임에 연관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집합은 주서빙셀에 대해 K={12, 11, 9, 8}, 부서빙셀에 대해 K'={8, 7, 5, 4}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3번 서브프레임에 연관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집합은 주서빙셀에 대해 K={12, 11, 7, 6}, 부서빙셀에 대해 K'={6, 5, 4}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공통적 ACK/NACK 신호의 전송 타이밍>
다른 예로서, ACK/NACK 신호의 전송 타이밍은 표 1과 같이 서빙셀에 적용 가능한 모든 상향/하향 설정들의 조합을 고려하여 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ACK/NACK 신호의 전송 타이밍은 모든 상향/하향 설정에 대해 공통적으로 결정된다. 서빙셀들간에 서로 다른 상향/하향 설정이 적용되더라도, 단말은 공통의 전송 타이밍에 각 서빙셀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 모든 서빙셀들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ACK/NACK 신호의 전송 타이밍을 공통 전송 타이밍(common transmission timing) 또는 공통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라 한다. 공통 전송 타이밍은 주서빙셀의 전환시점 주기에 따라 달리 정의될 수 있다.
먼저, 주서빙셀에 적용되는 상향/하향 설정이 0, 1, 2, 6인 경우, 주서빙셀의 전환시점 주기는 5ms이다. 주서빙셀의 전환시점 주기가 5ms인 경우, 각 공통 전송 타이밍과 연관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associated downlink subframe)들을 결정하는 파라미터 K는 아래의 표와 같이 고정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향/하향 설정
서브프레임 번호(n)
0 1 2 3 4 5 6 7 8 9
0(5ms) - - 7, 6 - - - - 7, 6 - -
1(5ms) - - 8, 7, 6 - - - - 8, 7, 6 - -
2(5ms) - - 8, 7, 4, 6 - - - - 8, 7, 4, 6 - -
3(10ms) - - 7, 6, 5, 4 - - - - 8, 7, 6 - -
4(10ms) - - 8, 7, 6, 5 - - - - 9, 8, 7, 6 - -
5(10ms) - - 9, 8, 7, 6, 5 - - - - 9, 8, 7, 6 - -
6(5ms) - - 7, 6 - - - - 8, 7, 6 - -
표 7을 참조하면, 공통 전송 타이밍은 2번 및 7번 서브프레임이며, 공통 전송 타이밍과 연관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은 각 상향/하향 설정마다 달리 결정된다. 예를 들어, 특정 부서빙셀에 해당하는 상향/하향 설정이 0인 경우, 2번 서브프레임에 대한 K0={7, 6}이고, 7번 서브프레임에 대한 K0={7, 6}이다. 여기서, Kx는 상향/하향 설정 x에 대한 K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특정 부서빙셀의 2번 서브프레임에 연관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이전 무선 프레임의 5번, 6번 서브프레임이고, 7번 서브프레임에 연관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현재 무선 프레임의 0번, 1번 서브프레임이다.
즉, 단말에 구성된 모든 서빙셀들에 서로 다른 상향/하향 설정이 적용된다 하더라도 주서빙셀에 해당되는 상향/하향 설정이 5ms 전환시점 주기를 가지는 것이라면, 기지국과 단말은 표 7에서 고정적으로 정의된 2번과 7번 서브프레임이 공통 전송 타이밍인 것을 미리 인지하고 있으므로, ACK/NACK 전송이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주서빙셀에 5ms 전환시점 주기의 상향/하향 설정이 적용된 상황에서, 부서빙셀에 어떠한 상향/하향 설정이 적용되더라도 표 7에 따른 공통 전송 타이밍이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주서빙셀에 적용되는 상향/하향 설정이 3, 4인 경우, 주서빙셀의 전환시점 주기는 10ms이다. 주서빙셀의 전환시점 주기가 10ms인 경우, 각 공통 전송 타이밍과 연관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을 결정하는 파라미터 K는 아래의 표와 같이 고정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향/하향 설정
서브프레임 번호(n)
0 1 2 3 4 5 6 7 8 9
0(5ms) - - 12, 11 8, 7 - - - - - -
1(5ms) - - 12, 8, 11 8, 4, 7 - - - - - -
2(5ms) - - 12, 9, 8, 11 8, 5, 4, 7 - - - - - -
3(10ms) - - 12, 7, 11, 6 6, 5, 4 - - - - - -
4(10ms) - - 12, 8, 7, 11 6, 5, 4, 7 - - - - - -
5(10ms) - - 12, 9, 8, 7, 11 6, 5, 4, 7 - - - - - -
6(5ms) - - 12, 7, 11 4, 7 - - - - - -
표 8을 참조하면, 10ms 전환시점 주기를 가지는 상향/하향 설정 3, 4, 5에서 공통적으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인 2번, 3번 서브프레임을 공통 전송 타이밍으로 정의한다. 공통 전송 타이밍과 연관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은 각 상향/하향 설정마다 달리 결정된다. 예를 들어, 특정 부서빙셀에 해당하는 상향/하향 설정이 0인 경우, 2번 서브프레임에 대한 K0={12, 11}이고, 3번 서브프레임에 대한 K0={8, 7}이다. 따라서 상기 특정 부서빙셀의 2번 서브프레임에 연관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각각 이전 무선 프레임의 0번, 1번 서브프레임이고, 3번 서브프레임에 연관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각각 현재 무선 프레임의 5번, 6번 서브프레임이다.
즉, 단말에 구성된 모든 서빙셀들에 서로 다른 상향/하향 설정이 적용된다 하더라도 주서빙셀에 해당되는 상향/하향 설정이 10ms 전환시점 주기를 가지는 것이라면, 기지국과 단말은 표 8에서 고정적으로 정의된 2번과 3번 서브프레임이 공통 전송 타이밍인 것을 미리 인지하고 있으므로, ACK/NACK 전송이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주서빙셀에 10ms 전환시점 주기의 상향/하향 설정이 적용된 상황에서, 부서빙셀에 어떠한 상향/하향 설정이 적용되더라도 표 8에 따른 공통 전송 타이밍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향/하향 설정 5는 고려되지 않는다. 이는 상향/하향 설정 5가 실질적으로 쓰이는 설정이 아니기 때문이다. 만약 상향/하향 설정 5가 주서빙셀에 적용된다면 다수의 서빙셀상에서 전송되는 모든 PDSCH에 대한 ACK/NACK 신호의 전송은 표 9와 같이 2번 서브프레임에서만 전송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상향/하향 설정
서브프레임 번호(n)
0 1 2 3 4 5 6 7 8 9
0(5ms) - - 12, 7, 11, 6 - - - - - - -
1(5ms) - - 13, 12, 8, 7, 11, 6 - - - - - - -
2(5ms) - - 13, 12, 9, 8, 7, 4, 11, 6 - - - - - - -
3(10ms) - - 13, 12, 7, 5, 4, 11, 6 - - - - - - -
4(10ms) - - 13, 12, 8, 7, 5, 4, 11, 6 - - - - - - -
5(10ms) - - 13, 12, 9, 8, 7, 5, 4, 11, 6 - - - - - - -
6(5ms) - - 13, 12, 7, 11, 6 - - - - - - -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상향/하향 설정 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말로 전송한다(S1100). 상향/하향 설정 메시지는 예를 들어 상기 도 3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제1 상향/하향 설정에 따라 상향링크 전송 또는 하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주서빙셀 및 제2 상향/하향 설정에 따라 상향링크 전송 또는 하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부서빙셀을 구성한 것으로 가정한다.
단말은 상향/하향 설정 메시지에 기반하여 각 서빙셀에 상향/하향 설정을 적용한다(S1105). 예를 들어, 단말은 표 2 또는 표 3과 같이 서빙셀 인덱스별 또는 밴드 인덱스별로 지정된 상향/하향 설정을 각 서빙셀 또는 각 밴드에 포함된 서빙셀들에 적용한다. 즉, 주서빙셀에는 제1 상향/하향 설정을, 부서빙셀에는 제2 상향/하향 설정을 적용한다. 단말은 각 서빙셀 또는 밴드별로 독립적으로 결정된 상향/하향 설정에 따라 상향링크 전송 및/또는 하향링크 수신을 수행한다.
기지국은 각 서빙셀의 상향/하향 설정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걸쳐 적어도 하나의 전송블록을 PDSCH에 맵핑하여 단말로 전송한다(S1110). 전송블록은 하나의 부호어(codeword)에 맵핑되며, 각 전송블록당 적어도 하나의 ACK/NACK 신호가 대응될 수 있다.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걸쳐 각 서빙셀상으로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블록의 성공적인 수신 또는 비성공적인 수신을 나타내는 ACK/NACK 신호를 생성한다(S1115).
단말은 전송블록을 수신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적어도 4 서브프레임이 된 시점부터 정의되는 적응적 전송 타이밍 또는 공통 전송 타이밍에, ACK/NACK 신호를 주서빙셀의 PUCCH에 맵핑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120). 적응적 전송 타이밍과 공통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는 방법은 전술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1200)은 단말 수신부(1205), 단말 프로세서(1210) 및 단말 전송부(1220)를 포함한다. 단말 프로세서(1210)는 또한 RRC 처리부(1211) 및 HARQ 처리부(1212)를 포함한다.
단말 수신부(1205)는 상기 표 2 또는 상기 표 3과 같은 상향/하향 설정 메시지를 기지국(1250)으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RRC처리부(1211)로 전달한다. 또한, 단말 수신부(1205)는 PDSCH에 맵핑된 전송블록을 각 서빙셀상에서 수신한다. 이때, 단말 수신부(1205)는 다수의 전송블록들을 적어도 하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걸쳐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연속적인 서브프레임들이라 할 때, 단말 수신부(1205)는 제1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PDSCH1에 맵핑된 제1 전송블록을, 제2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PDSCH2에 맵핑된 제2 전송블록을 수신할 수 있다.
RRC 처리부(1211)는 상향/하향 설정 메시지의 지시에 따라 단말(1200)에 구성된 각 서빙셀에 특정한 또는 밴드에 특정한 상향/하향 설정을 적용한다. 예를 들어, 주서빙셀에 상향/하향 설정 0을, 부서빙셀1에 상향/하향 설정 1을, 부서빙셀 2에 상향/하향 설정 2를 각각 적용할 수 있다. 또한, RRC 처리부(1211)는 제1 상향/하향 설정에 따라 상향링크 전송 또는 하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주서빙셀 및 제2 상향/하향 설정에 따라 상향링크 전송 또는 하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부서빙셀을 단말(1200)에 구성할 수 있다.
HARQ 처리부(1212)는 단말 수신부(1205)가 수신한 전송블록의 성공적인 수신 또는 비성공적인 수신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ACK/NACK 신호를 생성한다. HARQ 처리부(1212)는 RRC 처리부(1211)에 의해 적용된 각 서빙셀별 상향/하향 설정에 기반하여 적응적 전송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HARQ 처리부(1212)는 각 서빙셀별 상향/하향 설정과 무관하게, 주서빙셀에 적용된 전환시점 주기에 기반한 공통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고, 단말 전송부(1220)는 HARQ 처리부(1212)에 의해 결정된 전송 타이밍(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ACK/NACK 신호를 주서빙셀을 통해 기지국(1250)으로 전송한다.
기지국(1250)은 기지국 전송부(1255), 기지국 수신부(1260) 및 기지국 프로세서(1270)를 포함한다. 기지국 프로세서(1270)는 또한 RRC 처리부(1271) 및 HARQ 처리부(1272)를 포함한다.
RRC 처리부(1271)는 상기 표 2 또는 상기 표 3과 같은 상향/하향 설정 메시지를 구성하고, 수신하고, 이를 기지국 전송부(1255)로 전달한다.
기지국 전송부(1255)는 상향/하향 설정 메시지를 핸드오버 관련 메시지를 통해 단말(1200)로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 전송부(1255)는 각 서빙셀의 상향/하향 설정에 기반하여, 각 서빙셀마다 PDSCH에 맵핑된 전송블록을 단말(1200)로 전송한다. 이때, 기지국 전송부(1255)는 다수의 전송블록들을 적어도 하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걸쳐 단말(1200)로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 수신부(1260)는 적응적 전송 타이밍 또는 공통 전송 타이밍에, 주서빙셀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ACK/NACK 신호를 단말(1200)로부터 수신한다.
HARQ 처리부(1272)는 기지국 수신부(1260)에 의해 수신된 ACK/NACK 신호에 따라 HARQ 동작(operation)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ACK/NACK 신호가 ACK이면, HARQ 처리부(1272)는 준비된 새로운 전송블록을 기지국 수신부(1260)로 전달하고, 기지국 수신부(1260)는 새로운 전송블록을 단말(1200)로 전송한다. 반면 ACK/NACK 신호가 NACK이면, HARQ 처리부(1272)는 ACK/NACK 신호가 전송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연관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맵핑되는 전송블록들을 기지국 수신부(1260)로 보내고, 기지국 수신부(1260)는 상기 전송블록들을 단말(1200)로 재전송한다.
본 발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디자인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메모리 유닛이나 프로세서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에 있어서,
    주서빙셀(primary cell)에 적용되는 제1 상향/하향 설정에 관련된 정보 및 부서빙셀에 적용되는 제2 상향/하향 설정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하향 설정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상향/하향 설정에서 정의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의 전송블록(transport block)을 상기 부서빙셀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말 수신부;
    상기 전송블록에 관한 ACK/NACK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상향/하향 설정에 관련된 정보에서 정의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ACK/NACK 신호의 전송 타이밍으로 결정하는 HARQ 처리부; 및
    상기 ACK/NACK 신호를 상기 주서빙셀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말 전송부를 포함하는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수신부는, 제n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전송블록을 수신하고,
    상기 HARQ 처리부는, 제(n+a) 서브프레임 및 그 이후의 서브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ARQ 처리부는, 상기 제1 상향/하향 설정의 전환시점 주기에 따라 상대적으로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ARQ 처리부는, 상기 모든 상향/하향 설정에 관한 정보들에 공통적으로 규정된 특정 전송 타이밍을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6. 단말에 의한 ACK/NACK 신호의 전송방법에 있어서,
    제1 상향/하향 설정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향링크 전송 또는 하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주서빙셀 및 제2 상향/하향 설정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향링크 전송 또는 하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부서빙셀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부서빙셀을 통해 전송블록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송블록에 관한 ACK/NACK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상향/하향 설정에 관한 정보에서 정의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ACK/NACK 신호를 상기 주서빙셀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CK/NACK 신호의 전송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블록은 제n 서브프레임에서 수신되고,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제(n+a) 서브프레임 및 그 이후의 서브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K/NACK 신호의 전송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K/NACK 신호의 전송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1 상향/하향 설정의 전환시점 주기에 따라 상대적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K/NACK 신호의 전송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ACK/NACK 신호는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걸쳐 수신되는 복수의 전송블록들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K/NACK 신호의 전송방법.
KR1020110067131A 2011-07-07 2011-07-07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ack/nack 신호의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13000562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131A KR20130005625A (ko) 2011-07-07 2011-07-07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ack/nack 신호의 전송 장치 및 방법
PCT/KR2012/004852 WO2013005930A2 (ko) 2011-07-07 2012-06-20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ack/nack 신호의 전송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131A KR20130005625A (ko) 2011-07-07 2011-07-07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ack/nack 신호의 전송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625A true KR20130005625A (ko) 2013-01-16

Family

ID=47437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131A KR20130005625A (ko) 2011-07-07 2011-07-07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ack/nack 신호의 전송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005625A (ko)
WO (1) WO2013005930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7923A1 (en) * 2013-03-25 2014-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harq-ack in inter-enb carrier aggregation system
WO2014172133A1 (en) * 2013-04-15 2014-10-23 Qualcomm Incorporated Feedback message alignment for multicarrier systems with flexible bandwidth carrier
WO2016111599A1 (ko) * 2015-01-09 201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52003B2 (en) * 2015-01-22 2020-05-1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ARQ design for high performance wireless backhaul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7923A1 (en) * 2013-03-25 2014-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harq-ack in inter-enb carrier aggregation system
WO2014172133A1 (en) * 2013-04-15 2014-10-23 Qualcomm Incorporated Feedback message alignment for multicarrier systems with flexible bandwidth carrier
CN105122717A (zh) * 2013-04-15 2015-12-02 高通股份有限公司 针对利用灵活带宽的载波的多载波系统的反馈消息对齐
US9883454B2 (en) 2013-04-15 2018-01-30 Qualcomm Incorporated Feedback message alignment for multicarrier systems with flexible bandwidth carrier
CN105122717B (zh) * 2013-04-15 2018-11-09 高通股份有限公司 利用灵活带宽载波的多载波系统的信令对齐方法、系统、介质和设备
WO2016111599A1 (ko) * 2015-01-09 201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673556B2 (en) 2015-01-09 2020-06-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and apparatu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05930A2 (ko) 2013-01-10
WO2013005930A3 (ko) 201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9709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uplink scheduling and HARQ timing
US109661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or transmitting data
US957125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HARQ ACK/NACK
EP3100563B1 (en) Time domain multiplexing ul transmission on multiple serving cells for a mobile station with single transmitter
US10080220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downlink HARQ timing
US10615926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for uplink scheduling and harq timing
KR20150074494A (ko) Tdd-fdd 반송파 집성을 위한 소프트버퍼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90587A (ko) Harq ack/nack 전송방법 및 장치
KR20150051063A (ko) 하향링크 harq-ack와 sr동시 전송 방법 및 장치
US98440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to multiple sites which use same frequency band
EP3751914A1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eadable storage medium
EP29453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rq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
KR20130005625A (ko)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ack/nack 신호의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2173193B1 (ko) Harq ack/nack 전송방법 및 장치
KR20150078668A (ko) Tdd-fdd 반송파 집성을 위한 레이트 매칭 방법 및 그 장치
KR102204049B1 (ko) Tdd 시스템에서 dl harq 수행방법 및 장치
KR20150090601A (ko) Harq ack/nack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314101B1 (ko) 상향링크 스케줄링 및 harq 타이밍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251123B1 (ko) 상향링크 스케줄링 및 harq 타이밍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50060114A (ko) 하향링크 harq 타이밍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